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9496A - 전동송풍기 - Google Patents

전동송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9496A
KR20010039496A KR1019990059610A KR19990059610A KR20010039496A KR 20010039496 A KR20010039496 A KR 20010039496A KR 1019990059610 A KR1019990059610 A KR 1019990059610A KR 19990059610 A KR19990059610 A KR 19990059610A KR 20010039496 A KR20010039496 A KR 20010039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bracket
magnetic pole
motor
yok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5378B1 (ko
Inventor
아지마다케히코
다카하시유지
오다카슈이치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이시카와 히로아키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이시카와 히로아키,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10039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3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0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분할된 여러개의 부재로 형성된 고정자를 갖는 모터부를 구비한 전동송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자를 구성하는 요크코어의 형상개선에 의해 공냉효과를 높이고 권선의 전기적 저항을 적게하고, 더 나아가서는 동선을 자극코어에 감기 쉬운 작업효율이 높은 전동송풍기를 제공하기 위해, 팬부와 모터부로 이루어지고 모터부의 고정자를 단면이 원형인 브래킷의 내측에 고정시킨 것으로서, 고정자를 여자권선을 갖고 대향하는 한쌍의 자극코어와 자극코어의 양끝부에 양끝이 각각 연결된 한쌍의 원호형상을 한 요크코어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고효율화가 도모됨과 동시에 고온화되어 있는 여자권선A나 권선B를 확실하게 냉각시킬 수 있으며, 고정자 압입고정의 용이화 및 철손실의 개선도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전동송풍기{A MOTOR FAN}
본 발명은 분할된 여러개의 부재로 형성된 고정자를 갖는 모터부를 구비한 전동송풍기에 관한 것이다.
도 6과 도 7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성 8-317579호에 개시된 종래의 전동송풍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와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에 있어서, (100)은 전동송풍기로서, 팬(101)을 수납하는 팬부(102)와 이 팬(101)을 고속회전시키는 모터부(106)으로 구성되며, 모터부(106)의 고정자(103)을 브래킷(104)에 압입고정시킴과 동시에 회전자(105)를 상기 브래킷(104)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다. (107)은 회전자(105)의 축(108)을 양끝에서 지지하는 축받이, (109)는 팬부(102)와 모터부(106) 사이에 마련되어 팬(101)로부터의 고속기류를 원활하게 모터부(106)으로 안내하는 안내날개이다.
다음에, 브래킷(104)에 고정자(103)과 회전자(105)를 각각 수납한 상태를 설명한다.
(110)은 중앙에 직경이 가는 동선재로 이루어지는 여자권선A를 감은(권회하는) 자극(111)과 이 자극(111)의 좌우로 연장하는 암부(112)를 갖는 자극부재로서, 상기 자극부재(110)을 소정수 적층 고정시켜 자극코어(113)이 형성되고, 한쌍의 자극코어(113)이 서로 대향해서 브래킷(104)에 압입고정된다. (114)는 각 자극코어(113)의 암부(112)의 내측에 형성된 걸어맞춤볼록부이다.
(115)는 양끝에서 내측으로 굴곡된 각부(116)을 갖고, 이 각부(116)의 외측 끝부에 걸어맞춤볼록부(114)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오목부(117)을 갖는 대략 コ형의 요크부재로서, 상기 요크부재(115)를 소정수 적층고정시켜 한쌍의 요크코어(118)이 형성된다. 상기 요크코어(118)과 자극코어(113)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의 양끝부가 연결되고 또한 걸어맞춤볼록부(114)와 걸어맞춤오목부(117)이 걸어맞춰지고, 고정자(103)이 조립된다. 상기 고정자(103)은 브래킷(104)의 내측에 압입고정된다.
(119)는 자성부재(110)의 상대향하는 자극(111)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자부재로서, 적층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회전자(105)가 구성되고, 외주에 권선(도시하지 않음)을 감도록 되어 있다. (120)은 자극(111)과 요크코어(118) 사이에 형성되어 권선A를 감는 권선공간이다. (121)은 브래킷(104)와 요크코어(118) 사이에 형성되는 원호형상의 외측풍로, (122)는 요크코어(118)과 회전자(105) 사이에 형성되는 내측풍로이다.
이와 같은 종래예의 전동송풍기(100)에 있어서는 자극(111)에 소정수의 여자권선A를 감은 후에 자극코어(113)과 요크코어(118)을 연결하여 브래킷(104)에 압입고정시키기 때문에 여자권선A의 자극(111)로의 권회작업효율은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터(106)의 성능은 전류와 여자권선A의 권선의 곱의 대소와 여자권선A의 전기저항손실에 의해서 좌우된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예의 전동송풍기에서는 자극(111)과 요크코어(118) 사이에 형성되는 권선공간(120)을 크게 형성하는 설계적 의도는 되어 있지 않고 저항이 큰 가는 선직경의 여자권선A를 감지 않으면 안되어 발열효율이 나쁜 결과로 되어 있다. 또한, 팬(101)로부터의 외기는 내측풍로(122)와 외측풍로(121)로 분산되고, 가장 고온으로 되는 여자권선A나 회전자(105)에 감겨진 권선(도시하지 않음)을 충분히 공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고정자를 구성하는 요크코어의 형상개선에 의해 공냉효과를 높이고 권선의 전기적 저항을 적게하고, 더 나아가서는 동선을 자극코어에 감기 쉬운 작업효율이 높은 전동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시한 전동송풍기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시한 전동송풍기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시한 주요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시한 전동송풍기의 일부 절단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도시한 전동송풍기의 일부 절단 횡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전동송풍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전동송풍기의 횡단면도.
[부호의 설명]
4: 팬부, 5: 브래킷, 6: 고정자, 8: 회전자, 9: 모터부, 10: 자극, 13: 자극부재,
14: 자극코어, 17: 요크부재, 18: 요크코어, 19: 권선공간, 21: 내측공간,
22: 통풍용 간극, 23: 돌기, A: 권선.
본 발명에 관한 전동송풍기에 있어서는 팬부와 모터부로 이루어지고, 모터부의 고정자를 단면이 원형인 브래킷의 내측에 고정시킨 것으로서, 상기 고정자를 여자권선을 갖고 대향하는 한쌍의 자극코어와 상기 자극코어의 양끝부에 양끝이 각각 연결된 한쌍의 원호형상을 한 요크코어로 형성한 것이다.
또, 상기 요크코어의 외측면과 상기 브래킷 사이에 상기 모터부의 회전자와 요크코어 사이의 내측공간보다 좁은 통풍용 간극을 형성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도 1∼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전동송풍기의 종단면도, 도 2는 브래킷부의 횡단면도, 도 3은 고정자를 형성하는 자극코어와 요크코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전동송풍기로서, 팬(2)와 상기 팬(2)로부터의 고속회전기류를 후술하는 모터부(9)로 이동시키는 안내날개(3)으로 이루어지는 팬부(4) 및 배기구(5A)를 갖는 대략 원통형상의 브래킷(5)의 내측에 압입고정된 고정자(6)과 양끝이 축받이(7)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회전자(8)로 이루어지는 모터(9)로 구성되어 있다.
(14)는 내측면이 대략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자극(10)과 이 자극(10)에서 좌우로 직선형상으로 연장하는 암부(11) 및 이 암부(11)의 내측에 갖는 걸어맞춤볼록부(12)로 이루어지는 자극부재(13)을 적층고정해서 형성된 자극코어이다. (18)은 그의 양??부(15)에 걸어맞춤볼록부(12)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오목부(16)을 각각 갖고, 브래킷(5))의 내경과 그의 외측면이 대략 동일 직경으로 형성된 원호형상의 요크부재(17)을 적층고정시켜 형성된 요크코어이다. 고정자(6)은 미리 대향해서 배치된 한쌍의 자극코어(14)의 양끝부 사이에 한쌍의 요크코어(18)을 각각 대향해서 연결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A는 자극코어(14)와 요크코어(18)을 연결하기 전에 자극(10)의 외측에 소정수만큼 감기는 동선으로 이루어지는 여자권선, (19)는 자극(10)과 요크코어(18) 사이에서 형성되는 권선공간이다.
회전자(8)은 자극(10) 사이에 배치되고, 외주에 다수의 U홈(20)을 갖고, 상기 U홈(20)에는 동선으로 이루어지는 권선B가 실시되어 있다. (21)은 회전자(8)과 요크코어(18) 사이에 형성된 원호형상의 내측공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동송풍기(1)의 조립시에 있어서는 우선 자극코어(14)의 자극(10)에 여자권선A를 감는다. 이 때, 미리 요크코어(18)이 원호형상(18)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권선공간(19)는 넓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전기적 저항이 적은 비교적 큰 직경의 동선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대향해서 배치한 자극코어(14)의 각각의 양끝부에 있는 걸어맞춤볼록부(12)에 요크코어(18)의 걸어맞춤오목부(16)을 각각 걸어맞춰 고정시켜 고정자(6)을 형성한다. 그리고, 브래킷(5)의 내측에 고정자(6)을 툴(tool)을 사용해서 직접 압입고정시킨다.
그 후, 각종 부품을 조립해서 모터부(9)와 팬부(2)를 결합해서 전동송풍기(1)의 조립이 완성된다. 이 결과, 모터부(9)로 통전하면 외기는 고속회전하는 팬(2)에 의해 팬부(4)내를 통과하여 안내날개(3)을 거쳐서 모터부(9)내로 유입된다. 이 때, 외기의 대부분이 회전자(8)과 요크코어(18) 사이의 내측 공간(21)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 고온화되어 있는 여자권선A나 권선B를 확실하게 냉각시키면서 배기구(5A)에서 배출된다. 또, 요크코어(18)이 브래킷(5)의 내측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브래킷(5)를 자로로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유효자로폭이 넓어져 철손실(iron loss)이 개선된다. 즉, 고효율의 전동송풍기로 된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모터부(9)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중,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있어서, (18A)는 원호형상을 한 요크코어로서, 외측면을 브래킷(5A)의 약간 내측방향에 위치시키고, 브래킷(5)와의 사이에 통풍용 간극(22)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통풍용 간극(22)도 면적비는 내측공간(21)보다 충분히 작은 것이다. (23)은 브래킷(5A)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기로서, 고정자(6A)를 브래킷(5A)에 압입고정시킬 때의 가이드(guide)와 통풍용 간극(22)를 확실하게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팬(2)로부터의 외기는 모터부(9)내로 침입하고, 브래킷(5A)의 내측공간(21)은 원래 통풍용 간극(22)도 통과한다. 이 결과 브래킷(5A)는 확실하게 전체 주위가 냉각되게 된다.
또한, 돌기(23)은 요크코어(18A)측에 마련해도 좋은 것이다.
실시예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모터부(9)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중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있어서, (18B)는 브래킷(5)와 대향하는 외측면의 일부를 평탄면(24)가 형성되도록 절단하고, 또 양끝부에 원호형상의 굴곡부(25)를 형성한 요크코어이다. (22A)는 평탄면(24)와 브래킷(5) 사이에 형성되는 통풍용 간극으로서, 그의 개구면적은 내측공간(21)보다 충분히 작은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요크코어(18B)의 외주부는 통풍용 간극(22A)를 통과하는 외기에 의해 확실하게 냉각된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고정자를 자극부재와 브래킷의 내경과 대략 동일 형상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요크부재로 분할해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여자권선의 권회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권선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자기저항이 적은 대경의 동선을 사용할 수 있어 고효율화가 도모됨과 동시에 외기의 대부분을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내측공간에 흐르게 하는 것에 의해 외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됨과 동시에 고온화되어 있는 여자권선A나 권선B를 확실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또, 요크코어의 외주가 브래킷의 내경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요크코어가 브래킷으로의 삽입가이드로 되어 고정자의 압입고정이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브래킷을 자로로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철손실의 개선도 가능하게 된다.
또, 고정자를 구성하는 요크코어와 브래킷 사이에 개구면적이 내측공간보다 좁은 통풍용 간극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고정자의 공냉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Claims (2)

  1. 팬부와 모터부로 이루어지고, 모터부의 고정자를 단면이 원형인 브래킷의 내측에 고정시킨 것으로서,
    상기 고정자를
    여자권선을 갖고 대향하는 한쌍의 자극코어와
    상기 자극코어의 양끝부에 양끝이 각각 연결된 한쌍의 원호형상을 한 요크코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송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코어의 외측면과 상기 브래킷 사이에 상기 모터부의 회전자와 요크코어 사이의 내측공간보다 좁은 통풍용 간극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송풍기.
KR10-1999-0059610A 1999-10-08 1999-12-21 전동송풍기 KR1004453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287901 1999-10-08
JP28790199A JP3544153B2 (ja) 1999-10-08 1999-10-08 電動送風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496A true KR20010039496A (ko) 2001-05-15
KR100445378B1 KR100445378B1 (ko) 2004-08-25

Family

ID=17723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610A KR100445378B1 (ko) 1999-10-08 1999-12-21 전동송풍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544153B2 (ko)
KR (1) KR1004453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711B1 (ko) * 2002-10-04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니버셜 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92567B1 (de) * 2013-04-15 2015-06-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 Maschine mit Gehäuse über Teilumfang
KR101696712B1 (ko) * 2015-01-22 2017-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엘디시 모터 및 그를 갖는 청소기
CN111886414B (zh) * 2018-02-28 2022-07-26 三菱电机株式会社 电动鼓风机、电动吸尘器及干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7616B2 (ja) * 1993-03-22 2000-03-13 三菱電機ホーム機器株式会社 回転電機用固定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711B1 (ko) * 2002-10-04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니버셜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44153B2 (ja) 2004-07-21
JP2001112198A (ja) 2001-04-20
KR100445378B1 (ko) 200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5960A (en) Electric motor
US6774523B2 (en) Electric motor
US8890389B2 (en) Electric motor
JP2810000B2 (ja) 小型モータ
JP2002345188A (ja) 回転電機
US20050134126A1 (en) Electric motor
JP3928297B2 (ja) 電動機及びその製造方法
JP3574221B2 (ja) 回転電機の回転子
JP3234791B2 (ja) 小型モータ
KR100445378B1 (ko) 전동송풍기
JPH10322942A (ja) 回転電機
US6762531B2 (en) Motor assembly having improved flux properties
JP3735545B2 (ja) 回転電機
CN112994282A (zh) 旋转电机
KR20000038443A (ko) 냉각기능이 향상된 모터용 회전자 코어
JP2001231193A (ja) 回転電機
JP2005073397A (ja) 電動機および電動送風機
JP3839584B2 (ja) 電動送風機
KR20020004797A (ko) 전동송풍기
JP2002507109A (ja) 大型突極電機の励磁巻線の通風システム
JPH10174367A (ja) 回転電機の回転子
WO2022249238A1 (ja) インナーロータ型電動機および送風機
JPS61121745A (ja) 電動機
JPH0951644A (ja) 回転電機の回転子
JPH024206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0816

Effective date: 200406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