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695B1 - 기능성용액 주입모듈 - Google Patents

기능성용액 주입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695B1
KR102351695B1 KR1020210107140A KR20210107140A KR102351695B1 KR 102351695 B1 KR102351695 B1 KR 102351695B1 KR 1020210107140 A KR1020210107140 A KR 1020210107140A KR 20210107140 A KR20210107140 A KR 20210107140A KR 102351695 B1 KR102351695 B1 KR 102351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aling
inj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co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웨트러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웨트러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웨트러스트
Priority to KR1020210107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695B1/ko
Priority to US17/692,096 priority patent/US20230046948A1/en
Priority to JP2022037080A priority patent/JP7366176B2/ja
Priority to TW111126209A priority patent/TWI836512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61M31/002Devices for releasing a drug at a continuous and controlled rate for a prolonged period of ti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6/00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 A61F6/02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for use by males
    • A61F6/04Condoms, sheaths or the like, e.g. combined with devices protecting against conta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6/00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 A61F6/06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for use by females
    • A61F6/065Condom-like devices worn by fema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61M3/0254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 A61M3/0262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manually, e.g. by squeezing a bul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6Packaging for specific medical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4Female reproductive, genital organs
    • A61M2210/1475Vag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61M31/007Injectors for solid bodies, e.g. supposit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게 형성되어 내부에 기능성용액을 수용하며 전단에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후단이 개구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후단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기능성용액을 배출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주입유닛, 적어도 일부가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에 삽입되며, 선택적으로 분리 되어 상기 배출구의 개폐를 조절하는 커버유닛 및 상기 주입유닛 및 상기 커버유닛을 감싸며 상기 주입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절취선이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제1절취선을 따라 분할되어 상기 커버유닛과 함께 상기 주입유닛에서 분리되는 밀봉유닛을 포함하는 기능성용액 주입모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기능성용액 주입모듈{Functional Drug injection module}
본 발명은 기능성용액 주입모듈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기능성용액이 수용된 주입유닛의 밀봉상태를 간단하게 해제함과 동시에 배출구를 개방하여 손쉽게 사용 가능한 기능성용액 주입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에는 다양한 목적으로 인체 내에 다양한 액체를 주입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여성의 성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액을 성기 내에 투여하거나, 피임을 위한 피임약액을 투여하는 경우, 또는 치질, 성병 등의 치료를 위한 약액 투여 및 성교 시의 윤활제 투여 등 그 활용 양태는 매우 다양하다.
이때 인체의 성기 및 항문 등의 내측은 점막이 노출되는 부분으로서, 외부의 자극에 매우 민감하여 점막이 손상되거나 오염되기 쉽다. 따라서, 상기 나열된 여러 액체를 투여하기 위해서는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상기 액체를 수작업으로 직접 투여하는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체내에 액체를 투여할 수 있는 기구가 고안되었다. 이와 같은 액체 투여 기구는 위생 상의 문제 및 세척의 어려움으로 인해 일회성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라 내부에 액체가 미리 수용된 상태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다만, 사용자가 인체 내에 액체를 투여하는 경우 인체 내부로 삽입하여 투입해야 하므로 따라 밀봉상태의 유지가 중요하며, 특히 액체의 누수나 오염의 발생을 최대한 방지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액체를 투입하는 기구에 배출구를 별도의 커버유닛이나 마개 등을 이용해 누수를 방지함과 동시에 추가적은 포장재나 완충재 등을 통해 다시 기구를 밀봉하는 형태로 제작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여러 단계로 액체 주입 기구를 밀봉하는 경우 사용 시 여러 단계에 걸쳐 이를 제거하고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불편함의 해소를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선행기술문헌: 국내공개특허 10-2014-0000418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입유닛을 밀봉하고 있는 포장재인 밀봉유닛 및 이와 별도로 구성되어 배출구를 차단하는 커버유닛을 한번의 동작으로 간단하게 제거하여 주입유닛을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용액 주입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용액 주입모듈은 길게 형성되어 내부에 기능성용액을 수용하며 전단에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후단이 개구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후단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기능성용액을 배출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주입유닛, 적어도 일부가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에 삽입되며, 선택적으로 분리 되어 상기 배출구의 개폐를 조절하는 커버유닛 및 상기 주입유닛 및 상기 커버유닛을 감싸며 상기 주입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절취선이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제1절취선을 따라 분할되어 상기 커버유닛과 함께 상기 주입유닛에서 분리되는 밀봉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밀봉유닛은 일부가 상기 커버유닛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접착되어 상기 커버유닛이 상기 주입유닛에서 분리되는 경우 함께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봉유닛은 상기 주입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주입유닛의 외면을 감싸는 밀봉부 및 상기 밀봉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절취선에 의해 분할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길이방향에 따른 끝단부가 상기 커버유닛과 결합되는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봉유닛은 상기 절개부의 길이방향에 따른 끝단부에서 상기 커버유닛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출구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제2절취선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유닛의 분리 시 함께 절개되는 분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절개부와 일체로 구성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제1절취선 및 상기 제2절취선을 따라 상기 밀봉부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기 밀봉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밀봉부에서 이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주입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주입유닛과의 사이에서 상기 제1절취선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커버유닛에 결합되는 분리보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용액 주입모듈에 의하면 밀봉된 상태의 주입유닛에서 별도의 복잡한 구조 없이 커버유닛을 분리하여 배출구를 개방함과 동시에 밀봉유닛을 절개부를 제거하여 밀봉부를 분리 함으로써 주입유닛의 밀봉상태를 함께 해제해 간단하게 주입유닛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용액 주입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용액 주입모듈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1은 기능성용액 주입모듈에서 밀봉유닛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기능성용액 주입모듈에서 커버유닛이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서 절개부가 제1절취선을 따라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도 5에서 절개부가 밀봉부와 완전히 분리되어 이탈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용액 주입모듈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용액 주입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용액 주입모듈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은 기능성용액 주입모듈에서 밀봉유닛(300)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용액 주입모듈에 대해 살펴보면, 크게 주입유닛(100), 커버유닛(200) 및 밀봉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주입유닛(100)은, 일반적인 주사기 형태로 내부에 기능성용액이 충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기능성용액을 선택적으로 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입유닛(100)은 길게 형성되어 내부에 기능성용액이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가지며, 전단에 상기 기능성용액이 배출되는 배출구(11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주입유닛(100)은 크게 몸체(110)와 피스톤(1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능성용액은 사용자의 체내에 주입되는 액체이며, 일반적으로 윤활제나 청결제 또는 약액 등이 사용되어 인체에 무해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110)는 체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액체를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110)의 전단에는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분사될 수 있도록 배출구(112)가 형성되며, 몸체(110)의 후단은 개구되어 상기 피스톤(120)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몸체(110)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전체적으로 곡선형으로 형성되며, 횡단면은 원형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체내에 삽입 시 사용자의 통증을 유발시키지 않는다. 또한 몸체(110)의 후단은 횡 방향 단면적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되어 피스톤(120)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몸체(110)는 길게 형성되어 전방에 배출구(112)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된 기능성용액이 상기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120)은 몸체(110)의 개구된 후단을 통해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즉 피스톤(120)을 몸체(110) 내부에 삽입시킨 상태로 전방으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몸체(110) 내부에 수용된 상기 기능성용액을 밀어 상기 배출구(112)를 통해 분사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피스톤(120)의 전단에 별도의 실링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가 피스톤(120)의 전방 이동에 따라 실링부재를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120)은 전단부가 상기 몸체(110)의 후단에서 삽입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기능성용액을 가압해 분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입유닛(100)은 상기 몸체(110)와 상기 피스톤(120)이 결합된 주사기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에 형성된 상기 배출구(112)를 통해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기능성용액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유닛(200)은 상기 주입유닛(1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전방의 상기 배출구(112)를 감싸는 구성으로, 일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112) 내부로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유닛(200)은 일부가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돌출된 부분이 상기 배출구(112)의 크기에 대응하며, 선택적으로 삽입 되어 개폐를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유닛(200)은 상기 배출구(112)의 크기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며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돌출 형성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밀봉유닛(300)은 상기 주입유닛(100)과 상기 커버유닛(200)을 함께 감싸며 외부와 차단하여 주입유닛(100)의 오염을 방지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봉유닛(300)은 상기 주입유닛(100) 및 상기 커버유닛(200)을 감싸며, 상기 주입유닛(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절취선(322)이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제1절취선(322)을 따라 분할되어 상기 커버유닛(200)과 함께 상기 주입유닛(100)에서 이탈된다. 이때, 상기 밀봉유닛(30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유닛(20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접착되어 상기 커버유닛(200)이 상기 주입유닛(100)에서 분리되는 경우 해당 부분의 일부가 절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밀봉유닛(300)은 크게 밀봉부(310), 절개부(320), 분리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310)는 상기 주입유닛(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을 포함하여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주입유닛(100)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밀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봉유닛(300)은 투명 또는 불투명 소재로 얇은 비닐이나 랩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주입유닛(100)의 둘레를 따라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밀봉유닛(300)은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상기 절개부(320)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절개부(320)와 함께 상기 주입유닛(100)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상기 절개부(320)는 사기 밀봉부(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절취선(322)에 의해 분할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밀봉부(3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개부(320)는 상기 주입유닛(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부가 상기 커버유닛(20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개부(320)는 상기 밀봉유닛(300)을 상하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테이프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밀봉부(3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외력에 의해 상기 밀봉부(310)와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주입유닛(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감싸는 밀봉유닛(300)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320)는 상기 밀봉부(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밀봉부(310)는 끊어진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320)가 해당 부분에 배치됨으로써 완전한 원통 형태로 상기 주입유닛(100)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절개부(320)는 기 설정된 폭을 가지며 길게 형성되어 폭 방향에 따른 양측이 각각 상기 밀봉부(3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원통형상을 이루며 함께 상기 주입유닛(100)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절개부(320)는 상기 밀봉부(310)와 일체로 구성되되, 경계를 이루는 제1절취선(322)이 형성되어 상기 제1절취선(322)에 의해 상기 밀봉부(310)와 분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절개부(320)는 상기 밀봉부(3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주입유닛(100)을 함께 감싸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제1절취선(322)을 따라 상기 밀봉부(310)와 분리 됨으로써 상기 밀봉부(310)가 상기 주입유닛(100)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절개시킨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320)는 상기 주입유닛(10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길게 배치되어 상기 밀봉부(310)가 상기 주입유닛(100)의 둘레를 감싸는 부분에 함께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320)가 상기 밀봉부(310)에서 분리됨으로써 상기 주입유닛(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부 영역이 제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절개부(320)가 상기 밀봉부(310)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짐으로써 상기 절개부(320)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밀봉부(310)가 완전히 끊어진 원통 형태로 분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절개부(3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끝단부가 상기 커버유닛(200)에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커버유닛(200)을 상기 주입유닛(100)에서 분리시킴과 동시에 해당 부분도 함께 상기 밀봉부(310)에서 분리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쉽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절개부(320)는 상기 커버유닛(20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일단부가 접착되어 상기 커버유닛(200)이 상기 주입유닛(100)에서 분리되는 경우 함께 일부가 절개되며 상기 밀봉부(310)에서 일부만 분리된다.
한편, 상기 분리부(330)는 상기 절개부(320)의 길이방향에 따른 끝단부에서 상기 커버유닛(200)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출구(112)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제2절취선(324)이 형성되어 상기 밀봉부(310)와 경계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리부(330)는 상술한 상기 밀봉부(310)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유닛(200)과 인접한 부분의 끝단부에서 상기 제2절취선(324)을 기준으로 분할되어 상기 커버유닛(200)의 분리 시 함께 상기 제2절취선(324)을 기준으로 절개되어 상기 밀봉부(310)에서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분리부(330)는 상기 밀봉부(310) 및 상기 절개부(32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져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2절개부(320)를 기준으로 분할된다. 이때, 상기 절개부(320)는 일측 끝단부가 상기 분리부(33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절개부(320)를 따라 상기 밀봉부(310)와 분리된 상태에서도 상기 절개부(320)와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부(330)는 상기 절개부(320)와 접착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일체로 구성되어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밀봉유닛(300)은 상기 밀봉부(310), 상기 절개부(320) 및 상기 분리부(330)를 포함하며, 초기 상태에서는 일체로 상호 연결되어 함께 상기 커버유닛(200) 및 상기 주입유닛(100)의 밀봉상태가 유지되도록 감싸고, 상기 분리부(330)와 상기 절개부(320)가 상기 밀봉부(310)로부터 절개 분리됨으로써 밀봉상태를 해제한다.
한편, 상기 절개부(320)는 별도의 분리보조부재(326)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절개부(320)의 내구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상기 밀봉부(310)와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리보조부재(326)는 상기 주입유닛(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주입유닛(100)과 상기 절개부(320) 사이에서 상기 제1절취선(322)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커버유닛(200)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분리보조부재(326)는 별도의 테이프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절개부(320)의 배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절취선(32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절개부(320)의 분리 시 함께 이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분리보조부재(326)는 상기 절개부(320)보다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강한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일단부가 상기 분리부(330) 또는 상기 커버유닛(200)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보조부재(326)는 상기 절개부(320)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대적으로 작을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절개부(320)의 배면에 접합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절개부(320)와 상기 밀봉부(310)가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절개부(320)와 함께 상기 분리보조부재(326)도 함께 분리되어 상기 절개부(320)가 중간에 끊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용액 주입모듈은 상기 주입유닛(100), 상기 커버유닛(200) 및 상기 밀봉유닛(300)을 포함하며, 상기 주입유닛(100)과 상기 커버유닛(200)이 상기 밀봉유닛(300)에 의해 밀봉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절개부(320) 및 상기 분리부(330)를 상기 커버유닛(200)과 동시에 제거 하며 상기 주입유닛(100)의 밀봉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밀봉유닛(300)이 제거되는 상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외력을 사용하여 상기 분리부(330)와 함께 상기 커버유닛(200)을 그립한 상태에서 외력을 가하여 상기 커버유닛(200)을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분리부(330)는 상기 제2절취선(324)을 따라 상기 밀봉부(310)와 분리되며, 상기 분리부(330) 내에 상기 커버유닛(200)이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분리부(330)가 상기 밀봉부(310)에서 제거되는 경우 상기 절개부(320)는 독립적으로 상기 분리부(330)와 연결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분리부(330)를 그립한 채, 상기 절개부(320)를 당기며 상기 제1절취선(322)을 따라 상기 절개부(320)를 상기 밀봉부(310)와 분리 시킨다. 이때, 상기 절개부(320)는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부가 상기 분리부(330)와 연결된 상태이며, 해당 부분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밀봉부(310)와 분리될 수 있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부(310)와 상기 절개부(320)가 완전히 분리됨으로써 상기 주입유닛(100)의 둘레를 따라 감싸는 일부 구간이 제거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밀봉부(310)가 상기 주입유닛(100)에서 간단하게 분리된다.
즉, 상기 밀봉부(310)와 상기 절개부(320)가 일체로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밀봉유닛(300)이 온전한 원통형태로 상기 주입유닛(100)을 감싸고 있어 분리가 어려우나, 상기 절개부(320)가 상기 주입유닛(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며 제거됨으로써 상기 밀봉부(310)를 분리하여 주입유닛(10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용액 주입모듈에서 밀봉유닛(300)이 주입모듈에 밀착함 상태로 밀봉 시켜 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간단하게 밀봉유닛(300)을 제거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주입유닛(100)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주입유닛
110: 몸체
120: 피스톤
200: 커버유닛
300: 밀봉유닛
310: 밀봉부
320: 절개부
330: 분리부

Claims (7)

  1. 길게 형성되어 내부에 기능성용액을 수용하며 전단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후단이 개구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후단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기능성용액을 배출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주입유닛;
    적어도 일부가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에 삽입되며, 선택적으로 분리 되어 상기 배출구의 개폐를 조절하는 커버유닛; 및
    상기 주입유닛 및 상기 커버유닛을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상기 주입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절취선이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제1절취선을 따라 분할되어 상기 커버유닛과 함께 상기 주입유닛에서 분리되는 밀봉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밀봉유닛은,
    상기 주입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주입유닛의 외면을 감싸는 밀봉부, 상기 밀봉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절취선에 의해 분할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길이방향에 따른 끝단부가 상기 커버유닛과 결합되는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의 길이방향에 따른 끝단부에서 상기 커버유닛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출구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제2절취선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유닛의 분리 시 함께 절개되는 분리부를 포함하는 기능성용액 주입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유닛은,
    일부가 상기 커버유닛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접착되어 상기 커버유닛이 상기 주입유닛에서 분리되는 경우 함께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용액 주입모듈.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절개부와 일체로 구성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제1절취선 및 상기 제2절취선을 따라 상기 밀봉부에서 분리되는 기능성용액 주입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밀봉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밀봉부에서 이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기능성용액 주입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주입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주입유닛과의 사이에서 상기 제1절취선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커버유닛에 결합되는 분리보조부재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용액 주입모듈.
KR1020210107140A 2021-08-13 2021-08-13 기능성용액 주입모듈 KR102351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140A KR102351695B1 (ko) 2021-08-13 2021-08-13 기능성용액 주입모듈
US17/692,096 US20230046948A1 (en) 2021-08-13 2022-03-10 Functional drug injection module
JP2022037080A JP7366176B2 (ja) 2021-08-13 2022-03-10 機能性溶液注入モジュール
TW111126209A TWI836512B (zh) 2021-08-13 2022-07-13 功能性藥物注射模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140A KR102351695B1 (ko) 2021-08-13 2021-08-13 기능성용액 주입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695B1 true KR102351695B1 (ko) 2022-01-17

Family

ID=80051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140A KR102351695B1 (ko) 2021-08-13 2021-08-13 기능성용액 주입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46948A1 (ko)
JP (1) JP7366176B2 (ko)
KR (1) KR1023516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722479S (ja) * 2021-04-18 2022-08-16 注入器用筒体
JP1722478S (ja) * 2021-04-18 2022-08-16 注入器用筒体
JP1722480S (ja) * 2021-04-18 2022-08-16 注入器用筒体
USD1008456S1 (en) * 2021-09-17 2023-12-19 Wettrust Co., Ltd. Cylinder for drug injec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418A (ko) * 2012-06-22 2014-01-03 (주) 웨트러스트코리아 이탈되는 실링부재가 구비된 체내 액체 삽입장치
KR20190062738A (ko) * 2017-11-29 2019-06-07 제이에스케이바이오메드 (주) 바늘없는 주사장치 포장재
KR102089261B1 (ko) * 2019-07-23 2020-03-16 김동영 분리 배출이 용이한 페트병의 라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7883A (en) * 1979-04-02 1980-12-09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Needle package and method of treating syringe
ATE203172T1 (de) * 1993-03-02 2001-08-15 Seikagaku Kogyo Co Ltd Eine arznei enthaltende spritze
JP3525213B2 (ja) * 1993-03-02 2004-05-10 生化学工業株式会社 薬液入り注射具
US5765682A (en) * 1994-10-13 1998-06-16 Menlo Care, Inc. Restrictive package for expandable or shape memory medical devices and method of preventing premature change of same
US20080202961A1 (en) * 2007-02-28 2008-08-28 Inviro Medical, Inc. Sterile packaging of medical devices with enhanced tamper evident, transportation, functional and disposal features
IT1393383B1 (it) * 2009-02-09 2012-04-20 Lameplast Spa Cannula per l'erogazione di prodotti fluidi, particolarmente per applicazioni vaginali e rettali
US10159796B2 (en) * 2011-09-30 2018-12-25 Becton Dickinson France, S.A.S. Syringe assembly having a telescoping plunger rod
DE202012104055U1 (de) * 2012-10-22 2012-11-13 Fluoron Gmbh Spritze zur Injektion eines chirurgischen Gas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418A (ko) * 2012-06-22 2014-01-03 (주) 웨트러스트코리아 이탈되는 실링부재가 구비된 체내 액체 삽입장치
KR20190062738A (ko) * 2017-11-29 2019-06-07 제이에스케이바이오메드 (주) 바늘없는 주사장치 포장재
KR102089261B1 (ko) * 2019-07-23 2020-03-16 김동영 분리 배출이 용이한 페트병의 라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66176B2 (ja) 2023-10-20
US20230046948A1 (en) 2023-02-16
JP2023026300A (ja) 2023-02-24
TW202310888A (zh)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1695B1 (ko) 기능성용액 주입모듈
US5213566A (en) Prefilled suppository applicator
ES2230201T3 (es) Jeringa hipodermica con aguja selectivamente retractil.
US6764470B2 (en) Ear plug medication administration device
DK162480B (da) Injektionssproejte
EP4138970B1 (en) A wetting mechanism for a catheter
BRPI0903882A2 (pt) dispositivo aplicador pré-carregado
CN115461111A (zh) 导管
EP2301599B1 (en) Portable ejection and injection device
JP4582391B2 (ja) 携帯用噴射注入具
KR20190009509A (ko) 밀대의 전진 또는 후퇴가 제한되는 구조의 체내 액체 삽입 장치
JP3999489B2 (ja) 注射器
TWI836512B (zh) 功能性藥物注射模組
JP7275425B2 (ja) 薬剤注入器具
KR102405630B1 (ko) 코팅유닛을 포함하는 약물주입모듈, 이의 사용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패키지
JP4964976B2 (ja) 携帯用噴射注入具
WO1997044076A1 (es) Jeringuilla de un solo uso
JP3715379B2 (ja) 医療用穿刺具
KR102483864B1 (ko) 윤활코팅용 커버유닛이 구비된 기능성용액 주입모듈
KR102027792B1 (ko) 질 내 외용제 주입기
CN216725498U (zh) 一种功能性溶液注入配件
JP2005204798A (ja) 携帯用薬液噴射注入具
JPH069673Y2 (ja) 薬剤浣腸器
JP2002085493A (ja) 遺体の肛門用詰物
KR100301679B1 (ko) 약제주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