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964B1 - 축방향 모터 - Google Patents

축방향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964B1
KR102348964B1 KR1020210064004A KR20210064004A KR102348964B1 KR 102348964 B1 KR102348964 B1 KR 102348964B1 KR 1020210064004 A KR1020210064004 A KR 1020210064004A KR 20210064004 A KR20210064004 A KR 20210064004A KR 102348964 B1 KR102348964 B1 KR 102348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core
shaft
rotor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수한
채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플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플로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플로우
Priority to KR1020210064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964B1/ko
Priority to PCT/KR2021/019071 priority patent/WO2022244939A1/ko
Priority to EP21940949.7A priority patent/EP431890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964B1/ko
Priority to US18/509,094 priority patent/US2024008876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2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axially facing the armatures, e.g. hub-type cycle dynamo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6Stator cores with slots fo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02K1/182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to stators axially facing the rotor, i.e. with axial or conical air ga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0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93Rotors axially facing s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93Rotors axially facing stators
    • H02K1/2795Rotors axially facing stator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 H02K1/2798Rotors axially facing stator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where both axial sides of the stator face a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rotating magnetic parts on to, or to, the roto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6/00Machines with more than one rotor or st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6/00Machines with more than one rotor or stator
    • H02K16/02Machines with one stator and two or more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방향 모터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축방향 모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축방향 모터는 축과, 고정자수단과, 복수의 회전자수단과, 상단뚜껑과, 하단뚜껑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자수단은 고정자케이싱과, 양단이 축방향으로 상기 고정자하우징의 양단에서 노출된 코어와, 상기 고정자케이싱에 수용되어 상기 코어를 감싸는 코일을 구비하여 상기 축이 관통하여 삽입된다. 상기 회전자수단은 상기 축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자케이싱의 일단에서 노출된 코어와 대향하도록 상기 축의 반경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된 자석과, 상기 코어와 대향하는 상기 자석의 일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자석을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고정자수단에 삽입되도록 사출되어 상기 축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고정결합될 수 있는 회전자고정판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자수단의 양단에 삽입된다. 상기 상단뚜껑은 상기 축이 회전할 수 있게 삽입되고 상기 축의 일단에 위치한 회전자수단을 수용하도록 상기 고정자케이싱에 탈착할 수 있게 결합된다. 상기 하단뚜껑은 상기 축이 회전할 수 있게 삽입되고 상기 축의 타단에 위치한 회전자수단을 수용하도록 상기 고정자케이싱에 탈착할 수 있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자수단은 일단이 상기 고정자수단에 삽입되면 상기 자석과 상기 코어의 대향하는 면이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축방향 모터{Axial flux motor}
본 발명은 축방향 모터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축방향 모터에 대한 것이다.
축방향 모터는 회전자와 고정자가 축의 축방향으로 배치된 모터를 말한다. 이때 회전자의 자석이 축의 코어와 축방향으로 일정 간격 유지하여 서로 대향하고 있다. 그래서 코어에 권선된 코일에 전류가 공급되면 회전자가 회전을 한다.
등록특허 제10-2156481호(등록일자 2020년 09월 09일) 공개특허 제10-2017-0117065호(공개일자 2017년 10월 20일)
축방향 모터의 경우 회전자와 고정자가 축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코어와 자석은 다단으로 형성되므로 다단으로 배치된 코어와 자석 사이의 간격이 일정해야 한다. 그래서 축방향 모터의 경우 코어와 자석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조립해야 하므로 그 조립이 복잡하며, 회전자와 고정자를 다단으로 확장시에도 조립이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회전자와 고정자를 다단으로 확장이 용이한 축방향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방향 모터는 축과, 고정자수단과, 복수의 회전자수단과, 상단뚜껑과, 하단뚜껑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자수단은 고정자케이싱과, 양단이 축방향으로 상기 고정자케이싱의 양단에서 노출된 코어와, 상기 고정자케이싱에 수용되어 상기 코어를 감싸는 코일을 구비하여 상기 축이 관통하여 삽입된다. 상기 회전자수단은 상기 축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자케이싱의 일단에서 노출된 코어와 대향하도록 상기 축의 반경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된 자석과, 상기 코어와 대향하는 상기 자석의 일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자석을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고정자수단에 삽입되도록 사출되어 상기 축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고정결합될 수 있는 회전자고정판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자수단의 양단에 삽입된다. 상기 상단뚜껑은 상기 축이 회전할 수 있게 삽입되고 상기 축의 일단에 위치한 회전자수단을 수용하도록 상기 고정자케이싱에 탈착할 수 있게 결합된다. 상기 하단뚜껑은 상기 축이 회전할 수 있게 삽입되고 상기 축의 타단에 위치한 회전자수단을 수용하도록 상기 고정자케이싱에 탈착할 수 있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자수단은 일단이 상기 고정자수단에 삽입되면 상기 자석과 상기 코어의 대향하는 면이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축방향 모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케이싱은 상기 코어를 수용하여 양단이 개방된 고정자하우징과, 상기 고정자하우징의 일단에 탈착할 수 있게 결합되는 고정자상부가드와, 상기 고정자하우징의 타단에 탈착할 수 있게 결합되는 고정자하부가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코어는 제1헤더부와 상기 제1헤더부에서 축방향으로 돌기된 제1권선부를 구비한 제1코어부와, 제2헤더부와 상기 코일이 권선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1권선부의 일단과 맞닿도록 상기 제2헤더부에서 축방향으로 돌기된 제2권선부를 구비한 제2코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자수단은 상기 제1헤더부의 일면이 상기 고정자수단의 일단에서 노출될 수 있게 상기 제1코어부를 감싸서 상기 고정자상부가드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지가 사출된 상부캐리어와, 상기 제2헤더부의 일면이 상기 고정자수단의 타단에서 노출될 수 있게 상기 제2코어부를 감싸서 상기 고정자하부가드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부캐리어를 구비하여 상기 제1헤더부와 상기 제2헤더부의 사이에서 상기 코일이 권선되고 상기 축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캐리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축방향 모터에 있어서, 상기 상부캐리어는 내주면이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사출되며, 상기 하부캐리어는 내주면이 축방향으로 둘출되게 사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캐리어부는 상기 상부캐리어와 상기 하부캐리어가 상기 코일을 감싸도록 축방향으로 돌출된 일단이 탈착할 수 있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의 축방향 모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고정판이 상기 고정자수단에 삽입되면 상기 자석을 상기 코일의 대향하는 면과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축의 축방향으로 상기 회전자고정판의 단부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복수의 간격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축방향 모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수단은 상기 축의 축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축방향 모터는 상기 고정자수단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회전자수단을 수용하며 상기 고정자케이싱에 탈착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회전자미들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축방향 모터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단면이 사각형인 바형태의 평각모양이며, 상기 코어의 폭방향으로 하나의 단으로 권선되어 상기 코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권선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축방향 모터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코어의 폭방향으로의 두께가 상기 코어의 축방향으로의 두께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축방향 모터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내부에 냉매가 흐를 수 있도록 중공의 관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개의 고정자수단과, 복수 개의 회전자수단을 축에 결합을 시키면 다단의 모터를 구성할 수 있다. 그래서 다단의 모터의 구성이 용이하다.
또한, 회전자수단이 고정자수단에 삽입되면 회전자수단의 자석과 고정자수단의 코어가 일정한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모터의 조립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방향 모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분리도,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고정자수단의 부분단면도,
도 5는 도 1의 실시예의 고정자수단의 분리도,
도 6은 도 1의 실시예의 회전자수단의 정면도,
도 7은 도 1의 실시예의 회전자수단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리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축방향 모터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의 분리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축방향 모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방향 모터는 축(10)과, 고정자수단(20)과, 회전자수단(30)과, 상단뚜껑(35)과, 하단뚜껑(40)과, 간격스토퍼(45a, 45b)를 포함한다.
고정자수단(20)은 고정자케이싱(21)과, 코어와, 캐리어부(27) 및 코일(29)을 구비한다.
고정자케이싱(21)은 고정자하우징(21a)과, 고정자상부가드(21b)와, 고정자하부가드(21c)를 구비한다. 고정자하우징(21a)은 양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코어 및 코일(29)을 수용한다. 고정자상부가드(21b)는 고정자하우징(21a)과 동일하게 양단이 개방되도록 관통되어 고정자하우징(21a)의 일단에 탈착할 수 있게 결합된다. 고정자하부가드(21c)도 양단이 개방되도록 관통되어 고정자하우징(21a)의 타단에 탈착할 수 있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자상부가드(21b)와 고정자하부가드(21c)는 볼트로 고정자하우징(21a)에 결합된다.
코어는 제1코어부(24) 및 제2코어부(26)를 구비한다. 제1코어부(24)는 제1헤더부(24a)와, 제1헤더부(24a)의 일면에서 축방향으로 돌기된 제1권선부(24b)를 구비한다. 제2코어부(26)는 제2헤더부(26a)와, 제2헤더부(26a)의 일면에서 축방향으로 돌기된 제2권선부(26b)를 구비한다. 제1코어부(24) 및 제2코어부(26)는 금속 분말로 성형 후 열처리되어 제작된다. 제1헤더부(24a)의 일단과 제2헤더부(26a)의 일단이 맞닿아서 코어를 형성한다.
캐리어부(27)는 상부캐리어(27a) 및 하부캐리어(27b)를 구비한다. 상부캐리어(27a)는 제1코어부(24)를 코일(29)로부터 절연시키는 한편 고정자케이싱(2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부캐리어(27a)는 제1헤더부(24a)의 일면이 고정자케이싱(21)의 일단에서 노출되도록 제1코어부(24)를 감싸서 고정자상부가드(21b)에 결합되도록 수지가 사출되어 형성된다. 상부캐리어(27a)에 의하여 제1코어부(24)는 고정자상부가드(21b)에 고정된다. 이때 상부캐리어(27a)는 내주면이 삽입되는 축(10)을 감싸도록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사출된다.
하부캐리어(27b)는 제2코어부(26)를 코일(29)로부터 절연시키는 한편 고정자케이싱(2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하부캐리어(27b)는 제2헤더부(26a)의 일면이 고정자케이싱(21)의 타단에서 노출되도록 제2코어부(26)를 감싸서 고정자하부가드(21c)에 결합되도록 수지가 사출되어 형성된다. 하부캐리어(27b)에 의하여 제2코어부(26)는 고정자하부가드(21c)에 고정된다. 이때 하부캐리어(27b)는 내주면이 삽입되는 축(10)을 감싸도록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사출된다.
고정자상부가드(21b)와 고정자하부가드(21c)가 고정자하우징(21a)에 결합되면 제1권선부(24b)의 일단과 제2권선부(26b)의 일단이 서로 맞닿도록 제1코어부(24) 및 제2코어부(26)가 형성된다. 그리고 축방향으로 돌출된 상부캐리어(27a)의 일단과 하부캐리어(27b)의 일단은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코일(29)은 제1헤더부(24a)와 제2헤더부(26a)의 사이에서 제1권선부(24b)와 제2권선부(26b)를 감싸는 고정자상부가드(21b)와 고정자하부가드(21c)를 감도록 형성된다.
이때 코일(29)은 단면이 사각형인 바형태의 평각모양이며, 코어의 폭방향으로 하나의 단으로 권선되어 코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권선된다. 그리고 코어의 폭방향의 두께가 코어의 축방향의 두께보다 훨씬 두껍게 형성된다. 이 경우 코일(29)이 평각모양이므로 코일(29) 사이의 틈을 줄일 수 있으므로 권선의 밀도가 높아져서 출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코어의 축방향 보다 코어의 폭방향을 두껍게 하면 코일(29)을 코어에 두껍게 감쌀 수 있으므로 코일을 여러 단으로 권선한 것 처럼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코일(29)은 내부에 냉각수가 흐를 수 있도록 중공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29)에 전류가 공급되어 모터가 동작시 코일(29)에는 열이 발생된다. 이 경우 코일(29)이 과열되면 모터의 효율이 저하되므로 코일(29)을 냉각시켜 주어야 한다. 그래서 코일(29)을 중공의 관으로 하여 코일(29)의 내부에 냉각수가 흐르도록 하면 코일(29)을 냉각시킬 수 있다.
고정자수단(20)은 상부캐리어(27a) 및 하부캐리어(27b)가 수지로 사출되므로 고정자상부가드(21b)와 제1코어부(24) 및 상부캐리어(27a)는 일체로 고정결합되고, 고정자하부가드(21c)와 제2코어부(26) 및 하부캐리어(27b)는 일체로 고정결합된다.
그래서 고정자하부가드(21c)를 고정자케이싱(21)에 체결시킨 후 코일(29)을 하부캐리어(27b)의 축방향으로 돌출된 일단에 장착하고 고정자상부가드(21b)를 고정자케이싱(21)에 체결하면 고정자수단(20)이 조립된다.
회전자수단(30)은 자석(31)과 회전자고정판(33)을 구비한다. 자석(31)은 축(10)의 축방향을 따라 고정자케이싱(21)의 일단에서 노출된 코어와 대향하도록 축(10)의 반경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된다. 회전자고정판(33)은 자석(31)의 일면이 코어와 대향할 수 있게 노출되도록 자석(31)을 고정시키고 축(10)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고정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회전자고정판(33)은 키(11)를 이용하여 축(1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결합된다. 그리고 회전자고정판(33)은 자석(31)이 대향하는 코어와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회전자고정판(33)은 내주면이 고정자수단(20)에 삽입되도록 돌출된다. 그래서 고정자수단(20)의 양단에서 한 쌍의 회전자수단(30)이 장착되면 회전자고정판(33)의 돌출된 일단(33a)이 서로 맞닿아서 자석(31)이 코어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회전자고정판(33)의 일단(33a)은 간격스토퍼(45b)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맞닿는다.
상단뚜껑(35)은 축(10)이 회전할 수 있게 삽입되고, 축(10)의 일단에 위치한 회전자수단(30)을 수용하며, 고정자케이싱(21)에 탈착할 수 있게 결합된다.
하단뚜껑(40)은 축(10)이 회전할 수 있게 삽입되고, 축(10)의 타단에 위치한 회전자수단(30)을 수용하며, 고정자케이싱(21)에 탈착할 수 있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볼트(12)로 상단뚜껑(35), 고정자수단(20), 하단뚜껑(40)이 결합된다.
간격스토퍼(45a, 45b)는 회전자수단(30)이 조립될 때 회전자수단(30)의 자석(31)이 고정자수단(20)의 코어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간격스토퍼(45a, 45b)는 회전자고정판(33)이 고정자수단(20)에 삽입되면 축(10)의 축방향으로 회전자고정판(33)의 단부의 위치를 제한한다. 즉 제1간격스토퍼(45a) 및 제2간격스토퍼(45b)가 축(10)에 장착되어 자석(31)과 코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준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하단뚜껑(40)에 축(10)의 타단을 장착한다. 그리고 회전자수단(30)을 일정한 지점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축(10)의 타단부에 제1간격스토퍼(45a)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회전자수단(30)을 축(10)에 장착하면 회전자수단(30)은 제1간격스토퍼(45a)에 지지되어 축(10)에서 일정한 지점에 위치한다.
그리고 고정자수단(20)을 축(10)에 삽입시켜 고정자케이싱(21)을 하단뚜껑(40)에 맞닿도록 하면 회전자수단(30)의 자석(31)과 고정자수단(20)의 하면에 노출된 코어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다.
제2간격스토퍼(45b)를 축(10)에 삽입하여 고정자수단(20)의 하부에서 삽입된 회전자고정판(33)의 일단(33a)에 맞닿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자수단(20)의 상부에서 회전자수단(30)을 삽입시킨다. 그러면 고정자수단(20)의 상면에 노출된 코어와 고정자수단(20)의 상부에 삽입된 회전자수단(30)의 자석(31)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다. 이때 고정자수단(20)의 양단에 위치한 자석(31)의 간격이 동일하도록 제2간격스토퍼(45b)의 두께가 형성된다.
상단뚜껑(35)을 축(10)에 삽입하여 고정자케이싱(21)의 상단에 맞닿도록 한 후 볼트(12)를 사용하여 상단뚜껑(35), 고정자수단(20) 및 하단뚜껑(40)을 결합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모터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축방향 모터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의 실시예의 축방향 모터는 고정자수단(20)이 일단이지만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의 축방향 모터는 고정자수단(20)이 축(10)의 축방향을 따라 2단으로 배치된다.
이때에는 한 쌍의 고정자수단(20)의 사이에는 한 쌍의 회전자수단(30)이 위치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자수단(20)의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자수단(30)을 수용하기 위해서 회전자미들하우징(50)을 더 포함한다. 회전자미들하우징(50)은 고정자수단(20)의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자수단(30)을 수용하며, 고정자수단(20)에 탈착할 수 있게 고정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회전자미들하우징(50)을 볼트(12)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자수단(20)을 다단으로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다.
10 : 축 11 : 키
12 : 볼트 20 : 고정자수단
21 : 고정자케이싱 21a : 고정자하우징
21b : 고정자상부가드 21c : 고정자하부가드
24 : 제1코어부
24a : 제1헤더부 24b : 제1권선부
26 : 제2코어부 26a : 제2헤더부
26b : 제2권선부 27 : 캐리어부
27a : 상부캐리어 27b : 하부캐리어
29 : 코일 30 : 회전자수단
31 : 자석 33 : 회전자고정판
35 : 상단뚜껑 40 : 하단뚜껑
45a, 45b : 간격스토퍼 50 : 회전자미들하우징

Claims (8)

  1. 축과,
    고정자케이싱과, 양단이 축방향으로 상기 고정자케이싱의 양단에서 노출된 코어와, 상기 고정자케이싱에 수용되어 상기 코어를 감싸는 코일을 구비하여 상기 축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고정자수단과,
    상기 축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자케이싱의 일단에서 노출된 코어와 대향하도록 상기 축의 반경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된 자석과, 상기 코어와 대향하는 상기 자석의 일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자석을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고정자수단에 삽입되도록 사출되어 상기 축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고정결합될 수 있는 회전자고정판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자수단의 양단에 삽입되는 복수의 회전자수단과,
    상기 축이 회전할 수 있게 삽입되고 상기 축의 일단에 위치한 회전자수단을 수용하도록 상기 고정자케이싱에 탈착할 수 있게 결합되는 상단뚜껑과,
    상기 축이 회전할 수 있게 삽입되고 상기 축의 타단에 위치한 회전자수단을 수용하도록 상기 고정자케이싱에 탈착할 수 있게 결합되는 하단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자수단은 일단이 상기 고정자수단에 삽입되면 상기 자석과 상기 코어의 대향하는 면이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자케이싱은 상기 코어를 수용하여 양단이 개방된 고정자하우징과, 상기 고정자하우징의 일단에 탈착할 수 있게 결합되는 고정자상부가드와, 상기 고정자 하우징의 타단에 탈착할 수 있게 결합되는 고정자하부가드를 구비하며,
    상기 코어는 제1헤더부와 상기 제1헤더부에서 축방향으로 돌기된 제1권선부를 구비한 제1코어부와, 제2헤더부와 상기 코일이 권선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1권선부의 일단과 맞닿도록 상기 제2헤더부에서 축방향으로 돌기된 제2권선부를 구비한 제2코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자수단은 상기 제1헤더부의 일면이 상기 고정자수단의 일단에서 노출될 수 있게 상기 제1코어부를 감싸서 상기 고정자상부가드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지가 사출된 상부캐리어와, 상기 제2헤더부의 일면이 상기 고정자수단의 타단에서 노출될 수 있게 상기 제2코어부를 감싸서 상기 고정자하부가드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부캐리어를 구비하여 상기 제1헤더부와 상기 제2헤더부의 사이에서 상기 코일이 권선되고 상기 축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캐리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캐리어는 내주면이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사출되며,
    상기 하부캐리어는 내주면이 축방향으로 둘출되게 사출되며,
    상기 캐리어부는 상기 상부캐리어와 상기 하부캐리어가 상기 코일을 감싸도록 축방향으로 돌출된 일단이 탈착할 수 있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고정판이 상기 고정자수단에 삽입되면 상기 자석을 상기 코일의 대향하는 면과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축의 축방향으로 상기 회전자고정판의 단부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복수의 간격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모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단면이 사각형인 바형태의 평각모양이며, 상기 코어의 폭방향으로 하나의 단으로 권선되어 상기 코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권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모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수단은 상기 축의 축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고정자수단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회전자수단을 수용하며 상기 고정자케이싱에 탈착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회전자미들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모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코어의 폭방향으로의 두께가 상기 코어의 축방향으로의 두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모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내부에 냉매가 흐를 수 있도록 중공의 관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모터.
  8. 삭제
KR1020210064004A 2021-05-18 2021-05-18 축방향 모터 KR102348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004A KR102348964B1 (ko) 2021-05-18 2021-05-18 축방향 모터
PCT/KR2021/019071 WO2022244939A1 (ko) 2021-05-18 2021-12-15 축방향 모터
EP21940949.7A EP4318902A1 (en) 2021-05-18 2021-12-15 Axial motor
US18/509,094 US20240088766A1 (en) 2021-05-18 2023-11-14 Axial mo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004A KR102348964B1 (ko) 2021-05-18 2021-05-18 축방향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964B1 true KR102348964B1 (ko) 2022-01-12

Family

ID=79339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004A KR102348964B1 (ko) 2021-05-18 2021-05-18 축방향 모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88766A1 (ko)
EP (1) EP4318902A1 (ko)
KR (1) KR102348964B1 (ko)
WO (1) WO202224493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7184A (en) * 2022-03-31 2023-10-04 Saietta Group PLC A rotor for an electrical machine
WO2023217503A1 (de) * 2022-05-12 2023-11-16 Mercedes-Benz Group AG Axialflussmaschine für ein kraftfahrzeug, insbesondere für einen kraftwag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431B1 (ko) * 2013-03-28 2014-09-17 현대모비스(주) 축방향자속모터
JP2017099191A (ja) * 2015-11-26 2017-06-01 マツダ株式会社 ステータおよびこのステータを備えた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回転電機
KR20170117065A (ko) 2015-02-10 2017-10-20 시티에스 코포레이션 축방향 무브러시 dc 모터
KR101979341B1 (ko) * 2018-05-31 2019-05-16 (주)이플로우 축방향 권선형 모터
KR102004883B1 (ko) * 2018-09-17 2019-07-29 (주)이플로우 모터의 스테이터 코어 고정용 스테이터 브라켓
KR102156481B1 (ko) 2018-12-28 2020-09-1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부상 회전체를 포함하는 축방향 모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902394D0 (en) * 2009-02-13 2009-04-01 Isis Innovation Electric machine- cool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431B1 (ko) * 2013-03-28 2014-09-17 현대모비스(주) 축방향자속모터
KR20170117065A (ko) 2015-02-10 2017-10-20 시티에스 코포레이션 축방향 무브러시 dc 모터
JP2017099191A (ja) * 2015-11-26 2017-06-01 マツダ株式会社 ステータおよびこのステータを備えた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回転電機
KR101979341B1 (ko) * 2018-05-31 2019-05-16 (주)이플로우 축방향 권선형 모터
KR102004883B1 (ko) * 2018-09-17 2019-07-29 (주)이플로우 모터의 스테이터 코어 고정용 스테이터 브라켓
KR102156481B1 (ko) 2018-12-28 2020-09-1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부상 회전체를 포함하는 축방향 모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7184A (en) * 2022-03-31 2023-10-04 Saietta Group PLC A rotor for an electrical machine
WO2023187390A1 (en) * 2022-03-31 2023-10-05 Saietta Group PLC A rotor for an electrical machine
WO2023217503A1 (de) * 2022-05-12 2023-11-16 Mercedes-Benz Group AG Axialflussmaschine für ein kraftfahrzeug, insbesondere für einen kraftwa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88766A1 (en) 2024-03-14
EP4318902A1 (en) 2024-02-07
WO2022244939A1 (ko) 202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964B1 (ko) 축방향 모터
EP0365535B1 (en) Stator assembly for dynamoelectric machine
KR102282429B1 (ko) 전기 모터
JP5331565B2 (ja) モータユニット
US10622856B2 (en) Cooling arrangement for an electric motor
US20060220485A1 (en) Motor
JP2011062076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US20170373569A1 (en) Roto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otor, and motor
US5886449A (en) Electrical machine
EA036804B1 (ru) Модульный двигатель с постоянными магнитами и насосная установка
JP2015228780A (ja)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回転電機
US7781928B2 (en) Brushless motor
JP2011182576A (ja) アキシャルギャップモータ
JP3594007B2 (ja) 回転電機
KR102151421B1 (ko) 코깅을 저감시키는 모터
JPH09219943A (ja) 回転電機
JP2020102996A (ja) 着磁ヨークの冷却構造
TW201926856A (zh) 無槽式電動機、以及使用其之電動送風機或電動吸塵器
EP4318900A1 (en) Motor, blowing device and refrigeration device
JP2009213264A (ja) 磁石発電機の製造方法及び位置決め治具
JP2001045713A (ja) 回転電機
JP2002027707A5 (ko)
JP3864629B2 (ja) モータ
JP2009123970A (ja) 超電導コイルの支持枠および超電導コイルユニット
KR20010039496A (ko) 전동송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