KR102353928B1 - 전기 제어 기반의 에어 순환 방진복 - Google Patents

전기 제어 기반의 에어 순환 방진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928B1
KR102353928B1 KR1020210005039A KR20210005039A KR102353928B1 KR 102353928 B1 KR102353928 B1 KR 102353928B1 KR 1020210005039 A KR1020210005039 A KR 1020210005039A KR 20210005039 A KR20210005039 A KR 20210005039A KR 102353928 B1 KR102353928 B1 KR 102353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le
outlet
air inlet
clean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윈
서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윈, 서광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윈
Priority to KR1020210005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by means of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25/06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the electric motor being specially adapted for integration in the pump
    • F04D25/066Linea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25/0673Battery pow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00Devices using naturally cold air or cold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26Refrigerating devices for cooling wearing apparel, e.g. garments, hats, shoes or glo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63Off-grid food refrig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제어 기반의 에어 순환 방진복은, 내피와 외피 사이에 에어 통로가 형성된 인체 착용 구조의 방진복 본체와, 상기 방진복 본체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제 1 관통홀과, 상기 제 1 관통홀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방진복 본체의 다른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 통로를 통해 상기 제 1 관통홀과 연결되는 제 2 관통홀과, 상기 제 1 관통홀에 부착되며, 상기 방진복 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로 에어를 유출입시키는 제 1 에어 유출입부와, 상기 제 2 관통홀에 부착되며, 상기 방진복 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로 에어를 유출입시키는 제 2 에어 유출입부와, 상기 제 1 에어 유출입부와 상기 제 2 에어 유출입부를 통해 상기 에어 통로로 에어가 강제 유출입되도록 제어하는 전기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제어 기반의 에어 순환 방진복{AIR CIRCULATION CLEANROOM UNIFORM BASED ON ELECTRIC CONTROL}
본 발명은 에어 순환 방진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착용한 상태로 전기적 제어 수단을 통해 방진복의 내외부로 에어를 강제 순환시킬 수 있는 전기 제어 기반의 에어 순환 방진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시대는 과학 산업 및 첨단기술 산업시대로서, 제작되는 첨단제품은 제품의 성능과 제조수율의 향상을 위하여 초정밀화, 고집적화, 고순도화 및 무균화의 생산 환경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생산 환경은 의학, 제약, 식품, 유전공학 등에서 생물학적인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바이오 클린룸 계통과 반도체, 전자, 정밀기계, 신소재산업 등과 같이 파티클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공업상의 클린룸 계통의 도입으로 계속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추세이다.
첨단산업인 반도체 산업과 발전된 생산 환경의 클린룸, 즉 청정실은 내부에서 발생되는 파티클을 계속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상측 필터를 통해 청정공기를 공급하고, 이것을 그레이팅 패드의 하측으로 유도함으로써 생성되는 파티클이 함께 유도 배출되도록 하는 하향 수직층류 타입의 환경을 이루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엄격한 청정관리가 요구되는 청정실과 더불어 청정실 내에서 사용되는 청정실용 소모품 등에 대한 관리에 대해서도 그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이렇게 사용되는 청정실용 소모품 중에는 작업자가 착용하게 되는 방진복이 있으며, 이러한 방진복은 작업자의 인체로부터 생성되는 각종 파티클이 작업 대상체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인체 파티클에 의한 작업 대상체의 오염 및 손상을 방지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방진복은 첨단제품의 정밀화 추세에 동반하여 사용되는 옷감 자체가 발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재질의 것을 사용하고, 또한 소매나 이음매 부위를 좁게 형성토록 하여 그 내부의 기밀성을 높이도록 한 것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방진복은 착용자의 땀이나 습기 등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장시간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 방진복 착용의 작업자가 쉽게 탈진하거나 피부병 등의 질환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20-0486158(공고일 : 2018. 04. 09.)
본 발명은 인체에 착용한 상태로 전기적 제어 수단을 통해 방진복의 내외부로 에어를 강제 순환시킬 수 있는 전기 제어 기반의 에어 순환 방진복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내피와 외피 사이에 에어 통로가 형성된 인체 착용 구조의 방진복 본체와, 상기 방진복 본체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제 1 관통홀과, 상기 제 1 관통홀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방진복 본체의 다른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 통로를 통해 상기 제 1 관통홀과 연결되는 제 2 관통홀과, 상기 제 1 관통홀에 부착되며, 상기 방진복 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로 에어를 유출입시키는 제 1 에어 유출입부와, 상기 제 2 관통홀에 부착되며, 상기 방진복 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로 에어를 유출입시키는 제 2 에어 유출입부와, 상기 제 1 에어 유출입부와 상기 제 2 에어 유출입부를 통해 상기 에어 통로로 에어가 강제 유출입되도록 제어하는 전기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제어 기반의 에어 순환 방진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1 고정부를 통해 상기 제 1 관통홀을 덮도록 고정 부착되는 제 1 필터와, 제 2 고정부를 통해 상기 제 2 관통홀을 덮도록 고정 부착되는 제 2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 1 필터는, 벨크로 부재를 통해 상기 제 1 관통홀의 내벽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 2 필터는, 벨크로 부재를 통해 상기 제 2 관통홀의 내벽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 1 필터 및 상기 제 2 필터 각각은, 항균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제어 장치는, 장치의 작동을 온 또는 오프 조작하기 위한 작동 스위치와, 배터리와, 상기 작동 스위치의 온 조작시에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전원선을 통해 모터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해 정방향 회전함으로써, 상기 에어 통로로 에어를 강제 유입시키는 흡기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흡기팬은, 상기 제 1 에어 유출입부의 내측 또는 상기 제 2 에어 유출입부의 내측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흡기팬은, 유연 재질의 연결 브라켓을 통해 상기 제 1 필터 또는 상기 제 2 필터에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체에 착용한 상태로 전기적 제어 수단을 통해 방진복의 내외부로 에어를 강제 순환시켜 줌으로써, 장시간 작업 과정에서 인체에 피부 질환 등의 질환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쾌적한 착용감의 실현을 통해 작업자의 사용 만족도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제어 기반의 에어 순환 방진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에어 순환 방진복의 필터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한 쌍의 에어 유출입부를 통해 유출입되는 에어가 에어 통로를 순환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한 쌍의 에어 유출입부를 통해 에어를 강제 유출입시키는 전기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지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설명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제어 기반의 에어 순환 방진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에어 순환 방진복의 필터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한 쌍의 에어 유출입부를 통해 유출입되는 에어가 에어 통로를 순환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제어 기반의 에어 순환 방진복(100)은, 제 1 위치(예컨대, 인체의 가슴부위 위치)에 제 1 관통홀(11)이 형성되며 제 1 관통홀(11)에 이격된 제 2 위치(예컨대, 인체의 허리부위 위치)에 제 2 관통홀(13)이 형성된 방진복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 순환 방진복(100)은 제 1 관통홀(11)에 부착되며 방진복 본체(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에어(공기)가 유출입되도록 하는 제 1 에어 유출입부(20)와, 제 2 관통홀(13)에 부착되며 방진복 본체(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에어가 유출입되도록 하는 제 2 에어 유출입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진복 본체(10)는 작업자(인체)의 전신에 착용될 수 있는 것으로 작업자의 인체로부터 생성되는 각종 파티클이 작업 대상체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파티클에 의해 작업 대상체가 오염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방진복 본체(10)는 작업자의 전신에 착용되는 바, 외기로부터 밀폐되어 피부 질환 등의 질병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방진복 본체(10)에는 에어 순환을 위한 제 1 관통홀(11)과 제 2 관통홀(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관통홀(11)은 방진복 본체(10)의 상체 위치(예컨대, 인체의 가슴부위 위치 등)에 개구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관통홀(11)이 방진복 본체(10)의 상체 위치에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은, 에어가 방진복 본체(10)의 내부로 유출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관통홀(11)은 방진복 본체(10)의 상체 위치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 1 관통홀(11)은 에어가 흡입되도록 방진복 본체(10)의 상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진복 본체(10) 내부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 1 관통홀(11)은 에어의 흡입 또는 배출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관통홀(13)은 제 1 관통홀(11)이 형성된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방진복 본체(10)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방진복 본체(10)의 허리부분 위치에 개구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관통홀(13)은 제 1 관통홀(11)과 동일 또는 유사 형상의 동일 또는 유사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관통홀(13)이 방진복 본체(10)의 허리부분 위치에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은, 에어가 방진복 본체(10)의 내부로 유출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 2 관통홀(13)은 방진복 본체(10)의 허리부분 위치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 2 관통홀(13)은 에어가 배출되도록 방진복 본체(10)의 허리부분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진복 본체(10)의 외부 에어가 흡입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 2 관통홀(13)은 에어의 흡입 또는 배출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관통홀(11)은 방진복 본체(10)의 상체(예컨대, 인체의 가슴부위)의 일측으로 치우진 상태로 형성되고, 제 2 관통홀(13)은 방진복 본체(10)의 허리부분 위치의 타측으로 치우진 상태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체 착용 구조의 방진복 본체(10)에는 외피 사이에 에어통로(50)가 형성되는데, 제 1 에어 유출입부(20)와 제 2 에어 유출입부(30)는 에어 통로(50)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제 1 에어 유출입부(20)를 통해 유입(흡수)되는 에어는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에어 통로(50)를 경유하는 에어 경로를 통해 제 2 에어 유출입부(30)를 통해 방진복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관통홀(11)과 제 2 관통홀(13)은 상체의 일측과 허리부분 위치의 타측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 1 필터(23)와 제 2 필터(33)가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필터(23)와 제 2 필터(33) 각각은, 항균 물질을 포함할 수 잇다.
제 1 에어 유출입부(20)는, 제 1 관통홀(11)을 덮도록 제 1 필터(23)가 부착되는 것으로, 에어가 방진복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필터링된 상태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 에어 유출입부(20)는, 제 1 관통홀(11)에 고정되는 제 1 고정부(21)와, 이 제 1 고정부(21)에 고정된 상태로 제 1 관통홀(11)을 덮도록 부착되며 에어가 유출입되는 제 1 필터(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부(21)는, 제 1 필터(23)를 제 1 관통홀(11)에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필터(23)를 제 1 관통홀(11)에 고정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고정부(21)는 제 1 필터(23)를 제 1 관통홀(11)에 고정하는 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고정부(21)는 제 1 관통홀(11)에 박음질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벨크로 부재 등에 의해 제 1 관통홀(11)의 내벽면에 착탈 자유롭게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고정부(21)는 제 1 필터(23)를 제 1 관통홀(11)에 고정 연결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필터(23)를 제 1 관통홀(11)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필터(2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고정부(21)에 의해 제 1 관통홀(11)에 고정되는 것으로 제 1 관통홀(11)의 전체를 덮도록 부착될 수 있다.
제 1 필터(23)의 선단에는 후술하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도시 생략)의 동력에 의해 정방향 회전함으로써, 방진복이 외피와 내피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 통로(50)로 에어를 강제 유입(흡기)시키는 흡기팬(25)이 장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흡기팬(25)은 모터 일체형 팬으로 정의될 수 있다.
흡기팬(25)은 유연 재질의 연결 브라켓(도시 생략)을 통해 제 1 필터(23)의 선단에 물리적으로 결합되는데, 이러한 흡기팬(25)의 온 또는 오프 작동을 위해, 일례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복 본체(10)의 외부 소정 위치(예컨대, 허리춤 부근 등)에 작동 스위치(40)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는 유출입 경로는 제 1 에어 유출입부(20) → 에어 통로(50) → 제 2 에어 유출입부(30)로 형성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흡기팬(25)을 제 1 에어 유출입부(20) 내측에 장착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흡기팬은 제 2 에어 유출입부(30) 내측에 장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에어는 유출입 경로는 제 2 에어 유출입부(30) → 에어 통로(50) → 제 1 에어 유출입부(20)로 형성될 것이다.
제 2 에어 유출입부(30)는, 제 2 관통홀(13)을 덮도록 제 2 필터(33)가 부착되는 것으로, 에어가 방진복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필터링된 상태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2 에어 유출입부(30)는, 제 2 관통홀(13)에 고정되는 제 2 고정부(31)와, 이 제 2 고정부(31)에 고정된 상태로 제 2 관통홀(13)을 덮도록 부착되며 에어가 유출입되는 제 2 필터(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고정부(31)는, 제 2 필터(33)를 제 2 관통홀(13)에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제 2 필터(33)를 제 2 관통홀(13)에 고정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고정부(31)는 제 2 필터(33)를 제 2 관통홀(13)에 고정하는 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고정부(31)는 제 2 관통홀(13)에 박음질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벨크로 부재 등에 의해 제 2 관통홀(13)의 내벽면에 착탈 자유롭게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고정부(31)는 제 2 필터(33)를 제 2 관통홀(13)에 고정 연결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필터(33)를 제 2 관통홀(13)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필터(3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고정부(31)에 의해 제 2 관통홀(13)에 고정되는 것으로 제 2 관통홀(13)의 전체를 덮도록 부착될 수 있다.
도 4는 한 쌍의 에어 유출입부를 통해 에어를 강제 유출입시키는 전기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기 제어 장치는 작동 스위치(402), 제어부(404), 배터리(406) 및 흡기팬(40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기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재들은 방진복의 내부 측에서 전원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작동 스위치(40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작동 스위치(40)를 의미(참조번호를 상이하게 기재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재)할 수 있는 것으로, 작업자는 작동 스위치(402)의 온 또는 오프 조작을 통해 전기 제어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4)는, 예컨대 전기 제어 장치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저가형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의미할 수 있는 것으로,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작동 스위치(402)로부터 온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배터리(406)의 전원이 전원선(도시 생략)을 통해 흡기팬(408) 측에 구비된 모터(도시 생략)로 공급(인가)되도록 제어하고,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작동 스위치(402)로부터 오프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배터리(406)로부터 흡기팬(408) 측의 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배터리(406)는 일회용 배터리로 구성되거나 혹은 충전식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4)와 배터리(406)는 하나의 구성품으로 패킹되어 방진복 내부(예컨대, 인체의 등 부분, 인체의 허리춤 부분 등)에 보조벨트 등을 이용하여 장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흡기팬(408)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흡기팬(25)을 의미(참조번호를 상이하게 기재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재)할 수 있는 것으로, 배터리(406)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의 동력에 의해 정방향 회전함으로써, 에어 통로(50)로 에어를 강제 유입, 예컨대 제 1 에어 유출입부(20)를 통해 에어를 강제 흡입하여 에어 통로(50)를 경유하는 에어 순환 경로를 통해 제 2 에어 유출입부(30)로 배출(외부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방진복 본체
11 : 제 1 관통홀
13 : 제 2 관통홀
20 : 제 1 에어 유출입부
23 : 제 1 필터
25, 408 : 흡기팬
30 : 제 2 에어 유출입부
33 : 제 2 필터
40, 402 : 작동 스위치
50 : 에어 통로
100 : 에어 순환 방진복
404 : 제어부
406 : 배터리

Claims (5)

  1. 내피와 외피 사이에 에어 통로가 형성된 인체 착용 구조의 방진복 본체와,
    상기 방진복 본체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제 1 관통홀과,
    상기 제 1 관통홀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방진복 본체의 다른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 통로를 통해 상기 제 1 관통홀과 연결되는 제 2 관통홀과,
    상기 제 1 관통홀에 부착되며, 상기 방진복 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로 에어를 유출입시키는 제 1 에어 유출입부와,
    상기 제 2 관통홀에 부착되며, 상기 방진복 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로 에어를 유출입시키는 제 2 에어 유출입부와,
    상기 제 1 에어 유출입부와 상기 제 2 에어 유출입부를 통해 상기 에어 통로로 에어가 강제 유출입되도록 제어하는 전기 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제 1 고정부를 통해 상기 제 1 관통홀을 덮도록 고정 부착되는 제 1 필터와,
    제 2 고정부를 통해 상기 제 2 관통홀을 덮도록 고정 부착되는 제 2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제어 장치는,
    장치의 작동을 온 또는 오프 조작하기 위한 작동 스위치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작동 스위치의 온,오프 조작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전원선을 통해 모터로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해 정방향 회전함으로써, 상기 에어 통로로 에어를 강제 유입시키는 흡기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에어 유출입부와 상기 제 2 에어 유출입부는 상기 에어 통로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에어 유출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에어는 상기 에어 통로를 경유하는 에어 경로를 통한 후 상기 제 2 에어 유출입부를 통해 상기 방진복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 전기 제어 기반의 에어 순환 방진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05039A 2021-01-14 2021-01-14 전기 제어 기반의 에어 순환 방진복 KR102353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039A KR102353928B1 (ko) 2021-01-14 2021-01-14 전기 제어 기반의 에어 순환 방진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039A KR102353928B1 (ko) 2021-01-14 2021-01-14 전기 제어 기반의 에어 순환 방진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928B1 true KR102353928B1 (ko) 2022-01-21

Family

ID=80050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039A KR102353928B1 (ko) 2021-01-14 2021-01-14 전기 제어 기반의 에어 순환 방진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928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9405A (ja) * 1996-04-12 1997-10-28 Teijin Ltd 防塵衣
JP2004027417A (ja) * 2002-06-25 2004-01-29 Masami Murayama 防護用衣服及び防火服
US20050015866A1 (en) * 2003-07-07 2005-01-27 Steinert Robert Bruce Ventilated, breathing-powered protection suit
KR101840600B1 (ko) * 2017-06-29 2018-03-20 이재일 작업복
KR200486158Y1 (ko) 2017-06-13 2018-04-09 원영현 기밀성이 우수한 방진복
KR101894862B1 (ko) * 2018-03-15 2018-09-04 원영현 통풍수단이 구비된 야간작업이 용이한 방진복
KR20200044496A (ko) *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트윈 공기 순환 방진복
JP2020153050A (ja) * 2019-03-14 2020-09-24 東洋紡株式会社 冷却服
KR20210032114A (ko) * 2019-09-16 2021-03-24 엠텍에스티에스 주식회사 냉기채널을 구비한 방호복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9405A (ja) * 1996-04-12 1997-10-28 Teijin Ltd 防塵衣
JP2004027417A (ja) * 2002-06-25 2004-01-29 Masami Murayama 防護用衣服及び防火服
US20050015866A1 (en) * 2003-07-07 2005-01-27 Steinert Robert Bruce Ventilated, breathing-powered protection suit
KR200486158Y1 (ko) 2017-06-13 2018-04-09 원영현 기밀성이 우수한 방진복
KR101840600B1 (ko) * 2017-06-29 2018-03-20 이재일 작업복
KR101894862B1 (ko) * 2018-03-15 2018-09-04 원영현 통풍수단이 구비된 야간작업이 용이한 방진복
KR20200044496A (ko) *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트윈 공기 순환 방진복
JP2020153050A (ja) * 2019-03-14 2020-09-24 東洋紡株式会社 冷却服
KR20210032114A (ko) * 2019-09-16 2021-03-24 엠텍에스티에스 주식회사 냉기채널을 구비한 방호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4504B2 (ja) 空調衣服
CN109563843B (zh) 送风装置和能安装该送风装置的衣服
KR100427626B1 (ko) 방진복
JP3199143U (ja) 衣服下送風装置
WO1997007856A1 (en) Surgical helmet
JP2017101354A (ja) 空調服
JP2015212447A (ja) 放熱機能付き衣服
JP2017150120A (ja) 衣服
KR102353928B1 (ko) 전기 제어 기반의 에어 순환 방진복
KR19990048106A (ko) 청정실용 방진복
JP2023028830A (ja) ファン用フィルタ及びファン付きウェア
KR102191961B1 (ko) 공기 순환 방진복
JP3221448U (ja) 冷却ズボン
KR102484434B1 (ko) 공기순환기능을 가진 보호복
JPH03193903A (ja) クリーンルーム用空気吸引式防塵フードシステム
KR101720787B1 (ko) 순환 및 분리구조를 갖는 냉각장치가 구비된 개인 휴대용 냉방조끼
JP2019090128A (ja) リュックサック型の人体用送風装置
JP7122150B2 (ja) プッシュプル型換気装置用プッシュユニットおよびプッシュプル型換気装置
JP2018135614A (ja) 人体用送風装置
JP2022115685A (ja) 送風手段
KR20220007943A (ko) 송풍유닛을 포함하는 방호복
JP3238307U (ja) 空調衣服
KR20240079725A (ko) 착용형 냉각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020082617A (ko) 방진복 세트
KR20210050985A (ko) 세탁이 가능한 냉풍조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