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894B1 -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 - Google Patents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894B1
KR101771894B1 KR1020150164343A KR20150164343A KR101771894B1 KR 101771894 B1 KR101771894 B1 KR 101771894B1 KR 1020150164343 A KR1020150164343 A KR 1020150164343A KR 20150164343 A KR20150164343 A KR 20150164343A KR 101771894 B1 KR101771894 B1 KR 101771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container
gel
medicament
in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9855A (ko
Inventor
차지현
김선욱
Original Assignee
차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지현 filed Critical 차지현
Priority to KR1020150164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894B1/ko
Priority to PCT/KR2016/009756 priority patent/WO2017090869A1/ko
Publication of KR20170059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젤형 약제가 담긴 튜브용 또는 주사기형의 용기를 일단에 결합하고, 이를 통해 제공되는 젤형 약제를 몸체에 형성된 분출구를 통해 항문 또는 자궁 경부나 질 내부로 분출하되, 분출된 젤형 약제가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따라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항문 또는 자궁 경부나 질 내부에 젤형 약제가 골고루 도포될 수 있도록 하는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Drug Infuser for Internal Diseases}
본 실시예는 항문 또는 자궁 경부나 질 내부에서 발생한 질환의 치료를 위해 젤형 약제를 도포하는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기존에는 항문 내벽에 각종 연고, 크림 등의 젤형 약제를 도포하기 위해서 손가락을 사용하여 왔다. 손가락을 사용하여 항문에 연고, 크림 또는 젤형 약제를 도포할 경우 손가락이 항문에 깊숙하게 닿기 어려울 뿐 아니라 손가락에 이물질이 묻게 된다. 또한, 환자가 바이러스 감염에 노출될 확률이 높고, 환자의 자세를 고정한 상태에서는 작업자의 손가락을 돌리기 어려워서 약제를 모든 방향에 고르게 바르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본 실시예는, 젤형 약제가 담긴 튜브용 또는 주사기형의 용기를 일단에 결합하고, 이를 통해 제공되는 젤형 약제를 몸체에 형성된 분출구를 통해 항문 또는 자궁 경부나 질 내부로 분출하되, 분출된 젤형 약제가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따라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항문 또는 자궁 경부나 질 내부의 전방향에 걸쳐 젤형 약제가 골고루 도포될 수 있도록 하는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는,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에 있어서, 젤형 약제가 담긴 튜브형 또는 주사기형의 용기가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용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젤형 약제를 측방으로 분출하는 주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주입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환자의 인체 내부로 삽입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젤형 약제가 분출되는 분출구;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상기 젤형 약제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가 젤형 약제가 담긴 튜브용 또는 주사기형의 용기를 일단에 결합하고, 이를 통해 제공되는 젤형 약제를 몸체에 형성된 분출구를 통해 항문 또는 자궁 경부나 질 내부로 분출하되, 분출된 젤형 약제가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따라 유동되도록 하는 형태로 구현됨으로써 항문 또는 자궁 경부나 질 내부에 젤형 약제가 골고루 도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에 주사기형의 용기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의 구성 요소를 분해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5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의 결합도이다.
도 6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를 축 방향으로 절개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에 튜브형의 용기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의 암 및 암 조인트를 축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100)는 주입부(110) 및 결합부(120)를 포함한다.
주입부(110)는 젤형 약제를 도포하기 위하여 인체 내부 예컨대, 항문 또는 자궁 경부나 질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110)는 결합부(120)로부터 연장되며 결합부(120)에 결합된 튜브형 또는 주사기형의 용기(이하, 용기로 명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로부터 제공되는 젤형 약제를 측방으로 분출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다.
주입부(110)는 몸체(112), 분출구(114) 및 가이드부(116)로 이루어진다.
몸체(112)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실제 환자의 항문 또는 자궁 경부나 질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몸체(112)는 연성 재질을 채용함으로써 몸체(112)가 항문 또는 자궁 경부나 질 내부에 삽입될 시 항문 또는 자궁 경부나 질 내부의 내벽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통증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몸체(112)는 우레탄 또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을 채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몸체(112)는 몸체(112)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 끝단 중 치료 시 환자의 인체가 위치되는 방향(항문 또는 자궁 경부나 질의 위치 방향)에 대응되는 일단이 라운딩 처리가 됨으로써 몸체(112)가 항문 또는 자궁 경부나 질 내부에 보다 손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분출구(114)는 몸체(112)에 형성된다. 분출구(114)는 몸체(112)의 다양한 위치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개수 또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분출구(114)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몸체(112)에 형성되는 분출구(114)의 위치 및 그 개수에 대하여 특정 위치 및 특정 개수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100)의 경우 사용자가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100)에 결합된 용기에 압력을 가하면 용기에 들어있는 젤형 약제가 분출구(114)를 통해 항문 또는 자궁 경부나 질 내벽에 도포된다. 즉,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100)는 용기로부터 제공되는 젤형 약제를 몸체(112)에 형성된 분출구(114)를 통해 복수의 방향에서 분출함에 따라 항문 또는 자궁 경부나 질 내부에 젤형 약제를 고르게 도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이드부(116)는 몸체(11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분출구(114)로부터 분출된 젤형 약제의 유동 경로를 제공한다. 즉, 가이드부(116)는 분출구(114)로부터 분출된 젤형 약제가 가이드부(116)에 의해 몸체(112)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단순히 항문 또는 자궁 경부나 질 내부의 일부분(=분출구(114)가 형성된 지점)뿐만 아니라 전방향에 걸쳐 젤형 약제가 고르게 도포되도록 한다.
이러한, 가이드부(116)는 몸체(112)의 외주면을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a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100)를 예시하여 가이드부(116)의 제1 형상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가이드부(116)는 몸체(11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일 수 있다.
가이드부(116)는 몸체(112)에 형성된 분출구(114)별로 각각 대응되는 가이드부(116)가 형성되되, 각각의 가이드부(116)는 서로 간 연결되어 몸체(112) 전반에 걸쳐 하나의 유동 경로를 형성한다. 즉,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100)의 경우 각각의 가이드부(116)가 서로 연결되어 몸체(112)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형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가이드부(116)의 구조에 따라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100)의 경우 분출구(114)로부터 분출된 젤형 약제가 몸체(112) 전반에 걸쳐 유동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젤형 약제를 항문 또는 자궁 경부나 질 내부에 보다 고르게 도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이드부(116)의 다른 형상에 대해서는 이후, 제2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결합부(120)는 젤형 약제가 담긴 용기의 결합을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20)에는 용도에 따라 튜브형 또는 주사기형의 용기가 결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부(120)는 젤형 약제가 담긴 용기의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을 구비한다. 예컨대, 결합부(120)는 용기의 입구가 삽입되는 홀을 구비함으로써 용기가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 상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홀의 직경은 용기의 입구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를 갖되, 연성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홀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용기의 입구가 홀 내부로 삽입 가능토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홀은 홀 내부에 용기의 입구가 삽입된 이후에는 압착력에 의해 용기의 입구를 단단히 고정함으로써 용기가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20)는 용기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120)의 형상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100)는 시술 과정에서 항문 또는 자궁 경부나 질 내부에 도포된 젤형 약제가 자칫 항문 또는 질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항문 또는 질 입구에도 젤형 약제를 도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20)는 결합부(120)에 결합되는 용기의 종류(ex: 튜브형의 용기)에 따라 용기의 결합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결합부(120) 내 보조 수단이 추가로 구비된 다른 실시예의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에 대해서는 이후 제4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에 주사기형의 용기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100)의 경우 결합부(120) 상에 용기의 결합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수단이 미구비되는 형태로 구현된다. 이런 연유로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100)의 경우 여러 형태와 크기를 갖는 튜브형의 용기보다는 정형화된 형태와 크기를 갖는 주사기형의 용기(130)의 결합에 보다 특화된 장치라 할 수 있다. 이에, 도 1b에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100) 상에 주사기형의 용기(130)가 결합된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튜브형의 용기 또한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하듯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2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100)와 마찬가지로, 주입부(110) 및 결합부(120)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200)의 주입부(110) 및 결합부(120)는 기본적인 기능 및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100)의 주입부(110) 및 결합부(120)와 동일하며,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가이드부(116)는 몸체(112)의 외주면을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200)의 경우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100) 대비 가이드부(116)의 형상에 있어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200)를 예시하여 가이드부(116)의 제2 형상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가이드부(116)는 몸체(11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의 형상으로 구현된다. 이때, 가이드부(116)는 분출구(114)로부터 분출되는 젤형 약제가 보다 효율적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분출구(114)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부(116)는 몸체(112)에 형성된 분출구(114)별로 각각 대응되는 가이드부(116)가 형성된다. 한편 제2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200)의 경우 각각의 가이드부(116)는 서로 간 연결되지 않으며, 이에, 각각의 가이드부(116)는 각각의 가이드부(116)에 대응되는 분출구(114)로부터 분출되는 젤형 약제에 대한 고유의 유동 경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가이드부(116)의 구조에 따라 제2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200)의 경우 분출구(114)로부터 분출된 젤형 약제가 몸체(112)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되어 항문 또는 자궁 경부나 질 내부의 내벽에 고르게 도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200)의 경우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200)의 대비 가이드부(116)의 형성에 따른 버(Burr)의 발생을 감소시켜 몸체(112)가 항문 또는 자궁 경부나 질 내부에 보다 효율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300)의 경우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100) 대비 가이드부(116)의 형상에 있어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하, 도 3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300)를 예시하여 가이드부(116)의 제3 형상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가이드부(116)는 몸체(112)의 외면에 몸체(11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가이드부(116)는 몸체(112)에 형성된 분출구(114)별로 각각 대응되는 가이드부(116)가 형성되되, 각각의 가이드부(116)는 서로 간 연결되어 몸체(112) 전반에 걸쳐 하나의 유동 경로를 형성한다. 즉, 제3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100)의 경우 각각의 가이드부(116)가 서로 연결되어 몸체(112)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형 구조를 갖는다.
도 4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의 구성 요소를 분해 도시한 분해도이다. 한편, 도 4에서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400)의 주입부(110)가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400)의 주입부(110)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4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400)의 주입부(110)는 제2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의 주입부(110)의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관하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400)의 경우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100) 대비 결합부(120)의 형태에 있어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한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에 튜브형의 용기(150)가 결합되는 경우 여러 형태와 크기를 갖는 튜브형의 용기의 특성으로 인해 결합 과정에서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4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400)의 경우 주사기형의 용기보다는 튜브형의 용기(150)의 결합에 보다 특화된 장치로서 결합부(120) 내 용기의 결합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결합부(140)가 추가로 구비하는 형태로 구현된다. 이를 위해, 제4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400)의 경우 결합부(120) 상에 보조 결합부(140)와의 연결을 위한 결합홈(120a)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4에서는 보조 결합부(140)의 기능을 좀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에 튜브형의 용기(150)가 결합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보조 결합부(120)는 링(ring, 141), 암(arm, 142), 암 조인트(arm joint, 143), 엔드씰(end seal, 144) 및 핸들(handle, 145)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보조 결합부(120)는 튜브형의 용기(150)가 삽입되었을 때 튜브형의 용기(150)의 입구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기 위한 암(142)을 구비한다. 암(142)은 튜브형의 용기(150)의 입구를 감싸는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 구비되어 튜브형의 용기(150)의 입구의 외주연과 접촉한다.
보조 결합부(120)는 암 조인트(143)를 구비하여 복수 개의 암을 지탱한다. 암 조인트(143)에는 암(142)이 삽입되는 홈(143a)이 형성되어 있어서 암(142)이 삽입된다. 암(142)은 또한 돌출부(142a)를 구비하여 결합홈(120a)에 연결된다.
암(142)은 단단한 재질의 플라스틱이나 금속을 채용한다. 암 조인트(143)는 암(142)에 비하여 연한 재질이면서 신축성이 있는 플라스틱 또는 우레탄을 채용함으로써 튜브형의 용기(150)의 입구가 삽입되었을 때 다소 신장되며 암(142)에 압착력을 전달하도록 설계한다.
암(142) 및 암 조인트(143)의 상세한 구조는 도 8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결합부(120)는 암 조인트(143)의 상부에 맞춤 삽입된다. 이때, 결합부(120)와 암 조인트(143)의 결합 틈새에는 젤형 약제가 누출되지 않도록 링(141)이 삽입된다. 링(141)은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연성 재질을 사용한다.
암 조인트(143)의 하부에는 튜브형의 용기(150)의 입구가 삽입될 수 있고 젤형 약제가 누출되지 않도록 막는 엔드씰(144)이 부착된다. 엔드씰(144) 역시 연질포리머, 실리콘, 우레탄, 고무, 기타 연성 재질을 사용하도록 한다. 엔드씰(144)과 암 조인트(143)는 핸들(145)을 사용하여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된다. 핸들(145)에는 미끄러짐 방지용 돌기(145a)가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의 결합도이다.
도 6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를 축 방향으로 절개한 종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제4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400)의 구성요소가 모두 결합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400)는 결합부(120)의 하단에 암(142) 및 암(142)을 감싸는 암 조인트(143)가 결합된다. 이때 암(142)에 구비된 돌출부(142a)는 결합부(12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다.
암 조인트(143)와 결합부(120) 사이에는 링(141)이 삽입되어 젤형 약제가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암 조인트(143) 하단에는 엔드씰(144)이 결합되고 엔드씰(144)과 암 조인트(143)를 체결하기 위한 핸들(145)이 결합된다.
핸들(145)은 엔드씰(144)과 암 조인트(143)의 결합에도 사용되지만, 완전 조립 상태에서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400)를 원활하게 회전시키는 데도 사용된다.
도 7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에 튜브형의 용기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400)에 도포하고자 하는 젤형 약제가 담긴 튜브형의 용기(150)의 입구가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되면, 연성 재질로 된 엔드씰(144)은 튜브형의 용기(150)의 입구의 크기에 의하여 늘어난다. 튜브형의 용기(150)의 입구의 외주연에는 암(142)이 접촉하며 암 조인트(143)에 의해 전달된 압착력에 의해 암(142)에 고정된다.
튜브형의 용기(150)의 입구가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튜브형의 용기(150)를 짜거나 수축시키면 튜브형의 용기(150)에 들어있는 젤형 약제가 주입부(110)의 분출구(114)를 통해 빠져나가 항문 또는 자궁 경부나 질 내부에 도포된다. 이때 암 조인트(143)와 결합부(120) 사이에 삽입된 링(141)에 의해서 젤형 약제가 바깥으로 누출되지 않는다. 또한, 엔드씰(144)도 젤형 약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암 및 암 조인트를 축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젤형 약제가 담긴 튜브형의 용기(150)의 입구를 고정시켜주는 암(142) 및 암 조인트(143)의 구조를 알 수 있다.
암(142)은 튜브형의 용기(150)를 감싸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 예컨대 3개가 구비되어 튜브형의 용기(150)의 입구의 외주연과 접촉한다. 튜브형의 용기(150)의 입구가 직접 닿는 부품인 암(142)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경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 조인트(143)는 상대적으로 연성 재질인 플라스틱 또는 우레탄을 이용해 제작된다. 암 조인트(143)는 암(142)을 감싸는 형태로 제작되어 암(142)에 압착력을 전달하여 암(142)이 튜브형의 용기(150)를 고정하도록 한다.
암 조인트(143)와 결합부(120)가 결합되면서 암(142)에 구비된 돌출부(142a)는 결합부(12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
110 : 주입부 112 : 몸체
114 : 분출구 116 : 가이드부
120 : 결합부 130, 150: 용기
140: 보조 결합부 141 : 링
142 : 암 143 : 암 조인트
144 : 엔드씰 145 : 핸들

Claims (13)

  1.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에 있어서,
    젤형 약제가 담긴 튜브형 또는 주사기형의 용기가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용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젤형 약제를 측방으로 분출하는 주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주입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환자의 인체 내부로 삽입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젤형 약제가 분출되는 분출구;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상기 젤형 약제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부 내 구비된 결합홈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가 고정되도록 상기 용기 입구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결합하는 복수의 암; 상기 암을 감싸면서 결합하여 상기 암에 압착력을 전달하는 암 조인트; 상기 용기의 입구에 의해 신장되도록 연성 재질로 되어 상기 암 조인트 하부에 결합되는 엔드씰; 및 상기 암 조인트와 상기 엔드씰을 체결하는 핸들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보조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는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며,
    각각의 분출구별로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가이드부는,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연결된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 끝단 중 치료 시 상기 환자의 인체가 위치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일단이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용기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결합부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암 조인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젤형 약제가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용기의 입구를 감싸도록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와의 연결을 위한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암 조인트는 상기 암이 삽입되기 위하여 상기 암의 형태에 따라 형성된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164343A 2015-11-23 2015-11-23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 KR101771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343A KR101771894B1 (ko) 2015-11-23 2015-11-23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
PCT/KR2016/009756 WO2017090869A1 (ko) 2015-11-23 2016-09-01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343A KR101771894B1 (ko) 2015-11-23 2015-11-23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855A KR20170059855A (ko) 2017-05-31
KR101771894B1 true KR101771894B1 (ko) 2017-08-28

Family

ID=58763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343A KR101771894B1 (ko) 2015-11-23 2015-11-23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71894B1 (ko)
WO (1) WO201709086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717B1 (ko) * 2020-05-25 2021-01-11 주식회사 에이치제이메디칼 마찰 스트레스 해소 및 공기 소통 기능이 있는 부인과 진료용 질 스페큘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902B1 (ko) * 2021-09-09 2022-10-21 주식회사 메드믹스 연고 도포 기능을 포함하는 광 조사 저주파 발생기
KR102454901B1 (ko) * 2021-09-09 2022-10-21 주식회사 메드믹스 연고 도포 기능을 구비하는 질 광 조사기
KR20230045475A (ko) 2021-09-28 2023-04-04 서형석 유기 게르마늄이 식품에 함유되는 식품 가열장치
NL2033296B1 (en) * 2022-10-12 2023-06-28 Suzhou Tcm Hospital Affiliated To Nanjing Univ Of Chinese Medicine A Syringe for A Medicament for Treating Constip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8Y1 (ko) 2005-08-16 2005-11-03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항문 내부의 진통제 투입 기구
WO2008043240A1 (fr) * 2006-10-09 2008-04-17 Min Zeng Dispositif destiné à une injection vaginal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9341B1 (en) * 2000-07-24 2002-04-30 Goomi Ehwa Industries Co., Ltd. Syringe for vaginal irrigation
KR100763560B1 (ko) * 2005-08-17 2007-10-05 김경일 부인과 질환의 치료장치
KR200460550Y1 (ko) * 2009-10-30 2012-06-27 대한민국 소의 자궁 내 약물 주입장치
KR101352037B1 (ko) * 2011-12-23 2014-01-22 (주)메디탑 3통로식 발룬 카테타
KR101650181B1 (ko) * 2015-03-02 2016-08-23 차지현 항문질환약물 주입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8Y1 (ko) 2005-08-16 2005-11-03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항문 내부의 진통제 투입 기구
WO2008043240A1 (fr) * 2006-10-09 2008-04-17 Min Zeng Dispositif destiné à une injection vagina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717B1 (ko) * 2020-05-25 2021-01-11 주식회사 에이치제이메디칼 마찰 스트레스 해소 및 공기 소통 기능이 있는 부인과 진료용 질 스페큘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855A (ko) 2017-05-31
WO2017090869A1 (ko)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894B1 (ko)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
ES2336536T3 (es) Distribuidor de medicamentos.
US5213566A (en) Prefilled suppository applicator
US9227006B2 (en) Non-penetrating nozzle
ES2727680T3 (es) Aplicador de agente de relleno para tratar incontinencia urinaria femenina
KR101022706B1 (ko) 주름관을 구비한 관장액 주입용기
CN110496261A (zh) 妇科阴道清洗送药器
WO2016014453A1 (en) Foam applicator for in-ear use
KR101650181B1 (ko) 항문질환약물 주입기
JP4582391B2 (ja) 携帯用噴射注入具
US20070100289A1 (en) Methods of applying a substance
KR101230407B1 (ko) 오목부가 형성된 삽입관을 구비한 관장액 주입용기
JP7275425B2 (ja) 薬剤注入器具
KR102156610B1 (ko) 약물 주입용 안전 캡
JP7389308B2 (ja) 薬剤注入器具
JP2008161237A (ja) 薬剤塗布チューブ
JP4964976B2 (ja) 携帯用噴射注入具
KR102027792B1 (ko) 질 내 외용제 주입기
CN209770977U (zh) 一种儿童用通便组件
RU158972U1 (ru) Насадка для введения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препарата в зону миндалин
CN219332921U (zh) 一种前列腺辅助治疗仪给药装置
JP7256346B2 (ja) 薬剤注入器具
JPH0529703Y2 (ko)
CN211835581U (zh) 一种一次性保留灌肠管
CN209236430U (zh) 一种口腔用针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