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843B1 - 복합형 안벽구조물 - Google Patents

복합형 안벽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8843B1
KR101378843B1 KR1020120003797A KR20120003797A KR101378843B1 KR 101378843 B1 KR101378843 B1 KR 101378843B1 KR 1020120003797 A KR1020120003797 A KR 1020120003797A KR 20120003797 A KR20120003797 A KR 20120003797A KR 101378843 B1 KR101378843 B1 KR 101378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quay
rotating shaft
fasten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3178A (ko
Inventor
이진호
김병우
최창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3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843B1/ko
Publication of KR20130083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8Landing stages for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복합형 안벽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안에서 해상 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지지구조물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제 1 안벽; 및 제 1 안벽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2 안벽;을 포함하는 복합형 안벽구조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복합형 안벽구조물 {COMPOSITE QUAY STRUCTURE}
본 발명은 안벽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안벽과 제 2 안벽이 결합된 복합형 안벽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벽(岸壁, quay)은 선박의 접안을 위해 해안에 설치되는 구조물로, 하물의 선하역이나 승객의 승하선 등의 용도로 사용되게 된다. 또한, 선박을 건조하는 조선소의 경우, 상기와 같은 안벽을 통해 선박에 의장품 탑재나 각종 설비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종래 조선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안벽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반적으로 안벽(10)은 해안에서 해상 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해저면에 고정 설치되게 된다. 또한, 건조중인 선박(20)은 의장품 탑재 등을 위하여 안벽(10) 내측에 배치되어, 탑재나 내부설비공사 등이 수행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벽(10)은 해안에 고정 설치되는 구조로, 일반적으로 한번 설치되면 위치를 변경시키기거나 안벽(10)의 폭을 넓히는 등의 추가 공사가 매우 곤란하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양한 건조공법의 개발로 인해, 안벽(10) 위에 대형설비를 설치하여 각종 설비공사를 진행하거나, 안벽(10) 내측으로 해상크레인(30)을 접근시켜 탑재 등을 수행하는 공법 등이 등장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경우, 종래의 고정된 안벽(10)을 그대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경우, 안벽(10) 위의 작업공간이 제한되어 대형설비의 도입시 공간적인 제약이 뒤따르게 되며, 안벽(10) 내측의 폭이 좁아 안벽(10) 내측으로 해상크레인(30)을 접근시키기가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선박(20)의 건조에 초대형 해상크레인(30)을 이용하거나 복수개의 해상크레인(30)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공법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안벽(10) 내측의 폭이 좁아 해상크레인(30)의 접근을 곤란하게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벽(10)의 규모를 확장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하거나, 안벽(10) 내측의 폭을 넓게 설치하는 방법 등이 고려될 수 있으나, 공간활용도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이며, 안벽(10)을 새로이 설치하여야 하는 바, 비용 및 시간상의 측면에서 적절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정식 안벽(10) 이외에, 특허문헌 1(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27462호)과 같이 해상에 부유하는 형태의 이동식 플로팅 안벽이 제안된 바 있으나, 구조적 안전성이나 작업공간의 확보 등의 측면에서 고정식 안벽(10)이 가지는 장점을 따라가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일부 특정한 목적이나 상황에서만 사용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27462호 (2008년 04월 28일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간활용도가 우수하면서도, 작업공간 확보 및 안벽 내측으로 접근이 용이한 복합형 안벽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안에서 해상 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지지구조물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제 1 안벽; 및 상기 제 1 안벽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2 안벽;을 포함하는 복합형 안벽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안벽과 상기 제 2 안벽은 상부면의 높이가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안벽은, 일측으로 회전시 상기 제 1 안벽 측으로 완전하게 접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안벽과 함께 광폭(廣幅) 안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형 안벽구조물은, 상기 제 1 안벽에 상기 제 2 안벽을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시키는 것으로, 해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컬럼과, 상기 고정컬럼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안벽에는 상기 회전축에 체결되는 제 1 축체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 1 축체결부는 상기 회전축이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과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안벽에는 상기 회전축에 체결되는 제 2 축체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 2 축체결부는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축과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에는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축체결부는 상기 기어부에 맞물리도록 체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합형 안벽구조물은, 상기 제 2 안벽의 일측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하단부가 해저면에 박혀 상기 제 2 안벽이 회전되지 않도록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스터드핀을 구비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1 안벽 또는 상기 제 2 안벽의 측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 2 안벽 또는 상기 제 1 안벽의 측면부에 마련되는 고정바체결구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합형 안벽구조물은, 상기 제 2 안벽에 장착되며, 추력을 생성하여 상기 제 2 안벽을 회전시키는 추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 1 안벽에 제 2 안벽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해상크레인 등의 안벽 내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 1 안벽과 제 2 안벽이 일체로 결합되어 일종의 광폭 안벽으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안벽구조물의 공간활용도 및 효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조선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안벽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안벽구조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복합형 안벽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복합형 안벽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회전축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복합형 안벽구조물의 제 1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복합형 안벽구조물의 제 2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안벽구조물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안벽구조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에 도시된 복합형 안벽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4은 도 2에 도시된 복합형 안벽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안벽구조물(100)은 고정 설치되는 제 1 안벽(110)과, 제 1 안벽(1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2 안벽(120)을 포함한다.
제 1 안벽(110)은 해안에서 해상 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복수개의 지지구조물(1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지지구조물(111)은 해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제 1 안벽(110)을 지지하게 되며, 제 1 안벽(110)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 형태의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트러스(truss)의 형태의 지지구조물(111)이 제 1 안벽(110)을 지지하는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지지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예시한 트러스 형태의 지지구조물(11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안벽(120)은 제 1 안벽(110)과는 달리 이동 가능한 형태의 안벽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안벽(120)은 별도의 지지수단 없이 부력에 의해 해상에 부유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해저면에 고정 설치되지 않은 지지구조물, 예를 들어 해저면과 맞닿는 부분에 바퀴가 부착된 지지구조물 등에 의하여 필요 시에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해저면에 레일을 설치하여 지지구조물이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방법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 가능한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 2 안벽(120)의 내측에는 부력 생성을 위한 공간부(미도시)나, 제 2 안벽(120)의 평형을 조절하기 위한 발라스트탱크(미도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2 안벽(120)은 제 1 안벽(1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제 2 안벽(120)은 제 1 안벽(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소정정도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의 경우, 제 1 안벽(110)의 일단부에 제 2 안벽(120)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 1 안벽(110)으로부터 제 2 안벽(120)까지가 하나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제 2 안벽(120)이 제 1 안벽(110)의 중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거나, 제 2 안벽(120)의 중단부가 제 1 안벽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예시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제 2 안벽(120)은 제 1 안벽(110)과 상부면의 높이가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 2 안벽(120)과 제 1 안벽(110) 간에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 제 2 안벽(120) 및 제 1 안벽(110)이 하나의 안벽구조물과 같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 2 안벽(120)은 제 1 안벽(110) 측으로 완전하게 접힘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안벽구조물(100)은 제 2 안벽(120) 일측으로 회전시, 제 2 안벽(120)은 제 1 안벽(110) 측으로 완전하게 접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2 안벽(120)이 제 1 안벽(110) 측으로 완전하게 접혀진 경우, 제 2 안벽(120)의 측면부는 제 1 안벽(110)의 측면부과 맞닿게 되며, 제 2 안벽(120)과 제 1 안벽(110)이 일체화되어 하나의 광폭(廣幅) 안벽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안벽구조물(100)은 해상에 고정 설치된 제 1 안벽(110)과, 제 1 안벽(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해상에서 이동이 가능한 제 2 안벽(120)으로 이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안벽구조물(100)은, 필요에 따라, 제 1 안벽(110)에서 제 2 안벽(120)까지 길게 이어지는 안벽구조물로 사용되거나, 제 2 안벽(120)이 제 1 안벽(110) 측으로 접혀진 광폭형(廣幅形) 안벽구조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안벽구조물(100)은 제 2 안벽(120)을 제 1 안벽(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시키는 회전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130)는 고정컬럼(131), 회전축(132) 및 축구동부(133)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컬럼(131)은 상하방향의 기둥형태로 형성되어, 해저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회전축(132)은 고정컬럼(131)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하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컬럼(131)은 해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축(132)을 지지하며, 회전축(132)은 상하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고정컬럼(13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축구동부(133)는 회전축(132)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체인(미도시), 벨트(미도시), 기어장치(미도시) 등의 다양한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회전축(132)과 연결되어, 모터(미도시), 감속기(미도시) 등을 통해 회전축(132)을 회전 구동시키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축구동부(133)가 제 1 안벽(110)의 상부면에 설치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축구동부(133)는 제 2 안벽(120) 측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제 1 안벽(110)이나 제 2 안벽(120)의 내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제 1 안벽(110) 및 제 2 안벽(120)은 상기와 같은 회전축(132)에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안벽(110)의 일측에는 제 1 축체결부(1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안벽(120)의 일측에는 제 2 축체결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축체결부(112)는 회전축(132)과 체결되되, 회전축(132)이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132)과 체결될 수 있다. 즉, 제 1 축체결부(112)는 회전축(132)이 내측으로 삽입 체결되되, 회전축(132)의 회전을 구속하지 않도록 회전축(132)과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132)이 회전되더라도 제 1 축체결부(112)나 제 1 안벽(110)은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회전축(132)과는 별개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제 1 축체결부(112)의 내측에는 회전축(132)의 회전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베어링(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 2 축체결부(121)는 회전축(132)과 체결되되, 회전축(132)과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축체결부(121)는 회전축(132)에 고정되어, 회전축(132)의 회전시 회전축(132)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132)이 축구동부(133)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 제 2 축체결부(121) 및 제 2 안벽(120)은 회전축(132)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회전축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의 경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안벽(110) 및 제 2 안벽(120)의 내측에 체결된 회전축(132) 부분을 투시하여 도시하였다. 도 4를 참고하면, 회전축(132)에는 기어부(132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축체결부(121)는 상기와 같은 기어부(132a)에 맞물리도록 체결되어 회전축(132)과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축(132)의 일부분에 기어부(132a)가 형성되고, 제 2 축체결부(121)가 기어부(132a)에 치합되는 형태로 체결되어, 회전축(132)이 회전되면 제 2 축체결부(121) 및 제 2 안벽(120)이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축체결부(112)는 상기와 같은 기어부(132a)가 없는 부분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회전축(132)이 회전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으며,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안벽구조물(100)은 제 2 안벽(120)을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40)는 고정스터드핀(141)과, 고정스터드핀(141)을 구동하는 핀구동부(142)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스터드핀(141)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 2 안벽(12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 2 안벽(120)의 일단부 측에 고정스터드핀(141)이 마련된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상기 예시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 2 안벽(120)의 중단부 등에 고정스터드핀(141)이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고정스터드핀(141)이 마련된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고정스터드핀(141)이 마련될 수도 있다.
고정스터드핀(141)은 제 2 안벽(12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하단부가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어 해저면에 박힐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스터드핀(141)은 상하방향으로 소정정도 이동 가능하도록 제 2 안벽(12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고정스터드핀(141)은 하측으로 이동되어 해저면에 박혀 있는 상태로 있거나, 상측으로 이동되어 해저면에서 분리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한편, 핀구동부(142)는 고정스터드핀(141)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체인(미도시), 벨트(미도시), 기어장치(미도시) 등의 다양한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고정스터드핀(141)과 연결되어, 모터(미도시), 감속기(미도시) 등을 통해 고정스터드핀(141)을 상하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핀구동부(142)가 제 2 안벽(120)의 상부면에 마련된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핀구동부(142)는 제 2 안벽(120)의 내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고정스터드핀(141) 및 핀구동부(142)는 고정스터드핀(141)의 상하 이동에 의해 제 2 안벽(120)의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고정해제시킬 수 있다. 즉, 제 2 안벽(120)의 위치를 고정시킬 필요에 있는 경우, 고정스터드핀(141)이 하측으로 이동되어 하단부가 해저면에 박힘으로써, 제 2 안벽(120)이 파랑 등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위치 고정되게 된다. 또한, 제 2 안벽(120)을 회전시키기 위해 고정해제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스터드핀(141)이 상측으로 이동되어 제 2 안벽(120)을 고정해제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안벽구조물(100)은 회전되는 제 2 안벽(120)을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상기와 같은 고정스터드핀(141) 등을 통해 제 2 안벽(120)이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될 수 있으며, 제 2 안벽(120) 위에서도 일반적인 고정식 안벽에서와 동일하게 각종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40)는 제 2 안벽(120)이 완전히 전개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2 안벽(120)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고정바(143) 및 고정바체결구(144)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바(143)는 제 2 안벽(120) 또는 제 1 안벽(110)의 측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고정바체결구(144)는 고정바(143)에 대응되도록 제 1 안벽(110) 또는 제 2 안벽(120)의 측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안벽(110)의 측면부에 회전 가능한 고정바(143)가 마련되고, 제 2 안벽(120)의 측면부에 대응되는 고정바체결구(144)가 마련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다만, 필요에 따라 제 1 안벽(110)에 고정바체결구(144)가 마련되고, 제 2 안벽(120)에 고정바(143)가 마련될 수도 있으며, 상기 예시한 경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고정바(143) 및 고정바체결구(144)는, 제 2 안벽(120)이 완전하게 전개되어 제 1 안벽(110)과 나란하게 일렬로 배치되는 경우에, 회전축(132)이 배치된 부분을 지지하여 구조강도를 보강한다. 즉, 제 2 안벽(120)이 완전히 전개되어 제 1 안벽(110)와 일렬로 배치되는 경우, 파랑 등에 의해 회전축(132) 부위에 응력이 집중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구조물의 파손 등이 발생될 수 있다. 고정바(143) 및 고정바체결구(144)는 상기와 같이 응력이 집중될 수 있는 회전축(132) 부위를 지지하여, 파랑 등에 의해 제 2 안벽(120)이 의도치 않게 회전되거나, 회전축(132) 등의 연결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안벽구조물(100)은 추진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진부(150)는 제 2 안벽(12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추력을 통해 제 2 안벽(120)을 회전시키게 된다. 즉, 추진부(150)는 프로펠러(150), 워터제트(미도시) 등을 통해 일측으로 추력을 발생시켜 제 2 안벽(120)의 회전을 보조할 수 있다. 특히, 제 2 안벽(120)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에는, 회전축(132)의 회전만을 통해 제 2 안벽(120)을 회전시키기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추진부(150)를 통해 제 2 안벽(120)의 회전을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추진부(150)는 제 2 안벽(120)의 길이에 따라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추진부(150)가 제 2 안벽(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안벽구조물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복합형 안벽구조물의 제 1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안벽구조물(100)은 제 1 안벽(110)과 제 2 안벽(120)이 나란하게 일렬로 배치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 2 안벽(120)은 완전하게 전개되며, 고정스터드핀(141) 및 고정바(143)에 의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이때, 고정스터드핀(141)은 하측으로 이동되어 해저면에 박혀 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바(143) 또한 전개되어 고정바체결구(144)에 체결됨으로써, 제 2 안벽(120)은 일자로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선박(20)에 해상크레인(30) 등이 접근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선박(20)의 건조 중에 해상크레인(30)을 통해 중량물을 선박(20)에 탑재하거나, 선박(20)의 건조완료 후 선박(20)을 예인시키는 경우 등에는 해상크레인(30)이 안벽 내측으로 접근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안벽구조물(100)은 제 2 안벽(120)을 소정정도 회전시켜 해상크레인(30) 등의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해상크레인(30)의 접근이 필요한 경우, 제 2 안벽(120)을 고정시키고 있던 고정스터드핀(141)은 상측으로 이동되어 해저면에서 분리되며, 고정바(143) 또한 일측으로 회동되어 고정바체결구(144)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또한, 제 2 안벽(120)의 구속이 해제되면, 축구동부(133)가 회전축(132)을 회전시키게 되며, 회전축(132)이 회전됨에 따라 제 2 안벽(120)이 함께 회전되게 된다. 이때, 제 2 안벽(120)의 회전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추진부(150)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추진부(150)는 일측으로 추력을 발생시켜 제 2 안벽(120)의 회전 이동을 보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 2 안벽(120)이 소정정도 회전 이동되면, 해상크레인(30)이 선박(20)에 접근하기 위한 입구가 넓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해상크레인(30)은 용이하게 선박(20)으로 접근하여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복합형 안벽구조물의 제 2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안벽구조물(100)은 일종의 광폭형 안벽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제 2 안벽(120)이 제 1 안벽(110) 측으로 완전하게 접혀진 경우, 제 2 안벽(120)과 제 1 안벽(110)은 하나로 합쳐지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안벽구조물(100)은 제 2 안벽(120)과 제 1 안벽(110)의 상부면이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바, 제 2 안벽(120) 및 제 1 안벽(110)은 폭이 두 배가 된 일종의 광폭형 안벽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제 2 안벽(120)은 제 1 안벽(110) 측으로 완전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고정스터드핀(141)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안벽구조물(100)은 건조되는 선박(20)의 종류나 작업특성 등에 따라, 제 2 안벽(120)과 제 1 안벽(110)이 나란히 일렬로 배치된 형태로 사용되거나, 제 2 안벽(120)이 완전하게 접혀진 광폭형 안벽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벽구조물의 활용도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안벽구조물(100)은 회전 가능한 제 2 안벽(120)을 구비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안벽구조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안벽구조물(100)은 선박(20)의 탑재나 예인 등을 위한 해상크레인(30)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선박(20) 건조작업의 작업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안벽구조물(100)은 기 설치된 제 1 안벽(110)에 제 2 안벽(120)을 연결 설치하여 구현 가능한 바, 종래의 고정 설치된 일반적인 제 1 안벽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그 활용도가 매우 우수하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복합형 안벽구조물 110: 제 1 안벽
111: 지지구조물 112: 제 1 축체결부
120: 제 2 안벽 121: 제 2 축체결부
130: 회전부 131: 고정컬럼
132: 회전축 133: 축구동부
140: 고정부 141: 고정스터드핀
142: 핀구동부 143: 고정바
144: 고정바체결구 150: 추진부

Claims (10)

  1. 해안에서 해상 측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지지구조물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제 1 안벽; 및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제 1 안벽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부면의 높이가 상기 제 1 안벽의 상부면 높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해상에 부유되는 제 2 안벽;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안벽은,
    길이방향이 상기 제 1 안벽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도록 전개되어, 상기 제 1 안벽으로부터 길이방향 연장된 안벽 구조를 형성하는 한편,
    일 측면부가 상기 제 1 안벽의 일 측면부에 접하도록 상기 제 1 안벽 측으로 접힘되어, 상기 제 1 안벽과 함께 광폭(廣幅) 안벽을 형성하는 복합형 안벽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벽에 상기 제 2 안벽을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시키는 것으로, 해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컬럼과, 상기 고정컬럼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복합형 안벽구조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벽에는 상기 회전축에 체결되는 제 1 축체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 1 축체결부는 상기 회전축이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과 체결되는 복합형 안벽구조물.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벽에는 상기 회전축에 체결되는 제 2 축체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 2 축체결부는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축과 체결되는 복합형 안벽구조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축체결부는 상기 기어부에 맞물리도록 체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된 복합형 안벽구조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벽의 일측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하단부가 해저면에 박혀 상기 제 2 안벽이 회전되지 않도록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스터드핀을 구비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복합형 안벽구조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1 안벽 또는 상기 제 2 안벽의 측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 2 안벽 또는 상기 제 1 안벽의 측면부에 마련되는 고정바체결구를 구비하는 복합형 안벽구조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벽에 장착되며, 추력을 생성하여 상기 제 2 안벽을 회전시키는 추진부;를 더 포함하는 복합형 안벽구조물.
KR1020120003797A 2012-01-12 2012-01-12 복합형 안벽구조물 KR101378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797A KR101378843B1 (ko) 2012-01-12 2012-01-12 복합형 안벽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797A KR101378843B1 (ko) 2012-01-12 2012-01-12 복합형 안벽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178A KR20130083178A (ko) 2013-07-22
KR101378843B1 true KR101378843B1 (ko) 2014-03-28

Family

ID=48994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797A KR101378843B1 (ko) 2012-01-12 2012-01-12 복합형 안벽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8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111B1 (ko) * 2021-03-31 2022-01-07 박재덕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6372A (ja) * 2003-09-02 2005-03-24 Shipbuilding Research Centre Of Japan バースシステム
KR20050101413A (ko) * 2004-04-19 2005-10-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힌지 부착 플랜지를 이용한 접이식 에프피에스오의 케이슨
KR20100123452A (ko) * 2009-05-15 2010-11-2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항구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하역 시스템
KR20100123443A (ko) * 2009-05-15 2010-11-2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하는 선박 화물 하역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6372A (ja) * 2003-09-02 2005-03-24 Shipbuilding Research Centre Of Japan バースシステム
KR20050101413A (ko) * 2004-04-19 2005-10-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힌지 부착 플랜지를 이용한 접이식 에프피에스오의 케이슨
KR20100123452A (ko) * 2009-05-15 2010-11-2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항구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하역 시스템
KR20100123443A (ko) * 2009-05-15 2010-11-2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하는 선박 화물 하역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111B1 (ko) * 2021-03-31 2022-01-07 박재덕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178A (ko) 201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5314B2 (ja) 垂直方向に可変な海洋帆システム
JP5297606B2 (ja) 洋上風力発電装置の設置方法
US20220212762A1 (en) Offshore Floating Structures
CN105314069A (zh) 海上风轮机安装
JP7266447B2 (ja) セミサブ浮体、及びセミサブ浮体を用いた風車の洋上設置方法
KR102075166B1 (ko) 공항이 구비된 부유식 해상 플랫폼
KR101378843B1 (ko) 복합형 안벽구조물
US8181589B2 (en) Gravity anchor
KR101250829B1 (ko) 선박의 스러스터 워터 타이트 구조물 및 이 구조물을 설치 방법
KR101644344B1 (ko) 해양구조물용 난간
KR101313164B1 (ko) 선박 건조용 계선주
KR101475200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EP4105117A1 (en) Transport device for transporting upper tower of floating wind power generator
EP2876040B1 (en) In-ship removal-type thruster device
KR20140137533A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87664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구속장치
KR101315190B1 (ko) 플로팅 도크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제작방법
CN202624579U (zh) 液压埋入成套式舱口盖
KR101580802B1 (ko) 패널 인양 지그
KR101487460B1 (ko) 선박의 레그 탑재 방법
KR101475204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399596B1 (ko) 복합식 해상구조물 및 그의 운용방법
KR101454638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87677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승강 안내장치
KR102106506B1 (ko) 선박의 결합유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