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280B1 - 경첩판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경첩판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280B1
KR102348280B1 KR1020210111311A KR20210111311A KR102348280B1 KR 102348280 B1 KR102348280 B1 KR 102348280B1 KR 1020210111311 A KR1020210111311 A KR 1020210111311A KR 20210111311 A KR20210111311 A KR 20210111311A KR 102348280 B1 KR102348280 B1 KR 102348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late
block
fixing groove
hole
cylinder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성
Original Assignee
(주)에이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스테크 filed Critical (주)에이스테크
Priority to KR1020210111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6Liftable or lowerable drill heads or headstocks; Balanc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8Drill jigs for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4Flat fl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경첩판에 형성된 관통공의 일단에 정확하게 접시가공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경첩판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첩판 가공장치는 슬라이드블록(20)와 승강가이드(40)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경첩판(1)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관통공(2,3,4)에 정확하게 확경부(5)를 형성할 수 있음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확경부(5)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경첩판 가공장치{hinge panel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경첩판에 형성된 관통공의 일단에 정확하게 접시가공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경첩판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경첩은 힌지핀에 의해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경첩판이 구비된다.
이때,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첩판(1)에는 고정나사를 결합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관통공(2,3,4)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관통공(2,3,4)은 일단에는 콘형상의 확경부(5)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삼각머리를 갖는 고정나사를 결합하면, 상기 고정나사의 삼각머리가 확경부(5)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나사의 삼각머리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확경부(5)는, 상기 제1 내지 제3 관통공(2,3,4)을 형성한 후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관통공(2,3,4)의 단부에 콘형상의 확경부(5)를 형성하는 가공, 즉, 접시가공을 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제1 내지 제3 관통공(2,3,4)은 일렬로 배치되지 않고,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3 관통공(2,3,4)의 일단에 확경부(5)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CNC장치 등을 이용하여 가공을 하여야 함으로, 코스트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639951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면서 경첩판(1)에 형성된 관통공의 일단에 정확하게 접시가공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경첩판 가공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경첩판(1)에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 내지 제3 관통공(2,3,4)의 상단에 콘형상의 확경부(5)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실린더기구(21)에 의해 측방향위치가 조절되는 슬라이드블록(20)과, 상기 슬라이드블록(20)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는 상기 경첩판(1)이 삽입결합되는 고정홈(32)이 형성되며 제2 실린더기구(31)에 의해 전후방향위치가 조절되는 지지블록(30)과, 상기 슬라이드블록(2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대(10)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제3 실린더기구(41)에 의해 측방향위치가 조절되는 승강가이드(40)와, 상기 승강가이드(4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드릴(51)이 구비되어 하강시 상기 고정홈(32)에 고정된 경첩판(1)에 형성된 관통공의 상단에 확경부(5)를 형성하는 드릴링유닛(50)과, 상기 드릴링유닛(50)에 연결되어 드릴링유닛(50)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60)과, 상기 제1 내지 제3 실린더기구(21,31,41)와 드릴링유닛(50) 및 승강구동수단(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70)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가이드(40)는 상기 제3 실린더기구(41)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관통공(2,3)의 측방향 간격만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블록(20)은 상기 제1 실린더기구(21)에 의해 상기 제2 및 제3 관통공(3,4)의 측방향 간격만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드릴링유닛(50)을 제어하여 상기 제1 관통공(2)에 확경부(5)를 형성하고, 상기 승강가이드(40)의 측방향위치와 지지블록(30)의 전후방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제2 관통공(3)에 확경부(5)를 형성한 후, 상기 슬라이드블록(20)의 측방향위치와 지지블록(30)의 전후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제3 관통공(4)에 확경부(5)를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판 가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블록(30)은 상면 일측에 배출공(33a)이 형성된 하부블록(33)과, 상기 하부블록(33)의 상면에 상기 배출공(33a)의 일측에서 상기 배출공(33a)의 상부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보조실린더기구(34a)에 의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며 상기 고정홈(32)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상부블록(34)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공(33a)은 상기 고정홈(3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블록(34)의 고정홈(32)의 둘레면에는 배기공(34b)이 형성되며, 상기 배기공(34b)에 연결되어 배기공(34b)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80)과, 상기 고정홈(32)의 일측에 구비되어 고정홈(32)의 내부로 경첩판(1)이 삽입되면 이를 감지하는 경첩판감지수단(9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70)은 상기 상부블록(34)이 상기 배출공(33a)의 측방향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경첩판감지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고정홈(32)에 경첩판(1)이 삽입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1 내지 제3 관통공(2,3,4)에 확경부(5)를 형성하고, 작업자가 작업이 완료된 경첩판(1)을 고정홈(32)으로부터 배출하면, 상기 보조실린더기구(34a)와 급기수단(80)을 제어하여 상부블록(34)을 상기 배출공(33a)의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배기공(34b)을 통해 고정홈(32)의 내부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관통공(2,3,4)을 가공하면서 발생된 칩이 상기 배출공(33a)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판 가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경첩판 가공장치는 슬라이드블록(20)와 승강가이드(40)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경첩판(1)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관통공(2,3,4)에 정확하게 확경부(5)를 형성할 수 있음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확경부(5)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경첩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상기 경첩판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첩판 가공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첩판 가공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첩판 가공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첩판 가공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경첩판 가공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첩판 가공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첩판 가공장치의 제2 실시예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정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첩판 가공장치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경첩판 가공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경첩판 가공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경첩판(1)에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 내지 제3 관통공(2,3,4)의 상단에 콘형상의 확경부(5)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 관통공(2,3,4)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3 관통공(2,4)은 측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2 관통공(3)은 제1 및 제3 관통공(2,4)에 비해 전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경첩판 가공장치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실린더기구(21)에 의해 측방향위치가 조절되는 슬라이드블록(20)과, 상기 슬라이드블록(20)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는 상기 경첩판(1)이 삽입결합되는 고정홈(32)이 형성되며 제2 실린더기구(31)에 의해 전후방향위치가 조절되는 지지블록(30)과, 상기 슬라이드블록(2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대(10)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제3 실린더기구(41)에 의해 측방향위치가 조절되는 승강가이드(40)와, 상기 승강가이드(4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드릴(51)이 구비되어 하강시 상기 고정홈(32)에 고정된 경첩판(1)에 형성된 관통공의 상단에 확경부(5)를 형성하는 드릴링유닛(50)과, 상기 드릴링유닛(50)에 연결되어 드릴링유닛(50)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60)과, 상기 제1 내지 제3 실린더기구(21,31,41)와 드릴링유닛(50) 및 승강구동수단(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0)는 상면이 평면을 이루는 테이블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블록(20)은 상기 지지대(10)의 상면 전방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제1 가이드레일(11)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실린더기구(21)는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일측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가 상기 슬라이드블록(20)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블록(20)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실린더기구(21)는 상기 슬라이드블록(20)을 상기 제2 및 제3 관통공(3,4)의 측방향 간격만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블록(30)은 상기 슬라이드블록(20)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제2 가이드레일(22)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고정홈(32)은 상기 경첩판(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경첩판(1)을 삽입하면, 경첩판(1)이 고정홈(32)의 내부에 결합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기 제2 실린더기구(31)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슬라이드블록(20)에 고정되며 후방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가 상기 지지블록(30)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지지블록(30)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 실린더기구(31)는 상기 제2 관통공(3)과 제1 및 제3 관통공(2,4)의 전후방향 간격만큼 상기 지지블록(30)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가이드(40)는 상기 제1 가이드레일(11)의 후방에 위치되면서, 상기 지지대(10)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제3 가이드레일(12)에 하단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3 실린더기구(41)는 상기 지지대(10)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측방향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가 상기 승강가이드(40)에 결합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승강가이드(40)가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3 실린더기구(41)는 상기 승강가이드(40)를 제1 및 제2 관통공(2,3)의 측방향 간격만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드릴링유닛(50)은 상기 승강가이드(40)의 전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내부에 구비된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드릴(51)이 고속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드릴링유닛(50)이 하강되면 상기 드릴(51)이 상기 고정홈(32)에 고정된 경첩판(1)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관통공(2,3,4)의 상단에 콘형상의 확경부(5)를 형성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60)은 상기 승강가이드(4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드릴링유닛(50)에 연결되어 작동에 따라 상기 드릴링유닛(50)이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승강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수단(70)에는 작업자가 조작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71)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첩판 가공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블록(20)은 좌측으로 슬라이드되고, 상기 지지블록(30)은 후방으로 슬라이드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고정홈(32)에 경첩판(1)을 삽입하면, 상기 드릴(51)은 상기 경첩판(1)에 형성된 제1 관통공(2)의 상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71)을 조작하면, 상기 제어수단(70)은 상기 드릴링유닛(50)을 구동시킨 상태에서 승강구동수단(60)을 제어하여 드릴링유닛(50)을 승강시킴으로써,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관통공(2)의 상단에 확경부(5)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7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 실린더기구(41)를 제어하여 승강가이드(4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실린더기구(31)를 제어하여 지지블록(30)을 전방으로 슬라이드킴으로써, 상기 드릴(51)이 상기 제2 관통공(3)의 상측에 위치도록 한 후, 상기 드릴링유닛(50)과 승강구동수단(60)을 제어하여 제2 관통공(3)의 상단에 확경부(5)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70)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린더기구(21)를 제어하여 슬라이드블록(2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제2 실린더기구(31)를 제어하여 지지블록(30)을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상기 드릴(51)이 상기 제3 관통공(4)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 후, 상기 드릴링유닛(50)과 승강구동수단(60)을 제어하여 상기 제3 관통공(4)의 상단에 확경부(5)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3 관통공(2,3,4)에 모두 확경부(5)를 형성한 후, 상기 제어수단(70)은 상기 슬라이드블록(20)과 지지블록(30) 및 승강가이드(40)가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하여 작업을 완료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고정홈(32)에 고정된 경첩판(1)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한 후,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다수개의 경첩판(1)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관통공(2,3,4)에 확경부(5)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첩판 가공장치는 슬라이드블록(20)와 승강가이드(40)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경첩판(1)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관통공(2,3,4)에 정확하게 확경부(5)를 형성할 수 있음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확경부(5)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지지블록(30)은 상면 일측에 배출공(33a)이 형성된 하부블록(33)과, 상기 하부블록(33)의 상면에 상기 배출공(33a)의 일측에서 상기 배출공(33a)의 상부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보조실린더기구(34a)에 의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며 상기 고정홈(32)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상부블록(34)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블록(33)은 슬라이드블록(20)에 구비된 제2 가이드레일(22)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실린더기구(31)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상기 배출공(33a)은 하부블록(33)의 상면 좌측에 상기 고정홈(32)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하부블록(33)의 측방향으로 개방된다.
상기 상부블록(34)은 상기 하부블록(33)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보조가이드레일(33b)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하부블록(33)의 우측 상면에서 좌측상면, 즉 상기 배출공(33a)의 우측에서 배출공(33a)의 상부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조실린더기구(34a)는 상기 하부블록(33)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측방향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가 상기 상부블록(34)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상부블록(34)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상부블록(34)의 고정홈(32)의 둘레면에는 배기공(34b)이 형성되며, 상기 배기공(34b)에는 급기수단(80)이 연결되어 상기 배기공(34b)으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기수단(80)은 급기관(81)을 통해 상기 배기공(34b)에 연결된 에어컴프레서를 이용한다.
또한, 상기 고정홈(32)의 일측에 구비되어 고정홈(32)의 내부로 경첩판(1)이 삽입되면 이를 감지하는 경첩판감지수단(90)이 구비된다.
상기 경첩판감지수단(90)은 상기 고정홈(32)의 둘레면 상측에 구비되며 일측에는 고정홈(32)의 내측으로 돌출된 푸쉬버튼(91)이 구비된 마이크로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홈(32)의 내부에 경첩판(1)이 삽입되면, 상기 푸쉬버튼(91)이 눌려 이를 감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첩판 가공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블록(34)은 상기 하부블록(33)의 우측, 즉, 상기 배출공(33a)의 측방향에 위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고정홈(32)에 경첩판(1)을 삽입한 후 상기 입력수단(71)을 조작하면, 상기 제어수단(70)은 상기 제1 내지 제3 실린더기구(21,31,41)와 드릴링유닛(50) 및 승강구동수단(6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관통공(2,3,4)에 확경부(5)를 형성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홈(32)에 결합된 경첩판(1)을 배출하면, 상기 제어수단(70)은 상기 경첩판감지수단(90)을 통해 이를 확인하고,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실린더기구(34a)와 급기수단(80)을 제어하여 상부블록(34)을 상기 배출공(33a)의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배기공(34b)을 통해 고정홈(32)의 내부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경첩판(1)이 고정홈(3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확경부(5)를 가공할 때 발생되는 칩이 상기 배기공(34b)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측방향으로 밀려서 상기 배출공(33a)으로 배출됨으로, 다음번 경첩판(1)을 고정홈(32)에 결합할 때, 칩에 의해 경첩판(1)이 고정홈(32)에 정확히 고정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지지대 20. 슬라이드블록
30. 지지블록 40. 승강가이드
50. 드릴링유닛 60. 승강구동수단
70. 제어수단

Claims (2)

  1. 경첩판(1)에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 내지 제3 관통공(2,3,4)의 상단에 콘형상의 확경부(5)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실린더기구(21)에 의해 측방향위치가 조절되는 슬라이드블록(20)과,
    상기 슬라이드블록(20)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는 상기 경첩판(1)이 삽입결합되는 고정홈(32)이 형성되며 제2 실린더기구(31)에 의해 전후방향위치가 조절되는 지지블록(30)과,
    상기 슬라이드블록(2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대(10)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제3 실린더기구(41)에 의해 측방향위치가 조절되는 승강가이드(40)와,
    상기 승강가이드(4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드릴(51)이 구비되어 하강시 상기 고정홈(32)에 고정된 경첩판(1)에 형성된 관통공의 상단에 확경부(5)를 형성하는 드릴링유닛(50)과,
    상기 드릴링유닛(50)에 연결되어 드릴링유닛(50)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60)과,
    상기 제1 내지 제3 실린더기구(21,31,41)와 드릴링유닛(50) 및 승강구동수단(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70)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가이드(40)는 상기 제3 실린더기구(41)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관통공(2,3)의 측방향 간격만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블록(20)은 상기 제1 실린더기구(21)에 의해 상기 제2 및 제3 관통공(3,4)의 측방향 간격만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드릴링유닛(50)을 제어하여 상기 제1 관통공(2)에 확경부(5)를 형성하고, 상기 승강가이드(40)의 측방향위치와 지지블록(30)의 전후방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제2 관통공(3)에 확경부(5)를 형성한 후, 상기 슬라이드블록(20)의 측방향위치와 지지블록(30)의 전후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제3 관통공(4)에 확경부(5)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블록(30)은
    상면 일측에 배출공(33a)이 형성된 하부블록(33)과,
    상기 하부블록(33)의 상면에 상기 배출공(33a)의 일측에서 상기 배출공(33a)의 상부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보조실린더기구(34a)에 의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며 상기 고정홈(32)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상부블록(34)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공(33a)은 상기 고정홈(3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블록(34)의 고정홈(32)의 둘레면에는 배기공(34b)이 형성되며,
    상기 배기공(34b)에 연결되어 배기공(34b)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80)과,
    상기 고정홈(32)의 일측에 구비되어 고정홈(32)의 내부로 경첩판(1)이 삽입되면 이를 감지하는 경첩판감지수단(9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70)은 상기 상부블록(34)이 상기 배출공(33a)의 측방향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경첩판감지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고정홈(32)에 경첩판(1)이 삽입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1 내지 제3 관통공(2,3,4)에 확경부(5)를 형성하고, 작업자가 작업이 완료된 경첩판(1)을 고정홈(32)으로부터 배출하면, 상기 보조실린더기구(34a)와 급기수단(80)을 제어하여 상부블록(34)을 상기 배출공(33a)의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배기공(34b)을 통해 고정홈(32)의 내부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관통공(2,3,4)을 가공하면서 발생된 칩이 상기 배출공(33a)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판 가공장치.
  2. 삭제
KR1020210111311A 2021-08-24 2021-08-24 경첩판 가공장치 KR102348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311A KR102348280B1 (ko) 2021-08-24 2021-08-24 경첩판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311A KR102348280B1 (ko) 2021-08-24 2021-08-24 경첩판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280B1 true KR102348280B1 (ko) 2022-01-07

Family

ID=79355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311A KR102348280B1 (ko) 2021-08-24 2021-08-24 경첩판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2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1545A (zh) * 2022-02-17 2022-06-03 佛山市顺德区伟志成数控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式高速铰链钻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8766A (ko) * 2007-06-11 2008-12-16 전용진 창호프레임용 천공장치
KR101639951B1 (ko) 2015-06-15 2016-07-14 김인수 경첩 가공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8766A (ko) * 2007-06-11 2008-12-16 전용진 창호프레임용 천공장치
KR101639951B1 (ko) 2015-06-15 2016-07-14 김인수 경첩 가공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1545A (zh) * 2022-02-17 2022-06-03 佛山市顺德区伟志成数控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式高速铰链钻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280B1 (ko) 경첩판 가공장치
US4945958A (en) Automatic processing head replacement device in wood working machine
KR20110060064A (ko) 공작기계용 소재 급속 로딩 및 언로딩 시스템
KR101815250B1 (ko) 자동 태핑 장치
CN109176737B (zh) 一种自动送料五面钻孔装置及钻孔方法
KR101824660B1 (ko) 금형 제조장치
CN106077739A (zh) 气动沉孔钻床
WO2006051643A1 (ja) 基板検査装置
KR20040043069A (ko) 자동 천공 장치
KR101862300B1 (ko) 샤링기
KR200481126Y1 (ko) 자동 측면 드릴링머신
KR102355533B1 (ko) Nct가공장치
KR102174742B1 (ko) 롤벤딩장치
CN208113111U (zh) 电路板上pin钉机
CN104626284B (zh) 一种全自动加工多孔斜边板材的装置及其加工方法
CN107529279A (zh) 可在电路板上实现多头精准钻孔的方法及多头钻孔设备
KR102075273B1 (ko) Fpcb 제조장치
JPH04210314A (ja) Nc多軸ボール盤の誤動作チェック機構
JP4168169B2 (ja) ワーク供給装置
JP2505534Y2 (ja) 加工検査装置
CN107639250B (zh) 一种改进型建筑板材钻孔加工装置
KR101959265B1 (ko) 자동변속기 변속레버용 슬라이드커버 검사장치
KR102185906B1 (ko) 구멍가공장치
SU49362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одувки и контрол глухих отверстий
KR102355530B1 (ko) Nct가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