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091B1 -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 - Google Patents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091B1
KR102351091B1 KR1020210070490A KR20210070490A KR102351091B1 KR 102351091 B1 KR102351091 B1 KR 102351091B1 KR 1020210070490 A KR1020210070490 A KR 1020210070490A KR 20210070490 A KR20210070490 A KR 20210070490A KR 102351091 B1 KR102351091 B1 KR 102351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roof panel
solar roof
panel structure
va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종훈
Original Assignee
(주)미래에너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에너지산업 filed Critical (주)미래에너지산업
Priority to KR1020210070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0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01Connecting; Fastening of roof covering supported by the roof structure with interposition of a insulating lay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10Measuring moisture content, e.g. by measuring change in length of hygroscopic filament; Hygro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넬에 체결되는 체결 볼트의 상부를 커버하여 체결 볼트 및 체결 홀에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체결 볼트의 녹 발생 방지 및 판넬 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SOLAR ROOF PANEL STRUCTURE FOR WATER LEAKAGE PREVENTION}
본 발명은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판넬에 체결되는 체결 볼트의 상부를 커버하여 체결 볼트 및 체결 홀에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체결 볼트의 녹 발생 방지 및 판넬 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이나 구조물의 외벽이나 지붕은,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습식 공법 또는 미리 제작된 판넬을 구조체에 결합하는 방식의 건식 공법으로 시공될 수 있다.
이때, 건식 공법의 경우 판넬을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판넬의 외부 강판에 체결 볼트를 결합함으로써 구조물에 단단히 고정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판넬의 외부 강판에는 체결 홀이 타공되는데, 체결 홀을 통해 빗물이 유입될 경우 녹 및 부식이 발생되고 판넬 내부의 단열재가 오염되거나 훼손될 우려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7511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판넬에 체결되는 체결 볼트의 상부를 커버하여 체결 볼트 및 체결 홀에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체결 볼트의 녹 발생 방지 및 판넬 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는 구조물 상에 안착되는 단열재(110), 상기 단열재(110)의 상측에 마련되는 상부 강판(130), 상기 상부 강판(130)의 일측 말단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1 돌출돌기(141)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1 돌출돌기(141) 사이에는 골(140a)이 형성되는 제1 돌출부(140), 상기 상부 강판(130)의 타측 말단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돌출돌기(151)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돌출부(140)의 상측에 끼움 결합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2 돌출돌기(151) 사이에는 상기 골(140a)에 수용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요철 홈(150a)이 형성되는 제2 돌출부(150) 및 상기 골(140a)에 수용되며 상기 골(140a)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되 상측이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클립레일(160)을 포함하며, 제1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가 구조물 상에 안착되고 상기 제1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의 골(140a)에 상기 클립레일(160)이 수용된 상태에서 체결 볼트가 상기 클립레일(160) 및 상기 골(140a)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구조물에 볼트 결합되며, 제2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가 구조물 상에 안착되되 상기 제2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의 제2 돌출부(150)가 상기 제1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의 제1 돌출부(140)를 커버하여 덮음에 따라, 상기 체결 볼트에 의해 상기 구조물에 형성되는 체결 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수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제2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의 제2 돌출부(150)가 제1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의 제1 돌출부(140)를 커버 시, 상기 골(140a)과 상기 제2 돌출부(150)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해 상기 골(140a)의 경사면 및 바닥면에 생성되는 습기를 감지하며, 기 설정된 습도값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관리 단말로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습기 감지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체결 볼트의 볼트 헤드를 커버하여 덮음으로써 상기 골(140a)의 경사면에 생성된 습기가 모여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볼트 헤드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해당 습기를 흡수하여 상기 체결 볼트 및 상기 체결 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골(140a)의 경사면에 생성되는 습기를 흡수하여 상기 체결 볼트 및 상기 체결 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제습부재(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판넬에 체결되는 체결 볼트의 상부를 커버하여 체결 볼트 및 체결 홀에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체결 볼트의 녹 발생 방지 및 판넬 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판넬과 판넬 사이를 지지하는 클립레일이 마련됨에 따라 상측에 태양광 마감 판넬 시공 시 하측의 판넬이 눌리거나 변형되지 않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한 쌍의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100)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골(120a)에 습기 감지부(150)가 마련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골(120a)의 경사면에 제습부재(160)가 마련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한 쌍의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100)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100)는 크게 하부 강판(110), 하부 강판(110)에 적층되는 단열재(120), 단열재(120)에 적층되는 상부 강판(130), 상부 강판(130)의 각 양측 말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제1 돌출부(140) 및 제2 돌출부(150)와 클립레일(1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부 강판(110) 및 상부 강판(130)은 구조물의 상측에 마련되되, 하부 강판(110) 및 상부 강판(130)이 서로 대향됨으로써 내부의 단열재(12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하부 강판(110) 및 상부 강판(130)은 각각 0.45mm 두께 강판 및 0.7mm 두께 강판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하부 강판(110)은 구조물과 밀착되도록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단열재(120)는 하부 강판(110) 및 상부 강판(130) 사이에 개재되며, 일종의 샌드위치 판넬 내에 마련되는 단열부재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단열재(120)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프리보드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단열재(120)의 두께는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상부 강판(130)의 양측 말단부에는 각각 제1 돌출부(140) 및 제2 돌출부(150)가 마련된다.
제1 돌출부(140)는 상부 강판(130)의 일측 말단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1 돌출돌기(141)를 포함하며, 이때 한 쌍의 제1 돌출돌기(141) 사이에는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골(140a)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한 쌍의 제1 돌출돌기(141)는 가시와 같이 뾰족하게 돌출된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제1 돌출부(140)의 단면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의미하는 바, 실제로는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됨에 따라 마치 격벽 형상을 가지게 된다.
골(140a)은 한 쌍의 제1 돌출돌기(141) 사이에서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공간을 의미하며, 타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100)의 요철 홈(150a)이 내측에 수용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때, 골(140a)의 하부에는 단열재(120)가 채워져 있으며, 체결 볼트가 수직 방향으로 볼트 결합되기 위한 체결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 홀이 외부로 노출될 경우 빗물이 유입되어 체결 홀에 녹이 발생하거나 또는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어 단열재(120)가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타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100)의 제2 돌출부(150)가 제1 돌출부(140)를 커버하여 덮음에 따라 골(140a)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한 쌍의 제1 돌출돌기(141)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1 돌출돌기(141)에는 외측에 걸림 턱(141a)이 형성되며, 이는 제2 돌출돌기(151)의 절곡부(151a)에 걸림 결합되기 위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타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100)의 제2 돌출부(150)가 제1 돌출부(140)를 커버하여 덮는 경우, 절곡부(151a)가 걸림 턱(141a)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타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100)가 쉽게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외측에 걸림 턱(141a)이 형성된 제1 돌출돌기(141)의 높이는 상부 강판(130)을 기준으로 48.52mm의 높이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제1 돌출돌기(141)의 높이는 상부 강판(130)을 기준으로 50mm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150)는 상부 강판(130)의 타측 말단부, 즉 제1 돌출부(140)의 반대편에 마련되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돌출돌기(151)를 포함하며, 이때 한 쌍의 제2 돌출돌기(151) 사이에는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요철 홈(150a)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한 쌍의 제2 돌출 돌기(151)는 가시와 같이 뾰족하게 돌출된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제2 돌출부(150)의 단면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돌출되되 상측이 일부 닫힌 형상을 의미하는 바, 실제로는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됨에 따라 마치 상측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 절개된 격벽 형상을 가지게 된다.
요철 홈(150a)은 앞서 살펴본 골(140a)에 수용되도록 골(140a)의 공간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때, 요철 홈(150a)의 하부는 단열재(120)가 채워지지 않은 빈 상태이기 때문에, 하측에 제1 돌출부(140)가 끼움 결합되게 되며, 이 경우 제2 돌출부(150) 자체가 커버 수밀커버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1 돌출부(140)로 빗물이나 물기가 유입되지 않는 것이다. 이때, 어느 하나의 제2 돌출돌기(151)에는 절곡부(151a)가 마련되며, 절곡부(151a) 제1 돌출돌기(141)의 걸림 턱(141a)에 걸림 결합되는 것이다.
클립레일(160)은 골(140a)에 수용되며 골(140a)에 상응하는 형상, 보다 구체적으로 단면이 역삼각형 형상을 가지는 긴 레일 형상을 하되, 상측이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때, 클립레일(160)에는 체결 볼트가 관통하는 체결 홀이 형성됨에 따라, 클립레일(160)이 골(140a)의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 볼트가 클립레일(160), 골(140a)의 바닥면인 상부 강판(130), 단열재(120) 및 하부 강판(110)을 차례로 관통하여 구조물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클립레일(160)의 상부에 절개된 영역을 통해 제2 돌출부(150)의 요철 홈(150a)이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클립레일(160)의 상부에 절개된 영역의 가장자리가 요철 홈(150a)의 상단에 끼움 결합됨에 따라, 클립레일(160) 자체가 제2 돌출부(150)를 강하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클립레일(160)의 상부면 자체가 제2 돌출부(150)의 하부면을 받치는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제2 돌출부(150)가 하측 방향으로 강하게 눌리더라도 제2 돌출부(150)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클립레일(160)의 강성에 따라 안정적으로 형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추가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100)는 골(140a) 내외부의 온도차에 따라 생성되는 습기를 감지할 수 있는 습기 감지부 또는 골(140a)의 경사면에 생성된 습기를 흡수하여 체결 볼트 및 체결 홀에 녹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제습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골(120a)에 습기 감지부(150)가 마련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골(120a)의 경사면에 제습부재(160)가 마련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골(140a)의 내외부 온도차에 따라 발생되는 습기를 감지하고, 습도값이 기 설정된 습도값 이상일 경우 관리 단말로 이를 알릴 수 있는 습기 감지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140)의 상측에 제2 돌출부(150)가 덮여 밀페된 상태에서 외부 공기가 냉각되어 온도가 낮아질 경우, 상대적으로 단열재(120)와 가까운 제1 돌출부(140)의 골(140a)의 바닥면 및 경사면에는 온도차에 의한 습기가 발생될 수 있다. 상부 강판(130)의 경우 강재로 형성되며 특히 체결 볼트에 의해 체결 홀이 형성됨에 따라 해당 부위에 습기가 닿게 되면 녹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습기 감지부(170)는 골(140a)이 제2 돌출부(150)의 커버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공간 내 습기가 발생된다고 판단될 경우, 이를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원격지의 관리 단말로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서 습기 감지부(170)는 습기 발생에 따른 알림을 출력할 수 있는 LED 모듈(미도시) 또는 스피커 모듈(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습기 감지부(170)는 골(140a) 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골(140a) 내에서 습기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영역의 LED 모듈이 발광되도록 한다거나, 또는 해당 영역에서 스피커 모듈을 통해 소리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습기 발생 여부를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는 것이다.
도 4를 살펴보면, 상기 도 3의 실시예에 외에도, 골(140a)의 경사면에 생성된 습기가 모여 경사면을 따라 골(140a)의 바닥면에 모이는 경우 물기가 될 수 있는데, 이때 골(140a)의 바닥면에는 체결 홀이 뚫려 있고 체결 홀에는 체결 볼트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물기에 의해 체결 볼트 및 체결 홀 부분에 녹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도 4(a)와 같이 체결 볼트의 볼트 헤드를 커버하여 습기 혹은 물기를 먼저 흡수함으로써, 습기나 물기가 볼트 헤드나 체결 홀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제습부재(1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습부재(180)의 내부면은 체결 볼트의 볼트 헤드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제습부재(180)가 습기나 물기를 머금더라도 볼트 헤드와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습부재(180)가 도 4(b)와 같이 골(140a)의 경사면에 생성되는 습기 및 물기를 흡수하여 체결 볼트로 유입되는 패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제습부재(180)는 골(140a)의 경사면에서 골(140a)의 전체 길이에 상응하도록 긴 패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골(140a)의 경사면으로부터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
110: 하부 강판
120: 단열재
130: 상부 강판
140: 제1 돌출부
140a: 골
141: 제1 돌출돌기
141a: 걸림 턱
150: 제2 돌출부
150a: 요철 홈
151: 제2 돌출돌기
151a: 절곡부
160: 클립레일

Claims (3)

  1.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에 있어서,
    구조물 상에 안착되는 하부 강판(110);
    상기 하부 강판(110)의 상측에 마련되는 단열재(120);
    상기 단열재(120)의 상측에 마련되는 상부 강판(130);
    상기 상부 강판(130)의 일측 말단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1 돌출돌기(141)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1 돌출돌기(141) 사이에는 골(140a)이 형성되는 제1 돌출부(140);
    상기 상부 강판(130)의 타측 말단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돌출돌기(151)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돌출부(140)의 상측에 끼움 결합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2 돌출돌기(151) 사이에는 상기 골(140a)에 수용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요철 홈(150a)이 형성되는 제2 돌출부(150);
    상기 골(140a)에 수용되며, 상기 골(140a)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되 상측이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클립레일(160)
    을 포함하고,
    제1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가 구조물 상에 안착되고 상기 제1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의 골(140a)에 상기 클립레일(160)이 수용된 상태에서 체결 볼트가 상기 클립레일(160) 및 상기 골(140a)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구조물에 볼트 결합되며, 제2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가 구조물 상에 안착되되 상기 제2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의 제2 돌출부(150)가 상기 제1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의 제1 돌출부(140)를 커버하여 덮음에 따라, 상기 체결 볼트에 의해 상기 구조물에 형성되는 체결 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수밀되고,
    상기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는,
    상기 체결 볼트의 볼트 헤드를 커버하여 덮음으로써 상기 골(140a)의 경사면에 생성된 습기가 모여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볼트 헤드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해당 습기를 흡수하여 상기 체결 볼트 및 상기 체결 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상기 체결 볼트 및 상기 체결 홀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부분 및 상기 골(140a)의 경사면에 생성되는 습기를 흡수하여 상기 체결 볼트 및 상기 체결 홀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골(140a)의 경사면에 생성되는 습기 및 물기를 흡수하여 체결 볼트로 유입되는 패드 형태로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습부재(180)로서, 상기 제습부재(180)의 내부면은 상기 체결 볼트의 볼트 헤드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습 부재(180)의 상기 패드 형태의 부분은 전체 길이에 상응하도록 긴 패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골(140a)의 경사면으로부터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한, 제습부재(180)
    를 더 포함하는,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제2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의 제2 돌출부(150)가 제1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의 제1 돌출부(140)를 커버 시, 상기 골(140a)과 상기 제2 돌출부(150)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해 상기 골(140a)의 경사면 및 바닥면에 생성되는 습기를 감지하며, 기 설정된 습도값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관리 단말로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습기 감지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
  3. 삭제
KR1020210070490A 2021-06-01 2021-06-01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 KR102351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490A KR102351091B1 (ko) 2021-06-01 2021-06-01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490A KR102351091B1 (ko) 2021-06-01 2021-06-01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091B1 true KR102351091B1 (ko) 2022-01-14

Family

ID=79342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490A KR102351091B1 (ko) 2021-06-01 2021-06-01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091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1581A (ja) * 2006-02-28 2007-09-13 Nippon Steel & Sumikin Coated Sheet Corp 屋根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2012102587A (ja) * 2010-11-12 2012-05-31 Clean Venture 21 Corp 太陽電池一体型屋根材
JP2012112940A (ja) * 2010-11-26 2012-06-14 Silcart S P A 屋根の性能特性を確認及び管理するための装置
KR101175115B1 (ko) 2011-02-16 2012-08-21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패널 시스템
KR20130002119U (ko) * 2011-09-27 2013-04-04 아이케이 주식회사 태양광 지붕패널 접합부 구조
KR20160018228A (ko) * 2014-08-08 2016-02-17 주식회사 미륭산업 태양광 발전모듈 설치방법
KR20170109829A (ko) * 2016-03-22 2017-10-10 아이솔라에너지 주식회사 포터블 롤포밍기를 이용한 태양광모듈설치 지붕리뉴얼방법 및 이에 의한 지붕리뉴얼구조
KR101855253B1 (ko) * 2017-09-18 2018-05-04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통풍 제어가 가능한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지붕 시스템
KR20200083792A (ko) * 2018-12-28 2020-07-09 선광엘티아이(주) 노후된 지붕용 태양광패널 설치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1581A (ja) * 2006-02-28 2007-09-13 Nippon Steel & Sumikin Coated Sheet Corp 屋根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2012102587A (ja) * 2010-11-12 2012-05-31 Clean Venture 21 Corp 太陽電池一体型屋根材
JP2012112940A (ja) * 2010-11-26 2012-06-14 Silcart S P A 屋根の性能特性を確認及び管理するための装置
KR101175115B1 (ko) 2011-02-16 2012-08-21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패널 시스템
KR20130002119U (ko) * 2011-09-27 2013-04-04 아이케이 주식회사 태양광 지붕패널 접합부 구조
KR20160018228A (ko) * 2014-08-08 2016-02-17 주식회사 미륭산업 태양광 발전모듈 설치방법
KR20170109829A (ko) * 2016-03-22 2017-10-10 아이솔라에너지 주식회사 포터블 롤포밍기를 이용한 태양광모듈설치 지붕리뉴얼방법 및 이에 의한 지붕리뉴얼구조
KR101855253B1 (ko) * 2017-09-18 2018-05-04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통풍 제어가 가능한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지붕 시스템
KR20200083792A (ko) * 2018-12-28 2020-07-09 선광엘티아이(주) 노후된 지붕용 태양광패널 설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0357B2 (ja) 集合住宅における複層屋上防水構造及び集合住宅
KR102351091B1 (ko) 누수방지용 솔라루프 판넬 구조체
KR20090022359A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탈기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549855B1 (ko) 샌드위치 패널 구조
JP4961770B2 (ja) 屋外床の二重防水構造
JP5694791B2 (ja) 軒先構造および軒先施工方法
KR101616500B1 (ko) 옥상 슬라브용 조립식 방수 단열 구조체
KR200370381Y1 (ko) 지붕조립용 샌드위치판넬
JP5385168B2 (ja) 通気見切材の端部部材及び建築物の外壁構造
JPH0415864B2 (ko)
JP6406833B2 (ja) 軒先の排水構造及び建物
JP6270419B2 (ja) 外壁の排水通気構造
JP4989270B2 (ja) 外断熱構造における通気構造
KR101005191B1 (ko) 조립식 건축용 지붕체의 연결부재
SK278674B6 (en) Connection of roof elements
RU2751306C1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а нижней части шиферной кровли
JP6388169B2 (ja) 屋外床の防水構造
KR20110124671A (ko) 창호의 결로배수용 가스켓 및 이를 구비한 창호시스템
JP7060223B2 (ja) 屋根構造
JP4205689B2 (ja) 横葺き屋根の下り棟納め構造
JP6431791B2 (ja) 軒構造
JP6693717B2 (ja) 屋根構造および建物
JP5541631B2 (ja) 重ね葺き用屋根材
JP2008050793A (ja) 結露水集排水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床構造
RU2098573C1 (ru) Соединение элементов крыш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