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612B1 -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612B1
KR102350612B1 KR1020210074877A KR20210074877A KR102350612B1 KR 102350612 B1 KR102350612 B1 KR 102350612B1 KR 1020210074877 A KR1020210074877 A KR 1020210074877A KR 20210074877 A KR20210074877 A KR 20210074877A KR 102350612 B1 KR102350612 B1 KR 102350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pared
natural
weight
preparation example
natural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유정
Original Assignee
어유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유정 filed Critical 어유정
Priority to KR1020210074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6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6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발적, 열감, 동통 등을 수반한 젖몸살 완화 효과를 가지는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mastitis}
본 발명은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발적, 열감, 동통 등을 수반한 젖몸살 완화 효과를 가지는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가슴은 초경 이전부터 발육하기 시작하여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밀접히 관계되어 발육이 조절되고 일생동안 지속적으로 조금씩 변화한다.
사춘기에 들어서면 뇌하수체 전엽에서의 성선자극호르몬의 분비로 에스트로겐 분비가 증가하여 유방 발육이 자극되고 배란이 되는 초경이 시작되면 프로게스테론 분비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유방이 성숙하게 된다. 이시기에 가슴에 멍울이 잡히고 통증을 느끼게 된다. 또한 생리 1주일전 정도부터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영향으로 액체가 생기면서 불어난다. 이때도 아픈 몽우리가 생기며 통증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가슴은 임신과 함께 완전한 성숙을 거친다고 할 수 있다는데, 여성의 가슴은 임신 초기부터 통증을 비롯한 유방의 변화를 겪게 되는데 이것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프레게스테론을 비롯한 유즙생성 호르몬은 프로락틴(Prolactin)과 옥시토신(Oxytocin)의 작용에 의한 영향이다.
대부분의 여성은 50세 전후하여 이른바 폐경기를 맞이하게 되면서, 유선 및 유관의 크기가 작아지기 시작한다. 또 유방의 형태를 유지하는 섬유조직이 얇아져 탄력이 없어지므로 나이가 들면서 유방은 처지게 된다. 이 시기에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생성이 현격히 줄어들어 월경이 불규칙해지며 유방의 통증, 멍울 또는 유두 분비물이 관찰되기도 한다.
젖몸살이란 유방울혈로 모유분비 시작 후 1-2일 동안 유방은 딱딱해지고 팽창되는데 흔히 동통과 일시적인 체온상승을 나타난다. 이는 정상적인 유즙분비의 전조로 정맥과 림프선의 울혈에 의한 것이며 유선계의 과도팽창에 의한 것은 아니다. 유방울혈은 임신 중에 이미 만들어진 젖이 빠져 나오지 못해 젖이 고이게 되고 젖이 계속 고이면 유방조직주위에 있는 혈관 속의 혈액 흐름이 늦어져 혈과 속에 있는 물 성분이 유방조직으로 스며들어가기 때문에 유방이 팽팽해지고 울혈이 되는 증상으로 젖몸살이라고도 한다. 유방울혈에 기인하는 유방열은 흔하며 열병의 기간은 4-16시간이며, 체온은 37.8~39℃정도 상승한다. 또한 생리 전, 임신 기간 중 또는 갱년기 여성들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영향으로 유선의 발달에 변화가 생기면서 동통이나, 발열감 등의 증상을 나타나며, 외부 감염이나 유선 또는 유관의 이상으로 염증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따라서 여성의 유방울혈(젖몸살)을 개선 및 예방하기 위해서는 내부적으로 면역력을 강화시켜줘야 하며, 호르몬 분비를 정상화시켜줌으로 유선발달을 원활하게 해주어야 하며, 염증을 예방하고 외부에 대한 2차 감염을 방지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여성의 젖몸살에 대한 우수한 완화 효과를 가지는 물질을 천연물로부터 획득하고자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완성하였다.
한국 등록특허번호 제10- 0747415호(공개일 : 2007.08.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발적, 열감, 동통 등을 수반한 젖몸살 완화 효과를 가지는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오일 및 천연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천연오일은 민들레꽃 천연오일 및 양배추잎 천연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천연오일은 민들레꽃 천연오일 및 양배추잎 천연오일을 1 : 1.2 ~ 2.0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천연추출물은 병풀잎 추출물, 로즈마리잎 추출물 및 감자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병풀잎 추출물은 병풀잎을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로즈마리잎 추출물은 로즈마리잎을 80 ~ 110℃의 온도의 열수를 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감자 추출물은 감자를 80 ~ 110℃의 온도의 열수를 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병풀잎 추출물 10 ~ 30 중량부, 로즈마리잎 추출물 3 ~ 10 중량부 및 감자 추출물 25 ~ 4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은 발적, 열감, 동통 등을 수반한 젖몸살 완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은 수유 중인 아가와 산모에게 전혀 해롭지 않은 천연물질만 사용한 것으로서, 친환경적이다.
본 발명의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오일 및 천연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천연오일은 민들레꽃 천연오일 및 양배추잎 천연오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민들레꽃 천연오일 및 양배추잎 천연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민들레(학명 : Taraxacum platycarpum)는 ‘앉은뱅이’라는 별명이 있으며, 우리 나라 각처에서 나는 식물로 줄기는 없고 밑동잎이 심장형으로 나온다. 피침형(披針形)의 잎은 깃꼴로 깊게 갈라지고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꽃은 두상화서를 이루며 노랑색이고 주로 봄에 핀다. 꽃필 때는 흰 털이 있으나 나중에는 거의 없어지고 두상화서 밑에만 흰 털이 남는다. 열매에도 흰 털이 나 있어 열매를 멀리 운반하고 있다. 한방에서는 뿌리와 꽃피기 전의 전초(全草)를 포공영(蒲公英)이라 하며 해열·소염·이뇨·건위의 효능이 있다고 하여, 감모발열(感冒發熱)·인후염·기관지염·임파선염·안질·유선염·간염·담낭염·소화불량·소변불리·변비·정창(瘡)의 치료제로 이용한다. 또, 뿌리와 줄기를 자르면 하얀 젖 같은 물이 흘러서 민간에서는 최유제(催乳劑)로 이용하기도 한다. 요즈음 고미건위(苦味健胃)의 약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으며, 성인병 퇴치의 산채(山菜)로 이용하고 있다. 봄철에 어린잎은 나물로 이용한다. 뿌리에 들어 있는 물질은 베헨산(behenic acid)과 같은 지방산과 이눌린(inulin)이 들어 있고 타락세롤(taraxerol),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카페산(caffeic acid)이 있다.
민들레꽃 천연오일은 민들레의 꽃으로부터 추출된 오일일 수 있다. 민들레꽃을 이용한 천연오일로 제조하는 방법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동시연속식 수증기증류추출(Simultaneous Distillation Extraction, SDE)법으로 추출한 천연오일일 수 있다.
양배추(학명 : Brassica oleracea L.)는 브라시카 올레라케아(Brassica oleracea)의 재배종이다. 원산지는 지중해 연안이며 감람(甘藍)이라고도 하는 두해살이풀이다. 배추와는 여러가지로 유사하나, 다른 점도 많다. 양배추 머리는 일반적으로 0.5 - 4 킬로그램 (1 - 9 파운드)이며, 녹색, 보라색 또는 흰색일 수 있다. 매끈 매끈하고 단단한 녹색 양배추가 가장 일반적이다. 두 가지 색의 부드럽게 잎이 달린 자주색 배추와 곱슬 머리 모양의 사보이 양배추는 더 드물다. 다층 야채이다. 여름철 북반구 고위도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햇볕이 잘 드는 날에는 양배추가 상당히 자랄 수 있다.
양배추잎 천연오일은 양배추의 잎으로부터 추출된 오일일 수 있다. 양배추잎을 이용한 천연오일로 제조하는 방법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동시연속식 수증기증류추출(Simultaneous Distillation Extraction, SDE)법으로 추출한 천연오일일 수 있다.
한편, 천연오일은 민들레꽃 천연오일 및 양배추잎 천연오일을 1 : 1.2 ~ 2.0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1.3 ~ 1.7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중량비를 벗어나게 된다면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천연추출물은 병풀잎 추출물, 로즈마리잎 추출물 및 감자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병풀잎 추출물, 로즈마리잎 추출물 및 감자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병풀(학명 : Centella asiatica)는 한반도 남부 섬의 산이나 들에 흔히 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원줄기는 옆으로 뻗고, 뿌리가 내리는 마디 근처에 2개의 퇴화된 비늘 모양의 잎이 있다. 잎은 마디에서 밀생하고, 신장형, 지름 2-5cm, 표면은 광택이 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의 길이는 4-20cm이다. 꽃은 홍자색, 잎겨드랑이에 3-4송이씩 산형꽃차례로 달리며, 머리 모양이다. 암술대는 2갈래이며, 열매는 분과의 편원형이다.
병풀잎 추출물은 병풀의 잎으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병풀잎 추출물은 병풀의 잎에 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것으로서, 용매는 물,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또한, 추출하는 방법은 반추출, 감압고온추출, 열탕추출, 환류추출, 열수추출, 냉침추출, 상온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증기추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온추출이 가장 좋다. 추출온도는 15℃ 내지 35℃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3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출시간은 2시간 내지 48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추출 회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로즈마리(학명: Rosmarinus officinalis)는 바늘 같은 잎을 가진 여러해살이 식물로, 민트와 같은 과에 속한다.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인 허브이며 푸른 잎과 특유의 향을 가졌다. 로즈메리라는 이름은 라틴어로 '바다(marinus)의 이슬(ros)'이라는 뜻의 '로즈마리누스(rosmarinus)'에서 왔다. 꽃은 겨울과 봄에 피며 색깔은 흰색, 분홍색, 자주색, 푸른색 등이 있다. 허브 및 식재료로 많이 쓰고 가뭄에 잘 견뎌서 지중해성 기후가 나타나는 지역에서 경작용 작물로 심는다. 정원에서 관상용으로도 심는다. 쉽게 잎이 헝클어지거나 가지가 부러지지 않아서 토피어리(정원 장식의 한 방법)용으로도 많이 쓰인다. 작은 화분에서 키울 경우 햇빛을 보게 하고 뿌리의 과습은 피하는 것이 좋다.
로즈마리잎 추출물은 로즈마리의 잎에 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것으로서, 용매는 물,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또한, 추출하는 방법은 반추출, 감압고온추출, 열탕추출, 환류추출, 열수추출, 냉침추출, 상온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증기추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열수추출이 가장 좋다. 추출온도는 20℃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내지 11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출시간은 2시간 내지 48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추출 회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감자(학명 : Solanum tuberosum)는 가지과의 여러해살이 식물로, 세계에서 네 번째로 많이 생산되는 곡물이다. 하지감자, 지슬, 북감저(北甘藷), 마령서(馬鈴薯)라고도 한다. 원산지는 남미 안데스 지역인 페루와 북부 볼리비아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온대 지방에서 재배한다. 식용하는 부위는 덩이줄기로, 대표적인 구황작물(救荒作物) 가운데 하나다. 한국에서 감자는 1824년~1825년(순조 24~25년)경에 조선에서 산삼(山蔘)을 찾기 위해 숨어 들어온 청나라 사람들이 식량으로 몰래 경작하면서 한반도에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반도에서는 특히 강원도 지역이 감자로 유명한데, 이는 1920년대 초에 강원도 회양군 난곡면에서 농업연구를 하던 독일인 매그린이 개발한 품종(난곡 1호 ~ 난곡 5호)이 1930년대 강원도 지역에서 대규모로 재배된 데에서 비롯되었다. 당시 강원도에는 화전민이 약 35만명으로 도내 인구(약 150만명)의 23%에 달하였는데, 강원도의 기후조건이 감자를 재배하기에 원활하고 다른 작물에 비해 단위면적당 수확량이 많았기 때문에 쌀을 경작하기 어려웠던 이 지역에서는 화전민을 중심으로 감자가 주식으로 재배되었다.
감자 추출물은 분쇄된 감자에 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것으로서, 용매는 물,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또한, 추출하는 방법은 반추출, 감압고온추출, 열탕추출, 환류추출, 열수추출, 냉침추출, 상온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증기추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열수추출이 가장 좋다. 추출온도는 20℃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내지 11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출시간은 2시간 내지 48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추출 회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병풀잎 추출물 10 ~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 2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중량부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면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로즈마리잎 추출물 3 ~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 ~ 8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중량부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면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감자 추출물 25 ~ 4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 4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중량부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면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로션으로 제형화하여 젖몸살에 의한 유방의 발연 개선 정도를 유방의 체열 측정으로 살펴본 결과, 우수한 체열 감소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화장수, 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의 앞서 언급한 조성물 외에 다른 성분들을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성분에는 유지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알코올, 색소, 향료 등이 있다.
유지 성분은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습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보습제, 지용성 고분자 보습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에몰리언트제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트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린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알코올은 세틸 알코올(cetyl alcohol) 등의 고급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현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구현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현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준비예 1 : 민들레꽃 천연오일의 제조
분쇄한 건조된 민들레꽃 1kg에 증류수 10L을 혼합한 후, 가열 맨틀이 장착된 동시연속식 수증기증류추출(Simultaneous Distillation Extraction, SDE)장치에 투입한 후 100℃에서 3시간동안 실시하였다. 내부표준물질로서 n-부틸벤젠 50㎕를 혼합하였으며, 추출 용매로는 n-펜테인과 다이에틸 에터를 1:1 부피(각 200 ml)로 사용하였다. 추출 후 무수황산나트륨을 혼합하여 냉장고에서 12시간동안 탈수시킨 후, 농축하여 민들레꽃 천연오일을 제조하였다.
준비예 2 : 양배추잎 천연오일의 제조
분쇄한 건조된 양배추잎 1kg에 증류수 10L을 혼합한 후, 가열 맨틀이 장착된 동시연속식 수증기증류추출(Simultaneous Distillation Extraction, SDE)장치에 투입한 후 100℃에서 3시간동안 실시하였다. 내부표준물질로서 n-부틸벤젠 50㎕를 혼합하였으며, 추출 용매로는 n-펜테인과 다이에틸 에터를 1:1 부피(각 200 ml)로 사용하였다. 추출 후 무수황산나트륨을 혼합하여 냉장고에서 12시간동안 탈수시킨 후, 농축하여 양배추잎 천연오일을 제조하였다.
준비예 3 : 병풀잎 추출물의 제조
분쇄한 병풀잎 1kg을 100% 메탄올에 넣고 상온(=25℃)에서 12시간동안 교반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병풀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준비예 4 : 로즈마리잎 추출물의 제조
분쇄한 로즈마리잎 300g을 증류수로 90℃ 조건 하에서 6시간동안 열수추출하고, 여과지로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로즈마리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준비예 5 : 감자 추출물의 제조
분쇄한 감자 500g을 증류수로 90℃ 조건 하에서 6시간동안 열수추출하고, 여과지로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감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준비예 1 : 병풀잎 추출물의 제조
분쇄한 병풀잎 1kg을 증류수로 90℃ 조건 하에서 6시간동안 열수추출하고, 여과지로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병풀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준비예 2 : 로즈마리잎 추출물의 제조
분쇄한 로즈마리잎 300g을 100% 에탄올에 넣고 상온(=25℃)에서 6시간동안 교반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로즈마리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준비예 3: 감자 추출물의 제조
분쇄한 감자 500g을 100% 에탄올에 넣고 상온(=25℃)에서 6시간동안 교반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감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의 제조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준비예 3에서 제조된 병풀잎 추출물 20 중량부, 준비예 4에서 제조된 로즈마리잎 추출물 5 중량부 및 준비예 5에서 제조된 감자 추출물 35 중량부를 혼합하여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천연오일은 준비예 1에서 제조된 민들레꽃 천연오일 및 준비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잎 천연오일이 1 : 1.5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천연오일은 준비예 1에서 제조된 민들레꽃 천연오일 및 준비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잎 천연오일이 1 : 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천연오일은 준비예 1에서 제조된 민들레꽃 천연오일 및 준비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잎 천연오일이 1 : 2.33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천연오일로서 준비예 1에서 제조된 민들레꽃 천연오일만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천연오일로서 준비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잎 천연오일만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의 제조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준비예 4에서 제조된 로즈마리잎 추출물 5 중량부 및 준비예 5에서 제조된 감자 추출물 35 중량부를 혼합하여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천연오일은 준비예 1에서 제조된 민들레꽃 천연오일 및 준비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잎 천연오일이 1 : 1.5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5 :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의 제조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준비예 3에서 제조된 병풀잎 추출물 5 중량부, 준비예 4에서 제조된 로즈마리잎 추출물 5 중량부 및 준비예 5에서 제조된 감자 추출물 35 중량부를 혼합하여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천연오일은 준비예 1에서 제조된 민들레꽃 천연오일 및 준비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잎 천연오일이 1 : 1.5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6 :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의 제조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준비예 3에서 제조된 병풀잎 추출물 35 중량부, 준비예 4에서 제조된 로즈마리잎 추출물 5 중량부 및 준비예 5에서 제조된 감자 추출물 35 중량부를 혼합하여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천연오일은 준비예 1에서 제조된 민들레꽃 천연오일 및 준비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잎 천연오일이 1 : 1.5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7 :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의 제조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교준비예 1에서 제조된 병풀잎 추출물 20 중량부, 준비예 4에서 제조된 로즈마리잎 추출물 5 중량부 및 준비예 5에서 제조된 감자 추출물 35 중량부를 혼합하여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천연오일은 준비예 1에서 제조된 민들레꽃 천연오일 및 준비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잎 천연오일이 1 : 1.5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8 :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의 제조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준비예 3에서 제조된 병풀잎 추출물 20 중량부 및 준비예 5에서 제조된 감자 추출물 35 중량부를 혼합하여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천연오일은 준비예 1에서 제조된 민들레꽃 천연오일 및 준비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잎 천연오일이 1 : 1.5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9 :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의 제조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준비예 3에서 제조된 병풀잎 추출물 20 중량부, 준비예 4에서 제조된 로즈마리잎 추출물 1 중량부 및 준비예 5에서 제조된 감자 추출물 35 중량부를 혼합하여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천연오일은 준비예 1에서 제조된 민들레꽃 천연오일 및 준비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잎 천연오일이 1 : 1.5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0 :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의 제조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준비예 3에서 제조된 병풀잎 추출물 20 중량부, 준비예 4에서 제조된 로즈마리잎 추출물 13 중량부 및 준비예 5에서 제조된 감자 추출물 35 중량부를 혼합하여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천연오일은 준비예 1에서 제조된 민들레꽃 천연오일 및 준비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잎 천연오일이 1 : 1.5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1 :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의 제조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준비예 3에서 제조된 병풀잎 추출물 20 중량부, 비교준비예 2에서 제조된 로즈마리잎 추출물 5 중량부 및 준비예 5에서 제조된 감자 추출물 35 중량부를 혼합하여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천연오일은 준비예 1에서 제조된 민들레꽃 천연오일 및 준비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잎 천연오일이 1 : 1.5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2 :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의 제조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준비예 3에서 제조된 병풀잎 추출물 20 중량부 및 준비예 4에서 제조된 로즈마리잎 추출물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천연오일은 준비예 1에서 제조된 민들레꽃 천연오일 및 준비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잎 천연오일이 1 : 1.5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3 :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의 제조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준비예 3에서 제조된 병풀잎 추출물 20 중량부, 준비예 4에서 제조된 로즈마리잎 추출물 5 중량부 및 준비예 5에서 제조된 감자 추출물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천연오일은 준비예 1에서 제조된 민들레꽃 천연오일 및 준비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잎 천연오일이 1 : 1.5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4 :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의 제조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준비예 3에서 제조된 병풀잎 추출물 20 중량부, 준비예 4에서 제조된 로즈마리잎 추출물 5 중량부 및 준비예 5에서 제조된 감자 추출물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천연오일은 준비예 1에서 제조된 민들레꽃 천연오일 및 준비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잎 천연오일이 1 : 1.5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5 :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의 제조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준비예 3에서 제조된 병풀잎 추출물 20 중량부, 준비예 4에서 제조된 로즈마리잎 추출물 5 중량부 및 비교준비예 3에서 제조된 감자 추출물 35 중량부를 혼합하여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천연오일은 준비예 1에서 제조된 민들레꽃 천연오일 및 준비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잎 천연오일이 1 : 1.5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제조예 1 ~ 15 및 비교제조예 1 ~ 2 :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포함하는 로션 제조
실시예 1 ~ 15 및 비교예 1 ~ 2에서 제조한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 각각을 하기 표 1과 같이 원료를 혼합하여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포함하는 로션을 제조하였다(즉,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로션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사용하고, 제조예 2에서 제조된 로션은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사용하고, 제조예 3에서 제조된 로션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사용하고, 제조예 4에서 제조된 로션은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사용하고, 제조예 5에서 제조된 로션은 실시예 5에서 제조한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사용하고, 제조예 6에서 제조된 로션은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사용하고, 제조예 7에서 제조된 로션은 실시예 7에서 제조한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사용하고, 제조예 8에서 제조된 로션은 실시예 8에서 제조한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사용하고, 제조예 9에서 제조된 로션은 실시예 9에서 제조한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사용하고, 제조예 10에서 제조된 로션은 실시예 10에서 제조한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사용하고, 제조예 11에서 제조된 로션은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사용하고, 제조예 12에서 제조된 로션은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사용하고, 제조예 13에서 제조된 로션은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사용하고, 제조예 14에서 제조된 로션은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사용하고, 제조예 15에서 제조된 로션은 실시예 15에서 제조한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사용하고, 비교제조예 1에서 제조된 로션은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사용하고, 비교제조예 2에서 제조된 로션은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사용하였다.).
원료 함량(중량%)
실시예 1 ~ 15 및 비교예 1 ~ 2에서 제조한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 1.5
밀납 1.2
폴리솔베이트 60 1.4
프로필렌글리콜 3.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8
솔비탄 세스퀘올레이트 0.7
유동 파라핀 10.0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8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7
트리에탄올아민 0.3
방부제 미량
색소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실험예 1 : 유방의 체열변화 측정
젖몸살에 의해 발열이 발생하는 20 ~ 40세 여성 85명에 대하여, 제조예 1 ~ 15 및 비교제조예 1 ~ 2에서 제조된 각각의 로션 당 5명씩, 1주일 동안 로션을 하루에 두번씩 마사지하는 방식으로 도포하도록 하였다. 로션 사용 전후에 유방의 발열 정도를 체열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사용자의 로션 사용에 의한 유방 체열의 감소율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유방 온도 감소율 구분 유방 온도 감소율
제조예 1 3.95% 제조예 10 3.86%
제조예 2 2.15% 제조예 11 3.73%
제조예 3 2.54% 제조예 12 2.90%
제조예 4 2.78% 제조예 13 3.23%
제조예 5 3.02% 제조예 14 3.40%
제조예 6 3.20% 제조예 15 3.11%
제조예 7 2.88% 비교제조예 1 1.55%
제조예 8 3.70% 비교제조예 2 2.03%
제조예 9 3.75%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조성물을 포함하는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로션이 가장 우수한 유방 체열 감소율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이나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5)

  1.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병풀잎 추출물 10 ~ 30 중량부, 로즈마리잎 추출물 3 ~ 10 중량부 및 감자 추출물 25 ~ 4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천연오일은 민들레꽃 천연오일 및 양배추잎 천연오일을 1 : 1.2 ~ 2.0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풀잎 추출물은 병풀잎을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이고,
    상기 로즈마리잎 추출물은 로즈마리잎을 80 ~ 110℃의 온도의 열수를 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이며,
    상기 감자 추출물은 감자를 80 ~ 110℃의 온도의 열수를 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KR1020210074877A 2021-06-09 2021-06-09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50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877A KR102350612B1 (ko) 2021-06-09 2021-06-09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877A KR102350612B1 (ko) 2021-06-09 2021-06-09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612B1 true KR102350612B1 (ko) 2022-01-11

Family

ID=79355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877A KR102350612B1 (ko) 2021-06-09 2021-06-09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6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415B1 (ko) 2006-02-03 2007-08-07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추출혼합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190012329A (ko) * 2017-07-27 2019-02-11 메가코스 코스메틱스 시오. 엘티디 천연 식물성 복합성분을 포함하는 피부진정 및 아토피 개선용 조성물
US20190105261A1 (en) * 2017-10-11 2019-04-11 Illustris Pharmaceutical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opical deliver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415B1 (ko) 2006-02-03 2007-08-07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추출혼합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190012329A (ko) * 2017-07-27 2019-02-11 메가코스 코스메틱스 시오. 엘티디 천연 식물성 복합성분을 포함하는 피부진정 및 아토피 개선용 조성물
US20190105261A1 (en) * 2017-10-11 2019-04-11 Illustris Pharmaceutical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opical delivery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oi Seo-young and Hae-won Hae, article "How to escape the natural enemy of breastfeeding, 'mild fat'?", https://www.mkhealth.co.kr/news/articleView.html?idxno=52644 (2021.04.12.)* *
If you suffer from breast tenderness after giving birth, https://www.asiae.co.kr/article/2009102206422866505 (2009.10.22.)* *
Kim Jin-woo, Mothershoe Cabbage Balm Cabbage Cream, specially effective for sweet milk and breast meat, https://www.sp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228585 (2019.11.29.)* *
매경헬스 기사, ‘모유수유 천적 젖몸살 탈출 방법은?’, https://www.mkhealth.co.kr/news/articleView.html?idxno=52644 (2021.04.12.)*
스페셜경제 기사, ‘단유, 젖몸살에 특효 마더슈 캐비지밤 양배추 크림’, https://www.sp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228585 (2019.11.29.)*
아시아경제 기사, ‘출산 후 젖몸살에 시달린다면’, https://www.asiae.co.kr/article/2009102206422866505 (200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532B1 (ko)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912411B2 (ja) 発毛促進剤及びその製造方法
Nikhal et al. Hydroalcoholic extraction of Mangifera indica (leaves) by Soxhletion
KR100893106B1 (ko) 발모용 조성물
KR100794446B1 (ko) 발모촉진제 및 제조방법
JP2008156325A (ja) 皮膚外用剤および美白剤
KR102012732B1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염증 및 모공축소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1257641B1 (ko)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생약성분 화장품 제조 방법
KR20200000706A (ko) 여성청결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
Rehman et al. Commercial importance, medicinal value and therapeutic potentials of chaff flower (achyranthes aspera)–a review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81204A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50083168A (ko) 얼굴 붓기완화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
KR102350612B1 (ko)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03827B1 (ko) 수제 한방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0529014B1 (ko)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를 억제하는 모공수축 화장료조성물
KR20190133085A (ko) 종대황 추출물과 산사나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107146A (ko) 식물복합 추출물(칠백진고)을 함유하는 혈행 촉진용 및피부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5003307A1 (zh) 一种促进生发中药制剂及制备方法
KR20120086436A (ko)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CN106139077A (zh) 一种芳香植物生发剂及其制备方法
KR20090077619A (ko)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는 한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2100818B1 (ko) 만병초와 당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1521B1 (ko) 두피 건강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19450A (ko) 튼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