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6082A - 신속 유지보수 해저 체크 밸브 - Google Patents

신속 유지보수 해저 체크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6082A
KR20140116082A KR1020147018406A KR20147018406A KR20140116082A KR 20140116082 A KR20140116082 A KR 20140116082A KR 1020147018406 A KR1020147018406 A KR 1020147018406A KR 20147018406 A KR20147018406 A KR 20147018406A KR 20140116082 A KR20140116082 A KR 20140116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valve
cover
end portion
clos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8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루노 만체티
엔초 페트루차
Original Assignee
펜트에어 플로우 서비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펜트에어 플로우 서비스 아게 filed Critical 펜트에어 플로우 서비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140116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8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 F16K15/182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 F16K15/1821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for check valves with a hinged or pivoted closur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16K27/0227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with the valve members swinging around an axis located at the edge of or outside the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 F16K31/528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pin and slot
    • F16K31/528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pin and slot comprising a pivoted disc or fla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98Pivoted valves
    • Y10T137/79Head retained by removable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 Check Valv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 특히 체크에 요구되는 유지보수, 장착 및 분해 작업을 단순화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해법을 제공하고, 이 해법에 따르면, 밸브의 폐쇄 요소 (101) 가 밸브 커버 (200) 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상기 커버 및 상기 폐쇄 요소는 단일 작업에 의해 동시에 다시 장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속 유지보수 해저 체크 밸브{QUICK MAINTENANCE UNDERSEA CHECK VALVE}
본 발명은 밸브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체크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특히 해저 사용에 적합한, 즉 해저 파이프 라인에 사용하는데 적합한 체크 밸브에 관한 것이다.
체크 밸브들은 한 방향으로만 유동 가능한 밸브들이다. 이런 타입의 밸브들은, 예를 들면, 파이프 라인들의 시스템들에 사용되고, 여기서 유체의 역류는 바람직하게 회피된다. 종래 기술에서 공지되고 해저 파이프 라인들에 사용되는 타입의 체크 밸브의 예는 도 1a 및 도 1b 에 도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 에 도시된 밸브 (100) 에서, 밸브의 개폐는 밸브 주 몸체 (102) 에 의해서 규정된 내부 공동을 통하여 유동하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서 구동된다. 특히, 유체가 상기 도면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 (F) 으로 유동할 때, 유체는 밸브의 입구 단부 (102e) 를 통하여 밸브 (보다 구체적으로, 내부 공동) 로 진입하여 밸브의 폐쇄 부재 (101) 와 부딪히고, 그때 폐쇄 부재는 회전의 개방 방향 (A) 으로 유체에 의해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유체는 출구 개구부 (102u) 를 통하여 밸브 (100) 나간다.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 (F) 으로의 유체 유동이 정지되거나 감소될 때, 밀봉 또는 폐쇄 요소 (101) 가 도 1a 및 도 1b 에 도시된 폐쇄 위치를 또 다시 도달할 때까지 밀봉 또는 폐쇄 요소 (101) 는 회전방향 (C) 으로 중력에 의해서 회전한다. 유체가 화살표 방향 (F) 과 반대 방향으로 유동할 때, 즉 유체가 출구 개구부 (102u) 를 통하여 진입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발생한다. 이런 경우에, 유체는 폐쇄 요소 (101) 와 부딪히므로 폐쇄 요소 (101) 를 폐쇄 위치를 향하여 밀어 그 위치를 유지하도록 폐쇄 요소 (101) 에 압력을 가한다. 이런 식으로, 유체가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 (F) 과 반대 방향으로 밸브를 통하여 역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분명히, 폐쇄 요소 (101) 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유체의 순간적인 유동에 좌우될 것이고, 폐쇄 요소 (101) 는 도 1a 및 도 1b 에 도시된 폐쇄 위치와 전체 개방 위치 사이의 어떠한 중간 위치를 취하게 된다. 도 1a 및 도 1b 에 도시된 밸브 (100) 의 다른 작동 양태는, 예를 들면, 폐쇄 요소 (101) 의 중량이 폐쇄 요소 (101) 를 그의 폐쇄 위치로부터 이동시키고, 따라서 유체의 밸브 개방 및 통로를 달성하는데 요구되는 최소한의 유동을 규정한다는 사실과 관련되어 있다. 임계 최소 플러스 보다 작은 플럭스로 인하여 밸브는 개방되지 않는다. 전술한 내용 뿐만 아니라 도 1a 및 도 1b 로부터, 폐쇄 요소는 고정 요소 (110) 에 의해서 회전 샤프트 (107) 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회전 샤프트 (107) 의 일부는 특히 고정 요소 (110) 에 형성된 하우징 또는 시트에 수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폐쇄 요소 (101) 는 회전 샤프트 (107) 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특히, 폐쇄 요소 (101) 는 화살표 방향 (F) 으로 유체에 의해서 가해진 스러스트 때문에 회전 방향 (A) (도 1a 에서 반시계방향) 으로 회전 샤프트 (107) 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그 다음에 폐쇄 요소 (101) 는 폐쇄 요소 (101) 의 중량 및/또는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 (F) 과 반대 방향으로 플럭스의 경우에 유체에 의해서 가해진 스러스트 때문에 회전 방향 (C) (도 1a 에서 시계방향) 으로 회전 샤프트 (107) 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게다가, 폐쇄 요소 (101) 는 또한 회전 샤프트 (107) 의 일 단부에 작용하는 감속기 (도면들에 미도시) 에 의해서, 특히 기계적으로 (회전방향 (A) 및 회전방향 (C) 양쪽으로) 회전될 수 있다. 감속기에 의한 회전 샤프트 (107) 의 회전 및, 이와 같이, 밸브 (100) 의 개폐는, 예를 들면, 밸브 (107) 의 내부를 검사하거나 청소해야 하는 경우에, 실행되고, 그 작동들은 수동 또는 기계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밸브 (100) 에는 밸브 개방도 및, 이와 같이, 폐쇄 요소 (101) 의 순간 위치의 인디케이터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특히, 도면부호 105 및 도면부호 105 에 대하여 직선 변환가능하고 일 단부에 표시 노치가 구비된 표시 아암 (104) 을 포함한다. 2개의 극단의 도면부호들 "O" (개방) 및 "S" (닫힘) 에 대한 노치의 위치가 밸브의 개방도를 나타낼 것이다. 표시 노치가 형성되는 단부의 대향 단부에 대응하여, 아암 (104) 은 고정 요소 (110) 에 의해서 형성된 고정 슬롯 (109) 에 수용된 고정 스터드 또는 핀 (108) 을 포함한다. 폐쇄 요소 (101) 의 회전 및, 이와 같이, 고정 요소 (110) 의 회전은 그때 아암 (104) 을 변환시킬 것이다. 특히, 화살표 방향 (A) 으로 폐쇄 요소 (101) 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아암 (104) 은 도 1a 에 대하여 상향으로 (도면부호 "O" 를 향하여) 변위되는 반면에, 화살표 방향 (C) 으로 폐쇄 요소 (101) 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아암 (104) 은 도 1a 에 대하여 하향으로, 그리고 따라서 도면부호 "S" 를 향하여 변위될 것이다.
전술하고 도 1a 및 도 1b 에 도시된 타입의 밸브들의 하나의 주된 문제점은 유지보수 작업동안 발견되는 어려움에 관한 것이다. 이에 대하여, 밸브의 해저 사용의 경우, 유지보수 작업은 작업자가 작업해야 하는 특정 조건들로 인하여 유난히 어렵고 번거롭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수심 500 미터까지의 밸브의 깊이의 경우에, 유지보수 작업은 심해 잠수부들에 의해서 실시되는 반면에, 더 깊은 깊이에서는, 예를 들면, 해저 로봇과 같은 원격 제어 수단이 요구된다.
특히, 도 1a 및 도 1b 에 도시된 밸브 (100) 및/또는 이 밸브의 구성 부품들의 유지보수 및/또는 고정이 요구될 때, 예를 들면, 밸브 내의 퇴적물 (deposit) 또는 잔해로 인하여 특정 위치 (예를 들면, 폐쇄 위치, 개방 위치 또는 중간 위치) 에서 차단된 폐쇄 요소 (101) 의 경우에, 심해 잠수부는 너트들 또는 볼트들 (106) 을 풀어서 (나사를 풀어서) 커버 (103)(밸브 (100) 의 주 몸체 (102) 로부터 연장된 타워 부분 (102t) 을 폐쇄하도록 배열됨) 를 제거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 지점에서, 폐쇄 요소 (101) 의 손상 또는 고장이 수면 (예를 들면, 작업장) 에서 수리되어야 한다면, 폐쇄 요소 (101) 는 또한 제거되어 수면까지 가지고 와야 할 것이다. 하지만, 폐쇄 요소의 제거는 회전 샤프트 (107) 를 작동 감속기로부터 결합해제하고 그 하우징 시트 (밸브의 타워 부분 (102t) 에 형성됨) 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마침내, 고정 요소 (110) 는 회전 샤프트 (107) 로부터 꺼내진다. 또한, 분해된 밸브 부품들이, 단지 일시적일지라도, 해저 바닥에 보관될 수도 없기 때문에, 분해된 밸브의 부품들은 수면까지 들어 올려져야 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전에 분해되고, 제거되고 수면까지 들어 올려진 모든 피스들 또는 구성 부품들은 그 다음에 차례로 연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하는 단일 작업을 통하여 이전 위치로 리턴되어 밸브에 다시 장착될 것이다. 단지 개진되고 명확히 된 내용으로부터, 공지된 타입들 (예를 들면, 도 1a 및 도 1b 에 도시된 타입) 의 밸브들은 조립 및/또는 분해, 장착 및/또는 제거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에 요구되는 시간을 현저히 증가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게 관련 비용을 증가시킨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 점에서, 마침내 심해 잠수부가 물속에서 머무를 수 있는 최대 허용 시간이 심해 잠수부가 작업하는 깊이에 반비례하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시간이 연장된 유지보수 작업들은 더 많은 심해 잠수부들을 필요로 하여 총 유지보수 시간을 한층 더 증가시키므로 관련 비용도 한층 더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전에 개진된 내용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표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밸브들이 갖는 문제점들을 극복하거나 적어도 최소화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안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표는 밸브, 특히 해저 사용에 적합한 체크 밸브의 조립 및/또는 유지보수 작업을 단순화하여 총 조립 및/또는 유지보수 총 시간을 감소시키고 관련 비용을 제한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안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포괄적인 고려에 기반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그 구성 부품들이 편리한 방식으로 호혜적으로 (reciprocally) 배치되고, 특히 그 구성 부품들의 가능한 한 많은 수의 부품이 서로 호혜적으로 고정되는 밸브를 제공함으로써, 공지의 타입의 밸브, 특히 체크 밸브가 갖는 문제점들이 극복될 수 있거나 적어도 상당하게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이 기반을 두고 있는 하나의 또 다른 고려는 폐쇄 요소 및 그의 커버가 서로 고정되는 밸브를 제공함으로써, 제한된 유지보수 시간 및 비용의 관점에서 추가의 주목할만한 그리고 상당한 이점이 달성될 수 있다는 사실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그 대상으로서 독립 청구항 1 에 청구된 바와 같은 밸브, 즉 유체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특히 체크 밸브인 밸브로서, 밸브는 내부를 통해 유체를 유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내부 유동 공동을 규정하는 주 본체를 포함하고, 밸브는 또한, 공동의 제 1 폐쇄 위치와 제 2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공동의 폐쇄 요소를 포함하고, 밸브는 또한, 밸브의 외측에 공동을 연통시키는 주 본체의 개구를 교대로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 교대로 주 본체에 고정되고 또한 주 본체로부터 제거되도록 채용된 커버를 포함하고, 폐쇄 요소가 커버에 고정되어 있는 밸브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커버를 주 본체로부터 제거함으로써 폐쇄 요소도 동시에 제거되며, 따라서 적어도 커버 및 폐쇄 요소는 표면까지 동시에 보내질 수 있고 또한 다시 밸브로 동시에 장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그 대상으로서 종속 청구항 5 에 청구된 바와 같은 밸브, 즉 커버는 폐쇄 요소의 작동 디바이스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수용 시트를 포함하는 밸브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커버, 폐쇄 요소 및 폐쇄 요소의 작동 디바이스는 단일의 그리고 간단한 제거 및 재위치결정 작업들에 의해 밸브로부터 제거되고 다시 밸브로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추가의 실시형태들은 종속 청구항들에서 규정되고 특정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원의 실시형태들의 상세한 설명부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a 및 도 1b 각각은 최신 기술에 공지된 유형의 체크 밸브의 종단면도 및 상부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 각각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체크 밸브의 단면도, 종단면도 및 분해도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밸브의 사시도 및 2 개의 종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 각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밸브의 부분 절단도 및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확해지고 그리고 설명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고 그리고 후술되는 실시형태들에 한정되지 않고, 오히려 본 발명의 범위는 모든 균등한 실시형태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됨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은 체크 밸브의 분야에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되고 그리고 이하에 자세히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이 체크 밸브에 관한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체크 밸브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유형의 밸브들에도 이전과 같이 유리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폐쇄 요소가 회전 샤프트 또는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모든 밸브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2a ~ 도 2c 뿐만 아니라 도 3a ~ 도 3c 에서,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형태들에 따른 밸브의 상응하거나 유사한 구성부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식별된다.
도 2a ~ 도 2c 에서, 여기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밸브는 도면 부호 100 으로 식별된다. 밸브 (100) 는 유체 통과를 위한 내부 공동을 규정하는 본체 (102) 를 포함한다. 상기 공동내에는 폐쇄 요소 (101) 가 위치되고, 이 폐쇄 요소는 폐쇄 위치 (도 2b 에 도시) 와 개방 위치 (도 2a ~ 도 2c 에 비도시)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특히, 폐쇄 요소 (101) 는, 유체 통과를 위한 공동을 교대로 개폐시키도록, 도 2b 에서 화살표들로 표시한 2 개의 회전 방향들 (도 2b 에 대하여 반시계방향 및 시계방향) 로 회전 핀 또는 회전 샤프트 (217) 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공지된 유형의 밸브들의 경우에 있어서, 2 개의 방향들로의 폐쇄 요소의 회전 및 그로 인한 동일한 폐쇄 요소에 의한 유체 통과를 위한 공동의 개폐는, 폐쇄 요소 (101) 의 작동 장치 (이하, 보다 자세히 설명됨) 에 의해 기계적으로 그리고 유체 유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구동된다. 즉, 화살표 F 방향으로의 유체 유동은 폐쇄 요소 (101) 를 도 2b 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밸브를 개방시킨다. 한편으로는, 화살표 F 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의 유동의 부재 또는 유동의 존재시, 폐쇄 요소는 중력에 의해 또는 상기 대향 유동에 의해 이에 가해진 추진력으로 인해 시계방향으로 각각 회전할 것이다. 작동 장치는, 이들 중에서, 폐쇄 요소 (101) 를 필요할 때마다 (예를 들어, 유체 유동이 부재중이고 그리고 밸브가 이를 검사 또는 유지하도록 개방될 때) 유동과는 별개로 이동 (즉, 2 개의 회전 방향들로 회전) 시킨다.
그리하여, 본체 (102) 는 유체의 유입을 위한 입구 단부 (102e) 와 출구 단부 (102u) 를 포함한다. 특히, 입구 단부 (102e) 는 플랜지부 (102ef) 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출구 단부 (102u) 는 플랜지부 (102uf) 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부들 (102ef, 102uf) 은 밸브와 파이프라인 또는 파이프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제공된다. 특히, 플랜지부 (102ef) 는 밸브 (100) 와 이 밸브로부터 상류측에서 상기 파이프라인의 일부와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반면, 플랜지부 (102uf) 는 밸브와 이 밸브로부터 하류측에서 상기 파이프라인의 일부와의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명백하게, 밸브와 이 밸브로부터 상류측에서 및 하류측에서 파이프라인의 일부들과 연결시키기 위해서,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안들 중에서 전술한 플랜지부들 (102ef, 102uf) 에 대한 대안으로서 상이한 방안들이 선택될 수 있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단부들 (102e, 102u) 은 납땜에 의해 연결되도록 된 유형일 수도 있다.
밸브 (100) 는 밸브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도 2b 에서 상방으로 대향) 배열된 커버 (200) 를 더 포함하고, 유체 통과를 위한 내부 공동은 이 개구를 통하여 외부와 연통하게 된다. 특히, 커버 (200) 는 고정 수단 (205, 206) 에 의해 본체 (102) 에 고정된다 (이하 보다 자세히 후술됨). 동일한 커버는 동일한 커버 (200) 의 플랜지부 (213) (특히, 도 3b 참조) 로부터 연장되는 타워부 또는 터렛 (208)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 (213) 는, 밸브 (100) 의 본체 (102) 의 플랜지부 (212) 와 커버 (200) 의 플랜지부 (213) (도 3b) 사이에 실질적으로 환형 개스킷 또는 실링 요소 (204) 가 개재되어 본체 (102) 의 대응 플랜지부 (212) (도 3b) 에 인접하게 된다. 커버 (200) 를 본체 (102) 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고 그리고 전술된 고정 수단은 특히 다수의 타이 로드들 (206) (실질적으로, 외부 나사산을 가진 핀들) 을 포함한다. 상기 타이 로드들 각각의 하단부 (본체 (102) 에 대향) 는 본체 (102) 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결합 구멍의 대응 나사산에서의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더욱이, 타이 로드들 (206) 각각은 커버 (200) 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대응하는 관통 구멍에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각각의 타이 로드 (206) 의 단부 (본체 (102) 와 결합하는 동일한 타이 로드의 단부 반대편) 는 밸브 (100) 의 본체 (102) 의 플랜지부에 접하는 동일한 플랜지부의 표면 반대편의 커버 (200) 의 플랜지부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한다. 그리하여, 커버 (200) 의 플랜지부로부터 돌출하는 각각의 타이 로드 (206) 의 단부에서 내부 나사산에 제공된 대응 너트 (205) 와 결합하고, 그리하여 상기 너트 (205) 를 대응하는 타이 로드 (206) 의 돌출 단부에 나사결합함으로서, 커버 (200) 를 본체 (102) 에 고정하는 것이 달성된다. 그 후, 커버 (200) 는 각각의 타이 로드들 (206) 로부터 너트들 (205) 을 나사풀림함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본체 (102) 로의 커버 (200) 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특히 커버의 대응하는 관통 구멍들과 타이 로드 (206) (본체 (102) 에 미리 결합 및 나사결합됨) 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본체 (102) 로부터 돌출하고 그리고 커버에 정렬하면서 이 커버 (200) 에 제공된 대응하는 시트에 삽입되는 다수의 정렬 핀들 (309) 이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폐쇄 요소 (101) 는 이 폐쇄 요소 (101) 로부터 연장되는 고정부 (203) 에 의해 회전 샤프트 또는 핀 (217) 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됨을 이해해야 한다.
도 2a ~ 도 2c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밸브 (100) 의 매우 중요한 특징은, 공지된 유형의 밸브들 (예를 들어, 도 1a ~ 도 1b 에 도시된 최신 기술에 공지된 밸브) 에 반대되는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 또는 핀 (217) 이 밸브 (100) 의 본체 (102) 에 고정되지 않는다는 사실과 관련되어 있다. 도 2a ~ 도 2c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밸브의 경우에, 회전 샤프트 또는 핀 (217) 은 커버 (200) 의 돌출부 (209) 에 고정되고, 특히 조립된 위치에서 커버 (200) 가 밸브 (100) 의 본체 (102) 에 놓일 때 커버 (200) 에서부터 밸브 (100) 의 내측 쪽으로 (도 2b 에서 하방 및 그로 인해 유체 통과를 위한 공동 쪽으로) 연장된다. 특히, 상기 돌출부는 단부, 자유 반대 커버 (200) 를 포함하고, 이 커버로부터 상기 회전 샤프트 또는 핀 (217) 이 횡방향으로 돌출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보다 상세부가 이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해지더라도, 전술한 바로부터, 밸브 및/또는 폐쇄 요소 (101) 의 고정 및/또는 유지보수 작업들이 표면에서 실시될 필요가 있다면, 커버 (200) 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 (102) 로부터 커버 (200) 를 분리시켜, 그리하여 대응하는 타이 로드 (206) 로부터 너트들 (205) 을 나사풀림함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더욱이, 커버 (200) 의 분리는 폐쇄 요소 (101) (뿐만 아니라 고정 요소 (203) 및 회전 핀 (217)) 의 동시 분리를 유발할 것이고, 이는 상기 폐쇄 요소 (101) 가 고정 요소 (203) 및 회전 샤프트 또는 핀 (217) 을 통하여 커버 (102) 의 돌출부 (209) 에 고정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폐쇄 요소 (101) 의 유지보수 및/또는 고정 작업들이 필요한 경우에 (예를 들어, 밸브의 해저 사용의 경우에 표면에서 유지보수 및/또는 고정 작업들을 실시), 공지된 유형의 밸브들에 경우에서와 같이, 유지보수 그리고/또는 유지보수될 커버 및 구성부들을 전혀 분리할 필요가 없고, 별개의 분리 작업들을 통하여 표면에 상기 구성부들을 보낼 필요도 없다.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경우에, 본체로부터 커버 (200) 를 간단히 자유롭게하고 분리함으로써, 커버에 부착된 밸브의 이러한 부분들 그리고 그로 인한 특히 이의 폐쇄 요소 (101) 는 동시에 분리될 것이다. 그 후, 밸브의 이러한 부분들은 구성부들의 단일 블록 또는 세트로서 커버와 함께 표면까지 보내어질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커버 (200) 에 부착되는 상기 구성부들 및 그로 인한 특히 폐쇄 요소 (101) 를 밸브 (100) 에 장착하는 것은, 단일의 작업, 즉 커버 (200) 를 밸브 (100) 의 본체 (102) 에 장착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도 2a 내지 2c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밸브 (100) 의 추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특징은, 유체 유동과는 독립적으로 2 개의 회전 방향으로 폐쇄 요소 (101) 를 회전시키는 디바이스인 폐쇄 요소 (101) 의 작동 디바이스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함) 가 커버 (200) 에 형성된 시트 (201) 에, 특히 커버 (200) 의 타워 부분 또는 터렛 (208)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는 사실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작동 디바이스는 주 본체 (102) 로부터 커버 (200) 를 제거하고 주 본체 (102) 에 커버 (200) 를 고정함으로써 택일적으로 제거되거나 분리되고 설치되거나 장착될 수 있는 밸브의 구성 부품들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특징은 또한 간단하고 가속된 유지보수 및/또는 고정 및/또는 조립 또는 해체 작업을 허용하는데, 이는 예컨대 작동 디바이스가 커버와 함께 그리고 커버와 동시에 표면 (밸브 (100) 의 수중 사용의 경우에) 까지 보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동 디바이스는 감소된 시간 및 제한된 비용의 관점에서 명백한 이점을 갖고서 표면상에 저장 그리고/또는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들과 관련하여 전술한 구성 부품 및/또는 특징을 동일 도면부호로 나타낸 도 3a 내지 3c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추가의 특징 및/또는 구성 부품을 설명한다.
도 3a 는 밸브 (100) 의 전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는 (주 본체 (102) 의 플랜지 부분 (212) 에 맞닿도록 배치된) 플랜지 부분 (213) 및 이 플랜지 부분 (213) 으로부터 연장하는 타워 부분 (208) 을 포함하는 커버 (200) 의 특정 형상을 알 수 있다. 커버 (200) 의 타워 부분 (208) 외측에는, 인디케이터 (300) 가 배치된다. 인디케이터 (300) 는 타워 부분 (208) 에 부착된 플레이트, 및 (폐쇄 요소 (101) 의) 밸브의 전체 개방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 1 단부 "O" (개방) 와 (특히 폐쇄 요소 (101) 의) 밸브의 폐쇄 위치에 대응하는 제 2 단부 "S" (차단) 사이에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의 2 개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는 핸드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개방 인디케이터 (300) 의 작동을 설명하지만, 도 3a 로부터 링 또는 아이볼트 (211) 는 이동 밸브 (100) 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밸브 (100) 의 주 본체 (102) 상에 고정 (나사결합) 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가변 개수의 그리고 필요 및/또는 환경에 따라 의지대로 배치되는) 상기 링은 예컨대 대응 케이블 또는 로프의 단부들에 배치된 후크에 의해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도 3b 및 3c 를 특별히 참조하면, 전술한 작동 디바이스는 (특히 그 타워 부분 (208) 의) 커버 (200) 의 시트 (201) 에 수용된 회전 샤프트 또는 핀 (210) 을 포함하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회전 핀 또는 샤프트 (210) 는 주 본체 (102) 의 타워 부분 (208) 으로부터 돌출하는 핀 (210) 의 자유 단부와 결합하는 예컨대 리듀서 (reducer: 도면에는 미도시) 에 의해 (2 개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그 자유 단부에 대향하는 (따라서 밸브 (100) 내에 수용된) 회전 샤프트 (210) 의 단부에는 중공 또는 빈 본체 (214) 가 배치된다. 상기 빈 본체 (214) 는 회전 샤프트 (210) 의 자유 단부를 따라 병진 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3b 에 나타낸 빈 본체 (214) 는 도 3c 에 대해 하향으로 전위되기 때문에, 도 3b 에 나타낸 (폐쇄 요소 (101) 가 폐쇄 위치에 있는) 회전 샤프트 (210) 에 대한 빈 본체의 위치는 도 3c 에 나타낸 (폐쇄 요소 (101) 가 개방 위치에 있는) 회전 샤프트 (210) 에 대한 빈 본체의 위치와는 다르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빈 본체 (214) 의 원통형 측벽에는 회전 샤프트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 샤프트 (210) 로부터 돌출하는 핀 (215) 을 수용하는 나선형 그루브 (221) 가 형성된다. 더욱이, 회전 샤프트 (210) 에 대향하는 빈 본체 (214) 의 단부로부터는, 고정 요소 (203) 에 형성된 시트 (219) 에 수용되는 제 2 고정 핀 (220) 이 돌출한다. 더욱이, 고정 요소 (203) 는 회전 핀 (217) 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 시트 (218) 가 형성되는 단부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회전 핀 (217) 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 (100) 의 내측을 향하여 커버 (200) 로부터 돌출하는 부분 (209) 에 고정된다. 고정 요소 (203) 의 제 2 단부는 폐쇄 요소 (101) 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시트 (219) 는 고정 요소 (203) 의 2 개의 단부 부분 사이의 위치에 형성된다. 작동 디바이스에 의한, 폐쇄 요소 (101) 의 이동 작동 및 특히 2 개의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 (210) 가 반시계 방향 (밸브 (100) 의 상면도에 따름) 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전은 핀 (215) 이 나선형 그루브 (221) 에 수용됨으로써 빈 본체 (214) 가 상향으로 (밸브 (100) 의 외측을 향하여) 병진 운동되는 것을 유발한다. 따라서 빈 본체 (214) 는 그와 함께 고정 요소 (203) 를 드래그하여서, 폐쇄 요소 (101) 는 개방 방향으로 회전된다. 반대로, 회전 샤프트 (210) 가 시계 방향 (여전히 밸브 (100) 의 상면도에 따름) 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은 다시 핀 (215) 이 나선형 그루브 (221) 에 수용됨으로써 빈 본체 (214) 가 하향으로 (밸브 (100) 의 내측을 향하여) 병진 운동되는 것을 유발한다. 따라서 빈 본체 (214) 는 그와 함께 고정 요소 (203) 를 드래그하여서, 폐쇄 요소 (101) 는 폐쇄 방향으로 회전된다.
마지막으로, 회전 샤프트 (210) 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의 2 개의 방향으로의 회전중에, 전술한 개방 인디케이터 (300) 의 핸드에 연결된 차동기 (216) 또는 트랜스미션 기구의 구성 부품 (기어 휠) 의 회전을 유발한다. 특히, 회전 샤프트 (210) 에 고정된 제 1 기어 휠은 상기 제 1 기어 휠에 수직하게 배치된 제 2 기어 휠의 회전을 유발한다. 제 2 기어 휠은 커버 (200) 의 타워 부분 (208) 의 외벽을 통과하는 연결 핀에 의해 인디케이터의 핸드에 연결된다. 따라서 인티케이터의 핸드는 전술한 2 개의 위치 "O" 와 "S" 사이에서 회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종래기술로부터 공지된 동일한 유형의 밸브가 가지는 문제점을 극복하거나 적어도 최소화함이 입증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상당히 간단한 조립 및/또는 해체 그리고 밸브의 주요 구성 부품의 유지보수 작업, 그에 따라 시간과 비용에 관련된 감소 및 제한을 허용한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폐쇄 요소는 그 주 본체 대신에 밸브의 커버에 고정되기 때문에, 밸브의 주 본체로부터 커버를 제거하는 동일한 작업을 통해, 적어도 폐쇄 요소 및 상기 폐쇄 요소의 회전이 자유로워지는 회전 핀은 밸브의 주 본체로부터 동시에 제거 및 분리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밸브의 주 본체에 커버를 고정하는 동일한 작업을 통해, 폐쇄 요소 및 상대 회전 핀은 밸브의 주 본체내에 설치된다.
이상, 첨부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들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시된 그리고 설명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지 않음에 주목해야 한다. 반대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명백한 설명된 그리고 도시된 실시형태들에 상당하는 모든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에 속한다.
예컨대, 밸브의 구성 부품의 실시에 바람직한 재료와 관련하여 폭넓은 선택이 제공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타이 로드 또는 대응 너트의) 밸브의 주 본체에 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 뿐만 아니라 밸브의 이동 및 수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 아이볼트의 개수 및 배치는 필요 및/또는 환경에 따라 의지대로 선택될 수 있다. 더욱이, 밸브의 본체에 커버를 고정하기 위해 나사식 너트 및 볼트 또는 타이로드를 이용하는 이외에 대안의 해법이 제공될 수 있다. 가능한 해법들 중의 하나로서, 도 4a 및 4b 에 도시된 소위 "클램프" 해법을 비제한적인 예로서 언급할 수 있다. 이 해법은 하프-링 (310a, 310b) 를 이용하는 것을 제공하는데, 하프-링 각각은 (연장부에 수직한) C형 단면을 갖는다. 다른 한편으로, 커버 (200) 및 주 본체 (102) 각각은 원주 표면을 포함한다. 특히, 커버 (200) 는 외측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진 원주 표면 (313) 을 갖는 한편, 주 본체 (102) 는 외측을 향하여 상향으로 경사진 원주 표면 (314) 을 갖는다. 커버 (200) 및 주 본체 (102) 가 도 4a 에서와 같이 위치되면, 즉 상면도에 따라 각각의 표면 (313, 314) 이 실질적으로 겹치면, 2 개의 클램핑 하프-링 (310a, 310b) 이 표면 (313, 314) 에 맞닿아, 즉 하프-링의 2 개의 대향 내부 표면이 각각 표면 (313, 314) 에 맞닿게 되어, 커버 (200) 가 주 본체 (210) 상에 클램핑된다. 특히, 최종 클램핑은 너트 및 각각의 볼트 (312, 311) 를 작용시킴으로써, 즉 가스킷 (204) 을 압축하도록 2 개의 하프-링을 서로 더욱 근접시킴으로써 달성된다. 폐쇄 요소에 대응하여 그리고 커버와 밸브의 주 본체 사이에서 유체의 누설이 방지되어야 하는 지점들에 제공된 밀봉 요소들 (그리고 이들 밀봉 요소의 실시를 위한 재료) 의 타입의 선택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항에 의해 규정된다.

Claims (15)

  1. 유체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특히 체크 밸브 (100) 인 밸브로서,
    상기 밸브 (100) 는 내부를 통해 유체를 유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내부 유동 공동을 규정하는 주 본체 (102) 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100) 는 또한, 상기 공동의 제 1 폐쇄 위치와 제 2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상기 공동의 폐쇄 요소 (101) 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100) 는 또한, 상기 밸브의 외측에 상기 공동을 연통시키는 상기 주 본체 (102) 의 개구를 교대로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 교대로 상기 주 본체 (102) 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주 본체로부터 제거되도록 채용된 커버 (200)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200) 를 상기 주 본체 (102) 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상기 폐쇄 요소 (101) 도 동시에 제거되도록, 상기 폐쇄 요소 (101) 가 상기 커버 (200) 에 고정되어 있는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요소 (101) 는 상기 커버로부터 상기 주 본체 (102) 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하는 상기 커버 (200) 의 부분 (209) 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요소 (101) 는 고정 부분 (203) 에 의해 상기 커버 (200) 의 부분 (209) 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 부분은 상기 폐쇄 요소에 고정된 제 1 단부 부분, 및 상기 제 1 단부 부분에 대향하고 상기 부분 (209) 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제 2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분 (203) 의 상기 제 2 단부 부분은 상기 부분 (209) 에 강성적으로 고정된 회전 핀 (217) 의 부분이 수용되는 수용 시트 (218)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분 (203) 은 상기 회전 핀 (217) 에 대해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200) 는 상기 폐쇄 요소 (101) 의 작동 디바이스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수용 시트 (20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디바이스는 회전 샤프트 (210), 및 상기 회전 샤프트 (201) 와 상기 고정 부분 (203) 사이에 배치된 트랜스미션 요소 (214) 를 포함하여서, 제 1 회전 방향으로의 상기 회전 샤프트 (210) 의 회전이 상기 회전 핀 (217) 에 대한 제 1 회전 방향으로의 상기 고정 부분 (203) 의 회전을 유발하는 한편, 상기 제 1 회전 방향에 반대되는 제 2 회전 방향으로의 상기 회전 샤프트 (210) 의 회전이 상기 회전 핀 (217) 에 대한 상기 제 1 회전 방향에 반대되는 제 2 회전 방향으로의 상기 고정 부분 (203) 의 회전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 요소 (214) 는 상기 회전 샤프트 (210) 의 제 1 단부 부분이 수용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빈 (empty)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빈 본체는 상기 고정 부분 (203) 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회전 샤프트 (210) 의 상기 제 1 단부 부분상에서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상기 빈 본체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상기 제 1 단부 부분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 방향으로의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이 제 1 병진 방향으로의 상기 빈 본체의 병진 운동을 유발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회전 방향으로의 상기 고정 부분 (203) 의 회전을 유발하는 한편, 상기 제 2 회전 방향으로의 상기 회전 샤프트 (210) 의 회전이 상기 제 1 병진 방향에 반대되는 제 2 병진 방향으로의 상기 빈 본체의 병진 운동을 유발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회전 방향으로의 상기 고정 부분의 회전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빈 본체는 상기 회전 샤프트 (210) 로부터 연장하는 맞닿음 핀 (215) 이 수용되는 나선형 (elicoidal) 맞닿음 시트 (22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빈 본체는 상기 고정 부분 (203) 의 상기 제 1 단부 부분과 상기 제 2 단부 부분 사이의 중간의 위치에서 상기 고정 부분 (203) 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회전 샤프트에 대향한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빈 본체의 상기 단부 부분은 상기 고정 부분 (203) 에 형성된 수용 시트 (219) 에 수용되는 고정 핀 (2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시트 (219) 는 슬롯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200) 는 복수의 고정 수단 (205, 206) 에 의해 상기 주 본체 (102) 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주 본체 (102) 에 형성된 대응 수용 시트에 수용되는 제 1 단부 부분을 각각 가지는 복수의 타이-로드들 (206), 및 대응하는 복수의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들의 각각은 상기 제 1 단부 부분에 반대되는 대응 타이-로드 (206) 의 제 2 단부 부분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로드들 (206) 의 각각은, 대응 수용 시트의 내부 나사산과 맞물리고 대응 너트 (205) 의 내부 나사산과 맞물리는 외부 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로드들 (206) 의 각각은, 상기 커버 (200) 의 플랜지 부분에 형성된 대응 관통공에 수용되는 중간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KR1020147018406A 2011-12-02 2012-11-30 신속 유지보수 해저 체크 밸브 KR201401160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0312A ITVI20110312A1 (it) 2011-12-02 2011-12-02 Valvola di non ritorno sottomarina a manutenzione rapida
ITVI2011A000312 2011-12-02
PCT/IB2012/056873 WO2013080179A1 (en) 2011-12-02 2012-11-30 Quick maintenance undersea check val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082A true KR20140116082A (ko) 2014-10-01

Family

ID=45420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8406A KR20140116082A (ko) 2011-12-02 2012-11-30 신속 유지보수 해저 체크 밸브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140345714A1 (ko)
EP (1) EP2786051B1 (ko)
JP (1) JP2015503068A (ko)
KR (1) KR20140116082A (ko)
CN (1) CN104254722A (ko)
AU (1) AU2012345525A1 (ko)
BR (1) BR112014013360A2 (ko)
CA (1) CA2857936A1 (ko)
CL (1) CL2014001448A1 (ko)
CO (1) CO7071105A2 (ko)
HK (1) HK1203226A1 (ko)
IT (1) ITVI20110312A1 (ko)
MX (1) MX2014006604A (ko)
RU (1) RU2014126237A (ko)
WO (1) WO20130801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845A (ko) * 2018-08-24 2020-03-04 주식회사 엠티에스 체크밸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21974A (zh) * 2014-03-01 2014-05-28 张周卫 Lng止回阀
ES2733291T3 (es) 2014-06-16 2019-11-28 Solidsvac Pty Ltd Bomba neumática
CN107202184B (zh) * 2017-07-13 2023-05-26 辽宁飞鸿达蒸汽节能设备有限公司 活塞式旋启止回阀
CN109723869A (zh) * 2018-12-28 2019-05-07 江南阀门有限公司 一种便于在线维护的抽汽止回阀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434A (en) * 1905-04-27 1906-08-14 Albert J Stahl Indicating-valve.
US3119594A (en) * 1961-02-17 1964-01-28 Orbit Valve Co Swing gate valve
US3184214A (en) * 1962-01-18 1965-05-18 Ottis W King Cam operated valve
US3298659A (en) * 1962-12-21 1967-01-17 Cupedo Douwe Janse Fluid power actuated butterfly valve or plug cock
US3396938A (en) * 1965-08-07 1968-08-13 Maenaka Valve Works Co Ltd Valve actuating device
US3367365A (en) * 1966-05-25 1968-02-06 Orbit Valve Co Valve
US3789872A (en) * 1972-05-31 1974-02-05 R Elliott Hydraulic control means for check valves
US4353390A (en) * 1979-12-06 1982-10-12 Anchor/Darling Valve Company Swing check valve with internally balanced disc
US4618824A (en) * 1984-07-16 1986-10-21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of testing the operability of check valves
US4669500A (en) * 1986-05-23 1987-06-02 Wheatley Pump And Valve, Inc. Check valve actuator
US4776363A (en) * 1986-12-01 1988-10-11 Avelli Philip A Fire hydrant having internal valve actuation means
DE3853834T2 (de) * 1987-09-22 1996-02-22 Mitsubishi Electric Corp Drosselklappensteuervorrichtung mit separater Ventilantriebsvorrichtung.
US5010919A (en) * 1990-02-23 1991-04-30 Tom Wheatley Valve Co. Subsea barrier valve
US6971631B1 (en) * 2002-05-21 2005-12-06 Bart Naughton Fluid damper
JP3880470B2 (ja) * 2002-07-05 2007-02-14 株式会社栗本鐵工所 逆止弁装置
US7077179B1 (en) * 2003-07-29 2006-07-18 Abc Product Development, L.L.C. Cordless power tool and multi-purpose workstation system
US20110061751A1 (en) * 2009-09-15 2011-03-17 Siam Cast Iron Works Co., Ltd. Tilting Disc Swing Check Valv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845A (ko) * 2018-08-24 2020-03-04 주식회사 엠티에스 체크밸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L2014001448A1 (es) 2015-01-30
HK1203226A1 (en) 2015-10-23
BR112014013360A2 (pt) 2017-06-13
CN104254722A (zh) 2014-12-31
MX2014006604A (es) 2015-03-06
JP2015503068A (ja) 2015-01-29
AU2012345525A1 (en) 2014-07-24
RU2014126237A (ru) 2016-02-10
ITVI20110312A1 (it) 2013-06-03
US20140345714A1 (en) 2014-11-27
EP2786051A1 (en) 2014-10-08
CA2857936A1 (en) 2013-06-06
WO2013080179A1 (en) 2013-06-06
EP2786051B1 (en) 2018-03-14
CO7071105A2 (es) 201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6082A (ko) 신속 유지보수 해저 체크 밸브
US11359735B2 (en) Axial valve of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on
KR100754501B1 (ko) 탈·부착이 용이한 배관의 이음구
FI83694C (fi) Kulventil.
SE504895C2 (sv) Ventil för ändring av flödesriktningen hos ett fluidum i rörledningar, och dess användning vid väremväxlare
TW201347823A (zh) 過濾系統
US8899269B2 (en) Manifold
US8783293B2 (en) Simple reverse flow wye connector
US7891377B2 (en) Reverse flow wye connector
EP3332855A1 (en) Filtration and dirt-separation device
RU2599690C2 (ru) Шаровой клапан с плавающим металлическим седлом и возможностью ремонта без демонтажа
JP2011127629A (ja) バルブ装置
JP2012026483A (ja) 配管接続構造
RU2460928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грузочного рукава морского нефтяного причала
JP6242046B2 (ja) アクチュエータ付き回転弁
RU148782U1 (ru) Задвижка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а
US5778933A (en) Orifice fitting
KR101324321B1 (ko) 선박
RU2291340C1 (ru) Переключ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х клапанов
KR102220652B1 (ko) 원뿔대 모양의 볼 집이 형성된 가스용 탑 엔트리 볼 밸브
GB2516966A (en) Pipeline connector and joint
RU210989U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трубопроводов с поворотными зажимами
JP6422630B2 (ja) 弁装置を有する分岐管
KR101225684B1 (ko) 임시 스트레이너용 스펙터클 플랜지
AU2006229553B2 (en) Manifo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