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1679B1 - 약제주입기 - Google Patents

약제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1679B1
KR100301679B1 KR1019980019390A KR19980019390A KR100301679B1 KR 100301679 B1 KR100301679 B1 KR 100301679B1 KR 1019980019390 A KR1019980019390 A KR 1019980019390A KR 19980019390 A KR19980019390 A KR 19980019390A KR 100301679 B1 KR100301679 B1 KR 100301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tube body
drug
lid
in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9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6420A (ko
Inventor
정용태
Original Assignee
윤태규
(주)신동방메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태규, (주)신동방메딕스 filed Critical 윤태규
Priority to KR1019980019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1679B1/ko
Publication of KR19990086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6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1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16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61M2205/07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hand operated
    • A61M2205/075Bulb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제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액상의 약제를 보관하는 캡슐형태의 튜브체와,이 튜브체의 상부에 이어지는 개방통로를 가지는 목부 및 뚜껑삽입부와, 이 목부의 상측 내면은 테이퍼부로 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삽입부 및 테이퍼부에 밀착조립되고 막대형상을 이루는 도관부를 가지는 뚜껑체 겸용 스포이트체로 구성되어, 상기 뚜껑체 겸용 스포이트체를 튜브체에 적절하게 조립하여 약제를 주입하고 보관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가느다란 도관부를 가지는 밀봉된 캡슐형 튜브체를 이용하여 가느다란 통로 형상의 인체 환부에 주입할 수가 있어 매우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가 있고, 스포이트 작용을 하여 미량(0.5∼1.0ml)의 약물주입이 가능하며, 연결줄로 튜브체에 마개를 매달고 있어 마개분실의 염려가 없으며 2중으로 밀폐보관을 하게 되어 약제의 변실 및 외부에의 유출을 방지하고, 가이드부를 둥글게 제작하고 오목부를 형성하였으므로 환부에 삽입시 점막자극이 없어 통증완화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약제 주입기
본 발명은 약제 주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액상의 약제를 담은연질성 튜브체의 일측에 도관부를 조립하여 가느다란 구멍과 같은 환부에 상기 약제를 스포이트(spuit) 방식으로 직접 주입할 수 있도록 한 약제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남자의 요도, 도뇨관(導尿管), 생식기, 귀나 코, 방광 등에 각종 질환이 발생했을 때,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통상 약물을 음복하게 된다. 즉, 마이신 등의 항생제를 캡슐 내에 밀봉하여 물과 함께 복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 예를들면 인체의 환부가 가느다란 통로 내측인 경우에는 현재까지 외용 투여하는 것이 효과적일 때가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가느다란 구멍 형태의 환부에 직접 약제를 투입하여 치료하기 위한 장치나 기구는 제공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치료의 효율이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즉, 기존의 연질캅셀은 내복용일 뿐 외용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요도, 코, 귀 등과 같은 인체의 가느다란 구멍 부위에 질환이 발생하였을 경우, 그 환부에 액상의 약제를 직접 투입할 수 있는 약제 주입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약제 주입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약제 주입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약제 주입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약제 주입기의 사용을 위하여 조립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약제 주입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튜브체 12 : 뚜껑삽입부
14 : 목부 15 : 테이퍼부
16 : 마개 17 : 연결줄
19 : 마개턱 20 : 스포이트체
22 : 도관부 24 : 작은 통로
25 : 제 1 단턱 26 : 제 2 단턱
27 : 제 1 경사부 28 : 제 2 경사부
30 : 가이드부 32 : 오목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약제 주입기는,
액상의 약제를 보관하는 캡슐형태의 튜브체와,
이 튜브체의 상부에 이어지는 개방통로를 가지는 목부 및 뚜껑삽입부와,
이 목부의 상측 내면은 테이퍼부로 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삽입부 및 테이퍼부에 밀착조립되고 막대형상을 이루는 도관부를 가지는 뚜껑체 겸용 스포이트체로 구성되어,
상기 뚜껑체 겸용 스포이트체를 튜브체에 적절하게 조립하여 약제를 주입하고 보관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스포이트체는 튜브체의 뚜껑삽입부에 안착조립되기 위하여 제 1 단턱 및 제 2 단턱, 제 1 경사부 및 제 2 경사부를 횡방향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적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과,
상기 도관부는 그 끝단에 둥그스름한 가이드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 가이드부의 단면은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형성한 것과,
상기 마개는 뚜껑삽입부의 외측 일부에 일체로 형성한 연결줄을 통하여 튜브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느다란 도관부를 가지는 밀봉된 캡슐형 튜브체를 이용하여 가느다란 통로 형상의 인체 환부에 주입할 수가 있어 매우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가 있고, 스포이트 작용을 하여 미량(0.5∼1.0ml)의 약물주입이 가능하며, 연결줄로 튜브체에 마개를 매달고 있어 마개분실의 염려가 없으며 2중으로 밀폐보관을 하게 되어 약제의 변실 및 외부에의 유출을 방지하고, 가이드부를 둥글게 제작하고 오목부를 형성하였으므로 환부에 삽입시 점막자극이 없어 통증완화의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약제 주입기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약제 주입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약제 주입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약제 주입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1에서 부호 10은 액상의 약제를 보관하는 캡슐형태의 튜브체를 나타낸다. 이 튜브체(10)는 용기형상을 이루고 내부에는 소정의 액제가 담아져 있으며 뚜껑체 겸용 스포이트체(20)(이하, '스포이트체' 로 약칭함)에 의하여 밀봉되어 있다.
상기 튜브체(10) 상부는 개방된 뚜껑삽입부(12)를 형성하여 상기 스포이트체(20)를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으며, 스포이트체(20)를 밀착조립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인 튜브체(10)와 뚜껑삽입부(12) 사이의 목부(14) 내측면은 경사진 테이퍼부(15)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뚜껑삽입부(12)의 외측 일부에 일체로 연결줄(17)을 통하여 마개(16)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스포이트체(20)는 일측에 도관부(22)를 부착하고 있고 이 도관부(22)는 전체적으로 가느다란 막대형상을 이루고 있고 내측 심부에 매우 작은 통로(24)를 가지며, 끝단에는 후술하는 둥그스름한 가이드부(30)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뚜껑삽입부(12)에 안착조립되기 위하여 제 1 단턱(25) 및 제 2 단턱(26)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단턱(25)의 하부에 상기 목부(14)에 이어진 테이퍼부(15)와 밀착하여 맞닿는 제 1 경사부(27)가 형성되고 이 제 1 경사부(27)의 타측에 제 1 경사부(27)와 대칭되도록 제 2 경사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경사부(28)는 상기 마개(16) 내측에 원형의 턱으로 돌출형성된 마개턱(19)과 조립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가이드부(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가이드부(30)는 그 일측단이 상기 통로(24) 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32)를 형성하고 있다. 이는 인체의 도뇨관 벽의 점막에 원활하게 접촉하여 삽입되고 통증을 완화하기 위하여 채택된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 주입기의 재질은 주로 연질의 특성이 있는 실리콘수지나 젤라틴을 사용하지만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최초 제조되었을 시에는 약제가 튜브체(10) 내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30)는 개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약제 주입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약제 주입기의 사용을 위하여 조립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약제 주입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먼저 도 3의 상태에서 상기 제 2 경사부(28)와 밀착 조립된 마개(16)를 도 2와 같이 벗기고 상기 스포이트체(20)를 튜브체(10)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어서 도 5와 같이 상기 스포이트체(20)의 도관부(22)가 위로 가도록 하여 상기 제 2 경사부(28)를 상기 테이퍼부(15)에 밀착조립한다.
치료하고자 하는 환부, 즉 가느다란 통로형태의 요도나 귀 등에 상기 도관부(22)를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튜브체(10)의 외측을 두 손가락 등으로 인위적으로 누르면 튜브체(10)의 내부 용적이 줄어듦에 따라 약제는 상기 도관부(22)를 향하여 이동하게 되고 가이드부(30)에서 토출됨으로써 약제는 인체에 주입된다.
한편, 외용으로 사용하고 난 후에는 상기 스포이트체(20)를 튜브체(10)로부터 빼내어 원래의 상태, 즉 도관부(22)를 튜브체(10) 내에 집어넣어 테이퍼부(15)와 제 1 경사부(27)를 밀착하여 조립하고 상기 마개(16)를 제 2 경사부(28)에 밀착조립함으로써 2중의 밀봉상태로 약제를 보관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약제 주입기는 주로 유제(油劑) 베이스의 약점성의 약물을 인체 내에 주입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은 기본약제를 리포좀화 또는 O/W/O형으로 현탁시켜 안정성을 보장한 후 취급사용이 편리한 연질캅셀 또는 동형(同形)의 실리콘 고무 용기에 포장시켜 실용성을 개선한 약제 주입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약제 주입기에 의하면, 가느다란 도관부를 가지는 밀봉된 캡슐형 튜브체를 이용하여 가느다란 통로 형상의 인체 환부에 주입할 수가 있어 매우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가 있고, 스포이트 작용을 하여 미량(0.5∼1.0ml)의 약물주입이 가능하며, 연결줄로 튜브체에 마개를 매달고 있어 마개분실의 염려가 없으며 2중으로 밀폐보관을 하게 되어 약제의 변실 및 외부에의 유출을 방지하고, 가이드부를 둥글게 제작하고 오목부를 형성하였으므로 환부에 삽입시 점막자극이 없어 통증완화의 효과도 있는 등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액상의 약제를 보관하는 캡슐형태의 튜브체(10)와 뚜껑겸용 스포이트체(20)로 구성된 약제주입기에 있어서,
    튜브체의 상부에 이어지는 개방통로를 갖는 목부 및 뚜껑삽입부(12)를 형성하되, 이 목부(14)의 상측 내면에 경사진 테이퍼부(15)를 형성하고, 이 뚜껑삽입부(12)의 외측일부에 일체로 연결줄(17)을 통하여 마개(16)를 형성하며,
    뚜껑겸용 스포이트체(20)는 튜브체(10)의 뚜껑삽입부(12)에 안착조립되기 위하여 제 1 단턱(25) 및 제 2 단턱(26), 제 1 경사부(27) 및 제 2 경사부(28)를 횡방향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적으로 형성하고, 이 스포이트체(20)의 일측에는 약물주입을 위한 개방통로를 갖는 막대형상의 도관부(22)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0.5~1.0㎖ 용량의소형 약제 주입기.
KR1019980019390A 1998-05-28 1998-05-28 약제주입기 KR100301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390A KR100301679B1 (ko) 1998-05-28 1998-05-28 약제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390A KR100301679B1 (ko) 1998-05-28 1998-05-28 약제주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420A KR19990086420A (ko) 1999-12-15
KR100301679B1 true KR100301679B1 (ko) 2001-10-27

Family

ID=37529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9390A KR100301679B1 (ko) 1998-05-28 1998-05-28 약제주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16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5430U (ko) * 1981-03-10 1982-09-13
JPH01138456A (ja) * 1987-11-25 1989-05-31 Hitachi Metals Ltd 接触媒質自給式探触子
JPH0595547U (ja) * 1991-12-24 1993-12-27 良 梁田 鼻腔吸入洗浄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5430U (ko) * 1981-03-10 1982-09-13
JPH01138456A (ja) * 1987-11-25 1989-05-31 Hitachi Metals Ltd 接触媒質自給式探触子
JPH0595547U (ja) * 1991-12-24 1993-12-27 良 梁田 鼻腔吸入洗浄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420A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36536T3 (es) Distribuidor de medicamentos.
KR100262930B1 (ko) 의약품주입기
CA1137375A (en) Fluid unit dispensing device
ES2347155T3 (es) Un conjunto de cateter urinario listo para su uso.
JP2562536B2 (ja) 感染予防されたカテーテル装置
JPH034282Y2 (ko)
US5137528A (en) Ampoule for administering a liquid local anaesthetic
ES2343487T3 (es) Tapa exterior de un conjunto de aguja para pluma que tiene una pestaña de separacion.
KR20040027934A (ko) 카트리지 및 그 같은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의학적 송달시스템
KR860000277B1 (ko) 건조의약 투여용 카트릿지
KR920700049A (ko) 용액 백에 사용하는 파열성 스파이크 접속기
JPH07114814B2 (ja) カテーテルと導入部材との組立体
JPH0817812B2 (ja) 抗バクテリア閉鎖システム
JP2002539892A (ja) 接続手段を備えた投薬装置用乳首状ノズル
KR102351695B1 (ko) 기능성용액 주입모듈
NZ510060A (en) Container for intravenous administration with container extending into insert having non-return valve, for insertion of cannula
US20040171979A1 (en) Catheter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medication to the bladder
EP0441070B1 (fr) Dispositif comportant une aiguille percée et un réservoir
KR20050099951A (ko) 외부 주입포트가 구비된 약물주입기
ES2292206T3 (es) Sistema de administracion de farmacos.
KR100301679B1 (ko) 약제주입기
WO2016014453A1 (en) Foam applicator for in-ear use
JP2005504562A (ja) 部分挿入カニューレを備えたアプリケーター
KR200231442Y1 (ko) 약제주입기
JP7275425B2 (ja) 薬剤注入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