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856B1 -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부터 성형된 배관 부재 및 탱크로부터 선택된 제품 - Google Patents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부터 성형된 배관 부재 및 탱크로부터 선택된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856B1
KR102353856B1 KR1020167026235A KR20167026235A KR102353856B1 KR 102353856 B1 KR102353856 B1 KR 102353856B1 KR 1020167026235 A KR1020167026235 A KR 1020167026235A KR 20167026235 A KR20167026235 A KR 20167026235A KR 102353856 B1 KR102353856 B1 KR 102353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ylene
resin composition
mfr
based resin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6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0641A (ko
Inventor
히데히로 고로기
치사토 나카조노
슌지 쇼다
šœ지 쇼다
가즈유키 다카키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유키자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유키자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유키자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0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8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8Applications used for pip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약품성, 강도, 내충격성, 내열성이 우수한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과 그 성형품, 특히 배관 부재 및 탱크로부터 선택된 제품을 제공한다. (A) JIS K 7210에 준거하여 측정한 멜트 플로우 레이트 (MFR)가 0.01 내지 2.00 g/10분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 (Mw)이 250,000 내지 1,500,000인 프로필렌 중합체 80 내지 99 질량부와, (B) MFR이 5.00 g/10분 이하의 값 (0.00 g/10분은 포함하지 않는다.)이고, Mw가 10,000 내지 1,000,000이며, JIS K 7112에 준거하여 측정한 밀도가 0.85 내지 0.95 g/㎤이고, JIS K 6253에 준거하여 측정한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한 경도 측정값 (쇼어 A)이 10 내지 80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또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 종류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 내지 20 질량부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약품성, 내충격성이 우수한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Description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부터 성형된 배관 부재 및 탱크로부터 선택된 제품 {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PRODUCT SELECTED FROM TANK AND PIPING MATERIAL MOLDED FROM PROPYLEN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파이프, 플레이트, 이음부, 플랜지, 밸브, 노즐 등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부터 성형된 성형품, 특히 배관 부재 및 탱크로부터 선택된 제품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산화성의 약액, 특히 불산을 포함한 약액에 대한 내약품성, 강도, 내충격성, 내열성이 우수한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부터 성형된 성형품, 특히 배관 부재 및 탱크로부터 선택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스테인리스 제조 공정에서는 압연, 소둔, 코팅, 도금 등의 공정에 들어가기 전에, 지금까지의 공정에서 생긴 녹이나 스케일을 없앨 필요가 있어서, 강 스트립을 산 용액이 들어있는 탱크에 통과시켜 산세를 실시한다. 산 용액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산, 황산, 초산(硝酸), 불산 (불산은 수용액이 되어, 불화수소산이라고 한다.) 등을 포함하는 약액이 사용되고, 이러한 산세 약액은 고온이 되는 경우도 있다.
종래의 산세 탱크 (산에 의한 세정을 실시하는 탱크)는 산세 탱크의 외형을 이루는 강제 탱크와, 강제 탱크의 내면을 덮는 내열성 및 내산성을 구비한 고무 라이닝재와, 고무 라이닝재의 내면 전체에 깔린 내열성 및 내산성을 구비한 벽돌로 구성되어 있다. 고무 라이닝재는 산성 약액에 의한 강제 탱크의 부식을 방지한다. 벽돌은 산성 약액으로부터 고무 라이닝재 및 강제 탱크에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고, 열에 의해 고무 라이닝재 및 강제 탱크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막아 준다. 이 고무 라이닝 강제 탱크는 충분히 메인터넌스를 실시하면 장기간의 사용도 가능하지만, 사용하는 동안에 벽돌의 기포에 산액이 스며드는 것에 의하여 고무 라이닝재가 열화(劣化)되고, 그 열화 부분으로부터 배어나온 산액이 강제 탱크 본체를 부식시킨다. 또한, 발생한 산 흄 (산성 약액으로부터 발생한 염화수소, 황화수소 등)은 탱크의 외면도 부식시킨다. 또한, 고무 라이닝 강제 탱크의 제작에는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들뿐만 아니라, 수리에도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고, 수리시의 라인의 정지나 비용면 등에 문제가 있었다.
한편, 폴리프로필렌 (PP)은 염가이고, 기계 가공, 절단, 용접이 가능하여 탱크 등의 제작이 용이하며, 또한, 염산, 황산, 질산, 불산 등의 산세 약액에 화학적 내성이 있다는 등의 이유로 인하여, 근년, 종래의 고무 라이닝 강제 탱크로부터 폴리프로필렌제 탱크로 변경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폴리프로필렌제 탱크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에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PP-R),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PP-H), 내염성 그레이드 등의 타입이 있는데, 지금까지는 유연성이 우수하고 취성이 적으며 내충격성이 우수한 랜덤 타입 (PP-R)이 내산성이 우수하다고 여겨져 왔다 (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폴리프로필렌은 여러 가지의 산에 대하여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초산 등의 산화성 약액에 대하여는 표면의 라메라 결정 사이를 연결하는 타이 분자의 절단에 의하여 분자량의 저하가 일어난다. 이것이 표면 크레이즈를 형성하여 크랙으로 변화하는데, 종래의 호모폴리머 타입의 폴리프로필렌 (PP-H)이나 랜덤 폴리머 타입의 폴리프로필렌 (PP-R)에서는 강한 소성 구속에 의한 응력 집중이 재료의 취성화를 초래하여, 표면 크레이즈에 의한 성형품의 파손이 일어나기 쉬웠다.
또한, 최근 비용 삭감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스테인리스 제조시의 산세 효율 향상을 목적으로 산세 약액의 고농도화 및 고온도화가 진행되고 있는데, 폴리프로필렌을 산화 열화시키는 초산을 포함한 산세 약액에서의 사용에 있어서는, 종래의 폴리프로필렌으로는 내약품성에 문제가 생기고 있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특이적인 사용 조건하에서의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내구성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탱크뿐만이 아니라 그 주변의 배관 부재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특개2011-236458호
비특허 문헌 1: Iron & Steel Technology December 2009 Vol. 6, No.12, "Old Pickling Lines Get New Life With Plastic Tanks"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이 가진 결점을 극복하고, 내약품성, 강도, 내충격성, 내열성이 우수한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부터 성형된 성형품, 예를 들면 파이프, 플레이트, 이음부, 플랜지, 밸브, 노즐 등, 특히 배관 부재 및 탱크로부터 선택된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특히, 산세용의 산화성 약액, 특히 불산, 초산 등의 산화성 약액을 포함한 약액에 대하여 높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바람직한 성질을 가진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하던 중에, 폴리프로필렌에 특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적량 분산시킴으로써, 그 엘라스토머 분산 상에서 형성되는 보이드가 변형의 구속의 개방에 의하여 응력 집중을 완화시켜 성형품의 파손을 억제시키는 것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A) JIS K 7210에 준거하여 측정한 멜트 플로우 레이트 (MFR)가 0.01 내지 2.00 g/10분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 (Mw)이 250,000 내지 1,500,000인 프로필렌 중합체 80 내지 99 질량부와, (B) MFR이 5.00 g/10분 이하의 값을 가지고 (0.00 g/10분은 포함하지 않는다.), Mw가 10,000 내지 1,000,000이며, JIS K 7112에 준거하여 측정한 밀도가 0.85 내지 0.95 g/㎤이고, JIS K 6253에 준거하여 측정한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한 경도 측정값 (쇼어 A)이 10 내지 80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또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 내지 20 질량부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것을 제1의 특징으로 하고, 또한 안료를 포함하고, 그 안료의 주성분인 산화티타늄의 함유량이 0 ppm 내지 2000 ppm인 것을 제2의 특징으로 하며, 또한 불산을 포함한 약액과 접하는 환경에서 사용하는 제품의 성형에 사용하는 내약품성, 내충격성이 우수한 상기한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3의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내약품성, 내충격성 제품으로서, 배관 부재 및 탱크로부터 선택된 제품인 것을 제4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제품, 특히, 배관 부재 및 탱크는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종래보다 높은 농도, 높은 온도의 산세 약액에서도 견딜 수 있는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여러 형태로 유리하게 실시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는 이하와 같은 것이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A)의 프로필렌 중합체는 성형품, 특히 배관 부재 및 탱크로부터 선택된 제품으로서의 형상을 유지하고, 양호한 내열성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이 좋고, 그 중에서도 고온시의 강성과 내약품성을 균형 잡히게 만족하기 위해서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PP-B) 또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PP-H)가 좋고, 특히,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가 좋다.
또한, (A)의 프로필렌 중합체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 (이하, MFR이라고 표기한다)는 0.01 내지 2.00 g/10분인 것이 좋고, 0.20 내지 1.00 g/10분인 것이 더 좋다.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의 양호한 생산성을 얻기 위해서는 0.01g/10분 이상이 좋고, 압출 성형에 있어서의 드로다운성을 억제하여 양호한 고온 크리프 특성과 내약 스트레스 크랙성을 얻기 위해서는 2.00 g/10분 이하가 좋다. 혼련에 의하여 MFR은 혼련 전의 재료의 MFR보다 커지기 때문에, 혼련 후의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의 MFR을 0.01 내지 2.00 g/10 분의 범위 내로 하는 동시에, 특히 성형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0.20 내지 1.00 g/10분으로 하는 것이 더 좋다. 또한, MFR은 JIS K7210에 준거하여, 시험 온도 230℃, 시험 하중 2.16 kg의 조건으로 측정한 것이다.
(A)의 프로필렌 중합체의 MFR이 0.01 내지 2.00 g/10분이기 위해서는, 중량 평균 분자량 (이하, Mw라고 표기한다)이 250,000 내지 1,500,000인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일 필요가 있고, 더 좋기로는 MFR이 0.20 내지 1.00 g/10분이기 위해서 Mw가 320,000 내지 780,000일 필요가 있다.
양호한 고온 크리프 특성과 내약 스트레스 크랙성을 얻기 위해서는 250,000 이상이 좋고, 320,000 이상인 것이 더 좋다.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의 양호한 생산성을 얻으려면 1,500,000 이하가 좋고, 더 안정적으로 양호한 생산성을 얻기 위해서는 780,000 이하가 좋다. 혼련에 의하여 Mw는 혼련 전의 재료의 Mw 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혼련 후의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의 Mw를 250,000 내지 1,500,000의 범위 내로 하는 동시에, 특히 성형성 및 내약 스트레스 크랙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320,000 내지 780,000이 더 좋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 (Mw)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GPC) 법으로 측정한 것을 말하며, 이하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장치: 워터즈사제 GPC (ALC/GPC 150C)
검출기: MIRAN 1A (폭스보로사제 IR 검출기)
(측정 파장 3.42 ㎛)
칼럼: 쇼와덴코사제 AD806M/S (3개)
이동상 용매: 오르토 디클로로 벤젠
측정 온도: 140℃
유속: 1.0 ml/분
주입량: 0.2 ml
시료의 조제: 시료는 ODCB (0.5 mg/ml의 BHT를 포함한다)를 사용하여 1 mg /ml의 용액을 조제하고, 140℃에서 약 1시간 동안 용해시킨다.
분자량의 산출: 표준 폴리스티렌법
유지 용량으로부터 분자량으로의 환산은 미리 작성해둔 표준 폴리스티렌에 의한 검량선을 사용하여 환산한다. 사용하는 표준 폴리스티렌은 모두 도소(주)제의 이하의 제품이다. F380, F288, F128, F80, F40, F20, F10, F4, F1, A5000, A2500, A1000.
각각 0.5 mg/mL가 되도록 ODCB (0.5 mg/mL의 BHT를 포함한다)에 용해한 용액을 0.2 mL 주입하여 교정곡선을 작성한다. 교정곡선은 최소이승법으로 근사하여 얻어지는 삼차식을 사용한다.
분자량으로의 환산에 사용하는 점도 식 [η]=K×Mα는 이하의 수치를 사용한다.
PS: K=1.38×10-4, α=0.7
PP: K=1.03×10-4, α=0.78
본 발명의 프로필렌 수지에 있어서의 (B)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내약 스트레스 크랙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배합되지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MFR는 5.00 g/10분 이하의 값을 가질 필요가 있고, 5.00 g/10분 이하이면, 산화성 약액에 의한 분자 사슬 절단에 의한 열화가 일어나기 어려워지는 동시에, 혼련 후의 MFR의 상승이 억제됨으로써, 양호한 성형성, 고온 크리프 특성, 내약 스트레스 크랙성을 얻을 수 있다. MFR의 값은 양호한 성형성을 얻으려면, 0.00 g/10분보다 클 필요가 있으므로, 0.00 g/10분은 포함하지 않는다. MFR이 5.00 g/10분 이하의 값을 가지기 위해서는 Mw가 10,000 이상이고, 1,000,000 이하의 올레핀계 또는 스티렌계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 종류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일 필요가 있다. 양호한 고온 크리프 특성과 내약 스트레스 크랙성을 얻기 위해서는 Mw가 10,000 이상일 필요가 있다. 양호한 성형성을 얻기 위해서는 Mw가 1,000,000 이하일 필요가 있다.
또한, (B)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밀도는 0.85 내지 0.95 g/㎤일 필요가 있다. 양호한 고온 크리프 특성을 얻기 위해서 0.85 g/㎤ 이상일 필요가 있고, 취성화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0.95 g/㎤ 이하일 필요가 있다. 폴리프로필렌 성형품이 약액에 의해서 산화 열화하면, 연신 특성이 저하하여 취성화함으로써 성형품이 파손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변형의 구속의 개방에 의해 응력 집중을 완화시킴으로써 취성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밀도가 0.95 g/㎤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또한, 밀도는 JIS K 7112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B)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한 경도 측정값 (쇼어 A)은 10 내지 80일 필요가 있고,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한 경도 측정값 (쇼어 A)이 80 이하이면, 응력 집중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보이드가 충분히 형성되어 취성화하기 어려워져서, 내약 스트레스 크랙성이 좋다.
이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배합량은 1 내지 20 질량부이다.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내약 스트레스 크랙성을 향상시키려면 1 질량부 이상이 좋고, 고온시의 강성을 유지하고, 양호한 장기 고온 크리프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20 질량부 이하가 좋다. 특히, 내약 스트레스 크랙성과 장기 크리프 특성과의 밸런스가 양호하기 때문에 1 내지 18 질량부가 더 좋다. 다만, 프로필렌 중합체에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엘라스토머의 배합량은 20 질량부 이상에서도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올레핀계 또는 스티렌계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 종류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로서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EPM),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공중합체 (EPDM), 에틸렌 부텐 공중합체, 에틸렌 옥텐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과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로서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SE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SEPS, SEEPS) 등과 이 엘라스토머들에 수소 첨가한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MFR이 5.00 g/10분 이하이고 (0.00 g/10분은 포함하지 않는다.), 밀도가 0.85 내지 0.95 g/㎤이며,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한 경도 측정값 (쇼어 A)이 10 내지 80이면 공지의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엘라스토머류는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 종류 이상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안료를 배합하여도 좋지만, 불산을 포함한 약액과 접하는 환경에서 사용하는 경우, 안료의 주성분인 산화티타늄의 함유량이 0 ppm 내지 2000 ppm인 것이 좋다.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인 것을 색으로 식별하기 위하여, 또한, 열에 의한 황변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하기 위하여, 공업적으로는 안료를 배합하여야 하지만, 산화티타늄은 불산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고,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중에 다량의 산화티타늄이 존재하면,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다량의 약액이 침투하여 외면에 스며 나오거나 수지의 열화를 재촉하게 되기 때문에, 0 ppm 내지 2000 ppm 이하가 좋고, 0 ppm 내지 1800 ppm이 더 좋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산화방지제를 배합하여도 좋다. 산화방지제로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인계 산화방지제, 유황계 산화방지제를 배관 부재 및 탱크에의 사용에 적합한 것으로 들 수 있다.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고온 영역에서 효과를 발휘하는데, 예를 들면 압출 성형이나 사출 성형 시의 성형 온도에 의한 산화를 억제하므로 적합하다. 인계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라디컬화를 억제하는 조제로서 작용하므로 적합하다. 유황계 산화방지제는 장기 내열성에 있어서 효과를 발휘하는데, 예를 들면 95℃ 정도의 고온 유체가 장기간 흐르는 배관에 사용하는 데 있어서 산화 열화를 억제하기 때문에 적합하다. 이 페놀계 산화방지제와 유황계 산화방지제와 인계 산화방지제는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지만, 조합함으로써 상승 효과가 발휘되고, 산화 방지 효과와 장기 내열 효과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용출 방지를 위하여 억제한 배합량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A) 프로필렌 중합체 및 (B)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1.00 질량부 배합하는 것이 좋고, 테트라키스[메틸렌 3-(3’,5’-디-t-부틸-4’-히드록시 페닐) 프로피오네이트]메탄 등을 적합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인계 산화방지제는 (A) 프로필렌 중합체 및 (B)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1.00 질량부 배합하는 것이 좋고, 예를 들면 트리스 (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등을 적합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유황계 산화방지제는 (A) 프로필렌 중합체 및 (B)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1.00 질량부 배합하는 것이 좋고, 3,3’-티오디프로피온산디스테아릴 등을 적합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또한, 기타 필요에 따라서, 자외선 흡수제나 광안정제 (힌다드아민계, 벤조에이트계, 벤조페논계 등), 활제 (유동 파라핀 등의 탄화수소계, 스테아린산 등의 지방산, 스테아릴 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계, 스테아린산 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스테아린산칼슘 등의 금속 비누계 등), 항균제 (제올라이트 등의 무기계, 2-(4-티아졸릴)벤즈이미다졸 등의 유기계 등) 등을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하여도 좋다. 그러한 배합량은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조성물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첨가제의 효과가 발휘되는 양을 배합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배합한 후, 용융 혼련한다. 용융 혼련하는 방법에는 특히 제한은 없으며, 단축 압출기나 2축 압출기, 니더 등을 사용함으로써 각 성분이 균일하게 분산된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고, 혼련 후의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의 MFR는 0.01 내지 2.00 g/10분이 좋고, 0.20 내지 1.00 g/10분이 더 좋다.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의 양호한 생산성을 얻으려면 0.01 g/10분 이상이 좋고, 압출 성형에 있어서의 드로다운을 억제하여 양호한 고온 크리프 특성과 내약 스트레스 크랙성을 얻으려면 2.00 g/10분 이하가 좋으며, 특히 성형성이 안정적이고 양호하기 때문에 0.20 내지 1.00 g/10분이 더 좋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배합에 기초한 것으로, 내약품성, 내충격성이 우수한 것이고, 특히, 초산(硝酸) 등의 산화성 약액에 대하여 높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품, 특히 배관 부재란, 파이프, 다층 파이프, 덕트, 이음부, 플랜지, 밸브, 노즐 등이다. 또한, 탱크는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플레이트, 용접봉, 시트 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 방법〕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시험체에 대하여, 그 성능을 이하에 나타내는 시험 방법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1) 멜트 플로우 레이트 측정 시험 (MFR, 단위:g/10분)
JIS K7210에 준거하여, 혼련 후의 수지의 MFR을 시험 온도 230℃, 시험 하중 2.16 kg로 측정하였다.
(2) 인장 시험
JIS K 7162에 준거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한 3 mm 두께 플레이트로부터 덤벨형 소형 시험편 1 BA형을 수지 흐름 방향 (MD) 및 수지 흐름 수직 방향 (TD)으로 절삭 가공에 의해 제작하고, JIS K 7161에 준거하여, 23±1℃의 분위기 중에서 50 mm/분의 시험 속도로 인장시험을 실시하고, 인장 항복 강도 (단위:MPa) 및 인장 탄성율 (단위:MPa)을 측정하였다.
또한, 인장시험에서 시험편이 파단할 때까지의 스트로크를 인장 연신 (단위:mm)으로서 측정하였다.
(3) 노치가 있는 아이조트 충격 시험 (단위:kJ/㎡)
JIS K 7110에 준거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한 3 mm 두께 플레이트로부터 타입 A 노치가 있는 1호 아이조트 충격 시험편을 MD 및 TD로 절삭 가공에 의해 제작하고, 23±1℃의 분위기 중에서 각각 아이조트 충격 강도를 측정하였다.
(4) 내초산성 시험
JIS K 7162에 준거하여, 사출성형에 의해 성형한 3 mm 두께 플레이트로부터 덤벨형의 소형 시험편 1 BA형을 MD 및 TD로 절삭 가공에 의해 제작하고, JIS K 7114에 준거하여, 15%로 조제한 초산 수용액과 함께 직경 10 mm의 PFA제 용기에 넣어 밀봉하였다. 이것을 70℃의 오븐 내에 방치하여 1주간, 2주간, 4주간에 각각 꺼내어, 시험편의 외관 관찰, 중량 변화율 측정 및 인장시험으로 평가를 하였다.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초기 열화로 연신이 저하하고, 더 열화가 진행하면 특히 TD의 인장 강도가 저하하므로, 본 평가의 열화 판단에 대하여는 TD에 있어서, 인장 강도 유지율이 90% 이상인 경우에 열화가 없다고 판단하였다.
(5) 내불산성 시험
JIS K 7162에 준거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한 덤벨형 소형 시험편 1 BA형을, JIS K 7114에 준거하여, 50%로 조제한 불산 수용액과 함께 직경 10 mm의 PFA제 용기에 넣고 밀봉하였다. 이것을 60℃의 오븐 내에 방치하고, 4주간에 꺼내어, 시험편의 관찰 및 중량 변화율 측정을 하였다. 본 평가의 내불산성 합격 기준에 대하여는, 4주간 침지 후의 중량 변화율이 +2.0% 이하인 경우에 있어서, 약액의 침투가 낮으므로 합격이라고 판단하였다.
(6) 밀도 측정 (단위: g/㎤)
JIS K 7112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7) 경도
JIS K 6253의 듀로미터 경도 시험에 준거하여, 타입 A 듀로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때, 타입 A에서는 너무 딱딱해서 측정할 수 없는 것은 100 이상으로 했다.
배합한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부터 시험편을 제작하여, 기계적 물성을 평가하였다. 여기서 본 평가의 합격 조건은, 배관 부재 및 탱크로서 적합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특히, 고온역에서 탱크나 밸브로서 사용하였을 때의 구조물로서의 형상을 유지하려면 TD의 인장 탄성율이 800 MPa 이상이고, 배관 부재 및 탱크로서의 양호한 내충격성을 얻으려면 TD의 아이조트 충격 강도가 20 kJ/㎡ 이상이며, 배관 부재 및 탱크로서 적합하게 사용하려면 TD/MD의 인장 강도비가 65% 이상이고, 또한 고온 유체에서 장기간 사용하기 위해서는 혼련 후의 MFR이 2.00 g/10분 이하이며, 특히, 산세 라인 등의 약액에서 사용할 때의 배관 부재 및 탱크로서 적합하게 사용하려면, 높은 농도, 높은 온도의 약액과 접하는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4주간의 내초산성 시험 후의 TD의 인장 강도 유지율이 90% 이상인 것을 만족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특히 불산을 포함한 약액과 접하는 환경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관 부재 및 탱크로서 사용하였을 때에 외면에 약액이 스며 나오거나 수지의 열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4주간 침지 후의 중량 변화율이 +2.0% 이하인 것을 만족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1〕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MFR 0.5 g/10분) 95 질량부, 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사제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상표:타프텍 N504, MFR 0.1g/10분 이하, 밀도 0.91 g/㎤,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한 경도 측정값 (쇼어 A) 35) 5 질량부를 배합하고, 2축 압출기로 혼련하여 펠릿화하고, 혼련 후의 MFR이 0.37 g/10분이 되는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은 수지 조성물로부터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210℃에서 두께 3.0 mm, 길이 150 mm, 폭 150 mm의 플레이트를 성형한 후, 덤벨형 소형 시험편 1 BA형 및 타입 A 노치가 있는 1호 아이조트 충격 시험편을 수지 흐름 방향 (MD) 및 수지 흐름 수직 방향 (TD)으로 절삭 가공에 의하여 제작하고, 인장시험, 노치가 있는 아이조트 충격시험, 내초산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MFR 0.5 g/10분) 85 질량부, 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사제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상표:타프텍 N504, MFR 0.1g/10분 이하, 밀도 0.91 g/㎤,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한 경도 측정값 (쇼어 A) 35) 15 질량부를 배합하고, 2축 압출기로 혼련하여 펠릿화하며, 혼련 후의 MFR이 0.26g/10분이 되는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은 수지 조성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시험편을 제작하고, 각종 평가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MFR 0.5 g/10분) 85 질량부, 쿠라레사제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상표:세프톤 2005, MFR 0.1g/10분 이하, 밀도 0.89 g/㎤,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한 경도 측정값(쇼어 A) 30) 15 질량부를 배합하고, 2축 압출기로 혼련하여 펠릿화하여, 혼련 후의 MFR이 0.24 g/10분이 되는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은 수지 조성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시험편을 성형하여, 각종 평가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MFR 0.5 g/10분) 85 질량부, 프라임 폴리머 사제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상표:프라임 TPO R110E, MFR 1.5 g/10분 , 밀도 0.89 g/㎤,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한 경도 측정값 (쇼어 A) 78) 15 질량부를 배합하고, 2축 압출기로 혼련하여 펠릿화하고, 혼련 후의 MFR이 0.40 g/10분이 되는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은 수지 조성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시험편을 성형하여, 각종 평가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MFR 0.5 g/10분) 85 질량부, 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사제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상표:타프텍 H1062, MFR 4.5 g/10분 , 밀도 0.89 g/㎤,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한 경도 측정값 (쇼어 A) 67) 15 질량부를 배합하고, 2축 압출기로 혼련하여 펠릿화하고, 혼련 후의 MFR이 0.47g/10분이 되는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은 수지 조성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시험편을 성형하여, 각종 평가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6092042424-pct00001
〔비교예 1〕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MFR 0.5 g/10분) 85 질량부, 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사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상표:타프텍 H1043, MFR 2.0 g/10분 , 밀도 0.97 g/㎤,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한 경도 측정값 (쇼어 A) 100 이상) 15 질량부를 배합하고, 2축 압출기로 혼련하여 펠릿화하여, 혼련 후의 MFR이 0.38g/10분이 되는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은 수지 조성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시험편을 성형하고, 각종 평가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MFR 0.5 g/10분) 85 질량부, 프라임 폴리머 사제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상표:프라임 TPO M142E, MFR 10 g/10분 , 밀도 0.89 g/㎤,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한 경도 측정값 (쇼어 A) 75) 15 질량부를 배합하고, 2축 압출기로 혼련하여 펠릿화하여, 혼련 후의 MFR이 0.44g/10분이 되는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은 수지 조성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시험편을 성형하고, 각종 평가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MFR 0.5 g/10분) 85 질량부, 프라임 폴리머 사제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상표:프라임 TPO E2740, MFR 2.8g/10분 , 밀도 0.90 g/㎤,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한 경도 측정값 (쇼어 A) 100 이상) 15 질량부를 배합하고, 2축 압출기로 혼련하여 펠릿화하여, 혼련 후의 MFR이 0.45 g/10분이 되는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은 수지 조성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시험편을 성형하고, 각종 평가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MFR 0.5 g/10분) 70 질량부, 프라임 폴리머 사제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상표:프라임 TPO R110E, MFR 1.5 g/10분 , 밀도 0.89 g/㎤,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한 경도 측정값 (쇼어 A) 75) 30 질량부를 배합하고, 2축 압출기로 혼련하여 펠릿화하여, 혼련 후의 MFR이 0.11g/10분이 되는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은 수지 조성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시험편을 성형하고, 각종 평가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5〕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MFR 0.5 g/10분) 100 질량부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시험편을 성형하고, 각종 평가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6〕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MFR 0.8 g/10분) 100 질량부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시험편을 성형하고, 각종 평가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7〕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MFR 0.5 g/10분) 100 질량부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시험편을 성형하고, 각종 평가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6092042424-pct00002
〔실시예 6〕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MFR 0.5 g/10분) 90 질량부, 프라임 폴리머 사제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상표:프라임 TPO R110E, MFR 1.5 g/10분 , 밀도 0.89 g/㎤,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한 경도 측정값 (쇼어 A) 78) 10 질량부를 배합하고, 2축 압출기로 혼련하여 펠릿화하여,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은 수지 조성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시험편을 제작하고, 50%로 조제한 불산 수용액과 함께 직경 10 mm의 PFA제 용기에 넣어 밀봉하였다. 이것을 60℃의 오븐 내에 방치하고, 4주간에 꺼내어, 시험편의 중량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MFR 0.5 g/10분) 90 질량부, 프라임 폴리머 사제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상표:프라임 TPO R110E, MFR 1.5 g/10분 , 밀도 0.89 g/㎤,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한 경도 측정값 (쇼어 A) 78) 10 질량부, 그리고 산화티타늄 700 ppm를 포함한 안료를 배합하고, 2축 압출기로 혼련하여 펠릿화하여,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은 수지 조성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시험편을 성형하고,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편의 중량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MFR 0.5 g/10분) 90 질량부, 프라임 폴리머 사제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상표:프라임 TPO R110E, MFR 1.5 g/10분 , 밀도 0.89 g/㎤,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한 경도 측정값 (쇼어 A) 78) 10 질량부, 그리고 산화티타늄 1200 ppm를 포함한 안료를 배합하고, 2축 압출기로 혼련하여 펠릿화하여,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은 수지 조성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시험편을 성형하고,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편의 중량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8〕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MFR 0.5 g/10분) 90 질량부, 프라임 폴리머 사제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상표:프라임 TPO R110E, MFR 1.5 g/10분 , 밀도 0.89 g/㎤,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한 경도 측정값 (쇼어 A) 78) 10 질량부, 그리고 산화티타늄 3000 ppm를 포함한 안료를 배합하고, 2축 압출기로 혼련하여 펠릿화하여,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은 수지 조성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시험편을 성형하고,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편의 중량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6092042424-pct00003
표 1로부터,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에 있어서는, MFR이 0.01 내지 2.00 g/10 분의 프로필렌 중합체 80 내지 99 질량부와, MFR이 5.00 g/10분 이하이고, 밀도가 0.85 내지 0.95 g/㎤이며,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한 경도 측정값 (쇼어 A)이 10 내지 80인 올레핀계 또는 스티렌계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 종류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 내지 20 질량부로 구성되어 있고, 청구항 1의 범위 내이다. 이로부터, 고온역에서 탱크나 밸브로서 사용할 때의 구조물로서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TD의 인장 탄성율 800 MPa 이상이 확보되어 있고, 또한, 내초산성 시험에서의 4주간 침지 후에 TD에 있어서 인장 강도 유지율이 90% 이상이기 때문에, 열화가 적고 내약 스트레스 크랙성이 양호하다. 또한, 혼련 후의 MFR이 2.00 g/10분 이하이기 때문에, 성형성, 고온 크리프 특성, 내약 스트레스 크랙성이 양호하다.
표 2로부터, 비교예 1에 있어서는, 배합되어 있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밀도가 0.97 g/㎤이고,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한 경도 측정값 (쇼어 A)이 100 이상이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밀도 및 경도가 청구항 1의 밀도가 0.85 내지 0.95 g/㎤,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한 경도 측정값 (쇼어 A)이 10 내지 80의 범위보다 너무 크기 때문에, 내초산성 시험에서의 4주간 침지 후에 TD의 인장 강도 유지율이 90% 이하이고, 내약 스트레스 크랙성이 떨어진다.
표 2로부터, 비교예 2에 있어서는, 배합되어 있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MFR이 10 g/10분이고,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MFR이 청구항 1의 5.0 g/10분 이하의 범위보다 너무 크기 때문에, 내초산성 시험에서의 4주간 침지 후에 TD의 인장 강도 유지율이 90% 이하이고, 내약 스트레스 크랙성이 떨어진다.
표 2로부터, 비교예 3에 있어서는, 배합되어 있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한 경도 측정값 (쇼어 A)이 100 이상이고,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경도가 청구항 1의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한 경도 측정값 (쇼어 A)이 10 내지 80의 범위보다 너무 크기 때문에, 내초산성 시험에서의 4주간 침지 후에 TD의 인장 강도 유지율이 90% 이하이고, 내약 스트레스 크랙성이 떨어진다.
표 2로부터, 비교예 4에 있어서는, 배합되어 있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배합량이 30 질량부이고,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배합량이 청구항 1의 1 내지 20 질량부의 범위보다 너무 많기 때문에, 고온역에서 탱크나 밸브로서 사용하였을 때의 구조물로서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인장 탄성율 800 MPa 이상이 확보되어 있지 않아서, 고온시의 강성을 유지할 수 없어서 좋지 않다. 또한, TD/MD의 인장 강도비도 낮고, 수지 흐름 방향 (MD)과 수지 흐름 수직 방향 (TD)과의 강도 차이가 크기 때문에 구조물로서의 성능이 좋지 않고, 또한, 변형이 일어나기 쉽고, 크랙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좋지 않다.
표 2로부터, 비교예 5에 있어서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만으로 구성되어 있고,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양이 청구항 1의 1 내지 20 질량부의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기 때문에, 내약 스트레스 크랙성이 떨어진다.
표 2로부터, 비교예 6에 있어서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만으로 구성되어 있고,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양이 청구항 1의 1 내지 20 질량부의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기 때문에, 내약 스트레스 크랙성이 떨어지고, 또한, TD의 인장 탄성율이 800 MPa 이하이며, 고온시의 강성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좋지 않다.
표 2로부터, 비교예 7에 있어서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만으로 구성되어 있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양이 청구항 1의 1 내지 20 질량부의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기 때문에, 내약 스트레스 크랙성이 떨어진다.
표 3의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에 있어서는, 배합되어 있는 산화티타늄 양은 2000 ppm 이하이다. 4주간 침지 후의 중량 변화율이 +2.0% 이하이고, 불산을 포함한 약액과 접하는 환경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배관 부재 및 탱크로서 사용하였을 때에, 외면에 약액이 스며 나오는 것이나 수지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어 적합하다.
비교예 8에 있어서는, 배합되어 있는 안료 중의 산화티타늄 양은 3000 ppm이다. 4주간 침지 후의 중량 변화율이 +2.0% 이상이고, 불산이 수지 안에 많이 침투하고 있기 때문에, 불산을 포함하는 약액과 접하는 환경에서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배관 부재 및 탱크로서 사용하였을 때에 외면에 약액이 스며 나오거나, 수지의 열화가 일어나기 쉬워지기 때문에 좋지 않다.
이상으로부터, (A) 프로필렌 중합체는 MFR이 0.01 내지 2.0 g/10분 즉 Mw가 250,000 내지 1,500,000이기 때문에 고온시의 양호한 강성과 내약품성을 균형 잡히게 만족할 수 있고, (B)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MFR이 5.00 g/10분 이하의 값을 가지며, Mw가 10,000 내지 1,000,000이고, JIS K 7112에 준거하여 측정한 밀도가 0.85 내지 0.95 g/㎤이며,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한 경도 측정값 (쇼어 A)이 10 내지 80이며, 또한, 그 배합량이 1 내지 20 질량부이기 때문에 양호한 인장 연신 및 인장 탄성율, 내약품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특히, 불산을 포함하는 약액과 접하는 환경에서 사용하는 경우, 산화티타늄의 함유량은 0 ppm 내지 2000 ppm이기 때문에 양호한 내약품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A) 프로필렌 중합체와 (B)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필수 성분으로 한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내약품성, 강도, 내충격성,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산세 약액 라인에서의 배관 부재 및 탱크로서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고온시의 내약품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고무 라이닝 강제 탱크를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제 탱크로 변경하였을 경우, 종래의 폴리프로필렌제 탱크보다 산세 약액을 고농도화, 고온도화할 수 있어서 산세 효율이 향상되므로, 산세 약액 라인에서의 배관 부재 및 탱크로부터 선택된 제품으로서 적합하다.

Claims (4)

  1. (A) JIS K 7210에 준거하여 측정한 멜트 플로우 레이트 (MFR)가 0.01 내지 2.00 g/10분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 (Mw)이 250,000 내지 1,500,000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80 내지 99 질량부와, (B) MFR이 5.00 g/10분 이하의 값을 가지고 (0.00 g/10분은 포함하지 않는다.), Mw가 10,000 내지 1,000,000이며, JIS K 7112에 준거하여 측정한 밀도가 0.85 내지 0.95 g/㎤이고, JIS K 6253에 준거하여 측정한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한 경도 측정값 (쇼어 A)이 10 내지 80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또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 종류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 내지 20 질량부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약품성, 내충격성이 우수한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안료를 포함하고, 그 안료의 주성분인 산화티타늄의 함유량이 0 ppm 내지 2000 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약품성, 내충격성이 우수한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불산을 포함하는 약액과 접하는 환경에서 사용하는 제품의 성형에 사용하는 내약품성, 내충격성이 우수한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내약품성, 내충격성 제품으로서, 배관 부재 및 탱크로부터 선택된 제품.
KR1020167026235A 2014-03-28 2015-03-26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부터 성형된 배관 부재 및 탱크로부터 선택된 제품 KR102353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70196A JP6335583B2 (ja) 2014-03-28 2014-03-28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成形された配管部材及びタンクから選ばれた製品
JPJP-P-2014-070196 2014-03-28
PCT/JP2015/059462 WO2015147205A1 (ja) 2014-03-28 2015-03-26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成形された配管部材及びタンクから選ばれた製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641A KR20160140641A (ko) 2016-12-07
KR102353856B1 true KR102353856B1 (ko) 2022-01-20

Family

ID=54195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235A KR102353856B1 (ko) 2014-03-28 2015-03-26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부터 성형된 배관 부재 및 탱크로부터 선택된 제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35583B2 (ko)
KR (1) KR102353856B1 (ko)
TW (1) TW201542663A (ko)
WO (1) WO201514720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4884A (ja) 2001-03-26 2002-10-03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ィラー、それを含む樹脂組成物およ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1225890A (ja) 2011-06-29 2011-11-10 Mitsui Chemicals Inc 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及びその用途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56234B (it) * 1992-12-23 1995-11-29 Himont Inc Processo per rivestire manufatti metallici con materiali poliolefinici
JP5241111B2 (ja) * 2007-02-16 2013-07-17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成形した配管部材
JP5380864B2 (ja) * 2007-03-23 2014-01-08 東レ株式会社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
JP5778394B2 (ja) 2010-05-07 2015-09-16 日新製鋼株式会社 酸洗設備及び洗設備の停止時処理方法
JP2014051215A (ja) * 2012-09-07 2014-03-20 Fts:Kk 燃料タン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4884A (ja) 2001-03-26 2002-10-03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ィラー、それを含む樹脂組成物およ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1225890A (ja) 2011-06-29 2011-11-10 Mitsui Chemicals Inc 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及びその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89937A (ja) 2015-11-02
JP6335583B2 (ja) 2018-05-30
WO2015147205A1 (ja) 2015-10-01
KR20160140641A (ko) 2016-12-07
TW201542663A (zh) 201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8471B2 (en) 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KR101641451B1 (ko) 살균제 함유 물에 대한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저항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산 제거제의 용도
KR20130052683A (ko) 가요성 재료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물품
JP2018503729A (ja) 改変されたポリプロピレンおよびそのポリマーブレンド
BR112017000729B1 (pt) Composição de copolímeros à base de etileno para tubulações
KR102353856B1 (ko)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부터 성형된 배관 부재 및 탱크로부터 선택된 제품
US20170096551A1 (en) Polyethylene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TW200848458A (en) Propylene-based resin composition and piping member formed by using the same
US20180258265A1 (en) Pipe produced with a 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olefin
JP6686629B2 (ja) 押出成形用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EP3784731B1 (en) Polyethylene compositions with improved environmental stress cracking resistance and methods of use
RU2436815C2 (ru) Полимерный композиционный материал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электролизных ванн
JP2013023647A (ja) ポリ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よりなるチューブ容器
EP3805308A1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AU2014250405B2 (en) Poly-1-butene resin composition
JP7033504B2 (ja) 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含む配管材料、配管及び継手
KR100553636B1 (ko) 1-부텐계 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수배관 설비
RU1792926C (ru) Защитное покрытие дл стекла
Krasnov et al.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different types of thermoplastic elastomer on the properties of highly filled composites
JP4302554B2 (ja) 1−ブテン系重合体組成物からなる水配管設備
RU2599574C1 (ru) Полиэтиленов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наружного слоя покрытий стальных труб
JP2004238570A (ja) 摩擦係数の大きい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滑り止め部材
JP2020152810A (ja) 熱可塑性重合体組成物、繊維及び制振材
JP2013043921A (ja) ポリエチレンパイ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