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732B1 -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732B1
KR102346732B1 KR1020210044852A KR20210044852A KR102346732B1 KR 102346732 B1 KR102346732 B1 KR 102346732B1 KR 1020210044852 A KR1020210044852 A KR 1020210044852A KR 20210044852 A KR20210044852 A KR 20210044852A KR 102346732 B1 KR102346732 B1 KR 102346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clamp piece
pipes
piec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2932A (ko
Inventor
강성진
Original Assignee
강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진 filed Critical 강성진
Priority to KR1020210044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732B1/ko
Publication of KR20210152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ed by toggle-action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램프 및 배관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클램프는, 원형의 외주면을 가지는 대상물의 상기 외주면을 감싸며 죄는 클램프로서, 상기 대상물의 외주면의 절반을 감싸도록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제1클램프편; 상기 대상물의 외주면의 나머지 절반을 감싸도록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제2클램프편; 및 양단부에 각각 제1 및 제2클램프편의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1 및 제2클램프편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제1클램프편의 일단부와 제2클램프편의 일단부는 치합하는 기어에 의해 서로 맞물려 있어, 제1 및 제2클램프편의 어느 하나가 연결부재의 일단부에 대해 회동하면 다른 하나도 연결부재의 타단부에 대해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클램프에 의한 대상물의 클램핑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두 클램프편의 조임력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연결 구조{Clamp and Pipe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클램프 및 배관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클램프는 대상물을 클램핑하여(죄어) 고정하는 기구로서, 이중에는 각각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두 클램프편의 일단부(고정단)가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두 클램프편의 타단부(자유단)를 체결함으로써 원형의 외주면을 가지는 대상물의 외주면을 클램핑하는 클램프가 있다. 이러한 클램프는, 두 클램프편의 내주면에 U자형 또는 V자형 홈을 형성하고, 이 U자형 또는 V자형 홈에 두 배관의 각 단부에 마련된 두 플랜지를 삽입하고 클램프를 체결하여 두 플랜지를 서로 밀착시킴으로써 두 배관을 연결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클램프를 이용하여 두 배관을 연결할 때의 작업성은 좋지 않다. 즉, 두 클램프편이 서로 자유롭게 회동가능하므로 작업자는 두 클램프편을 잡아야 하고, 두 배관의 각 플랜지를 서로 맞대어야 하며, 두 배관의 각 플랜지를 두 클램프편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하여야 함과 함께, 두 클램프편의 자유단을 서로 체결하여야 한다. 따라서, 클램프를 이용하여 두 배관을 연결하는 작업은, 한 명의 작업자로 수행하기에는 벅찰 수 있으며 시간과 수고가 많이 드는 작업이다.
또한, 클램프가 플랜지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감싸면서 클램핑하지 못하고 클램프가 치우쳐서 체결되기 쉽다. 이 경우, 클램프의 플랜지 조임력이 균일하지 못하여 배관을 흐르는 유체가 누설되거나, 가스켓 또는 패킹 등 개재되는 부품이나 두 클램프편의 편마모, 변형 등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대상물의 외주면을 클램핑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조임력이 균일하고 안정적인 클램프 및 배관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클램프는, 원형의 외주면을 가지는 대상물의 상기 외주면을 감싸며 죄는 클램프로서, 상기 대상물의 외주면의 절반을 감싸도록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제1클램프편; 상기 대상물의 외주면의 나머지 절반을 감싸도록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제2클램프편; 및 양단부에 각각 상기 제1클램프편 및 상기 제2클램프편의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클램프편 및 상기 제2클램프편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클램프편의 일단부와 상기 제2클램프편의 일단부는 치합하는 기어에 의해 서로 맞물려 있어, 상기 제1클램프편 및 상기 제2클램프편의 어느 하나가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부에 대해 회동하면 상기 제1클램프편 및 상기 제2클램프편의 다른 하나도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에 대해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는 서로 평행한 상판과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클램프편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제2클램프편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직접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연결부재는, 서로 평행한 상판과 하판, 및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의 중앙부에 결합된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제1클램프편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제2클램프편의 일단부의 각각은 상기 연결부재를 우회하여 연장되고, 연장된 일단부에 상기 기어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클램프편의 타단부에는 걸쇠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클램프편의 타단부에는 상기 걸쇠에 걸리는 빗장쇠를 구비하는 체결부재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제1클램프편의 상기 걸쇠에는 잠금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재에는, 상기 빗장쇠가 상기 걸쇠에 걸렸을 때 상기 제1클램프편의 잠금홀과 겹치는 위치에 상기 잠금홀에 삽입가능한 잠금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상물은 각각의 단부에 플랜지를 가지는 두 배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클램프편 및 상기 제2클램프편의 각각의 내주면에는 맞대어진 상기 두 배관의 플랜지를 함께 수용하는 플랜지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클램프편과 상기 제2클램프편의 플랜지 수용홈에 상기 두 배관의 플랜지를 함께 수용하고, 상기 제1클램프편 및 상기 제2클램프편의 타단부를 서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두 배관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배관 연결 구조는, 전술한 클램프를 이용하여 두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 구조로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두 배관 중 어느 하나의 플랜지에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어느 하나의 플랜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플랜지는 상기 두 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클램프에서는 제1클램프편과 제2클램프편의 각 일단부가 기어에 의해 서로 맞물려 있으므로, 제1클램프편과 제2클램프편은 동시에 동일한 각도만큼 대칭적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한 손만으로도 두 클램프편을 동시에 회동시킬 수 있어, 나머지 한 손으로 체결부재를 조작하거나 대상물을 붙잡을 수 있는 등 작업성이 대폭 향상되고, 두 클램프편이 대상물의 외주면을 죄는 조임력에 편차가 없어, 균일하고 안정적인 조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배관의 연결 구조에서는 클램프가 연결부재를 통해 어느 하나의 배관의 플랜지에 직접 결합되어 고정됨으로써 클램프와 어느 하나의 배관 간의 위치가 자동적으로 정렬되어 고정되므로, 두 배관의 연결 작업시 다른 하나의 배관의 위치만을 정렬하여 클램프를 체결하면 되므로 작업성이 더욱 향상되고, 더욱 안정적인 조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클램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클램프의 평면도로서, (a)는 체결전, (b)는 체결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클램프의 체결부재를 나타낸 종단면로서, (a)는 잠금전, (b)는 잠금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배관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배관 연결 구조에 사용된 플랜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장착', '고정'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 장착, 고정 또는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중간 부재를 개재하여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 장착, 고정 또는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 클램프에 의해 조여지는 대상물은 각각의 단부에 플랜지를 가지는 두 배관으로 이루어지나, 본 발명의 클램프는 원형의 외주면을 가지는 단일한 물체의 외주면을 죄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배관'이라 함은 유체의 이동 통로가 되는 관(pipe)은 물론, 관이 아니더라도 단부에 플랜지를 가지고 다른 물체의 플랜지와 밀착하여 연결될 수 있는 물체라면 모두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플랜지'이라 함은, 그 명칭이나 기능과 무관하게, 위와 같은 '배관'의 단부 테두리가 '배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반경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고 돌출된 부분이라면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클램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평면도로서 (a)는 체결전, (b)는 체결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 하, 좌, 우, 전, 후 등과 같이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를 사용하나, 이러한 방향은 사물이 놓여진 방향과 관찰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A 방향에서 사물을 바라보았을 때의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100)는 제1클램프편(10a), 제2클램프편(10b), 연결부재(20) 및 체결부재(30)를 포함한다.
제1클램프편(10a) 및 제2클램프편(10b)은, 서로 체결되는 타단부(자유단)를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대칭적인(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제1클램프편(10a) 및 제2클램프편(10b)의 서로 대칭하는(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각 도면부호에, 제1클램프편(10a)과 관련된 요소에는 'a', 제2클램프편(10b)에 관련된 요소에는 'b'의 부기부호를 붙이고, 이하의 설명에서 이들을 구분하여 설명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이 부기부호를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제1클램프편(10a) 및 제2클램프편(10b)은 각각 반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는 맞대어진 두 배관(2,4; 도 7 참조)의 플랜지(3,5)를 수용하는 플랜지 수용홈(11)이 형성된다. 이 플랜지 수용홈(11)의 형상은 연결 대상이 되는 두 배관(2,4)의 플랜지(3,5)의 형상에 맞춰 정해지지만, 제1클램프편(10a)과 제2클램프편(10b)을 서로 체결하여 두 배관(2,4)의 플랜지(3,5)를 조였을 때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조일 수 있도록 반경방향(클램프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플랜지 수용홈(11)의 폭이 좁아지는 단면 V자형 또는 U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클램프(100)가 원형의 외주면을 가지는 단일한 물체의 외주면을 죄는 데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의 플랜지 수용홈(11)은 생략되고, 제1클램프편(10a)과 제2클램프편(10b)의 내주면은 평탄한 표면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제1클램프편(10a) 및 제2클램프편(10b)의 각각의 일단부(12)에는, 관통홀(13)이 형성된다. 관통홀(13)에는 제1클램프편(10a) 및 제2클램프편(10b) 각각의 회동축이 되는 핀(24)이 관통된다.
한편, 제1클램프편(10a)과 제2클램프편(10b)의 타단부는 후술하는 체결부재(30)가 체결 또는 결합되는 구조에 맞게 서로 다르게 이루어진다. 즉, 제1클램프편(10a)의 타단부에는 걸쇠(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걸쇠(14)에는 체결부재(30)의 빗장쇠(33)가 걸리게 된다. 또한, 걸쇠(14)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잠금홀(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잠금홀(15)에는 후술하는 잠금핀(36)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제2클램프편(10b)의 타단부에는 체결부재(3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20)는 제1클램프편(10a)과 제2클램프편(10b)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부재로서, 양단부에 각각 제1클램프편(10a) 및 제2클램프편(10b)이 핀(24a,24b)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20)는 각각 핀(24)의 상하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홀(22,26)이 형성된 서로 평행한 상판(25) 및 하판(21)과, 상하판(25,21)의 사이 중앙부에 개재되는 기둥(23)을 포함하여, 기둥(23)을 중심으로 양측에 제1클램프편(10a) 및 제2클램프편(10b)의 각 일단부(12a,12b)가 회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이때 홀(22,26)에 삽입된 핀(24)과 홀(22h) 위에 놓여지는 기둥(23)은 용접이나 나사(도시 생략)에 의해 상하판(25,21)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클램프(100)는, 제1클램프편(10a) 및 제2클램프편(10b)의 어느 하나가 연결부재(20)의 일단부에 대해 회동하면 제1클램프편(10a) 및 제2클램프편(10b)의 다른 하나도 연결부재(20)의 타단부에 대해 대칭적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제1클램프편(10a)과 제2클램프편(10b)의 각각의 일단부(고정단)는 치합하는 기어에 의해 서로 맞물려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어느 하나의 클램프편, 예컨대 제2클램프편(10b)을 잡고 핀(24b)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면, 제1클램프편(10a)도 핀(24a)을 중심으로 동일한 각도만큼 반대방향으로 대칭적으로 회동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클램프편(10a) 및 제2클램프편(10b) 각각의 관통홀(13)이 형성된 본래의 일단부(12)가 연결블럭(16)을 개재하여 기어블럭(17)까지 연장된다. 즉, 각각의 기어블럭(17)이 제1클램프편(10a) 및 제2클램프편(10b)의 연장된 일단부가 된다. 구체적으로, 본래의 일단부(12), 연결블럭(16) 및 기어블럭(17)은 연결부재(20)의 상판(25)을 우회하여 측면에서 봤을 때 'ㄷ'자형으로 연장되어, 기어블럭(17)은 본래의 일단부(12)와 동일한 회동축, 즉 핀(24)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본래의 일단부(12)와 일체로 회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클램프편(10a) 및 제2클램프편(10b)의 연장된 일단부, 즉 기어블럭(17)이 서로 맞물리도록 한 것은, 제1클램프편(10a)과 제2클램프편(10b)의 본래의 일단부(12)가 연결부재(20)의 중앙부 기둥(23)에 막혀 직접 접촉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제1클램프편(10a) 및 제2클램프편(10b)의 기어블럭(17)이 안정적으로 서로 맞물려 회동하도록, 기어블럭(17) 및 연결부재(20)의 상판(25)에 각각 형성된 홀(18,26)에 보조핀(19)을 삽입할 수 있다. 다만, 제1클램프편(10a) 및 제2클램프편(10b)의 본래의 일단부(12)와 기어블럭(17)(연장된 일단부)은 동일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므로, 보조핀(19)과 홀(18)은 생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100)에서는 제1클램프편(10a)과 제2클램프편(10b)이 동시에 동일한 각도만큼 대칭적으로 회동하므로, 작업자는 한 손만으로도 두 클램프편(10a,10b)을 동시에 회동시킬 수 있어, 나머지 한 손으로 체결부재(30)를 조작하거나 배관(2,4)을 붙잡을 수 있는 등 작업성이 대폭 향상된다.
또한, 제1클램프편(10a)과 제2클램프편(10b)이 동시에 동일한 각도만큼 대칭적으로 회동하므로, 두 클램프편(10a,10b)이 배관(2,4)의 플랜지(3,5)를 죄는 조임력에 편차가 없어 균일하고 안정적인 조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체결부재(30)는 두 클램프편(10a,10b)으로 배관(2,4)의 플랜지(3,5)를 죈 다음, 두 클램프편(10a,10b)의 타단부를 서로 체결하는 부재로서, 후크 방식, 볼트/너트 방식 등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두 클램프편(10a,10b)의 타단부를 체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부재(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클램프편(10b)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클램프편(10a)의 타단부에 형성된 걸쇠(14)에 체결부재(30)의 빗장쇠(33)를 거는 방식, 즉 후크 방식으로 두 클램프편(10a,10b)의 타단부를 체결한다.
구체적으로, 체결부재(30)의 단면도인 도 4를 참조하면, 체결부재(30)는 체결부재 본체(31), 빗장쇠(34) 및 레버(33)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 본체(31)는 대략 'ㄷ'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걸쇠(14), 빗장쇠(34) 및 후술하는 잠금핀(36)을 수용하는 공간(S)을 형성하며, 일단부(도 4에서 좌측단부)가 제2클램프편(10b)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빗장쇠(34)는 제1클램프편(10a)의 타단부에 형성된 걸쇠(14)에 걸림으로써 제1클램프편(10a)과 제2클램프편(10b)을 체결하는 부재로서, 레버(3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레버(33)는 전체적으로 막대 형상을 가지고 중간부(35)가 체결부재 본체(31)의 타단부(도 4에서 우측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레버(34)의 일단부(좌측단부)가 걸쇠(14)에 걸리는 빗장쇠(34)가 되고, 빗장쇠(34)의 반대쪽 단부(우측단부)가 레버(33)의 손잡이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버(33)의 손잡이로 레버(33)를 회동시켜 빗장쇠(34)를 걸쇠(14)에 거는 것으로 두 클램프편(10a,10b)의 체결은 완료되지만, 작업자의 부주의나 실수로 레버(34)가 젖혀져 두 클램프편(10a,10b)의 체결이 불의에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걸쇠(14)와 빗장쇠(34)에 더해 별도의 잠금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잠금수단은, 제1클램프편(10a)의 걸쇠(14)에 형성된 잠금홀(15)과, 이 잠금홀(15)에 삽입되는 잠금핀(3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잠금홀(15)은 두 클램프편(10a,10b)이 체결되었을 때, 즉 빗장쇠(34)가 걸쇠(14)에 걸렸을 때, 걸쇠(14)가 체결부재 본체(31)의 내부 공간(S)에 수용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잠금핀(36)은 두 클램프편(10a,10b)이 체결되었을 때 잠금홀(14)과 겹치는 위치의 체결부재 본체(31)에 마련된다. 잠금핀(36)은, 상단부가 캠면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의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부싱(38)의 내부에,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노브(3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a)와 같이, 노브(37)가 부싱(38)의 캠면의 높은 위치에 위치하면 잠금핀(36)이 잠금홀(14) 내에 삽입되지 않고 잠금 해제 상태가 된다. 반면, 도 4의 (b)와 같이, 노브(37)가 부싱(38)의 캠면의 낮은 위치에 위치하면 잠금핀(36)이 잠금홀(14) 내에 삽입되어 잠금 상태가 된다.
잠금수단은 체결부재 본체(31)의 바닥에 형성된 관통홀(32)을 통해 체결부재 본체(31)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관통홀(32)을 통해 부싱(38)을 위쪽으로 삽입하고 너트(39)로 조임으로써 부싱(38)을 체결부재 본체(31)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고정한다. 이어서, 관통홀(32)을 통해 잠금핀(36)을 부싱(38) 안으로 삽입하고 잠금핀(36)의 상단부에 노브(37)를 결합함으로써 잠금수단의 조립을 완료한다.
한편, 전술한 클램프(100)를 이루는 클램프편(10a,10b), 연결부재(20) 및 체결부재(30)는 마모와 부식에 강한 스텐레스강,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클램핑 대상인 배관(2,4)의 재질에 따라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테프론(등록상표)과 같은 불소 수지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클램프(100)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100')에 대해, 전술한 클램프(100)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10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그 분해 사시도로서, 전술한 실시예의 클램프(10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하의 설명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클램프(100')가 전술한 실시예의 클램프(100)와 다른 점은,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클램프편(10a)과 제2클램프편(10b)이 연결블럭(16) 및 기어블럭(17)을 개재하여 서로 접촉하고 맞물렸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클램프편(10a')과 제2클램프편(10b')의 본래의 일단부(12)에 서로 치합하는 기어를 직접 형성하고, 기어가 형성된 일단부(12a',12b')가 서로 직접 접촉하고 맞물리도록 구성된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에서 필요했던 별도의 연결블럭(16) 및 기어블럭(17)과, 연결부재(20)의 기둥(23)이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되어 부품수가 줄고 구조가 단순해진다.
이어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배관 연결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배관 연결 구조에 사용된 플랜지만을 따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구조는, 예컨대 반도체 공장에서 화학적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용 슬러리(slurry)와 같은 유체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러내는 필터링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링 시스템에서, 필터(F)는 중공 원통형 구조를 가지고 필터 하우징(2,4) 내에 설치된다. 필터 하우징은, 베이스 프레임(1) 상에 설치된 하부 하우징(4)과, 하부 하우징(5) 상에서 하부 하우징(5)과 연결되는 상부 하우징(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필터링 시스템에서 하부 하우징(4)에 형성된 유체 유입구(4i)로 유입된 유체는, 필터(F)의 중심부로 유입되고 필터(F)의 반경방향으로 유출되면서 불순물이 걸러지게 되고, 불순물이 걸러진 유체는 유출구(4o)를 통해 저장 탱크 또는 필요로 하는 공정으로 보내진다. 한편 하부 하우징(4)의 바닥에 형성된 배수구(4d)는 필터(F)의 교체시나 필터 하우징 내부의 세척시에 하우징 내부의 잔존 유체나 세척수 등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이다.
이러한 필터링 시스템에 적용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구조에서, 연결되는 두 배관은 각각 상부 하우징(2) 및 하부 하우징(4)이 된다. 또한, 두 배관의 플랜지는 각각 상부 하우징(2) 및 하부 하우징(4)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랜지(3,5)일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2)은 플랜지(3)의 아래쪽에서 위로 관통하여 플랜지(3)와 결합되고, 플랜지(5)는 하부 하우징(4)의 상단 외주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관(2,4)과 플랜지(3,5)가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배관(2,4)과 플랜지(3,5), 나아가 클램프(100,100')는 동일한 재질 또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관(2,4)은 화학 약품 등의 유체에 상대적으로 안정한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나 테프론(등록상표)과 같은 불소 수지로 이루어지고, 플랜지(3,5)는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스텐레스강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클램프(100,100')도 스텐레스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금속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른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배관(2,4)의 마모나 손상을 막기 위해 플랜지(3,5)와 클램프(100,100')도 배관(2,4)과 동일 유사한 강도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구조에서 두 배관, 즉 상하부 하우징(2,4)은 플랜지(3,5)를 개재하여 전술한 클램프(100,100')에 의해 연결된다. 즉, 전술한 클램프(100,100')의 두 클램프편(10a,10b; 10a',10b')이 두 플랜지(3,5)의 외주면을 함께 죄면서 체결됨으로써 두 배관(2,4)이 서로 밀착되어 연결된다. 한편, 상부 하우징(2)과 하부 하우징(4)이 만나는 위치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O-링(6)을 설치하여 상부 하우징(2)과 하부 하우징(4)을 실링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구조에서 전술한 클램프(100,100')의 연결부재(20,20')는 두 배관(2,4) 중 어느 하나의 플랜지(3,5)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4)의 플랜지(5)에는 전술한 연결부재(20,20')의 하판(21)에 해당하는 하판(21')이 일체로 형성되어, 전술한 연결부재(20,20')에서의 하판(21)을 대체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연결부재(20,20')에서는 하판(21)이 생략되고, 전술한 연결부재(20,20')의 핀(24a,24b)과 기둥(23)이 하판(21')에 결합(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기둥(23)이 없으므로 대체 부재(21')에는 핀(24a,24b)만 결합)됨으로써, 연결부재(20,20')가 플랜지(5)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20,20')가 플랜지(5)에 결합됨으로써 작업성은 더욱 향상된다. 즉, 클램프(100,100')가 연결부재(20,20')를 통해 어느 하나의 배관(4)의 플랜지(5)에 직접 결합되어 고정됨으로써 클램프(100,100')와 어느 하나의 배관(4) 간의 위치가 자동적으로 정렬되므로, 두 배관(2,4)의 연결 작업시 다른 하나의 배관(2)의 위치만을 정렬하여 클램프(100,100')를 체결하면 두 배관(2,4)의 연결이 완료된다.
나아가, 연결부재(20,20')는 플랜지(5)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20,20')의 핀(24a,24b)은 하판(21')의 홀(22a,22b)에 삽입하기만 하고 용접이나 나사에 의해 고정하지 않고, 하판(21') 위에 놓여지는 기둥(23)도 특별히 고정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20,20'), 즉 클램프(100,100')를 플랜지(5)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클램프(100,100') 또는 플랜지(5)를 포함한 배관(4)(하부 하우징)의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형태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클램프
10a: 제1클램프편
10b: 제2클램프편
11a, 11b: 플랜지 수용홈
12a, 12b: 클램프편의 일단부
13a, 13b: 관통홀
14: 걸쇠
15: 잠금홀
16a, 16b: 연결블럭
17a, 17b: 기어블럭
19a, 19b: 보조핀
20: 연결부재
21: 하판
23: 기둥
24a, 24b: 핀
25: 상판
30: 체결부재
1: 베이스 프레임
2: 배관(상부 하우징)
4: 배관(하부 하우징)
3,5: 플랜지
F: 필터

Claims (9)

  1. 원형의 외주면을 가지는 대상물의 상기 외주면을 감싸며 죄는 클램프(100)로서,
    상기 대상물의 외주면의 절반을 감싸도록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제1클램프편(10a);
    상기 대상물의 외주면의 나머지 절반을 감싸도록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제2클램프편(10b); 및
    양단부에 각각 상기 제1클램프편(10a) 및 상기 제2클램프편(10b)의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클램프편 및 상기 제2클램프편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0)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20)는 서로 평행한 상판(25)과 하판(21), 및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의 중앙부에 결합된 기둥(23)을 포함하고,
    상기 제1클램프편(10a) 및 상기 제2클램프편(10b)의 일단부는, 각각 상기 클램프(100)의 외측에서 상하로 연장되는 각각의 연결블럭(16a, 16b)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연결블럭(16a, 16b)의 상단에는 상기 연결부재(20)의 상판(25) 위에서 서로 맞물리도록 기어가 형성된 기어블럭(17a, 17b)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클램프편(10a) 및 상기 제2클램프편(10b)의 어느 하나가 상기 연결부재(20)의 일단부에 대해 회동하면, 상기 연결블럭(16a, 16b) 및 기어블럭(17a, 17b)을 통해 연결된 상기 제1클램프편(10a) 및 상기 제2클램프편(10b)의 다른 하나도 상기 연결부재(20)의 타단부에 대해 회동하도록 구성된 클램프(100).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프편(10a)의 타단부에는 걸쇠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클램프편(10b)의 타단부에는 상기 걸쇠(14)에 걸리는 빗장쇠(34)를 구비하는 체결부재(3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클램프(1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프편(10a)의 상기 걸쇠(14)에는 잠금홀(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재(30)에는, 상기 빗장쇠(34)가 상기 걸쇠(14)에 걸렸을 때 상기 제1클램프편(10a)의 잠금홀(15)과 겹치는 위치에 상기 잠금홀에 삽입가능한 잠금핀(36)이 구비된 클램프(100).
  6.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은, 각각의 단부에 플랜지(3, 5)를 가지며 상하로 배치되는 두 배관(2, 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클램프편(10a) 및 상기 제2클램프편(10b)의 각각의 내주면에는 맞대어진 상기 두 배관(2, 4)의 플랜지(3, 5)를 함께 수용하는 플랜지 수용홈(11a, 11b)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클램프편(10a)과 상기 제2클램프편(10b)의 플랜지 수용홈(11a, 11b)에 상기 두 배관(2, 4)의 플랜지(3, 5)를 함께 수용하고, 상기 제1클램프편(10a) 및 상기 제2클램프편(10b)의 타단부를 서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두 배관(2, 4)을 연결할 수 있는 클램프(100).
  7. 제6항에 기재된 클램프(100)를 이용하여 상기 두 배관(2, 4)을 연결하는 연결 구조로서,
    상기 두 배관(2, 4) 중 하부에 배치된 배관(4)의 플랜지(5)에는 상기 클램프의 상기 연결부재(20)의 하판(2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체로 형성된 하판(21')에 상기 연결부재(20)의 기둥(23)이 결합되는 배관의 연결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의 기둥(23)이 상기 일체로 형성된 하판(2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배관의 연결 구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두 배관(2, 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관의 플랜지(3, 5)는 상기 두 배관(2, 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배관의 연결 구조.
KR1020210044852A 2021-04-06 2021-04-06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연결 구조 KR102346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852A KR102346732B1 (ko) 2021-04-06 2021-04-06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852A KR102346732B1 (ko) 2021-04-06 2021-04-06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연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932A KR20210152932A (ko) 2021-12-16
KR102346732B1 true KR102346732B1 (ko) 2021-12-31

Family

ID=79033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852A KR102346732B1 (ko) 2021-04-06 2021-04-06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7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395B1 (ko) * 2022-02-23 2023-07-26 현대로템 주식회사 양중지원장치용 원기둥형 중량물 그리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90859Y (zh) * 2007-08-06 2008-07-23 江苏美斯特科技发展有限公司 快速柔性自锁管卡
JP2010196887A (ja) * 2009-02-27 2010-09-09 Powrex Corp ヘルールクランプ
CN208503653U (zh) 2018-08-02 2019-02-15 湖北省远安海龙建设有限公司 一种管道支撑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992A (ja) * 1988-06-30 1990-01-17 Teru Barian Kk 半導体製造装置の配管用クランプ継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90859Y (zh) * 2007-08-06 2008-07-23 江苏美斯特科技发展有限公司 快速柔性自锁管卡
JP2010196887A (ja) * 2009-02-27 2010-09-09 Powrex Corp ヘルールクランプ
CN208503653U (zh) 2018-08-02 2019-02-15 湖北省远安海龙建设有限公司 一种管道支撑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932A (ko)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6732B1 (ko)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연결 구조
US8082947B2 (en) Separable ball valve apparatus and ball valve assembly
US6446652B1 (en) Backflow preventer assembly
KR980008290A (ko) 신속-연결 가능 일회용 분리 모듈
JP2007177945A (ja) 弁体取替装置
KR20190045881A (ko) 유로를 최적화시킨 정수기용 정수필터
KR20140116082A (ko) 신속 유지보수 해저 체크 밸브
KR102432700B1 (ko) 클램프 장치 및 이를 적용한 배관 연결 구조를 구비한 장비
DE10152409A1 (de) Stopfen für eine Flüssigkeitsrohr-Verbindungsvorrichtung
US20130199623A1 (en) Tap mounting
CN108797706B (zh) 用于引导、处理和/或测量流体的装置
DE102007018595B3 (de) Anordnung zum Abzweigen einer Flüssigkeit aus einem Rohr oder zum Zuführen einer Flüssigkeit in ein Rohr
KR101507011B1 (ko) 필터 하우징
KR100968247B1 (ko) 스펙터클 블라인드 밸브
CN112777810A (zh) 一种节水型超纯水生产制备系统
KR101324321B1 (ko) 선박
JP5357842B2 (ja) Y形ストレーナとy形ストレーナの構成部品取付方法
JP2002336625A (ja) マガジン式フィルタ
US6085793A (en) Safety blinding device
JP4895194B2 (ja) 水道メータシステム
KR102272033B1 (ko) 볼스크류 타입 라인블라인드밸브
KR102491023B1 (ko) 화학물질 저장장치용 지지브라켓
JP2008114119A (ja) イオン交換装置
KR200494271Y1 (ko) 튜브 고정 소켓
JP7391975B2 (ja) 流体を濾過する装置、特にベルヌーイ濾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