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105B1 - 기준점을 보유한 크리센트 프레임의 구조 - Google Patents

기준점을 보유한 크리센트 프레임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105B1
KR102345105B1 KR1020210052750A KR20210052750A KR102345105B1 KR 102345105 B1 KR102345105 B1 KR 102345105B1 KR 1020210052750 A KR1020210052750 A KR 1020210052750A KR 20210052750 A KR20210052750 A KR 20210052750A KR 102345105 B1 KR102345105 B1 KR 102345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frame
front window
crescent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숙
Original Assignee
김갑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갑숙 filed Critical 김갑숙
Priority to KR1020210052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1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05C3/041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05C3/04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in the form of a crescent-shaped ca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6Positioning, e.g. re-positioning, or pre-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리센트를 창문에 설치할 때 정확한 위치를 사전에 파악하여야만 하는 불편함과 정확한 위치에 배치된 크리센트가 전동 리벳 또는 전동 드라이버의 진동에 의해 지정된 위치를 벗어나는 등의 문제점으로 설치가 매우 까다롭고 시공성이 저하되었던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크리센트를 지정된 위치에 신속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전동 도구의 진동에도 위치를 보존할 수 있는 기준점을 보유한 크리센트 프레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전방창틀에 락킹유닛이 설치되고 후방창틀에 걸림부가 설치되며, 락킹유닛의 선회 동작을 바탕으로 상호 잠김여부가 결정되며, 특히 상기 락킹유닛은 전방창틀의 측면에 설치되는 프레임(10) 및 프레임으로부터 선회하여 후방창틀의 걸림부에 구속되거나 구속이 해제되는 구속체(20)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10)은 어느 일 측면에서 전방창틀와 접촉하는 면으로 연장 돌출되는 걸림돌기(30)에 의해 전방창틀의 측면과 걸림되어 프레임의 설치 위치가 정밀하게 설정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기준점을 보유한 크리센트 프레임의 구조{Crescent of window}
본 발명은 미닫이 창문의 잠김을 유도하기 위해 창문의 교차영역에 설치되는 크리센트와 관련한 기술사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리센트를 창문에 설치할 때 정확한 위치를 사전에 파악하여야만 하는 불편함과 정확한 위치에 배치된 크리센트가 전동 리벳 또는 전동 드라이버의 진동에 의해 지정된 위치를 벗어나는 등의 문제점으로 설치가 매우 까다롭고 시공성이 저하되었던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크리센트를 지정된 위치에 신속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전동 도구의 진동에도 위치를 보존할 수 있는 기준점을 보유한 크리센트 프레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크리센트란 미닫이 창문의 교차영역에 설치되어 조작 여부에 따라 창문의 개폐를 구속되게 하는 잠금쇠이다. 상기 크리센트는 외창의 창틀에 설치되는 걸림부와, 내창의 창틀에 설치되는 락킹유닛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외창과 내창을 완벽하게 닫은 상태에서 락킹유닛을 선회시켜 걸림부에 개입시킴으로써 창문의 잠김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예컨대 크리센트와 관련한 기술사례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1570952호 "2축으로의 유격 방지 기능을 갖는 가압형 크리젠트 및 그 제조방법"이 게재되어 있다. 해당 기술은 창문과 창문의 중첩 영역에 일정 수준의 가압력을 제공하여 해당 창문 상호 간의 이격 공간 발생을 미연에 차단함은 물론 이러한 행위에 기인하여 창틀이 제공하는 공간상으로 해당 창문의 맞춤 수용이 이루어짐에 따라 창틀과 창문의 유격 또한 동시에 배제할 수 있게 되어 창문을 잠그는 일련의 행위를 실시함에 있어 보다 쉬운 취급성과 함께 잠겨진 상태에서의 유동이 적극 방지되는 등 견고한 록킹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기술이다.
크리센트와 관련한 기술사례 중 다른 하나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1885호 "창문용 크리센트"가 게재되어 있다. 해당 기술은 크리센트의 레버 표면에 구슬이 순환 이송할 수 있는 홈을 형성하되 다양한 형태와 모양으로 형성하고, 상기 홈 속에는 한개 이상의 구슬을 삽입시키되 구슬의 색상을 동일색상으로 구비하거나 또는 다양한 칼라로 구비함으로서 구슬 순환시 시각적 효과가 극대화되게 하며, 상기 홈이 보이도록 투명 투시창을 형성하여 구성된 기술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종래기술들과 유사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1856179호 "잠금부가 구비된 크리센트"가 게재되어 있다. 해당 기술은 좌우 슬라이딩되는 창문이 열리지 않도록 상기 창문의 틀에 설치되어 잠금처리하는 크리센트에 잠금부가 구비되어 상기 크리센트의 회동체의 회동작동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잠금부의 잠금과 해정이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므로 크리센트를 이용하여 창문을 잠금과 동시에 잠금부에 의해 크리센트의 회동작동을 제한할 수 있게 되므로 창문을 2중으로 잠금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내구성 및 신뢰성이 극대화되고, 그 구성 또한 간단하여 제조가 간편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됨은 물론이므로 원가절감효과를 높일 수 있는 기술이다.
상기와 같이 기존의 크리센트는 락킹유닛과 걸림부 간의 견고한 구속력으로 잠금 기능을 극대화 유도하고, 또는 락킹유닛을 선택적으로 선회 불가능하도록 구조를 개선하는 등 모두 잠금처리와 관련된 기술들을 중점으로 개발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크리센트를 창문에 설치할 때 정확한 위치를 사전에 파악하여야만 하는 불편함과 정확한 위치에 배치된 크리센트가 전동 리벳 또는 전동 드라이버의 진동에 의해 지정된 위치를 벗어나는 등의 문제점으로 설치가 매우 까다롭고 시공성이 저하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창틀의 지정 위치에 신속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전동 도구의 진동에도 위치를 적극 보존할 수 있는 크리센트를 개발하게 되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70952호 "2축으로의 유격 방지 기능을 갖는 가압형 크리젠트 및 그 제조방법"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1885호 "창문용 크리센트" 등록특허공보 제10-1856179호 "잠금부가 구비된 크리센트"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크리센트를 창문에 설치할 때 정확한 위치를 사전에 파악하여야만 하는 불편함과 정확한 위치에 배치된 크리센트가 전동 리벳 또는 전동 드라이버의 진동에 의해 지정된 위치를 벗어나는 등의 문제점으로 설치가 매우 까다롭고 시공성이 저하되었던 기존의 구조에서 벗어나, 창틀의 지정 위치에 신속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전동 도구의 진동에도 위치를 적극 보존할 수 있는 크리센트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과제이다.
또한, 구조가 극히 단조롭고, 경량성이며 조립과 해제 및 유지관리가 우수한 크리센트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준점을 보유한 크리센트 프레임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크리센트는 전방창틀에 락킹유닛이 설치되고 후방창틀에 걸림부가 설치되며, 락킹유닛의 선회 동작을 바탕으로 상호 잠김여부가 결정되며, 특히 상기 락킹유닛은 전방창틀의 측면에 설치되는 프레임(10) 및 프레임으로부터 선회하여 후방창틀의 걸림부에 구속되거나 구속이 해제되는 구속체(20)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10)은 어느 일 측면에서 전방창틀와 접촉하는 면으로 연장 돌출되는 걸림돌기(30)에 의해 전방창틀의 측면과 걸림되어 프레임의 설치 위치가 정밀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타원의 외형으로 이루어지는 메인바디(11);와, 메인바디의 외형은 유지하되 무게 경량을 위해 내부가 함몰된 중공부(12);와, 메인바디의 상측과 하측에 각 천공되어 나사의 진입을 허용함에 따라 메인바디를 전방창틀에 결합되게 하는 체결공(13);과, 메인바디의 중심영역에 천공되어 구속체(20)의 선회 결합을 유도되게 하는 조립공(14);과, 중공부 내에서 격자형태로 형성되어 메인바디의 내구성을 보강하는 격벽(1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은 중공부(12)가 차폐되도록 설치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의 마찰부재(40)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재(40)는 전방창틀과의 접촉시 마찰력이 발휘되어 기설정 수준의 위치가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찰부재(40)는 전방창틀의 마찰면에 기설정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기(41)가 반복 배열되어 전방창틀과의 접촉시 마찰력이 극대화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41)는 걸림돌기(30)를 향하도록 휘어진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방창틀과의 접촉시 마찰력과 밀착력 및 결합력이 극대화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찰부재(40)는 중공부(12)와 접촉면에 격벽(15)과 일대일 대응하는 요홈(42)이 구비되어 격벽과 끼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홈(42)은 홈이 허용하는 깊이 내에서 외향 돌출되어 격벽(15)의 진입을 간섭함에 따라 전방창틀과 접촉되는 마찰부재(40)의 일면이 메인바디(11)의 외부로 일부 노출되어 전방창틀과의 마찰력이 극대화 유도되는 걸림턱(42a)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42a)은 프레임(10)과 전방창틀 간 나사 결합시 발생하는 가압력에 의하여 진입하는 마찰부재(40)의 양폭을 수축시켜 강제 진입에 의한 위치 구속 및 향상된 결합력에 기인한 상호 설치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걸림돌기로 하여금 크리센트의 프레임을 창틀의 지정된 위치에 신속 정확하게 배치 가능하여 작업 시간을 적극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찰부재에 기인하여 설치 과정에서 발생하는 외력과 진동으로부터 원치않게 프레임이 설치 지정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찰부재의 돌기에 의해 창틀과의 결합이 적극 향상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극히 단조로운 구조와 경량성에 조립과 해제 및 유지관리가 우수하여 설치와 취급이 뛰어난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크리센트의 사시도.
도 2는 크리센트 프레임의 배면 사이도.
도 3은 프레임과 구속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프레임에 마찰부재가 결합되는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마찰부재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프레임이 설치되는 과정에서 마찰부재의 위치가 가변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미닫이 창문의 잠김을 유도하기 위해 창문의 교차영역에 설치되는 크리센트와 관련한 기술사상에 관한 것이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크리센트를 창문에 설치할 때 정확한 위치를 사전에 파악하여야만 하는 불편함과 정확한 위치에 배치된 크리센트가 전동 리벳 또는 전동 드라이버의 진동에 의해 지정된 위치를 벗어나는 등의 문제점으로 설치가 매우 까다롭고 시공성이 저하되었던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크리센트를 지정된 위치에 신속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전동 도구의 진동에도 위치를 보존할 수 있는 기준점을 보유한 크리센트 프레임의 구조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크리센트의 사시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크리센트는 전방창틀에 설치되는 락킹유닛;과, 후방창틀에 설치되는 걸림부;로 구성되며, 락킹유닛의 선회 동작을 바탕으로 상호 잠김여부가 결정되는 구조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크리센트는 통상 슬라이드식으로 여닫도록 구성된 미닫이 창문에 설치 사용되는 것으로 일측 창문틀의 측면에는 락킹유닛이 설치 고정되고, 타측 창문틀에는 선단이 구부러진 고리 형상의 걸림부가 설치되어, 락킹유닛의 선회 여부에 따라 락킹유닛의 일부가 걸림부에 개입되어 창문의 움직임이 강제된다.
한편, 상기 락킹유닛은 전방창틀의 측면에 설치되는 프레임(10) 및 프레임으로부터 선회하여 후방창틀의 걸림부에 구속되거나 구속이 해제되는 구속체(20)로 이루어진다.
도 2는 크리센트 프레임의 배면 사이도이며, 도 3은 프레임과 구속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프레임(10)은 어느 일 측면에서 전방창틀와 접촉하는 면으로 연장 돌출되는 걸림돌기(30)를 더 포함한 구성이며, 상기 걸림돌기로 하여금 전방창틀의 측면과 걸림되어 프레임의 설치 위치가 정밀하게 안내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타원의 외형으로 이루어지는 메인바디(11)와, 메인바디의 외형은 유지하되 무게 경량을 위해 내부가 함몰된 중공부(12)와, 메인바디의 상측과 하측에 각 천공되어 나사의 진입을 허용함에 따라 메인바디를 전방창틀에 결합되게 하는 체결공(13)과, 메인바디의 중심영역에 천공되어 구속체(20)의 선회 결합을 유도되게 하는 조립공(14)과, 중공부 내에서 격자형태로 형성되어 메인바디의 내구성을 보강하는 격벽(15)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바디(11)는 부식에 저항력이 우수하며, 자체적으로 무게가 가벼운 소재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바디(11)는 중공부(12)에 의해 내부가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면서 초경량의 스펙을 보유하게 된다. 상기 체결공(13)은 볼트나 나사 또는 리벳이 관통하며, 볼트나 나사 또는 리벳의 머리부가 거치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립공(14)은 구속체(20)와 구속체의 선회동작에 탄성력과 복귀력을 부여하는 탄성체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격벽(15)은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진 벽체가 종과 횡 방향으로 다단 형성되되, 체결공(13)과 조립공(14)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메인바디(11)는 어느 일 측면에서 창틀과 접촉하는 면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걸림돌기(30)에 의해 전방창틀의 측면상에 손쉽게 설치될 위치를 기준잡을 수 있다.
도 4는 프레임에 마찰부재가 결합되는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크리센트는 프레임(10)의 내경과 일대일 대응하는 외형을 가지며,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져 자체적으로 대상물과 면접촉시 사방 움직임에 대한 마찰력을 발휘하는 마찰부재(40)의 구성을 더 포함한다.
상기 마찰부재(40)는 프레임(10)의 중공부(12)로 개입되어 중공부 전면을 차폐한다. 따라서 프레임(10)은 전방창틀에 설치시 프레임보다 마찰부재(40)가 먼저 닿게되고, 당연하겠지만 마찰부재의 마찰력에 기인하여 프레임의 원치 않는 위치 이탈을 미연에 방지한다.
도 5는 마찰부재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와 같이 상기 마찰부재(40)는 전방창틀의 마찰면에 기설정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기(41)가 반복 배열되어 전방창틀과의 접촉시 마찰력이 극대화 유도된다. 한편, 상기 돌기(41)는 걸림돌기(30)를 향하여 휘어진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방창틀과의 접촉시 마찰력과 밀착력 및 결합력이 극대화 유도되나, 이러한 휨 방향이나 갈고리와 같은 형상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일 뿐 구조에 국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마찰부재(40)와 전방창틀과의 견고한 밀착력 및 결합력을 부여하기 위해 돌기(41)를 제안하였으나, 이러한 돌기 외에도 마찰부재의 표면에 원형이나 다각형 등의 홈을 형성하고, 해당 면을 창틀과 밀착 및 가압함에 따라 홈마다 진공상태를 형성시켜 마찰부재를 창틀에 흡착 고정시키는 방법 등으로 다양하게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찰부재(40)는 중공부(12)와 접촉면에 격벽(15)과 일대일 대응하는 요홈(42)이 구비되어 격벽과 끼움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이다.
도 6은 프레임이 설치되는 과정에서 마찰부재의 위치가 가변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6과 같이 상기 요홈(42)은 홈이 허용하는 깊이 내에서 외향 돌출되어 격벽(15)의 진입을 간섭함에 따라 전방창틀과 접촉되는 마찰부재(40)의 일면이 메인바디(11)의 외부로 일부 노출되어 전방창틀과의 마찰력이 극대화 유도되는 걸림턱(42a)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42a)은 프레임(10)과 전방창틀 간 나사 결합시 발생하는 가압력에 의하여 진입하는 마찰부재(40)의 양폭을 수축시켜 강제 진입에 의한 위치 구속 및 향상된 결합력에 기인한 상호 설치되는 구성이다.
다시 말해 요홈(42)은 격벽(15)에 끼움될 때 최초 걸림턱(42a)에 걸림되며, 요홈(42)의 내부 가장 안쪽면과 걸림턱에 이르는 거리만큼 마찰부재(40)의 창틀 접촉면이 메인바디(11)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와 같이 메인바디(11)보다 외향 노출된 마찰부재(40)는 본연이 가진 마찰력과 밀착력을 십분 발휘하여 창틀에 견고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걸림돌기(30)에 의해 정확한 수직선상에 배치된 프레임(10)에 체결공(13)을 통해 나사, 볼트, 리벳 등으로 조임하여 설치를 시도하고, 이 과정에서 나사, 볼트, 리벳의 조임력에 의해 프레임과 창틀 사이에 가압력이 발생하면서 마찰부재(40)가 요홈(42)으로 더욱 진입하게 되고, 마찰부재를 간섭하던 걸림턱(42a)에 의해 폭이 수축되면서 결과적으로 요홈이 허용하는 함몰공간 내로 완벽하게 강제 진입된다. 이때 걸림턱(42a)이 마찰부재(40)를 진입시키기 위해 허용하는 폭이 마찰부재의 두께에 비해 좁기 때문에 마찰부재의 양면은 걸림턱에 의해 죄임이 이루어지면서 보다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걸림돌기(30)로 하여금 크리센트의 프레임(10)을 창틀의 지정된 위치에 신속 정확하게 배치 가능하여 작업 시간을 적극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마찰부재(40)에 기인하여 설치 과정에서 발생하는 외력과 진동으로부터 원치않게 프레임(10)이 설치 지정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찰부재(40)의 돌기(31에 의해 창틀과의 결합이 적극 향상되며, 극히 단조로운 구조와 경량성에 조립과 해제 및 유지관리가 우수하여 설치와 취급이 뛰어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프레임
20. 락킹유닛
30. 걸림돌기
40. 마찰부재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전방창틀에 락킹유닛이 설치되고 후방창틀에 걸림부가 설치되며, 락킹유닛의 선회 동작을 바탕으로 상호 잠김여부가 결정되는 크리센트에 있어서,
    상기 락킹유닛은 전방창틀의 측면에 설치되는 프레임(10) 및 프레임으로부터 선회하여 후방창틀의 걸림부에 구속되거나 구속이 해제되는 구속체(20)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10)은 어느 일 측면에서 전방창틀와 접촉하는 면으로 연장 돌출되는 걸림돌기(30)에 의해 전방창틀의 측면과 걸림되어 프레임의 설치 위치가 정밀하게 설정되며,
    상기 프레임(1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타원의 외형으로 이루어지는 메인바디(11);
    메인바디의 외형은 유지하되 무게 경량을 위해 내부가 함몰된 중공부(12);
    메인바디의 상측과 하측에 각 천공되어 나사의 진입을 허용함에 따라 메인바디를 전방창틀에 결합되게 하는 체결공(13);
    메인바디의 중심영역에 천공되어 구속체(20)의 선회 결합을 유도되게 하는 조립공(14);
    중공부 내에서 격자형태로 형성되어 메인바디의 내구성을 보강하는 격벽(15);
    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0)은 중공부(12)가 차폐되도록 설치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의 마찰부재(40)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재(40)는 전방창틀과의 접촉시 마찰력이 발휘되어 기설정 수준의 위치가 구속되며,
    상기 마찰부재(40)는 전방창틀의 마찰면에 기설정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기(41)가 반복 배열되어 전방창틀과의 접촉시 마찰력이 극대화 유도되고,
    상기 돌기(41)는 걸림돌기(30)를 향하도록 휘어진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방창틀과의 접촉시 마찰력과 밀착력 및 결합력이 극대화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점을 보유한 크리센트 프레임의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40)는 중공부(12)와 접촉면에 격벽(15)과 일대일 대응하는 요홈(42)이 구비되어 격벽과 끼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점을 보유한 크리센트 프레임의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42)은 홈이 허용하는 깊이 내에서 외향 돌출되어 격벽(15)의 진입을 간섭함에 따라 전방창틀과 접촉되는 마찰부재(40)의 일면이 메인바디(11)의 외부로 일부 노출되어 전방창틀과의 마찰력이 극대화 유도되는 걸림턱(42a)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42a)은 프레임(10)과 전방창틀 간 나사 결합시 발생하는 가압력에 의하여 진입하는 마찰부재(40)의 양폭을 수축시켜 강제 진입에 의한 위치 구속 및 향상된 결합력에 기인한 상호 설치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점을 보유한 크리센트 프레임의 구조.
KR1020210052750A 2021-04-23 2021-04-23 기준점을 보유한 크리센트 프레임의 구조 KR102345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750A KR102345105B1 (ko) 2021-04-23 2021-04-23 기준점을 보유한 크리센트 프레임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750A KR102345105B1 (ko) 2021-04-23 2021-04-23 기준점을 보유한 크리센트 프레임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105B1 true KR102345105B1 (ko) 2021-12-31

Family

ID=79177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750A KR102345105B1 (ko) 2021-04-23 2021-04-23 기준점을 보유한 크리센트 프레임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10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885U (ko) 2010-01-18 2010-02-22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창문용 크리센트
KR20120008333A (ko) * 2010-07-16 2012-01-30 주식회사 디에스윈 스트라이커
KR101570952B1 (ko) 2015-01-19 2015-11-20 김갑숙 2축으로의 유격 방지 기능을 갖는 가압형 크리젠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26176A (ko) * 2014-08-28 2016-03-09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라운드형 마운트를 가진 크리센트 설치용 지그
KR101856179B1 (ko) 2016-10-12 2018-05-11 케이엠텍 주식회사 잠금부가 구비된 크리센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885U (ko) 2010-01-18 2010-02-22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창문용 크리센트
KR20120008333A (ko) * 2010-07-16 2012-01-30 주식회사 디에스윈 스트라이커
KR20160026176A (ko) * 2014-08-28 2016-03-09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라운드형 마운트를 가진 크리센트 설치용 지그
KR101570952B1 (ko) 2015-01-19 2015-11-20 김갑숙 2축으로의 유격 방지 기능을 갖는 가압형 크리젠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856179B1 (ko) 2016-10-12 2018-05-11 케이엠텍 주식회사 잠금부가 구비된 크리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64297A2 (en) Inside-handle arrangement for an automotive vehicle door assembly
US4733892A (en) Keeper for vehicle door latch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182006B2 (en) Cylinder lock having a reinforcement structure coupled to an outer rose disc
JPH06323050A (ja) 掛けがねアセンブリ
JPH0114449B2 (ko)
KR102345105B1 (ko) 기준점을 보유한 크리센트 프레임의 구조
JP5875377B2 (ja) 航空機の機体
KR100770277B1 (ko) 도어유닛
CA2628755C (en) Fire plate for a bored in lock assembly
KR200420247Y1 (ko) 모티스록을 조작하기 위한 도어 핸들 레버 장치
JP2007126070A (ja) 車両の室内外への部品の取付け構造
KR20120114057A (ko) 도어 잠금장치의 손잡이 설치구조
KR100879891B1 (ko) 토잉 후크 설치구멍의 개폐장치
US20060232079A1 (en) Door lock having simple installation process and suitable for passage and bathroom doors
JP5427230B2 (ja) ドアロック機構取付用治具
KR101941589B1 (ko) 레버 타입 dls 창호용 손잡이
KR101507491B1 (ko) 강화유리도어의 손잡이 고정장치
TWI638078B (zh) 鎖閂之拆裝方法及其結構
KR200421490Y1 (ko) 보안형 상부 피봇힌지
KR20020023290A (ko)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KR100737824B1 (ko) 보안형 상부 피봇힌지
KR100656624B1 (ko) 자동차의 외측핸들커버 장착구조
JPH1082216A (ja) ハンドルの取付構造
KR20120084435A (ko) 여닫이문 안전고리
KR200466505Y1 (ko) 방화문 고정장치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