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315B1 - Ventilation devic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Ventilation device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315B1
KR102351315B1 KR1020210094090A KR20210094090A KR102351315B1 KR 102351315 B1 KR102351315 B1 KR 102351315B1 KR 1020210094090 A KR1020210094090 A KR 1020210094090A KR 20210094090 A KR20210094090 A KR 20210094090A KR 102351315 B1 KR102351315 B1 KR 102351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entilation
unit
air
ventil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0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민원
Original Assignee
김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원 filed Critical 김민원
Priority to KR1020210094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31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3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5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60H1/00657Remote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8Air-extractors, air-evacuation from the vehicle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ntilation device for a vehicle, which can prevent damage to parts and articles in a vehicle vulnerable to thermal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ilation device for a vehicle comprises: a body provided on the roof of a vehicle formed in a dual structure of an outer panel and an inner panel, and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are opened to communicate to ventilate the inside/outside of the vehicle; a ventilation unit provided in the body, and generating air into the vehicle to discharge existing indoor air in the vehicle out of the vehicle; and a control management unit controlling driving of the ventilation unit, and linkable to a mobile device of a user. The body can be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panel and the inner panel. The outer panel and the inner panel are provided with a first ventilation hole and a second ventilation hol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upper opened surface and the lower opened surface of the body to guide the flow of air.

Description

차량용 환기장치{VENTILATION DEVICE FOR VEHICLE}VENTILATION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주차 시 일광에 의해 높아진 차량의 실내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추어 탑승자가 쾌적한 상태에서 차량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열 변형에 약한 차량 내 부품들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effectively lower the indoor temperature of a vehicle raised by daylight when parking the vehicle so that a occupant can board the vehicle in a comfortable state, as well as an in-vehicle component that is susceptible to thermal deformation It relates to a ventilation system for a vehicle that can extend their service life.

일반적으로 차량의 외부는 차량의 프레임으로 형성된 공간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며, 또한, 차량의 주행 시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강판을 사용하여 외부를 둘러싸고 있다.In general, the exterior of the vehicle is configured to protect the space formed by the frame of the vehicle from the outside, and is configured to minimize contact with air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and mainly uses a steel plate to surround the outside.

상기와 같은 이유로 여름철 일광이 강한 시기에는 일광에 의한 강판의 전도열에 의해 차량 내부의 온도는 높아지게 되며, 더욱이 차량의 도난방지를 위하여 밀폐되어 공기의 흐름이 억제된 상태에서의 차량 내부 온도는 고온을 유지하게 된다.For the same reason as above, during the period when sunlight is strong in summer,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increases due to the conduction heat of the steel sheet by sunlight. will keep

더욱이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 변화에 따라 온대 지방인 한반도가 아열대 기후로 변화하고 있는 오늘날, 여름철의 기간이 길어 짐과 동시에 평년 기온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Moreover, as the temperate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changing to a subtropical climate due to climate change due to global warming, the summer period is lengthening and the average annual temperature continues to increase.

한 낮에 차량 내부 온도는 무려 40℃~100℃에 육박하며, 이러한 차량 내부의 고온현상은 차량 내부의 트림 등 열 변형에 약한 차량 내 부품을 변형시키거나 변색시키는 원인이 됨은 물론, 라이터 등과 같은 가열성 물품이 있을 경우 폭발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During the day,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is close to 40℃~100℃, and this high temperature phenomenon inside the vehicle causes deformation or discoloration of parts in the vehicle that are weak to heat deformation such as the interior trim, as well as the lighter, etc. Explosive accidents may occur if there is a heating element.

또한, 급격한 온도 변화에 대응하기 어려운 영유아나 노약자들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are problems such as casualties of infants and the elderly who are difficult to respond to sudden temperature changes.

또한, 차량 가동 시에는 차량 내부의 고온으로 인하여 에어컨의 가동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연료의 과다 소모는 물론 대기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vehicle is operating, the operation time of the air conditioner is lengthened due to the high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so there is a problem of excessive consumption of fuel and pollution of the air.

상기한 문제를 해소시키기 위하여 종래에는 차량 주차 시 일광에 의한 차량 강판의 열전도율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차량을 직사광선에 노출되지 않는 곳에 주차하는 방법이나, 차량 전면 윈드실드에 차광막을 설치하여 직사광선이 차량 내부에 직접 닿는 것을 막아주는 방법, 또는 차량의 도어부 윈도를 내려 차량 내의 더운 공기가 외부의 공기와 대류현상을 일으키는 방법 등이 사용되어 왔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in the related art, a method of suppressing the thermal conductivity of a vehicle steel plate due to sunlight when parking a vehicle is a method of parking the vehicle in a place not exposed to direct sunlight, or a method of parking the vehicle in a place not exposed to direct sunlight, or installing a light shielding film on the vehicle front windshield to prevent direct sunlight from inside the vehicle A method of preventing direct contact with the vehicle or a method of lowering the door of the vehicle and causing the hot air in the vehicle to convection with the outside air has been used.

하지만, 차량을 직사광선에 노출되지 않는 곳에 항시 주차 시키는 방법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윈드실드에 차광막을 설치하여 햇빛을 차단하는 방법은 약간의 효과는 볼 수 있으나 차량 외부 강판의 열전도에 의한 차내 공기의 고온현상은 방지할 수 없었다.However,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always park the vehicle in a place not exposed to direct sunlight, and installing a light shield on the windshield to block sunlight has some effect, but the high temperature of the air in the vehicle due to the heat conduction of the steel plate outside the vehicle. The phenomenon could not be prevented.

또한, 차량의 창문을 열어 놓아 대류현상에 의해 차량 내 공기 온도를 차량 외부의 온도와 동일 온도를 유지시키는 방법은 차량의 도난이나 차량 내부에 오염물이 인입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side the vehicle at the same temperature as the temperature outside the vehicle by convection by opening the vehicle's window has a problem in that the vehicle is stolen or contaminants are introduced into the vehicle.

또 다른 방법으로 한 낮의 차량 실내의 온도를 낮추고 실내 공기의 환기를 목적으로 차량의 후미에 환기 덕트를 설치하고, 에어컨을 가동시켜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로 내려갈 경우 전원을 차단시키는 차량 환기시스템이 도입되었으나, 이와 같은 환기시스템은 차량의 배터리 용량이 한정되어 있어 지속적인 에어컨의 가동이 불가능하고, 차량 시동 시 전원을 공급해야 하는 메인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가 발생했다.Another method is to lower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during the day and install a ventilation duct at the rear of the vehicle for the purpose of ventilating the interior air. However, this ventilation system has a limited battery capacity of the vehicle, making it impossible to continuously operate the air conditioner, and the main battery, which needs to supply power when starting the vehicle, is discharged.

또한, 운전자가 자리를 비우는 경우, 항상 에어컨의 스위치가 온(on)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며, 풍량 조절 스위치를 재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driver leaves the seat, the switch of the air conditioner must always be maintained in an on state, and there is a hassle of resetting the air volume control switch.

무엇보다도 많은 전력을 소비하는 에어컨을 사용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일시적인 온도 절감 효과는 볼 수 있으나, 장기간의 효과는 볼 수 없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Above all, since it is a system that uses an air conditioner that consumes a lot of electricity, a temporary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can be seen, but the long-term effect cannot be seen.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a method for solving such problems is required.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54120호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8-05412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3670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19367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7-000570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7-000570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088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20884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일광에 의해 높아진 차량의 실내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추어 탑승자가 쾌적한 상태에서 차량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급격한 온도 변화에 대응하기 어려운 영유아나 노약자들의 사고 발생을 방지하고, 열 변형에 약한 차량 내 부품 및 물품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effectively lowers the indoor temperature of the vehicle raised by sunlight so that the occupant can get into the vehicle in a comfortable state, and infants and young children who are difficult to respond to sudden temperature changes The purpose of this is to prevent accidents in the elderly and to prevent damage to parts and articles in the vehicle that are susceptible to thermal deformation.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환기장치는, 외부패널 및 내부패널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루프에 구비되되, 상하 양측면이 개방되어 차량 내/외부의 통기가 가능하도록 연통 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차량 내부로 공기를 발생시켜 차량 내부에 있던 기존의 실내공기가 차량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환기부 및 상기 환기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계 가능한 제어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외부패널 및 내부패널의 사이 공간에 설치 가능하며, 상기 외부패널 및 내부패널에는 상기 몸체의 상측 개방면 및 하측 개방면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이 유도되도록 하는 제1환기구 및 제2환기구가 각각 형성된다.The ventilation device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on the roof of a vehicle having a dual structure of an outer panel and an inner panel, and the upper and lower both sides are open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at ventilation inside/outside the vehicle is possible. a body comprising a body, a ventila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body, generating air into the vehicle to discharge the existing indoor air inside the vehicle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and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ventilation unit, and with a user's mobile device and a control management unit that can be linked, wherein the body can be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outer panel and the inner panel, and the outer panel and the inner panel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upper open surface and the lower open surface of the body, respectively. A first vent and a second vent are formed so that the flow of air is induced, respectively.

또한,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제어관리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제1환기구가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개폐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ntil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closing door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management unit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first ventilation hole.

이때, 상기 몸체의 상측 개방면은 상기 제1환기구 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환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눈이나 빗물이 상기 외부패널 및 내부패널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open surface of the body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ventilation hole to prevent snow or rainwater flowing in through the first ventilation hole from flow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outer panel and the inner panel.

또한, 상기 환기부는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 중 격벽에 의해 분리되어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차량 내부로 공기를 발생시키는 팬모듈을 갖는 송풍로 및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 중 상기 송풍로를 중심으로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차량 내부에 있던 기존의 실내공기가 차량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ntilation part is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and is form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body, and the ventilator having a fan module for generating air into the vehicle and the ventilator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as the center It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and may include an exhaust path for discharging existing indoor air inside the vehicle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이때, 상기 환기부는 상기 팬모듈에 의해 차량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면서 유입공기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기존의 실내공기는 공기가 갖는 성질에 의해 발생되는 대류현상에 의해 상기 배출로를 통해 차량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entilation unit, while air is introduced into the vehicle by the fan module, the existing indoor air having a relatively higher temperature than the inlet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rough the exhaust path by a convection phenomenon generated by the properties of the air. can be expelled.

또한, 상기 송풍로는 상기 팬모듈과 연계하여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공기의 온도를 하강 시키는 냉각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모듈에 의해 차량 내부의 온도를 급감 시킴은 물론, 차량 내부에서 발생되는 대류현상을 극대화 시켜 환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wer further includes a cooling module for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inlet air flowing into the vehicle in connection with the fan module, and the cooling module not only reduces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but also inside the vehicle. Ventila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maximizing the generated convection phenomenon.

이때, 상기 배출로의 일측에는 대류현상에 의해 상승한 차량 내부의 기존 실내공기가 상기 제1환기구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배출공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one side of the exhaust passage may include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for discharging the existing indoor air inside the vehicle, which has risen by the convection phenomenon, to the first ventilation port.

이때, 차량의 내부에 있던 기존 실내공기는 상기 송풍로에 의해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공기와 반응하여 발생되는 대류현상에 의해 상승하게 되며, 상승된 실내공기는 상기 제2환기구를 통해 상기 배출로에 유입되고, 상기 배출로에 형성된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제1환기구를 통해 차량의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isting indoor air inside the vehicle rises by a convection phenomenon generated by reacting with the inlet air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y the ventilation path, and the raised indoor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ventilation hole. It may be introduced into the furnac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discharge path, and exit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rough the first ventilation hole.

또한, 상기 환기부는 먼지나 벌레와 같은 이물질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ntil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member for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r insects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vehicle.

그리고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환기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눈이나 빗물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the ventil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part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ventilation part to prevent snow or rainwater from flowing into the vehicle interior.

이때, 상기 차단부는 상기 송풍로의 상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송풍로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로를 통해 차량 내부로 눈이나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방지커버 및 상기 배출로의 상단이 덮이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출로를 통해 차량 내부로 눈이나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방지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lock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passage by a support member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air passage and the support member to prevent snow or rainwater from flowing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air passage It may include a first prevention cover and a second prevention cover provided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ath to prevent snow or rainwater from entering the vehicle through the discharge path.

이때,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송풍로의 상단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방지커버 및 제2방지커버에 의해 차단된 눈이나 빗물이 상기 송풍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member may be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upper periphery of the ventilator to prevent snow or rainwater blocked by the first and second prevention covers from flowing into the ventilator.

또한, 상기 제1방지커버는 상기 송풍로의 상단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이루어 눈이나 빗물이 고이지 않고 상기 제2방지커버 상부로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revention cover is made of a plate shape having a width wid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ventilator, and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so that snow or rainwater does not accumulate and flows down 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prevention cover. can do.

그리고 상기 제2방지커버는 일측이 상기 송풍로의 상단 둘레를 따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몸체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배출로의 상단이 덮이도록 구비되며, 상기 몸체의 내측면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이루어 상기 제2방지커버 상부로 흘러내린 눈이나 빗물이 상기 몸체의 내측면 방향으로 모이도록 할 수 있다.And the second prevention cover is provided such that one side is coupled along the upper periphery of the blast path,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body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ath,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body It is possible to make a downward slope so that snow or rainwater flowing dow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reventive cover is coll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이때, 상기 몸체는 일측이 상기 제2방지커버가 결합되는 일측면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외부패널 및 내부패널의 사이 공간을 따라 차량의 측면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방지커버 상부에 모인 눈이나 빗물이 차량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one side of the body is connected to one side to which the second preventive cover is coupled, and the other end is formed to extend to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along the space between the outer panel and the inner panel, and is collec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preventive cover. It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snow or rainwater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몸체 또는 환기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량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ntil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measuring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or the ventilation unit to measu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이때, 상기 측정부는 측정된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 가능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제어관리부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환기부가 구동 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easurement unit may transmit the measured information to the user's mobile device, and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management unit through manipulation of the mobile device to drive the ventilation unit.

그리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어관리부와 연계 가능하여 차량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상기 제어관리부에서 제어 신호가 송출되어 상기 환기부가 구동 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asurement unit can be linked with the control management unit, so that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set temperature,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management unit to drive the ventilation unit.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환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ventilation device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선택적인 구동으로 인해 효율적으로 전력을 사용함으로써, 차량 배터리가 방전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problem in which a vehicle battery is discharged does not occur by efficiently using power due to selective driving.

둘째,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하기 전 차량 내부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춰 줌으로써, 영유아나 노약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by effectively lower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before the occupant gets into the vehicle, there is an advantage in ensuring the safety of infants and the elderly.

셋째, 차량 탑승 후 에어컨을 작동시킬 경우, 변화시켜야 하는 온도의 폭을 감소시켜 줌으로써, 차량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연료의 과소비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rd, when operating the air conditioner after boarding the vehicle, by reducing the width of the temperature to be chang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over-consumption of fuel as well as to prevent over-consumption of the vehicle.

넷째, 차량의 창문을 열어놓지 않아도 차량 내부가 쾌적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도난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ourth,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the risk of vehicle theft by allowing the inside of the vehicle to maintain a comfortable temperature even if the vehicle's window is not opened.

다섯째, 차량 내부의 온도를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미리 확인하여 차량에 탑승하기 전에 미리 차량 내부의 온도를 낮추거나, 차량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이상의 온도로 상승할 경우 자동적으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탑승자가 쾌적한 상태의 차량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fth, by allowing the user to check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in advance through a mobile device to lower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before boarding the vehicle, or to automatically ventilate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rises to a temperature higher than a preset temperature. ,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ccupant can ride in a vehicle in a comfortable stat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환기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환기장치의 상세 구조 및 환기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환기장치에 있어서, 환기부를 나타내는 예시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환기장치의 구동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vehicle in which a ventilat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and ventilation principle of the ventilat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ventilation unit in the ventilat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process of a vehicl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n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주차 시 일광에 의해 높아진 차량의 실내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추어 탑승자가 쾌적한 상태에서 차량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열 변형에 약한 차량 내 부품들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차량용 환기장치(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루프(천장부)에 설치되어 차량 내부의 온도가 상승될 경우 구동시켜 차량 내부의 온도를 낮춰 줌으로써, 차량 내부가 쾌적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ntilation device for a vehicle that effectively lowers the indoor temperature of a vehicle raised by sunlight during parking so that a passenger can ride in the vehicle in a comfortable state, as well as prolonging the service life of parts in the vehicle that are susceptible to thermal deformation As shown in FIG. 1 , the vehicle ventilation device (A) is installed on the roof (ceiling part) of the vehicle and driven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rises to lower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so that the inside of the vehicle is It can play a role in making you feel comfortable.

이러한 상기 차량용 환기장치(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패널(O) 및 내부패널(I)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루프에 구비되어 설치 가능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 가능하며, 차량 내부로 공기를 발생시켜 차량 내부에 있던 기존의 실내공기가 차량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내부의 상승된 온도를 하강 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환기부(200) 및 상기 환기부(2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탑승자)의 모바일 디바이스(M)와 연계 가능한 제어관리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vehicle ventilation device (A) is provided on the roof of a vehicle having a dual structure of an outer panel (O) and an inner panel (I) and is installed in a body 100 and the body ( 100), a ventilation unit that can play a role in lowering the elevated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by generating air inside the vehicle so that the existing indoor air inside the vehicl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200 and the ventilator 200 may be controlled, and may include a control management unit 500 that can be linked with the mobile device M of the user (occupant).

이때, 상기 몸체(100)는 내부가 중공 되고 상하 양측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몸체(100)가 차량의 루프에 설치됨으로써, 차량의 내/외부가 통기가 가능하도록 연통 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body 100 may have a hollow interior and open upper and lower both sides, and the body 100 may be install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so that the inside/outside of the vehicle communicates so that ventilation is possible. .

이러한 상기 몸체(100)는 차량의 루프 상단에 구비되어 차량 내부의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이러할 경우, 상기 몸체(100)를 커버할 수 있는 구조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여 차량의 외관상 심미적인 관점에서 마이너 한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외부패널(O) 및 내부패널(I)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dy 100 may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roof of the vehicle so that the inside of the vehicle can be ventilated. Since it can act as a minor factor in terms of phosphorus, it is preferable to install it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panel O and the inner panel I of the vehicle.

이때, 상기 외부패널(O) 및 내부패널(I)에는 상기 몸체(100)의 양측 개방면, 다시 말해, 상측의 개방면과 하측의 개방면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외부패널(O) 및 내부패널(I)에 제1환기구(OV) 및 제2환기구(IV)가 각각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내부의 공기가 차량 외부와 연통되어 공기의 흐름이 유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er panel O and the inner panel I have both open surfaces of the body 100, that is, the outer panel O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upper open surface and the lower open surface, respectively, and A first ventilation hole OV and a second ventilation hole IV may be formed in the inner panel I, respectively, so that the air inside the vehicle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vehicle so that the air flow can be induced.

이때, 상기 환기장치(A)는 상기 제어관리부(500)의 제어에 의해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몸체(100)의 상측 개방면과 대응되는 상기 외부패널(O)에 형성되는 상기 제1환기구(OV)가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개폐도어(600)가 더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ventilation device (A) is the first ventilation hole formed in the outer panel (O) corresponding to the upper open surface of the body 100 so as to be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management unit (500). It is preferable to further provide an opening/closing door 600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OV).

이러한 상기 개폐도어(600)는 상기 몸체(100)의 상단면에 슬라이딩 방식 또는 카메라 셔터의 개폐부와 같은 방식으로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차량의 내/외부가 연통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의 루프, 즉, 상기 외부패널(O)에 형성되는 상기 제1환기구(OV)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되, 기존의 선루프(sun roof)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선택적인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 60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in a sliding manner or in the same manner as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of the camera shutter so that the inside/outside of the vehicle can be selectively communicated, but not limited thereto No, it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roof of the vehicle, that is, the first ventilation hole OV formed on the outer panel O, and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existing sun roof so that selective opening and closing can be achieved. You may.

또한, 상기 몸체(100)의 상측 개방면은 상기 외부패널(O)에 형성되는 상기 제1환기구(OV)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환기구(OV)를 통해 눈이나 빗물이 유입되어 상기 외부패널(O) 및 내부패널(I)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upper open surface of the body 100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ventilation hole OV formed in the outer panel O, snow or rainwater through the first ventilation hole OV It is preferable to prevent the inflow into the space between the outer panel (O) and the inner panel (I).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차량의 내부를 환기시켜 차량 내부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상기 환기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중공 된 내부공간 중 격벽(230)에 의해 분리되도록 하여 상기 몸체(10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를 발생시켜 상기 제2환기구(IV)를 통해 차량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팬모듈(211)을 갖는 송풍로(210) 및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 중 상기 격벽(230)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송풍로(210)를 중심으로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차량 내부에 있던 기존의 실내공기가 차량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로(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ilation unit 200 provided inside the body 100 to ventilate the inside of the vehicle to lower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is shown in FIGS. 2 and 3 . As shown, it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100 to be separated by the partition wall 230 in the hollow inner space of the body 100, and the second ventilation hole IV by generating air A blower path 210 having a fan module 211 for allowing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airflow path 210 and the blower path 210 separated by the partition wall 230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100 are centered It may b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vehicle, and may include an exhaust passage 220 that allows the existing indoor air inside the vehicl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이러한 상기 환기부(200)는 공기의 대류현상을 발생시켜 차량 내부에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원리로 구동될 수 있다.The ventilation unit 200 may be driven on the principle of generating air convection to ventilate the inside of the vehicle.

예컨대, 상기 환기부(200)는 상기 송풍로(210)에 구비되는 상기 팬모듈(211)에 의해 공기를 발생시켜 상기 제2환기구(IV)를 통해 차량 내부로 공기를 유입 시키게 되고, 상기 팬모듈(211)에 의해 유입되는 유입공기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기존의 실내공기는 공기가 갖는 성질에 의해 자연적으로 상승하게 되어 대류현상이 발생되며, 이러한 대류현상에 의해 상기 배출로(220)를 통해 고온의 실내공기가 차량 외부로 배출되어 차량 내부의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ventilation unit 200 generates air by the fan module 211 provided in the ventilation path 210 to introduce air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second ventilation hole IV, and the fan Existing indoor air having a relatively higher temperature than the inlet air introduced by the module 211 naturally rises due to the nature of the air, and a convection phenomenon occurs. The high-temperature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rough the ventilation system.

이때, 상기 송풍로(210)는 상기 팬모듈(211)과 연계 가능하여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공기의 온도를 하강 시키는 냉각모듈(212)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lower path 210 may further include a cooling module 212 for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inlet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n connection with the fan module 211 .

이와 같이 상기 팬모듈(211)과 연계될 수 있는 냉각모듈(212)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송풍로(210)에서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급감 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차량 내부의 온도가 급감됨은 물론, 기존의 실내공기와 유입공기 간의 극명한 온도 차로 인해 차량 내부에서 발생되는 대류현상이 극대화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내부의 환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By providing the cooling module 212 that can be linked with the fan module 211 as described above,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vehicle from the blower path 210 can be drastically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ventilation efficiency inside the vehicle by maximizing the convection phenomenon that occurs inside the vehicle due to the sharp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existing indoor air and the inlet air as well as the rapid decrease in temperatur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로(220)의 일측에는 상기 송풍로(210)를 통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공기와 기존의 실내공기가 반응하여 발생하는 대류현상에 의해 상승하게 되는 실내공기가 상기 제1환기구(OV)를 통해 차량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공(2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배출공(221)은 상기 배출로(220)의 일측에 복수개 형성되어 실내공기가 빠르게 차량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one side of the exhaust path 220, the inlet air flowing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ventilator 210 and the existing indoor air react to rise by a convection phenomenon that occurs. A discharge hole 221 may be formed to allow indoor ai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rough the first ventilation hole OV, and a plurality of such discharge holes 221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discharge path 220 . This allows the indoor air to be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예컨대, 차량의 내부에 고온의 상태로 있던 기존의 실내공기는 상기 송풍로(210)에 의해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공기와 반응하게 되며, 이때, 공기가 갖는 성질, 즉, 뜨거운 공기는 위로 가고 차가운 공기는 아래로 향하게 되는 공기의 기본 성질에 의해 발생되는 대류현상에 의해 유입공기보다 높은 온도로 이루어진 실내공기는 상승하게 되고, 상승된 실내공기는 상기 내부패널(I)에 형성된 상기 제2환기구(IV)를 통해 상기 배출로(220)에 유입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existing indoor air in a high-temperature state inside the vehicle reacts with the inflow air introduced into the vehicle by the blower 210, and at this time, the property of air, that is, the hot air, moves upward. The indoor air having a temperature higher than that of the inlet air rises due to the convection phenomenon generated by the basic nature of the air in which the cold air is directed downward, and the raised indoor air is the second air formed in the inner panel (I). It may be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path 220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IV).

그리고 상기 배출로(220)에 유입된 고온의 실내공기는 상기 배출로(220)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배출공(221)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외부패널(O)에 형성된 상기 제1환기구(OV)를 통해 차량의 외부로 빠져나감으로써, 차량 내부의 환기가 이루어져 차량 내부 온도의 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d the high-temperatur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path 220 is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221 formed in the discharge path 220, the first ventilation hole (OV) formed in the outer panel (O) By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rough the

이때, 상기 환기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원리로 차량 내부의 환기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먼지나 벌레 등과 같은 이물질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필터부재(2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entilation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member 240 capable of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r insects from entering the vehicle interior in the process of ventilat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have.

이러한 상기 필터부재(240)는 상기 환기부(200)의 하단, 다시 말해 상기 제2환기구(IV) 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필터부재(240)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filter member 240 is provided so as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ventilation unit 200, that is, to the side of the second ventilation hole IV, so that the filter member 240 can be easily replaced. ca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환기장치(A)는 차량의 내/외부가 통기 가능하도록 연통 되도록 하는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어 차량 내부의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기 환기부(200)를 통해 눈이나 빗물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단부(30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부(300)는 상기 환기부(200)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ilation device (A) is provided in the body 100 to allow the inside/outside of the vehic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allow ventilation, and the ventilation unit 200 to ventilate the inside of the vehicle. A blocking unit 300 capable of preventing snow or rainwater from flowing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may be further provided, and the blocking unit 300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ventilation unit 200 .

이러한 상기 차단부(300)는 일측이 상기 송풍로(210)의 상단 결합되어 상기 송풍로(210)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지지부재(310)와, 상기 지지부재(310)의 타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송풍로(210)의 상단에 결합된 상기 지지부재(310)의 일측과 반대쪽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송풍로(210)의 상부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송풍로(210)를 통해 차량 내부로 눈이나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방지커버(320) 및 상기 배출로(220)의 상단이 덮일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출로(220)를 통해 차량 내부로 눈이나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방지커버(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blocking part 300 includes a support member 310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lower path 210 to exten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blower path 210 , and the support member 310 . The other side, more specifically, by being coupled to one end and the opposite end of the support member 310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lower 210 and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lower 210, the blower 210 ) through the first prevention cover 320 to prevent the inflow of snow or rainwater into the vehicle and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ath 220 is provided to cover the snow or rain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discharge path 220 It may include a second prevention cover 330 that prevents rainwater from flowing in.

이때, 상기 지지부재(310)는 상기 송풍로(210)의 상단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송풍로(210)의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방지커버(320) 및 제2방지커버(330)에 의해 차량 내부로의 유입이 차단된 눈이나 빗물이 흘러 들어 상기 송풍로(210)에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upport member 310 protrudes along the upper periphery of the airflow passage 210 and extends upward of the airflow passage 210, so that the first prevention cover 320 and the second prevention cover 330 are provided. .

또한, 상기 송풍로(2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1방지커버(320)는 상기 송풍로(210)의 상단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눈이나 빗물이 상기 제1방지커버(320) 상단에 고이지 않고 상기 송풍로(210)를 중심으로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상기 배출로(220)의 상단에 구비되는 상기 제2방지커버(330)의 상부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prevention cover 32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irflow passage 210 is made of a plate shape having a width wid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airflow passage 210, the downward slope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side. By doing so, the second prevention cover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ath 220 formed along the periphery around the blast path 210 without snow or rainwater accumulating at the top of the first prevention cover 320 . It is preferable to flow down to the top of the (330).

이와 같이 상기 제1방지커버(320)에 의해 상기 송풍로(210)로의 유입이 차단된 눈이나 빗물이 흘러 내려 상기 배출로(220)로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는 상기 제2방지커버(330)는 일측이 상기 송풍로(210)의 상단 둘레를 따라 결합될 수 있으며, 타측이 상기 몸체(10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배출로(220)의 상단이 완전히 덮이도록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눈이나 빗물이 상기 배출로(220)를 통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prevention cover 330, which blocks the inflow of snow or rainwater from the first prevention cover 320 into the ventilation path 210, flows down and blocks the inflow into the discharge path 220. One side may be coupled along the upper periphery of the blower path 210,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body 100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ath 220 is completely covered.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block snow or rainwater from flowing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discharge path 220 .

이때,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환기부(200)가 상기 송풍로(210)와 배출로(220)로 분리되도록 하는 격벽(230)과 상기 차단부(300)에 의해 상기 송풍로(210)와 배출로(220)는 완전히 분리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분리된 공간이 형성되는 상기 송풍로(210)와 배출로(220)에 의해 유입공기와 실내공기가 섞이지 않고 원활한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어 차량 내부의 환기 효율이 극대화 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ir is blown by the partition wall 230 and the blocking part 300 provided inside the body 100 so that the ventilation part 200 is separated into the blowing path 210 and the exhaust path 220 . The furnace 210 and the exhaust passage 220 can be completely separated, and the inlet air and the indoor air are not mixed by the blowing passage 210 and the exhaust passage 220 in which the separated space is formed. The flow can be formed so that the ventilation efficiency inside the vehicle is maximized.

또한, 상기 제2방지커버(330)는 결합된 위치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몸체(100)의 내측면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방지커버(330) 상부로 흘러내린 눈이나 빗물이 상기 몸체(100)의 내측면 방향으로 모이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상기 제1방지커버(320)와 상기 제2방지커버(330)에 의해 최종적으로 모인 눈이나 빗물은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는 배출부(110)를 통해 차량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preventive cover 330 is coupled to the base, the downward inclination is made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00, so that the second preventive cover 330 flows down to the upper part. Snow or rainwater can be coll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00, and as described above, the snow or rainwater finally collected by the first prevention cover 320 and the second prevention cover 330 is the 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rough the discharge unit 110 provided in the body 100 .

상기 배출부(110)는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모인 눈이나 빗물을 차량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측이 상기 제2방지커버(330)가 결합되는 상기 몸체(100)의 일측면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이 상기 몸체(100)가 위치되는 상기 외부패널(O) 및 내부패널(I)의 사이 공간을 따라 차량의 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면에서 앞문과 뒷문이 결합되는 사이 부분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제2방지커버(330)의 상부에 모인 눈이나 빗물이 차량 외부로 바로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11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100 to discharge snow or rainwater collected inside the body 100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and one side is the second prevention cover 330 .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100 to which is coupled, and the other side of the vehicle along the space between the outer panel O and the inner panel I where the body 100 is located, more specifically is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side of the vehicl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ortion between the front door and the rear door is coupled, so that the snow or rainwater collec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revention cover 330 can be discharged directly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환기장치(A)는 차량의 내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ilation device (A) may further include a measuring unit 400 that can measur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vehicle in real time.

이때, 상기 측정부(400)는 상기 몸체(100) 또는 상기 환기부(2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 차량의 실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measuring unit 40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100 or the ventilation unit 200, and it is preferable to be positioned inside the vehicle for more accurate measurement.

이러한 상기 측정부(400)는 측정된 차량의 실내 온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탑승자)의 모바일 디바이스(M)로 전송 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를 통해 차량의 실내 온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한 사용자(탑승자)는 차량을 탑승하기 전 또는 차량의 실내 온도가 너무 높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를 조작하여 상기 제어관리부(5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환기부(200)가 구동되어 차량의 실내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unit 400 can transmit information on the measured indoor temperature of the vehicle to the mobile device M of the user (occupant), so that the change in the indoor temperature of the vehicle can be measured in real time through the mobile device M. Before boarding the vehicle 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door temperature of the vehicle is too high, the user (occupant) identified as 200) may be driven so that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s ventilated.

또한, 상기 측정부(400)가 상기 제어관리부(500)와 직접적인 연계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차량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측정될 경우, 상기 제어관리부(500)에서 자동으로 제어 신호가 송출되도록 하여 상기 환기부(200)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by enabling the measurement unit 400 to directly connect with the control management unit 500 ,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measured in real time is measured above a preset temperature, the control management unit 500 automatically A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so that the ventilation unit 200 can be driven.

상기와 같이 상기 환기부(200)의 구동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부(400)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를 통해 차량의 실내 온도를 확인한 후 사용자(탑승자)의 판단에 따라 수동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of the ventilation unit 200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measurement unit 400 as shown in FIG. 4 , and the indoor temperature of the vehicle may be checked through the mobile device M. Afterwards, it may be performed passively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the user (passenger).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환기부(200)에 대한 자동과 수동의 구동 방식은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탑승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nd, 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and manual driving methods for the ventilation unit 200 are selectively applicable, so that they can be appropriate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user (occupant).

이때, 상기 개폐도어(600) 역시 상기 환기부(200)의 구동이 on/off 됨에 따라 연계되어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한다.At this time,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600 can also be opened and closed in connection with the on/off driving of the ventilation unit 200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 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a fact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몸체 110 : 배출부
200 : 환기부 210 : 송풍로
211 : 팬모듈 212 : 냉각모듈
220 : 배출로 221 : 배출공
230 : 격벽 240 : 필터부재
300 : 차단부 310 : 지지부재
320 : 제1방지커버 330 : 제2방지커버
400 : 측정부 500 : 제어관리부
600 : 개폐도어
A : 환기장치 I : 내부패널
IV : 제2환기구 M : 모바일 디바이스
O : 외부패널 OV : 제1환기구
100: body 110: discharge part
200: ventilation unit 210: ventilator
211: fan module 212: cooling module
220: discharge path 221: discharge hole
230: bulkhead 240: filter member
300: blocking part 310: support member
320: first prevention cover 330: second prevention cover
400: measurement unit 500: control management unit
600: opening and closing door
A : Ventilation device I : Inner panel
IV: second ventilation hole M: mobile device
O : External panel OV : 1st ventilation hole

Claims (18)

외부패널 및 내부패널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루프에 구비되되, 상하 양측면이 개방되어 차량 내/외부의 통기가 가능하도록 연통 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차량 내부로 공기를 발생시켜 차량 내부에 있던 기존의 실내공기가 차량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환기부; 및
상기 환기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계 가능한 제어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외부패널 및 내부패널의 사이 공간에 설치 가능하며,
상기 외부패널 및 내부패널에는 상기 몸체의 상측 개방면 및 하측 개방면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이 유도되도록 하는 제1환기구 및 제2환기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환기구에는 상기 제어관리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제1환기구가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개폐도어가 구비되는 차량용 환기장치.
a body provided on the roof of a vehicle having a dual structure of an outer panel and an inner panel, the upper and lower both sides of which are open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as to allow ventilation inside/outside of the vehicle;
a ventila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body and generating air into the vehicle so that the existing indoor air inside the vehicl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and
a control management unit that controls the driving of the ventilation unit and can be linked with the user's mobile device;
including,
The body is
It can be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panel and the inner panel,
A first vent and a second vent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outer panel and the inner panel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upper open surface and the lower open surface of the body to induce the flow of air,
The first ventilation opening is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anagement unit, the vehicle ventilation device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ventilation por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측 개방면은,
상기 제1환기구 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환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눈이나 빗물이 상기 외부패널 및 내부패널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환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open surface of the body,
A ventilation device for a vehicle that is formed in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ventilation hole to prevent snow or rainwater flowing in through the first ventilation hole from flow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outer panel and the inner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부는,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 중 격벽에 의해 분리되어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차량 내부로 공기를 발생시키는 팬모듈을 갖는 송풍로; 및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 중 상기 송풍로를 중심으로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차량 내부에 있던 기존의 실내공기가 차량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로;
를 포함하는 차량용 환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ventilation unit,
a ventilator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and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and having a fan module for generating air into the vehicle; and
an exhaust passag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ventilation passage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and configured to discharge the existing indoor air inside the vehicle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A vehicle ventilation system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부는,
상기 팬모듈에 의해 차량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면서 유입공기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기존의 실내공기는 공기가 갖는 성질에 의해 발생되는 대류현상에 의해 상기 배출로를 통해 차량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차량용 환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ventilation unit,
Existing indoor air having a relatively higher temperature than the inlet air as air is introduced into the vehicle by the fan modul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rough the exhaust path by a convection phenomenon generated by the nature of the air.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로는,
상기 팬모듈과 연계하여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공기의 온도를 하강 시키는 냉각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모듈에 의해 차량 내부의 온도를 급감 시킴은 물론, 차량 내부에서 발생되는 대류현상을 극대화 시켜 환기 효율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환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lower is
a cooling module for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inlet air flowing into the vehicle in connection with the fan module;
further comprising,
A vehicle ventilation device that not only reduces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rapidly by the cooling module, but also maximizes the convection phenomenon that occurs inside the vehicle to improve ventilation efficienc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의 일측에는,
대류현상에 의해 상승한 차량 내부의 기존 실내공기가 상기 제1환기구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배출공;
을 포함하는 차량용 환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On one side of the discharge path,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for discharging the existing indoor air inside the vehicle, which has risen by the convection phenomenon, toward the first vent;
A vehicle ventilation system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차량의 내부에 있던 기존 실내공기는,
상기 송풍로에 의해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공기와 반응하여 발생되는 대류현상에 의해 상승하게 되며, 상승된 실내공기는 상기 제2환기구를 통해 상기 배출로에 유입되고, 상기 배출로에 형성된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제1환기구를 통해 차량의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차량용 환기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existing indoor air inside the vehicle is
It rises by a convection phenomenon generated by reacting with the inlet air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y the blowing path, and the raised in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outlet path through the second ventilation hole, and is formed in the outlet path. A ventilation device for a vehicle that i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hole and exits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rough the first ventilation ho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부는,
먼지나 벌레와 같은 이물질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부재;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환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ventilation unit,
a filter member for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r insects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vehicle;
Ventilation device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환기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눈이나 빗물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환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ventilation device is
a blocking unit provided above the ventilation unit to prevent snow or rainwater from flowing into the vehicle;
Ventilation device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송풍로의 상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송풍로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로를 통해 차량 내부로 눈이나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방지커버; 및
상기 배출로의 상단이 덮이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출로를 통해 차량 내부로 눈이나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방지커버;
를 포함하는 차량용 환기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blocking unit,
a support member extending up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blower;
a first prevention cov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passage by the support member to prevent snow or rainwater from flowing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air passage; and
a second prevention cover provided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ath to prevent snow or rainwater from flowing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discharge path;
A vehicle ventilation system comprising 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송풍로의 상단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방지커버 및 제2방지커버에 의해 차단된 눈이나 빗물이 상기 송풍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환기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upport member is
A ventilation device for a vehicle that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upper periphery of the ventilator to prevent snow or rainwater blocked by the first and second prevention covers from flowing into the ventilato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지커버는,
상기 송풍로의 상단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이루어 눈이나 빗물이 고이지 않고 상기 제2방지커버 상부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차량용 환기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prevention cover,
A ventilation device for a vehicle made in a plate shape having a width wider than the upper width of the ventilator, and inclined downward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so that snow or rainwater does not accumulate and flows down 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prevention cov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지커버는,
일측이 상기 송풍로의 상단 둘레를 따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몸체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배출로의 상단이 덮이도록 구비되며, 상기 몸체의 내측면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이루어 상기 제2방지커버 상부로 흘러내린 눈이나 빗물이 상기 몸체의 내측면 방향으로 모이도록 하는 차량용 환기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cond prevention cover,
One side is coupled along the upper periphery of the ventilator, the other side is coupled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body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ath, and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to form the first 2 A ventilation device for a vehicle that collects snow or rainwater flowing down the top of the prevention cover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일측이 상기 제2방지커버가 결합되는 일측면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외부패널 및 내부패널의 사이 공간을 따라 차량의 측면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방지커버 상부에 모인 눈이나 빗물이 차량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환기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body is
One side is connected to one side to which the second preventive cover is coupled, and the other end is formed to extend to the lower side of the side of the vehicle along the space between the outer panel and the inner panel, so that snow or rainwater collec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reventive cover is the vehicle a discharge unit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Ventilation device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몸체 또는 환기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량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환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ventilation device is
a measuring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or the ventilation unit to measu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Ventilation device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측정된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 가능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제어관리부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환기부가 구동 되도록 하는 차량용 환기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measurement unit,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measured information to the user's mobile device,
A ventilation device for a vehicle that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management unit through manipulation of the mobile device to drive the ventilation uni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어관리부와 연계 가능하여 차량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상기 제어관리부에서 제어 신호가 송출되어 상기 환기부가 구동 되도록 하는 차량용 환기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measurement unit,
A ventilation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be linked with the control management unit so that,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is above a preset temperature,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management unit to drive the ventilation unit.
KR1020210094090A 2021-07-19 2021-07-19 Ventilation device for vehicle KR1023513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090A KR102351315B1 (en) 2021-07-19 2021-07-19 Ventilation devic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090A KR102351315B1 (en) 2021-07-19 2021-07-19 Ventilation device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315B1 true KR102351315B1 (en) 2022-01-14

Family

ID=79342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090A KR102351315B1 (en) 2021-07-19 2021-07-19 Ventilation device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31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7050A (en) * 2022-03-21 2023-10-04 주식회사 에이치온 Ventil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for Bus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702A (en) 1995-07-14 1997-02-19 한승준 Vehicle ventilation system
KR19980054120A (en) 1996-12-27 1998-09-25 박병재 Tie-proof device of steering column
KR200193670Y1 (en) 2000-03-20 2000-08-16 김종국 Ventilator for car
KR20020040355A (en) * 2000-11-24 2002-05-30 이계안 an interior air exhausting apparatus for a vehicle
KR20070087996A (en) * 2006-02-24 2007-08-29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Air flow apparatus for rooftop type bus air-conditioner
KR20090020884A (en) 2007-08-24 2009-0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ntilation apparatus for vehicles
KR20100092070A (en) * 2009-02-12 2010-08-20 양혜림 Ventilator for mounting loop of vehicle
KR20110088035A (en) * 2010-01-28 2011-08-03 현대로템 주식회사 Ventilating apparatus for cabin of railway vehicle and sealing structure thereof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702A (en) 1995-07-14 1997-02-19 한승준 Vehicle ventilation system
KR19980054120A (en) 1996-12-27 1998-09-25 박병재 Tie-proof device of steering column
KR200193670Y1 (en) 2000-03-20 2000-08-16 김종국 Ventilator for car
KR20020040355A (en) * 2000-11-24 2002-05-30 이계안 an interior air exhausting apparatus for a vehicle
KR20070087996A (en) * 2006-02-24 2007-08-29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Air flow apparatus for rooftop type bus air-conditioner
KR20090020884A (en) 2007-08-24 2009-0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ntilation apparatus for vehicles
KR20100092070A (en) * 2009-02-12 2010-08-20 양혜림 Ventilator for mounting loop of vehicle
KR20110088035A (en) * 2010-01-28 2011-08-03 현대로템 주식회사 Ventilating apparatus for cabin of railway vehicle and sealing structure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7050A (en) * 2022-03-21 2023-10-04 주식회사 에이치온 Ventil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for Bus
KR102589042B1 (en) 2022-03-21 2023-10-13 주식회사 에이치온 Ventil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for B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9108B2 (en) Automotive ventilation apparatus and automotive ventilation method
KR102351315B1 (en) Ventilation device for vehicle
KR20100126077A (en) Sun loof for vehicle
KR101103780B1 (en) Natural and forced ventilation that can be mixed hybrid air ventilation system
JP3944181B2 (en) Building air conditioning system
JP4310603B2 (en) Shading ventilation structure for automobiles
JP3930702B2 (en) Total ventilation system and its housing structure
GB2455813A (en) Combined natural light and ventilation duct
JP2007099107A (en) Vehicle air conditioner
KR101418849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nd its control method
KR20210011576A (en)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US20090247063A1 (en) Solar powered vehicle ventilation system
KR10061371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utomatic ventilation of automobile inside
CN216653362U (en) Children amusement facility
KR102171929B1 (en) Apparatus for vantilation in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200174990Y1 (en) An air-conditioner structure
JP4075504B2 (en) Shading ventilator for automobiles
JP2005140366A5 (en)
KR20050099674A (en) Auto-ventilation system for bus
KR20000001261U (en) Car ventilation
KR100391522B1 (en) lnner Room Temperature Rising Prevention Structure of Vehicles
KR200198243Y1 (en) Automobile inside ventilation system
JPH0977429A (en) Air conditioner for elevator car
KR100867438B1 (en) Vehicle window having ventilating openings
KR950003702B1 (en) Using ventilation air conditioner unit of b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