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381B1 - 키나제 억제제로서 유용한 카르바졸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 Google Patents

키나제 억제제로서 유용한 카르바졸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381B1
KR102345381B1 KR1020167001634A KR20167001634A KR102345381B1 KR 102345381 B1 KR102345381 B1 KR 102345381B1 KR 1020167001634 A KR1020167001634 A KR 1020167001634A KR 20167001634 A KR20167001634 A KR 20167001634A KR 102345381 B1 KR102345381 B1 KR 102345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azole
methylphenyl
carboxamide
dioxo
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1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2890A (ko
Inventor
수 성 고
더글러스 쥐. 배트
마이라 보두인 버트런드
조지 브이. 델루카
찰스 엠. 랜저빈
칭제 류
아누라그 에스. 스리바스타바
스콧 헌터 와터슨
Original Assignee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filed Critical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60022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56Ring systems containing three or more rings
    • C07D209/80[b, c]- or [b, d]-condensed
    • C07D209/82Carbazoles; Hydrogenated carb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7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9/72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 C07D239/95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with hetero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s 2 and 4
    • C07D239/96Two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 C07D5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513/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염이 개시되어 있다.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 (Btk)의 억제제로서의 이러한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 및 이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이 또한 개시되어 있다. 이들 화합물은 다양한 치료 영역 내의 질환 또는 장애, 예컨대 자가면역 질환 및 혈관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거나, 또는 그의 진행을 지연시키는데 유용하다.
<화학식 I>
Figure 112016006369948-pct00242

상기 식에서,
Q는
Figure 112016006369948-pct00243
이고;
R1은 -C(CH3)2OH, -NHC(=O)C(CH3)3, -N(CH3)2, 또는 -CH2Rd이고;
R2는 Cl 또는 -CH3이고;
R3은 H, F, 또는 -CH3이고;
Ra는 H 또는 -CH3이고;
Rb는 H, F, Cl, 또는 -OCH3이고;
Rc는 H 또는 F이고;
Rd는 -OH, -OCH3, -NHC(=O)CH3, 또는

Description

키나제 억제제로서 유용한 카르바졸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CARBAZOLE CARBOXAMIDE COMPOUNDS USEFUL AS KINASE INHIBITORS}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본원은 2013년 6월 25일에 출원된 미국 일련 번호 61/839,130을 우선권 주장하며, 이는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명백하게 포함된다.
설명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 (Btk) 및 다른 Tec 패밀리 키나제 예컨대 Itk의 조절을 비롯한 키나제 억제제로서 유용한 카르바졸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카르바졸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이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사용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본 발명은 추가로 키나제 조절과 관련된 상태의 치료에 유용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 및 포유동물에서 Btk 및 다른 Tec 패밀리 키나제 예컨대 Itk를 비롯한 키나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 효소의 가장 큰 패밀리인 단백질 키나제는 500종을 훨씬 초과하는 단백질을 포괄한다. Btk는 티로신 키나제의 Tec 패밀리의 구성원이며, 초기 B-세포 발생, 뿐만 아니라 성숙 B-세포 활성화, 신호전달, 및 생존의 조절인자이다.
B-세포 수용체 (BCR)를 통한 B-세포 신호전달은 광범위한 생물학적 결과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는 또한 B-세포의 발생 단계에 의존한다. BCR 신호의 크기 및 지속기간은 정밀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비정상적인 BCR-매개 신호전달은 B-세포 활성화의 조절이상 및/또는 병원성 자가-항체의 형성을 야기하여 다발성 자가면역 및/또는 염증성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인간에서 Btk의 돌연변이는 X-연관 무감마글로불린혈증 (XLA)을 일으킨다. 이 질환은 B-세포의 손상된 성숙, 감소된 이뮤노글로불린 생산, 약화된 T-세포-비의존성 면역 반응 및 BCR 자극 시 지속적인 칼슘 신호의 현저한 감쇠와 연관되어 있다.
알레르기성 장애 및/또는 자가면역 질환 및/또는 염증성 질환에서의 Btk의 역할에 대한 증거는 Btk-결핍 마우스 모델에서 확립되었다. 예를 들어, 전신 홍반성 루푸스 (SLE)의 표준 뮤린 전임상 모델에서, Btk 결핍은 질환 진행을 현저히 개선시키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더욱이, Btk 결핍 마우스는 또한 콜라겐-유발 관절염의 발병에 내성이 있으며, 스타필로코쿠스-유발 관절염에 덜 감수성이다.
자가면역 및/또는 염증성 질환의 발병기전에서의 B-세포 및 체액성 면역계의 역할을 대량의 증거가 지지한다. B-세포를 고갈시키기 위해 개발된 단백질-기재 치료제 (예컨대 리툭산®(RITUXAN))는 다수의 자가면역 및/또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에 대한 중요한 접근을 나타낸다. B-세포 활성화에서의 Btk의 역할로 인해, Btk의 억제제는 B-세포 매개 병원성 활성의 억제제 (예컨대 자가항체 생산)로서 유용할 수 있다.
Btk는 또한 비만 세포 및 단핵구에서 발현되며, 이들 세포의 기능에 중요한 것으로 제시되었다. 예를 들어, 마우스에서 Btk 결핍은 IgE-매개 비만 세포 활성화 장애 (TNF-알파 및 다른 염증성 시토카인 방출의 현저한 감소)와 연관되며, 인간에서 Btk 결핍은 활성화된 단핵구에 의한 크게 감소된 TNF-알파 생산과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Btk 활성의 억제는 알레르기성 장애 및/또는 자가면역 및/또는 염증성 질환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SLE, 류마티스 관절염, 다발성 혈관염, 특발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ITP), 중증 근무력증, 알레르기성 비염, 다발성 경화증 (MS), 이식 거부, 제I형 당뇨병, 막성 신염, 염증성 장 질환,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 자가면역 갑상선염, 한랭 및 온난 응집소 질환, 에반스 증후군, 용혈성 요독성 증후군/혈전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HUS/TTP), 사르코이드증, 쇼그렌 증후군, 말초 신경병증 (예를 들어, 길랑-바레 증후군), 심상성 천포창, 및 천식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또한, Btk는 특정 B-세포 암에서 B-세포 생존을 제어하는데 있어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예를 들어, Btk는 BCR-Abl-양성 B-세포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세포의 생존에 중요한 것으로 제시되었다. 따라서 Btk 활성의 억제는 B-세포 림프종 및 백혈병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단백질 키나제의 조절을 수반하는 치료에 의해 이익을 얻을 것으로 예상되는 다수의 상태의 관점에서, 단백질 키나제 예컨대 Btk를 조절할 수 있는 신규 화합물 및 이들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이 광범위한 환자에게 실질적인 치료 이익을 제공하여야 함이 지극히 명백하다.
미국 특허 8,084,620 및 WO 2011/159857은 Btk 및 다른 Tec 패밀리 키나제의 조절을 비롯한 키나제 억제제로서 유용한 트리시클릭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개시한다.
Btk 억제제로서 유용하고 Jak2 티로신 키나제에 비해 선택성을 또한 갖는 화합물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남아있다. 추가로, Jak2 티로신 키나제에 비해 선택성을 갖고 또한 전혈 BCR-자극된 CD69 발현 검정에서 개선된 효력을 갖는 Btk 억제제로서 유용한 화합물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남아있다.
본 출원인은 Btk 억제제로서 활성을 갖는 강력한 화합물을 발견하였다. 추가로, 본 출원인은 Btk 억제제로서 활성을 갖고 Jak2 티로신 키나제에 비해 선택적인 화합물을 발견하였다. 또한 추가로, 본 출원인은 Btk 억제제로서 활성을 갖고, Jak2 티로신 키나제에 비해 선택적이고, 전혈 BCR-자극된 CD69 발현 검정에서 개선된 효력을 갖는 화합물을 발견하였다. 이들 화합물은 그의 약물성에 중요한 바람직한 안정성, 생체이용률, 치료 지수, 및 독성 값을 갖는 제약으로서 유용한 것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은 Btk의 억제제로서 유용하고, 증식성 질환, 알레르기성 질환, 자가면역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치료에 유용한 카르바졸 화합물 (그의 염 및 전구약물 포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의 적어도 1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Btk 활성의 억제를 필요로 하는 표유동물에게 화학식 I의 적어도 1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Btk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알레르기성 장애 및/또는 자가면역 및/또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게 화학식 I의 적어도 1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장애 및/또는 자가면역 및/또는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증식성 질환, 예컨대 암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게 화학식 I의 적어도 1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증식성 질환, 예컨대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Btk 활성과 연관된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게 화학식 I의 적어도 1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Btk 활성과 연관된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또는 그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중간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Btk 관련 조건, 예컨대 증식성 질환, 알레르기성 질환, 자가면역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암의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다양한 Btk 관련 상태를 치료, 예방, 또는 치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은 다양한 치료 영역, 예컨대 증식성 질환, 알레르기성 질환, 자가면역 질환 및 염증성 질환에서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거나, 예방하거나, 또는 그의 진행을 지연시키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은 개시내용이 계속됨에 따라 확장된 형태로 기재될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기재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된다.
도 1은 중간체 15의 절대 입체화학을 제시한다.
도 2는 실시예 3의 2종의 상호전환하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절대 입체화학을 제시한다.
도 3은 실시예 3 1수화물, 결정 형태 H1-6의 실험 및 모의 PXRD 패턴 (Cu Kα 방사선 λ = 1.5418 Å)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하기 화학식 I의 적어도 1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112016006369948-pct00001
상기 식에서,
Q는
Figure 112016006369948-pct00002
이고;
R1은 -C(CH3)2OH, -NHC(=O)C(CH3)3, -N(CH3)2, 또는 -CH2Rd이고;
R2는 Cl 또는 -CH3이고;
R3은 H, F, 또는 -CH3이고;
Ra는 H 또는 -CH3이고;
Rb는 H, F, Cl, 또는 -OCH3이고;
Rc는 H 또는 F이고;
Rd는 -OH, -OCH3, -NHC(=O)CH3, 또는
Figure 112016006369948-pct00003
이다.
한 실시양태는 R1이 -C(CH3)2OH이고; Q, R2, 및 R3이 제1 측면에 정의되어 있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는 R1이 -NHC(=O)C(CH3)3이고; Q, R2, 및 R3이 제1 측면에 정의되어 있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는 R1이 -N(CH3)2이고; Q, R2, 및 R3이 제1 측면에 정의되어 있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는 R1이 -CH2Rd이고; Q, R2, R3, 및 Rd가 제1 측면에 정의되어 있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는 R2가 Cl이고; Q, R1, 및 R3이 제1 측면에 정의되어 있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는 R2가 -CH3이고; Q, R1, 및 R3이 제1 측면에 정의되어 있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는 R1이 -C(CH3)2OH이고; R2가 Cl이고; Q 및 R3이 제1 측면에 정의되어 있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는 R1이 -C(CH3)2OH이고; R2가 Cl이고; R3이 H이고; Q가 제1 측면에 정의되어 있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는 R1이 -C(CH3)2OH이고; R2가 -CH3이고; Q 및 R3이 제1 측면에 정의되어 있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는 R1이 -C(CH3)2OH이고; R2가 -CH3이고; R3이 H이고; Q가 제1 측면에 정의되어 있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는 R1이 -C(CH3)2OH이고; R2가 -CH3이고; R3이 -CH3이고; Q가 제1 측면에 정의되어 있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는 Q가
Figure 112016006369948-pct00004
이고; R1, R2, R3, 및 Ra가 제1 측면에 정의되어 있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의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II>
Figure 112016006369948-pct00005
Q가
Figure 112016006369948-pct00006
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이 이러한 실시양태에 포함된다.
한 실시양태는 R1이 -C(CH3)2OH이고; R2, R3, Ra, 및 Rb가 제1 측면에 정의되어 있는 것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A의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IIA>
Figure 112016006369948-pct00007
R2가 Cl 또는 -CH3이고; R3이 H이고; Ra가 H 또는 -CD3를 포함하는 -CH3이고; Rb가 H, F, 또는 -OCH3인 화학식 IIA의 화합물이 이러한 실시양태에 포함된다. 또한, Q가
Figure 112016006369948-pct00008
인 화학식 IIA의 화합물이 이러한 실시양태에 포함된다.
한 실시양태는 4-(3-(8-플루오로-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 및 2); 4-(3-(S)-(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3); 4-(3-(S)-(8-플루오로-1-메틸(d3)-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 4-(2-클로로-3-(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5); 4-(2-클로로-3-(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6); 7-(2-히드록시프로판-2-일)-4-(3-(8-메톡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7); 4-(3-(6-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8); 4-(3-(S)-(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5-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4); 4-(3-(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5-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5); 4-(3-(S)-(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8-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6); 4-(3-(S)-(8-플루오로-1-메틸(d3)-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5-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7); 및 8-플루오로-4-(3-(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33)로부터 선택된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는 Q가
Figure 112016006369948-pct00009
이고; R1, R2, R3, Rb, 및 Rc가 제1 측면에 정의되어 있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I의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III>
Figure 112016006369948-pct00010
Q가
Figure 112016006369948-pct00011
인 화학식 III의 화합물이 이러한 실시양태에 포함된다.
한 실시양태는 R2가 -CH3이고; R1, R3, Rb, 및 Rc가 제1 측면에 정의되어 있는 것인 화학식 I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IA의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IIIA>
Figure 112016006369948-pct00012
R1이 -C(CH3)2OH, -NHC(=O)C(CH3)3, -N(CH3)2, 또는 -CH2Rd이고; R3이 H, F, 또는 -CH3이고; Rb가 H, F, Cl, 또는 -OCH3이고; Rc가 H 또는 F이고; Rd가 -OH, -OCH3, -NHC(=O)CH3, 또는
Figure 112016006369948-pct00013
인 화학식 IIIA의 화합물이 이러한 실시양태에 포함된다. R3이 H인 화합물이 또한 이러한 실시양태에 포함된다.
한 실시양태는 7-(2-히드록시프로판-2-일)-4-(3-(7-메톡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0); 7-(2-히드록시프로판-2-일)-4-(3-(6-메톡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1); 7-(2-히드록시프로판-2-일)-4-(3-(5-메톡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2); 4-(3-(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3); 4-(3-(R)-(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4); 4-(3-(S)-(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5); 4-(3-(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피발아미도-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6); 4-(3-(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메톡시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7); 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메톡시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8); 4-(3-(4-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9); 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1); 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2 및 23); 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히드록시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8); 7-(디메틸아미노)-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9); 7-(아세트아미도메틸)-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30); 및 4-(3-(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피롤리딘-1-일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31)로부터 선택된 화학식 I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는 Q가
Figure 112016006369948-pct00014
이고; R1, R2, 및 R3이 제1 측면에 정의되어 있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V의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IV>
Figure 112016006369948-pct00015
한 실시양태는 R1이 -C(CH3)2OH이고; R2, 및 R3이 제1 측면에 정의되어 있는 것인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VA의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IVA>
Figure 112016006369948-pct00016
R2가 -CH3인 화학식 IVA의 화합물이 이러한 실시양태에 포함된다. R3이 H인 화학식 IVA의 화합물이 또한 이러한 실시양태에 포함된다.
한 실시양태는 Q가
Figure 112016006369948-pct00017
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V의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V>
Figure 112016006369948-pct00018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은 제1 측면에 정의되어 있다.
한 실시양태는 R1이 -C(CH3)2OH인 화학식 V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VA의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VA>
Figure 112016006369948-pct00019
상기 식에서, R2 및 R3은 제1 측면에 정의되어 있다. R2가 -CH3인 화학식 VA의 화합물이 이러한 실시양태에 포함된다. R3이 H인 화학식 VA의 화합물이 또한 이러한 실시양태에 포함된다.
한 실시양태는 R3이 -CH3이고; R1, R2, 및 Q가 제1 측면에 정의되어 있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한다. 하기 화학식 IA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이러한 실시양태에 포함된다.
<화학식 IA>
Figure 112016006369948-pct00020
R1이 -C(CH3)2OH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화학식 VI의 화합물이 또한 이러한 실시양태에 포함된다.
한 실시양태는 4-(3-(8-플루오로-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 및 2); 4-(3-(S)-(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3); 4-(3-(S)-(8-플루오로-1-메틸(d3)-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 4-(2-클로로-3-(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5); 4-(2-클로로-3-(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6); 7-(2-히드록시프로판-2-일)-4-(3-(8-메톡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7); 4-(3-(6-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8); 4-(3-(3-(4-플루오로페닐)-2,6-디옥소-2,3-디히드로피리미딘-1(6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9); 7-(2-히드록시프로판-2-일)-4-(3-(7-메톡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0); 7-(2-히드록시프로판-2-일)-4-(3-(6-메톡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1); 7-(2-히드록시프로판-2-일)-4-(3-(5-메톡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2); 4-(3-(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3); 4-(3-(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4 및 15); 4-(3-(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피발아미도-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6); 4-(3-(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피발아미도-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7); 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메톡시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8); 4-(3-(4-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9); 4-(3-(5,7-디옥소-5H-티아졸로[3,2-c]피리미딘-6(7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0); 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1); 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2 및 23); 4-(3-(S)-(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5-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4); 4-(3-(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5-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5); 4-(3-(S)-(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8-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6); 4-(3-(S)-(8-플루오로-1-메틸(d3)-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5-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7); 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히드록시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8); 7-(디메틸아미노)-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9); 7-(아세트아미도메틸)-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30); 4-(3-(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피롤리딘-1-일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31); 및 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메톡시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32)로부터 선택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한다.
회전장애이성질체는 단일 결합 축에 대한 장애 회전으로부터 생성된 입체이성질체이며, 여기서 회전 장벽은 개별 회전 이성질체의 단리를 허용하기에 충분히 높다. (LaPlante et al., J. Med. Chem., 54:7005-7022 (2011)).
화학식 I의 화합물은 2개의 입체생성 축을 갖는다: 트리시클릭 카르바졸 기 및 페닐 기 사이의 결합 (a); 및 비대칭 헤테로시클릭 디온 기 Q 및 페닐 기 사이의 결합 (b).
Figure 112016006369948-pct00021
a 및 b로 표지된 단일 결합에 의해 연결된 고리에 대한 치환의 비-대칭 성질로 인해, 및 입체 장애에 의해 야기되는 이들 결합에 대한 제한된 회전으로 인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회전 이성질체를 형성할 수 있다. 회전 에너지 장벽이 충분히 높은 경우에, 결합 (a) 및/또는 결합 (b)에 대한 장애 회전은 상이한 화합물로서의 분리된 회전장애이성질체의 단리를 허용하기에 충분히 느린 속도로 발생한다. 따라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4종의 회전 이성질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특정 조건, 예컨대 키랄 고정상 상의 크로마토그래피 하에 개별 회전장애이성질체로 분리될 수 있다. 용액 중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되거나, 또는 2쌍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또는 단일 회전장애이성질체로 분리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경우에, 하기 구조에 의해 나타내어진 입체생성 축 (a)에 대한 장애 회전에 의해 형성된 회전 이성질체의 쌍은 분리가능한 것으로 밝혀졌다.
Figure 112016006369948-pct00022
그러나, 주위 온도 및 그 초과의 온도에서, 개별 회전 이성질체 중 1종을 함유하는 용액은 입체생성 축 (a)에 대한 라세미화를 통해, 예를 들어, 수시간의 주기에 걸쳐 회전장애이성질체의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입체생성 축 (b)에 대한 장애 회전에 의해 형성된 안정한 회전 이성질체가 단리되고, 주위 및 생리학적 온도에서 용액 중에 안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입체생성 축 (b)에 대한 장애 회전에 의해 형성된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2종의 회전 이성질체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화학식 II-1>
Figure 112016006369948-pct00023
<화학식 II-2>
Figure 112016006369948-pct00024
입체생성 축 (b)에 대한 장애 회전에 의해 형성된 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2종의 회전 이성질체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화학식 III-1>
Figure 112016006369948-pct00025
<화학식 III-2>
Figure 112016006369948-pct00026
입체생성 축 (b)에 대한 장애 회전에 의해 형성된 화학식 IV의 화합물의 2종의 회전 이성질체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화학식 IV-1>
Figure 112016006369948-pct00027
<화학식 IV-2>
Figure 112016006369948-pct00028
입체생성 축 (b)에 대한 장애 회전에 의해 형성된 화학식 V의 화합물의 2종의 회전 이성질체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화학식 V-1>
Figure 112016006369948-pct00029
<화학식 V-2>
Figure 112016006369948-pct00030
회전장애이성질체의 절대 공간 배위는 단결정 X선 결정학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개별 회전장애이성질체로서, 2종의 회전장애이성질체를 포함하는 혼합물로서,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안정한 쌍으로서 단리될 수 있으며, 여기서 1개의 쌍은 결합 (b)에 대해 (R) 배위를 갖지만 결합 (a)에 대해 (R) 및 (S) 배위의 혼합물이고, 다른 쌍은 결합 (b)에 대해 (S) 배위를 갖지만 결합 (a)에 대해 (R) 및 (S) 배위의 혼합물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결합 (b)에 대해 단일 절대 배위를 갖지만 결합 (a)에 대해 2종의 상호전환하는 절대 배위의 혼합물을 갖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쌍; 또는 대안적으로, 결합 (a)에 대해 단일 절대 배위를 갖지만 결합 (b)에 대해 2종의 상호교환하는 절대 배위의 혼합물을 갖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쌍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는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 예컨대 키랄 고정상 상의 정제용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 (SFC)를 포함하는 다양한 기술에 의해 분리되어 개별 회전장애이성질체 또는 2종의 회전장애이성질체의 혼합물을 수득할 수 있는 4종의 회전장애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정상 HPLC의 형태인 SFC는, 초임계/미임계 유체 CO2 및 극성 유기 조절제 예컨대 알콜을 이동상으로서 사용하는 분리 기술이다. (White et al., J. Chromatography A 1074:175-185 (2005)).
한 실시양태는 R2, R3, Ra, 및 Rb가 제1 측면에 정의되어 있는 것인 화학식 II-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한다. R2가 Cl 또는 -CH3이고; R3이 H, F, 또는 -CH3이고; Ra가 H 또는 -CD3을 포함하는 -CH3이고; Rb가 H, F, 또는 -OCH3인 화학식 II-1의 화합물이 이러한 실시양태에 포함된다.
한 실시양태는 R1, R3, Rb, 및 Rc가 제1 측면에 정의되어 있는 것인 화학식 III-2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한다. R1이 -C(CH3)2OH, -NHC(=O)C(CH3)3, -N(CH3)2, 또는 -CH2Rd이고; R3이 H, F, 또는 -CH3이고; Rb가 H, F, Cl, 또는 -OCH3이고; Rc가 H 또는 F이고; Rd가 -OH, -OCH3, -NHC(=O)CH3, 또는
Figure 112016006369948-pct00031
인 화학식 III-2의 화합물이 이러한 실시양태에 포함된다. R3이 H인 화합물이 또한 이러한 실시양태에 포함된다.
한 실시양태는 제1 측면의 범주 내에 예시된 실시예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는 제1 측면 또는 상기 실시양태 중 임의의 것이 범주 내의 화합물 중 임의의 하위세트 목록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임의의 비율의 (i) 화학식 II-1의 화합물 및 (ii) 화학식 II-2의 화합물의 혼합물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이러한 실시양태에 포함된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조성물은 제약 조성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I-1 및 화학식 II-2의 화합물의 총 당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98 당량%의 화학식 II-1의 화합물 및 화학식 II-2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II-1 및 화학식 II-2의 화합물의 총 당량을 기준으로 하여 99 당량%, 99.5 당량%, 99.8 당량%, 및 99.9 당량%의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이러한 실시양태에 포함된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조성물은 제약 조성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임의의 비율의 (i) 화학식 III-1의 화합물 및 (ii) 화학식 III-2의 화합물의 혼합물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이러한 실시양태에 포함된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조성물은 제약 조성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II-1 및 화학식 III-2의 화합물의 총 당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98 당량%의 화학식 III-1의 화합물 및 화학식 III-2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III-1 및 화학식 III-2의 화합물의 총 당량을 기준으로 하여 99 당량%, 99.5 당량%, 99.8 당량%, 및 99.9 당량%의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이러한 실시양태에 포함된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조성물은 제약 조성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임의의 비율의 (i) 화학식 IV-1의 화합물 및 (ii) 화학식 IV-2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이러한 실시양태에 포함된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조성물은 제약 조성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V-1 및 화학식 IV-2의 화합물의 총 당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98 당량%의 화학식 IV-1의 화합물 및 화학식 IV-2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IV-1 및 화학식 IV-2의 화합물의 총 당량을 기준으로 하여 99 당량%, 99.5 당량%, 99.8 당량%, 및 99.9 당량%의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이러한 실시양태에 포함된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조성물은 제약 조성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V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임의의 비율의 (i) 화학식 V-1의 화합물 및 (ii) 화학식 V-2의 화합물의 혼합물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이러한 실시양태에 포함된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조성물은 제약 조성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V-1 및 화학식 V-2의 화합물의 총 당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98 당량%의 화학식 V-1의 화합물 및 화학식 V-2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V-1 및 화학식 V-2의 화합물의 총 당량을 기준으로 하여 99 당량%, 99.5 당량%, 99.8 당량%, 및 99.9 당량%의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이러한 실시양태에 포함된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조성물은 제약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취지 또는 본질적인 속성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원에 언급된 본 발명의 측면 및/또는 실시양태의 모든 조합을 포괄한다. 본 발명의 임의의 및 모든 실시양태는 임의의 다른 실시양태 또는 실시양태들과 함께 취합되어 추가 실시양태를 기재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실시양태의 각각의 개별 요소가 임의의 실시양태로부터의 임의의 및 모든 다른 요소와 조합되어 추가 실시양태를 기재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으로 또한 이해된다.
정의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하기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 개별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상기 및 하기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정 특징이 또한 조합되어 단일 실시양태를 형성할 수 있음이 인지되어야 한다. 반대로, 간결성을 위해 단일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기재된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이 또한 조합되어 그의 하위-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본원에서 예시적이거나 또는 바람직한 것으로서 확인되는 실시양태는 예시하려는 의도이며,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원에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단수에 대한 언급은 또한 복수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수형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지칭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어구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적어도 1종의 화합물, 적어도 1종의 상기 화합물의 염, 또는 그의 조합물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의 2종의 화합물;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염;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화학식 I의 1종 이상의 화합물의 염; 및 화학식 I의 2종 이상의 화합물의 염을 포함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충족되지 않는 원자가를 갖는 임의의 헤테로원자는 원자가를 충족시키기에 충분한 수소 원자를 갖는 것으로 가정된다.
본원에 기재된 정의는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 임의의 특허, 특허 출원, 및/또는 특허 출원 공개에 기재된 정의보다 우선한다.
본 발명을 기재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용어의 정의가 하기에 열거되어 있다. 이들 정의는 개별적으로 또는 보다 큰 군의 일부로서 (구체적인 경우에 달리 제한되지 않는 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경우의 용어에 적용된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기 및 그의 치환기는 안정한 모이어티 및 화합물을 제공하도록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관례에 따라,
Figure 112016006369948-pct00032
는 코어 또는 백본 구조에 대한 모이어티 또는 치환기의 부착 지점인 결합을 도시하기 위해 본원의 구조 화학식에서 사용된다.
어구 "제약상 허용되는"은 타당한 의학적 판단의 범주 내에서, 합리적인 이익/위험 비에 상응하여 과도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또는 다른 문제 또는 합병증 없이 인간 및 동물의 조직과 접촉시켜 사용하기에 적합한 그러한 화합물, 물질, 조성물, 및/또는 투여 형태를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본 발명의 범주 내인 염을 형성할 수 있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한 언급은 그의 1종 이상의 염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제약상 허용되는 (즉, 비-독성, 생리학상 허용되는) 염이 바람직하고, 여기서 음이온은 염의 독성 또는 생물학적 활성에 유의하게 기여하지 않는다. 그러나, 다른 염이, 예를 들어, 제조 동안 사용될 수 있는 단리 또는 정제 단계에서 유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는 본 발명의 범주 내인 것으로 고려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염은,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염이 침전되는 것인 매질 중에 또는 수성 매질 중에 예컨대 등량의 소정량의 산과 반응시키고, 이어서 동결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산 부가염은 아세테이트 (예컨대 아세트산 또는 트리할로아세트산, 예를 들어,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형성된 것), 아디페이트, 알기네이트, 아스코르베이트, 아스파르테이트, 벤조에이트, 벤젠술포네이트, 비술페이트, 보레이트, 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캄포레이트, 캄포르술포네이트, 시클로펜탄프로피오네이트, 디글루코네이트, 도데실술페이트, 에탄술포네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코헵타노에이트, 글리세로포스페이트, 헤미술페이트, 헵타노에이트, 헥사노에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산으로 형성됨), 히드로브로마이드 (브로민화수소로 형성됨), 히드로아이오다이드, 말레에이트 (말레산으로 형성됨), 2-히드록시에탄술포네이트, 락테이트, 메탄술포네이트 (메탄술폰산으로 형성됨), 2-나프탈렌술포네이트, 니코티네이트, 니트레이트, 옥살레이트, 펙티네이트, 퍼술페이트, 3-페닐프로피오네이트, 포스페이트, 피크레이트, 피발레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살리실레이트, 숙시네이트, 술페이트 (예컨대 황산으로 형성된 것), 술포네이트 (예컨대 본원에 언급된 것), 타르트레이트, 티오시아네이트, 톨루엔술포네이트 예컨대 토실레이트, 운데카노에이트 등을 포함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무정형 고체 또는 결정질 고체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동결건조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고체로서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매화물 (예를 들어, 수화물)은 또한 본 발명의 범주 내인 것으로 추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용어 "용매화물"은 유기 또는 무기인 1개 이상의 용매 분자와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물리적 회합을 의미한다. 이러한 물리적 회합은 수소 결합을 포함한다. 특정 경우에, 예를 들어 1개 이상의 용매 분자가 결정질 고체의 결정 격자에 혼입되는 경우에, 용매화물은 단리가능할 것이다. "용매화물"은 용액-상 및 단리가능한 용매화물 둘 다를 포괄한다. 예시적인 용매화물은 수화물, 에탄올레이트, 메탄올레이트, 이소프로판올레이트, 아세토니트릴 용매화물, 및 에틸 아세테이트 용매화물을 포함한다. 용매화의 방법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다양한 형태의 전구약물이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하기에 기재되어 있다:
a) Wermuth, C.G. et al., The Practice of Medicinal Chemistry, Chapter 31, Academic Press (1996);
b) Bundgaard, H. ed., Design of Prodrugs, Elsevier (1985);
c) Bundgaard, H., Chapter 5, "Design and Application of Prodrugs", A Textbook of Drug Design and Development, pp. 113-191, Krogsgaard-Larsen, P. et al., eds., Harwood Academic Publishers (1991); 및
d) Testa, B. et al., Hydrolysis in Drug and Prodrug Metabolism, Wiley-VCH (2003).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그의 제조에 후속적으로, 단리 및 정제하여 99 중량% 이상의 양의 화학식 I의 화합물 ("실질적으로 순수한")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수득하고, 이어서 이를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하거나 또는 제제화한다. 이러한 "실질적으로 순수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본원에서 본 발명의 일부로서 고려된다.
"안정한 화합물" 및 "안정한 구조"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유용한 정도의 순도로의 단리를 견디고 효과적인 치료제로 제제화하기에 충분히 강건한 화합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은 안정한 화합물을 실시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치료 유효량"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양을 단독으로, 또는 Btk에 대한 억제제로서 작용하는데 효과적이거나 또는 자가면역 및/또는 염증성 질환 상태, 예컨대 전신 홍반성 루푸스, 다발성 경화증 및 류마티스 관절염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다른 활성 성분과 조합된 청구된 화합물의 조합물의 양 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양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원에 사용된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서의 질환-상태의 치료를 포괄하고, (a) 포유동물에서 질환-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특히, 이러한 포유동물이 질환-상태의 소인이 있으나, 그를 갖는 것으로서 아직 진단되지는 않은 경우에 예방하는 것; (b) 질환-상태를 억제하는 것, 즉, 그의 발생을 저지하는 것; 및/또는 (c) 질환-상태를 완화시키는 것, 즉, 질환 상태의 퇴행을 야기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에서 발생하는 원자의 모든 동위원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동위원소는 동일한 원자 번호를 갖지만 상이한 질량수를 갖는 원자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예로서 및 비제한적으로, 수소의 동위원소는 중수소 (D) 및 삼중수소 (T)를 포함한다. 탄소의 동위원소는 13C 및 14C를 포함한다. 동위원소-표지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통상의 기술에 의해 또는 본원에 기재된 것들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달리 사용되는 비-표지된 시약 대신 적절한 동위원소-표지된 시약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틸 (-CH3)은 또한 중수소화 메틸 기 예컨대 -CD3을 포함한다.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및/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치료할 상태에 적합한 임의의 수단에 의해 투여될 수 있으며, 이는 부위-특이적 치료에 대한 필요성 또는 전달할 화학식 I 화합물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1종 이상의 비-독성,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희석제 및/또는 아주반트 (본원에서 집합적으로 "담체" 물질로서 지칭됨) 및 원하는 경우에, 다른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부류가 또한 포괄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임의의 적합한 경로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경로에 적합한 제약 조성물의 형태로, 및 의도된 치료에 유효한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조성물은, 예를 들어, 통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아주반트, 및 비히클을 함유하는 투여 단위 제제로, 경구로, 점막으로, 또는 비경구로 예컨대 혈관내로, 정맥내로, 복강내로, 피하로, 근육내로, 및 흉골내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약 담체는 만니톨 또는 락토스 및 미세결정질 셀룰로스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혼합물은 추가의 성분 예컨대 윤활제,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및 붕해제 예컨대 크로스포비돈을 함유할 수 있다. 담체 혼합물은 젤라틴 캡슐 내로 충전되거나 또는 정제로서 압축될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은 예를 들어 경구 투여 형태 또는 주입으로서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해, 제약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정제, 캡슐, 액체 캡슐, 현탁액, 또는 액체의 형태일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특정한 양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투여 단위의 형태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제약 조성물은 약 0.1 내지 1000 mg, 바람직하게는 약 0.25 내지 250 mg,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100 mg 범위의 활성 성분의 양을 포함하는 정제 또는 캡슐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인간 또는 다른 포유동물에게 적합한 1일 용량은 환자의 상태 및 다른 인자에 따라 매우 광범위하게 달라질 수 있으나,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원에서 고려되는 임의의 제약 조성물은, 예를 들어, 임의의 허용되는 및 적합한 경구 제제를 통해 경구로 전달될 수 있다. 예시적인 경구 제제는, 예를 들어, 정제, 트로키, 로젠지, 수성 및 유성 현탁액, 분산성 분말 또는 과립, 에멀젼, 경질 및 연질 캡슐, 액체 캡슐, 시럽, 및 엘릭시르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경구 투여를 위해 의도되는 제약 조성물은 경구 투여를 위해 의도되는 제약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제약상 맛우수한 제제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제약 조성물은 감미제, 향미제, 착색제, 완화제, 항산화제, 및 보존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작용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적어도 1종의 화합물 및/또는 그의 적어도 1종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정제의 제조에 적합한 적어도 1종의 비-독성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와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예시적인 부형제는, 예를 들어, 불활성 희석제, 예컨대, 예를 들어, 탄산칼슘, 탄산나트륨, 락토스, 인산칼슘, 및 인산나트륨; 과립화제 및 붕해제, 예컨대, 예를 들어,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소듐 크로스카르멜로스, 옥수수 전분, 및 알긴산; 결합제, 예컨대, 예를 들어, 전분,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아카시아; 및 윤활제, 예컨대,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 및 활석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추가로, 정제는 비코팅되거나, 또는 불쾌한 맛의 약물의 나쁜 맛을 차폐하거나, 또는 위장관에서 활성 성분의 붕해 및 흡수를 지연시켜 그에 의해 활성 성분의 효과를 더 장기간 동안 지속시키기 위해 공지된 기술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예시적인 수용성 맛 차폐 물질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시적인 시간 지연 물질은 에틸 셀룰로스 및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경질 젤라틴 캡슐은,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적어도 1종의 화합물 및/또는 그의 적어도 1종의 염을 적어도 1종의 불활성 고체 희석제, 예컨대, 예를 들어, 탄산칼슘; 인산칼슘; 및 카올린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연질 젤라틴 캡슐은,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적어도 1종의 화합물 및/또는 그의 적어도 1종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적어도 1종의 수용성 담체, 예컨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적어도 1종의 오일 매질, 예컨대, 예를 들어, 땅콩 오일, 액상 파라핀, 및 올리브 오일과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수성 현탁액은,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적어도 1종의 화합물 및/또는 그의 적어도 1종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수성 현탁액의 제조에 적합한 적어도 1종의 부형제와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수성 현탁액의 제조에 적합한 예시적인 부형제는, 예를 들어, 현탁화제, 예컨대, 예를 들어,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알긴산나트륨, 알긴산, 폴리비닐-피롤리돈, 트라가칸트 검, 및 아카시아 검; 분산제 또는 습윤제, 예컨대, 예를 들어, 자연 발생 포스파티드, 예를 들어, 레시틴; 알킬렌 옥시드와 지방산의 축합 생성물, 예컨대,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에틸렌 옥시드와 장쇄 지방족 알콜의 축합 생성물, 예컨대, 예를 들어 헵타데카에틸렌-옥시세탄올; 지방산 및 헥시톨로부터 유래된 부분 에스테르와 에틸렌 옥시드의 축합 생성물, 예컨대,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모노올레에이트; 및 지방산 및 헥시톨 무수물로부터 유래된 부분 에스테르와 에틸렌 옥시드의 축합 생성물, 예컨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수성 현탁액은 또한 적어도 1종의 보존제, 예컨대, 예를 들어, 에틸 및 n-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적어도 1종의 착색제; 적어도 1종의 향미제; 및/또는 적어도 1종의 감미제, 예컨대, 예를 들어, 수크로스, 사카린 및 아스파르탐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유성 현탁액은,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적어도 1종의 화합물 및/또는 그의 적어도 1종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식물성 오일, 예컨대, 예를 들어, 아라키스 오일; 올리브 오일; 참깨 오일; 및 코코넛 오일 중에; 또는 미네랄 오일, 예컨대, 예를 들어, 액상 파라핀 중에 현탁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유성 현탁액은 또한 적어도 1종의 증점제, 예컨대, 예를 들어, 밀랍; 경질 파라핀; 및 세틸 알콜을 함유할 수 있다. 맛우수한 유성 현탁액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본원에 이미 기재된 적어도 1종의 감미제, 및/또는 적어도 1종의 향미제가 유성 현탁액에 첨가될 수 있다. 유성 현탁액은, 예를 들어, 항산화제, 예컨대, 예를 들어,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 및 알파-토코페롤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적어도 1종의 보존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분산성 분말 및 과립은,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적어도 1종의 화합물 및/또는 그의 적어도 1종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적어도 1종의 분산제 및/또는 습윤제; 적어도 1종의 현탁화제; 및/또는 적어도 1종의 보존제와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분산제, 습윤제, 및 현탁화제는 상기 이미 기재된 바와 같다. 예시적인 보존제는, 예를 들어, 항산화제, 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분산성 분말 및 과립은 또한 적어도 1종의 부형제,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예를 들어, 감미제; 향미제; 및 착색제를 또한 함유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적어도 1종의 화합물 및/또는 그의 적어도 1종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에멀젼은, 예를 들어, 수중유 에멀젼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에멀젼의 유성 상은 공지된 성분으로부터 공지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유상은, 비제한적으로, 예를 들어, 식물성 오일, 예컨대, 예를 들어, 올리브 오일 및 아라키스 오일; 미네랄 오일, 예컨대, 예를 들어, 액상 파라핀; 및 그의 혼합물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이 단지 유화제만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는 적어도 1종의 유화제와 지방 또는 오일과의 또는 지방 및 오일 둘 다와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유화제는, 예를 들어, 자연 발생 포스파티드, 예를 들어, 대두 레시틴; 지방산 및 헥시톨 무수물로부터 유래된 에스테르 또는 부분 에스테르, 예컨대, 예를 들어,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및 부분 에스테르와 에틸렌 옥시드의 축합 생성물, 예컨대,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친수성 유화제는 안정화제로서 작용하는 친지성 유화제와 함께 포함된다. 오일 및 지방 둘 다를 포함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동시에, 유화제(들)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안정화제(들)는 소위 유화 왁스를 제조하고, 오일 및 지방과 함께 왁스는 크림 제제의 유성 분산 상을 형성하는 소위 유화 연고 베이스를 제조한다. 에멀젼은 또한 감미제, 향미제, 보존제, 및/또는 항산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화제 및 에멀젼 안정화제는 트윈(Tween) 60, 스팬(Span) 80, 세토스테아릴 알콜, 미리스틸 알콜,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 글리세릴 디스테아레이트를 단독으로, 또는 왁스 또는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다른 물질과 함께 포함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또는 그의 적어도 1종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예를 들어, 또한 정맥내로, 피하로, 및/또는 근육내로 임의의 제약상 허용되는 및 적합한 주사가능한 형태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주사가능한 형태는, 예를 들어, 허용되는 비히클 및 용매, 예컨대, 예를 들어, 물, 링거액, 및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을 포함하는 멸균 수용액; 멸균 수중유 마이크로에멀젼; 및 수성 또는 유질 현탁액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비경구 투여용 제제는 수성 또는 비-수성 등장성 멸균 주사 용액 또는 현탁액의 형태일 수 있다. 이들 용액 및 현탁액은 경구 투여용 제제에 사용하기 위해 언급된 담체 또는 희석제 중 1종 이상을 사용하거나, 또는 다른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화제를 사용함으로써 멸균 분말 또는 과립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화합물은 물,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에탄올, 옥수수 오일,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참깨 오일, 벤질 알콜, 염화나트륨, 트라가칸트 검, 및/또는 다양한 완충제 중에 용해될 수 있다. 다른 보조제 및 투여 방식은 제약 기술분야에 널리 및 광범위하게 공지되어 있다. 활성 성분은 또한 염수, 덱스트로스, 또는 물을 포함하는 적합한 담체, 또는 시클로덱스트린 (즉, 캅티솔(CAPTISOL)®), 공용매 가용화 (즉,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미셀 가용화 (즉, 트윈 80)와의 조성물로서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멸균 주사가능한 제제는 또한 비-독성 비경구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용매 중의 멸균 주사가능한 용액 또는 현탁액, 예를 들어 1,3-부탄디올 중의 용액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허용되는 비히클 및 용매 중에는 물, 링거액, 및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이 있다. 또한, 멸균, 고정 오일이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합성 모노글리세리드 또는 디글리세리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무자극 고정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 예컨대 올레산이 주사제의 제조에 사용된다.
멸균 주사가능한 수중유 마이크로에멀젼은, 예를 들어, 1) 화학식 I의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유성 상, 예컨대, 예를 들어, 대두 오일 및 레시틴의 혼합물 중에 용해시키고; 2) 화학식 I을 함유하는 유상을 물 및 글리세롤 혼합물과 합하고; 3) 조합물을 가공하여 마이크로에멀젼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멸균 수성 또는 유질 현탁액은 관련 기술분야에 이미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멸균 수용액 또는 현탁액은 비-독성 비경구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용매, 예컨대, 예를 들어, 1,3-부탄 디올과 함께 제조될 수 있고; 멸균 유질 현탁액은 멸균 비-독성 허용되는 용매 또는 현탁 매질, 예컨대, 예를 들어, 멸균 고정 오일, 예를 들어, 합성 모노글리세리드 또는 디글리세리드; 및 지방산, 예컨대, 예를 들어, 올레산과 함께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아주반트, 및 비히클은 이온 교환체, 알루미나, 스테아르산알루미늄, 레시틴, 자기-유화 약물 전달 시스템 (SEDDS) 예컨대 d-알파-토코페롤 폴리에틸렌글리콜 1000 숙시네이트, 제약 투여 형태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예컨대 트윈, 폴리에톡실화 피마자 오일 예컨대 크레모포르(CREMOPHOR)® 계면활성제 (BASF(바스프)), 또는 다른 유사한 중합체 전달 매트릭스, 혈청 단백질, 예컨대 인간 혈청 알부민, 완충제 물질 예컨대 포스페이트, 글리신, 소르브산, 소르브산칼륨, 포화 식물성 지방산의 부분 글리세리드 혼합물, 물, 염 또는 전해질, 예컨대 프로타민 술페이트,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수소칼륨, 염화나트륨, 아연 염, 콜로이드성 실리카, 삼규산마그네슘, 폴리비닐 피롤리돈, 셀룰로스계 물질,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아크릴레이트, 왁스, 폴리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 중합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양모 지방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시클로덱스트린 예컨대 알파-, 베타-, 및 감마-시클로덱스트린, 또는 화학적으로 개질된 유도체 예컨대 히드록시알킬시클로덱스트린, 예컨대 2- 및 3-히드록시프로필-시클로덱스트린, 또는 다른 가용화된 유도체가 또한 본원에 기재된 화학식의 화합물의 전달을 증진시키는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 활성 화합물을 제약학의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가공하여 인간 및 다른 포유동물을 비롯한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한 의약 작용제를 제조할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은 통상의 제약 작업 예컨대 멸균화에 적용될 수 있고/거나 통상의 아주반트, 예컨대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유화제, 완충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정제 및 환제는 추가로 장용 코팅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또한 아주반트, 예컨대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및 퍼퓸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또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질환 상태를 치료하기 위해 투여되는 화합물의 양 및 투여 요법은 대상체의 연령, 체중, 성별, 의학적 상태, 질환의 유형, 질환의 중증도, 투여 경로 및 빈도, 및 사용되는 특정한 화합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투여 요법은 광범위하게 달라질 수 있으나, 표준 방법을 사용하여 통상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약 0.001 내지 100 mg/kg 체중, 바람직하게는 약 0.0025 내지 약 50 mg/kg 체중,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05 내지 10 mg/kg 체중의 1일 용량이 적절할 수 있다. 1일 용량은 1일에 1 내지 4회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다른 투여 스케줄은 1주에 1회 용량 및 2일에 1회 용량의 주기를 포함한다.
치료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은 지시된 투여 경로에 적절한 1종 이상의 아주반트와 통상적으로 조합된다. 경구로 투여되는 경우에, 화합물은 락토스, 수크로스, 전분 분말, 알칸산의 셀룰로스 에스테르, 셀룰로스 알킬 에스테르, 활석,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인산 및 황산의 나트륨 및 칼슘 염, 젤라틴, 아카시아검, 알긴산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및/또는 폴리비닐 알콜과 혼합한 다음, 편리한 투여를 위해 정제화 또는 캡슐화될 수 있다. 이러한 캡슐 또는 정제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스 중 활성 화합물의 분산액으로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제어-방출 제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화학식 I의 적어도 1종의 화합물 및/또는 그의 적어도 1종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임의로 임의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아주반트, 및 비히클로부터 선택된 추가의 작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대안적 조성물은 본원에 기재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전구약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아주반트, 또는 비히클을 포함한다.
유용성
본 발명의 화합물은 Btk의 조절을 비롯한 키나제 활성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키나제 활성의 다른 유형은 화합물의 Tec 패밀리, 예컨대 BMX, Btk, ITK, TXK 및 Tec, 및 그의 돌연변이체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키나제 활성의 조절, 및 특히 Btk 활성의 선택적 억제와 연관된 상태를 치료하는데 있어서 유용성을 갖는다. 이러한 상태에는 시토카인 수준이 세포내 신호전달의 결과로서 조절되는 것인 B-세포 매개 질환이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의 반응 및 예방 조치, 예를 들어, 질환 또는 장애의 개시를 억제 또는 지연시키고, 증상 또는 질환 상태의 완전 또는 부분 감소를 달성하고/거나, 질환 또는 장애 및/또는 그의 증상을 경감, 개선, 완화, 또는 치유하기 위해 설계된 조치를 포괄한다.
Btk의 선택적 억제제로서의 그의 활성의 관점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시토카인-연관 상태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염증성 질환 예컨대 크론 및 궤양성 결장염, 천식, 이식편 대 숙주 질환, 만성 폐쇄성 폐 질환; 자가면역 질환 예컨대 그레이브스병,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건선; 파괴성 골 장애 예컨대 골 재흡수 질환, 골관절염, 골다공증, 다발성 골수종-관련 골 장애; 증식성 장애 예컨대 급성 골수 백혈병, 만성 골수 백혈병; 혈관신생 장애 예컨대 고형 종양, 안구 신생혈관화 및 영아 혈관종을 포함하는 혈관신생 장애; 감염성 질환 예컨대 패혈증, 패혈성 쇼크, 및 시겔라증; 신경변성 질환 예컨대 외상성 손상에 의해 유발된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뇌 허혈 또는 신경변성 질환, 종양성 및 바이러스성 질환 예컨대 전이성 흑색종, 카포시 육종, 다발성 골수종 및 HIV 감염 및 CMV 망막염, AIDS를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의 화합물로 치료될 수 있는 구체적인 상태 또는 질환은 비제한적으로, 췌장염 (급성 또는 만성), 천식, 알레르기, 성인 호흡 곤란 증후군, 만성 폐쇄성 폐 질환, 사구체신염,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 홍반성 루푸스, 경피증, 만성 갑상선염, 그레이브스병, 자가면역 위염, 당뇨병,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 자가면역 호중구감소증, 혈소판감소증, 아토피성 피부염, 만성 활성 간염, 중증 근무력증, 다발성 경화증, 염증성 장 질환, 궤양성 결장염, 크론병, 건선, 이식편 대 숙주 질환, 내독소, 결핵, 아테롬성동맥경화증, 근육 변성, 악액질, 건선성 관절염, 라이터 증후군, 통풍, 외상성 관절염, 풍진성 관절염, 급성 활막염, 췌장 β-세포 질환에 의해 유발된 염증 반응; 광범성 호중구 침윤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류마티스 척추염, 통풍성 관절염 및 다른 관절염, 가와사키병,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신경병증 (CIDP), 피부근염, 포도막염, 항-인자-VIII 질환, 강직성 척추염, 중증 근무력증, 굿패스쳐병, 항인지질 증후군, ANCA-연관 혈관염, 피부근염/다발근염, 뇌 말라리아, 만성 폐 염증성 질환, 규폐증, 폐 사르코이드증, 골 재흡수 질환, 동종이식편 거부, 감염으로 인한 열 및 근육통, 감염에 대한 속발성 악액질, 골수 형성, 반흔 조직 형성, 궤양성 결장염, 발열, 인플루엔자, 골다공증, 골관절염, 급성 골수 백혈병, 만성 골수 백혈병, 전이성 흑색종, 카포시 육종, 다발성 골수종, 패혈증, 패혈성 쇼크, 및 시겔라증; 외상성 손상에 유발된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뇌 허혈 또는 신경변성 질환; 혈관신생 장애 예컨대 고형 종양, 안구 신생혈관화, 및 영아 혈관종; 바이러스성 질환 예컨대 급성 간염 감염 (A형 간염, B형 간염 및 C형 간염 포함), HIV 감염 및 CMV 망막염, AIDS, ARC 또는 악성종양, 및 포진; 졸중, 심근 허혈, 심장 발작에서 허혈, 기관 저산소증, 혈관 증식증, 심장 및 신장 재관류 손상, 혈전증, 심장 비대, 트롬빈-유발 혈소판 응집, 내독소혈증 및/또는 독성 쇼크 증후군, 프로스타글란딘 엔도퍼옥시다제 신다제-2와 연관된 상태, 및 심상성 천포창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치료 방법은 상태가 크론 및 궤양성 결장염, 동종이식편 거부,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 홍반성 루푸스, 건선, 강직성 척추염, 건선성 관절염, 및 심상성 천포창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치료 방법이다. 대안적으로 바람직한 치료 방법은 상태가 허혈 재관류 손상, 예컨대 졸중으로부터 유발되는 뇌 허혈 재관류 손상 및 심근경색으로부터 유발되는 심장 허혈 재관류 손상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치료 방법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치료 방법은 상태가 다발성 골수종인 치료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Btk 억제제는 유도성 프로-염증성 단백질 예컨대 시클로옥시게나제-2 (COX-2)로서 또한 지칭되는 프로스타글란딘 엔도퍼옥시드 신타제-2 (PGHS-2)의 발현을 억제한다. 따라서, 추가의 Btk-연관 상태는 부종, 무통각, 열 및 통증, 예컨대 신경근육 통증, 두통, 암에 의해 유발된 통증, 치통 및 관절염 통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수의학적 바이러스 감염, 예컨대 렌티바이러스 감염,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말 감염성 빈혈 바이러스; 또는 레트로 바이러스 감염, 예컨대 고양이 면역결핍 바이러스, 소 면역결핍 바이러스, 및 개 면역결핍 바이러스를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용어 "Btk-연관 상태" 또는 "Btk-연관 질환 또는 장애"가 본원에 사용되는 경우에, 각각은 상세하게 반복된 바와 같은 상기 확인된 모든 상태, 뿐만 아니라 Btk 키나제 활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임의의 다른 상태를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치료 유효량"은 Btk를 억제하기 위해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투여되는 경우에 효과적인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양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한 실시양태는 Btk 키나제-연관 상태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화학식 I의 적어도 1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Btk 키나제-연관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치료 유효량이 투여될 수 있다. 본 실시양태의 방법은 Btk 키나제-연관 상태를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알레르기성 장애 및/또는 자가면역 및/또는 염증성 질환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SLE, 류마티스 관절염, 다발성 혈관염, 특발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ITP), 중증 근무력증, 알레르기성 비염, 다발성 경화증 (MS), 이식 거부, 제I형 당뇨병, 막성 신염, 염증성 장 질환,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 자가면역 갑상선염, 한랭 및 온난 응집소 질환, 에반스 증후군, 용혈성 요독성 증후군/혈전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HUS/TTP), 사르코이드증, 쇼그렌 증후군, 말초 신경병증 (예를 들어, 길랑-바레 증후군), 심상성 천포창, 및 천식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Btk 키나제-연관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은 화학식 I의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서로 및/또는 이러한 상태를 치료하는데 유용한 다른 적합한 치료제와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적어도 1종의 화합물 및 이러한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다른 적합한 치료제가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치료 유효량"은 Btk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청구된 화합물의 조합의 양을 포함하는 것으로 또한 의도된다. 화합물의 조합은 바람직하게는 상승작용적 조합이다. 예를 들어, 문헌 [Chou et al., Adv. Enzyme Regul., 22:27-55 (1984)]에 기재된 바와 같은 상승작용은, 조합되어 투여되는 경우의 화합물의 효과 (이 경우에, Btk의 억제)가 단일 작용제로서 단독으로 투여되는 경우의 화합물의 상가 효과보다 더 큰 경우에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상승작용적 효과는 화합물의 준최적 농도에서 가장 명확하게 입증된다. 상승작용은 보다 낮은 세포독성, 증가된 항-Btk 효과, 또는 개별 성분과 비교되는 조합의 일부 다른 유익한 효과의 관점에서 존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이러한 다른 치료제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롤리프람, 칼포스틴, 시토카인-억제성 항염증 약물 (CSAID), 미국 특허 번호 4,200,750에 개시된 바와 같은 4-치환된 이미다조[1,2-A]퀴녹살린; 인터류킨-10,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살리실레이트, 산화질소, 및 다른 면역억제제; 핵 전위 억제제, 예컨대 데옥시스페르구알린 (DSG);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 (NSAID) 예컨대 이부프로펜; 셀레콕시브 및 로페콕시브; 스테로이드 예컨대 프레드니손 또는 덱사메타손; 항바이러스제 예컨대 아바카비르; 항증식제 예컨대 메토트렉세이트, 레플루노미드, FK506 (타크롤리무스, 프로그라프(PROGRAF)®); 세포독성 약물 예컨대 아자티오프린 및 시클로포스파미드; TNF-α 억제제 예컨대 테니답, 항-TNF 항체 또는 가용성 TNF 수용체, 및 라파마이신 (시롤리무스 또는 라파뮨(RAPAMUNE)®)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치료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과 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예를 들어, 문헌 [Physicians' Desk Reference (PDR)]에 나타내어지거나 또는 다르게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이러한 다른 치료제(들)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 전, 그와 동시, 또는 그 후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IL-1, IL-6, IL-8, IFNγ 및 TNF-α-매개 상태를 포함하는 Btk 키나제-연관 상태를 치료할 수 있는 제약 조성물을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다른 치료제를 함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약 제제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것들과 같은 기술에 따라, 통상의 고체 또는 액체 비히클 또는 희석제, 뿐만 아니라 목적하는 투여 방식에 적절한 유형의 제약 첨가제 (예를 들어, 부형제, 결합제, 보존제, 안정화제, 향미제 등)를 사용함으로써 제제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는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본 실시양태에서, 요법에서의 용도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치료 유효량의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알레르기성 장애 및/또는 자가면역 및/또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실시양태에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용도는 알레르기성 장애 및/또는 자가면역 및/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의 치료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치료 유효량의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암의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실시양태에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용도는 알레르기성 장애 및/또는 자가면역 및/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의 치료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치료 유효량의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1종 이상의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는 동물, 특히, 포유동물에의 생물학적 활성제의 전달을 위해 관련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매질을 지칭한다.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는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 범위 내에서 다수의 인자에 따라 제제화된다. 이들은 비제한적으로, 제제화되는 활성제의 유형 및 특성; 작용제-함유 조성물을 투여할 대상체; 조성물의 의도된 투여 경로; 및, 표적으로 하는 치료 적응증을 포함한다.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는 수성 및 비-수성 액체 매질 둘 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고체 및 반고체 투여 형태를 포함한다. 이러한 담체는 활성제에 더하여 다수의 상이한 성분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추가의 성분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공지된 다양한 이유로, 예를 들어, 활성제, 결합제 등의 안정화를 위해 제제에 포함된다. 적합한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및 그의 선택에 수반되는 인자에 대한 설명은 용이하게 이용가능한 다양한 출처 예컨대, 예를 들어,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7th Edition (1985)]에서 발견되고, 그 전문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치료할 상태에 적합한 임의의 수단에 의해 투여될 수 있고, 이는 부위-특이적 치료에 대한 필요성 또는 전달할 약물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른 전달 방식이 고려되지만, 국소 투여가 피부-관련 질환에 일반적으로 바람직하고, 암성 또는 전암성 상태를 위한 바람직한 전신 치료가 고려된다. 예를 들어, 화합물은 경구로, 예컨대 정제, 캡슐, 과립, 분말, 또는 시럽을 포함하는 액체 제제의 형태로; 국소적으로, 예컨대 용액, 현탁액, 겔 또는 연고의 형태로; 설하로; 협측으로; 비경구로, 예컨대, 피하, 정맥내, 근육내 또는 흉골내 주사 또는 주입 기술 (예를 들어, 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비-수성 용액 또는 현탁액)에 의해; 비강내로 예컨대 흡입 스프레이에 의해; 국소적으로, 예컨대, 크림 또는 연고의 형태로; 직장으로 예컨대 좌제 형태로; 또는 리포좀형으로 전달될 수 있다. 비-독성, 제약상 허용되는 비히클 또는 희석제를 함유하는 투여 단위 제제가 투여될 수 있다. 화합물은 즉시 방출 또는 연장 방출에 적합한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즉시 방출 또는 연장 방출은 적합한 제약 조성물을 사용하여 달성되거나, 또는 특히 연장 방출의 경우에, 피하 이식물 또는 삼투 펌프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국소 투여를 위한 예시적인 조성물은 국소 담체 예컨대 플라스티베이스(Plastibase) (폴리에틸렌으로 겔화된 미네랄 오일)를 포함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예시적인 조성물은, 예를 들어, 벌크를 부여하기 위한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현탁화제로서의 알긴산 또는 알긴산나트륨, 점도 증진제로서의 메틸셀룰로스, 및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들과 같은 감미제 또는 향미제를 함유할 수 있는 현탁액; 및 예를 들어,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인산이칼슘, 전분,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및/또는 락토스 및/또는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들과 같은 다른 부형제, 결합제, 증량제, 붕해제, 희석제 및 윤활제를 함유할 수 있는 즉시 방출 정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예를 들어, 성형, 압축, 또는 동결-건조된 정제로의 설하 및/또는 협측 투여에 의해 경구로 전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조성물은 신속-용해 희석제 예컨대 만니톨, 락토스, 수크로스, 및/또는 시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분자량 부형제 예컨대 셀룰로스 (아비셀(AVICEL)®)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점막 부착을 보조하기 위한 부형제 예컨대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HPC),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스 (HPMC),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SCMC), 및/또는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예를 들어, 간트레즈(Gantrez)); 및 방출을 제어하기 위한 작용제 예컨대 폴리아크릴산 공중합체 (예를 들어, 카르보폴(Carbopol) 934)이 이러한 제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윤활제, 활택제, 향미제, 착색제 및 안정화제가 또한 제조 및 사용의 용이성을 위해 첨가될 수 있다.
비강 에어로졸 또는 흡입 투여를 위한 예시적인 조성물은, 예를 들어, 벤질 알콜 또는 다른 적합한 보존제, 흡수 및/또는 생체이용률을 증진시키기 위한 흡수 촉진제, 및/또는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들과 같은 다른 가용화제 또는 분산제를 함유할 수 있는 용액을 포함한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예시적인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적합한 비-독성, 비경구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용매, 예컨대 만니톨, 1,3-부탄디올, 물, 링거액,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 또는 다른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화제, 예컨대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리드, 및 지방산, 예컨대 올레산을 함유할 수 있는 주사액 또는 현탁액을 포함한다.
직장 투여를 위한 예시적인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적합한 비-자극성 부형제, 예컨대 코코아 버터, 합성 글리세리드 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함유할 수 있는, 상온에서는 고체이지만 직장강에서 액화 및/또는 용해되어 약물을 방출하는 좌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치료 유효량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포유동물에 대해 1일에 약 0.05 내지 1000 mg/kg; 1-1000 mg/kg; 1-50 mg/kg; 5-250 mg/kg; 250-1000 mg/kg 체중의 활성 화합물의 예시적인 투여량을 포함하고, 이는 단일 용량으로 또는 개별의 분할 용량의 형태로, 예컨대 1일에 1 내지 4회 투여될 수 있다. 임의의 특정한 대상체에 대한 구체적인 용량 수준 및 투여 빈도는 달라질 수 있으며, 사용되는 구체적 화합물의 활성, 그 화합물의 대사 안정성 및 작용 길이, 대상체의 종, 연령, 체중, 전반적 건강, 성별 및 식이, 투여 방식 및 시간, 배설 속도, 약물 조합, 및 특정한 상태의 중증도를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달라질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치료를 위한 바람직한 대상체는 동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종 예컨대 인간, 및 가축 예컨대 개, 고양이, 말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용어 "환자"가 본원에 사용된 경우에, 이 용어는 Btk 효소 수준의 매개에 의해 영향을 받는 모든 대상체, 가장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종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하기 "실시예" 섹션에 명시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예를 하기 기재된 검정 중 하나 이상에서 시험하였다.
화학식 I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인간 재조합 Btk 효소 검정에 의해 측정 시 6 nM 이하, 예를 들어, 0.001 내지 6 nM의 IC50 값으로 Btk 효소를 억제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은 2 nM 이하, 예를 들어, 0.001 내지 2 nM의 IC50 값으로 Btk 효소를 억제한다. 다른 바람직한 화합물은 1.0 nM 이하, 예를 들어, 0.001 내지 1.0 nM의 IC50 값으로 Btk 효소를 억제한다.
화학식 I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Jak2 티로신 키나제 검정에 의해 측정 시 50 nM 초과, 예를 들어, 250 nM 초과의 IC50 값으로 Jak2 키나제의 감소된 억제를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은 400 nM 초과의 IC50 값, 예를 들어, 700 nM 초과의 IC50 값으로 Jak2 효소를 억제한다.
화학식 I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150 이상, 예를 들어, 300 이상의 비의, 인간 재조합 Btk 효소 검정에 의해 측정된 Btk IC50 억제 값에 대한 Jak2 티로신 키나제 검정에 의해 측정된 Jak2 IC50 억제 값의 비를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은 400 이상, 예를 들어, 500 이상의 비의 Btk IC50 억제 값에 대한 Jak2 IC50 억제 값의 비를 갖는다.
화학식 I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250 nM 이하, 예를 들어, 0.1 내지 250 nM의 IC50 값으로 전혈 BCR-자극된 CD69 발현 검정에서 개선된 효력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은 160 nM 이하, 예를 들어, 0.1 내지 160 nM의 IC50 값; 및 100 nM 이하, 예를 들어, 0.1 내지 100 nM의 IC50 값으로 전혈 BCR-자극된 CD69 발현 검정에서 효력을 갖는다.
제조 방법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반응식 1에 제시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치환된 카르바졸카르복스아미드 1 (여기서 Y는 적절한 기 예컨대 Br, Cl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옥시; 바람직하게는 Br임)를 화학 문헌 (예를 들어, 문헌 [Ishiyama, T. et al., Tetrahedron, 57:9813 (2001)], 및 그에 인용된 문헌 참조)에 널리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상응하는 보로네이트 에스테르 2 (R' = 알킬, 또는 2개의 R' 기는 함께 고리 예컨대 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 또는 5,5-디메틸-1,3,2-디옥사보리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예는 염기 예컨대 아세트산칼륨 및 적합한 촉매 예컨대 적합한 용매 중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염화팔라듐 (II)의 존재 하에 1과 4,4,4',4',5,5,5',5'-옥타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또는 5,5,5',5'-테트라메틸-2,2'-비(1,3,2-디옥사보리난)의 반응이다.
화합물 2를 적절한 화합물 3 (여기서 Y'는 적절한 기 예컨대 Br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옥시, 바람직하게는 Br임)과의 반응에 의해 Z가 치환된 모노시클릭 또는 융합된 비시클릭 헤테로시클릭 고리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치환기 Q)를 나타내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4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 전환을 적합한 염기 예컨대 탄산칼륨, 탄산세슘 또는 인산삼칼륨, 및 적합한 촉매 예컨대 테트라키스 (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염화팔라듐 (II) 또는 1,1'-비스(디-tert-부틸포스피노)페로센 염화팔라듐(II)을 적합한 용매 예컨대 디옥산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 임의로 적합한 공용매 예컨대 물과 함께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커플링 반응은 통상적으로 스즈키-미야우라 커플링 반응으로서 공지되어 있고, 화학 문헌 (예를 들어, 문헌 [Heravi, M.M., Tetrahedron, 68:9145 (2012)], 및 그에 인용된 문헌 참조)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16006369948-pct00033
반응식 1에서 a 및 b로 표지된 단일 결합에 의해 연결된 방향족 고리의 비-대칭 성질로 인해, 및 입체 장애에 의해 야기된 이들 결합에 대한 제한된 회전으로 인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회전장애이성질현상으로서 공지된 키랄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특정 조건, 예컨대 키랄 고정상 상의 크로마토그래피 하에, 2개의 키랄 결합으로 인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는 크로마토그램에서 4개의 개별 피크로서 관찰될 수 있다. 결합 b에 대한 장애 회전은 통상의 실온에서 안정한 상이한 화합물로서의 분리된 회전장애이성질체의 단리가 충분히 허용되도록 느린 속도로 발생한다. 그러나, 결합 a에 대한 장애 회전은, 분리된 경우에, 이들 회전장애이성질체가 실온에서 신속하게 상호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속도로 발생할 수 있고, 결합 a에 대한 분리된 회전장애이성질체는 개별 안정한 화합물로서 저장가능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안정한 쌍으로서 단리될 수 있으며, 여기서 1개의 쌍은 결합 b에 대해 (R) 배위를 갖지만 결합 a에 대해 (R) 및 (S) 배위의 혼합물이고, 다른 쌍은 결합 b에 대해 (S) 배위를 갖지만 결합 a에 대해 (R) 및 (S) 배위의 혼합물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 4를 결합 b에 대해 단일 절대 배위 (제시된, 또는 반대 절대 배위 중 하나)를 갖지만 결합 a에 대해 2개의 상호교환하는 절대 배위의 혼합물인 부분입체이성질체 4a의 쌍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분리를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 예컨대 키랄 고정상 상의 정제용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부분입체이성질체의 배위적으로 안정한 쌍인 화학식 I의 화합물 4a는 상기 기재된 스즈키-미야우라 커플링 반응을 통해 그러나 (제시된 절대 배위의, 또는 반대 절대 배위의) 단일 거울상이성질체 3a를 사용하여 3a 또는 4a의 라세미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스즈키-미야우라 커플링의 조건 하인 한 화합물 2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4를 또한 반응식 2에 제시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Z가 치환된 모노시클릭 또는 융합된 비시클릭 헤테로시클릭 고리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치환기 Q)를 나타내는 것인 치환된 보론산 에스테르 5를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스즈키-미야우라 커플링 반응의 조건 하에 치환된 카르바졸카르복스아미드 (여기서 Y는 적절한 기 예컨대 Br, Cl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옥시, 바람직하게는 Br임)와 반응시켜 화학식 I의 화합물 4를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수득할 수 있다. 임의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이러한 화합물을 결합 b에 대해 단일 절대 배위 (제시된, 또는 반대 절대 배위) 및 결합 a에 대해 절대 배위의 혼합물을 갖는 상호전환하는 부분입체이성질체 4a의 쌍으로 분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화합물 5를 단일 거울상이성질체 5a로 분리하고, 5a의 라세미화를 유발하지 않을 조건 하에 스즈키-미야우라 커플링 반응에서 화합물 1과 반응시켜 화학식 I의 화합물 4a를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112016006369948-pct00034
화학식 I의 특정 화합물 7의 합성을 위한 대안적 방법은 반응식 3에 제시되어 있다. 적합하게 치환된 4-아릴이미노-1H-벤조[d][1,3]옥사진-2(4H)-온 6을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스즈키-미야우라 커플링 반응의 조건 하에 보론산 에스테르 2와 반응시켜 화학식 I의 화합물 7을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수득할 수 있다. 반응의 과정 동안, 6에 존재하는 4-아릴이미노-1H-벤조[d][1,3] 옥사진-2(4H)-온 모이어티는 반응 생성물 7에 존재하는 3-아릴퀴나졸린-2,4(1H,3H)-디온 모이어티로 재배열한다.
<반응식 3>
Figure 112016006369948-pct00035
화학식 I의 특정 화합물 9의 합성을 위한 대안적 방법은 반응식 4에 제시되어 있다.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또는 2종의 상호교환하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 8을 적합한 용매 예컨대 DMF 또는 THF 중에 적합한 염기 예컨대 탄산세슘 또는 탄산칼륨의 존재 하에 알킬화제 예컨대 아이오도메탄 또는 트리듀테로아이오도메탄으로 처리하여, Ra가 사용된 알킬화제로부터 유도된 알킬 기인 화학식 I의 화합물 9를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4>
Figure 112016006369948-pct00036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에 사용된 중간체 화합물 1을 화학 문헌,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8,084,620에 공지된 방법, 및 반응식 5에 제시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둘 다 화학 문헌에 널리 공지된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된 것인 적절히 치환된 시클로헥사논 10 및 2-히드라지닐벤조산 11 또는 11의 적합한 염 예컨대 염산 염 (여기서 Y는 적합한 기 예컨대 Br, Cl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옥시, 바람직하게는 Br임)을 적합한 용매와 적절한 촉매, 예를 들어 에탄올과 염산, 톨루엔과 p-톨루엔술폰산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또는 아세트산 (이 경우에 용매는 또한 촉매로서 작용할 수 있음) 중에, 적합한 온도에서 반응시켜 상응하는 테트라히드로카르바졸 유도체 12를 수득할 수 있다. 이 반응은 통상적으로 피셔 인돌 합성으로서 공지되어 있고, 화학 문헌 (예를 들어, 문헌 [Kamata, J. et al., Chem. Pharm. Bull., 52:1071 (2004)] 참조)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피셔 인돌 합성은 2개의 연속적 단계로 수행할 수 있다: 10을 적합한 조건 (예컨대 적절한 용매 예컨대 에탄올 또는 톨루엔, 임의로 적합한 촉매 예컨대 p-톨루엔술폰산과 함께) 하에 11과 반응시켜 중간체 히드라존을 형성할 수 있고, 이를 단리시킨 다음, 추가로 적합한 조건 (예를 들어, 에탄올과 염산, 아세트산과 염화아연, 또는 톨루엔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하에 반응시켜 12를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5>
Figure 112016006369948-pct00037
카르복실산 12를 화학 문헌에 널리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옥살릴 클로라이드 또는 티오닐 클로라이드로의 처리에 이어서 암모니아로의 처리에 의한; 또는 커플링 시약 예컨대 카르보디이미드 또는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또는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의 존재 하에 암모니아로의 12의 처리에 의한 산 클로라이드로의 12의 전환에 의해 카르복스아미드 13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카르바졸 14로의 테트라히드로카르바졸 13의 전환을 화학 문헌에 널리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적합한 용매 중에 산화제 예컨대 2,3-디클로로-5,6-디시아노벤조퀴논으로의 13의 처리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화합물 1의 치환기 R1로의 14의 에톡시카르보닐 기의 전환을 화학 문헌에 널리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틸리튬 또는 메틸마그네슘 클로라이드와 같은 시약으로의 14의 처리로 R1이 2-히드록시-2-메틸에틸 기인 화합물 1을 수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수소화알루미늄리튬과 같은 환원제로의 14의 처리로 R1이 히드록시메틸인 화합물 1을 수득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R1 기를 또한 추가로 조작하여 여전히 다른 R1 기를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1이 히드록시메틸인 화합물 1을 티오닐 클로라이드로의 처리에 이어서 R1이 클로로메틸인 중간체 화합물 1의 메탄올로의 처리에 의해 R1이 메톡시메틸인 화합물 1로 전환시킬 수 있다. 추가의 예는 화학 문헌,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8,084,620에 보고된 바와 같이 공지되어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4의 제조에 사용된 중간체 화합물 3 및 5를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들 방법 중 일부는 반응식 6에 제시되어 있다. 이사토산 무수물 15를 치환된 아닐린 16과 반응시켜 아미드 17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을 다양한 조건 하에, 예를 들어 적합한 용매 중에 가열함으로써, 또는 보조 시약 예컨대 트리메틸알루미늄의 존재 하에 가열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화합물 17을, 예를 들어 적합한 용매 중에 포스겐 또는 트리포스겐으로의 처리에 의해 치환된 퀴나졸린디온 18 (이는 반응식 1의 화합물 3의 예임)로 전환시킬 수 있다. 임의로, 화합물 18을 2로의 1의 전환에 대해 상기 기재된 방법 (상기 반응식 1의 논의 참조)을 사용하여 상응하는 보로네이트 에스테르 19 (이는 반응식 2의 화합물 5의 예임)로 전환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화합물 18을 화학 문헌에 널리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적합한 염기 예컨대 탄산세슘의 존재 하에 알킬화제 예컨대 아이오도메탄으로의 처리에 의해 Ra가 알킬 기인 화합물 20 (반응식 1의 화합물 3의 예)으로 임의로 전환시킬 수 있다.
<반응식 6>
Figure 112016006369948-pct00038
화합물 20을 상기 기재된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상응하는 보로네이트 에스테르 21 (이는 반응식 2의 화합물 5의 예임)로 임의로 전환시킬 수 있다. 화합물 19를 또한 20으로의 18의 전환에 대해 기재된 것들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상응하는 화합물 21로 임의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퀴나졸린디온 중간체 18, 19, 20, 및 21은 b로 표지된 결합에 대한 장애 회전으로 인해 키랄성을 나타낸다. 요망되는 경우에, 이들 중간체를, 예를 들어 키랄 고정상 상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개별 거울상이성질체성 회전장애이성질체로 분해할 수 있다. 이어서 분리된 거울상이성질체를 상기 기재된 (19로의 18의, 20으로의 18의, 21로의 19의, 또는 21로의 20의) 전환을 임의로 수행하여 반응식 1의 화합물 3a 또는 반응식 2의 5a의 특정 예를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3의 중간체 화합물 6을 반응식 7에 제시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Ra가 알킬 기인 N-치환된 이사토산 무수물 22를 치환된 아닐린 16과 반응시켜 아미드 23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을 다양한 조건 하에, 예를 들어 적합한 용매 중에 가열함으로써, 또는 보조 시약 예컨대 트리메틸알루미늄의 존재 하에 가열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화합물 23을, 예를 들어 적합한 용매 중에 포스겐 또는 트리포스겐으로의 처리에 의해 치환된 아릴이미노벤족사지논 6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반응식 7>
Figure 112016006369948-pct00039
본 발명의 화합물 4의 제조에 사용된, 화합물 3 및 5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일부 추가의 방법은 반응식 8에 제시되어 있다. 치환된 피리딜-2-아세트산 24 또는 치환된 피리딜-2-아세트산의 염 예컨대 나트륨 염 (이는 통상적으로 입수가능하거나 또는 문헌에 널리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음)을 화학 문헌에 널리 공지된 다양한 방법 하에 아닐린 16과 반응시켜 아미드 25를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을 커플링 시약 예컨대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ATU), 또는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EDC) 및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수화물 (HOBT)의 혼합물의 존재 하에 수행할 수 있다. 아미드 25를 적절한 용매 예컨대 톨루엔 중에 카르보닐디이미다졸과 같은 시약과 가열함으로써 상응하는 치환된 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 26 (이는 반응식 1의 중간체 화합물 3의 예임)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반응식 8>
Figure 112016006369948-pct00040
중간체 26을 2로의 1의 전환에 대해 상기 기재된 방법 (상기 반응식 1의 논의 참조)을 사용하여 상응하는 보로네이트 에스테르 27 (이는 반응식 2의 중간체 화합물 5의 예임)로 임의로 전환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화합물 25를 상기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상응하는 보로네이트 에스테르 28로 전환시키고, 이어서 카르보닐디이미다졸과 같은 시약과 가열함으로써 28을 27로 전환시킬 수 있다.
반응식 8에서, 제시된 구조에서 피리딜 고리를 또한 또 다른 질소 헤테로사이클, 예컨대 티아졸로 대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구조 26 및 28의 상응하는 화합물은 5H-티아졸로[3,2-c]피리미딘-5,7(6H)-디온 모이어티를 제시된 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 모이어티 대신 함유할 것이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 화합물 26 및 27은 b로 표지된 결합에 대한 장애 회전으로 인해 키랄성을 나타낸다. 요망되는 경우에, 이들 중간체를, 예를 들어 키랄 고정상 상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개별 거울상이성질체로 분해하여 반응식 1의 중간체 화합물 3a 또는 반응식 2의 5a의 특정 예를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9>
Figure 112016006369948-pct00041
반응식 9는 반응식 2의 특정 중간체 화합물 5를 제조하는 또 다른 방법을 예시한다. 반응식 8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 아미드 25를, 적합한 용매 하에 플루오린화제 예컨대 1-(클로로메틸)-4-플루오로-1,4-디아조니아비시클로[2.2.2] 옥탄 비스(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셀렉트플루오르(SELECTFLUOR)®]로 처리하여 플루오로-치환된 아미드 29를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이 화합물을 반응식 8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플루오린화 보로네이트 에스테르 30으로 전환시키고, 후속적으로 중간체 31 (이는 반응식 2의 중간체 화합물 5의 예임)로 전환시킬 수 있다.
<반응식 10>
Figure 112016006369948-pct00042
Z가 치환된 피리미딘-1,3-디온 모이어티를 나타내는 것인 반응식 1의 화합물 3의 제조를 반응식 10에 제시된 방법을 사용하고, 이어서 카오, 제이.(Cao, J.) 등 (Synthetic Commun., 39:205 (2009))에 의해 보고된 일반적 절차에 따라 달성할 수 있다. p-메톡시벤질아민, 메틸 아크릴레이트 및 페닐 하이포브로모셀레노이트를 합함으로써 화합물 32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물질을 아닐린 16 (반응식 6 참조)으로부터 적절한 아릴 이소시아네이트 33 (이는 화학 문헌에 널리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음)과 반응시켜 치환된 디히드로피리미딘-1,3-디온 34를 수득할 수 있다. 과산화수소와 같은 산화제로의 이 화합물의 처리로 치환된 피리미딘-1,3-디온 34를 수득할 수 있다. p-메톡시벤질 기의 제거를 화학 문헌에 보고된 다수의 방법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의 혼합물로의 처리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문헌 [Wu, F. et al., J. Org. Chem., 69:9307 (2004)]에 보고됨). 생성된 피리미딘-1,3-디온 35를 야콥센, 엠.에프.(Jacobsen, M.F.) 등 (J. Org. Chem., 71:9183 (2006))에 의해 기재된 조건을 사용하여 아릴 보론산과 반응시켜 반응식 1의 중간체 화합물 3의 예인 36을 수득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에 사용된 중간체의 제조는 하기 실시예 및 관련 절차에 제시된 절차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방법 및 조건, 및 이들 실시예에서 제조되는 실제 화합물은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화합물이 어떻게 제조될 수 있는지를 입증하기 위해 의도된다. 이들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출발 물질 및 시약은, 본원에 기재된 절차에 의해 제조되지 않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거나, 또는 화학 문헌에 보고되어 있거나, 또는 화학 문헌에 기재된 절차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서 추가로 정의된다. 실시예가 단지 예시의 방식으로 주어지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논의 및 실시예로부터,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필수적인 특징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다양한 용도 및 조건에 적합하도록 다양하게 변화 및 변형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하기 본원에 기재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본원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주어진 실시예에서, 어구 "건조시키고, 농축시킴"은 일반적으로 황산나트륨 또는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유기 용매 중에 용액을 건조시키고, 이어서 여과하고, 여과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것 (일반적으로 감압 하에 및 제조되는 물질의 안정성에 적합한 온도에서)을 지칭한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일반적으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기술 (Still, W.C. et al., J. Org. Chem., 43:2923 (1978))을 사용하거나, 또는 이스코(Isco) 중압 크로마토그래피 장치 (텔레다인 코포레이션(Teledyne Corporation))를 사용하고, 나타내어진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로 용리시키는 사전-패킹된 실리카 겔 카트리지로 수행하였다. 정제용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는 분리될 물질의 양에 적절한 크키의 역상 칼럼 (워터스 선파이어(Waters SunFire) C18, 워터스 엑스브리지(Waters XBridge) C18, 페노메넥스(PHENOMENEX)® 악시아(Axia) C18, YMC S5 ODS 등)을 사용하여, 달성될 칼럼 크기 및 분리에 적합한 용리 속도에서 0.05% 또는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또는 10 mM 아세트산암모늄을 또한 함유하는 물 중 메탄올 또는 아세토니트릴의 증가하는 농도의 구배로 일반적으로 용리시키면서 수행하였다.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쌍의 키랄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를 개별 경우에 대해 기재된 조건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데이터를 전기분무 이온화를 사용하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광분석법에 의해 수득하였다.
단결정 X선 회절 데이터를 브루커(Bruker)-AXS APEX2 CCD 시스템 상에서 Cu Kα 방사선 (λ = 1.5418 Å)을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측정된 강도 데이터의 색인화 및 처리는 APEX2 소프트웨어 패키지/프로그램 모음 (참조: APEX2 사용자 매뉴얼, v1.27; 브루커 AXS, 인크.(Bruker AXS, Inc.), 미국 53711 위스콘신주)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지시되는 경우에, 데이터 수집 동안 옥스포드 크리오시스템즈(Oxford Cryosystems) 크리오스트림 냉각기 (Cosier, J. et al., J. Appl. Cryst., 19:105 (1986))의 냉각 스트림 중에서 결정을 냉각시켰다. 구조를 직접 방법에 의해 해석하고, 결정학적 패키지 SHELXTL (참조: APEX2 사용자 매뉴얼, v1.27; 브루커 AXS, 인크., 미국 53711 위스콘신주)을 사용하여 관찰된 반사에 기초하여 정밀화하였다. 유도된 원자 파라미터 (좌표 및 온도 인자)를 전체 행렬 최소-제곱을 통해 정밀화하였다. 정밀화에서 최소화된 함수는 Σw(|Fo| - |Fc|)2였다. R은 Σ||Fo| - |Fc||/Σ|Fo|로서 정의되는 한편 Rw = [Σw(|Fo| - |Fc|)2/Σw|Fo|2]1/2이며, 여기서 w는 관찰된 강도의 오차를 기준으로 하는 적절한 가중 함수이다. 모든 정밀화 단계에서 차등 맵을 검사하였다. 수소를 등방성 온도 인자를 갖는 이상적 위치에 도입하였지만, 수소 파라미터는 달라지지 않았다. 단위 셀 파라미터는 문헌 [Stout et al., X-Ray Structure Determination: A Practical Guide, MacMillan (1968)]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수득하였다.
화학 명칭은 켐드로우(ChemDraw)® 울트라, 버전 9.0.5 (캠브리지소프트(CambridgeSoft)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하기 약어가 사용된다:
약어
CDI 카르보닐디이미다졸
DCM 디클로로메탄
DIEA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MF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디메틸 술폭시드
dppf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DSC 시차 주사 열량측정
DTT 디티오트레이톨
EDC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EDTA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
EtOAc 에틸 아세테이트
EtOH 에탄올
g 그램
h 시간
HATU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OBT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수화물
HPLC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IPA 이소프로판올
Me 메틸
MeCN 아세토니트릴
MeOH 메탄올
min 분
mmol 밀리몰
t-부틸 3급 부틸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HF 테트라히드로푸란
중간체 1
3-(3-브로모-2-메틸페닐)-8-플루오로퀴나졸린-2,4(1H,3H)-디온
Figure 112016006369948-pct00043
중간체 1A: 2-아미노-N-(3-브로모-2-메틸페닐)-3-플루오로벤즈아미드
Figure 112016006369948-pct00044
밀봉된 반응 바이알에 들은 디옥산 (20 mL) 중 8-플루오로-1H-벤조[d][1,3]옥사진-2,4-디온 (2.00 g, 11.0 mmol) 및 3-브로모-2-메틸아닐린 (4.11 g, 22.1 mmol)의 용액을 110℃에서 4일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된 혼합물을 10% 수성 K2CO3으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DCM으로 3회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테르로 연화처리하여 회색 고체 (2.50 g)를 수득하였다. 모액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다시 에테르로 연화처리하여 회색 고체 (230 mg)를 수득하였다. 2종의 고체를 합하여 2-아미노-N-(3-브로모-2-메틸페닐)-3-플루오로벤즈아미드를 회색 고체 (2.73 g, 78%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23, 325 (M+H)+.
대안적 방법:
크실렌 (50 mL) 중 8-플루오로-1H-벤조[d][1,3]옥사진-2,4-디온 (3.00 g, 16.6 mmol)의 현탁액을 3-브로모-2-메틸아닐린 (3.08 g, 16.6 mmol)으로 처리하고, 환류 하에 가열하였다. 6시간 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밤새 냉각되도록 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헥산으로 희석하고,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헥산으로 헹구고, 공기-건조시켜 2-아미노-N-(3-브로모-2-메틸페닐)-3-플루오로벤즈아미드를 백색 고체 (4.50 g, 84%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23, 325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045
중간체 1:
THF (100 mL) 중 2-아미노-N-(3-브로모-2-메틸페닐)-3-플루오로벤즈아미드 (5.70 g, 17.6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비스(트리클로로메틸)카르보네이트 (트리포스겐) (6.28 g, 21.2 mmol)로 처리하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NaHCO3으로 조심스럽게 처리하고, 기체 발생이 중지될 때까지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분리된 유기 상을 포화 수성 NaHCO3, 물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테르로 연화처리하여 3-(3-브로모-2-메틸페닐)-8-플루오로퀴나졸린-2,4(1H,3H)-디온을 회백색 고체 (6 g, 97%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49, 351 (M+H)+.
중간체 2
8-플루오로-1-메틸-3-(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퀴나졸린-2,4(1H,3H)-디온
Figure 112016006369948-pct00046
중간체 2A: 3-(3-브로모-2-메틸페닐)-8-플루오로-1-메틸퀴나졸린-2,4(1H,3H)-디온
Figure 112016006369948-pct00047
DMF (25 mL) 중 3-(3-브로모-2-메틸페닐)-8-플루오로퀴나졸린-2,4(1H,3H)-디온 (4.80 g, 13.8 mmol)의 용액을 Cs2CO3 (13.44 g, 41.2 mmol)으로 처리하였다. 현탁액을 실온에서 교반하고, 아이오도메탄 (4.30 mL, 68.7 mmol)으로 적가 처리 (그러나 신속하게)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신속하게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 및 물 (200 mL)로 희석하였다. 유기 상을 분리하고, 물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3-(3-브로모-2-메틸페닐)-8-플루오로-1-메틸퀴나졸린-2,4(1H,3H)-디온을 황갈색 유리질 고체 (4.80 g, 96%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63, 365 (M+H)+.
중간체 2:
디옥산 (65 mL) 중 3-(3-브로모-2-메틸페닐)-8-플루오로-1-메틸퀴나졸린-2,4(1H,3H)-디온 (4.8 g, 13.2 mmol), 4,4,4',4',5,5,5',5'-옥타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4.36 g, 17.2 mmol), 아세트산칼륨 (3.89 g, 39.6 mmol) 및 PdCl2(dppf) DCM 부가물 (0.540 g, 0.661 mmol)의 혼합물을 환류 하에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셀라이트(CELITE)®를 통해 여과하고, 고체를 EtOAc로 헹구었다. 여과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에 실리카 겔 (80 g) 상에서 EtOAc-헥산 (20-50%로부터의 구배)으로 용리시키면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8-플루오로-1-메틸-3-(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 퀴나졸린-2,4(1H,3H)-디온을 백색 고체 (4.61 g, 85%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411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048
중간체 3 및 3A
8-플루오로-1-메틸-3-(S)-(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 페닐)퀴나졸린-2,4(1H,3H)-디온, 및
8-플루오로-1-메틸-3-(R)-(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퀴나졸린-2,4(1H,3H)-디온
Figure 112016006369948-pct00049
라세미 8-플루오로-1-메틸-3-(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퀴나졸린-2,4(1H,3H)-디온 [중간체 2]의 샘플을 다음과 같은 키랄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하였다: 칼럼: (R,R)-웰크-O(WHELK-O)® 1 (5 x 50 cm, 10 μm); 이동상: 290 mL/분, 100 bar, 40℃에서 CO2-MeOH (76:24); 샘플 제조: DCM-IPA (6:4) 중 100 mg/mL; 주입: 10.0 mL. 칼럼으로부터 용리시킨 제1 피크로 (S) 이성질체, 8-플루오로-1-메틸-3-(S)-(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퀴나졸린-2,4(1H,3H)-디온 [중간체 3]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411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050
칼럼으로부터 용리시킨 제2 피크로 (R) 이성질체, 8-플루오로-1-메틸-3-(R)-(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 퀴나졸린-2,4(1H,3H)-디온 [중간체 3A]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411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051
중간체 4
7-(2-히드록시프로판-2-일)-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6006369948-pct00052
디옥산 (30 mL) 중 혼합물 4-브로모-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미국 특허 번호 8,084,620, 중간체 73-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됨] (3.00 g, 8.64 mmol), 4,4,4',4',5,5,5',5'-옥타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2.19 g, 8.64 mmol) 및 아세트산칼륨 (2.12 g, 21.6 mmol)을 질소로 5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PdCl2(dppf) DCM 부가물 (0.353 g, 0.432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질소로 추가로 5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반응 용기를 밀봉하고, 9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냉각된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하고, 물로 2회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40 g + 12 g 스태킹된 칼럼)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EtOAc-헥산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7-(2-히드록시프로판-2-일)-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를 담황색 고체 (2.79 g, 82%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77 (M+H-H2O)+.
중간체 5
3-(3-브로모-2-메틸페닐)-8-플루오로-1-메틸(d3)퀴나졸린-2,4(1H,3H)-디온
Figure 112016006369948-pct00053
DMF (2.25 mL) 중 3-(3-브로모-2-메틸페닐)-8-플루오로퀴나졸린-2,4(1H,3H)-디온 [중간체 1] (203 mg, 0.581 mmol) 및 Cs2CO3 (379 mg, 1.16 mmol)의 혼합물을 아이오도메탄-d3 (0.054 mL, 0.872 mmol)으로 처리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 (약 20 mL)로 희석하고, 생성된 물질을 연화처리하고, 실온에서 교반하여 현탁된 고체를 형성하였다.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3-(3-브로모-2-메틸페닐)-8-플루오로-1-메틸(d3)퀴나졸린-2,4(1H,3H)-디온을 회백색 고체 (189.5 mg, 90%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66, 368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054
중간체 6
3-(3-브로모-2-메틸페닐)-8-메톡시-1-메틸퀴나졸린-2,4(1H,3H)-디온
Figure 112016006369948-pct00055
중간체 6A: 2-아미노-N-(3-브로모-2-메틸페닐)-3-메톡시벤즈아미드
Figure 112016006369948-pct00056
톨루엔 (20 mL) 중 3-브로모-2-메틸아닐린 (482 mg, 2.59 mmol) 및 8-메톡시-1H-벤조[d][1,3]옥사진-2,4-디온 (500 mg, 2.59 mmol)의 혼합물을 톨루엔 중 2 M 트리메틸알루미늄 (3.24 mL, 6.47 mmol)으로 0℃에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7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1 M 수성 HCl로 처리하고, EtOAc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포화 수성 NaHCO3 및 물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에 실리카 겔 (40 g) 상에서 EtOAc-헥산 (0-100%로부터의 구배)으로 용리시키면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2-아미노-N-(3-브로모-2-메틸페닐)-3-메톡시벤즈아미드를 백색 고체 (302 mg, 35%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35, 337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057
중간체 6B: 3-(3-브로모-2-메틸페닐)-8-메톡시퀴나졸린-2,4(1H,3H)-디온
Figure 112016006369948-pct00058
THF (20 mL) 중 2-아미노-N-(3-브로모-2-메틸페닐)-3-메톡시벤즈아미드 (302 mg, 0.901 mmol) 및 트리포스겐 (321 mg, 1.08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포화 수성 NaHCO3으로 조심스럽게 처리하고, 기체 발생이 중단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DCM으로 2회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3-(3-브로모-2-메틸페닐)-8-메톡시퀴나졸린-2,4(1H,3H)-디온 (339 mg)을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61, 363 (M+H)+.
중간체 6: 3-(3-브로모-2-메틸페닐)-8-메톡시-1-메틸퀴나졸린-2,4(1H,3H)-디온
THF (20 mL) 중 3-(3-브로모-2-메틸페닐)-8-메톡시퀴나졸린-2,4(1H,3H)-디온 (535 mg, 1.48 mmol), 아이오도메탄 (0.185 mL, 2.96 mmol) 및 Cs2CO3 (965 mg, 2.96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에 용해시키고, 포화 수성 NaHCO3 및 물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에 실리카 겔 (40 g) 상에서 EtOAc-헥산 (0-100%로부터의 구배)으로 용리시키면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3-(3-브로모-2-메틸페닐)-8-메톡시-1-메틸퀴나졸린-2,4(1H,3H)-디온 (442 mg)을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75, 377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059
중간체 7
3-(3-브로모-2-메틸페닐)-6-플루오로-1-메틸퀴나졸린-2,4(1H,3H)-디온
Figure 112016006369948-pct00060
중간체 7A: 2-아미노-N-(3-브로모-2-메틸페닐)-5-플루오로벤즈아미드
Figure 112016006369948-pct00061
톨루엔 (40 mL) 중 3-브로모-2-메틸아닐린 (1.50 g, 8.06 mmol) 및 6-플루오로-1H-벤조[d][1,3]옥사진-2,4-디온 (1.46 g, 8.06 mmol)의 혼합물을 빙수조 상에서 냉각시키고, 톨루엔 중 2 M 트리메틸알루미늄 (10.1 mL, 20.2 mmol)으로 조금씩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7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1 M 수성 HCl로 조심스럽게 처리하고, EtOAc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포화 수성 NaHCO3 및 물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에 실리카 겔 (120 g) 상에서 EtOAc-헥산 (5-40%로부터의 구배)으로 용리시키면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2-아미노-N-(3-브로모-2-메틸페닐)-5-플루오로벤즈아미드 (0.893 g, 87% 순도, 30% 수율)를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23, 325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062
중간체 7B: 3-(3-브로모-2-메틸페닐)-6-플루오로퀴나졸린-2,4(1H,3H)-디온
Figure 112016006369948-pct00063
THF (30 mL) 중 2-아미노-N-(3-브로모-2-메틸페닐)-5-플루오로벤즈아미드 (0.893 g, 2.76 mmol) 및 트리포스겐 (0.984 g, 3.32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포화 수성 NaHCO3으로 조심스럽게 처리하고, 기체 발생이 중단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DCM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CM으로 연화처리하여 백색 고체를 여과에 의해 단리시켜 수득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실리카 겔 (40 g) 상에서 EtOAc-헥산 (0-80%로부터의 구배)으로 용리시키면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추가의 고체를 수득하였다. 2종의 고체를 합하여 3-(3-브로모-2-메틸페닐)-6-플루오로퀴나졸린-2,4(1H,3H)-디온을 백색 고체 (845 mg, 87%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49, 351 (M+H)+.
중간체 7:
THF (20 mL) 중 3-(3-브로모-2-메틸페닐)-6-플루오로퀴나졸린-2,4(1H,3H)-디온 (742 mg, 2.13 mmol), 아이오도메탄 (0.159 mL, 2.55 mmol) 및 Cs2CO3 (1.04 g, 3.19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에 용해시키고, 포화 수성 NaHCO3 및 물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3-(3-브로모-2-메틸페닐)-6-플루오로-1-메틸퀴나졸린-2,4(1H,3H)-디온 (742 mg, 96% 수율)을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63, 365 (M+H)+.
중간체 8
(Z)-4-((3-브로모-2-클로로페닐)이미노)-1-메틸-1H-벤조[d][1,3]옥사진-2(4H)-온
Figure 112016006369948-pct00064
중간체 8A: N-(3-브로모-2-클로로페닐)-2-(메틸아미노)벤즈아미드
Figure 112016006369948-pct00065
0℃에서 3-브로모-2-클로로아닐린 [미국 특허 번호 8,242,260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됨] (240 mg, 1.16 mmol) 및 톨루엔 (10 mL)의 혼합물을 톨루엔 중 2 M 트리메틸알루미늄 (0.99 mL, 1.98 mmol)으로 천천히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톨루엔 (4 mL) 중 1-메틸-1H-벤조[d][1,3]옥사진-2,4-디온 (300 mg, 1.52 mmol)의 부분 현탁액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5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고, 0℃로 냉각시키고, 기체 발생이 더 이상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1 M 수성 HCl로 적가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가온한 다음,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NaHCO3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80 g)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EtOAc-헥산 (0-30%로부터의 구배)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N-(3-브로모-2-클로로페닐)-2-(메틸아미노) 벤즈아미드를 황색 고체 (110 mg, 28%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39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066
중간체 8: (Z)-4-((3-브로모-2-클로로페닐)이미노)-1-메틸-1H-벤조[d][1,3] 옥사진-2(4H)-온
THF (15 mL) 중 N-(3-브로모-2-클로로페닐)-2-(메틸아미노)벤즈아미드 (150 mg, 0.442 mmol)의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트리포스겐 (197 mg, 0.663 mmol)으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0℃로 냉각시키고, 기체 발생이 중단될 때까지 물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EtOAc 중에 용해시키고, 포화 수성 NaHCO3, 물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EtOAc-헥산 (0-50%로부터의 구배)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Z)-4-((3-브로모-2-클로로페닐)이미노)-1-메틸-1H-벤조[d][1,3] 옥사진-2(4H)-온을 베이지색 고체 (130 mg, 81%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6006369948-pct00067
중간체 9
3-(3-브로모-2-클로로페닐)-8-플루오로-1-메틸퀴나졸린-2,4(1H,3H)-디온
Figure 112016006369948-pct00068
중간체 9A: 2-아미노-N-(3-브로모-2-클로로페닐)-3-플루오로벤즈아미드
Figure 112016006369948-pct00069
3-브로모-2-클로로아닐린 [미국 특허 번호 8,242,260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됨] (600 mg, 2.91 mmol) 및 톨루엔 (10 mL)의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톨루엔 중 2 M 트리메틸알루미늄 (2.47 mL, 4.94 mmol)으로 천천히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다음에, 8-플루오로-1H-벤조[d][1,3]옥사진-2,4-디온 (684 mg, 3.78 mmol)을 한 번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50℃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기체 발생이 중지될 때까지 1 M 수성 HCl로 적가 처리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였다. 혼합물을 EtOAc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포화 수성 NaHCO3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24 g)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EtOAc-헥산 (0-30%로부터의 구배)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2-아미노-N-(3-브로모-2-클로로페닐)-3-플루오로벤즈아미드를 연황색 고체 (350 mg, 35%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43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070
중간체 9B: 3-(3-브로모-2-클로로페닐)-8-플루오로퀴나졸린-2,4(1H,3H)-디온
Figure 112016006369948-pct00071
트리포스겐 (453 mg, 1.53 mmol)을 THF (10 mL) 중 아미노-N-(3-브로모-2-클로로페닐)-3-플루오로벤즈아미드 (350 mg, 1.02 mmol)의 용액에 0℃에서 한 번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0℃로 냉각시키고, 기체 발생이 더 이상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물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EtOAc 중에 용해시키고, 포화 수성 NaHCO3, 물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24 g)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EtOAc-헥산 (0-50%로부터의 구배)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3-(3-브로모-2-클로로페닐)-8-플루오로퀴나졸린-2,4(1H,3H)-디온을 황색 고체 (320 mg, 85%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69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072
중간체 9:
아이오도메탄 (0.102 mL, 1.623 mmol)을 3-(3-브로모-2-클로로페닐)-8-플루오로퀴나졸린-2,4(1H,3H)-디온 (300 mg, 0.812 mmol), DMF (5 mL) 및 Cs2CO3 (529 mg, 1.62 mmol)의 혼합물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EtOAc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24 g)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EtOAc-헥산 (0-30%로부터의 구배)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3-(3-브로모-2-클로로페닐)-8-플루오로-1-메틸퀴나졸린-2,4(1H,3H)-디온을 황색 고체 (280 mg, 90%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83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073
중간체 10
2-(3-브로모-2-메틸페닐)-5-메톡시-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
Figure 112016006369948-pct00074
중간체 10A: 에틸 2-(3-메톡시피리딘-2-일)아세테이트
Figure 112016006369948-pct00075
0℃에서 THF (2 mL) 중 디이소프로필아민 (0.385 mL, 2.70 mmol)의 교반 용액을 헥산 중 1.6 M n-부틸리튬 (1.69 mL, 2.70 mmol)으로 천천히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한 다음, -78℃에서 THF (5 mL) 중 3-메톡시-2-피콜린 (0.133 g, 1.08 mmol) 및 디에틸 카르보네이트 (0.262 mL, 2.16 mmol)의 교반 용액에 시린지를 통해 5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추가로 45분 동안 교반한 후, 냉각 조를 제거하고, 교반을 실온에서 밤새 계속하였다. 혼합물을 포화 수성 NH4Cl로 처리하고, EtOAc로 희석하였다. 유기 상을 분리하고, 포화 수성 NaHCO3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12 g)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50% EtOAc-헥산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에틸 2-(3-메톡시피리딘-2-일)아세테이트를 오일 (0.17 g, 81%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196 (M+H)+.
중간체 10B: 소듐 2-(3-메톡시피리딘-2-일)아세테이트
Figure 112016006369948-pct00076
실온에서 THF (2.5 mL) 중 에틸 2-(3-메톡시피리딘-2-일)아세테이트 (0.17 g, 0.871 mmol)의 교반 용액을 3 M 수성 NaOH (0.581 mL, 1.74 mmol)로 처리하였다. 7시간 후, 혼합물을 농축시켜 THF를 제거하고, 수성 잔류물을 드라이 아이스 상에서 결빙시키고, 동결건조시켜 소듐 2-(3-메톡시피리딘-2-일)아세테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정량적 수율을 가정하고, 이 물질을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168 (M+H)+.
중간체 10C: N-(3-브로모-2-메틸페닐)-2-(3-메톡시피리딘-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16006369948-pct00077
DMF (4.0 mL) 중 소듐 2-(3-메톡시피리딘-2-일)아세테이트 (0.166 g, 0.871 mmol), 3-브로모-2-메틸아닐린 (0.118 mL, 0.958 mmol), DIEA (0.608 mL, 3.48 mmol) 및 HATU (0.397 g, 1.045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1시간 후,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10% 수성 LiCl에 이어서 염수로 2회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N-(3-브로모-2-메틸페닐)-2-(3-메톡시피리딘-2-일) 아세트아미드를 연황색 고체 (0.213 g, 73%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35, 337 (M+H)+.
중간체 10:
톨루엔 (2 mL) 중 N-(3-브로모-2-메틸페닐)-2-(3-메톡시피리딘-2-일) 아세트아미드 (0.136 g, 0.406 mmol) 및 CDI (0.263 g, 1.62 mmol)의 혼합물을 110℃에서 가열하였다. 4시간 후,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EtOAc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24g)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40% EtOAc-헥산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2-(3-브로모-2-메틸페닐)-5-메톡시-1H-피리도[1,2-c] 피리미딘-1,3(2H)-디온을 황색 고체 (0.0729 g, 50%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61, 363 (M+H)+.
중간체 11
2-(3-브로모-2-메틸페닐)-6-메톡시-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
Figure 112016006369948-pct00078
이 중간체를 중간체 10에 기재된 일반적 합성 경로에 따라 4-메톡시-2-메틸피리딘으로부터 합성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61, 363 (M+H)+.
중간체 12
2-(3-브로모-2-메틸페닐)-7-메톡시-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
Figure 112016006369948-pct00079
이 중간체를 중간체 10에 기재된 일반적 합성 경로에 따라 3-메톡시-6-피콜린으로부터 합성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61, 363 (M+H)+.
중간체 13
5-클로로-2-(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 (라세미)
Figure 112016006369948-pct00080
중간체 13A: 디에틸 2-(3-클로로피리딘-2-일)말로네이트
Figure 112016006369948-pct00081
DMSO (42 mL) 중 3-클로로-2-플루오로피리딘 (5.00 g, 38.0 mmol), 디에틸 말로네이트 (14.61 g, 91 mmol) 및 Cs2CO3 (29.7 g, 91 mmol)의 혼합물을 100℃에서 7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후,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에 이어서 염수로 2회 세척하였다. 합한 수성 층을 EtOAc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조 디에틸 2-(3-클로로피리딘-2-일)말로네이트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고,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272 (M+H)+.
중간체 13B: 에틸 2-(3-클로로피리딘-2-일)아세테이트
Figure 112016006369948-pct00082
DMSO (40 mL) 중 디에틸 2-(3-클로로피리딘-2-일) 말로네이트 (10.32 g, 38 mmol), 염화나트륨 (5.55 g, 95 mmol) 및 물 (3.4 mL, 190 mmol)의 혼합물을 145℃에서 8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tOAc로 희석하고, 물에 이어서 염수로 2회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조 에틸 2-(3-클로로피리딘-2-일)아세테이트를 수득하고,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200 (M+H)+.
중간체 13C: 소듐 2-(3-클로로피리딘-2-일)아세테이트
Figure 112016006369948-pct00083
THF (76 mL) 중 에틸 2-(3-클로로피리딘-2-일)아세테이트 (7.59 g, 38 mmol)의 용액을 3 M 수성 NaOH (25.3 mL, 76 mmol)로 실온에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농축시켜 THF를 제거하였다. 수성 잔류물을 드라이 아이스 상에서 결빙시키고, 동결건조시켜 소듐 2-(3-클로로피리딘-2-일)아세테이트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고,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172, (M+H)+.
중간체 13D: N-(3-브로모-2-메틸페닐)-2-(3-클로로피리딘-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16006369948-pct00084
DMF (127 mL) 중 소듐 2-(3-클로로피리딘-2-일)아세테이트 (7.39 g, 38 mmol), 3-브로모-2-메틸아닐린 (4.7 mL, 38.4 mmol), DIEA (13.3 mL, 76 mmol) 및 HATU (14.59 g, 38.4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90분 후,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10% LiCl에 이어서 염수로 2회 세척하였다. 합한 수성 층을 EtOAc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 작은 부피로 농축시켰다. 용액을 이전 배치로부터의 결정으로 시딩하고, 밤새 정치되도록 하여 침전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50% EtOAc-헥산으로 세척하여 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유사하게 3회 재결정화하여 추가의 고체를 수득하였다. 고체를 합하여 N-(3-브로모-2-메틸페닐)-2-(3-클로로피리딘-2-일)아세트아미드를 백색 고체 (11.43 g, 89%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39, 341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085
중간체 13E: 2-(3-클로로피리딘-2-일)-N-(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16006369948-pct00086
DMSO (5 mL) 및 디옥산 (25 mL) 중 N-(3-브로모-2-메틸페닐)-2-(3-클로로피리딘-2-일)아세트아미드 (4.0 g, 11.8 mmol) 및 4,4,4',4',5,5,5',5'-옥타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3.29 g, 13.0 mmol)의 혼합물을 아르곤으로 7분 동안 버블링하고, 이어서 아세트산칼륨 (2.89 g, 29.4 mmol)을 첨가하였다. 아르곤 버블링을 7분 동안 계속한 후, PdCl2(dppf) DCM 부가물 (0.481 g, 0.589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90℃에서 7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된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물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합한 수성 층을 EtOAc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모액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EtOAc로부터 재결정화하였다. 2종의 고체를 합하여 2-(3-클로로피리딘-2-일)-N-(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아세트아미드를 백색 고체 (3.88 g, 85%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87, 389 (M+H)+.
중간체 13:
톨루엔 (2 mL) 중 2-(3-클로로피리딘-2-일)-N-(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아세트아미드 (0.192 g, 0.497 mmol) 및 CDI (0.322 g, 1.99 mmol)의 혼합물을 110℃에서 가열하였다. 5시간 후, 냉각된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합한 수성 층을 EtOAc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EtOAc-헥산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라세미 5-클로로-2-(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을 담황색 고체 (0.133 g, 65%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413 (M+H)+.
중간체 14 및 15
5-클로로-2-(R)-(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 (I-14), 및
5-클로로-2-(S)-(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 (I-15)
Figure 112016006369948-pct00087
라세미 5-클로로-2-(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 [중간체 13]의 샘플을 다음과 같은 키랄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하였다: 칼럼: 웰크-O® RR (3 x 25 cm, 5 μm); 이동상: 200 mL/분, 100 bar, 35℃에서 CO2-MeOH (55:45); 샘플 제조: MeCN-DCM (1:4) 중 96 mg/ mL; 주입: 5 mL. 칼럼으로부터 용리시킨 제1 피크로 5-클로로-2-(R)-(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 [중간체 14]을 수득하였다. 칼럼으로부터 용리시킨 제2 피크로 5-클로로-2-(S)-(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 [중간체 15]을 수득하였다. 상기 2종의 거울상이성질체에 대한 질량 스펙트럼 및 1H NMR은 중간체 13에 대한 것들과 동일하였다.
화합물을 과량의 아세톤 중에 용해시키고, 용매를 실온에서 천천히 증발시킴으로써 제조된 결정의 단결정 X선 분석에 의해 중간체 15의 절대 배위를 확인하였다. 단위 셀 치수: a = 19.6161(8) Å, b = 9.1411(4) Å, c = 12.7541(6) Å, α = 90°, β = 113.165(2)°, γ = 90°; 공간군: C2; 중간체 35의 분자/비대칭 단위 (Z'): 1; 밀도, 계산치 g-cm- 3: 1.304. 실온에서의 분율 원자 좌표는 표1에 제시되어 있고, 구조의 도시는 도 1에 제시되어 있다.
<표 1>
실온에서의 중간체 15에 대한 분율 원자 좌표
Figure 112016006369948-pct00088
대안적으로, 라세미 5-클로로-2-(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 [중간체 13]의 샘플을 다음과 같은 키랄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하였다: 칼럼: 웰크-O® RR (3 x 25 cm, 5 μm); 이동상: 200 mL/분, 100 bar, 35℃에서 CO2-CH3CN (55:45); 샘플 제조: MeCN-DCM (1:4) 중 96 mg/ mL; 주입: 5 mL. 칼럼으로부터 용리시킨 제1 피크로 5-클로로-2-(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1H-피리도[1,2-c] 피리미딘-1,3(2H)-디온 [중간체 15]의 1종의 회전장애이성질체를 수득하였다. 이 물질을 THF/헥산 중에 용해시킴으로써 추가로 정제하고, 수집하여 황색 고체를 생성할 수 있었다.
중간체 16
4-플루오로-2-(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
Figure 112016006369948-pct00089
중간체 16A: N-(3-브로모-2-메틸페닐)-2-(피리딘-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16006369948-pct00090
1,2-디클로로에탄 (70 mL) 중 3-브로모-2-메틸아닐린 (2.36 mL, 19.1 mmol), 피리딘-2-일-아세트산 히드로클로라이드 (3.32 g, 19.1 mmol), EDC (5.50 g, 28.7 mmol), HOBT (0.146 g, 0.956 mmol) 및 DIEA (13.4 mL, 76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하고, 물로 2회 세척하였다. 합한 수성 층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 감소된 부피로 농축시킨 다음, 헥산으로 희석하였다. 침전된 결정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DCM-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추가의 고체를 수득하였다. 고체의 2개의 배치를 합하여 N-(3-브로모-2-메틸페닐)-2-(피리딘-2-일)아세트아미드를 황갈색 고체 (4.78 g, 82%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05, 307 (M+H)+.
중간체 16B: N-(3-브로모-2-메틸페닐)-2-플루오로-2-(피리딘-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16006369948-pct00091
1,2-디클로로에탄 (8.0 mL) 중 N-(3-브로모-2-메틸페닐)-2-(피리딘-2-일)아세트아미드 (0.5 g, 1.64 mmol) 및 1-(클로로메틸)-4-플루오로-1,4-디아조니아비시클로[2.2.2]옥탄비스-(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셀렉트플루오르®] (0.871 g, 2.46 mmol)의 혼합물을 9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추가의 셀렉트플루오르® (300 mg)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6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셀렉트플루오르® (150 mg)의 제3 부분을 첨가하고, 가열을 추가로 3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냉각된 혼합물을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80 g)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EtOAc-헥산 (35%에 이어서 50%)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N-(3-브로모-2-메틸페닐)-2-플루오로-2-(피리딘-2-일)아세트아미드를 담갈색 고체 (0.177 g, 33%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6006369948-pct00092
중간체 16C: 2-플루오로-N-(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2-(피리딘-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16006369948-pct00093
DMSO (0.6 mL) 및 디옥산 (3.0 mL) 중 혼합물 N-(3-브로모-2-메틸페닐)-2-플루오로-2-(피리딘-2-일)아세트아미드 (0.122 g, 0.378 mmol), 4,4,4',4',5,5,5',5'-옥타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0.105 g, 0.415 mmol) 및 아세트산칼륨 (0.093 g, 0.944 mmol)을 질소로 5분 동안 버블링하고, 이어서 PdCl2(dppf) DCM 부가물 (0.015 g, 0.019 mmol)을 첨가하였다. 질소로 추가로 5분 동안 버블링한 후, 혼합물을 9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냉각된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로 2회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에 실리카 겔 (40 g) 상에서 EtOAc-헥산 (30%에 이어서 50%)으로 용리시키면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2-플루오로-N-(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2-(피리딘-2-일)아세트아미드를 연한 색상의 오일 (0.11 g, 79%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71 (M+H)+.
중간체 16:
톨루엔 (3.0 mL) 중 2-플루오로-N-(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2-(피리딘-2-일)아세트아미드 (0.155 g, 0.419 mmol) 및 CDI (0.272 g, 1.675 mmol)의 혼합물을 11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된 혼합물을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하고, 수성 층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에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EtOAc-헥산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4-플루오로-2-(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을 황색 고체 (43.1 mg, 26%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97 (M+H)+.
중간체 17
6-(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5H-티아졸로[3,2-c]피리미딘-5,7(6H)-디온
Figure 112016006369948-pct00094
중간체 17A: N-(3-브로모-2-메틸페닐)-2-(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16006369948-pct00095
DMF (15 mL) 중 3-브로모-2-메틸아닐린 (0.764 mL, 6.20 mmol), 1,3-티아졸-2-일아세트산 (0.74 g, 5.17 mmol) 및 DIEA (1.63 mL, 9.30 mmol)의 혼합물을 HATU (2.36 g, 6.20 mmol)로 처리하였다. 밤새 교반한 후,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10% 수성 LiCl에 이어서 염수로 2회 세척하고, 합한 수성 층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EtOAc-헥산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N-(3-브로모-2-메틸페닐)-2-(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를 백색 고체 (0.681 g, 42%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6006369948-pct00096
중간체 17B: N-(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2-(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16006369948-pct00097
DMSO (1.6 mL) 및 디옥산 (8 mL) 중 혼합물 N-(3-브로모-2-메틸페닐)-2-(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0.53 g, 1.70 mmol), 4,4,4',4',5,5,5',5'-옥타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0.476 g, 1.87 mmol) 및 아세트산칼륨 (0.418 g, 4.26 mmol)을 질소로 5분 동안 버블링하고, 이어서 PdCl2(dppf) DCM 부가물 (0.070 g, 0.085 mmol)을 첨가하였다. 추가로 5분 동안 질소로 버블링한 후, 혼합물을 90℃에서 7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된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물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40 g)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50% EtOAc-헥산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N-(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2-(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를 회백색 고체 (0.45 g, 74%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59 (M+H)+.
중간체 17:
톨루엔 (6.5 mL) 중 N-(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 페닐)-2-(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0.45 g, 1.26 mmol) 및 CDI (0.815 g, 5.02 mmol)의 혼합물을 11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된 혼합물을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합한 수성 층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40 g)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70% EtOAc-헥산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6-(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5H-티아졸로[3,2-c]피리미딘-5,7(6H)-디온을 황갈색 고체 (34%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85 (M+H)+.
중간체 18
5-플루오로-2-(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 (라세미)
Figure 112016006369948-pct00098
중간체 18A: 디에틸 2-(3-플루오로피리딘-2-일)말로네이트
Figure 112016006369948-pct00099
DMSO (19 mL) 중 2,3-디플루오로피리딘 (2.00 g, 17.4 mmol), Cs2CO3 (13.59 g, 41.7 mmol) 및 디에틸 말로네이트 (6.68 g, 41.7 mmol)의 혼합물을 100℃에서 4.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얼음 상에 붓고, EtOAc로 희석하고, 유기 상을 분리하고, 물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80 g)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EtOAc-헥산 (순차적으로 10%, 20% 및 30%)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디에틸 2-(3-플루오로피리딘-2-일)말로네이트를 연한 색상의 오일 (2.68 g, 60%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6006369948-pct00100
중간체 18B: 에틸 2-(3-플루오로피리딘-2-일)아세테이트
Figure 112016006369948-pct00101
DMSO (15 mL) 중 디에틸 2-(3-플루오로피리딘-2-일)말로네이트 (2.68 g, 10.5 mmol), 염화나트륨 (0.675 g, 11.6 mmol) 및 물 (0.378 mL, 21.0 mmol)의 혼합물을 145℃에서 4.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EtOAc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에틸 2-(3-플루오로피리딘-2-일)아세테이트를 연한 색상의 오일 (1.9 g, 99%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184 (M+H)+.
중간체 18C: 소듐 2-(3-플루오로피리딘-2-일)아세테이트
Figure 112016006369948-pct00102
THF (26 mL) 중 에틸 2-(3-플루오로피리딘-2-일)아세테이트 (1.90 g, 10.4 mmol)의 교반 용액을 3 M 수성 NaOH (6.9 mL, 20.7 mmol)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켜 THF를 제거하고, 잔류 수용액을 결빙시키고, 동결건조시켜 소듐 2-(3-플루오로피리딘-2-일)아세테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고,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156 (M+H)+.
중간체 18D: N-(3-브로모-2-메틸페닐)-2-(3-플루오로피리딘-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16006369948-pct00103
DMF (30 mL) 중 소듐 2-(3-플루오로피리딘-2-일)아세테이트 (1.85 g, 10.4 mmol), 3-브로모-2-메틸아닐린 (1.4 mL, 11.4 mmol), DIEA (5.4 mL, 31.1 mmol) 및 HATU (4.73 g, 12.4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10% 수성 LiCl에 이어서 염수로 2회 세척하였다. 합한 수성 층을 EtOAc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뜨거운 EtOAc 중에 용해시키고, 냉각되도록 하고, 생성된 백색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60% EtOAc-헥산으로 세척하였다. 합한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여 2회 재결정화하였다. 최종 여과물의 농축으로부터의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EtOAc-헥산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고체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재결정화된 배치와 합하여 N-(3-브로모-2-메틸페닐)-2-(3-플루오로피리딘-2-일)아세트아미드를 백색 고체 (2.029 g, 61%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23, 325 (M+H)+.
중간체 18E: 2-(3-플루오로피리딘-2-일)-N-(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16006369948-pct00104
디옥산 (40 mL) 중 N-(3-브로모-2-메틸페닐)-2-(3-플루오로피리딘-2-일)아세트아미드 (4.2 g, 13.6 mmol) 및 4,4,4',4',5,5,5',5'-옥타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3.80 g, 14.9 mmol)의 혼합물을 질소로 10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아세트산칼륨 (3.33 g, 34.0 mmol)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버블링을 추가로 5분 동안 계속하고, PdCl2(dppf) DCM 부가물 (0.555 g, 0.679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냉각된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DCM-메틸 t-부틸 에테르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2-(3-플루오로피리딘-2-일)-N-(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 아세트아미드를 백색 고체 (3.80 g, 76%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70 (M+H)+.
중간체 18:
톨루엔 (97 mL) 중 2-(3-플루오로피리딘-2-일)-N-(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아세트아미드 (9.01 g, 24.3 mmol) 및 CDI (15.78 g, 97 mmol)의 혼합물을 120℃에서 7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된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합한 수성 층을 EtOAc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220 g)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EtOAc-헥산 (20-100%로부터의 구배)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5-플루오로-2-(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을 황색 고체 (6.26 g, 65%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97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105
중간체 19 및 20
5-플루오로-2-(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 (단일 거울상이성질체)
Figure 112016006369948-pct00106
라세미 5-플루오로-2-(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 페닐)-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 [중간체 18] (7.50 g)을 다음과 같은 키랄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하였다: 칼럼: 키랄셀(CHIRALCEL)® OD-H (5 x 25 cm, 5 μm); 이동상: 280 mL/분, 100 bar, 40℃에서 CO2-MeOH (76:24); 샘플 제조: DCM-MeOH (1:1) 중 62.5 mg/mL; 주입: 0.83 mL.
칼럼으로부터 용리시킨 제1 피크로 5-플루오로-2-(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1H-피리도[1,2-c] 피리미딘-1,3(2H)-디온 [중간체 19]의 1종의 거울상이성질체를 황색 고체 (3.20 g, 키랄 순도 99.3%)로서 수득하였다.
칼럼으로부터 용리시킨 제2 피크로 5-플루오로-2-(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 [중간체 20]의 다른 거울상이성질체를 황색 고체 (2.98 g, 키랄 순도 98.6%)로서 수득하였다.
상기 2종의 거울상이성질체에 대한 질량 스펙트럼 및 1H NMR은 중간체 18에 대한 것들과 동일하였다.
중간체 21
3-(3-브로모-2-메틸페닐)-1-(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4(1H,3H)-디온
Figure 112016006369948-pct00107
중간체 21A: 메틸 3-(4-메톡시벤질아미노)-2-(페닐셀라닐)프로파노에이트
Figure 112016006369948-pct00108
DCM (116 mL) 중 페닐 하이포브로모셀레노이트 (5.54 g, 23.5 mmol) 및 염화아연 (II) (1.27 g, 9.29 mmol)의 현탁액을 메틸 아크릴레이트 (2.1 mL, 23.2 mmo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4-메톡시페닐)메탄아민 (6.4 mL, 48.8 mmol)으로 처리하여 농후한 현탁액을 형성하였다.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EtOAc로 세척하고, 합한 여과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120 g)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EtOAc-헥산 (0-50%로부터의 구배)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메틸 3-(4-메톡시벤질아미노)-2-(페닐셀라닐) 프로파노에이트를 담갈색 오일 (3.68 g, 42%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80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109
중간체 21B: 1-브로모-3-이소시아네이토-2-메틸벤젠
Figure 112016006369948-pct00110
빙수조에서 냉각시킨 톨루엔 (27 mL) 중 트리포스겐 (2.25 g, 7.58 mmol)의 용액을 톨루엔 (5.4 mL) 중 3-브로모-2-메틸아닐린 (3.00 g, 16.1 mmol) 및 DIEA (5.6 mL, 32.2 mmol)의 용액으로 천천히 처리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EtOAc로 세척하였다. 합한 여과물을 EtOAc로 희석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1-브로모-3-이소시아네이토-2-메틸벤젠을 갈색 오일 (3.68 g, 98%)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6006369948-pct00111
중간체 21C: 3-(3-브로모-2-메틸페닐)-1-(4-메톡시벤질)-5-(페닐셀라닐) 디히드로피리미딘-2,4(1H,3H)-디온
Figure 112016006369948-pct00112
DMF (49 mL) 중 메틸 3-((4-메톡시벤질)아미노)-2-(페닐셀라닐)프로파노에이트 (3.68 g, 9.73 mmol), 1-브로모-3-이소시아네이토-2-메틸벤젠 (2.27 g, 10.7 mmol), 및 K2CO3 (0.672 g, 4.86 mmol)의 혼합물을 65℃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된 혼합물을 물과 EtOAc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3-(3-브로모-2-메틸페닐)-1-(4-메톡시벤질)-5-(페닐셀라닐)디히드로피리미딘-2,4(1H,3H)-디온을 담갈색 고체 (5.43 g)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557, 559, 561 (M+H)+.
중간체 21D: 3-(3-브로모-2-메틸페닐)-1-(4-메톡시벤질)피리미딘-2,4(1H,3H)-디온
Figure 112016006369948-pct00113
THF (97 mL) 중 3-(3-브로모-2-메틸페닐)-1-(4-메톡시벤질)-5-(페닐셀라닐)디히드로피리미딘-2,4(1H,3H)-디온 (5.43 g, 9.73 mmol)의 용액을 30% 수성 과산화수소 (5.0 mL, 48.6 mmol)로 처리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220 g)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EtOAc-헥산 (25-70%로부터의 구배)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3-(3-브로모-2-메틸페닐)-1-(4-메톡시벤질)피리미딘-2,4(1H,3H)-디온을 백색 고체 (2.10 g, 54%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401, 403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114
중간체 21E: 3-(3-브로모-2-메틸페닐)피리미딘-2,4(1H,3H)-디온
Figure 112016006369948-pct00115
TFA (5.5 mL) 중 3-(3-브로모-2-메틸페닐)-1-(4-메톡시벤질)피리미딘-2,4(1H,3H)-디온 (0.87 g, 2.17 mmol)의 용액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0.55 mL)으로 처리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얼음 상에 천천히 붓고,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3-(3-브로모-2-메틸페닐)피리미딘-2,4(1H,3H)-디온을 자주색 고체 (0.62 g, 96%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281, 283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116
중간체 21:
건조 DCM (25 mL) 중 아세트산구리 (II) (0.543 g, 2.99 mmol), 3-(3-브로모-2-메틸페닐)피리미딘-2,4(1H,3H)-디온 (0.42 g, 1.49 mmol), (4-플루오로페닐) 보론산 (0.418 g, 2.99 mmol) 및 활성화된 분자체 (750 mg)의 교반 현탁액을 피리딘 (0.363 mL, 4.48 mmol)으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하고, 셀라이트®를 통해 희석하고, 고체를 DCM 및 THF로 세척하였다. 합한 여과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40 g)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EtOAc-헥산 (20-40%로부터의 구배)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3-(3-브로모-2-메틸페닐)-1-(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4(1H,3H)-디온을 황색 유리질 고체 (0.36 g, 43%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75, 377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117
중간체 22
4-브로모-7-(2-히드록시프로판-2-일)-5-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6006369948-pct00118
중간체 22A: 에틸 3-히드록시-5-메틸벤조에이트
Figure 112016006369948-pct00119
EtOH (100 mL) 중 3-히드록시-5-메틸벤조산의 용액 (문헌 [Turner et al., J. Org. Chem., 24:1952 (1959)]의 절차에 따라 제조됨; 2.50 g, 16.4 mmol)을 황산 (5 mL, 94 mmol)으로 처리하고, 환류 하에 오일 조 상에서 가열하였다. 18시간 후,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용액을 감소된 부피 (20-30 mL)로 농축시키고, 물 (100-150 mL)로 희석하였다. 교반 및 연화처리 시 고체가 된 검을 침착시켰다.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에틸 3-히드록시-5-메틸벤조에이트를 회백색 고체 (2.63 g, 89%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181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120
중간체 22B: 에틸 3-히드록시-5-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Figure 112016006369948-pct00121
EtOH (50 mL) 중 에틸 3-히드록시-5-메틸벤조에이트 (2.63 g, 14.6 mmol)의 용액을 파르 압력 병에서 알루미나 상 5% 로듐 (0.5 g)과 합하고, 수소 분위기 (60 psig) 하에 실온에서 진탕시켰다. 21.5시간 후, 용기를 배기시키고, 질소로 퍼징하였다.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고체를 EtOH로 세척하였다. 합한 여과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에틸 3-히드록시-5-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를 무색 유성 액체 (2.64 g, 97%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187 (M+H)+, 169 (M+H-H2O)+.
중간체 22C: 에틸 3-메틸-5-옥소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Figure 112016006369948-pct00122
아세톤 (45 mL) 중 에틸 3-히드록시-5-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2.64 g, 14.2 mmol)의 용액을 빙수조 상에서 교반하고, 30분 초과 동안 황색이 지속될 때까지 존스 시약 (4.25 mL, 14.9 mmol)으로 적가 처리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이소프로판올 (약 2 mL)로 처리하고, 황색이 제거되고 혼합물이 청색-녹색 슬러리가 될 때까지 얼음 상에서 교반하였다. 상청액을 셀라이트®를 통해 경사분리하였다. 슬러지를 교반하고, 이것이 거의 분말상 고체가 될때까지 새로운 아세톤으로 수회 연화처리하였으며, 여기서 아세톤 세척물을 또한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합한 여과물 및 세척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테르 중에 용해시키고,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에틸 3-메틸-5-옥소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를 거의 무색의 유성 액체 (2.275 g, 87% 수율;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비 약 95:5)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6006369948-pct00123
중간체 22D: 5-브로모-2-에톡시카르보닐-4-메틸-2,3,4,9-테트라히드로-1H-카르바졸-8-카르복실산
Figure 112016006369948-pct00124
아세트산 (10 mL) 중 4-브로모-2-히드라지닐벤조산 히드로클로라이드 [미국 특허 번호 8,084,620, 중간체 46-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됨] (605 mg, 2.26 mmol)의 현탁액을 에틸 3-메틸-5-옥소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500 mg, 2.71 mmol)로 처리하고, 혼합물을 100-105℃에서 가열하였다. 6시간 후, 온도를 95℃로 감소시키고, 교반을 밤새 계속하였다. 22시간 후, 총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대부분의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EtOAc 중에 교반하고, 혼합물을 여과하여 소량의 침전물을 제거하였다. 여과물을 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조 5-브로모-2-(에톡시카르보닐)-4-메틸-2,3,4,9-테트라히드로-1H-카르바졸-8-카르복실산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을 암갈색 검 (860 mg)으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80, 382 (M+H)+.
중간체 22E: 에틸 5-브로모-8-카르바모일-4-메틸-2,3,4,9-테트라히드로-1H-카르바졸-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112016006369948-pct00125
THF (15 mL) 중 조 5-브로모-2-(에톡시카르보닐)-4-메틸-2,3,4,9-테트라히드로-1H-카르바졸-8-카르복실산 (860 mg)의 용액을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369 mg, 2.71 mmol) 및 EDC (520 mg, 2.71 mmol)로 처리하고, 현탁액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2시간 후, 혼합물을 무수 암모니아로 약 2분 동안 버블링하며 농후한 오렌지색 슬러리를 형성하였다. 추가로 2.5시간 후, 혼합물을 물 및 EtOAc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EtOAc로 다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층을 1 M 수성 NaOH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에 실리카 겔 (80 g) 상에서 EtOAc-헥산 (25-100%로부터의 구배)으로 용리시키면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불순한 에틸 5-브로모-8-카르바모일-4-메틸-2,3,4,9-테트라히드로-1H-카르바졸-2-카르복실레이트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를 황색-황갈색 고체 (265 mg, 31%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79, 381 (M+H)+.
중간체 22F: 에틸 5-브로모-8-카르바모일-4-메틸-9H-카르바졸-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112016006369948-pct00126
THF (7 mL) 중 불순한 에틸 5-브로모-8-카르바모일-4-메틸-2,3,4,9-테트라히드로-1H-카르바졸-2-카르복실레이트 (250 mg, 0.659 mmol)의 용액을 2,3-디클로로-5,6-디시아노벤조퀴논 (329 mg, 1.45 mmol)으로 처리하고, 오일 조 상에서 60℃에서 가열하였다. 2.4시간 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tOAc로 희석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침전물을 EtOAc로 헹구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매우 미세한 백색 고체 (71.6 mg)를 수득하였다. 여과물을 포화 수성 NaHCO3에 이어서 염수로 4회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EtOAc 및 MeOH의 혼합물 중에 초음파처리하였다.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EtOAc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연황색 고체 (50.5 mg)를 수득하였다. 이 여과물에 실리카 겔 (12 g) 상에서 EtOAc-헥산 (25-100%로부터의 구배)으로 용리시키면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고체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최소량의 EtOAc 중에 초음파처리하였다.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최소량의 EtOAc로 헹구고, 건조시켜 연황색 고체 (5.2 mg)를 수득하였다. 3종의 단리된 고체를 합하여 에틸 5-브로모-8-카르바모일-4-메틸-9H-카르바졸-2-카르복실레이트를 연황색 고체 (127 mg, 51%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75, 377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127
중간체 22: 에틸 4-브로모-7-(2-히드록시프로판-2-일)-5-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THF (2.5 mL) 중 에틸 5-브로모-8-카르바모일-4-메틸-9H-카르바졸-2-카르복실레이트 (120 mg, 0.320 mmol)의 현탁액을 -78℃에서 교반하고, 에테르 중 1.6 M 메틸리튬 (0.800 mL, 1.28 mmol)으로 약 2.5분에 걸쳐 적가 처리하였다. 0.5시간 이내로 혼합물은 고체 황색 물질이었다. 첨가의 완결로부터 45분 후, THF (1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충분히 가온하여 (여전히 0℃ 미만) 부분 혼합이 가능하도록 한 다음, 다시 -78℃로 냉각시켰다. 첨가의 완결로부터 90분 후, 혼합물을 포화 수성 NH4Cl (2 mL) 및 소량의 물로 처리하고,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면서 격렬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에 실리카 겔 (12 g) 상에서 EtOAc-헥산 (40-100%로부터의 구배)으로 용리시키면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4-브로모-7-(2-히드록시프로판-2-일)-5-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를 회백색 고체 (96.3 mg, 83%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43, 345 (M+H-H2O)+.
Figure 112016006369948-pct00128
중간체 23
4-브로모-7-(2-히드록시프로판-2-일)-8-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6006369948-pct00129
중간체 22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절차에 따라, 3-히드록시-2-메틸벤조산을 4-브로모-7-(2-히드록시프로판-2-일)-8-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로 전환시켰다. 질량 스펙트럼 m/z 343, 345 (M+H-H2O)+.
Figure 112016006369948-pct00130
중간체 24 및 24A
8-플루오로-1-메틸(d3)-3-(S)-(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 페닐)퀴나졸린-2,4(1H,3H)-디온 (I-24), 및
8-플루오로-1-메틸(d3)-3-(R)-(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 페닐)퀴나졸린-2,4(1H,3H)-디온 (I-24A)
Figure 112016006369948-pct00131
중간체 24B: 8-플루오로-1-메틸(d3)-3-(RS)-(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 페닐)퀴나졸린-2,4(1H,3H)-디온
Figure 112016006369948-pct00132
디옥산 (40 mL) 중 3-(3-브로모-2-메틸페닐)-8-플루오로-1-메틸(d3)퀴나졸린-2,4(1H,3H)-디온 [중간체 5] (3.00 g, 8.19 mmol), 4,4,4',4',5,5,5',5'-옥타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2.70 g, 10.7 mmol) 및 아세트산칼륨 (2.41 g, 24.6 mmol)의 혼합물을 약 2분 동안 초음파처리하면서 아르곤으로 버블링한 다음, PdCl2(dppf) DCM 부가물 (0.335 g, 0.410 mmo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90℃에서 15.7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된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고체를 EtOAc로 헹구었다. 합한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330 g)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EtOAc-헥산 (0-40%로부터의 구배)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8-플루오로-1-메틸(d3)-3-(RS)-(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퀴나졸린-2,4(1H,3H)-디온을 회백색 고체 (3.23 g, 95%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414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133
중간체 24 및 24A:
8-플루오로-1-메틸(d3)-3-(RS)-(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퀴나졸린-2,4(1H,3H)-디온 [중간체 24B]의 샘플을 다음과 같은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하였다: 칼럼: 웰크-O® R,R (3 x 25 cm, 5μm); 이동상: 200 mL/분, 100 bar, 30℃에서 CO2-MeOH (70:30); 샘플 제조: MeOH 중 3.7 mg/mL; 주입: 4.17 mL. 칼럼으로부터 용리시킨 제1 피크로 S 거울상이성질체, 8-플루오로-1-메틸(d3)-3-(S)-(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퀴나졸린-2,4(1H,3H)-디온 [중간체 24]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칼럼으로부터 용리시킨 제2 피크로 R 거울상이성질체, 8-플루오로-1-메틸(d3)-3-(R)-(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퀴나졸린-2,4(1H,3H)-디온 [중간체 24A]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상기 2종의 거울상이성질체에 대한 질량 스펙트럼 및 1H NMR은 중간체 24B에 대한 것들과 동일하였다.
8-플루오로-1-메틸(d3)-3-(S)-(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퀴나졸린-2,4(1H,3H)-디온 [중간체 24]의 대안적 합성:
중간체 24C: 8-플루오로-3-(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 페닐)퀴나졸린-2,4(1H,3H)-디온
Figure 112016006369948-pct00134
디옥산 (20 mL) 및 DMSO (4 mL) 중 3-(3-브로모-2-메틸페닐)-8-플루오로퀴나졸린-2,4(1H,3H)-디온 [중간체 1] (0.349 g, 1.00 mmol), 4,4,4',4',5,5,5',5'-옥타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0.305 g, 1.20 mmol), PdCl2(dppf) DCM 부가물 (0.041 g, 0.050 mmol) 및 아세트산칼륨 (0.245 g, 2.50 mmol)의 교반 혼합물을 질소로 5분 동안 버블링한 다음, 9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상을 포화 수성 NaHCO3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20% EtOAc-헥산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8-플루오로-3-(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퀴나졸린-2,4(1H,3H)-디온을 백색 고체 (0.326 g, 82%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97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135
중간체 24D: 8-플루오로-3-(S)-(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퀴나졸린-2,4(1H,3H)-디온
Figure 112016006369948-pct00136
8-플루오로-3-(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 페닐)퀴나졸린-2,4(1H,3H)-디온 [중간체 24C]의 샘플을 다음과 같은 키랄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하였다: 칼럼: 키랄셀® OD-H (5 x 25 cm, 5 μm); 이동상: 300 mL/분, 100 bar, 40℃에서 CO2-MeOH (70:30); 샘플 제조: DCM-MeOH (44:56) 중 103 mg/mL; 주입: 5.0 mL. 칼럼으로부터 용리시킨 제2 피크로 S 거울상이성질체, 8-플루오로-3-(S)-(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퀴나졸린-2,4(1H,3H)-디온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97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137
중간체 24:
THF (100 mL) 중 8-플루오로-3-(S)-(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퀴나졸린-2,4(1H,3H)-디온 [중간체 24D] (5.42 g, 13.7 mmol)의 용액을 빙수조 상에서 교반하고, Cs2CO3 (6.24 g, 19.2 mmol)로 처리한 다음, 아이오도메탄-d3 (1.02 mL, 16.4 mmol)으로 처리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6.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체를 EtOAc로 헹구고, 합한 여과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 중에 용해시키고, 물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8-플루오로-1-메틸(d3)-3-(S)-(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 페닐)퀴나졸린-2,4(1H,3H)-디온을 백색 고체 (5.538 g, 98%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414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138
중간체 25
4-브로모-7-(메톡시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6006369948-pct00139
THF (10 mL) 중 4-브로모-7-(히드록시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미국 특허 번호 8,084,620, 실시예 30-0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됨] (0.5 g, 1.57 mmol)의 교반 현탁액을 티오닐 클로라이드 (0.252 mL, 3.45 mmol)로 적가 처리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MeOH (0.2 mL)로 처리하고, 용매 및 과량의 티오닐 클로라이드를 진공 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MeOH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소듐 메톡시드 (0.423 g, 7.83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합한 수성 층을 EtOAc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40 g)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EtOAc-헥산 (0-100%로부터의 구배)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4-브로모-7-(메톡시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를 백색 고체 (119 mg, 23%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33, 335 (M+H)+.
실시예 1 및 2
4-(3-(8-플루오로-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종의 상호전환하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112016006369948-pct00140
제조예 1A: 4-(3-(8-플루오로-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THF (3 mL) 중 7-(2-히드록시프로판-2-일)-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3.4 mg, 0.110 mmol) [중간체 4], 3-(3-브로모-2-메틸페닐)-8-플루오로퀴나졸린-2,4(1H,3H)-디온 (32 mg, 0.092 mmol) [중간체 1],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5.3 mg, 4.58 μmol), 및 탄산칼륨 (38.0 mg, 0.275 mmol)의 혼합물을 바이알에서 밀봉하고, 9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냉각된 혼합물을 실리카 겔 (40 g)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DCM-MeOH-NH4OH (90:9:1에서 97:2.7:0.3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4-(3-(8-플루오로-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를 백색 고체 (6 mg, 13%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519 (M+H-H2O)+.
Figure 112016006369948-pct00141
실시예 1 및 2:
4-(3-(8-플루오로-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의 샘플 (1.2 g)을 다음과 같은 키랄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하였다: 칼럼: 키랄셀® OD-H (3 x 25 cm, 5 μm); 이동상: 145 mL/분, 100 bar, 40℃에서 CO2-(1:1 MeOH-아세토니트릴) (45:55); 샘플 제조: DMSO-MeOH (1:1) 중 50 mg/mL; 주입: 3.5 mL.
칼럼으로부터 용리시킨 제1 피크로 4-(3-(8-플루오로-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의 상호전환하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1개의 쌍을 백색 고체 (603 mg)로서 수득하였다.
칼럼으로부터 용리시킨 제2 피크로 상호전환하는 부분입체이성질체 4-(3-(8-플루오로-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2]의 다른 쌍을 백색 고체 (584 mg)로서 수득하였다.
상기 둘에 대한 질량 스펙트럼 및 NMR 스펙트럼은 상기 제시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에 대한 것들과 동일하였다. 실시예 1 및 2의 절대 입체화학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3
4-(3-(S)-(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종의 상호전환하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112016006369948-pct00142
제조예 3A: 4-(3-(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112016006369948-pct00143
톨루엔 (27 mL) 및 EtOH (9 mL)의 혼합물 중 4-브로모-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미국 특허 번호 8,084,620, 중간체 73-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됨] (827 mg, 2.38 mmol), 8-플루오로-1-메틸-3-(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퀴나졸린-2,4(1H,3H)-디온 [중간체 2] (850 mg, 2.07 mmol), 2 M 수성 인산삼칼륨 (3.11 mL, 6.22 m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120 mg, 0.104 mmol)의 혼합물을 질소 하에 환류 하에 밤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tOAc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에 실리카 겔 (330 g) 상에서 DCM-MeOH-NH4OH (90:9:1에서 97:2.7:0.3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4-(3-(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를 백색 고체 (860 mg, 74%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533 (M+H-H2O)+.
Figure 112016006369948-pct00144
대안적 제조예 3A:
DMF (2 mL) 중 4-(3-(8-플루오로-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제조예 1A] (20 mg, 0.037 mmol), 아이오도메탄 (DMF 중 35 mg/mL 용액 0.15 mL; 5.29 mg, 0.037 mmol) 및 Cs2CO3 (12.1 mg, 0.037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유기부를 물 및 10% 수성 LiCl으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12 g)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DCM:MeOH:NH4OH (90:9:1에서 97:2.7:0.3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4-(3-(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를 백색 고체 (19 mg, 93%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533 (M+H-H2O)+.
Figure 112016006369948-pct00145
실시예 3:
4-(3-(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의 샘플 (532 mg, 0.966 mmol)을 다음과 같은 키랄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하였다: 칼럼: 룩스(Lux) Cel-4 (3 x 25 cm, 5 μm); 이동상: 85 mL/분에서 CO2-MeOH (60:40); 샘플 제조: MeOH-아세톤 (9:1) 중 6.7 mg/mL; 주입: 3 mL.
칼럼으로부터 용리시킨 피크 3 및 4를 함께 수집하고, 농축시켜 4-(3-(S)-(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종의 상호전환하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를 담황색 고체 (230 mg)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533 (M+H-H2O)+.
Figure 112016006369948-pct00146
실시예 3의 대안적 합성:
8-플루오로-1-메틸-3-(S)(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퀴나졸린-2,4(1H,3H)-디온 [중간체 3] (13.00 g, 31.7 mmol), 4-브로모-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미국 특허 번호 8,084,620, 중간체 73-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되고, MeOH로부터 재결정화됨] (10.00 g, 28.8 mmol), Cs2CO3 (18.77 g, 57.6 mmol), THF (120 mL) 및 물 (30 mL)의 현탁액을 질소로 5분 동안 버블링한 다음, PdCl2(dppf) DCM 부가물 (1.11 g, 1.44 mmo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40℃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혼합물을 셀라이트®의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고체를 EtOAc로 세척하였다. 합한 여과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330 g)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DCM에서 EtOAc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고체를 수득하였다. 아세톤으로부터의 재결정화로 4-(3-(S)-(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종의 상호전환하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를 결정질 고체 (6.80 g, 86%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6006369948-pct00147
실시예 3의 2종의 상호전환하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절대 입체화학은 도 2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3의 입체화학을 소형 결정 X선 분석에 의해 확인하였다. 여러 결정 형태를 수득하였다.
결정 형태 SA-1을 실온에서의 수성 메탄올 용액의 느린 증발에 의해 제조하였다. 형태 SA-1은 실시예 3의 각각의 분자에 대해 1개의 분자의 메탄올 및 1개의 분자의 물의 화학량론을 갖는 혼합된 용매화물 결정이다.
결정 형태 SB-2를 EtOH/라세미 프로필렌 글리콜의 용액으로부터 제조하였다. 형태 SB-2는 실시예 3의 각각의 분자에 대해 1개의 분자의 1-(S)-프로필렌 글리콜 및 0.5개의 분자의 물의 화학량론을 갖는 혼합된 용매화물 결정이다.
결정 형태 SC-3을 실온에서의 아세톤 용액의 느린 증발에 의해 제조하였다. 형태 SC-3은 실시예 3의 각각의 분자에 대해 1개의 분자의 아세톤 및 1개의 분자의 물의 화학량론을 갖는 혼합된 용매화물 결정이다.
결정 형태 SD-3은 THF 슬러리였다. 형태 SD-3은 실시예 3의 각각의 분자에 대해 1.5개의 분자의 THF 및 1개의 분자의 물의 화학량론을 갖는 혼합된 용매화물 결정이다.
결정 형태 SE-2를 실온에서의 EtOH/THF 용액의 느린 증발에 의해 제조하였다. 형태 SE-2는 실시예 3의 각각의 분자에 대해 1개의 분자의 에탄올 및 0.5개의 분자의 물의 화학량론을 갖는 혼합된 용매화물 결정이다.
결정 형태 M2-4를 실온에서의 메탄올 용액의 느린 증발에 의해 제조하였다. 형태 M2-4는 디메탄올레이트 결정이다.
결정 형태 AN-5를 실온에서의 아세토니트릴 용액의 느린 증발에 의해 제조하였다. 형태 AN-5는 아세토니트릴을 함유한다.
결정 형태 H1-6을 n-BuOAc 슬러리로부터 제조하였다. 형태 H1-6은 1수화물 결정이다.
결정 형태 E-7을 실온에서의 EtOH/THF 용액의 느린 증발에 의해 제조하였다. 형태 E-7은 에탄올을 함유한다.
결정 형태 SE-8을 실온에서의 EtOH/THF 용액의 느린 증발에 의해 제조하였다. 형태 SE-8은 혼합된 용매화물 결정이다.
이들 결정 형태의 단위 셀 파라미터는 표 4에 제시되어 있고, 이들 결정 형태의 분율 원자 좌표는 14를 통해 표 5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4
4-(3-(S)-(8-플루오로-1-메틸(d3)-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종의 상호전환하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112016006369948-pct00148
제조예 4A: 4-(3-(8-플루오로-1-메틸(d3)-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112016006369948-pct00149
톨루엔 (1.2 mL) 및 EtOH (0.4 mL) 중 7-(2-히드록시프로판-2-일)-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4] (53.8 mg, 0.137 mmol), 3-(3-브로모-2-메틸페닐)-8-플루오로-1-메틸(d3)퀴나졸린-2,4(1H,3H)-디온 [중간체 5] (50 mg, 0.137 mmol), 및 K2CO3 (56.6 mg, 0.410 mmol)의 혼합물을 아르곤으로 약 5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1분 초음파처리와 함께). 혼합물을 90℃에서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7.9 mg, 6.83 μmol)으로 16.25시간 동안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MeOH 중에 초음파처리하고, 여과하고, 정제용 HPLC (페노메넥스® 악시아 C18 30 x 100 mm, 10-100% 아세토니트릴-물,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함유, 10분, 30 mL/분, 254 nm)에 의해 5회의 주입으로 정제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합하고, 포화 수성 NaHCO3으로 처리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수성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4-(3-(8-플루오로-1-메틸(d3)-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를 백색 고체 (24.3 mg, 31%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536 (M+H-H2O)+.
Figure 112016006369948-pct00150
실시예 4:
4-(3-(8-플루오로-1-메틸(d3)-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86 mg)를 다음과 같은 키랄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하였다: 칼럼: 룩스 Cel-4 (3 x 25 cm, 5 μm); 이동상: 85 mL/분에서 CO2-MeOH (60:40); 샘플 제조: MeOH-MeCN 중 1.3 mg/mL; 주입: 3 mL. 칼럼으로부터 용리시킨 피크 3 및 4를 함께 수집하고, 농축시켜 4-(3-(S)-(8-플루오로-1-메틸(d3)-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종의 상호전환하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27 mg)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및 NMR은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의 것들과 동일하였다.
실시예 5
4-(2-클로로-3-(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112016006369948-pct00151
7-(2-히드록시프로판-2-일)-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4] (50 mg, 0.127 mmol), 3-(3-브로모-2-클로로페닐)-8-플루오로-1-메틸퀴나졸린-2,4(1H,3H)-디온 [중간체 9] (48.6 mg, 0.127 mmol), EtOH (1 mL), 톨루엔 (1 mL) 및 2 M 수성 Na2CO3 (0.21 mL, 0.418 mmol)의 혼합물을 질소로 5분 동안 버블링하고,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11.7 mg, 10.2 μmol)으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90℃에서 16시간 동안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12 g)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1% 트리에틸아민을 함유하는 MeOH-DCM (0-5%로부터의 구배)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였다. 생성된 물질을 정제용 HPLC (페노메넥스® 악시아 C18 30 x 100 mm)를 사용하여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함유하는 MeCN-물 (20-100%로부터의 구배, 10분, 30 mL/분)로 용리시키면서 추가로 정제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합하고, 포화 수성 NaHCO3으로 처리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 중에 용해시키고, 물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4-(2-클로로-3-(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 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를 백색 고체 (6 mg, 8%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571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152
실시예 6
4-(2-클로로-3-(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112016006369948-pct00153
7-(2-히드록시프로판-2-일)-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4] (140 mg, 0.356 mmol), (Z)-4-((3-브로모-2-클로로페닐)이미노)-1-메틸-1H-벤조[d][1,3]옥사진-2(4H)-온 [중간체 8] (100 mg, 0.274 mmol), K2CO3 (151 mg, 1.09 mmol), 톨루엔 (3 mL) 및 EtOH (3 mL)의 혼합물을 질소로 5분 동안 버블링하고, 테트라키스 (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32 mg, 0.027 mmol)으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90℃에서 가열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물과 EtOAc 사이에 분배하고, 수성 상을 EtOAc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80 g)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0.5% NH4OH를 함유하는 MeOH-DCM (0-10%로부터의 구배)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이를 정제용 HPLC에 의해 TFA를 함유하는 MeCN-물 (30-100%로부터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추가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합한 분획을 포화 수성 NaHCO3으로 처리하고, 농축시켰다. 수성 잔류물을 EtOAc로 3회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4-(2-클로로-3-(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를 회백색 고체 (50 mg, 32%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535, 537 (M+H-H2O)+.
Figure 112016006369948-pct00154
실시예 7
7-(2-히드록시프로판-2-일)-4-(3-(8-메톡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112016006369948-pct00155
압력 반응 바이알에 들은 THF (2 mL) 및 물 (0.5 mL) 중 7-(2-히드록시프로판-2-일)-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4] (42 mg, 0.107 mmol), 3-(3-브로모-2-메틸페닐)-8-메톡시-1-메틸퀴나졸린-2,4(1H,3H)-디온 [중간체 6] (40 mg, 0.107 mmol), PdCl2(dppf) DCM 부가물 (8.7 mg, 10.7 μmol) 및 Cs2CO3 (70 mg, 0.213 mmol)의 혼합물을 70℃에서 가열하였다. 2시간 후, 추가의 7-(2-히드록시프로판-2-일)-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0 mg, 0.051 mmol)를 첨가한 후, 가열을 추가로 6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의 유기 상을 분리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40 g)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EtOAc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7-(2-히드록시프로판-2-일)-4-(3-(8-메톡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54 mg, 85% 수율)를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545 (M-H2O+H)+, 585 (M+Na)+.
Figure 112016006369948-pct00156
실시예 8
4-(3-(6-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112016006369948-pct00157
THF (2 mL) 중 7-(2-히드록시프로판-2-일)-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4] (40 mg, 0.101 mmol), 3-(3-브로모-2-메틸페닐)-6-플루오로-1-메틸퀴나졸린-2,4(1H,3H)-디온 [중간체 7] (37 mg, 0.101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5.9 mg, 5.07 μmol) 및 2 M 수성 인산삼칼륨 (0.101 mL, 0.203 mmol)의 혼합물을 110℃에서 10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유기 상을 분리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 (워터스 엑스브리지 C18, 19 x 150 mm, 5-μm)에 의해 10 mM 아세트산암모늄를 함유하는 MeOH-물 (5-95%로부터의 구배, 20 mL/분)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원심 증발을 통해 건조시켰다. 물질을 정제용 HPLC (워터스 엑스브리지 C18, 19 x 250 mm, 5-μm)에 의해 10 mM 아세트산암모늄을 함유하는 MeCN-물 (5-95%로부터의 구배, 20 mL/분)로 용리시키면서 추가로 정제하였다. 목적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원심 증발을 통해 건조시켜 4-(3-(6-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15 mg, 27% 수율)를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533 (M-H2O+H)+.
Figure 112016006369948-pct00158
실시예 9
4-(3-(3-(4-플루오로페닐)-2,6-디옥소-2,3-디히드로피리미딘-1(6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112016006369948-pct00159
THF (5.0 mL) 및 물 (1.3 mL) 중 7-(2-히드록시프로판-2-일)-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4] (100 mg, 0.254 mmol), 3-(3-브로모-2-메틸페닐)-1-(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4(1H,3H)-디온 [중간체 21] (100 mg, 0.266 mmol), Cs2CO3 (165 mg, 0.507 mmol) 및 PdCl2(dppf) DCM 부가물 (20.7 mg, 0.025 mmol)의 혼합물을 45℃에서 17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가열을 80℃로 2시간 동안 증가시킨 다음, 85℃에서 18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농축시키고, DMF-MeOH 중에 용해시키고,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합하고, 고체 NaHCO3으로 처리하고, 수성 현탁액으로 농축시켰다.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여과물을 농축시켜 추가의 침전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2종의 침전물을 합하여 4-(3-(3-(4-플루오로페닐)-2,6-디옥소-2,3-디히드로피리미딘-1(6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를 백색 고체 (59 mg, 41%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545 (M+H-H2O)+.
Figure 112016006369948-pct00160
실시예 10
7-(2-히드록시프로판-2-일)-4-(3-(7-메톡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112016006369948-pct00161
DMF (1.5 mL) 중 7-(2-히드록시프로판-2-일)-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4] (26.4 mg, 0.067 mmol), 2-(3-브로모-2-메틸페닐)-7-메톡시-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 [중간체 12] (22 mg, 0.061 mmol) 및 2 M 수성 Na2CO3 (0.076 mL, 0.152 mmol)의 혼합물을 아르곤으로 5분 동안 버블링한 다음, PdCl2(dppf) DCM 부가물 (2.5 mg, 3.05 μmol)로 처리하였다. 추가로 30초 동안 아르곤으로 버블링한 후, 바이알을 밀봉하고, 혼합물을 9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된 혼합물을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하고,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24 g)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EtOAc-헥산 (순차적으로 85%, 95% 및 100%)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7-(2-히드록시프로판-2-일)-4-(3-(7-메톡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를 황색 고체 (11.6 mg, 34%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531 (M+H-H2O)+.
Figure 112016006369948-pct00162
실시예 11
7-(2-히드록시프로판-2-일)-4-(3-(6-메톡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112016006369948-pct00163
THF (1.5 mL) 및 물 (0.375 mL) 중 7-(2-히드록시프로판-2-일)-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4] (48 mg, 0.122 mmol), 2-(3-브로모-2-메틸페닐)-6-메톡시-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 [중간체 11] (40 mg, 0.111 mmol) 및 Cs2CO3 (72 mg, 0.221 mmol)의 혼합물을 아르곤으로 3분 동안 버블링한 다음, PdCl2(dppf) DCM 부가물 (4.5 mg, 5.54 μmol)로 처리하였다. 아르곤을 사용하여 1분 동안 버블링을 계속한 다음, 혼합물을 45℃에서 가열하였다. 3.5시간 후,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EtOAc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합한 수성 층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24 g)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EtOAc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불순한 물질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포화 수성 NaHCO3으로 처리하고, 합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7-(2-히드록시프로판-2-일)-4-(3-(6-메톡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를 황색 고체 (17.7 mg, 28%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549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164
실시예 12
7-(2-히드록시프로판-2-일)-4-(3-(5-메톡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112016006369948-pct00165
실온에서 DMF (1.5 mL) 중 7-(2-히드록시프로판-2-일)-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4] (88 mg, 0.222 mmol), 2-(3-브로모-2-메틸페닐)-5-메톡시-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 [중간체 10] (73 mg, 0.202 mmol) 및 2 M 수성 Na2CO3 (0.252 mL, 0.505 mmol)의 혼합물을 아르곤으로 5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PdCl2(dppf) DCM 부가물 (8.2 mg, 10.1 μmol)을 첨가하고, 질소를 사용한 버블링을 추가로 30초 동안 계속하고, 혼합물을 90℃에서 가열하였다. 4시간 후, 냉각된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합한 수성 층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40 g)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EtOAc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갈색빛 고체를 수득하였다. 이를 초음파처리하면서 MeOH 중에 연화처리하고,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건조시켜 7-(2-히드록시프로판-2-일)-4-(3-(5-메톡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를 담황색-황갈색 고체 (29.7 mg, 25%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549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166
실시예 13
4-(3-(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112016006369948-pct00167
THF (1.5 mL) 및 물 (0.375 mL) 중 4-브로모-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미국 특허 번호 8,084,620, 중간체 73-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됨] (23.1 mg, 0.067 mmol), 5-클로로-2-(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 (25 mg, 0.061 mmol) [중간체 13] 및 Cs2CO3 (39.5 mg, 0.121 mmol)의 혼합물을 아르곤으로 3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혼합물을 PdCl2(dppf) DCM 부가물 (2.5 mg, 3.03 μmol)로 처리하고, 버블링을 1분 동안 계속하였다. 혼합물을 45℃에서 3.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된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합한 수성 층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정제용 HPLC (루나 악시아 C18 30x100mm, 5 μm)에 의해 0.1% TFA를 함유하는 MeCN-물 (30-90%로부터의 구배, 30 mL/분)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4-(3-(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를 황색 고체 (14 mg, 39%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553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168
실시예 14 및 15
4-(3-(R)-(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4), 및
4-(3-(S)-(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5)
Figure 112016006369948-pct00169
4-(3-(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실시예 13]의 샘플을 다음과 같은 키랄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하였다: 칼럼: 룩스 셀룰로스(Lux Cellulose)-3 (3 x 25 cm, 5 μm); 이동상: 140 mL/분, 100 bar, 35℃에서 CO2-MeOH (70:30); 샘플 제조: MeOH 중 13 mg/mL; 주입: 4.5 mL; 제2 패스: 칼럼: 키랄셀® AS (2 x 50 cm, 10 μm); 이동상: 120 mL/분, 100 bar, 35℃에서 CO2-MeOH (55:45).
칼럼으로부터 용리시킨 제1 및 제3 피크를 합하여 4-(3-(R)-(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의 2종의 상호전환하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4]. 질량 스펙트럼 m/z 553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170
칼럼으로부터 용리시킨 제2 및 제4 피크를 합하여 4-(3-(S)-(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의 2종의 다른 상호전환하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5]. 질량 스펙트럼 m/z 553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171
실시예 15의 대안적 합성
4-(3-(S)-(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종의 상호전환하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112016006369948-pct00172
THF (3.0 mL) 중 4-브로모-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미국 특허 번호 8,084,620, 중간체 73-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됨] (0.16 g, 0.461 mmol), 5-클로로-2-(S)-(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 (단일 거울상이성질체) [중간체 15] (0.209 g, 0.507 mmol) 및 3 M 수성 K3PO4 (0.384 mL, 1.15 mmol)의 용액을 아르곤으로 5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혼합물을 1,1'-비스(디-t-부틸포스피노)페로센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15 mg, 23 μmol)로 처리하고, 버블링을 30초 동안 계속하였다. 반응 용기를 밀봉하고, 아르곤을 사용한 배출 및 충전의 3회 사이클을 수행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EtOAc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합한 수성 층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1/4 스케일로 수행된 동일한 반응으로부터의 것과 합하고,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4-(3-(S)-(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종의 상호전환하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를 황색 고체 (154 mg, 48%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16
4-(3-(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피발아미도-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112016006369948-pct00173
THF (2.5 mL) 및 물 (0.625 mL) 중 4-브로모-7-피발아미도-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미국 특허 번호 8,084,620, 실시예 57-5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됨] (0.062 g, 0.160 mmol), 5-클로로-2-(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 [중간체 13] (0.055 g, 0.133 mmol) 및 Cs2CO3 (0.087 g, 0.267 mmol)의 혼합물을 질소로 2분 동안 버블링한 다음, PdCl2(dppf) DCM 부가물 (5.4 mg, 6.66 μmol)로 처리하였다. 버블링을 30초 동안 계속한 다음, 혼합물을 60℃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EtOAc-헥산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4-(3-(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피발아미도-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를 황색 고체 (38 mg, 42%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594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174
실시예 17
4-(3-(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메톡시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112016006369948-pct00175
THF (1.5 mL) 및 물 (0.375 mL) 중 4-브로모-7-(메톡시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25] (31.1 mg, 0.093 mmol), 5-클로로-2-(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 [중간체 13] (35 mg, 0.085 mmol) 및 Cs2CO3 (55.3 mg, 0.170 mmol)의 혼합물을 아르곤으로 3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혼합물을 PdCl2(dppf) DCM 부가물 (3.5 mg, 4.24 μmol)로 처리하고, 버블링을 1분 동안 계속하였다. 혼합물을 45℃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혼합물을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하고,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합한 수성 층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함유 분획을 포화 수성 NaHCO3으로 처리하고, 합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24 g에 이어서 12 g)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EtOAc로 용리시키면서 2회 정제하여 4-(3-(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메톡시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를 황색 고체 (9.7 mg, 20%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539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176
실시예 18
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메톡시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112016006369948-pct00177
디옥산 (2.0 mL) 및 물 (0.5 mL) 중 4-브로모-7-(메톡시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25] (0.05 g, 0.150 mmol), 5-플루오로-2-(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 [중간체 18] (0.065 g, 0.165 mmol) 및 Cs2CO3 (0.098 g, 0.300 mmol)의 혼합물을 아르곤으로 2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혼합물을 PdCl2(dppf) DCM 부가물 (6.1 mg, 7.50 μmol)로 처리하고, 추가로 30초 동안 아르곤으로 버블링한 다음, 50℃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된 혼합물을 DCM-MeOH로 희석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40 g)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EtOAc-헥산 (80-100%로부터의 구배)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메톡시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를 황색 고체 (0.0481 g, 57%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523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178
실시예 19
4-(3-(4-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112016006369948-pct00179
THF (1.5 mL) 및 물 (0.375 mL) 중 4-브로모-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미국 특허 번호 8,084,620, 중간체 73-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됨] (0.034 g, 0.097 mmol), 4-플루오로-2-(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 [중간체 16] (0.035 g, 0.088 mmol) 및 Cs2CO3 (0.058 g, 0.177 mmol)의 혼합물을 아르곤으로 3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혼합물을 PdCl2(dppf) DCM 부가물 (3.6 mg, 4.42 μmol)로 처리하고, 추가로 1분 동안 아르곤으로 버블링하고, 45℃에서 가열하였다. 5시간 후, 냉각된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합한 수성 층을 EtOAc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포화 수성 NaHCO3으로 처리하고, 합하고, EtOAc와 포화 수성 NaHCO3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4-(3-(4-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 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를 황색 고체 (0.0109 g, 22%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537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180
실시예 20
4-(3-(5,7-디옥소-5H-티아졸로[3,2-c]피리미딘-6(7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112016006369948-pct00181
THF (2.0 mL) 및 물 (0.5 mL) 중 4-브로모-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미국 특허 번호 8,084,620, 중간체 73-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됨] (0.040 g, 0.115 mmol), 6-(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 페닐)-5H-티아졸로[3,2-c]피리미딘-5,7(6H)-디온 [중간체 17] (0.04 g, 0.104 mmol) 및 Cs2CO3 (0.068 g, 0.208 mmol)의 혼합물을 아르곤으로 3분 동안 버블링한 다음, PdCl2(dppf) DCM 부가물 (4.3 mg, 5.20 μmol)로 처리하였다. 추가로 30초 동안 버블링을 계속한 다음, 혼합물을 50℃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된 혼합물을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하고,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였다. 합한 수성 층을 EtOAc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40 g)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EtOAc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4-(3-(5,7-디옥소-5H-티아졸로[3,2-c]피리미딘-6(7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를 적색빛 고체 (0.032 g, 56%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525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182
실시예 21
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112016006369948-pct00183
THF (2.0 mL) 및 물 (0.5 mL) 중 4-브로모-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미국 특허 번호 8,084,620, 중간체 73-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됨] (0.048 g, 0.139 mmol), 5-플루오로-2-(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 [중간체 18] (0.050 g, 0.126 mmol) 및 Cs2CO3 (0.082 g, 0.252 mmol)의 혼합물을 질소로 2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혼합물을 PdCl2(dppf) DCM 부가물 (5.2 mg, 6.31 μmol)로 처리하고, 버블링을 30초 동안 계속하고, 바이알을 밀봉하였다. 혼합물을 50℃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된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합한 수성 층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를 황색 고체 (0.0375 g, 54%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537 (M+H)+.
Figure 112016006369948-pct00184
실시예 22 및 23
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종의 상호전환하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112016006369948-pct00185
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실시예 21]의 샘플을 다음과 같은 키랄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하였다: 제1 패스: 칼럼: 키랄팩(CHIRALPAK)® IA (3 x 25 cm, 5 μm); 이동상: 150 mL/분, 100 bar, 40℃에서 CO2-MeOH (50:50); 샘플 제조: DMSO 첨가된 MeOH-DCM (1:1) 중 7 mg/mL; 주입: 2 mL; 제2 패스: 칼럼: 키랄셀® OD-H (3 x 25 cm, 5 μm); 이동상: 120 mL/분, 100 bar, 35℃에서 CO2-MeOH (50:50); 샘플 제조: MeOH-클로로포름 (3:1) 중 3.7 mg/mL; 주입: 4 mL.
칼럼으로부터 용리시킨 제1 및 제2 피크를 합하여 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의 2종의 상호전환하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2]. 질량 스펙트럼 m/z 519 (M+H-H2O)+.
Figure 112016006369948-pct00186
칼럼으로부터 용리시킨 제3 및 제4 피크를 합하여 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의 2종의 상호전환하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또 다른 혼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23]. 질량 스펙트럼 m/z 519 (M+H-H2O)+.
Figure 112016006369948-pct00187
실시예 22의 대안적 합성:
실시예 15의 대안적 합성의 절차를 사용하여, 4-브로모-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미국 특허 번호 8,084,620, 중간체 73-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됨] 및 5-플루오로-2-(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1H-피리도[1,2-c]피리미딘-1,3(2H)-디온 (단일 거울상이성질체) [중간체 19]을 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종의 상호전환하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 황색 고체로서 전환시켰다.
실시예 23의 대안적 합성:
실시예 15의 대안적 합성의 절차를 사용하여, 4-브로모-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미국 특허 번호 8,084,620, 중간체 73-2에 지개된 절차에 따라 합성됨] 및 5-플루오로-2-(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1H-피리도[1,2-c] 피리미딘-1,3(2H)-디온 (단일 거울상이성질체) [중간체 20]을 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종의 상호전환하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 황색 고체로서 전환시켰다.
실시예 24
4-(3-(S)-(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5-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112016006369948-pct00188
바이알에 들은 THF (1.25 mL) 중 4-브로모-7-(2-히드록시프로판-2-일)-5-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22] (45 mg, 0.125 mmol), 8-플루오로-1-메틸-3-(S)-(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퀴나졸린-2,4(1H,3H)-디온 [중간체 3] (61 mg, 0.149 mmol), 및 2.0 M 수성 K3PO4 (0.187 mL, 0.374 mmol)의 혼합물을 아르곤으로 1분 동안 버블링하면서 초음파 수조에서 휘저었다. 혼합물을 1,1'-비스(디-t-부틸포스피노) 페로센 염화팔라듐 (II) (5.1 mg, 6.23 μmol)으로 처리하고, 바이알을 밀봉하고, 45℃에서 가열하였다. 15.25시간 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 중에 초음파처리하고, 상청액을 여과하고, 정제용 HPLC (페노메넥스® 악시아 C18)에 의해 0.1% TFA를 함유하는 MeCN-물 (10-100%로부터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포화 수성 NaHCO3으로 처리하고, 농축시켜 수성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4-(3-(S)-(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5-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를 백색 고체 (49.4 mg, 67%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547 (M+H-H2O)+.
Figure 112016006369948-pct00189
실시예 25
4-(3-(S)-(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5-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단일 부분입체이성질체)
Figure 112016006369948-pct00190
4-(3-(S)-(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5-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실시예 24] (42.7 mg, 0.076 mmol)를 다음과 같은 키랄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해하였다: 칼럼: 레지스((Regis) 웰크-O(WHELK-O)® R,R (3 x 25, 5μm); 이동상: 85 mL/분, 100 bar에서 CO2-MeOH (60:40); 샘플 제조: MeCN-MeOH (9:1) 중 10.7 mg/mL; 주입: 0.50 mL. 칼럼으로부터 용리시킨 제2 피크를 농축시켜 단일 부분입체이성질체 (4-(R)-(3-(S)-(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로 추정됨)를 회백색 고체 (13.0 mg)로서 수득하였다. 키랄 순도는 89%인 것으로 밝혀졌다. 질량 스펙트럼 m/z 547 (M+H-H2O)+.
Figure 112016006369948-pct00191
실시예 26
4-(3-(S)-(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8-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종의 상호전환하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112016006369948-pct00192
바이알에 들은 THF (1 mL) 중 4-브로모-7-(2-히드록시프로판-2-일)-8-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23] (30 mg, 0.083 mmol), 8-플루오로-1-메틸-3-(S)-(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퀴나졸린-2,4(1H,3H)-디온 [중간체 3] (40.9 mg, 0.100 mmol), 및 2.0 M 수성 K3PO4 (125 μL, 0.249 mmol)의 혼합물을 초음파처리하면서 아르곤으로 1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혼합물을 1,1'-비스(디-t-부틸포스피노)페로센 염화팔라듐 (II) (3.4 mg, 4.15 μmol)으로 처리하고, 튜브를 밀봉하고, 45℃에서 가열하였다. 15.25시간 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MeCN 중에 초음파처리하고, 상청액을 여과하고, 정제용 HPLC (페노메넥스® 악시아 C18 30 x 100 mm)에 의해 0.1% TFA를 함유하는 MeCN-물 (10-100%로부터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합하고, 포화 수성 NaHCO3으로 처리하고, 농축시켜 수성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4-(3-(S)-(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8-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종의 상호전환하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를 회백색 고체 (33 mg, 70%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547 (M+H-H2O)+.
Figure 112016006369948-pct00193
실시예 27
4-(3-(S)-(8-플루오로-1-메틸(d3)-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5-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112016006369948-pct00194
바이알에 들은 THF (1.25 mL) 중 4-브로모-7-(2-히드록시프로판-2-일)-5-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22] (45 mg, 0.125 mmol), 8-플루오로-1-메틸(d3)-3-(S)-(2-메틸-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퀴나졸린-2,4(1H,3H)-디온 [중간체 24] (62 mg, 0.149 mmol), 및 2.0 M 수성 K3PO4 (0.187 mL, 0.374 mmol)의 혼합물을 초음파처리하면서 아르곤으로 1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혼합물을 1,1'-비스(디-t-부틸포스피노)페로센 염화팔라듐 (II) (5.1 mg, 6.23 μmol)으로 처리하고, 튜브를 밀봉하고, 45℃에서 가열하였다. 16.5시간 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MeCN 중에 초음파처리하고, 여과하고, 정제용 HPLC (페노메넥스® 악시아 C18 30 x 100 mm)에 의해 0.1% TFA를 함유하는 MeCN-물 (10-100%로부터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였다. 생성물-함유 분획을 합하고, 포화 수성 NaHCO3으로 처리하고, 수성 현탁액으로 농축시켰다.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로 헹구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4-(3-(S)-(8-플루오로-1-메틸(d3)-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5-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를 회백색 고체 (41.0 mg, 57%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550 (M+H-H2O)+.
Figure 112016006369948-pct00195
기재되거나 또는 기재된 것들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또는 통상의 기술자가 이용가능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중간체를 사용하여, 표 2에서의 화합물을 상기 기재된 것들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하였다.
<표 2>
Figure 112016006369948-pct00196
Figure 112016006369948-pct00197
비교 실시예 34
7-(2-히드록시프로판-2-일)-4-(2-메틸-3-(4-옥소퀴나졸린-3(4H)-일)페닐)-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6006369948-pct00198
비교 실시예 34는 미국 특허 번호 8,084,620에 실시예 76-15로서 개시되었고, 그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되었다.
비교 실시예 35
7-(2-히드록시프로판-2-일)-3-메틸-4-(2-메틸-3-(4-옥소퀴나졸린-3(4H)-일)페닐)-9H-피리도[3,4-b]인돌-1-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6006369948-pct00199
비교 실시예 35는 WO 2011/159857에 실시예 38로서 개시되었고, 그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되었다.
생물학적 검정
인간 재조합 Btk 효소 검정
V-바닥 384-웰 플레이트에 시험 화합물, 인간 재조합 Btk (1 nM, 인비트로젠(INVITROGEN)® 코포레이션(Corporation)), 플루오레세인화 펩티드 (1.5 μM), ATP (20 μM), 및 검정 완충제 (1.6% DMSO 중 20 mM HEPES pH 7.4, 10 mM MgCl2, 0.015% 브리즈(Brij) 35 계면활성제 및 4 mM DTT)를 30 μL의 최종 부피로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60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각각의 샘플에 45 μL의 35 mM EDTA를 첨가함으로써 반응을 종결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형광 기질 및 인산화 생성물의 전기영동 분리에 의해 캘리퍼(Caliper) 랩칩(LABCHIP)® 3000 (캘리퍼, 매사추세츠주 홉킨톤) 상에서 분석하였다. 100% 억제를 위한 효소 무함유 대조군 반응 및 0% 억제를 위한 억제제 무함유 대조군과 비교하여 억제 데이터를 계산하였다. 용량 반응 곡선을 생성하여 키나제 활성의 50%를 억제하는데 요구되는 농도 (IC50)를 결정하였다. 화합물을 DMSO 중에 10 mM으로 용해시키고, 11가지의 농도에서 평가하였다.
라모스 FLIPR 검정
0.1% BSA (시그마(Sigma) A8577)를 함유하는 RPMI (페놀 레드 제외) (인비트로젠 11835-030) 및 50 mM HEPES (인비트로젠 15630-130) 중 2 x 106개 세포/mL의 밀도의 라모스 RA1 B 세포 (ATCC CRL-1596)를 1/2 부피의 칼슘 로딩 완충제 (프로베네시드 감수성 검정을 위한 BD 벌크 키트, # 640177)에 첨가하고, 암실에서 1시간 동안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염료-로딩된 세포를 펠릿화시키고 (베크만(Beckmann) GS-CKR, 1200 rpm, 실온, 5분), 50 mM HEPES 및 10% FBS를 함유하는 RPMI (페놀 레드 제외) 중에 실온에서 1 x 106개 세포/mL의 밀도로 재현탁시켰다. 150 μL 분취량 (150,000/웰)을 96 웰 폴리-D-리신 코팅된 검정 플레이트 (BD 35 4640)에 플레이팅하고, 간략하게 원심분리하였다 (베크만 GS-CKR 800 rpm, 5분, 제동 없음). 0.4% DMSO/RPMI (페놀 레드 제외) + 50 mM HEPES + 10% FBS 중 50 μL 화합물 희석물을 웰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암실에서 1시간 동안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검정 플레이트를 상기와 같이 간략하게 원심분리한 후, 칼슘 수준을 측정하였다.
FLIPR1 (몰레큘라 디바이시스(Molecular Devices))을 사용하여, 염소 항-인간 IgM (인비트로젠 AHI0601)을 2.5 μg/mL까지 첨가함으로써 세포를 자극하였다. 세포내 칼슘 농도의 변화를 180초 동안 측정하고, 퍼센트 억제를 오직 자극만의 존재 하에 보여지는 피크 칼슘 수준에 대해 상대적으로 결정하였다.
Jak2 티로신 키나제 검정
Jak2 티로신 키나제에 대한 활성을 갖는 화합물이 임상 시험에서 인간 환자에서 혈소판감소증, 빈혈 및 호중구감소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참조, 예를 들어, 문헌 [Pardanani, A., Leukemia, 26:1449 (2012)] 참조). Jak2 신호전달은 EPO 및 TPO를 통해 발생하며, 이는 각각 적혈구 및 혈소판 증식을 제어한다. 따라서, Jak2 티로신 키나제의 억제는 잠재적으로 임상에서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 Jak2 티로신 키나제에 비해 개선된 선택성을 갖는 Btk 억제제는 Jak2 티로신 키나제의 억제와 관련된 표적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요망된다.
검정을 V-바닥 384-웰 플레이트에서 수행하였다. 분석 완충제 (100 mM HEPES pH 7.4, 10 mM MgCl2, 25 mM 베타-글리세롤포스페이트, 0.015% 브리즈 35 계면활성제 및 4 mM DTT) 중 효소 및 기질 (플루오레세인화 펩티드 및 ATP) 및 시험 화합물의 15 μl 첨가로부터 제조된 최종 검정 부피는 30 μl였다. 반응을 Jak2 티로신 키나제와 기질 및 시험 화합물의 조합에 의해 개시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60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각각의 샘플에 45 μL의 35 mM EDTA를 첨가함으로써 반응을 종결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형광 기질 및 인산화 생성물의 전기영동 분리에 의해 캘리퍼 랩칩® 3000 상에서 분석하였다. 100% 억제를 위한 효소 무함유 대조군 반응 및 0% 억제를 위한 비히클-단독 반응과 비교하여 억제 데이터를 계산하였다. 검정 중 시약의 최종 농도는 ATP, 30 μM; Jak2 형광 펩티드, 1.5 μM; Jak2, 1 nM; 및 DMSO, 1.6%이다. 용량 반응 곡선을 생성하여 키나제 활성의 50%를 억제하는데 요구되는 농도 (IC50)를 결정하였다. 화합물을 DMSO 중에 10 mM로 용해시키고, 11가지의 농도에서 각각 2회 반복으로 평가하였다. IC50 값을 비-선형 회귀 분석에 의해 유도하였다.
B 세포 상의 BCR-자극된 CD69 발현의 전혈 검정
전혈 검정에서 B 세포 인간 상의 CD69 발현을 억제하는데 있어서 Btk 억제제 화합물의 효능은 임상에서 효과적인 용량을 예측하고 잠재적 부작용을 최소화하는데 유용하다. 전혈 CD69 발현 검정에서 보다 높은 활성을 갖는 Btk 억제제 화합물은 보다 낮은 활성을 갖는 화합물에 비해 보다 더 낮은 용량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되고, 보다 적은 원치 않는 부작용을 유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Uetrecht, Chem. Res. Toxicol., 12, 387-395 (1999); Nakayama, Drug Metabolism and Disposition, 37(9):1970-1977 (2009); Sakatis, Chem. Res. Toxicol. (2012)).
BCR-자극된 B 세포를 측정하기 위해, ACD-A 인간 전혈을 다양한 농도의 시험 화합물로 처리하고, 30 μg/mL 아피니퓨어(AffiniPure) F(ab')2 단편 염소 항 인간 IgM (잭슨(Jackson) 109-006-1299 - 정화된 내독소) 및 10 ng/mL 인간 IL-4 (페프로테크(Peprotech) 200-04)로 18시간 동안 37℃에서 교반하면서 자극하였다. 세포를 인간 감마 글로불린 (잭슨 009-000-002)으로 차단하고, FITC-접합된 마우스 항-인간 CD20 (BD 파밍겐(BD Pharmingen) 555622) 및 PE-접합된 마우스 항-인간 CD69 모노클로날 항체 (BD 파밍겐 555531)으로 염색하고, 용해시키고, 고정한 다음, 세척하였다. CD69 발현의 양은 FACS 분석에 의해 측정된 CD20-양성 B 세포 집단에 대한 게이팅 후 중앙 형광 강도 (MFI)에 의해 정량화하였다.
B 세포 상의 BCR-자극된 CD69 발현의 전혈 검정에서, Btk 억제제 화합물의 증가된 효능은 보다 낮은 CD69 IC50 값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표 3>
Figure 112016006369948-pct00200
Figure 112016006369948-pct00201
실시예 1 내지 33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미국 특허 번호 8,084,620 및 WO 2011/159857에 각각 개시된 비교 실시예 34 및 35와 비교하였고,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Btk 억제 활성, 및 Jak2 억제 활성에 비해 Btk 억제 활성의 개선된 키나제 선택성의 조합의 놀라운 이점을 갖는다.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보고된 시험에서, 실시예 1 내지 33은 Btk 억제 활성의 효능, 및 Jak2/Btk IC50 값의 비를 특징으로 하는 Jak2 억제 활성에 비해 Btk 억제 활성의 개선된 키나제 선택성의 조합의 놀라운 이점을 제시한다. Jak2 키나제에 비해 Btk 키나제에 대한 증가된 선택성은 Jak2/Btk IC50 값의 비에 대한 보다 큰 값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실시예 1 내지 33은 6 nM 미만의 Btk IC50 값 및 150 이상의 Jak2/Btk IC50 값의 비를 가졌다. 대조적으로, 비교 실시예 34 및 35는 각각 2.6 및 6.9 nM의 Btk IC50 값 및 92 및 29의 Jak2/Btk IC50 값의 비를 가졌다.
추가로, 실시예 1 내지 33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화합물은, 비교 실시예 34와 비교하여, 전혈 BCR-자극된 CD69 발현 검정에서 개선된 효력을 또한 갖는다.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보고된 시험에서, 실시예 1 내지 33은 Btk 억제 활성의 효능, Jak2 억제 활성에 비해 Btk 억제 활성의 개선된 키나제 선택성, 및 전혈 BCR-자극된 CD69 발현 검정에서의 개선된 효력의 조합의 놀라운 이점을 제시한다. 실시예 1 내지 33은 6 nM 미만의 Btk IC50 값, 150 이상의 Jak2/Btk IC50 값의 비, 및 250 nM 이하의 CD69 IC50 값을 가졌다. 대조적으로, 비교 실시예 34는 2.6 nM의 Btk IC50 값, 92의 Jak2/Btk IC50 값, 및 650 nM의 CD69 IC50 값을 가졌다.
<표 4>
단결정 X선 회절에 의해 결정된 실시예 3의 결정 형태의 단위 셀 파라미터
Figure 112016006369948-pct00202
<표 5>
실온에서의 실시예 3의 SA-1 형태에 대한 분율 원자 좌표
Figure 112016006369948-pct00203
Figure 112016006369948-pct00204
Figure 112016006369948-pct00205
<표 6>
203K에서의 실시예 3의 SB-2 형태에 대한 분율 원자 좌표
Figure 112016006369948-pct00206
Figure 112016006369948-pct00207
Figure 112016006369948-pct00208
Figure 112016006369948-pct00209
<표 7>
203K에서의 실시예 3의 SE-2 형태에 대한 분율 원자 좌표
Figure 112016006369948-pct00210
Figure 112016006369948-pct00211
Figure 112016006369948-pct00212
Figure 112016006369948-pct00213
<표 8>
203K에서의 실시예 3의 SC-3 형태에 대한 분율 원자 좌표
Figure 112016006369948-pct00214
Figure 112016006369948-pct00215
Figure 112016006369948-pct00216
Figure 112016006369948-pct00217
<표 9>
203K에서의 실시예 3의 SD-3 형태에 대한 분율 원자 좌표
Figure 112016006369948-pct00218
Figure 112016006369948-pct00219
Figure 112016006369948-pct00220
Figure 112016006369948-pct00221
<표 10>
203K에서의 실시예 3의 M2-4 형태에 대한 분율 원자 좌표
Figure 112016006369948-pct00222
Figure 112016006369948-pct00223
Figure 112016006369948-pct00224
Figure 112016006369948-pct00225
<표 11>
203K에서의 실시예 3의 AN-5 형태에 대한 분율 원자 좌표
Figure 112016006369948-pct00226
Figure 112016006369948-pct00227
Figure 112016006369948-pct00228
<표 12>
실온에서의 실시예 3의 H1-6 형태에 대한 분율 원자 좌표
Figure 112016006369948-pct00229
Figure 112016006369948-pct00230
Figure 112016006369948-pct00231
<표 13>
실온에서의 실시예 3의 E-7 형태에 대한 분율 원자 좌표
Figure 112016006369948-pct00232
Figure 112016006369948-pct00233
<표 14>
203K에서의 실시예 3의 SE-8 형태에 대한 분율 원자 좌표
Figure 112016006369948-pct00234
Figure 112016006369948-pct00235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화학식 I>
    Figure 112016006369948-pct00236

    상기 식에서,
    Q는
    Figure 112016006369948-pct00237
    이고;
    R1은 -C(CH3)2OH, -NHC(=O)C(CH3)3, -N(CH3)2, 또는 -CH2Rd이고;
    R2는 Cl 또는 -CH3이고;
    R3은 H, F, 또는 -CH3이고;
    Ra는 H 또는 -CH3이고;
    Rb는 H, F, Cl, 또는 -OCH3이고;
    Rc는 H 또는 F이고;
    Rd는 -OH, -OCH3, -NHC(=O)CH3, 또는
    Figure 112016006369948-pct00238
    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Q가
    Figure 112016006369948-pct00239
    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a가 -CH3이고;
    Rb가 F, Cl, 또는 -OCH3이고;
    Rc가 F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2가 -CH3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Q가
    Figure 112019066398321-pct00240
    이고;
    R1이 C(CH3)2OH인
    화합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Q가
    Figure 112019066398321-pct00241
    이고;
    R2가 -CH3이고;
    R3이 H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
  7. 제1항에 있어서, 4-(3-(8-플루오로-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 및 2); 4-(3-(S)-(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3); 4-(3-(S)-(8-플루오로-1-메틸(d3)-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4); 4-(2-클로로-3-(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5); 4-(2-클로로-3-(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6); 7-(2-히드록시프로판-2-일)-4-(3-(8-메톡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7); 4-(3-(6-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8); 4-(3-(3-(4-플루오로페닐)-2,6-디옥소-2,3-디히드로피리미딘-1(6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9); 7-(2-히드록시프로판-2-일)-4-(3-(7-메톡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0); 7-(2-히드록시프로판-2-일)-4-(3-(6-메톡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1); 7-(2-히드록시프로판-2-일)-4-(3-(5-메톡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2); 4-(3-(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3); 4-(3-(R)-(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4); 4-(3-(S)-(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5); 4-(3-(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피발아미도-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6); 4-(3-(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메톡시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7); 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메톡시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8); 4-(3-(4-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19); 4-(3-(5,7-디옥소-5H-티아졸로[3,2-c]피리미딘-6(7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0); 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1); 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2 및 23); 4-(3-(S)-(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5-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4); 4-(3-(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5-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5); 4-(3-(S)-(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8-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6); 4-(3-(S)-(8-플루오로-1-메틸(d3)-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5-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7); 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히드록시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8); 7-(디메틸아미노)-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29); 7-(아세트아미도메틸)-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 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30); 4-(3-(5-클로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피롤리딘-1-일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31); 4-(3-(5-플루오로-1,3-디옥소-1H-피리도[1,2-c]피리미딘-2(3H)-일)-2-메틸페닐)-7-(메톡시메틸)-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32); 8-플루오로-4-(3-(8-플루오로-1-메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2-메틸페닐)-7-(2-히드록시프로판-2-일)-9H-카르바졸-1-카르복스아미드 (33)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및 그의 염.
  8. 제1항, 제2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SLE), 류마티스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MS) 또는 쇼그렌 증후군의 치료에서의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9. 자가면역 질환 또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의 제1항, 제2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사용 방법.
  10. 제1항, 제2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자가면역 질환 또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치료에서의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KR1020167001634A 2013-06-25 2014-06-25 키나제 억제제로서 유용한 카르바졸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KR1023453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39130P 2013-06-25 2013-06-25
US61/839,130 2013-06-25
PCT/US2014/043980 WO2014210087A1 (en) 2013-06-25 2014-06-25 Carbazole carboxamide compounds useful as kinase inhibi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890A KR20160022890A (ko) 2016-03-02
KR102345381B1 true KR102345381B1 (ko) 2021-12-29

Family

ID=51210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1634A KR102345381B1 (ko) 2013-06-25 2014-06-25 키나제 억제제로서 유용한 카르바졸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714234B2 (ko)
EP (1) EP3013815B1 (ko)
JP (1) JP6353530B2 (ko)
KR (1) KR102345381B1 (ko)
CN (1) CN105473573B (ko)
AU (1) AU2014302550A1 (ko)
BR (1) BR112015031432A2 (ko)
CA (1) CA2916504A1 (ko)
EA (1) EA025863B1 (ko)
IL (1) IL243295A0 (ko)
MX (1) MX2015016771A (ko)
SG (1) SG11201510028PA (ko)
WO (1) WO20142100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201703188QA (en) 2014-10-24 2017-05-30 Bristol Myers Squibb Co Indole carboxamides compounds useful as kinase inhibitors
EP3209652B1 (en) 2014-10-24 2020-04-1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Tricyclic atropisomer compounds
CN107074804B (zh) 2014-10-24 2020-02-18 百时美施贵宝公司 咔唑衍生物
CN105802100A (zh) * 2016-04-22 2016-07-27 宁波硫华聚合物有限公司 橡胶促进剂粘合剂六甲氧基甲基蜜胺预分散母胶粒及其制备方法
CN105694150A (zh) * 2016-04-25 2016-06-22 无锡智谷锐拓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耐油橡胶
CN105670057A (zh) * 2016-04-25 2016-06-15 无锡智谷锐拓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耐油橡胶的制备方法
CN106084903A (zh) * 2016-06-02 2016-11-09 扬州兰都塑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电缆外部涂覆的水性防火涂料的制备方法
CN105907150A (zh) * 2016-06-02 2016-08-31 扬州兰都塑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电缆涂料用阻燃剂
CN106045972B (zh) * 2016-06-03 2018-11-16 中山大学 咔唑-利凡斯的明二联体及其药物组合物和应用
US20240100172A1 (en) 2020-12-21 2024-03-28 Hangzhou Jijing Pharmaceutical Technology Limited Methods and compounds for targeted autophagy
CN115232061B (zh) * 2021-09-18 2024-01-30 山西紫罗蓝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3-硝基-9-乙基咔唑粗产物的提取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9857A1 (en) 2010-06-16 2011-12-2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arboline carboxamide compounds useful as kinase inhibitor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0750A (en) 1977-01-07 1980-04-29 Westwood Pharmaceuticals Inc. 4-Substituted imidazo [1,2-a]quinoxalines
CA2140722A1 (en) 1994-01-24 1995-07-25 Joseph A. Jakubowski Beta-carboline thromboxane synthase inhibitors
WO2005014599A1 (en) 2003-06-04 2005-02-17 Cellular Genomics, Inc. Imidazo[1,2-a]pyrazin-8-ylamines and method of inhibition of bruton’s tyrosine kinase by such compounds
WO2005005429A1 (en) 2003-06-30 2005-01-20 Cellular Genomics, Inc. Certain heterocyclic substituted imidazo[1,2-a]pyrazin-8-ylamines and methods of inhibition of bruton’s tyrosine kinase by such compounds
US20050288295A1 (en) 2003-11-11 2005-12-29 Currie Kevin S Certain imidazo[1,2-a]pyrazin-8-ylamines, method of making, and method of use thereof
US7713973B2 (en) 2004-10-15 2010-05-11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Kinase inhibitors
WO2006053121A2 (en) 2004-11-10 2006-05-18 Cgi Pharmaceuticals, Inc. Imidazo[1 , 2-a] pyrazin-8-ylamines useful as modulators of kinase activity
WO2006064355A2 (en) 2004-12-17 2006-06-22 Glenmark Pharmaceuticals S.A. Novel heterocyclic compound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and allergic disorders
ES2543607T3 (es) 2005-03-10 2015-08-20 Gilead Connecticut, Inc. Ciertas amidas sustituidas, método de obtención, y método de su uso
US7723336B2 (en) 2005-09-22 2010-05-2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Fused heterocyclic compounds useful as kinase modulators
US20070078136A1 (en) 2005-09-22 2007-04-0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Fused heterocyclic compounds useful as kinase modulators
AU2006316322B2 (en) 2005-11-22 2011-08-25 Merck Canada Inc. Tricyclic compounds useful as inhibitors of kinases
JP2010502751A (ja) 2006-09-11 2010-01-28 シージーアイ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キナーゼ阻害物質、およびキナーゼ阻害物質の使用および同定方法
AU2007297221B2 (en) 2006-09-11 2012-11-08 Mylan Laboratories Limited Dibenzofuran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PDE-4 and PDE-10
US20090062251A1 (en) 2007-08-17 2009-03-05 Astrazeneca Ab Novel Compounds 002
WO2009075830A1 (en) 2007-12-13 2009-06-18 Merck & Co., Inc. Inhibitors of janus kinases
US20110046378A1 (en) 2008-02-14 2011-02-24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Novel Imaging Agents for Detecting Neurological Dysfunction
GB0809360D0 (en) 2008-05-22 2008-07-02 Isis Innovation Calcium modulation
MX2010013190A (es) * 2008-07-18 2010-12-20 Hoffmann La Roche Fenilimidazopirazinas novedosas.
EP2151441A1 (en) 2008-08-06 2010-02-10 Julius-Maximilians-Universität Würzburg Beta-carbolin-derivates as substrates for an enzyme
EP2391602B1 (en) * 2008-12-19 2013-12-04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arbazole carboxamide compounds useful as kinase inhibitors
CN101475571B (zh) 2009-01-21 2011-06-22 中国药科大学 β-咔啉类细胞周期蛋白依赖性激酶2抑制剂及其用途
US8242260B2 (en) 2009-08-28 2012-08-14 Novartis Ag Compounds and compositions as protein kinase inhibitors
EP2455378A1 (en) 2010-11-03 2012-05-23 Philip Morris Products S.A. Carbazole and carboline derivatives, and preparation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thereof
EP2640729B1 (en) 2010-11-15 2016-12-21 VIIV Healthcare UK Limited Inhibitors of hiv replication
EP2709997B1 (en) 2011-05-17 2016-06-29 F.Hoffmann-La Roche Ag Inhibitors of bruton's tyrosine kinase
UY35625A (es) 2013-06-25 2014-12-31 Bristol Myers Squibb Company Una Corporación Del Estado De Delaware Compuestos de tetrahidrocarbazol y carbazol carboxamida sustituidos como inhibidores de quinas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9857A1 (en) 2010-06-16 2011-12-2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arboline carboxamide compounds useful as kinase inhibi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302550A1 (en) 2016-02-11
US9714234B2 (en) 2017-07-25
EA025863B1 (ru) 2017-02-28
KR20160022890A (ko) 2016-03-02
CA2916504A1 (en) 2014-12-31
SG11201510028PA (en) 2016-01-28
EA201690012A1 (ru) 2016-05-31
JP6353530B2 (ja) 2018-07-04
MX2015016771A (es) 2016-03-31
IL243295A0 (en) 2016-02-29
JP2016523908A (ja) 2016-08-12
EP3013815A1 (en) 2016-05-04
CN105473573B (zh) 2018-03-16
US20160200710A1 (en) 2016-07-14
CN105473573A (zh) 2016-04-06
WO2014210087A1 (en) 2014-12-31
EP3013815B1 (en) 2017-05-03
BR112015031432A2 (pt) 201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5381B1 (ko) 키나제 억제제로서 유용한 카르바졸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KR102346508B1 (ko) 키나제 억제제로서 유용한 치환된 테트라히드로카르바졸 및 카르바졸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KR102030305B1 (ko) 키나제 억제제로서 유용한 인돌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AU2015335703B2 (en) Carbazole derivatives
AU2015335783B2 (en) Tricyclic atropisomer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