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201B1 - 잠두괴저황화바이러스 dna-r 및 dna-s를 접종할 수 있는 감염성 클론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잠두괴저황화바이러스 dna-r 및 dna-s를 접종할 수 있는 감염성 클론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201B1
KR102351201B1 KR1020190160748A KR20190160748A KR102351201B1 KR 102351201 B1 KR102351201 B1 KR 102351201B1 KR 1020190160748 A KR1020190160748 A KR 1020190160748A KR 20190160748 A KR20190160748 A KR 20190160748A KR 102351201 B1 KR102351201 B1 KR 102351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na
fbnyv
present
virus
seq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0687A (ko
Inventor
이석찬
길의준
랄 아밀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60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201B1/ko
Publication of KR20210070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00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0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 coli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01Methods for introducing genetic material into plant cells, e.g. DNA, RNA, stable or transient incorporation, tissue culture methods adapted for transformation
    • C12N15/8202Methods for introducing genetic material into plant cells, e.g. DNA, RNA, stable or transient incorporation, tissue culture methods adapted for transformation by biological means, e.g. cell mediated or natural vector
    • C12N15/8205Agrobacterium mediated transform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4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800/00Nucleic acids vectors
    • C12N2800/10Plasmid DNA
    • C12N2800/101Plasmid DNA for bacter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Vir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두괴저황화바이러스 DNA-R 및 DNA-S를 접종할 수 있는 감염성 클론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잠두괴저황화바이러스 DNA-R 및 DNA-S(FBNYV DNA-R 및 DNA-S)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플라스미드 및 이를 포함하는 대장균 및 아그로박테리움 튜머페이션스를 이용 시, 매개충(insect vector) 없이도 효과적으로 작물에 잠두괴저황화바이러스 DNA-R 및 DNA-S의 감염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잠두괴저황화바이러스 DNA-R 및 DNA-S의 기주 범위 및 기주와의 상관관계 등 다양한 연구에 응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관련 분야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잠두괴저황화바이러스 DNA-R 및 DNA-S를 접종할 수 있는 감염성 클론 및 이의 용도 {Infectious clone of Faba bean necrotic yellows virus DNA-R and DNA-S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잠두괴저황화바이러스(Faba bean necrotic yellows virus) DNA-R 및 DNA-S를 접종할 수 있는 감염성 클론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나노바이러스(Nanovirus)는 여섯 개 내지 여덟 개의 단일가닥 원형 DNA(ssDNA)를 게놈(genome)으로 갖는 식물바이러스로 전 세계적으로 콩과 식물의 주요 경제작물에 피해를 입힌다고 알려져 있다. 감염되는 기주의 특성 상 주로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서 보고되었으며 국내의 경우 2017년 자운영위축바이러스(Milk vetch dwarf virus) 발생이 보고되기 전까지 나노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해 사례가 보고된 바는 없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국가 간 자유무역 협정이 체결되고 농산물의 교역이 활발해짐에 따라 수입 농산물과 함께 이에 감염될 수 있는 다양한 병원체 및 해충들이 유입되고 있는 상황이며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온 상승으로 유입된 바이러스가 확산되기 쉬운 환경이 만들어지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 유입되었을 시 큰 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식물바이러스, 그 중에서도 최근 세계적으로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나노바이러스에 대해 사전에 연구하여 유입과 발생을 예방하는 시스템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나노바이러스는 기계적인 전염이 불가능하며 오로지 특정 매개충(insect vector)과 감염된 종자에 의해서만 전염된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 국내에 서식하고 있는 나노바이러스 매개충으로는 진딧물(Acyrthosiphon pisumAphis craccivora)이 있는데 그 자체로도 작물에 피해를 끼치는 해충인데다 크기가 작고 방제가 어려워 접종 실험 등에 이용하기 까다롭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를 극복하고 비교적 손쉽게 나노바이러스를 접종하는 방법이 바로 아그로박테리움 튜머페이션스(Agrobacterium tumefaciens)를 이용해 감염성 클론을 식물 세포에 직접 집어넣는 것이 알려져 있다.
나노바이러스는 다양한 지역에서 현재 산발적으로 발생이 계속 보고되고 있다. 그 중 잠두괴저황화바이러스는 시리아, 터키, 요르단, 레바논 등 중동 지역 국가들에서 처음 보고가 되기 시작하였으며, 콩과식물에 감염되어 식물의 괴사 및 황화현상을 유발해 식물의 성장을 저해하고 수확량을 감소시키는 나노바이러스로, 잠두괴저황화바이러스의 DNA-R 및 DNA-S(Faba bean necrotic yellows virus DNA-R and DNA-S, FBNYV DNA-R and DNA-S)가 주요 감염인자로 알려져 있다. 해당 바이러스는 현재 이집트, 모로코, 알제리 등 아프리카 북부 지역 국가들과 스페인 등 지중해연안 국가로도 확산되어 잠두, 렌틸콩 등과 같은 콩과작물에 감염되어 수확량 감소 등의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다. 이에 대한 연구를 위해선 해당 바이러스에 대한 감염성 클론 제작 및 이를 통한 인위적 감염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FBNYV DNA-R 및 DNA-S(FBNYV DNA-R and DNA-S)의 감염성 클론을 바이너리 벡터(binary vector)에 담아 식물체에 아그로-인오큘레이션으로 도입하여, 식물체에 감염성 활성을 재현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잠두괴저황화바이러스 DNA-R(Faba bean necrotic yellows virus, FBNYV DNA-R)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재조합 플라스미드로 형질전환된 아그로박테리움 튜머페이션스(Agrobacterium tumefaciens)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FBNYV DNA-S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재조합 플라스미드로 형질전환된 아그로박테리움 튜머페이션스(Agrobacterium tumefaciens)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재조합 플라스미드로 형질전환된 벡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재조합 플라스미드로 형질전환된 FBNYV 감염 식물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FBNYV DNA-R 또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FBNYV DNA-S를 검출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잠두괴저황화바이러스의 감염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FBNYV DNA-R 또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FBNYV DNA-S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체 내 FBNYV의 감염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식물체 내에 감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체에 FBNYV를 감염시켜 병증을 유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잠두괴저황화바이러스 DNA-R(Faba bean necrotic yellows virus, FBNYV DNA-R)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재조합 플라스미드로 형질전환된 아그로박테리움 튜머페이션스(Agrobacterium tumefaciens)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FBNYV DNA-S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재조합 플라스미드로 형질전환된 아그로박테리움 튜머페이션스(Agrobacterium tumefaciens)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재조합 플라스미드로 형질전환된 벡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재조합 플라스미드로 형질전환된 FBNYV 감염 식물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FBNYV DNA-R 또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FBNYV DNA-S를 검출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FBNYV의 감염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FBNYV DNA-R 또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잠두괴저황화바이러스 DNA-S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체 내 FBNYV의 감염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식물체 내에 감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체에 FBNYV를 감염시켜 병증을 유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FBNYV DNA-R 및 DNA-S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플라스미드 및 이를 포함하는 대장균 및 아그로박테리움 튜머페이션스를 이용 시, 매개충(insect vector) 없이도 효과적으로 작물에 잠두괴저황화바이러스 DNA-R 및 DNA-S(FBNYV DNA-R 및 DNA-S)의 감염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여 FBNYV DNA-R 및 DNA-S의 기주 범위 및 기주와의 상관관계 등 다양한 연구에 응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관련 분야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FBNYV DNA-R의 감염성 클론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재조합 플라스미드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FBNYV DNA-S의 감염성 클론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재조합 플라스미드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잠두괴저황화바이러스 DNA-R(Faba bean necrotic yellows virus, FBNYV DNA-R)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FBNYV DNA-S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제공한다.
FBNYV는 DNA-R과 DNA-S 라는 두 개의 분리된 게놈을 포함하여 최소 8개의 게놈을 갖는 멀티파타이트(multipartite) 나노바이러스로 8 개의 게놈이 모두 존재할 때 정상적인 바이러스의 복제 및 병징 발현이 유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DNA-R 상에는 DNA 복제 등과 관련된 Rep 단백질이 암호화되어 있으며, DNA-S에는 외피 단백질이 암호화되어 있다.
상기 염기서열의 변이체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서열번호 1 및 2의 염기서열은 이를 구성하는 핵산 분자의 작용성 등가물, 예를 들어, 서열번호 1 및 2의 일부 염기서열이 결실(deletion), 치환(substitution) 또는 삽입(insertion)에 의해 변형되었지만, 서열번호 1 및 2의 염기서열과 기능적으로 동일한 작용을 할 수 있는 변이체(variants)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전자는 서열번호 1 및 2의 염기 서열과 각각 7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염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염기서열 대한 "서열 상동성의 %"는 두 개의 최적으로 배열된 서열과 비교 영역을 비교함으로써 확인되며, 비교 영역에서의 염기 서열의 일부는 두 서열의 최적 배열에 대한 참고 서열(추가 또는 삭제를 포함하지 않음)에 비해 추가 또는 삭제(즉, 갭)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FBNYV DNA-R 및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FBNYV DNA-S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사용하여 형질전환된 아그로박테리아를 제조하였으며, 이러한 형질전환된 아그로박테리아 균주를 식물체에 감염시키면, 식물체에 FBNYV DNA-R 및 DNA-S의 병증이 현저하게 나타나는 놀라운 발견을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재조합 플라스미드는 FBNYV DNA-R 및 DNA-S의 유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FBNYV DNA-R 및 DNA-S의 유전자는 이량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각기 다른 제한효소를 사용하여 분리된 단량체를 재조합 플라스미드에서 연결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형질전환'은 외래 DNA 또는 RNA가 세포에 흡수되어 세포의 유전형이 변화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숙주세포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식물세포, 원핵세포, 효모세포 또는 곤충세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조합 플라스미드로 형질전환된 아그로박테리움 튜머페이션스를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에서 용어, "아그로박테리움"은 흙 속에 사는 운동성을 가진 토양미생물의 하나로, 암을 유발하는 플라스미드(Ti(Tumer induced) plasmid)를 가지고 있어 식물체의 상처 따위를 통하여 감염하여 조직 세포의 이상 증식을 유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FBNYV DNA-R을 발현하는 아그로박테리움 튜머페이션스는 기탁번호 (KACC 95148P)로 기탁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농업생명공학연구원(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 KACC)에 2019년 12월 4일자로 기탁되었다.
또한, 상기 FBNYV DNA-S을 발현하는 아그로박테리움 튜머페이션스는 기탁번호 (KACC 95149P)로 기탁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농업생명공학연구원(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 KACC)에 2019년 12월 4일자로 기탁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재조합 플라스미드로 형질전환된 벡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벡터"는 숙주 세포에서 목적 유전자를 발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플라스미드 벡터; 대장균 벡터; 아그로박테리움 벡터; 그리고 박테리오파아지 벡터,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및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벡터 같은 세균 또는 바이러스 벡터 등을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대장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재조합 플라스미드로 형질전환된 FBNYV 감염 식물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재조합 플라스미드가 도입되는 식물 세포는 세포가 식물로 재생될 수 있는 한 특정한 형태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세포는, 예를 들면, 배양된 세포 부유물, 원형질체(protoplast), 잎 절편(leaf section) 또는 캘러스(callu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상 식물체로는 잠두, 렌틸콩, 강낭콩, 등을 포함하는 콩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FBNYV DNA-R 및 DNA-S가 감염되는 식물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삭제
상기 재조합 플라스미드의 식물체로의 도입은 당분야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아그로박테리움 매개에 의한 방법, 입자 총 충격법(particle gun bombardment), 실리콘 탄화물 위스커(Silicon carbide whiskers), 초음파 처리(sonication), 히트 쇼크법(heat shock),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 또는 PEG(Polyethylenglycol)에 의한 침전법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있어서 식물체에 FBNYV DNA-R 및 DNA-S의 DNA의 병증을 유도하기 위해 아그로박테리움 튜머페이션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아그로-인오큘레이션 (Agro-inoculation) 방법은 식물체 내로 유전자를 도입하여 발현시키거나 식물체 내에서 원하는 단백질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아그로-인오큘레이션은 접종하고자 하는 식물의 정단부에 곤충핀을 이용하여 상처를 낸 후 이동시키고자 하는 유전자를 가진 아그로박테리움의 현탁액을 주입하여주는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FBNYV DNA-R 또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FBNYV DNA-S를 검출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FBNYV의 감염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조성물”은 목적하는 병증의 원인균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DNA 폴리머라제, dNTP 및 버퍼와 같은 DNA검출 및 증폭용 시약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제제는 FBNYV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반응 증폭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반응 증폭 혼합물은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시약, 열 안정성 DNA 중합 효소, 데옥시뉴클레오티드, 뉴클레아제가 없는 멸균수 및 2가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는 용액 등을 지칭하며, 바람직하게는 반응 완충액, 데옥시뉴클레오티드, DNA 중합효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브의 말단에는 형광 물질 등의 리포터를 표지(labeling)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프라이머"는 짧은 자유 3 말단 수산화기(free 3' hydroxyl group)를 가지는 핵산 서열로 상보적인 핵산의 주형(template)과 염기쌍(base pair)을 형성할 수 있고 핵산 주형의 가닥 복사를 위한 시작 지점으로 기능하는 짧은 핵산 서열을 의미한다. 프라이머는 적절한 완충용액 및 온도에서 중합반응(즉, DNA 중합효소 또는 역전사효소)을 위한 시약 및 상이한 4가지 뉴클레오사이드 트리포스페이트의 존재 하에서 DNA 합성을 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설계 시, 프라이머의 A, G, C, T 함량비, 프라이머 결합체(dimer) 형성 방지, 같은 염기 서열의 3회 이상 반복금지 등 여러 가지 제약이 따르며, 그 외에 단독 PCR 반응조건에 있어서 주형(template) DNA의 양, 프라이머의 농도, dNTP의 농도, Mg2+의 농도, 반응온도, 반응시간 등의 조건이 적정해야 한다.
상기의 프라이머는 기본 성질을 변화시키지 않은 추가의 특징을 혼입할 수 있다. 즉 핵산 서열이 당해 분야에 공지된 많은 수단을 이용하여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의 예로는 메틸화, 캡화, 뉴클레오타이드의 하나 이상의 동족체로의 치환 및 포스포네이트, 포스포트리에스테르, 포스포로아미데이트 또는 카바메이트 등의 하전되지 않은 연결체나 포스포로티오에이트 또는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등의 하전된 연결체로의 뉴클레오타이드의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핵산은 뉴클레아제, 독소, 항체, 시그날 펩타이드, 폴리 L 리신 등의 단백질, 아크리딘 또는 프소랄렌 등의 삽입제, 금속, 방사성 금속, 철 산화성 금속 등의 킬레이트화제 및 알킬화제 등의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공유 결합된 잔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서열은 검출 가능한 시그날을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표지를 이용하여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는 분광학, 광화학, 생화학, 면역화학 또는 화학적 수단을 이용하여 검출 될 수 있는 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유용한 표지는 32P, 형광 염료, 전자 밀집 시약, 효소(일반적으로 ELISA 에 이용되는 것), 바이오틴 또는 합텐 및 항혈청 또는 단일클론성 항체가 이용가능한 단백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는 적절한 서열의 클로닝 및 제한효소 분해 및 나랭(Narang)등의 포스포트리에스테르 방법(1979, Meth, Enzymol. 68:90-99), 보카지(Beaucage)등의 디에틸포스포라미다이트 방법(1981, Tetrahedron Lett. 22: 1859-1862), 및 미국 특허 제 4458066호의 고형물 지지 방법과 같은 직접적인 화학적 합성법을 포함하는 임의의 기타 널리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FBNYV DNA-R 또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FBNYV DNA-S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체 내 FBNYV의 감염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FBNYV 감염 진단 방법은 식물체 내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FBNYV DNA-R 또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유전자의 존재를 확인함으로써 FBNYV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방법을 말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FBNYV를 진단하기 위한 프라이머를 이용한 증폭 반응을 수행하여 FBNYV의 FBNYV DNA-R 또는 DNA-S를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증폭 반응”은 핵산 분자를 증폭하는 반응을 의미하며, 중합효소 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으로, 역전사-중합효소 연쇄반응(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리가아제 연쇄 반응(ligase chain reaction; LCR), Gap-LCR(WO 90/01069), 복구연쇄 반응(repair chain reaction; EP 439,182), 전사-중재 증폭 (transcription-mediatedamplification; TMA) (WO88/10315), 자가유지염기서열복제(self sustained sequence replication) (WO90/06995), 타깃 폴리뉴클레오티드 염기서열의 선택적 증폭(selective amplification of target polynucleotide sequences), 컨센서스 서열 프라이밍 중합효소 연쇄 반응(consensus sequence primed polymerase chain reaction; CP-PCR), 임의적 프라이밍 중합효소 연쇄 반응(arbitrarily primed polymerase chain reaction; AP-PCR), 핵산염기서열 기반 증폭 (nucleic acid sequence based amplification; NASBA), 가닥 치환 증폭 (strand displacement amplification) 및 고리-중재 항온성 증폭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등의 증폭 방법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식물체 내에 감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체에 FBNYV를 감염시켜 병증을 유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한 것 일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FBNYV DNA-R 및 DNA-S 유전자 확보
이란에서 미국 국립생물정보센터(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GenBank에 등록한 FBNYV DNA-R 및 DNA-S(MG827061, MG827062)을 바탕으로 유전자 코딩 부분이 아닌 intergenic region을 포함하는 non-coding region이 앞뒤로 반복된 형태가 되도록 재배열한 후 이를 Genewiz사의 유전자 합성 서비스를 통해 합성하였다(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 이때 클로닝을 위해 앞뒤로 제한효소 인식부위를 추가하고자, DNA-R에는 KpnI(GGTACC) 및 SpeI(ACTAGT)를 추가하였고, DNA-S에는 BamHI(GGATCC), SpeI(ACTAGT)을 추가하였다.
<실시예 2> FBNYV DNA-R 및 DNA-S 감염성 클론 제작
앞서 합성한 유전자를 pGEM T-easy vector에 클로닝하여 DH5α에서 양을 늘린 뒤 플라스미드를 추출하였다. DNA-R에 대해 제한효소 KpnI, SpeI을 처리하여 FBNYV DNA-R DNA 절편을 분리하고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제한효소 KpeI과 SpeI을 처리한 pCAMBIA1303 vector를 얻어 낸 뒤 2개의 유전자를 T4 ligase로 이어 붙였다. DNA-S의 경우, 제한효소 BamHI, SpeI을 처리하여 FBNYV DNA-R DNA 절편을 분리하고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제한효소 BamHI과 SpeI을 처리한 pCMBIA1303 vector를 얻어낸 뒤 2개의 유전자를 T4 ligase로 이어 붙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FBNYV-DNA-R-pCAMBIA1303 및 FBNYV-DNA-S-pCAMBIA1303 플라스미드를 다시 대장균 DH5α strain에서 양을 늘린 뒤 추출하고, 제한효소 처리를 통해 정상적으로 플라스미드가 만들어 졌는지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확인된 플라스미드를 각각 아그로박테리움 튜머페이션스(Agrobacterium tumafaciens) GV3101 strain에 형질전환하여 감염성 클론을 완성했다.
<실시예 3> FBNYV DNA-R 및 DNA-S 감염성 클론의 감염성 확인
실시예 2에서 제작된 FBNYV DNA-R 감염성 클론 및 FBNYV DNA-S 감염성 클론의 감염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주식물로 알려진 잠두(누에콩)를 발아 후 2주간 재배하여 준비하였다. 준비된 잠두의 정단부에 핀으로 찔러서 상처를 낸 후 FBNYV DNA-R 감염성 클론 및 FBNYV DNA-S 감염성 클론을 포함하는 아그로박테리움 배양액을 주입시켜 FBNYV DNA-R 및 FBNYV DNA-S를 감염시켰으며, 이후 3주간 재배하면서 감염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3주 후 식물의 어린잎으로부터 게놈 DNA를 추출하여 PCR을 수행함으로써 바이러스가 식물체 내에 제대로 감염되었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감염된 식물에서는 건전 식물과 달리 잎의 괴사 및 황화 현상이 일어나고, 성장이 위축되는 병증이 확인되었으며, 병증이 유발된 식물체 내에 FBNYV DNA-R 및 FBNYV DNA-S가 제대로 감염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농업생명공학연구원 KACC95148P 20191204 농업생명공학연구원 KACC95149P 20191204
<110>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120> Infectious clone of Faba bean necrotic yellows virus DNA-R and DNA-S and uses thereof <130> PN1911-670 <160> 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157 <212> DNA <213> Unknown <220> <223> FBNYV DNA-R <400> 1 ggtacccgtc atgtgatccc ttgctgagct ggggcggggc ttagtattac ccccgcccca 60 ggttcagcgg agtcatcacg tggattgcac gtgctattag tctatatata gcccaagttg 120 taatatttta tcattcattg aataaaatat ggctcggcaa gttatatgct ggtgctttac 180 attaaataat cctctctctc ctctttctct tcatgattca atgaagtacc ttgtttatca 240 aactgaacaa ggtgaagctg gaaatattca tttccagggt tatattgaaa tgaagaagcg 300 tacatctctt gcaggtatga agaagttaat tcctggtgct catttcgaaa agaggagagg 360 tactcaagga gaagccagag cttatgcaat gaaggaagat acaaggattg aaggtccatg 420 ggagtatgga gagttcattc caactattga agataagctc agagaagtta tgaatgatat 480 gaagactaca ggtaagagac ctattgagta tatagaagag tgttgtaata catatgataa 540 gtctgcaagt actttaagag agttcagagg tgaattgaag aagaagaagg ctatttccag 600 ttgggagttg cagaggaagc catggatgga cgaggtcgat gctttgcttc aggagagaga 660 tggaagacga atcatttggg tgtatggccc acaaggtgga gaagggaaaa cctcttacgc 720 taagcatctt gtaaagacgc gtgatgcttt ttattcgaca ggtggaaaga cagccgacat 780 tgcttttgct tgggaccacc aagagttagt gctcttcgac tttccacgaa gcttcgagga 840 atatgttaat tacggagtaa tagaacaatt aaagaatggt attattcagt ctggaaagta 900 tcaaagtgta attaaatata gtgattatgt tgaagtgatt gtatttgcta attttactcc 960 gcgtagcggt atgtttagtg aggataggat tgtctatgta tatgcgtgac gtcatgtgat 1020 cccttgctga gctggggcgg ggcttagtat tacccccgcc ccaggttcag cggagtcatc 1080 acgtggattg cacgtgctat tagtctatat atagcccaag ttgtaatatt ttatcattca 1140 ttgaataaaa tactagt 1157 <210> 2 <211> 1503 <212> DNA <213> Unknown <220> <223> FBNYV DNA-S <400> 2 ggatcctctg ttatcaagaa caaaataata ataaataaat atgcatttga tcttaatact 60 ccgcgtagcg aatatgttat gttgtttatg tttccaagaa tacccttcat taatgaaggg 120 gttttgtcta ttatgacctt gtgacgtcac ttgatccctt gctgagctgg ggcggggctt 180 agtattaccc ccgccccagg ttcagcggag tcatacggac gcaaggatag ccattggatt 240 gtaagacacg tgtacaatca ggatctgtga ttcgtgaagc gaatctgacg gaagattgta 300 cgcagcttct ttgaagcttc gtggtaggcc ccattatatg ctttaagttt actttataaa 360 aagtaaagaa agatgctctt ttttgcttta ttcgttttaa gtggagtaca gctgtctttg 420 cttcttcccg aagcaaagta tttctctctc tataaaagct gcatttagtt ttcgttgttt 480 cagacaacga aaatggcgag tacatggaat tggtctggta agaaaggaag aagaacacta 540 cgccgtcctt atggtcgacc atacaagtcg tatgttccaa cgacgcgagt tgttgttcat 600 caatcagctg ttttgaagaa agatgaggtt gctggtacag aaatcaagcc tgaaggtgat 660 gtagttcgtt ataaaatgaa gaaggtgatg ctaacatgta ctctgaggat ggctcctgga 720 gagttagtga attacgttat tgttaaatgt aattcgccta ttgttacttg gtctgctgcg 780 tttaccagtc ctgctctctt ggtgaaggag agttgtcagg atatgatcac aattattgcg 840 aaaggcaagg tcgaatcgaa tggtgttgct ggtaccgatt gtaccaagtc attcaatcga 900 tttattcagt taggttctgg aattactcaa actcagcatc tatatgtggt gttatacacc 960 agtgttgctc tcaaagctgt gctagaacat acagtttatg tcgaagtgta atctgttatc 1020 aagaacaaaa taataataaa taaatatgca tttgatctta atactccgcg tagcgaatat 1080 gttatgttgt ttatgtttcc aagaataccc ttcattaatg aaggggtttt gtctattatg 1140 accttgtgac gtcacttgat cccttgctga gctggggcgg ggcttagtat tacccccgcc 1200 ccaggttcag cggagtcata cggacgcaag gatagccatt ggattgtaag acacgtgtac 1260 aatcaggatc tgtgattcgt gaagcgaatc tgacggaaga ttgtacgcag cttctttgaa 1320 gcttcgtggt aggccccatt atatgcttta agtttacttt ataaaaagta aagaaagatg 1380 ctcttttttg ctttattcgt tttaagtgga gtacagctgt ctttgcttct tcccgaagca 1440 aagtatttct ctctctataa aagctgcatt tagttttcgt tgtttcagac aacgaaaact 1500 agt 1503

Claims (13)

  1.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잠두괴저황화바이러스 DNA-R(Faba bean necrotic yellows virus, FBNYV DNA-R)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아그로박테리움 튜머페이션스(Agrobacterium tumefaciens) 및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FBNYV DNA-S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아그로박테리움 튜머페이션스를 포함하는 FBNYV 감염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FBNYV DNA-R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아그로박테리움 튜머페이션스는 기탁번호 KACC95148P의 아그로박테리움 튜머페이션스이고, 상기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FBNYV DNA-S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아그로박테리움 튜머페이션스는 기탁번호 KACC95149P의 아그로박테리움 튜머페이션스인, FBNYV 감염용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의 FBNYV 감염용 조성물에 의해 감염된, 잠두괴저황화바이러스 감염 식물체.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의 FBNYV 감염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식물체 내에 FBNYV(잠두괴저황화바이러스)를 감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체에 잠두괴저황화바이러스를 감염시켜 병증을 유도하는 방법.
KR1020190160748A 2019-12-05 2019-12-05 잠두괴저황화바이러스 dna-r 및 dna-s를 접종할 수 있는 감염성 클론 및 이의 용도 KR102351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748A KR102351201B1 (ko) 2019-12-05 2019-12-05 잠두괴저황화바이러스 dna-r 및 dna-s를 접종할 수 있는 감염성 클론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748A KR102351201B1 (ko) 2019-12-05 2019-12-05 잠두괴저황화바이러스 dna-r 및 dna-s를 접종할 수 있는 감염성 클론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687A KR20210070687A (ko) 2021-06-15
KR102351201B1 true KR102351201B1 (ko) 2022-01-13

Family

ID=76412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748A KR102351201B1 (ko) 2019-12-05 2019-12-05 잠두괴저황화바이러스 dna-r 및 dna-s를 접종할 수 있는 감염성 클론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201B1 (ko)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enBank Accession Number MG827061 (2018.12.18.)*
GenBank Accession Number MG827062 (2018.12.18.)*
T. Timchenko 등. Journal of General Virology. Vol. 87, No. 6, 페이지 1735-1743 (20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687A (ko)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953B1 (ko) 침입성 dna 바이러스에 대해 식물 내성을 강화하는 방법
Aaziz et al. Recombination between genomic RNAs of two cucumoviruses under conditions of minimal selection pressure
Tobias et al. Comparison of the nucleotide sequences of wheat dwarf virus (WDV) isolates from Hungary and Ukraine
CN107828816A (zh) 一种酵母‑农杆菌穿梭载体及构建方法和应用
KR102351201B1 (ko) 잠두괴저황화바이러스 dna-r 및 dna-s를 접종할 수 있는 감염성 클론 및 이의 용도
KR102351198B1 (ko) 자운영위축바이러스 dna-r 및 dna-s를 접종할 수 있는 감염성 클론 및 이의 용도
KR102664986B1 (ko) 신규한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 분리주 kg5 및 이의 감염성 클론
KR20230104371A (ko) 비트컬리탑이란바이러스를 접종할 수 있는 감염성 클론 및 이의 용도
KR102664985B1 (ko) 신규한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 분리주 kg4 및 이의 감염성 클론
CN107475289A (zh) 苹果坏死花叶病毒侵染性全长cDNA克隆及其构建方法
KR102664984B1 (ko) 신규한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 분리주 kg3 및 이의 감염성 클론
US20240175041A1 (en) Infectious clone capable of inoculating nanovirus dna-c, dna-m, dna-n and dna-u1 and use thereof
KR101925468B1 (ko) 파파야잎말림바이러스를 접종할 수 있는 감염성 클론 및 이의 용도
JPH04500154A (ja) キュウリモザイクウイルス外皮蛋白遺伝子
KR101925472B1 (ko) 아제라툼황화잎맥싱가폴바이러스 알파 위성 dna를 접종할 수 있는 감염성 클론 및 이의 용도
JP3977189B2 (ja) リンゴ潜在性ウイルスを利用した果樹への遺伝子導入法
KR101925465B1 (ko) 크로톤황화잎맥모자이크바이러스 알파 위성 dna를 접종할 수 있는 감염성 클론 및 이의 용도
KR102342405B1 (ko) 박과진딧물매개황화바이러스 감염성 클론 및 이의 용도
KR102256363B1 (ko) 토마토잎말림뉴델리바이러스 dna-a 및 dna-b를 접종할 수 있는 감염성 클론 및 이의 용도
Lee et al. Development of molecular detection of three species of seed-transmissible viruses useful for plant quarantine
WO2001007641A2 (en) Method for expressing a library of nucleic acid sequence variants and selecting desired traits
US6548742B2 (en) Development of resistance to raspberry bushy dwarf virus
Verma et al. Detection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 Tomato aspermy virus isolate infecting chrysanthemums in India
KR102167785B1 (ko) 파파야잎말림관동바이러스를 접종할 수 있는 감염성 클론 및 이의 용도
KR101925466B1 (ko) 토마토잎말림방글라데시바이러스 베타 위성 dna를 접종할 수 있는 감염성 클론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