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111B1 -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 - Google Patents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111B1
KR102349111B1 KR1020210041631A KR20210041631A KR102349111B1 KR 102349111 B1 KR102349111 B1 KR 102349111B1 KR 1020210041631 A KR1020210041631 A KR 1020210041631A KR 20210041631 A KR20210041631 A KR 20210041631A KR 102349111 B1 KR102349111 B1 KR 102349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rotary
fixed
rotation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덕
Original Assignee
박재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덕 filed Critical 박재덕
Priority to KR1020210041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005Movable bridges in general ; Constructional elements peculiar to movable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01D15/124Folding or telescopic bridges; Bridges built up from folding or telescopic s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은 물을 사이에 두고 사람 또는 차량을 이동시키는 교량으로, 일단이 고정된 고정브릿지와, 고정브릿지의 타측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베이스와, 회전베이스에 타단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가 물에 잠기는 회전브릿지와, 회전브릿지의 타측 일면에 회전브릿지를 회전베이스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회전브릿지의 회전시 회전브릿지는 고정브릿지의 타측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은 별도의 교각의 설치없이 수면을 따라 이동하는 구조의 교량을 제공함으로써 설치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지 않는 교량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MOVABLE BRIDGE HAVING AN FLEXIBLE OPENING ROUTE}
본 발명은 이동식 교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선박의 통행을 위해 보다 효과적으로 개방경로를 형성할 수 있는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에 관한 것이다.
강 또는 바다에 교각을 설치하고, 교량 상판을 교각 사이에 연결 설치하여 사람 또는 차량을 이동시키는 교량은 교각 사이를 통해 선박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높은 교각을 설치하거나 교각과 교각 사이의 길이를 벌릴 수 있도록 현수교나 사장교 형태의 교량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교량은 고정구조물로 설치에 많은 비용이 필요하므로 일정 수준 이상의 교통량이 있는 경우에만 교량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일정 수준 이하의 교통량이 있는 지역의 경우, 예를 들어 인구수가 많지 않은 도서지역의 경우에는 충분한 교통량을 확보할 수 없어 현실적으로 교량을 설치할 수 없으며 선박을 통해 이동할 수 밖에 없어 육지 접근성이 낮아지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선박을 통해 이동할 수 밖에 없는 도서지역은 육지 접근성의 측면에서 지역민의 삶의 질을 악화시키며, 다시 도서지역의 인구를 감소시키게 되는 악순환을 발생시키며, 결국 도서의 무인화를 가속시키게 된다.
2016년 한국지방행정연구원에서 발간한 '섬의 인구변화 분석 및 발전 방안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469개 유인도서의 인구는 평균 33.8% 감소하며, 절반 이상의 유인도서에서 67.9%의 인구감소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63개 도서가 무인화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경제적으로 육지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교량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국토의 발전은 불균형은 보다 심화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3169호 (2014. 03. 05 공개)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은 설치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지 않는 교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은 교량의 상판을 수면을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선박을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교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은 선박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교량의 상판을 이동하는 경우, 보다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교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은 물을 사이에 두고 사람 또는 차량을 이동시키는 교량으로, 일측이 고정된 고정브릿지와, 고정브릿지의 타측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베이스와, 회전베이스에 타단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가 물에 잠기는 회전브릿지와, 회전브릿지의 타측 일면에 회전브릿지를 회전베이스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회전브릿지의 회전시 회전브릿지는 고정브릿지의 타측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의 회전브릿지가 고정브릿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고정브릿지와 회전베이스의 회전중심과, 회전브릿지와 회전베이스의 회전중심은 상호 이격되어, 회전브릿지와 고정브릿지의 대향되는 측면부는 상호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의 고정브릿지의 타측에는 고정브릿지와 회전베이스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고정브릿지회전축이 결합되고, 회전브릿지의 일측에는 회전브릿지와 회전베이스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회전브릿지회전축이 결합되며, 고정브릿지회전축과 회전브릿지회전축에는 상호 치합하는 기어가 배치되어, 회전브릿지의 회전시 고정브릿지회전축의 기어를 중심으로 회전브릿지가 회전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의 고정브릿지의 타측 저면과 회전브릿지 일측저면에는 기어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기어하우징이 결합되고, 기어하우징의 수용부에는 기어하우징을 관통하여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의 구동부는 물속에 잠겨 구동시 회전브릿지를 회전시키는 프로펠러와, 프로펠러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의 회전브릿지의 타측 측면에는 하부가 개방된 수납하우징이 배치되고, 모터는 상단이 수납하우징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로드와 결합되어 연결로드의 회전방향에 따라 구동부가 수납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거나, 프로펠러가 물속에 잠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의 회전브릿지의 하부에는 내부에 평형수가 저장되는 탱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의 탱크의 저면에는 탱크의 저면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유동방지패널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은 별도의 교각의 설치없이 수면을 따라 이동하는 구조의 교량을 제공함으로써 설치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지 않는 교량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은 교량의 상판을 수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박을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은 선박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교량의 상판을 이동시 이동하는 상판과 같이 베이스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교량 상판을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의 작동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의 사시도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 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의 작동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은 물을 사이에 두고 사람 또는 차량을 이동시키는 교량으로, 일측이 강 또는 바다의 기슭에 고정된 고정브릿지(100)와, 고정브릿지(100)의 타측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베이스(200)와, 회전베이스(200)에 타단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가 물에 잠기는 회전브릿지(300)로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브릿지(300)의 타측 일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베이스(200)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400)가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부(400)가 구동되는 경우, 회전브릿지(300)는 고정브릿지(100)의 타측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브릿지(300)가 회전하여 고정브릿지(100)가 고정된 기슭에 반대 방향의 기슭으로 닿게 되면 사람 또는 차량은 고정브릿지(100), 회전베이스(200) 및 회전브릿지(300)의 상부면을 통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회전브릿지(300)가 고정브릿지(100)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고정브릿지(100)와 회전베이스(200)의 회전중심과, 회전브릿지(300)와 회전베이스(200)의 회전중심은 상호 이격되어, 회전브릿지(300)와 상기 고정브릿지(100)의 대향되는 측면부는 상호 맞닿을 수 있도록 도 2의 (c)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회전브릿지(300)를 고정브릿지(100)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도 2의 (c)와 같이 회전브릿지(300)의 측면과 고정브릿지(100)의 측면이 상호 맞닿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선박이 보다 효과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강 또는 바다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의 고정브릿지(100)의 타측에는 도 3과 같이 고정브릿지(100)와 회전베이스(200)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고정브릿지회전축(110)이 결합되고, 회전브릿지(300)의 일측에는 회전브릿지(300)와 회전베이스(200)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회전브릿지회전축(310)이 결합된다.
이때, 고정브릿지회전축(110)과 회전브릿지회전축(310)에는 상호 치합하는 기어(112, 312)가 배치되어, 회전브릿지(300)의 회전시 고정브릿지회전축(110)의 기어(112)를 중심으로 회전브릿지(3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회전브릿지(300)의 회전시 회전베이스(200)가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고정브릿지회전축(110)과 회전브릿지회전축(310)에는 상호 치합하는 기어(112, 312)가 1대 1의 기어비로 구성되는 경우, 도 2의 (b) 및 (c)와 같이 회전브릿지(300)가 45도 회전하면 회전베이스(200)가 45도 회전하여 회전브릿지(300)가 전체적으로 90도 회전하게 되어 회전브릿지(300)를 보다 빨리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회전베이스(200)의 저면,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베이스(200)의 저면에 결합하는 고정브릿지(100)의 타측 저면과 회전브릿지(300) 일측저면에는 고정브릿지회전축(110)과 회전브릿지회전축(310)의 기어(112, 312)를 수용하는 수용부(212)가 형성된 기어하우징(210)이 결합된다.
기어하우징(210)은 기어(112, 312)를 보호하는 것으로, 상부에 기어(112, 312)가 수용되는 수용부(212)가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부(212)에는 기어하우징(210)의 상부면과 고정브릿지(100) 또는 회전브릿지(300)의 저면사이로 물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기어하우징(210)을 관통하여 유입될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212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400)는 물속에 잠겨 구동시 회전브릿지(300)를 회전시키는 프로펠러(410)와, 프로펠러(410)를 구동시키는 모터(42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112, 132)를 회전시키는 별도의 수단을 이용하여도 회전브릿지(300)를 회전시킬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회전의 중심축에 가까운 위치에서 힘을 전달하여야 하므로 고출력의 엔진, 모터 등이 사용되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의 중심축에서 먼 위치에 구동부(400)를 설치하여 저출력의 엔진, 모터를 사용하여 회전브릿지(3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회전의 중심축을 회전시키는 별도의 엔진, 모터 등이 사용될 수 없는 것은 아니며, 사용되는 경우, 회전축으로부터 먼 위치에 설치된 구동부(400)를 보조하는 수단으로써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회전브릿지(300)의 타단에는 회전브릿지(300)가 전개되는 경우, 회전브릿지(300)를 고정, 또는 견인할 수 있는 와이어가 설치될 수도 있다.
구동부(400)는 도 2의 (c)와 같이 고정브릿지(100)와 회전브릿지(300)가 만닿는 면에 대항되는 면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구동부(400)를 회전브릿지(300)의 타측 양면에 설치하여 보다 빠르게 회전시킬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전브릿지(300)의 타측 측면에는 구동부(400)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수납하우징(320)이 배치될 수 있으며, 모터(420)는 상단이 수납하우징(320)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로드(430)와 결합되어 연결로드(430)을 회전시켜 프로펠러(410)과 모터(420)가 수납하우징(320) 내부로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안 중 한쪽의 기슭에만 고정브릿지(100)를 설치할 수도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릿지(100)를 양안 각각에 설치하여 회전브릿지(300)의 단부가 상호 맞닿을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호 맞닿은 회전브릿지(300)를 고정시키는 별도의 고정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브릿지(300)의 하부에는 탱크(330)가 배치되어 회전브릿지(300)의 부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때 탱크(300)에는 내부에 평형수를 저장하여 탱크(300)의 일부를 물속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탱크(330)는 회전브릿지(300) 외에 회전베이스(200) 또는 고정브릿지(100)의 일부에도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탱크(330)의 저면에는 탱크(330)의 저면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유동방지패널(340)을 배치하여 물살 또는 파도에 의하여 회전브릿지(30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 있다.
이러한 유동방지패널(340)은 유동방지패널(340)의 상단부가 탱크(330)에 회동가능허게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탱크(330)에서 하부 방향으로 회동시켜 설치할 수도 있으며, 도 4와 같이 탱크(330)에 별도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수납공간에 삽입하여 필요에 따라 돌출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유동방지패널은 별도의 유압실린더등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00 : 고정브릿지 110 : 고정브릿지회전축
112 : 기어
200 : 회전베이스 210 : 기어하우징
212 : 수용부 212a : 배수구
300 : 회전브릿지 310 : 회전브릿지회전축
312 : 기어 320 : 수납하우징
330 : 탱크 340 : 유동방지패널
400 : 구동부 410 : 프로펠러
420 : 모터 430 : 연결로드

Claims (8)

  1. 물을 사이에 두고 사람 또는 차량을 이동시키는 교량에 있어서,
    일측이 고정된 고정브릿지(100);
    상기 고정브릿지(100)의 타측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베이스(200);
    상기 회전베이스(200)에 타단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가 물에 잠기는 회전브릿지(300);
    상기 회전브릿지(300)의 타측 일면에 상기 회전브릿지(300)를 상기 회전베이스(200)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브릿지(300)의 회전시 상기 회전브릿지(300)는 상기 고정브릿지(100)의 타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회전브릿지(300)가 상기 고정브릿지(100)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고정브릿지(100)와 회전베이스(200)의 회전중심과, 상기 회전브릿지(300)와 회전베이스(200)의 회전중심은 상호 이격되어, 상기 회전브릿지(300)와 상기 고정브릿지(100)의 대향되는 측면부는 상호 맞닿으며,
    상기 고정브릿지(100)의 타측에는 상기 고정브릿지(100)와 회전베이스(200)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고정브릿지회전축(110)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브릿지(300)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브릿지(300)와 회전베이스(200)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회전브릿지회전축(310)이 결합되며,
    상기 고정브릿지회전축(110)과 상기 회전브릿지회전축(310)에는 상호 치합하는 기어(112, 312)가 배치되어, 상기 회전브릿지(300)의 회전시 상기 고정브릿지회전축(110)의 기어(112)를 중심으로 상기 회전브릿지(300)가 회전하며,
    상기 고정브릿지(100)의 타측 저면과 상기 회전브릿지(300) 일측저면에는 상기 기어(112, 312)를 수용하는 수용부(212)가 형성된 기어하우징(210)이 결합되고,
    상기 기어하우징(210)의 수용부(212)에는 상기 기어하우징(210)의 상부면과 상기 고정브릿지(100) 또는 상기 회전브릿지(300)의 저면사이로 유입될 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기어하우징(210)을 관통하여 배수구(212a)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400)는 물속에 잠겨 구동시 상기 회전브릿지(300)를 회전시키는 프로펠러(410)와, 상기 프로펠러(410)를 구동시키는 모터(42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브릿지(300)의 타측 측면에는
    하부가 개방된 수납하우징(320)이 배치되고,
    상기 모터(420)는 상단이 상기 수납하우징(320)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로드(430)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로드(4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구동부(400)가 상기 수납하우징(320) 내부에 배치되거나, 프로펠러(410)가 물속에 잠기며,
    상기 고정브릿지(100) 및 상기 회전브릿지(300)의 하부에는 내부에 평형수가 저장되는 탱크(330)가 배치되며,
    상기 탱크(330)의 평면기준 길이방향에 직교한 양 측면측 저면에는 각각 상기 탱크(300)의 길이방향 기준 일단에서 타단에 걸쳐 한 쌍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에는 대응 삽입되어 상기 탱크(330)의 저면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유동방지패널(34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0041631A 2021-03-31 2021-03-31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 KR102349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631A KR102349111B1 (ko) 2021-03-31 2021-03-31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631A KR102349111B1 (ko) 2021-03-31 2021-03-31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111B1 true KR102349111B1 (ko) 2022-01-07

Family

ID=79355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631A KR102349111B1 (ko) 2021-03-31 2021-03-31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11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2849A (ko) * 2006-12-08 2008-06-12 윤정근 합성수지의 직,곡관 퓨젼 머신
JP2011255539A (ja) * 2010-06-07 2011-12-22 Tesuku Shizai Hanbai:Kk プラスチックパイプ熱融着機
KR101373169B1 (ko) 2012-11-29 2014-03-13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데크세그먼트를 이용한 단경간 인장형 사장교 시공방법
KR101378843B1 (ko) * 2012-01-12 2014-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복합형 안벽구조물
KR20140055404A (ko) * 2012-10-31 2014-05-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스러스터 승강장치
JP6158908B2 (ja) * 2012-03-16 2017-07-05 クルーズ、ベンチャーズ、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Cruise Ventures As 浮動通路装置及びその使用
KR101754814B1 (ko) * 2016-10-17 2017-07-19 이정구 열융착기
KR102146520B1 (ko) * 2019-07-30 2020-08-20 이관민 파이프 클램핑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2849A (ko) * 2006-12-08 2008-06-12 윤정근 합성수지의 직,곡관 퓨젼 머신
JP2011255539A (ja) * 2010-06-07 2011-12-22 Tesuku Shizai Hanbai:Kk プラスチックパイプ熱融着機
KR101378843B1 (ko) * 2012-01-12 2014-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복합형 안벽구조물
JP6158908B2 (ja) * 2012-03-16 2017-07-05 クルーズ、ベンチャーズ、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Cruise Ventures As 浮動通路装置及びその使用
KR20140055404A (ko) * 2012-10-31 2014-05-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스러스터 승강장치
KR101373169B1 (ko) 2012-11-29 2014-03-13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데크세그먼트를 이용한 단경간 인장형 사장교 시공방법
KR101754814B1 (ko) * 2016-10-17 2017-07-19 이정구 열융착기
KR102146520B1 (ko) * 2019-07-30 2020-08-20 이관민 파이프 클램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8165C2 (ru) Модульная полупогруж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FI75773C (fi) Semisubmersible farkost.
US3837309A (en) Stably buoyed floating offshore device
KR20040094883A (ko) 부유 구조물
KR102349111B1 (ko)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
SU1316552A3 (ru) Автономна морска станци дл хранени наливных грузов и их перегрузки судам (ее варианты)
KR960037981A (ko) 반잠수되며 이동가능한 조립식 해상 플랫폼 지지물
GB2147549A (en) Minimum heave offshore structure
KR102250159B1 (ko) 수상 태양광 설비용 부유식 구조물
Ellers Advanced offshore oil platforms
JP2000282434A (ja) 津波防波堤
KR101885076B1 (ko) 이동식 문풀장치
KR101422605B1 (ko) 스러스터 승강장치
GB2063182A (en) Offshore harbours
CA236604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tidal power into electrical energy
US20090154999A1 (en) Floating Pier
US5135666A (en) Marine oil spill clean-up method using a motion compensator means
KR101549198B1 (ko)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
FI115209B (fi) Järjestely vesialuksessa
KR100955850B1 (ko) 해양 파일의 비말대 부식 수리 자항 분리 함체
JP2002160692A (ja) 船舶係留設備
JPH0660611U (ja) 浮桟橋
KR20240073435A (ko) 운송이 용이한 부유식 해상 라이다 부이
RU2163278C2 (ru) Морская платформа
JPH06287929A (ja) 可動式防波堤の据え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