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868B1 -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의 특정 성분 강화 생산 공정 - Google Patents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의 특정 성분 강화 생산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868B1
KR102346868B1 KR1020210067696A KR20210067696A KR102346868B1 KR 102346868 B1 KR102346868 B1 KR 102346868B1 KR 1020210067696 A KR1020210067696 A KR 1020210067696A KR 20210067696 A KR20210067696 A KR 20210067696A KR 102346868 B1 KR102346868 B1 KR 102346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extract
prepared
concentrate
prep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6868B9 (ko
Inventor
최성근
이창순
장성수
전병선
이건희
전혜정
김다영
김혜원
김한민
Original Assignee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7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868B1/ko
Priority to EP22159103.5A priority patent/EP4094770A1/en
Priority to JP2022039079A priority patent/JP7341275B2/ja
Priority to US17/693,913 priority patent/US11759490B2/en
Priority to CN202210311128.4A priority patent/CN115400157B/zh
Publication of KR102346868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868B9/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3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extraction with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5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using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4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8Orchidaceae (Orchi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B01D11/0288Applications,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44Preparation of O-glycosides, e.g. glucosides
    • C12P19/56Preparation of O-glycosides, e.g. glucosides having an oxyge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directly bound to a condensed ring system having three or more carbocyclic rings, e.g. daunomycin, adriamyc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33/00Preparation of steroids
    • C12P33/20Preparation of steroid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3Liquid-solid separation, e.g. centrifugation, sedimentation or crystalliz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 농축액에 효소액을 첨가하여 효소반응시킨 후 주정을 첨가하여 홍삼 주정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한 홍삼 주정 혼합액을 원심분리하여 분리한 상등액을 감압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의 특정 성분 강화 생산 공정{Production process with enhanced specific component of red ginseng hydrolysis concentrate}
본 발명은 홍삼 농축액에 효소액을 첨가하여 효소반응시킨 후 주정을 첨가하여 홍삼 주정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한 홍삼 주정 혼합액을 원심분리하여 분리한 상등액을 감압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에 관한 것으로, 홍삼 농축액의 품질은 유지하면서 컴파운드 케이를 다량 포함하는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을 제공할 수 있다.
고려인삼의 속명인 Panax는 그리스어의 Pan(모든)과 Akok(치료하다)의 복합어로서 '모든 병을 치료한다'라는 의미로 예로부터 식·약용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약용작물이다. 인삼은 약 60%의 탄수화물, 8~15%의 조단백질, 1~3%의 조지방, 4~6%의 회분, 3~7%의 조사포닌, 그 외 미량성분들로 구성되어 있다. 인삼의 기능성으로는 면역력 개선, 피로회복, 기억력 개선, 혈행 개선, 항산화 효과 및 갱년기 여성 건강 등이 있으며, 그 외 중추신경 억제 및 흥분 작용, 단백질 및 핵산 생합성 촉진 작용, 조혈 작용, 동맥경화 예방, 혈당강하 작용, 항피로 및 항스트레스 작용 등의 약리작용도 보고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작용은 사포닌으로부터 당이 분리되면서 생성된 진세노사이드의 작용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30여 종이 넘는 진세노사이드가 인삼 사포닌으로부터 분리 동정되었으며, 프로토파낙사디올계 사포닌에 속하는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와 프로토파낙사트리올계 사포닌에 속하는 진세노사이드 Re와 Rg1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20-O-beta-D-glucopyranosyl-20(S)- protopanaxadiol)는 진세노사이드 대사체로서 특히 체내 흡수율이 탁월하고 약리학적 활성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황반변성질환 치료, 신경변증성 통증 치료도 보고되고 있다. 또한, 면역 증강, 종양의 혈관 신생 억제, 암세포 침윤 억제 및 암세포 증식 억제 등 여러 가지 우수한 효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현재까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는 삼 자체에는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아, 이를 해결하고자 효소나 방사선 조사를 이용하여 삼에 포함된 진세노사이드를 컴파운드 케이로 전환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여전히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가 증진된 새로운 제조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0377546호에는 효소적 방법에 의한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20-0136648호에는 아스퍼질러스 오라이제 효소액을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 제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의 특정 성분 강화 생산 공정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홍삼 농축액 내 컴파운드 케이 함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부재료 선정, 홍삼 전처리, 농축액 제조 등의 제조조건을 최적화하여, 품질이 우수하면서 컴파운드 케이를 다량 함유하는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1) 죽순, 솜나물잎, 측백 열매 및 한련초를 혼합한 혼합물에 물 또는 주정을 첨가하고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2) 감태에 물 또는 주정을 첨가한 후 추출하여 감태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3) 홍삼에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추출액을 첨가한 후 추출하고 여과하여 홍삼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제조한 홍삼 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홍삼에 상기 (2)단계의 제조한 감태 추출액을 첨가한 후 추출하고 여과하여 홍삼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5) 상기 (3)단계의 제조한 홍삼 추출액과 상기 (4)단계의 제조한 홍삼 추출액을 혼합하고 농축하여 홍삼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6) 상기 (5)단계의 제조한 홍삼 농축액에 효소액을 첨가하여 효소반응시킨 후 주정을 첨가하여 홍삼 주정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7) 상기 (6)단계의 제조한 홍삼 주정 혼합액을 원심분리하여 분리한 상등액을 감압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효소 반응 후 농축액 분리시 진세노사이드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약리효과가 우수한 컴파운드 케이로 효과적으로 전환시켜 컴파운드 케이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홍삼 농축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홍삼 특유의 쓴맛은 제거되면서 부드러운 맛으로 인해 섭취가 용이한 홍삼 농축액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죽순, 솜나물잎, 측백 열매 및 한련초를 혼합한 혼합물에 물 또는 주정을 첨가하고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2) 감태에 물 또는 주정을 첨가한 후 추출하여 감태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3) 홍삼에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추출액을 첨가한 후 추출하고 여과하여 홍삼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제조한 홍삼 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홍삼에 상기 (2)단계의 제조한 감태 추출액을 첨가한 후 추출하고 여과하여 홍삼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5) 상기 (3)단계의 제조한 홍삼 추출액과 상기 (4)단계의 제조한 홍삼 추출액을 혼합하고 농축하여 홍삼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6) 상기 (5)단계의 제조한 홍삼 농축액에 효소액을 첨가하여 효소반응시킨 후 주정을 첨가하여 홍삼 주정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7) 상기 (6)단계의 제조한 홍삼 주정 혼합액을 원심분리하여 분리한 상등액을 감압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1)단계의 추출액은 바람직하게는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죽순 36~40 중량%, 솜나물잎 14~18 중량%, 측백 열매 28~32 중량% 및 한련초 14~18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에 물 또는 주정을 7~9배(v/w) 첨가한 후 90~100℃에서 6~10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죽순 38 중량%, 솜나물잎 16 중량%, 측백 열매 30 중량% 및 한련초 16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에 물 또는 주정을 8배(v/w) 첨가한 후 95℃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2)단계의 감태 농축액은 바람직하게는 감태에 감태 대비 물 또는 주정을 7~9배(v/w) 첨가하여 90~100℃에서 7~9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감태에 감태 대비 물 또는 주정을 8배(v/w) 첨가하여 95℃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3)단계의 홍삼 추출액은 바람직하게는 홍삼에 추출액을 첨가한 후 80~90℃에서 추출하고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홍삼에 추출액을 첨가한 후 85℃에서 추출하고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4)단계의 홍삼 추출액은 바람직하게는 홍삼 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홍삼에 감태 추출액을 첨가한 후 80~90℃에서 추출하고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홍삼 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홍삼에 감태 추출액을 첨가한 후 85℃에서 추출하고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1) 내지 (4)단계와 같은 조건으로 홍삼 농축액을 제조하는 것이 홍삼 특유의 쓴맛은 감소시키면서 부드러운 맛과 깊은맛이 증진되고, 효소 반응 시 컴파운드 케이로 효율적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홍삼 농축액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6)단계의 홍삼 주정 혼합액은 바람직하게는 홍삼 농축액에 효소액을 첨가한 후 45~65℃에서 3~6일 동안 효소반응시킨 후 65~95%(v/v) 주정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홍삼 농축액에 효소액을 첨가한 후 50℃에서 4일 동안 효소반응시킨 후 70~80%(v/v) 주정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홍삼 농축액을 효소 반응시켜 홍삼 농축액 내 포함된 진세노사이드를 컴파운드 케이로 고농도로 전환시킬 수 있었다. 또한, 효소 반응 종료 후 홍삼 농축액 내에는 효소가 남아있어 효소 농축액의 품질 저하 우려가 있으므로, 효소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주정을 첨가한 후 원심분리하여 농축액으로부터 효소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진세노사이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상기 효소액에 사용된 효소는 viscozyme, promozyme, cellulaclast, termamyl, AMG, dextrozyme, BAN, novamyl, sumizyme L, sumizyme AC 및 Sumizyme TP5와 같은 당분해효소, flavourzyme, protamex, alcalase, neutrase, pepsin, collupulin MG 및 sumizyme LP와 같은 단백질분해효소, pectinex와 같은 펙틴분해효소, Plantase C150P 및 Pluszyme와 같은 셀룰라아제 분해효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효소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의 제조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1)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죽순 36~40 중량%, 솜나물잎 14~18 중량%, 측백 열매 28~32 중량% 및 한련초 14~18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에 물 또는 주정을 7~9배(v/w) 첨가한 후 90~100℃에서 6~10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2) 감태에 감태 대비 물 또는 주정을 7~9배(v/w) 첨가하여 90~100℃에서 7~9시간 동안 추출하여 감태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3) 홍삼에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추출액을 첨가한 후 80~90℃에서 추출하고 여과하여 홍삼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제조한 홍삼 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홍삼에 상기 (2)단계의 제조한 감태 추출액을 첨가한 후 80~90℃에서 추출하고 여과하여 홍삼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5) 상기 (3)단계의 제조한 홍삼 추출액과 상기 (4)단계의 제조한 홍삼 추출액을 혼합하고 농축하여 홍삼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6) 상기 (5)단계의 제조한 홍삼 농축액에 효소액을 첨가한 후 45~65℃에서 3~6일 동안 효소반응시킨 후 65~95%(v/v) 주정을 첨가하여 홍삼 주정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7) 상기 (6)단계의 제조한 홍삼 주정 혼합액을 원심분리하여 분리한 상등액을 감압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1)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죽순 38 중량%, 솜나물잎 16 중량%, 측백 열매 30 중량% 및 한련초 16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에 물을 8배(v/w) 첨가한 후 95℃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2) 감태에 감태 대비 물 또는 주정을 8배(v/w) 첨가하여 95℃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하여 감태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3) 홍삼에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추출액을 첨가한 후 85℃에서 추출하고 여과하여 홍삼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제조한 홍삼 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홍삼에 상기 (2)단계의 제조한 감태 추출액을 첨가한 후 85℃에서 추출하고 여과하여 홍삼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5) 상기 (3)단계의 제조한 홍삼 추출액과 상기 (4)단계의 제조한 홍삼 추출액을 혼합하고 농축하여 홍삼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6) 상기 (5)단계의 제조한 홍삼 농축액에 효소액을 첨가한 후 50℃에서 4일 동안 효소반응시킨 후 70~80%(v/v) 주정을 첨가하여 홍삼 주정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7) 상기 (6)단계의 제조한 홍삼 주정 혼합액을 원심분리하여 분리한 상등액을 감압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
(1) 죽순 38 중량%, 솜나물잎 16 중량%, 측백 열매 30 중량% 및 한련초 16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에 정제수 8배(v/w) 첨가한 후 95℃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2) 감태에 감태 대비 물을 8배(v/w) 첨가하여 95℃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하여 감태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3) 6년근 홍삼에 홍삼대비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추출액 10배(v/w)를 첨가한 후 85℃에서 8시간 동안 1차 추출하고 여과하여 1차 홍삼 추출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한 1차 홍삼 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홍삼에 홍삼대비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추출액 5배(v/w)를 첨가한 후 85℃에서 8시간 동안 2차 추출하고 여과하여 2차 홍삼 추출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한 2차 홍삼 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홍삼에 홍삼대비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추출액 5배(v/w)를 첨가한 후 85℃에서 8시간 동안 3차 추출하고 여과하여 3차 홍삼 추출액을 준비하였다.
(4) 상기 (3)단계의 준비한 3차 홍삼 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홍삼에 홍삼대비 상기 (2)단계의 제조한 감태 추출액 5배(v/w)를 첨가한 후 85℃에서 8시간 동안 4차 추출하고 여과하여 4차 홍삼 추출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한 4차 홍삼 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홍삼에 홍삼대비 상기 (2)단계의 제조한 감태 추출액 5배(v/w)를 첨가한 후 85℃에서 8시간 동안 5차 추출하고 여과하여 5차 홍삼 추출액을 준비하였다.
(5) 상기 (3)단계의 준비한 1차 홍삼 추출액, 2차 홍삼 추출액 및 3차 홍삼 추출액과 상기 (4)단계의 준비한 4차 홍삼 추출액 및 5차 홍삼 추출액을 혼합하고 10℃ 이하에서 원심분리하고 감압농축하여 홍삼 농축액(수분함량 36% 이하)을 제조하였다.
(6) 90℃에서 30분 동안 살균처리된 정제수에 효소(베타-글루코시다아제 및 펙티나아제를 혼합)를 혼합한 효소액에 상기 (5)단계의 제조한 홍삼 농축액을 첨가하여 5~10 Brix의 홍삼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7) 상기 (6)단계의 제조한 홍삼 희석액을 50℃에서 4일 동안 효소반응시킨 홍삼 반응액에 70~80%(v/v) 주정을 첨가하여 홍삼 주정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8) 상기 (7)단계의 제조한 홍삼 주정 혼합액을 5,000~80,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분리한 상등액을 60~75 Brix가 될 때까지 감압농축하였다.
비교예 1.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
(1) 6년근 홍삼에 홍삼대비 정제수 10배(v/w)를 첨가한 후 85℃에서 8시간 동안 1차 추출하고 여과하여 1차 홍삼 추출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한 1차 홍삼 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홍삼에 홍삼대비 정제수 5배(v/w)를 첨가한 후 85℃에서 8시간 동안 2차 추출하고 여과하여 2차 홍삼 추출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한 2차 홍삼 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홍삼에 홍삼대비 정제수 5배(v/w)를 첨가한 후 85℃에서 8시간 동안 3차 추출하고 여과하여 3차 홍삼 추출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한 3차 홍삼 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홍삼에 홍삼대비 정제수 5배(v/w)를 첨가한 후 85℃에서 8시간 동안 4차 추출하고 여과하여 4차 홍삼 추출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한 4차 홍삼 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홍삼에 홍삼대비 정제수 5배(v/w)를 첨가한 후 85℃에서 8시간 동안 5차 추출하고 여과하여 5차 홍삼 추출액을 준비하였다.
(2) 상기 (1)단계의 준비한 1차 홍삼 추출액, 2차 홍삼 추출액, 3차 홍삼 추출액, 4차 홍삼 추출액 및 5차 홍삼 추출액을 혼합하고 10℃ 이하에서 원심분리하고 감압농축하여 홍삼 농축액(수분함량 36% 이하)을 제조하였다.
(3) 90℃에서 30분 동안 살균처리된 정제수에 효소(베타-글루코시다아제 및 펙티나아제를 혼합)를 혼합한 효소액에 상기 (2)단계의 제조한 홍삼 농축액을 첨가하여 5~10 Brix의 홍삼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4) 상기 (3)단계의 제조한 홍삼 희석액을 50℃에서 4일 동안 효소반응시킨 홍삼 반응액에 70~80%(v/v) 주정을 첨가하여 홍삼 주정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5) 상기 (4)단계의 제조한 홍삼 주정 혼합액을 5,000~80,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분리한 상등액을 60~75 Brix가 될 때까지 감압농축하였다.
비교예 2.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
(1) 죽순 38 중량%, 솜나물잎 16 중량%, 측백 열매 30 중량% 및 한련초 16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에 정제수 8배(v/w) 첨가한 후 95℃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2) 6년근 홍삼에 홍삼대비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추출액 10배(v/w)를 첨가한 후 85℃에서 8시간 동안 1차 추출하고 여과하여 1차 홍삼 추출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한 1차 홍삼 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홍삼에 홍삼대비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추출액 5배(v/w)를 첨가한 후 85℃에서 8시간 동안 2차 추출하고 여과하여 2차 홍삼 추출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한 2차 홍삼 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홍삼에 홍삼대비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추출액 5배(v/w)를 첨가한 후 85℃에서 8시간 동안 3차 추출하고 여과하여 3차 홍삼 추출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한 3차 홍삼 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홍삼에 홍삼대비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추출액 5배(v/w)를 첨가한 후 85℃에서 8시간 동안 4차 추출하고 여과하여 4차 홍삼 추출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한 4차 홍삼 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홍삼에 홍삼대비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추출액 5배(v/w)를 첨가한 후 85℃에서 8시간 동안 5차 추출하고 여과하여 5차 홍삼 추출액을 준비하였다.
(3) 상기 (2)단계의 준비한 1차 홍삼 추출액, 2차 홍삼 추출액, 3차 홍삼 추출액, 4차 홍삼 추출액 및 5차 홍삼 추출액을 혼합하고 10℃ 이하에서 원심분리하고 감압농축하여 홍삼 농축액(수분함량 36% 이하)을 제조하였다.
(4) 90℃에서 30분 동안 살균처리된 정제수에 효소(베타-글루코시다아제 및 펙티나아제를 혼합)를 혼합한 효소액에 상기 (3)단계의 제조한 홍삼 농축액을 첨가하여 5~10 Brix의 홍삼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5) 상기 (4)단계의 제조한 홍삼 희석액을 50℃에서 4일 동안 효소반응시킨 홍삼 반응액에 70~80%(v/v) 주정을 첨가하여 홍삼 주정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6) 상기 (5)단계의 제조한 홍삼 주정 혼합액을 5,000~80,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분리한 상등액을 60~75 Brix가 될 때까지 감압농축하였다
비교예 3.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
(1) 감태에 감태 대비 물을 8배(v/w) 첨가하여 95℃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하여 감태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2) 6년근 홍삼에 홍삼대비 상기 (1)단계의 제조한 감태 추출액 10배(v/w)를 첨가한 후 85℃에서 8시간 동안 1차 추출하고 여과하여 1차 홍삼 추출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한 1차 홍삼 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홍삼에 홍삼대비 상기 (1)단계의 제조한 감태 추출액 5배(v/w)를 첨가한 후 85℃에서 8시간 동안 2차 추출하고 여과하여 2차 홍삼 추출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한 2차 홍삼 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홍삼에 홍삼대비 상기 (1)단계의 제조한 감태 추출액 5배(v/w)를 첨가한 후 85℃에서 8시간 동안 3차 추출하고 여과하여 3차 홍삼 추출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한 3차 홍삼 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홍삼에 홍삼대비 상기 (1)단계의 제조한 감태 추출액 5배(v/w)를 첨가한 후 85℃에서 8시간 동안 4차 추출하고 여과하여 4차 홍삼 추출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한 4차 홍삼 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홍삼에 홍삼대비 상기 (1)단계의 제조한 감태 추출액 5배(v/w)를 첨가한 후 85℃에서 8시간 동안 5차 추출하고 여과하여 5차 홍삼 추출액을 준비하였다.
(3) 상기 (2)단계의 준비한 1차 홍삼 추출액, 2차 홍삼 추출액, 3차 홍삼 추출액, 4차 홍삼 추출액 및 5차 홍삼 추출액을 혼합하고 10℃ 이하에서 원심분리하고 감압농축하여 홍삼 농축액(수분함량 36% 이하)을 제조하였다.
(4) 90℃에서 30분 동안 살균처리된 정제수에 효소(베타-글루코시다아제 및 펙티나아제를 혼합)를 혼합한 효소액에 상기 (3)단계의 제조한 홍삼 농축액을 첨가하여 5~10 Brix의 홍삼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5) 상기 (4)단계의 제조한 홍삼 희석액을 50℃에서 4일 동안 효소반응시킨 홍삼 반응액에 70~80%(v/v) 주정을 첨가하여 홍삼 주정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6) 상기 (5)단계의 제조한 홍삼 주정 혼합액을 5,000~80,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분리한 상등액을 60~75 Brix가 될 때까지 감압농축하였다.
1. 진세노사이드 함량 측정 방법
진세노사이드의 함량 분석은 UVD(Ultra Visible Detector)가 장착된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로 분석하였고, 분석조건은 하기 표 1과 같고, 함량 계산식은 하기 식과 같다.
진세노사이드 함량(㎎/g) = S × (a×b)/시료채취량(g)
S: 시험용액 중 개별 진세노사이드 농도(㎎/㎖)
a: 시험용액의 전량(㎖)
b: 희석배수
진세노사이드 분석조건
장비 HPLC Agilent 1260 series
검출기 DAD detector(203 nm)
컬럼 Prontosil 120-5-C18-ace-EPS
(4.6 mm×250 mm, 5.0 ㎛)
컬럼온도 40℃
이동상 Acetonitrile:D.W. (gradient)
유속 1.0 ㎖/min
주입 용량 10 ㎕
실시예 1.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의 컴파운드 케이 함량 분석 결과
홍삼 농축액과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의 컴파운드 케이(C-K)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하기 표 2 및 3과 같다.
70% 주정으로 효소 분리 시 컴파운드 케이 함량 분석 결과(㎎/g)
시료 종류 컴파운드 케이(C-K)
제조예 1 (5)단계의 홍삼 농축액 0.00
(8)단계의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 10.19
(8)단계의 원심분리한 침전물 0.31
비교예 1 (2)단계의 홍삼 농축액 0.00
(5)단계의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 6.34
(5)단계의 원심분리한 침전물 0.13
비교예 2 (3)단계의 홍삼 농축액 0.00
(6)단계의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 8.77
(6)단계의 원심분리한 침전물 0.22
비교예 3 (3)단계의 홍삼 농축액 0.00
(6)단계의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 7.16
(6)단계의 원심분리한 침전물 0.32
그 결과, 홍삼 농축액에는 컴파운드 케이가 포함되지 않았으나,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에서는 컴파운드 케이가 포함되어 있었다. 그 중 제조예 1의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이 70% 주정으로 효소 분리 시 10.19 ㎎/g, 95% 주정으로 효소 분리 시 10.20 ㎎/g이 포함되어 있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주정 농도에 따라서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원심분리하여 분리한 상등액을 제거한 침전물에는 0.13~0.32 ㎎/g의 컴파운드 케이가 포함되어 있어, 약 3%의 손실율을 나타내었다.
95% 주정으로 효소 분리 시 컴파운드 케이 함량 분석 결과(㎎/g)
시료 종류 컴파운드 케이(C-K)
제조예 1 (5)단계의 홍삼 농축액 0.00
(8)단계의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 10.20
(8)단계의 원심분리한 침전물 0.30
비교예 1 (2)단계의 홍삼 농축액 0.00
(5)단계의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 6.20
(5)단계의 원심분리한 침전물 0.20
비교예 2 (3)단계의 홍삼 농축액 0.00
(6)단계의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 8.70
(6)단계의 원심분리한 침전물 0.24
비교예 3 (3)단계의 홍삼 농축액 0.00
(6)단계의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 7.15
(6)단계의 원심분리한 침전물 0.22
실시예 2. 진세노사이드 함량 분석 결과
제조예 1의 홍삼 농축액과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의 15종 진세노사이드 함량 변화는 하기 표 4 및 5와 같다.
홍삼 농축액과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70% 주정으로 효소 분리)의 15종 진세노사이드 함량 변화(㎎/g)
항목 (5)단계의 홍삼 농축액 (8)단계의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 (8)단계의 원심분리한 침전물
Rg1 5.50 1.41 0.03
Re 9.32 2.32 0.05
Rf 2.34 0.19 0.00
Rb1 19.2 1.11 0.01
Rg2 1.85 2.20 0.06
Rc 11.34 0.77 0.00
Rb2 8.52 0.57 0.00
Rb3 1.54 0.09 0.00
Rd 4.77 1.16 0.03
F2 0.00 1.21 0.04
Rg3 1.34 1.02 0.03
Rk1 1.03 0.54 0.02
Rg5 1.18 0.66 0.02
C-K 0.00 10.19 0.31
Rh2 0.00 0.22 0.01
3종 합(Rg1+Rb1+Rg3) 26.0 3.54 0.06
15종 합 67.9 23.7 0.61
고형분(%) 70.0 60.4 88.0
그 결과, 홍삼 농축액을 효소처리 시 대부분의 진세노사이드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진세노사이드 중에서 Rg2는 효소처리 시 소폭 증가하였다. 또한, 홍삼 농축액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던 F2, C-K, Rh2의 경우 홍삼 농축액의 효소처리로 인해 새롭게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홍삼 농축액과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95% 주정으로 효소 분리)의 15종 진세노사이드 함량 변화(㎎/g)
항목 (5)단계의 홍삼 농축액 (8)단계의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 (8)단계의 원심분리한 침전물
Rg1 5.50 1.42 0.03
Re 9.32 2.34 0.06
Rf 2.34 0.18 0.00
Rb1 19.20 1.12 0.01
Rg2 1.85 2.21 0.06
Rc 11.34 0.78 0.00
Rb2 8.52 0.59 0.00
Rb3 1.54 0.08 0.00
Rd 4.77 1.17 0.03
F2 0.00 1.21 0.04
Rg3 1.34 1.02 0.02
Rk1 1.03 0.53 0.03
Rg5 1.16 0.63 0.02
C-K 0.00 10.2 0.30
Rh2 0.00 0.22 0.01
3종 합(Rg1+Rb1+Rg3) 26.0 3.56 0.05
15종 합 67.9 23.7 0.61
고형분(%) 70.0 60.5 87.9
실시예 3. 홍삼 농축액 및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의 관능검사
제조예 1의 홍삼 농축액과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의 기호도 평가는 맛, 쓴맛, 외관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5점 척도법으로 평가한 후, 이를 평균하여 나타내었다. 쓴맛에 대한 기호도는 쓴맛이 적게 날수록 높은 점수를 주게 하였다.
관능검사
평가항목 시료
(5)단계의 홍삼 농축액 (8)단계의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
3.4 4.0
쓴맛 3.8 4.2
외관 4.0 3.9
전체적인 기호도 3.6 4.1
그 결과, 홍삼 농축액에 비해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에서 쓴맛은 감소하고, 맛과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Claims (5)

  1. (1)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죽순 36~40 중량%, 솜나물잎 14~18 중량%, 측백 열매 28~32 중량% 및 한련초 14~18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에 물 또는 주정을 7~9배(v/w) 첨가한 후 90~100℃에서 6~10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2) 감태에 감태 대비 물을 7~9배(v/w) 첨가하여 90~100℃에서 7~9시간 동안 추출하여 감태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3) 홍삼에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추출액을 첨가한 후 80~90℃에서 8시간 동안 1차 추출하고 여과하여 1차 홍삼 추출액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한 1차 홍삼 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홍삼에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추출액을 첨가한 후 80~90℃에서 8시간 동안 2차 추출하고 여과하여 2차 홍삼 추출액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한 2차 홍삼 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홍삼에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추출액을 첨가한 후 80~90℃에서 8시간 동안 3차 추출하고 여과하여 3차 홍삼 추출액을 준비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준비한 3차 홍삼 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홍삼에 상기 (2)단계의 제조한 감태 추출액을 첨가한 후 80~90℃에서 8시간 동안 4차 추출하고 여과하여 4차 홍삼 추출액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한 4차 홍삼 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홍삼에 상기 (2)단계의 제조한 감태 추출액을 첨가한 후 80~90℃에서 8시간 동안 5차 추출하고 여과하여 5차 홍삼 추출액을 준비하는 단계;
    (5) 상기 (3)단계의 준비한 1차 홍삼 추출액, 2차 홍삼 추출액 및 3차 홍삼 추출액과 상기 (4)단계의 준비한 4차 홍삼 추출액 및 5차 홍삼 추출액을 혼합하고 농축하여 홍삼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6) 상기 (5)단계의 제조한 홍삼 농축액에 효소액을 첨가한 후 45~65℃에서 3~6일 동안 효소반응시킨 후 65~95%(v/v) 주정을 첨가하여 홍삼 주정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7) 상기 (6)단계의 제조한 홍삼 주정 혼합액을 원심분리하여 분리한 상등액을 감압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파운드 케이 함량이 증진된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67696A 2021-05-26 2021-05-26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의 특정 성분 강화 생산 공정 KR102346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696A KR102346868B1 (ko) 2021-05-26 2021-05-26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의 특정 성분 강화 생산 공정
EP22159103.5A EP4094770A1 (en) 2021-05-26 2022-02-28 Process for production of red ginseng hydrolysis concentrate having enriched specific component
JP2022039079A JP7341275B2 (ja) 2021-05-26 2022-03-14 紅参加水分解濃縮液の特定成分強化生産工程
US17/693,913 US11759490B2 (en) 2021-05-26 2022-03-14 Process for production of red ginseng hydrolysis concentrate having enriched specific component
CN202210311128.4A CN115400157B (zh) 2021-05-26 2022-03-28 红参水解浓缩液的特定成分增强生产工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696A KR102346868B1 (ko) 2021-05-26 2021-05-26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의 특정 성분 강화 생산 공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868B1 true KR102346868B1 (ko) 2022-01-04
KR102346868B9 KR102346868B9 (ko) 2022-05-10

Family

ID=79342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696A KR102346868B1 (ko) 2021-05-26 2021-05-26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의 특정 성분 강화 생산 공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59490B2 (ko)
EP (1) EP4094770A1 (ko)
JP (1) JP7341275B2 (ko)
KR (1) KR102346868B1 (ko)
CN (1) CN1154001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868B1 (ko) * 2021-05-26 2022-01-04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의 특정 성분 강화 생산 공정
CN116019819A (zh) * 2022-12-20 2023-04-28 浙江大学 一种活性人参皂苷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987A (ko) * 2014-10-21 2016-05-03 주식회사 보타메디 홍삼 추출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822024B1 (ko) * 2017-08-21 2018-01-25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효소전환과 유산균 발효를 이용한 화합물 k의 함량이 강화된 발효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홍삼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2258796B1 (ko) * 2020-12-23 2021-06-01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홍삼을 함유한 수면 개선용 젤리 제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546B1 (ko) 2000-07-26 2003-03-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효소적 방법에 의한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의 제조방법
CN1857704A (zh) * 2006-03-20 2006-11-08 崔成釿 一种黑根高丽参及其制作方法
KR20110052218A (ko) * 2009-11-12 2011-05-18 씨제이제일제당 (주) 펙티넥스를 이용하여 화합물 k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 및 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1948597B1 (ko) * 2018-09-04 2019-02-15 (주)아름다운 화장품 세정력 및 두피 진정효과가 우수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6158B1 (ko) 2019-05-28 2021-09-28 (주)진토닌케이유 아스퍼질러스 오라이제 효소액을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 제조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346868B1 (ko) * 2021-05-26 2022-01-04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의 특정 성분 강화 생산 공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987A (ko) * 2014-10-21 2016-05-03 주식회사 보타메디 홍삼 추출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822024B1 (ko) * 2017-08-21 2018-01-25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효소전환과 유산균 발효를 이용한 화합물 k의 함량이 강화된 발효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홍삼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2258796B1 (ko) * 2020-12-23 2021-06-01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홍삼을 함유한 수면 개선용 젤리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82989A (ja) 2022-12-08
US20220378862A1 (en) 2022-12-01
KR102346868B9 (ko) 2022-05-10
CN115400157B (zh) 2024-01-30
CN115400157A (zh) 2022-11-29
JP7341275B2 (ja) 2023-09-08
US11759490B2 (en) 2023-09-19
EP4094770A1 (en) 202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6868B1 (ko) 홍삼 가수분해 농축액의 특정 성분 강화 생산 공정
CN107686473B (zh) 一种紫背菜多糖多酚联合制备方法
KR20140112777A (ko) 특정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CN110746515B (zh) 一种同步分离制取的枸杞多糖、枸杞红素、枸杞多肽及其制备方法
CN106333206A (zh) 一种蜂蜜味道罗汉果汁的制作方法
CN102718817A (zh) 一种从黑豆皮中制备花色苷提取物的方法
CN104921217A (zh) 一种黑果枸杞、山楂、柠檬复合饮料的制备方法
KR102346875B1 (ko) 막걸리를 이용하여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흑삼 및 태극삼의 숙성방법
KR20160045347A (ko) 인삼의 쓴맛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
CN104262446A (zh) 从罗汉果中提取罗汉果甜甙v的方法
KR20150094176A (ko) 특정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을 증진시킨 인삼 열매 추출물
US4282264A (en) Process for removing bitter taste from a fruit or vegetable extract, and the debittered extract thus obtained
CN114276885B (zh) 一种用鲜罗汉果制备乙醇的方法
CN109880864A (zh) 一种龙眼果皮中功能多糖和原花青素的酶法集成提取方法
KR101958442B1 (ko)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1409168B1 (ko) 기능성분강화 홍삼추출액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1872590B1 (ko) 초고압 및 효소를 처리하여 홍삼 부산물에서 다당체를 분리하는 방법
KR100894708B1 (ko) 인삼 발효주의 제조방법
KR102326975B1 (ko) 표고 및 황칠을 이용한 저염의 전통발효 된장 및 이를 이용한 스프레드 잼의 제조 방법
KR20190059536A (ko) 활성형 진노세사이드 함유 아로니아 음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013285A (zh) 一种朝鲜蓟复合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30085970A (ko) 효소전환 및 분획기술을 이용한 사포닌 전환체 화합물 케이-강화된 분획물 및 그 제조방법
CN113861000A (zh) 一种从油橄榄叶中提取羟基络醇的制备方法
CN111587973A (zh) 一种黑果腺肋花楸与人参复合多功能固体饮料制备工艺
Eroglu et al. Effect of thermal treatment on synephrine, ascorbic acid and sugar content of Citrus aurantium (bitter orange) ju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