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223B1 - 건식 흡착패드 - Google Patents

건식 흡착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223B1
KR102347223B1 KR1020200016329A KR20200016329A KR102347223B1 KR 102347223 B1 KR102347223 B1 KR 102347223B1 KR 1020200016329 A KR1020200016329 A KR 1020200016329A KR 20200016329 A KR20200016329 A KR 20200016329A KR 102347223 B1 KR102347223 B1 KR 102347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block
dry
suction pa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3140A (ko
Inventor
곽문규
이성호
송현우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083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5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process specific fea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 흡착패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부; 흡착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부의 일측면에서 바운더리를 형성하는 립(lip)부; 및 상기 립부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면 상에 마련되고, 복원력에 의해 압력 차이를 발생시켜주는 흡착블록을 포함하는 블록부;를 포함하므로 흡착대상체에 안정적으로 흡착되며 유체의 흐름에 의해 항력이 발생하여도 흡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건식 흡착패드{Dry Attatchable Pad}
본 발명은 유체의 환경 속에서도 안정적으로 흡착되기 위한 건식 흡착패드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접착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매디컬 패치, 반도체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소자 접합, 이송, 피부 점착 등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대부분의 산업에서 값싸고 강력한 접착력을 갖는 아크릴계 화합물을 습식접착제로 사용하고 있으나, 탈부착시 잔여물이 발생하기도 하며, 피부 염증 유발이나 재사용이 불가능하다는 점 등으로 인해 응용 범위가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화학적 접착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기계적 점착 방법인 건식 점착 또는 건식 흡착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건식 점착 또는 건식 흡착은 탈부착시 표면의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재사용이 가능하고, 오염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건식 점착 또는 흡착은 부착대상이 건식 표면에 주로 한정되고 있었다. 즉, 수중과 같은 환경 속에서 건식 점착은 부착될 표면과의 계면 사이에 수분이 존재하여 점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또한 물살과 같이 물의 흐름속에서도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수중과 같은 습식 환경 속에서도 안정적으로 부착되고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4766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변환경이 수분과 같은 액상의 환경 속에 있어도 안정적으로 흡착될 수 있는 건식 흡착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식 흡착패드는, 흡착대상체에 흡착되기 위한 흡착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베이스부; 상기 흡착대상체에 흡착되면서 외부로부터 격리되는 상기 흡착공간을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흡착대상체 사이에서 형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면에서 바운더리를 형성하는 립(lip)부; 및 상기 립부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면 상에 마련되고, 외력으로 인하여 변형된 상태에서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흡착공간과 외부 사이에 압력 차이를 발생시켜주는 흡착블록을 포함하는 블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블록부에 포함된 상기 흡착블록은 다수개이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흡착블록 사이에는 흡착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흡착대상체 측을 향하는 상기 흡착블록의 일측면에는, 상기 흡착대상체의 표면에 접하여 마찰되는 마찰수단이 마련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마찰수단은 상기 흡착블록의 일측면에서 임의의 높이로 돌출된 형태를 갖춘 다수의 마찰돌기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마찰돌기의 일측단이 볼록한 형태를 갖춘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흡착홈은 다수 형성되어 있고, 하나의 흡착홈과 다른 하나의 흡착홈이 교차된 형태 또는 연통될 수 있도록 이어지는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다수의 마찰돌기의 일측단들이 일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태의 가상의 곡면에 속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마찰돌기의 일측단들이 하나의 가상의 평면에 속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식 흡착패드는, 흡착대상체에 안정적으로 흡착되기 위한 흡착력과 흡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저항력이 확보된다. 따라서, 물살과 같이 유체의 흐름에 놓인 환경 속에서도 건식 흡착패드가 안정적으로 흡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식 흡착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식 흡착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식 흡착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식 흡착패드의 흡착블록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식 흡착패드의 마찰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식 흡착패드 및 흡착대상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식 흡착패드에서 흡착블록의 응용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식 흡착패드에서 흡착블록과 마찰돌기의 응용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식 흡착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식 흡착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식 흡착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식 흡착패드(10)는 베이스부(100), 립(lip)부(200) 및 블록부(30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0)는 흡착대상체에 흡착되기 위한 흡착공간(250)을 형성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여기서 흡착대상체란 건식 흡착패드가 흡착될 대상이 되는 사물을 말한다.
베이스부(100)는 도면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의 형태를 갖춘 것도 가능하며, 이외에도 사각형태를 갖춘 것 또한 충분히 가능하다.
이러한 베이스부(100)는 립부(200)와 블록부(300)를 지지하며, 립부(200)와 블록부(300)에 의해 흡착되고 흡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다. (335)
베이스부(100)의 일측면에는 립부(200)와 블록부(300)가 위치하고 있으며, 립부(200)와 블록부(300)가 위치한 부분이 흡착대상체에 흡착된다. 건식 흡착패드를 매개로 하여 흡착대상체에 사물을 부착시킬 경우에는 건식 흡착패드의 베이스부(100)의 타측면에 사물이 결합될 수 있다.
립부(200)는 흡착대상체에 흡착되면서 외부로부터 격리되는 흡착공간(250)을 베이스부(100) 및 흡착대상체 사이에서 형성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부(100)의 일측 면에서 바운더리(boundary)를 형성한다.
여기서 흡착공간(250)이란, 베이스부(100), 립부(200) 및 흡착대상체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으로서 외부로부터 격리 즉 밀폐되는 공간이다.
이러한 립부(200)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하측단이 베이스부(100)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임의의 높이를 갖추고 있으며 블록부(300)를 내측에 두고 둘러싸는 형태를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베이스부(100)의 일측 면에서 바운더리를 형성하는 립부(200)는 건식 흡착패드가 흡착대상체에 흡착될 때 립부(200)의 일측단이 흡착대상체의 표면에 접하게 되어 흡착공간(250)을 외부로부터 밀폐시켜주게 된다.
따라서 립부(200)는 건식 흡착패드가 흡착대상체에 흡착시 외부로부터 물이나 공기와 같은 유체가 흡착공간(250)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흡착공간(250) 내 압력이 외부압력보다 낮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건식 흡착패드가 흡착대상체에 흡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립부(200)는 베이스부(10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유연성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연성있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진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블록부(300)는 립부(200)에 의해 둘러싸인 베이스부(100)의 일측면 상에 마련되고, 외력으로 인하여 변형된 상태에서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에 의해 흡착공간(250)과 외부 사이의 압력 차이를 발생시켜주는 흡착블록(310)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그리고, 다수개의 흡착블록(310)의 집합을 블록부(300)라고 칭할 수 있다.
건식 흡착패드의 일측에 마련된 립부(200)가 흡착대상체의 표면에 접할 때 건식 흡착패드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힘을 가하여 눌러주면 흡착블록(310)의 일측도 흡착대상체의 표면에 접하면서 눌리게 된다. 이처럼 외력이 가해지면 흡착블록(310)이 비스듬히 기울어지거나 휘어지는 변형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이 흡착블록(310)이 변형된 상태로부터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이 흡착블록(310)에 생기게 되며, 립부(200)에 의해 흡착공간(250)이 외부에 대하여 밀폐된 상태에서 흡착블록(310)의 복원력에 의해 흡착공간(250)과 외부 사이에 압력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압력차이로 인하여 건식 흡착패드가 흡착대상체에 흡착된다.
이러한 흡착블록(310)은 연성과 탄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베이스부(100), 립부(20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그리고, 다수개의 흡착블록(310)에서 서로 이웃하는 흡착블록(310) 사이에는 흡착홈(27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착홈(270)은 흡착공간(250)과 연통되므로 흡착공간(250)에 속한다고 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흡착홈(270)은 다수 마련되어 있고, 하나의 흡착홈(270)과 다른 하나의 흡착홈(270)이 교차된 형태 또는 연통될 수 있도록 이어지는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흡착홈(270)과 다른 하나의 흡착홈(270)이 교차된 형태 또는 연통될 수 있도록 이어지는 형태를 갖추고 있으면, 건식 흡착패드를 흡착대상체에 흡착시킬 때 흡착공간(250) 또는 흡착홈(270) 내에 있던 유체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으며, 흡착홈(270)과 흡착공간(250) 내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에 비해 낮아지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흡착블록(310) 사이에 형성된 흡착홈(270)은 흡착블록(310)이 외력에 의해 변형되거나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준다고 할 수도 있다.
흡착블록(310)에서 흡착대상체 측을 향하는 일측면에는 흡착대상체의 표면에 접하여 마찰되는 마찰수단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마찰수단의 바람직한 예로서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은 마찰돌기(330)를 들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식 흡착패드의 흡착블록 일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식 흡착패드의 흡착블록에서 마찰돌기가 흡착대상체에 접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와 도 5를 더 참조하면, 마찰돌기(330)는 흡착블록(310)의 일측면에서 임의의 높이로 돌출된 형태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마찰돌기(330)는 흡착블록(310)의 일측면에 다수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마찰돌기(330)의 일측단(335)이 볼록한 형태를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돌기(330)의 일측단(335)이 볼록한 형태를 갖추고 있으면, 마찰돌기(330)와 흡착대상체(20)의 표면과 접할 때, 마찰돌기(330)와 흡착대상체(20)의 표면 사이의 각도가 다양하여도 마찰돌기(330)와 흡착대상체(20)가 접하는 면적은 일정 수준 이상 확보될 수 있다.
마찰돌기(330)의 직경대길이비(aspect ratio) 는 1 내지 3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마찰돌기(330)의 길이 즉, 높이가 0.3mm 라면 직경은 0.2mm 인 것을 예로 들을 수 있다.
흡착블록(310) 또는 마찰돌기(330)의 표면에는 직경이 수 마이크로 스케일의 크기를 갖춘 마이크로 포어(micro pore)가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마이크로 포어(micro pore)가 마찰돌기(330)에 마련되어 있으면, 건식 흡착패드의 흡착력 증대 또는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마찰돌기(330)는 유연성과 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베이스부(100), 립부(200) 및 흡착블록(310)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질의 실리콘도 소재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식 흡착패드 및 흡착대상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건식 흡착패드의 일측에 마련된 립부(200)가 흡착대상체(20)의 표면에 접할 때 건식 흡착패드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힘을 가하여 눌러주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립부(200)의 일측단 부분이 흡착대상체(20)의 표면에 접하면서 휘어지게 된다.
이 때 흡착공간(250) 또는 흡착홈(270) 내에 있던 공기 또는 물과 같은 유체(fluid)는 흡착공간(250)과 흡착홈(270)의 체적이 감소됨에 따라 흡착대상체(20)의 표면과 립부(200)의 일측단 사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계속하여 건식 흡착패드를 흡착대상체(20)로 밀착시키는 외력을 가하면, 흡착블록(310)의 일측도 흡착대상체(20)의 표면에 접하면서 눌리게 된다. 이때 마찰돌기(330)가 흡착대상체(20)의 표면에 접하면서 눌리게 된다. 이처럼 외력이 가해지면 흡착블록(310)이 비스듬히 기울어지거나 휘어지는 변형이 생기게 되며, 마찰돌기(330)도 외력에 의해 눌려지면서 변형이 생기게 된다.
이 때 외력이 더 이상 가해지지 않고 제거되면, 흡착블록(310)이 변형된 상태로부터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이 흡착블록(310)에 생기게 된다. 립부(200)에 의해 흡착공간(250)이 외부에 대하여 밀폐된 상태에서 흡착블록(310)의 복원력에 의해 흡착공간(250)과 외부 사이에 압력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압력차이로 인하여 건식 흡착패드가 흡착대상체(20)에 흡착된다.
그리고 흡착대상체(20)에 흡착된 건식 흡착패드가 물과 같은 유체 속의 환경에서 유체의 흐름에 의해 항력을 받는 경우 마찰돌기(330)가 흡착대상체(20)의 표면과 접하여 마찰력이 증대된다. 따라서, 물살과 같은 유체의 흐름에 의해 항력이 발생하여도 흡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 편 흡착블록(310)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용된 형태를 갖춘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식 흡착패드에서 흡착블록의 응용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흡착블록(310`)의 일측면이 완만한 곡면을 갖춘 것도 가능하다. 특히, 다수의 흡착블록(310`)의 일측면이 전체적으로 일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태를 이루도록 곡면의 형태를 갖춘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식 흡착패드에서 흡착블록과 마찰돌기의 응용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다수의 마찰돌기(330)의 일측단(335)들이 하나의 가상의 평면에 속하는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도 8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마찰돌기(330)의 일측단(335)들이 일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태의 가상의 곡면(IF)에 속하는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다.
도 7과 도 8에 예시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블록(310) 또는 마찰돌기(330)가 응용된 형태를 갖춘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립부(200)의 외측면에는 흡착공간(250)과 외부 사이의 압력차이가 해소되면서 건식 흡착패드가 흡착대상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립부(200)의 일부분에 태그가 마련된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태그를 잡고 흡착대상체로부터 립부의 일부분이 이격되도록 잡아당겨주면 흡착대상체의 표면으로부터 립부의 일부분이 이격되면서 흡착공간과 외부 사이의 압력차이가 해소되며, 건식 흡착패드가 흡착대상체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식 흡착패드에 의하면, 주변 환경이 물속과 같은 유체속의 환경에서도 흡착대상체에 안정적으로 흡착되며, 흡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마찰돌기에 의해 흡착대상체의 표면과의 마찰력이 증대되므로 물살과 같은 유체의 흐름에 의해 항력이 발생하여도 흡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중의 환경 속에서도 건식 흡착패드가 안정적으로 흡착대상체에 흡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건식 흡착패드 20 : 흡착대상체
100 : 베이스부 200 : 립부
250 : 흡착공간 270 : 흡착홈
300 : 블록부 310, 310` : 흡착블록
330 : 마찰돌기

Claims (8)

  1. 흡착대상체에 흡착되기 위한 흡착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베이스부;
    상기 흡착대상체에 흡착되면서 외부로부터 격리되는 상기 흡착공간을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흡착대상체 사이에서 형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면에서 바운더리를 형성하는 립(lip)부; 및
    상기 립부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면 상에 마련되고, 외력으로 인하여 변형된 상태에서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흡착공간과 외부 사이에 압력 차이를 발생시켜주는 흡착블록을 포함하는 블록부;를 포함하되,
    상기 흡착대상체 측을 향하는 상기 흡착블록의 일측면에는, 상기 흡착대상체의 표면에 접하여 마찰되는 마찰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블록부에 포함된 상기 흡착블록은 다수개이고,
    상기 흡착블록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서로 이웃하는 상기 흡착블록 사이에는 흡착홈이 마련되며,
    상기 흡착홈은 다수 형성되어 있고, 하나의 흡착홈과 다른 하나의 흡착홈이 교차된 형태 또는 연통될 수 있도록 이어지는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흡착패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수단은 상기 흡착블록의 일측면에서 임의의 높이로 돌출된 형태를 갖춘 다수의 마찰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흡착패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돌기의 일측단이 볼록한 형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흡착패드.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다수의 마찰돌기의 일측단들이 일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태의 가상의 곡면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흡착패드.
  8. 제 5항에 있어서,
    다수의 마찰돌기의 일측단들이 하나의 가상의 평면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흡착패드.
KR1020200016329A 2019-12-26 2020-02-11 건식 흡착패드 KR102347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75003 2019-12-26
KR1020190175003 2019-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140A KR20210083140A (ko) 2021-07-06
KR102347223B1 true KR102347223B1 (ko) 2022-01-05

Family

ID=76861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329A KR102347223B1 (ko) 2019-12-26 2020-02-11 건식 흡착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2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0550A (ja) 2003-01-29 2004-08-19 J Schmalz Gmbh 真空把持装置
DE10335021B3 (de) 2003-07-09 2004-11-04 J. Schmalz Gmbh Sauggreifer
KR101790029B1 (ko) * 2017-04-13 2017-10-2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불소고무를 이용한 건식접착제, 불소고무를 이용한 건식접착제 제조 방법 및 건식접착 구조물 사출 방법
CN109733873A (zh) * 2018-12-13 2019-05-10 西安交通大学 一种负压辅助的仿生干粘附拾取结构及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668B1 (ko) 2018-05-17 2019-11-2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 탄성 입자를 포함한 건식 접착 시스템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0550A (ja) 2003-01-29 2004-08-19 J Schmalz Gmbh 真空把持装置
DE10335021B3 (de) 2003-07-09 2004-11-04 J. Schmalz Gmbh Sauggreifer
KR101790029B1 (ko) * 2017-04-13 2017-10-2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불소고무를 이용한 건식접착제, 불소고무를 이용한 건식접착제 제조 방법 및 건식접착 구조물 사출 방법
CN109733873A (zh) * 2018-12-13 2019-05-10 西安交通大学 一种负压辅助的仿生干粘附拾取结构及制备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140A (ko)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3553B (zh) 用於製造可撓性顯示裝置之設備及使用其製造可撓性顯示裝置之方法
JP5918003B2 (ja) 個片化装置用真空吸着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固定治具の製造方法
KR20160108112A (ko) 흡착판
JP2010201536A (ja) 真空吸着パッド
JP6220519B2 (ja) 空気圧を用いた基板固定装置
KR102343057B1 (ko) 그립장치 및 이를 가지는 그립로봇
KR102347223B1 (ko) 건식 흡착패드
KR20090019773A (ko) 유리 또는 반도체 판(웨이퍼) 표면 등에 접착에 의해 접촉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이 디바이스를 갖는 상기 판을꽉 붙잡는 시스템
US20150136922A1 (en) Suction system with reversible dome spring
JP6600706B2 (ja) 可撓性のあるワークピースのためのサポート
KR102152467B1 (ko) 그립장치 및 이를 가지는 그립로봇
JP2007154933A (ja) 吸盤
JP6442733B2 (ja) 貼付シート、ヘルメット、及び製造方法
JP6372662B2 (ja) 研磨パッド固定用テープおよび研磨パッド
JP4840333B2 (ja) テープ貼り付け装置及びテープ貼り付け方法
KR101640743B1 (ko) 자유변형 흡착척
JP5777152B2 (ja) 吸着装置
JP6327422B2 (ja) 吸着板
JP7109066B2 (ja) 吸着パッド
WO2005030398A3 (en) Fixture for centrifuging a fluid-containing flexible vessel
JP3143592U (ja) ドームプレートホルダー
JP2007301168A (ja) 人工皮膚
JP4445318B2 (ja) ウェハ用の吸着チャック
US9181974B1 (en) Suction cup attachment device
KR102113273B1 (ko) 진공 흡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