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792B1 - 질 내 외용제 주입기 - Google Patents

질 내 외용제 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792B1
KR102027792B1 KR1020170158342A KR20170158342A KR102027792B1 KR 102027792 B1 KR102027792 B1 KR 102027792B1 KR 1020170158342 A KR1020170158342 A KR 1020170158342A KR 20170158342 A KR20170158342 A KR 20170158342A KR 102027792 B1 KR102027792 B1 KR 102027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opening
injection
flow path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0284A (ko
Inventor
신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닥터스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닥터스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닥터스킨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158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792B1/ko
Publication of KR20190060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61M3/0245Containers therefor, e.g. with heating means or with storage means for cann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61M3/0254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 A61M3/0262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manually, e.g. by squeezing a bul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0Closure caps or plugs for connectors or open ends of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4Female reproductive, genital organs
    • A61M2210/1475Vagin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외용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튜브 형상의 바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바디로부터 제공되는 외용제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외용제의 유동경로를 제공하는 주입부; 및 상기 주입부의 내벽으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바디로부터 제공된 외용제의 상기 유동경로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질 내 외용제 주입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질 내 외용제 주입기 {INJECTOR FOR INJECTING EXTERNAL PREPARATION INTO VAGINA}
본 발명은 질 내 외용제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생식기관 중 하나인 질(膣)은 방광과 직장사이에 위치하며, 자궁과 외음부를 연결하는 통로이다. 여성의 경우, 요도의 길이가 짧고, 질의 위치가 항문가 가까워 남성에 비해 방광염, 질염 등의 염증성 질환에 노출될 위험성이 높다.
이러한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해서 경구투여약, 주사 및 연고와 같은 외용제 처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약의 복용보다 환부에 직접 외용제를 도포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이때, 외용제의 경우, 연고, 크림, 로션, 액, 겔 등의 여러 제형을 가질 수 있기에 용기에 담겨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외용제가 담기는 용기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4456호(출원일 : 2010.12.28., 공개일 : 2012.07.06.,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에 제시된 바 있다.
여기서, 종래기술은 튜브용기 내 외용제가 저장되어 있으며, 일 측에 위치한 유출구 쪽에 구멍을 뚫어 손이나 면봉과 같은 도구를 사용해 환부에 도포해야 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그러나, 가정에서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목적으로 외용제를 환부에 도포할 경우에, 세균에 의한 2차 감염을 막기 위해 손을 사용하기보다는 면봉을 사용해서 투약해야 하지만, 현 생활에서는 그냥 손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므로, 환부에 또 다른 세균이 감염될 우려가 존재한다.
게다가, 종래기술은 피부 표면에 생긴 질환의 경우에 환부에 외용제를 도포하기 용이할 수 있지만, 여성의 질과 같이 인체 내측에 위치한 환부에는 손이나 면봉을 이용할 경우에 내측 깊숙이 닿기 어려워 환부에 외용제를 도포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여성의 질에 발생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손이나 면봉 같은 별도의 도포 도구 없이 질 내 외용제 주입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 내 외용제 주입기는 외용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튜브 형상의 바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바디로부터 제공되는 외용제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외용제의 유동경로를 제공하는 주입부; 및 상기 주입부의 내벽으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바디로부터 제공된 외용제가 유동하는 상기 유동경로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유출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면서 상기 유동경로의 일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주입부의 중심축 방향에 위치한 상기 개폐부의 단부간의 사이가 연결되어 일체로 사출 성형되되, 상기 개폐부의 단부간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분은 상기 바디에 외력을 가할 경우에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쉽게 찢어지면서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외용제가 유동되도록 상기 개폐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주입부는 질 내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바디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또한, 상기 주입부의 일단은 상기 주입부의 외벽면과 내벽면이 곡면형으로 연결되면서 둥근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바디에 가한 외력을 제거한 경우에 상기 개폐부는 원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주입부의 유동경로를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입부에 탈거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는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첫째, 외용제가 수용된 바디로부터 연장 형성된 주입부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바디로부터 제공되는 외용제가 일단에 위치한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유동 경로를 제공하고, 이러한 주입부의 외측면은 유출구가 위치한 주입부의 일단의 단부부터 바디까지의 외측면이 각진 지점 없이 곡면형을 이루면서도 주입부의 일단은 둥근 형상을 가지기에 연약한 질 내 조직에 상처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질 내부에 직접 외용제를 주입하는 것이 가능 할 수 있다.
둘째, 질 내부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본체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가지는 주입부를 통해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손이나 면봉 같은 별도의 도포도구 없이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외용제를 인체 외표면이 아닌 내측에 위치한 질 내부에 주입하는 것이 용이하며, 손으로 도포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세균에 의한 이차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개폐부가 주입부의 유동경로 상에 위치하여 바디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유동경로를 이용하는 외용제의 흐름에 의해 개방되었다가, 외용제의 주입을 멈추기 위하여 바디에 가하던 외력을 제거하면 개방되었던 개폐부가 원 위치로 복귀되면서 개폐부 단부 간이 맞닿아 유동경로를 차단하기에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된 외용제가 질 내벽을 맞아 질 내 외용제 주입기 내부로 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질 내 외용제 주입기 외부로 유출된 외용제가 재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외용제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 내 외용제 주입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 내 외용제 주입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 내 외용제 주입기의 개폐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 내 외용제 주입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 내 외용제 주입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 내 외용제 주입기의 개폐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 내 외용제 주입기(100)는 바디(110), 주입부(120), 개폐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 내 외용제 주입기(100)는 덮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디(110)는 외용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11A)을 가지는 튜브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때, 외용제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제조된 약제이며, 연고, 크림, 로션, 액, 겔 등의 여러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도3을 참조하여 바디(110)의 형상을 좀 더 면밀히 살펴보면, 바디(110)는 원통형에 가까운 튜브 형상을 가지되, 후술할 주입부(120)와 인접한 일단은 일 지점(P1)에서 주입부(120) 방향(W2)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일 지점(P1)에서 타단방향(W1)으로 갈수록 직경의 변화는 없으나, 바디(110) 양 측면이 이루는 폭이 점차 감소하며, 바디(110)의 양 측면의 내측면은 타단에 이르러 상호 맞닿게 된다.
여기서, 바디(110)의 타단은 내측면이 맞닿아 접착되도록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수용공간(111A)에 수용된 외용제가 바디(110)의 타단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즉, 바디(110)의 타단이 폐쇄됨에 따라 수용공간(111A)에 수용된 외용제는 바디(110)의 일단 방향으로만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접착수단은 바디(110)의 타단에 열을 가하거나 프레스로 압착시켜 내측면이 맞닿아 접착되도록 접착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주입부(12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바디(11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바디(110)로부터 제공되는 외용제가 일단에 위치한 유출구(121H)를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외용제의 유동 경로(122P)를 제공한다.
여기서, 주입부(120)는 질 내 삽입이 용이하도록 바디(110)의 직경(d1)보다 작은 직경(d2)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주입부(120)는 유출구(121H)가 위치한 주입부의 일단(123E)에서 바디(110) 측의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 변화가 없이 일정하다가, 주입부(120)의 타단에서 주입부(120)의 직경(d2)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바디(110)와 연결되는 구간에서 외측면이 곡면을 이루며 부드럽게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주입부(120)는 유출구(121H)가 위치한 일단에서 바디(110) 측의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증가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주입부(120)에서 바디(110)까지 폭 변화가 일어나는 구간의 외측면은 곡면을 이루며 연결될 수 있다.
즉, 유출구(121H)가 위치한 주입부의 일단(123E)의 단부부터 바디(110)까지의 외측면은 각진 지점 없이 곡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주입부(120)에서 바디(110)까지 이어지는 질 내 외용제 주입기(100)의 외측면이 곡면을 이루며 부드럽게 연결됨으로써, 주입부(120)가 질 내 삽입되면서 주입부(120)의 외측면이 질 내벽과 접촉할 경우에 해당 위치에 통증 및 상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주입부의 일단(123E)은 주입부(120)의 외벽면과 내벽면이 곡면형으로 연결되면서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주입부(120)가 질 내 최초 삽입할 경우나, 질 내 삽입 중에 질 내벽과 가장 먼저 접촉하는 주입부의 일단(123E)에 의해 질 내부에 통증 및 상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유동경로(122P)는 바디(110)의 수용공간(111A)과 연통되어, 바디(110)에 내측방향으로 가압하는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 바디(110) 내측 수용공간(111A)에 수용된 외용제가 주입부(120) 측으로 제공되며, 이때 외용제는 유동경로(122P)를 통해 유출구(121H) 방향으로 이동되어, 유출구(121H)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이때, 유동경로(122P)는 후술할 개폐부(130)를 기준으로 제1 유로(122P-1) 및 제2 유로(122P-2)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로(122P-1)는 바디(110)로부터 제공되는 외용제가 개폐부(130)까지 유동할 수 있으며, 이 후, 제2 유로(122P-2)는 개폐부(130)가 개방될 경우에 개폐부(130)를 통과한 외용제가 유출구(121H)까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개폐부(130)는 주입부(120)의 내벽으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바디(110)로부터 제공된 외용제가 유동하는 유동경로(122P)를 개폐한다.
이때, 개폐부(130)는 유출구(121H)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면서 유동경로(122P)의 일 지점에 위치하고, 주입부(120)의 중심축 방향에 위치한 개폐부의 단부(131E)간의 사이가 연결되어 일체로 사출 성형되되, 개폐부의 단부(131E) 간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분은 바디(110)에 외력을 가할 경우에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쉽게 찢어지면서 유출구(121H) 방향으로 외용제가 유동되도록 개폐부의 두께(t2)보다 얇은 두께를 가진다. 여기서, 연결부분(CP)의 두께인 t1은 t1<t2를 만족하는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최초 제조된 질 내 외용제 주입기(100)는 내부에 외용제를 수용한 채 밀폐되어 제조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바디(110)에 외력을 가할 경우에 연결부분(CP)이 뜯어지면서 유동경로(122P)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3을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도3(a)는 최초 제조된 질 내 외용제 주입기(100)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며, 이때, 확대 도시된 주입부(120)의 단면도에서 개폐부(130)는 주입부(120) 내벽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면서 개폐부의 단부(131E)간 사이에 위치한 연결부분(CP)에 의해 주입부(120) 및 연결부분(CP)과 함께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후,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제조된 질 내 외용제 주입기(100)의 바디(110)에 외력을 가할 경우, 연결부분(CP)이 뜯어지면서 개폐부의 단부(131E)간 사이가 벌어지면서 개폐부(130)에 의해 막혀있던 유동경로(122P)가 개방되어 바디(110)로부터 제공된 외용제가 유출구(121H)를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또한, 바디(110)에 가한 외력은 제거한 경우에 개폐부(130)는 도3(a)와 대응되는 위치로 복귀되며, 주입부(120)의 유동경로(122P)를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분(CP)은 찢어진 상태로 개폐부의 단부(131E)에 붙은 채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찢어진 연결부분(CP)은 개폐부(130)가 제자리로 복귀된 경우에 찢어진 연결부분(CP)간에 맞닿게 되면서 개폐부의 단부(131E)간 사이에 외용제가 유출될 수 있는 공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외용제를 질 내 외용제 주입기(100) 외부로 최초 유출하는 것이 아닌 경우에는 바디(110)에 가해진 외력에 의해 바디(110) 수용공간(111A)에 수용된 외용제가 주입부(120)의 유동경로(122P)를 따라 이동하며, 외용제의 흐름에 의해 개폐부의 단부(131E)간 사이가 벌어지며 외용제가 유출구(121H) 방향으로 이동하며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 질 내 외용제 주입기(100)를 이용하여 외용제를 질 내 주입하는 중 유출구(121H)를 통해 유출된 외용제는 질 내벽을 맞고 다시 주입부(120) 방향으로 유입될 수도 있으나, 외용제를 유출시킬 경우에 바디(110)에 외력을 가한 뒤 외력을 바로 제거하게 되면 외용제가 유출된 뒤에 개폐부(130)는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하게 되어 개폐부의 단부(131E)간이 서로 맞닿으며 유동경로(122P)를 폐쇄하며 외부로 유출되었던 외용제가 수용공간(111A)으로 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질 내 외용제 주입기(100)의 외부로 유출된 외용제가 재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수용공간(111A)에 수용되는 외용제가 외부환경으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분(CP)이 찢어진 이후에 바디(110)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 개폐부(130)는 유동경로를 이동하는 외용제의 흐름에 의해 개방되기에, 개폐부(130)가 개방되어 있더라도 유출구(121H) 방향 즉, 외부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유출되는 외용제의 흐름에 의해 질 내 외용제 주입기(100) 외부로 유출된 외용제가 개폐부(130) 내측으로 역류하지 않을 수 있다.
덮개(140)는 주입부(120)에 탈거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유출구(121H)를 개폐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실시예에서 덮개는 주입부(120)와 대응되는 형성을 가지며 주입부(120)에 덮여 씌여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미도시)와 손잡이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유출구(121H)에 인입 가능한 직경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어 유출구(121H)를 개폐하는 마개(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마개는 단부가 주입부의 일단(123E)보다 내측에 인입되어 위치할 경우에, 마개의 외주연이 주입부(120)의 내주연과 맞닿으며 유출구(121H)를 막을 수 있다. 이 경우, 손잡이에 외력을 가하여 유출구(121H)에 인입된 마개를 제거하면 유출구(121H)를 개방할 수 있다.
즉, 덮개(140)는 주입부의 일단(123E)에 위치한 유출구(121H)를 통해 외부환경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질 내 외용제 주입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은, 외용제가 수용된 바디로부터 연장 형성된 주입부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바디로부터 제공되는 외용제가 일단에 위치한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유동 경로를 제공하고, 이러한 주입부의 외측면은 유출구가 위치한 주입부의 일단의 단부부터 바디까지의 외측면이 각진 지점 없이 곡면형을 이루면서도 주입부의 일단은 둥근 형상을 가지기에 연약한 질 내 조직에 상처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질 내부에 직접 외용제를 주입하는 것이 가능한 질 내 외용제 주입기를 제공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질 내 외용제 주입기
110 : 바디
111A : 수용공간
120 : 주입부
121H : 유출구
122P : 유동경로
122P-1 : 제1 유로
122P-2 : 제2 유로
123E : 주입부의 일단
130 : 개폐부
131E : 개폐부의 단부
CP : 연결부분
140 : 덮개

Claims (4)

  1. 질 내 외용제 주입기로서,
    외용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튜브 형상의 바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바디로부터 제공되는 외용제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외용제의 유동경로를 제공하는 주입부; 및
    상기 주입부의 내벽으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바디로부터 제공된 외용제가 유동하는 상기 유동경로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주입부의 유출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면서 상기 유동경로의 일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주입부의 중심축 방향에 위치한 상기 개폐부의 단부간의 사이가 연결되어 일체로 사출 성형되되, 상기 개폐부의 단부간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분은 상기 바디에 외력을 가할 경우에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쉽게 찢어지면서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외용제가 유동되도록 상기 개폐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고,
    상기 주입부는 질 내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바디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주입부의 일단은 상기 주입부의 외벽면과 내벽면이 곡면형으로 연결되면서 둥근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바디에 가한 외력을 제거한 경우에 상기 개폐부는 원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주입부의 유동경로를 폐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 내 외용제 주입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에 탈거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 내 외용제 주입기.
KR1020170158342A 2017-11-24 2017-11-24 질 내 외용제 주입기 KR102027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342A KR102027792B1 (ko) 2017-11-24 2017-11-24 질 내 외용제 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342A KR102027792B1 (ko) 2017-11-24 2017-11-24 질 내 외용제 주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284A KR20190060284A (ko) 2019-06-03
KR102027792B1 true KR102027792B1 (ko) 2019-10-07

Family

ID=66849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342A KR102027792B1 (ko) 2017-11-24 2017-11-24 질 내 외용제 주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7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019Y1 (ko) * 2004-12-10 2005-03-10 권정규 투약용기
JP2013537502A (ja) * 2010-07-26 2013-10-03 ラメプラスト エス.ピー.エー. 流体製品、特に医療品、薬品、及び化粧品の再閉鎖可能な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9504B2 (ja) * 1992-08-24 1996-06-19 株式会社ビーム技研 塗布具
UY36193A (es) * 2014-07-22 2016-02-29 Bayer Animal Health Gmbh Tubo con una punta de aplicació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019Y1 (ko) * 2004-12-10 2005-03-10 권정규 투약용기
JP2013537502A (ja) * 2010-07-26 2013-10-03 ラメプラスト エス.ピー.エー. 流体製品、特に医療品、薬品、及び化粧品の再閉鎖可能な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284A (ko) 201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4351B2 (en) Device and method for artificial insemination
US5330427A (en) Prefilled suppository applicator
US5213566A (en) Prefilled suppository applicator
KR102351695B1 (ko) 기능성용액 주입모듈
KR101771894B1 (ko)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
US7762997B2 (en) Hygienic and therapeutic vaginal cleansing and hydromassaging device
KR200481416Y1 (ko) 체내 액체 투여기
KR102027792B1 (ko) 질 내 외용제 주입기
KR102027788B1 (ko) 질 내 외용제 주입기
JP4582391B2 (ja) 携帯用噴射注入具
US20070100289A1 (en) Methods of applying a substance
US3142297A (en) Syringe device
JP7389308B2 (ja) 薬剤注入器具
JP2020103806A (ja) 薬剤注入器具
JP4964976B2 (ja) 携帯用噴射注入具
US3199512A (en) Valved dilating device for hygienic irrigation
KR102451546B1 (ko) 세정 효과가 향상된 체내 액체 분사기
KR20200106267A (ko) 약물 주입용 안전 캡
KR102466109B1 (ko) 팁 형태 변환이 용이한 주사기
JP2005204798A (ja) 携帯用薬液噴射注入具
KR20180003481A (ko) 체내 액체 투여기
KR20210149792A (ko) 약물 전달 및 관리 장치
JP2005205121A (ja) 携帯用噴射注入具
CN205411910U (zh) 一次性给药弹头
KR200231442Y1 (ko) 약제주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