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236B1 - 키친 타올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키친 타올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236B1
KR102348236B1 KR1020200112580A KR20200112580A KR102348236B1 KR 102348236 B1 KR102348236 B1 KR 102348236B1 KR 1020200112580 A KR1020200112580 A KR 1020200112580A KR 20200112580 A KR20200112580 A KR 20200112580A KR 102348236 B1 KR102348236 B1 KR 102348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unit
kitchen towel
disinfectant
dye
manufactur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우
Original Assignee
(주)이루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루모스 filed Critical (주)이루모스
Priority to KR1020200112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2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7Embossing, i.e. producing impressions formed by locally deep-drawing, e.g. using roll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profi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8Making a superficial cut in the surface of the work without removal of material, e.g. scoring, inc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1/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 B31D1/04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the articles being napkins, handkerchiefs, towels, doili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1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tearing along perforations or lines of weaknes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2Patterned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2201/00Mechanical deformation of paper or cardboard without removing material
    • B31F2201/07Embossing
    • B31F2201/0707Embossing by tools working continuously
    • B31F2201/0715The tools be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2201/00Mechanical deformation of paper or cardboard without removing material
    • B31F2201/07Embossing
    • B31F2201/0707Embossing by tools working continuously
    • B31F2201/0715The tools being rollers
    • B31F2201/0723Characteristics of the rollers
    • B31F2201/0738Cross sectional profile of the emboss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2201/00Mechanical deformation of paper or cardboard without removing material
    • B31F2201/07Embossing
    • B31F2201/0707Embossing by tools working continuously
    • B31F2201/0715The tools being rollers
    • B31F2201/0753Roller supporting, positioning,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2201/00Mechanical deformation of paper or cardboard without removing material
    • B31F2201/07Embossing
    • B31F2201/0758Characteristics of the embossed product
    • B31F2201/0761Multi-lay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친 타올 제조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원단을 1 차 합지시키는 1차 합지 롤러부 및 상기 1차 합지 롤러부와 정렬되도록 형성되되, 계단 경사형의 돌기부가 구비되어 상기 1차 합지 롤러부에서 1 차 합지된 원단을 2 차 합지시키는 2차 합지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키친 타올 제조장치 {Kitchen towel manufacturing equipment}
본 발명은 키친 타올 제조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복수의 원단을 1 차로 합지시키는 1차 합지 롤러부와, 상기 1차 합지 롤러부에서 1 차로 합지된 키친 타올 원단을 압착시켜 키친 타올로 제조하는 계단 경사형의 2차 합지 롤러부가 구비됨으로서, 복수의 원단을 접착재 사용 없이 견고하게 합지시켜 키친 타올을 제조할 수 있는 키친 타올 제조장치에 관한 발명임.
일반적으로 키친 타올은 식당이나 혹은 공공시설에서 수건의 대용으로 사용되거나, 기름때가 묻은 후라이펜 등과 같은 물체를 물에 헹구기전, 닦아내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키친 타올은, 일회성의 용품으로,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짐으로서, 필요할때마다 한장씩 인출하거나, 키친 타올에 형성된 절취부를 이용하여 절취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페이퍼 타월은, 얇은 원단에 접착재를 도포한 후, 서로 접착시키는 방식으로 제조하는 공정을 가짐으로서, 인체에 유해하고, 키친 타올을 제조하기 위한 기초 설비 투자에 많은 비용이 투입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키친 타올을 사용자가 사용하는 과정에서, 원단과 원단을 합지시켜주던 접착제가 열 또는 습도에 의해 분리되어,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변하는 문제 또한 발생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키친 타올 제작방식인 접착제를 사용하여 키친 타올을 제조하는 것이 아니거나, 접착제를 사용하되, 키친 타올을 보다 다양한 효과를 가지도록 키친 타올을 제조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왔으며, 그 예로 분말화된 원료를 건조시켜 키친 타올을 생산하는 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34330호 '자연향균 키친타올'과, 접착제를 사용하되, 에어 쿠션부가 구비되어, 키친 타올을 우수한 촉감을 가지도록 제조하는 장치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3322호 '에어 쿠션부가 구비된 페이퍼 타월'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된 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34330호 '자연향균 키친타올'은, 장기간 습도와 열에 노출될 경우, 제조된 키친 타올이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하고, 상기 선행될 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3322호 '에어 쿠션부가 구비된 페이퍼 타월'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조됨으로서, 장기간 이용시, 인체에 유해한 효과를 가질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친 타올이 합지 이후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며, 강력한 합지력을 가지되,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아 인체 무해한 키친 타올을 생산하기 위한 키친 타올 제조장치에 관한 기술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34330호 '자연향균 키친타올' (등록일자 2001.06.04)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3322호 '에어 쿠션부가 구비된 페이퍼 타월' (등록일자 2006.07.3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친 타올 제조장치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키친 타올 원단을 합지시킴과 동시에, 견고한 합지력을 형성하여 사용중 원단이 분리되지 않는 키친 타올을 제작할 수 있는 키친 타올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친 타올 제조장치는, 원단을 1 차 합지시키는 1차 합지 롤러부 및 상기 1차 합지 롤러부와 정렬되도록 형성되되, 계단 경사형의 돌기부가 구비되어 상기 1차 합지 롤러부에서 1 차 합지된 원단을 2 차 합지시키는 2차 합지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합지 롤러부는, 키친 타올 제조장치로 제조되는 키친 타올에 절취부를 형성하기 위한 절취부 형성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합지 롤러부 및 2차 합지 롤러부는, 키친 타올을 제조하기 위해 각 롤러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에서 연장되는 중심 파이프에서 길이 방향으로 삽입 및 탈거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 모터에서 연장되는 중심 파이프의 단부에는, 롤러부 고정 수단이 구비되어, 각 롤러부의 이탈을 방지하고, 각 롤러부를 중심 파이프에서 이탈시킬 경우, 상기 롤러부 고정 수단이 중심 파이프에서 제거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친 타올 제조장치는, 상기 1차 합지 롤러부와 2차 합지 롤러부를 통해 합지된 원단에 염색약을 도포하는 염색약 도포 롤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염색약 도포 롤러부는, 염색약을 공급받기 위한 염색약 공급부; 상기 염색약 공급부에서 잔달받은 염색약을 저장하되,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염색약 분사 구멍을 형성한 염색약 공급 파이프 및 상기 염색약 공급 파이프 둘레에 구비되며, 고흡수성 수지로 형성되는 염색약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친 타올 제조장치는, 상기 1차 합지 롤러부와 2차 합지 롤러부를 통해 합지된 원단에 소독약을 도포하는 소독약 도포 롤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독약 도포 롤러부는, 소독약을 공급받기 위한 소독약 공급부; 상기 소독약 공급부에서 잔달받은 소독약을 저장하되,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소독약 분사 구멍을 형성한 소독약 공급 파이프 및 상기 소독약 공급 파이프 둘레에 구비되며, 고흡수성 수지로 형성되는 소독약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합지 롤러부 및 2차 합지 롤러부는, 키친 타올 제조장치의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1차 합지 롤러부와 2차 합지 롤러부에 투입될 원단이 삽입되는 삽입부 및 합지된 원단이 토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 조절부 및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친 타올 제조장치는, 키친 타올 제조장치 하우징 내부에서 합지되어 토출되는 키친 타올의 불량을 감지하는 컬러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친 타올 제조장치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원단을 합지시켜 키친 타올을 제조함으로서, 인체에 해롭지 않고, 접착제로 인한 환경 오염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차 합지 롤러부는, 롤러의 원주 둘레의 모양이 계단 경사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로써 제조되는 키친 타올이 일정 무늬를 띄게되어, 사용인이 느끼기에 자연스러우며, 고급스러운 문양의 키친 타올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차 합지 롤러부에는, 키친 타올의 절취부를 형성할 수 있는 절취부 형성 수단을 구비하여, 별도의 절취부 형성 기계가 생략되어, 키친 타올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 비용이 저감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친 타올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1차 합지 롤러부 및 2차 합지 롤러부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롤러부의 수리 및 관리가 용이해져, 키친 타올 제조장치를 가동하는데 있어 시간적, 비용적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친 타올 제조장치는, 소독약이 도포된 키친 타올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친 타올 제조장치를 이루는 하우징에는, 습도 조절부 및 온도 조절부가 구비되어, 키친 타올을 제조하는데 습도와 온도를 조절하여, 원활한 합지가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친 타올 제조장치는, 제작되는 키친 타올의 불량을 감지하는 컬러 센서가 구비되어, 불량 키친 타올을 신속히 찾아낼 수 있어, 불량률을 낮춤으로서,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되는 장점을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친 타올 제조장치의 1차 합지 롤러부와 2차 합지 롤러부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1차 합지 롤러부와 2차 합지 롤러부를 보여주는 정면도 및 계단 형상의 돌기부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취부가 구비된 2차 합지 롤러부를 보여주는 정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4 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2차 합지 롤러부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 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2차 합지 롤러부의 분해도이다.
도 6 은 염색약 도포 롤러부가 더 포함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 은 소독약 도포 롤러부가 더 포함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 은 키친 타올 제조장치 하우징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9 는 토출부에 구비되는 컬러 센서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투영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친 타올 제조장치(1)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 1 내지 9 를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구체적인 실시 예를 함께 살펴본다
먼저,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친 타올 제조장치의 1차 합지 롤러부와 2차 합지 롤러부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1차 합지 롤러부와 2차 합지 롤러부를 보여주는 정면도 및 계단 형상의 돌기부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취부가 구비된 2차 합지 롤러부를 보여주는 정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4 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2차 합지 롤러부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5 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2차 합지 롤러부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친 타올 제조장치(1)는, 1차 합지 롤러부(100) 및 2차 합지 롤러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기 1차 합지 롤러부(100)는, 키친 타올을 형성하는 복수의 원단을 2차 합지 롤러부(200)로 투입하여 견고히 합지하기 이전, 대략적인 위치 및 각도를 잡아준 상태로, 서로 다른 위치에서 유입되는 2장 이상의 복수의 키친 타올 원단을 권취하여 1 차적으로 합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1차 합지 롤러부(100)는,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이 매끄러운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표면에 기어치가 형성되어, 이후 서술될 2차 합지 롤러부(200)와 맞물려 돌아갈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1차 합지 롤러부(100)는, 합지될 복수의 원단이 정확한 위치로 맞물려 합지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1차 합지 롤러부의 양측 단부 단부에는, 2차 합지 롤러부(200)에 투입되기 이전에 원단이 롤러부와 맞물리는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원단 가이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합지 롤러부(100)는, 원단과 맞닿는 표면에 원단과 1차 합지 롤러부(100)의 미끌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표면이 올록 볼록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자면, 표면이 거친 상태로 형성되는 석고형의 롤러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강철, 플라스틱, 탄소강과 같은 제조업 분야의 롤러에 이용되는 재질을 모두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합지 롤러부(200)는,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 합지 롤러부(100)와 정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합지 롤러부(200)는, 앞서 상술된 1차 합지 롤러부(100)와 유사한 원통의 형상을 가지되, 원주 단면의 표면에 계단 경사형의 돌기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단 경사형의 돌기부(210)가 형성된 2차 합지 롤러부(20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합지 롤러부(200)는, 앞서 1차 합지 롤러부(100)에서 1 차로 합지된 원단을 이어받아, 정교하게 정렬된 계단 경사형의 돌기부(210)와 맞물리도록 하여, 키친 타올 원단을 견고히 합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종래 키친 타올의 제작에 이용되던 접착제를 도포하는 방식이 아닌, 계단 경사형의 단차가 형성된 복수의 2차 합지 롤러부(200)로 하여 키친 타올을 제작함으로서, 사용자의 인체에 해롭지 않은 키친 타올을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 2차 합지 롤러부(200)는, 강철, 탄소강과 같은 높은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잦은 마찰로 인해 2차 합지 롤러부(200)의 표면 혹은 내부에 작은 파단면이 생김으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를 이용하여 제작된 키친 타올의 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술한 2차 합지 롤러부(200)를 이루는 재질은,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친 타올 제조장치(1)의 구성을 이루기 위해 소모되는 재료에 대한 비용 부담을 줄이고자 할 경우, 강철 및 탄소강보다는 낮은 강도를 가지지만 가격이 저렴한 주철, 황동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계단 경사형의 돌기부(210)가 구비된 2차 합지 롤러부(200)를 통과하여 합지된 키친 타올은, 그 특유의 무늬 자체로도 심미성이 있으며, 키친 타올 제작단계 이후, 따로 키친 타올에 무늬를 삽입하거나, 그림을 그려넣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만일 키친 타올을 제작하는 제작자가 키친 타올에 별도의 무늬 및 그림을 삽입하고자 할 경우 제작된 키친 타올을 그림 및 무늬 형성을 위한 제작 장치에 키친 타올을 투입하여 그림 및 문양을 삽입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2차 합지 롤러부(200)는, 절취부 형성 수단(220)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취부 형성 수단(220)은, 앞서 상술한 2차 합지 롤러부(200)에서 토출되는 키친 타올 완제품에서, 키친 타올에 구비되는 절취선을 형성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는 2차 합지 롤러부(200)중 하나의 2차 합지 롤러부(200)에 구비되는 계단 경사형의 돌기부(210)의 최상단에는 작은 크기의 칼날 혹은 뾰족한 원뿔 형상의 절취부 형성 수단(2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취부 형성 수단(220)은, 2차 합지 롤러부(200)에 형성된 모든 계단 경사형의 돌기부(100)에 구비되는 것이 아닌, 2차 합지 롤러부(200)의 둘레에서 일정 범위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절취선의 간격을 키친 타올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형성하기 위함이며, 이로써 절취선의 간격이 짧은 면적의 키친 타올이 생산되거나, 너무 넓은 간격의 절취선 간격을 갖는 키친 타올의 생산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절취부 형성 수단(220)이 구비되는 2차 합지 롤러부(200)와 마주보는 상태로 원단을 합지시키는 2차 합지 롤러부(200)는, 상기 절취부 형성 수단(220)이 구비되는 둘레의 위치에, 절취부 형성 수단(220)과 상응하는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절취부 형성 수단(220)이 형성된 2차 합지 롤러부(200)와, 종래의 2차 합지 롤러부(200)가 맞물려 돌아감에 있어, 서로의 간섭 없이 원활히 키친 타올에 절취부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1차 합지 롤러부(100) 및 2차 합지 롤러부(200)는,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을 위해 구비되는 회전 모터(M)에서 연장되는 중심 파이프(30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합지 롤러부(100) 및 2차 합지 롤러부(200)는, 상기 중심 파이프(300)에서 탈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1차 합지 롤러부(100) 및 2차 합지 롤러부(20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중심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중공(3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합지 롤러부(100) 및 2차 합지 롤러부(200)에 형성된 중공(310)의 일측에는, 이후 서술될 중심 파이프(300)에 구비되는 롤러부 고정 돌출부(320)와 맞물린 상태로 삽입할 수 있는 롤러부 고정 삽입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 파이프(300)는, 일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1차 합지 롤러부(100) 및 2차 합지 롤러부(200)에 형성된 롤러부 고정 삽입부(330)와 상응하는 형상의 롤러부 고정 돌출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 파이프(300)의 단부에는, 상기 1차 합지 롤러부(100) 및 2차 합지 롤러부(200)가 중심 파이프(300)에 삽입된 후, 키친 타올을 제조하기 위해 회전하는 도중, 중심 파이프(3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롤러부 고정 수단(340)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롤러부 고정 수단(340)은, 상기 중심 파이프(300)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 수단 삽입 홀(350)에 맞물리도록 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부 고정 수단(340)은 앞서 상술되었던 1차 합지 롤러부(100) 및 2차 합지 롤러부(200)가 중심 파이프(3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중심 파이프(300)의 바깥쪽 원주의 둘레보다 소정 둘레 넓게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도 4 내지 도 5 에 도시된 롤러부 고정 수단(340)은, 중심 파이프(300)와 1차 합지 롤러부(100) 및 2차 합지 롤러부(200)를 결속하기 위해 구비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중심 파이프(300)와 1차 합지 롤러부(100) 및 2차 합지 롤러부(200)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사용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1차 합지 롤러부(100) 또는 2차 합지 롤러부(200)를 교체 하거나, 점검 해야하는 상황 혹은 키친 타올을 생산하기 전 장치를 청소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롤러부 고정 수단(340)을 중심 파이프(300)에서 탈거시킨 후, 상기 1차 합지 롤러부(100) 또는 2차 합지 롤러부(200)를 중심 파이프(300)의 길이 방향으로 뽑아낸 후, 1차 합지 롤러부(100) 및 2차 합지 롤러부(200)의 상태를 점검하거나 교환 및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점검과 교환 및 청소가 완료되었을 경우, 사용자는 다시 롤러부에 형성되어 있던 롤러부 고정 삽입부(330)를, 중심 파이프(300)에 구비되어 있던 롤러부 고정 돌출부(320)와 맞물리도록 조절한 후, 상기 롤러부를 중심 파이프(300)로 끝까지 꽂아 넣은 후, 롤러부 고정 수단(340)을 중심 파이프(300)의 단부에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친 타올 제조장치(1)는, 장치의 구성인 롤러부(100, 200)의 관리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다음으로, 도 6 은 염색약 도포 롤러부가 더 포함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친 타올 제조장치(1)는, 염색약 도포 롤러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친 타올 제조장치(1)로 제조된 키친 타올의 표면을 염색하거나, 일정 패턴의 무늬를 삽입하기 위한 구성이며, 이를 위한 염색약 도포 롤러부(400)는, 염색약 공급부(410), 염색약 공급 파이프(420) 및 염색약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염색약 공급부(410)는, 이후 서술될 염색약 공급 파이프(420)에 염색약을 공급하기 위한 기계적 설비이며, 염색약 저장 탱크(411), 염색약 저장 탱크(411) 내부에 구비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와 염색약 공급 파이프(420)를 연결하는 공급 호스(412)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색약 공급 파이프(420)는, 상기 염색약 공급부(410)에서 염색약을 전달받은 후, 염색약을 저장하되,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색약 공급 파이프(420)의 둘레에는, 염색약을 스며나오도록 할 수 있는 염색약 분사 구멍(4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색약 도포 롤러부(400)는, 상기 염색약 공급 파이프(420)와 정렬된 상태로 회전하는 염색약 도포 보조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염색약 도포 보조 롤러는, 2차 합지 롤러부(200)에서 토출되는 키친 타올을 이어받아, 염색약 도포 롤러부(400)를 지나갈 수 있도록, 염색약 공급 파이프(420)와 염색약 도포 보조 롤러의 사이에 키친 타올이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하여, 키친 타올이 염색되며 지나갈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염색약 공급 파이프(420)의 외부에는, 고 흡수성 수지로 형성되는 염색약 브러쉬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사용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2차 합지 롤러부(200)를 통해 견고히 합지된 키친 타올 원단을 염색약 도포 롤러부(400)와 맞물리도록 하여, 염색약 도포 롤러부(400)를 회전시켜, 제조되는 키친 타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무늬를 염색할 수 있어, 염색되거나, 일정 무늬를 가진 키친 타올을 별도의 염색 설비 없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친 타올 제조장치(1)만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염색 설비에 들어가는 비용에 대한 부담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앞서 상술되었던 키친 타올 제조장치(1)에 구비되는 2차 합지 롤러부(200)를 통과하여 제조되는 키친 타올에, 일정 무늬를 넣거나 모양을 내기 위한 일종의 성형 단계를 위한 수단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염색약 도포 롤러부(400) 뿐만이 아닌, 키친 타올에 염색약을 분사하는 스프레이 방식의 염색 수단으로서도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염색약 저장 탱크(411)는, 각각의 다른 색상의 염색약을 저장할 수 있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염색약 저장 탱크(411)가 복수로 구비될 경우, 상기 복수의 염색약 저장 탱크(411)에 저장된 다른 색상의 염색약을 공급받아 혼합하여, 다른 색상의 염색약을 염색약 공급 파이프(420)로 공급할 수 있는 염색약 혼합 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단히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빨간색의 염색약이 저장된 염색약 저장 탱크와, 파란색의 염색약이 저장된 염색약 저장탱크에서, 각각 다른 색상의 염색약을 염색약 혼합 탱크로 공급하고, 상기 염색약 혼합 탱크는, 각각 다른 색상의 염색약을 공급받은 후 혼합하여, 초록색의 염색약으로 변화시킨 후, 염색약 공급 호스(412)를 통해 염색약 공급 파이프(420)로 염색약을 분사하게 되는 것이다.
도 7 은 소독약 도포 롤러부가 더 포함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친 타올 제조장치(1)는, 소독약 도포 롤러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친 타올 제조장치(1)로 제조된 키친 타올에 소독약을 도포하여, 위생을 위해 사용되는 알코올 솜과 같은 역할을 갖는 키친 타올을 제조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한 소독약 도포 롤러부(500)는, 소독약 공급부(510), 소독약 공급 파이프(520) 및 소독약 브러쉬(521)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소독약 공급부(510)는, 이후 서술될 소독약 공급 파이프(520)에 소독약을 공급하기 위한 기계적 설비이며, 소독약 저장 탱크(511), 소독약 저장 탱크(511) 내부에 구비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와 소독약 공급 파이프(520)를 연결하는 소독약 공급 호스(512)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독약 공급 파이프(520)는, 상기 소독약 공급부(510)에서 소독약을 전달받은 후, 소독약을 저장하되,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독약 공급 파이프(520)의 둘레에는, 소독약을 소독약 공급 파이프(520)의 회전에 의해 스며나오도록, 소독약 분사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독약 공급 파이프(520)의 외부에는, 고흡수성 수지로 형성되는 소독약 브러쉬(52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독약 도포 롤러부(500)는, 상기 소독약 공급 파이프(520)와 정렬된 상태로 회전하는 소독약 도포 보조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독약 도포 보조 롤러는, 2차 합지 롤러부(200)에서 토출되는 키친 타올을 이어받아, 소독약 도포 롤러부(500)를 지나갈 수 있도록, 소독약 공급 파이프(520)와 소독약 도포 보조 롤러의 사이에 키친 타올이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하여, 키친 타올에 소독약이 도포되며 지나갈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하, 사용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2차 합지 롤러부(200)를 통해 견고히 합지된 키친 타올 원단을 소독약 도포 롤러부(500)와 맞물리도록 하여, 소독약 도포 롤러부(500)를 회전시켜, 제조되는 키친 타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조되는 키친 타올에 지속적인 소독약 공급이 가능하여, 별도의 소독약 도포 장치 없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친 타올 제조장치(1)만을 이용하여 소독약이 추가된 키친 타올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키친 타올에 소독약을 도포하기 위한 설비에 들어가는 비용에 대한 부담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도 7 에 도시된 롤러 방식을 이용한 소독약 도포 방식이 아닌, 제작되는 키친 타올의 진행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스프레이로 소독약을 분사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소독약 브러쉬(521)는, 소독약 공급 파이프(520)의 둘레에서 생략된 상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소독약을 소독약 브러쉬(521)에 흡수시켜 키친 타올에 도포하도록 하는 것이 아닌,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소독약 공급 파이프(520)를 회전시킴으로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소독약이 소독약 공급 파이프(520)에 구비된 소독약 분사 구멍으로 토출되어, 키친 타올에 소독약이 뿌려지는 방식으로 이용되는 것이다.
도 8 은 키친 타올 제조장치 하우징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상기 1차 합지 롤러부(100)와 2차 합지 롤러부(200)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친 타올 제조장치(1)의 외장 케이스를 이루는 하우징(6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600)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형상의 케이스일 수 있으며,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그 형상에 한정하는 것이 아닌 키친 타올 제조장치(1)의 내장이 되는 각 롤러부(100, 200)와, 구성이 결합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부피와 형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합지 롤러부(100)와 2차 합지 롤러부(200)는, 하우징(600)의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술된 1차 합지 롤러부(100)와 2차 합지 롤러부(200)의 회전과 고정을 위해, 상기 롤러부(100, 200) 각각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되, 하우징(600)의 내벽과 결합되는 회전 모터(M)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모터(M)는, 도 8 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우징(6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 모터(M)의 장기간 이용을 필요로 하는 대형화 공장의 경우 회전 모터를 하우징(600)의 외부에 구비하여, 회전 모터(M)가 롤러부를 회전시키며 발생되는 열을 원활히 방출할 수 있도록 하우징(600)의 외부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는 바람직한 예시일뿐, 키친 타올을 합지시키는 1차 합지 롤러부(100)와 2차 합지 롤러부(200)의 간섭만 되지 않는다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회전 모터(M)의 위치를 달리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600)은, 상기 1차 합지 롤러부(100)에 1 차로 합지될 복수의 원단이 투입되는 삽입부(6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부(610)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합지 롤러부(100)의 하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600)은, 상기 2차 합지 롤러부(200)에서 2 차로 합지되어 제조되는 키친 타올이 토출되는 토출구(62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친 타올 제조장치(1)는, 상술된 하우징(600)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습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습도 조절부는, 하우징(600) 내부의 습도가 너무 높을 경우, 2차 합지 롤러부(200)에서 맞물리는 키친 타올 원단의 합지가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원단이 습기를 머금어, 제조된 키친 타올의 품질의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습도 조절부는, 하우징(600)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630) 및 상기 습도 센서(63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송풍 방식의 습도 조절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친 타올 제조장치(1)는, 상술된 하우징(60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 조절부는, 하우징(60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함이며, 하우징(600) 내부의 온도가 너무 높을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친 타올 제조장치(1)의 롤러부가 회전체로 구비되어, 회전을 위해 구비되는 마감 부분의 구리스, 즉, 고체형의 윤활제가 높은 온도로 인해 녹아, 롤러부의 표면을 부식시키거나, 흘러나온 윤활제가 하우징(600)의 내부에서 제조될 키친 타올의 표면에 묻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온도 조절부는, 하우징(600) 내부에 구비되는 온도 센서(640)를 통해 하우징(600)의 내부 온도를 도출받고, 상기 온도 센서(640)는 냉각수를 이용한 냉각 장치와 연동되어, 하우징(600) 내부를 냉각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 장치는, 냉각수를 저장하는 냉각수 저장 탱크, 냉각수 저장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며, 냉각수를 냉각 호스로 뿜어내기 위한 냉각 펌프 및 하우징(600)의 내부를 순환하도록 구비되는 냉각수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친 타올 제조장치(1)는, 키친 타올이 제조되는 환경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 및 관리할 수 있어, 원단의 원활한 합지를 도와주고, 양질의 키친 타올을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상술된 습도 조절부 및 온도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600)에 부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조절장치로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구성이 생략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도 9 는 토출부에 구비되는 컬러 센서(650)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투영도이다.
서술하기에 앞서, 키친 타올은 주로 위생 용품이며, 흰색을 가진 상태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키친 타올이 흰색을 가짐에 있어, 제조 과정중 불순물이 포함될 경우, 제조되는 키친 타올에 얼룩이 지거나, 합지되는 키친 타올 원단의 사이에 불순물이 낀 상태로 합지되어, 키친 타올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앞서 서술된 토출부(620)에는, 컬러 센서(65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컬러 센서(650)는, 2차 합지 롤러부(200)를 통해 합지되어 제작된 키친 타올 완제품의 불량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컬러 센서(650)는, 앞서 서술된 하우징(600)의 일면에 구비되는 알림벨과 연동되어, 컬러 센서(650)가 키친 타올의 이상 여부를 감지할 경우, 알림벨이 울려 제조되고 있는 키친 타올의 불량 상황을 키친 타올 제작자에게 전파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 1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친 타올 제조장치(1)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키친 타올 제조장치
100 : 1차 합지 롤러부
200 : 2차 합지 롤러부
210 : 계단 경사형의 돌기부
220 : 절취부 형성 수단
300 : 중심 파이프
310 : 중공
320 : 롤러부 고정 돌출부
330 : 롤러부 고정 삽입부
340 : 롤러부 고정 수단
350 : 고정 수단 삽입 홀
400 : 염색약 도포 롤러부
410 : 염색약 공급부
411 : 염색약 저장 탱크
412 : 염색약 공급 호스
420 : 염색약 공급 파이프
421 : 염색약 분사 구멍
500 : 소독약 도포 롤러부
510 : 소독약 공급부
511 : 소독약 저장 탱크
512 : 소독약 공급 호스
520 : 소독약 공급 파이프
521 : 소독약 브러쉬
600 : 하우징
610 : 삽입부
620 : 토출구
630 : 습도 센서
640 : 온도 센서
650 : 컬러 센서
M : 회전 모터

Claims (10)

  1. 원단을 1 차 합지시키는 1차 합지 롤러부;
    상기 1차 합지 롤러부와 정렬되도록 형성되되, 계단 경사형의 돌기부가 구비되어 상기 1차 합지 롤러부에서 1 차 합지된 원단을 2 차 합지시키는 2차 합지 롤러부 및
    상기 1차 합지 롤러부와 2차 합지 롤러부를 통해 합지된 원단에 염색약을 도포하는 염색약 도포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염색약 도포 롤러부는,
    염색약을 공급받기 위한 염색약 공급부;
    상기 염색약 공급부에서 잔달받은 염색약을 저장하되,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염색약 분사 구멍을 형성한 염색약 공급 파이프 및
    상기 염색약 공급 파이프 둘레에 구비되며, 고흡수성 수지로 형성되는 염색약 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친 타올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합지 롤러부는,
    키친 타올 제조장치로 제조되는 키친 타올에 절취부를 형성하기 위한 절취부 형성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친 타올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합지 롤러부 및 2차 합지 롤러부는,
    키친 타올을 제조하기 위해 각 롤러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에서 연장되는 중심 파이프에서 길이 방향으로 삽입 및 탈거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 모터에서 연장되는 중심 파이프의 단부에는, 롤러부 고정 수단이 구비되어, 각 롤러부의 이탈을 방지하고, 각 롤러부를 중심 파이프에서 이탈시킬 경우, 상기 롤러부 고정 수단이 중심 파이프에서 제거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친 타올 제조장치
  4. 삭제
  5. 삭제
  6. 원단을 1 차 합지시키는 1차 합지 롤러부;
    상기 1차 합지 롤러부와 정렬되도록 형성되되, 계단 경사형의 돌기부가 구비되어 상기 1차 합지 롤러부에서 1 차 합지된 원단을 2 차 합지시키는 2차 합지 롤러부 및
    상기 1차 합지 롤러부와 2차 합지 롤러부를 통해 합지된 원단에 소독약을 도포하는 소독약 도포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친 타올 제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약 도포 롤러부는,
    소독약을 공급받기 위한 소독약 공급부;
    상기 소독약 공급부에서 잔달받은 소독약을 저장하되,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소독약 분사 구멍을 형성한 소독약 공급 파이프 및
    상기 소독약 공급 파이프 둘레에 구비되며, 고흡수성 수지로 형성되는 소독약 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친 타올 제조장치
  8. 제 1 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합지 롤러부 및 2차 합지 롤러부는,
    키친 타올 제조장치의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1차 합지 롤러부와 2차 합지 롤러부에 투입될 원단이 삽입되는 삽입부 및
    합지된 원단이 토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친 타올 제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 조절부 및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친 타올 제조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키친 타올 제조장치는,
    키친 타올 제조장치 하우징 내부에서 합지되어 토출되는 키친 타올의 불량을 감지하는 컬러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친 타올 제조장치
KR1020200112580A 2020-09-03 2020-09-03 키친 타올 제조장치 KR102348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580A KR102348236B1 (ko) 2020-09-03 2020-09-03 키친 타올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580A KR102348236B1 (ko) 2020-09-03 2020-09-03 키친 타올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236B1 true KR102348236B1 (ko) 2022-01-10

Family

ID=79347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580A KR102348236B1 (ko) 2020-09-03 2020-09-03 키친 타올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23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330Y1 (ko) 2001-03-02 2001-10-06 강형민 자연항균 키친타올
JP2003055897A (ja) * 2001-08-20 2003-02-26 Hoxy Co Ltd 着色家庭用薄葉紙の製造方法
KR200423322Y1 (ko) 2006-05-23 2006-08-04 안상훈 에어 쿠션부가 구비된 페이퍼 타월
KR100718690B1 (ko) * 2007-02-23 2007-05-15 최준묵 엠보성형장치
JP2012116612A (ja) * 2010-11-30 2012-06-21 Daio Paper Corp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JP2014054389A (ja) * 2012-09-12 2014-03-27 Sadafumi Abe トイレットペーパー
JP2014180823A (ja) * 2013-03-19 2014-09-29 Oji Holdings Corp エンボス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エンボス加工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330Y1 (ko) 2001-03-02 2001-10-06 강형민 자연항균 키친타올
JP2003055897A (ja) * 2001-08-20 2003-02-26 Hoxy Co Ltd 着色家庭用薄葉紙の製造方法
KR200423322Y1 (ko) 2006-05-23 2006-08-04 안상훈 에어 쿠션부가 구비된 페이퍼 타월
KR100718690B1 (ko) * 2007-02-23 2007-05-15 최준묵 엠보성형장치
JP2012116612A (ja) * 2010-11-30 2012-06-21 Daio Paper Corp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JP2014054389A (ja) * 2012-09-12 2014-03-27 Sadafumi Abe トイレットペーパー
JP2014180823A (ja) * 2013-03-19 2014-09-29 Oji Holdings Corp エンボス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エンボス加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245645A (ja) 釣り竿グリップ
DE112005001342B4 (de) Papiertuchreinigungssystem
JP2530824Y2 (ja) 塗料塗布器
KR102348236B1 (ko) 키친 타올 제조장치
US20090032636A1 (en) Dispenser of Sheets of Material for Household Cleaning and/or Personal Hygiene
CN204280326U (zh) 软袋供水的密封水路喷湿型润纸盒
MX2007012109A (es) Rodillo de pintar auto-limpiador.
JP3590954B1 (ja) 湿タオル供給装置
US643111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towels
KR20240021577A (ko) 4중 키친타올 제조장치
US2002018727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towels
CN201537076U (zh) 一种红外线感应自动擦鞋机
CN109367220A (zh) 一种一次性纸杯杯身印画装置
CN113246601B (zh) 一种高弹春亚纺加工用印花装置及其印花方法
KR100231477B1 (ko)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
JP3488231B1 (ja) おしぼり製造装置
JP2004129863A (ja) 有料おしぼり製造装置
CN210594467U (zh) 一种湿巾卷膜生产用具有消毒结构的收卷装置
CN214965003U (zh) 一种人体表面抑菌清洁无纺布湿巾浸液装置
KR200180460Y1 (ko) 물수건 제작기
CN103264922A (zh) 一种可正反转打标专用卷膜机
CN214987235U (zh) 一种全棉水刺无纺布亲肤棉柔巾
CN211441473U (zh) 一种复合墙布/装帧布的加工装置
WO2018158788A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tubular cardboard core and tubular cardboard core
CN216765426U (zh) 一种双面彩喷铜版纸涂布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