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895B1 - 컵홀더 - Google Patents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895B1
KR102352895B1 KR1020190176740A KR20190176740A KR102352895B1 KR 102352895 B1 KR102352895 B1 KR 102352895B1 KR 1020190176740 A KR1020190176740 A KR 1020190176740A KR 20190176740 A KR20190176740 A KR 20190176740A KR 102352895 B1 KR102352895 B1 KR 102352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p
coupling
pair
cup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3937A (ko
Inventor
김상원
최설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벡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벡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벡터
Priority to KR1020190176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895B1/ko
Publication of KR20210083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는 컵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공간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개구홀이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에 힌지 결합되는 플립과, 상기 플립이 상기 바디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컵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플립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플립은 상기 바디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컵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공간의 내외부로 인입출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쪽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바디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플립의 한 쌍의 힌지축에 각각 권선된 한 쌍의 코일부와, 상기 각 코일부의 일측 끝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한 쌍의 바디 결합부와, 상기 각 코일부의 타측 끝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플립의 지지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플립 결합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를 이용하면, 플립과 탄성체를 일체로 한번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사용시 플립이 균형감 있게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컵홀더{Cup holder}
본 발명은 컵이 흔들리지 않게 수납될 수 있는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7086호(등록일자;2008년06월03일)에는 '자동차용 컵홀더'가 개시되어 있다. 이 선행특허를 살펴보면, 컵홀더 하우징의 내부에 컵수용부가 형성되고, 컵수용부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는 지지부재가 제1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부가 컵수용부의 외측부에 형성되며, 컵수용부의 외부로 인출된 지지부를 자체탄성력에 의해 컵수용부에 인입시켜 음료용기를 잡아줄 수 있도록 하는 비틀림스프링이 지지부와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음료용기 등을 그 크기 및 형상에 관계없이 인입시킬 수 있고, 특히 인입된 상태의 음료용기를 어떠한 간섭 내지 걸림없이 부드럽게 분리해낼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컵홀더는 구성요소 간 결합 구조가 복잡하면 제조 공정은 물론 수작업으로 하는 조립 공정 또한 쉽지 않고, 조립 후 탈거가 불가능하여 보수 등이 어려울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컵홀더는 컵이 흔들리지 않도록 컵을 균형감 있게 안정적으로 견실하게 지지할 수 있어야 하는 방안이 절실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7086호(등록일자;2008년06월03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이 용이하고 아울러 탈거하여 보수 등이 가능하며, 컵이 흔들리지 않도록 균형감 있게 안정적으로 견실하게 지지할 수 있는 컵홀더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는 컵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공간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개구홀이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에 힌지 결합되는 플립과, 상기 플립이 상기 바디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컵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플립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플립은 상기 바디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컵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공간의 내외부로 인입출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쪽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바디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플립의 한 쌍의 힌지축에 각각 권선된 한 쌍의 코일부와, 상기 각 코일부의 일측 끝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한 쌍의 바디 결합부와, 상기 각 코일부의 타측 끝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플립의 지지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플립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의 개구부 상측에는 상기 바디의 수납공간 바깥쪽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립의 힌지축과 힌지 결합되는 플립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바디의 플립 결합부는 상기 플립의 힌지축이 회전 가능토록 삽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상기 바디의 개구부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의 수납공간의 내외방향으로 개구된 축 결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축 결합공간에 결합된 플립의 힌지축 상측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내외방향에 대하여 외벽으로부터 상기 축 결합공간을 향해 돌출된 돌출턱이 형성되며; 상기 플립의 힌지축에는 그 축 둘레방향에 대하여 일측에, 상기 바디의 수납공간의 내외방향에 대하여 상기 플립의 작동 궤적보다 큰 각도로 회전시 상기 바디의 돌출턱을 상하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바디의 플립 결합부에는 상기 내외방향에 대하여 내벽 안쪽면에 상기 내외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체의 바디 결합부가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의 바디 결합부는 상기 플립의 힌지축과 상기 바디의 플립 결합부 내부 사이에 상하 설치되는 상측 직선부와, 상기 바디의 걸림턱 상측에 걸어질 수 있도록 상기 상측 직선부의 끝단에서 상기 바디의 걸림턱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바디의 걸림턱 상측에 걸어지는 상측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플립의 지지부 외측면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기 탄성체의 한 쌍의 플립 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립의 지지부 하측단에는 상기 내외방향으로 상기 바디의 외측면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돌기가 상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는 플립과 탄성체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한번에 바디에 조립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며, 탄성체가 플립 양쪽을 균형감 있게 탄성 지지하여 사용시 플립이 안정적이면서 견실하게 작동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의 플립 측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의 플립과 바디의 힌지 결합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의 탄성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의 조립 전 상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의 조립 과정 중 상태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는, 바디(10)와, 플립(20)과, 탄성체(30)를 포함한다.
바디(10)는 컵이나 음료용기 등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수납공간(10a)이 형성된다. 바디(10)의 수납공간(10a)은 바디(10) 크기나 형상 등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바디(10)의 수납공간(10a)을 형성하는 둘레벽에는 바디(10)의 수납공간(10a)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내외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10b)가 형성된다. 상기 바디(10)의 개구부(10b)는 상기 바디(10)의 하나의 수납공간(10a)의 둘레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즉 하나 또는 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바디(10)의 개구부(10b)는 상측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바디(10)의 개구부(10b) 상측에는 바디(10)의 수납공간(10a) 바깥쪽에 돌출 형성되어 플립(20)의 힌지축(24)과 힌지 결합되는 플립 결합부(12)가 구비된다. 바디(10)의 플립 결합부(12)는 플립(20)의 힌지축(24)이 회전 가능토록 삽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바디(10)의 개구부(10b)에 대응하여 상기 내외방향으로 개구된 축 결합공간이 형성된다. 바디(10)의 플립 결합부(12)의 개구부는 상기 내외방향으로 플립(20)의 지지부(22) 인입출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이러한 바디(10)의 플립 결합부(12)는 상기 내외방향으로 이격된 외벽(12a) 및 내벽(12b)과,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 플립(20)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한 쌍의 측벽(12c,12d)과, 플립(20)의 힌지축(24) 아래에서 받치는 받침대(12e,12f)로 구성되어,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10)의 플립 결합부(12)의 외벽(12a)은 바디(10)의 플립 결합부(12)의 개구부를 중심으로 두부분으로 나뉘어지며, 각 부분의 안쪽면에 플립(20)의 힌지축(24)이 상하방향으로 걸림될 수 있도록 돌출된 돌출턱(14)이 형성된다. 바디(10)의 돌출턱(14)은 바디(10)의 플립 결합부(12)의 축 결합공간에 힌지 결합된 플립(20)의 힌지축(24) 상측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내외방향에 대하여 바디(10)의 플랩 결합부의 외벽(12a)으로부터 상기 축 결합공간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바디(10)의 돌출턱(14)에 의하여 플립(20)이 바디(10)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디(10)의 돌출턱(14)은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10)의 플립 결합부(12)의 내벽(12b) 안쪽면에는 상기 내외방향으로 돌출되어 탄성체(30)의 바디 결합부(34)가 걸림되는 걸림턱(16)이 형성된다. 바디(10)의 걸림턱(16)은 사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10)의 걸림턱(16)은 상기 둘레방향에 대하여 바디(10)의 플립 결합부(12)의 내벽(12b) 가운데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바디(10)의 걸림턱(16)은 대략 바디(10)의 개구부(10b) 바로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바디(10)의 플립 결합부(12)의 한 쌍의 측벽(12c,12d)은 플립(20)의 한 쌍의 힌지축(24) 사이 길이에 대응하여 이격된다. 바디(10)의 플립 결합부(12)의 받침대(12e,12f)는 플립(20)의 힌지축(24)을 회전 가능토록 받칠 수 있도록 그 상면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바디(10)의 걸림턱(16) 둘레면에는 탄성체(30)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플립(20)은 지지부(22)와 힌지축(24)으로 구성되어, 바디(10)의 개구 부(10b)를 통해 상기 내외방향으로 인입출 가능토록 바디(10)에 힌지 결합된다.
플립(20)의 지지부(22)는 탄성체(30)의 탄성력에 의해 바디(10)의 수납공간(10a)에 수납된 컵에 밀착될 수 있도록 바디(10)의 개구부(10b)를 통해 수납공간(10a)의 내외부로 인입출된다. 특히 플립(20)의 지지부(22)는 상기 내외방향에 대하여 내측면(22a)이, 바디(10)의 수납공간(10a)을 향해 볼록하다. 즉 플립(20)의 지지부(22) 내측면(22a)은 적어도 상하방향에 대하여 가운데 부분 측이 곡면인 형태이며, 상,하부측이 각각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형태이다. 따라서 컵을 바디(10)의 수납공간(10a)에 넣거나 뺄 때, 플립(20)의 지지부(22)가 컵과 부드럽게 마찰되면서 상기 내외방향으로 인입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20)의 지지부(22) 외측면(22b)은 플립(20)이 탄성체(30)와 함께 바디(10)에 조립된 후 외력이 없는 상태일 때(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때 플립(20)의 작동 궤적을 '기준점'이라 한다), 상측부가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고, 하측부가 상기 내외방향에 대하여 내측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 한편 플립(20)의 지지부(22) 외측면(22b) 하측단에는 상기 내외방향으로 바디(10)의 외측면에 걸릴 수 있도록 작은 크기의 걸림돌기(26)가 상하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플립(20)이 상기 내외방향으로 플립(20)의 작동 궤적의 기준점보다 바디(10)의 수납공간(10a) 내측으로 더이상 이동되지 않고 멈출 수 있다.
플립(20)의 힌지축(24)은 상기 둘레방향에 대하여 플립(20)의 지지부(22) 양쪽에 각각 하나씩 구성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플립(20)의 힌지축(24)은 상하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토록 플립(20)의 지지부(22)와 일체로 구성된다. 플립(20)의 힌지축(24)은 플립(20)의 지지부(22) 상측단에 구성되며, 또한 상기 내외방향에 대하여 플립(20)의 지지부(22) 외측면 측에 구성되어 바디(10)의 플립 결합부(12)에 용이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플립(20)의 힌지축(24) 외측면에는 상술한 바디(10)의 돌출턱(14)이 상하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홀(24a)이 형성된다. 특히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20)의 힌지축(24) 관통홀(24a)은 그 축 둘레방향에 대하여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내외방향에 대하여 외측방향으로 컵의 수납에 따른 플립(20)의 작동 궤적보다 큰 각도로 회전시(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조립점'이라 한다) 바디(10)의 돌출턱(14)을 상하 관통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조립 또는 탈거시에는 플립(20)의 조립/탈거 자세를 상술한 조립점에 대응하여 배치하면 플립(20)의 힌지축(24)이 바디(10)의 돌출턱(14)에 걸리지 않고 조립되거나 탈거될 수 있고, 플립(20)의 작동 궤적 범위 내에서는 플립(20)의 힌지축(24) 중 관통홀(24a)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바디(10)의 돌출턱(14)에 접촉되어 플립(20)의 힌지축(24)이 바디(10)의 돌출턱(14)에 걸려 이탈 방지될 수 있다.
탄성체(30)는 플립(20)이 바디(10)의 수납공간(10a)에 수납된 컵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내외방향으로 플립(20)을 탄성 지지한다. 이러한 탄성체(30)는 코일부(32)와, 바디 결합부(34)와, 플립 결합부(36)를 포함하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체(30)의 코일부(32)는 플립(20)의 한 쌍의 힌지축(24) 외측에 각각 권선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탄성체(30)의 바디 결합부(34)는 탄성체(30)의 각 코일부(32)의 일측 끝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바디(10)에 결합되는 것으로,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탄성체(30)의 바디 결합부(34)는 탄성체(30)의 코일부(32) 양쪽 끝단 중 바깥쪽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바디(10)의 걸림턱(16)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탄성체(30)의 바디 결합부(34)는 탄성체(30)의 코일부(32)로부터 연장되어 상하 설치되는 상측 직선부(34a)와, 바디(10)의 걸림턱(16) 상측에 걸어질 수 있도록 상측 직선부(34a)의 끝단에서 바디(10)의 걸림턱(16)을 향해 절곡되어 바디(10)의 걸림턱(16) 상측에 걸어지는 상측 절곡부(34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탄성체(30)의 바디 결합부(34)는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30)의 바디 결합부(34)의 상측 직선부(34a)는 바디(10)의 플립 결합부(12) 내벽(12b)에 밀착되어 바디(10)의 걸림턱(16)에 가깝게 설치되도록 플립(20)의 힌지축(24)과 바디(10)의 플립 결합부(12) 내부 사이로 설치될 수 있다.
탄성체(30)의 플립 결합부(36)는 탄성체(30)의 각 코일부(32)의 타측 끝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플립(20)의 지지부(22)에 결합되는 것으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체(30)의 플립 결합부(36)는 상하로 길게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30)의 한 쌍의 플립 결합부(12)는 연결부(38)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고 플립(20)의 지지부(22)를 탄성력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탄성체(30)의 연결부(38)는 플립(20)의 지지부(22) 외측면(22b)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탄성체(30)의 플립 결합부(36)의 하측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는 다음과 같이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30)의 코일부(32)를 플립(20)의 힌지축(24)에 끼우고, 탄성체(30)의 연결부(38)를 플립(20)의 지지부(22)의 외측면에 걸친다. 플립(20)의 지지부(22)가 상하방향에 대하여 위로 회동된 상태인 '조립점'자세로 탄성체(30)와 결합된 플립(20)을 놓고, 바디(10)의 플립 결합부(12) 상측에서 플립(20)의 힌지축(24)을 바디(10)의 플립 결합부(12)에 끼운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20)의 힌지축(24) 관통홀(24a)을 바디(10)의 돌출턱(14)이 관통되기 때문에 플립(20)의 힌지축(24)이 바디(10)의 돌출턱(14)에 걸리지 않고 바디(10)의 플립 결합부(12) 받침대(12e,12f)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체(30)의 바디 결합부(34)가 탄성력에 의해 바디(10)의 걸림턱(16)에 밀착되고, 탄성체(30)의 바디 결합부(34)의 상측 절곡부(34b)가 바디(10)의 걸림턱(16) 상측에 걸어짐으로써 탄성체(30)와 바디(10)와 결합될 수 있다. 다음 잡고 있던 플립(20)의 지지부(22)를 놓으면, 탄성체(30)의 탄성력에 의해 플립(20)의 작동 궤적의 기준점으로 플립(20)이 회전하여 플립(20)의 지지부(22)가 바디(10)의 개구부(10b)를 복개하면서 상하 수직하게 설치된다. 이처럼 플립(20)과 탄성체(30)가 한번에 일체로 용이하게 바디(10)에 조립될 수 있다.
한편 플립(20) 탈거시에는 플립(20)의 작동 궤적 조립점 자세로 플립(20)의 지지부(22)를 상측으로 들어올린 후, 상측으로 빼내면 쉽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에 대한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컵 수납 전에는 플립(20)의 작동 궤적의 기준점 자세로 플립(20)의 지지부(22)가 상하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이다. 컵을 바디(10)의 수납공간(10a)에 넣으면, 컵이 플립(20)의 지지부(22)를 밀어내면서 수납된다. 이때 컵이 플립(20)의 지지부(22)를 밀어내면, 플립(20)의 지지부(22)가 플립(20)의 힌지축(24)을 중심으로 상기 내외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 회동되는데, 플립(20)의 지지부(22)에 탄성체(30)에 의한 탄성 저항이 작용하기 때문에 플립(20)의 지지부(22)가 탄성력에 의해 컵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어 컵이 흔들리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탄성체(30)가 플립(20)의 지지부(22)를 양쪽에서 균형감 있게 탄성 지지하기 때문에 플립(20)이 안정적이면서 견실하게 작동될 수 있다.
한편 플립(20)의 작동 궤적은 상기 내외방향으로 플립(20)의 지지부(22)의 내측면 가운데 부분이 바디(10)의 수납공간(10a) 둘레면에 도달할 때까지로서, 본 발명의 컵 홀더 사용시에는 플립(20)의 작동 궤적의 기준점을 기준으로 플립(20)의 작동 궤적이 플립(20)의 작동 궤적의 조립점까지는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플립(20)의 힌지축(24)이 항상 바디(10)의 돌출턱(14)에 걸릴 수 있어 플립(2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컵을 탈거하면, 탄성체(30)의 복원력에 의해 플립(20)의 지지부(22)가 바디(10)의 수납공간(10a) 안쪽으로 회동하여 플립(20)이 플립(20)의 작동궤적의 기준점 자세로 복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바디 12; 바디의 플립 결합부
14; 돌출턱 16; 걸림턱
20; 플립 22; 지지부
24; 힌지축 26; 걸림돌기
30; 탄성체 32; 코일부
34; 탄성체의 바디 결합부 36; 탄성체의 플립 결합부
38; 연결부

Claims (5)

  1. 컵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내외부로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공간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개구홀이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에 힌지 결합되는 플립과, 상기 플립이 상기 바디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컵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플립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플립은 상기 바디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컵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공간의 내외부로 인입출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쪽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바디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플립의 한 쌍의 힌지축에 각각 권선된 한 쌍의 코일부와,
    상기 각 코일부의 일측 끝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한 쌍의 바디 결합부와,
    상기 각 코일부의 타측 끝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플립의 지지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플립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의 개구부 상측에는 상기 바디의 수납공간 바깥쪽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립의 힌지축과 힌지 결합되는 플립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바디의 플립 결합부는 상기 플립의 힌지축이 회전 가능토록 삽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상기 바디의 개구부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의 수납공간의 내외방향으로 개구된 축 결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축 결합공간에 결합된 플립의 힌지축 상측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내외방향에 대하여 외벽으로부터 상기 축 결합공간을 향해 돌출된 돌출턱이 형성되며;
    상기 플립의 힌지축에는 그 축 둘레방향에 대하여 일측에, 상기 바디의 수납공간의 내외방향에 대하여 상기 플립의 작동 궤적보다 큰 각도로 회전시 상기 바디의 돌출턱을 상하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플립 결합부에는 상기 내외방향에 대하여 내벽 안쪽면에 상기 내외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체의 바디 결합부가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의 바디 결합부는 상기 플립의 힌지축과 상기 바디의 플립 결합부 내부 사이에 상하 설치되는 상측 직선부와, 상기 바디의 걸림턱 상측에 걸어질 수 있도록 상기 상측 직선부의 끝단에서 상기 바디의 걸림턱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바디의 걸림턱 상측에 걸어지는 상측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플립의 지지부 외측면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기 탄성체의 한 쌍의 플립 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립의 지지부 하측단에는 상기 내외방향으로 상기 바디의 외측면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돌기가 상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KR1020190176740A 2019-12-27 2019-12-27 컵홀더 KR102352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740A KR102352895B1 (ko) 2019-12-27 2019-12-27 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740A KR102352895B1 (ko) 2019-12-27 2019-12-27 컵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937A KR20210083937A (ko) 2021-07-07
KR102352895B1 true KR102352895B1 (ko) 2022-01-18

Family

ID=76862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740A KR102352895B1 (ko) 2019-12-27 2019-12-27 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8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1999A (ja) * 2007-10-24 2009-05-14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 Co Kg ドリンク容器のためのホルダ
JP2009173233A (ja) 2008-01-28 2009-08-06 Nifco Inc 容器保持装置
JP2011255699A (ja) 2010-06-04 2011-12-22 Honda Motor Co Ltd カップホルダ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086B1 (ko) 2007-01-02 2008-06-11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컵홀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1999A (ja) * 2007-10-24 2009-05-14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 Co Kg ドリンク容器のためのホルダ
JP2009173233A (ja) 2008-01-28 2009-08-06 Nifco Inc 容器保持装置
JP2011255699A (ja) 2010-06-04 2011-12-22 Honda Motor Co Ltd カップホルダ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937A (ko)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84764B2 (ja) シャッター付き光コネクタ
US7748679B2 (en) Container securing device
JP2003002172A (ja) ワイパアーム
JP2000047060A (ja) 光導波路用コネクタ
KR102352895B1 (ko) 컵홀더
US4744482A (en) Protection assembly for fueling inlet for motor vehicle
JP6557172B2 (ja) 飲料容器
JP5013166B2 (ja) 容器ホルダ装置
KR102173352B1 (ko) 암레스트용 힌지장치
KR101915713B1 (ko)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JP6634630B2 (ja) 車両用ボードのハンドル装置
EP0677892B1 (fr) Module porte-contact et connecteur le comprenant
KR102102895B1 (ko) 차일드 시트용 앵커 커버 장치
JP4335858B2 (ja) ホルダー
JP3604531B2 (ja) カップホルダー
KR100508054B1 (ko) 맨홀뚜껑 잠금장치
KR200251717Y1 (ko) 감시카메라의 회전지지장치
JP3660719B2 (ja) 軸具
KR102512911B1 (ko) 패드변압기의 케이블박스 잠금장치
JPH10155559A (ja) 机等の回転キャップ付き配線ダクトカバー
US5537280A (en) Tape cassette
US11473350B2 (en) Vehicle hood locking mechanism
JP6961538B2 (ja) 車両用ドアミラー
KR102596915B1 (ko) 도어 힌지 장치
JP5489113B2 (ja) 軸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