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322B1 -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 - Google Patents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322B1
KR102342322B1 KR1020170092717A KR20170092717A KR102342322B1 KR 102342322 B1 KR102342322 B1 KR 102342322B1 KR 1020170092717 A KR1020170092717 A KR 1020170092717A KR 20170092717 A KR20170092717 A KR 20170092717A KR 102342322 B1 KR102342322 B1 KR 102342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film layer
coating
optical lens
infrared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0221A (ko
Inventor
강희영
인정환
한명수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092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322B1/ko
Publication of KR20190010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bF3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면 ARC를 유지하여 고투과율을 확보하고, 전체 투과율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YbF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원적외선 광학렌즈는 양면 ARC를 유지하여 고투과율을 확보하고, 기존의 DLC를 100nm 내지 200nm 두께를 갖는 ta-C 보호층으로 대체하여 전체 투과율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Infrared optical lens equipped with ta-C and yttrium oxide thin film}
본 발명은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면 ARC를 유지하여 고투과율을 확보하고, ta-C를 무반사 코팅에 적용할 수 있도록 Y2O3 등의 접착층을 얇게 증착 후 그 위에 100nm 내지 200nm 두께를 갖는 ta-C 를 형성함으로써 전체 투과율을 향상시키면서 내구성 또한 확보할 수 있는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LC(Diamond-like carbon) 박막은 높은 경도, 내마모성, 윤활성, 평활한 표면 조도 등의 뛰어난 기계적 특성과 전기절연성, 화학적 안정성 그리고 높은 광학적 투과성이 있어 산업적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DLC 박막의 형성 방식은 수소의 영향에 의한 박막의 물성변화를 초래하므로 최근에는 고체상의 카본을 이용하여 수소가 함유되지 않은 박막의 코팅에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DLC에서 수소 함유는 큰 문제점의 하나로 수소 함유를 원천적으로 배제한다는 것은 큰 의미를 가진다.
DLC 박막의 형성을 위한 CVD나 PVD와 같은 종래의 화학적, 물리적 증착방법은 수소 함유와 상관없이 적외선 투과율이 평균 10% 정도 감소하며, 경도가 높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부착력과 광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다층 구조로 형성되므로 막이 두껍고 코팅공정이 복잡해져 공정효율이 감소된다.
이와 달리 FCVA 증착방법은 다른 물리적 증착방법에 비해 발생하는 이온의 에너지가 높고, 이온화율이 높으며 또한 이온 플럭스(flux)가 높기 때문에 다이아몬드에 가까운 높은 경도와 밀도를 가지며, 기판과의 부착력이 좋고 투과성이나 굴절률 등의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며, 열적 안정성이 높은 DLC 박막을 증착할 수 있고, 단층의 박막 형성이 가능하다.
상술한 FCVA 증착방법으로 증착된 DLC 박막을 비정질 탄소 박막 또는 ta-C(tetrahedral amorphous carbon) 박막이라 부른다. 이러한 FCVA 증착방법은 카본 소스로 고상의 흑연을 사용하므로 수소함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렌즈와 같은 광학제품에는 표면에서 반사되어 소멸되는 빛의 양을 줄여 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양을 증대시키기 위해 표면에 무반사(AR; Anti-Reflection) 코팅막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무반사 코팅막은 경도가 낮아 외부에 노출될 경우 쉽게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494439 B1 KR 10-2001-0068217 A KR 10-2008-0015400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외선 광학렌즈에 양면 무반사 코팅막 구조를 적용하여 고투과율을 확보할 수 있는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외선 광학렌즈에 구비되는 무반사 코팅막의 스크래치 방지를 위한 기존의 DLC 보다 높은 경도와 밀도를 갖고, 투과성 및 굴절률 등의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면서 수소를 포함하지 않은 ta-C 박막층을 적외선 무반사 코팅에 적용함에 있어, Y2O3 등의 접착층을 얇게 증착 후 그 위에 100nm 내지 200nm 두께를 갖는 ta-C 박막층을 형성함으로써 높은 투과율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는 렌즈 기재부와; 상기 렌즈 기재부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 코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 코팅부는 상기 렌즈 기재부 상에 형성되는 제1 게르마늄 박막층과, 상기 제1 게르마늄 박막층 상에 형성되는 제1 황화아연 박막층과, 상기 제1 황화아연 박막층 상에 형성되는 제2 게르마늄 박막층과, 상기 제2 게르마늄 박막층 상에 형성되는 제2 황화아연 박막층과, 상기 제2 황화아연 박막층 상에 형성되는 불화이터븀 박막층과, 상기 불화이터븀 박막층 상에 형성되는 산화이트륨 박막층과, 상기 산화이트륨 박막층 상에 형성되는 비정질탄소 박막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정질탄소 박막층은 100nm 내지 200nm의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화이트륨 박막층은 60nm 내지 70nm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불화이터븀 박막층과 상기 산화이트륨 박막층 사이에는 제3 황화아연 박막층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황화아연 박막층은 300nm 이상의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렌즈 기재부의 후면에 상기 전면 코팅부와 대응되는 후면 코팅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는 양면 ARC를 유지하여 고투과율을 확보하고, 기존의 투과율, 경도, 공정 효율이 좋지 못한 DLC를 대신하여 100nm 내지 200nm 두께를 갖는 ta-C 박막을 적외선 무반사 코팅에 적용함에 있어서, Y2O3 등의 접착층을 얇게 증착 후 그 위에 ta-C 박막을 형성함으로써 높은 투과율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는 렌즈 기재부(100)와, 전면 코팅부(200) 및 후면 코팅부(300)를 구비한다.
상기 렌즈 기재부(100)는 적외선 영역에 사용할 수 있도록 중적외선과 원적외선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재질은 높은 굴절률과, 낮은 열분산 특성, 낮은 분산과 흡수, AR코팅의 용이성, 높은 내구성을 만족하는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 기재부(100)의 일 예로, 게르마늄(Ge), 실리콘(Si), 황화아연(ZnS), 셀렌화아연(ZnSe), 불화마그네슘(MgF2), 사파이어(Sapphire)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외 에도 calcium fluoride, barium fluoride, sodium fluoride, sodium fluoride, lithium fluoride, potassium bromide 등의 다른 물질을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면 코팅부(200)는 렌즈 기재부(100) 전면에 게르마늄(Ge)으로 형성되는 제1 게르마늄 박막층(210)과, 제1 게르마늄 박막층(210) 상에 황화아연(ZnS)으로 형성되는 제1 황화아연 박막층(220)과, 제1 황화아연 박막층(220) 상에 게르마늄으로 형성되는 제2 게르마늄 박막층(230)과, 제2 게르마늄 박막층(230) 상에 황화아연으로 형성되는 제2 황화아연 박막층(240)과, 제2 황화아연 박막층(240) 상에 불화이터븀(YbF3)으로 형성되는 불화이터븀 박막층(250)과, 불화이터븀 박막층(250) 상에 산화이트륨으로 형성되는 산화이트륨 박막층(260)과, 산화이트륨 박막층(260) 상에 형성되는 비정질탄소 박막층(2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비정질탄소 박막층(270)은 큰 경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100nm 내지 200n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산화이트륨 박막층(260)은 비정질탄소 박막층(270)과의 부착력을 높이면서 흡수율은 낮출 수 있도록 산화이트륨(Y2O3)을 적용하며, 60nm 내지 70nm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이트륨(yttrium oxide)은 근자외선 영역에서부터 적외선 영역까지 광학 코팅 용도로 사용되는 중간 굴절률의 저흡수성 물질로서, 전자빔이나 스퍼터링으로 밀도가 높은 박막층을 증착할 수 있다. 산화이트륨은 실리콘 디옥사이드층과 함께 결합하여 높은 굴절률 대비 구조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TiO2(Titanium dioxide)와 Ta2O5(Tantalum pentoxide)와 같은 더 높은 굴절률의 물질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산화이트륨 박막층(260)은 300nm에서 최소 11um 범위에 걸쳐서 비흡수성이고, 글라스(glass), 게르마늄(germanium), 실리콘(silicon), 황화아연(zinc sulfide), 셀렌화아연(zinc selenide) 및 알루미늄(aluminum), 은(silver)과 같은 소재에 대한 고착력이 탁월한 성질을 가진다. 또한, 얇은 산화이트륨 박막층(260)은 비산화물 기판에서의 다층 코팅용인 고착제로서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는 불화이터븀 박막층(250)과 산화이트륨 박막층(260) 사이에 제3 황화아연 박막층(280)이 더 개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황화아연 박막층(280)은 산화이트륨 박막층(260)과 비정질탄소 박막층(270)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해 300nm 이상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는 렌즈 기재부(100)의 전면 뿐만 아니라, 렌즈 기재부(100)의 후면에도 전면 코팅부(200)와 대응되는 후면 코팅부(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코팅부(300)는 렌즈 기재부(100) 후면에 게르마늄(Ge)으로 형성되는 제1 게르마늄 박막층과, 제1 게르마늄 박막층 저면에 황화아연(ZnS)으로 형성되는 제1 황화아연 박막층과, 제1 황화아연 박막층 저면에 게르마늄으로 형성되는 제2 게르마늄 박막층과, 제2 게르마늄 박막층 저면에 황화아연으로 형성되는 제2 황화아연 박막층과, 제2 황화아연 박막층 저면에 불화이터븀으로 형성되는 불화이터븀 박막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코팅부(300)는 렌즈 기재부(100)를 기준으로 전면 코팅부(200)와 대칭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 코팅부(300)는 필요에 따라 불화이터븀 박막층(250) 저면에 산화이트륨으로 형성되는 산화이트륨 박막층과, 산화이트륨 박막층 저면에 형성되는 비정질탄소 박막층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렌즈 기재부
200 : 전면 코팅부
210 : 제1 게르마늄 박막층
220 : 제1 황화아연 박막층
230 : 제2 게르마늄 박막층
240 : 제2 황화아연 박막층
250 : 불화이터븀 박막층
260 : 산화이트륨 박막층
270 : 비정질탄소 박막층
280 : 제3 황화아연 박막층
300 : 후면 코팅부

Claims (6)

  1. 렌즈 기재부와;
    상기 렌즈 기재부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 코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 코팅부는
    상기 렌즈 기재부 상에 형성되는 제1 게르마늄 박막층과,
    상기 제1 게르마늄 박막층 상에 형성되는 제1 황화아연 박막층과,
    상기 제1 황화아연 박막층 상에 형성되는 제2 게르마늄 박막층과,
    상기 제2 게르마늄 박막층 상에 형성되는 제2 황화아연 박막층과,
    상기 제2 황화아연 박막층 상에 형성되는 불화이터븀 박막층과,
    상기 불화이터븀 박막층 상에 형성되는 산화이트륨 박막층과,
    상기 산화이트륨 박막층 상에 형성되는 비정질탄소 박막층을 포함하고,
    상기 불화이터븀 박막층과 상기 산화이트륨 박막층 사이에는 제3 황화아연 박막층이 개재되며,
    상기 제3 황화아연 박막층은 300nm 이상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산화이트륨 박막층은 실리콘 디옥사이드층과 결합되거나, 이산화티타늄 또는 오산화탄탈럼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탄소 박막층은 100nm 내지 200nm의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이트륨 박막층은 60nm 내지 70nm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기재부의 후면에 상기 전면 코팅부와 대응되는 후면 코팅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
KR1020170092717A 2017-07-21 2017-07-21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 KR102342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717A KR102342322B1 (ko) 2017-07-21 2017-07-21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717A KR102342322B1 (ko) 2017-07-21 2017-07-21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221A KR20190010221A (ko) 2019-01-30
KR102342322B1 true KR102342322B1 (ko) 2021-12-23

Family

ID=65277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717A KR102342322B1 (ko) 2017-07-21 2017-07-21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3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567B1 (ko) 2020-10-27 2022-09-19 나노아이텍(주) 개선된 코팅 층을 가진 코팅 렌즈 및 이를 위한 증착 방법
KR20220082976A (ko) 2020-12-10 2022-06-20 정인용 코팅 렌즈의 제조 방법
KR102561455B1 (ko) * 2020-12-24 2023-07-31 한국광기술원 고기능성 적외선 광학 코팅 및 그 방법
KR102500286B1 (ko) * 2021-02-26 2023-02-15 한국광기술원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
KR102584462B1 (ko) 2021-08-12 2023-10-04 나노아이텍(주) 발수성 코팅 렌즈의 제조 방법
CN113832430B (zh) * 2021-09-29 2023-09-05 太原理工大学 一种金刚石基非晶碳-氧化钇梯度复合增透膜的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8661A (ja) * 2006-04-28 2007-11-15 Horiba Ltd 赤外光用反射防止膜
JP2013041124A (ja) * 2011-08-17 2013-02-28 Mitsubishi Electric Corp 赤外光学膜、スキャンミラーおよびレーザ加工機
KR101653325B1 (ko) * 2015-06-15 2016-09-02 한국광기술원 적외선 광학렌즈 보호막용 ta-C 코팅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3802A (ja) * 1993-04-28 1994-11-08 Topcon Corp 赤外域多層膜
KR100374205B1 (ko) 2000-01-03 2003-03-04 한국과학기술원 초소형 굴절 실리콘 렌즈 제조방법
US7738169B2 (en) 2006-01-30 2010-06-15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Infrared lens, infrared camera and night vision
KR101494439B1 (ko) 2013-09-23 2015-02-24 한국세라믹기술원 적외선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8661A (ja) * 2006-04-28 2007-11-15 Horiba Ltd 赤外光用反射防止膜
JP2013041124A (ja) * 2011-08-17 2013-02-28 Mitsubishi Electric Corp 赤外光学膜、スキャンミラーおよびレーザ加工機
KR101653325B1 (ko) * 2015-06-15 2016-09-02 한국광기술원 적외선 광학렌즈 보호막용 ta-C 코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221A (ko)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2322B1 (ko)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
TWI589448B (zh) 溫度及腐蝕穩定的表面反射器
EP1490715B1 (en) Mirror with dlc coating on the front surface
US20090053465A1 (en) Scratch resistant, reflection reducing surface having anti-fogging properties
JP7280198B2 (ja) 高反射鏡のための銀コーティング積層体の反射帯域幅の拡大
CA2482528A1 (en) Coatings having low emissivity and low solar reflectance
JP2006267561A (ja) 光学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1433830A (zh) 介電鏡體
CA2429150A1 (en) Cold antireflection layer deposition process
JP4895902B2 (ja) 反射膜の形成方法
CN107422402B (zh) 一种耐划伤透明膜及其制备方法
US5688608A (en) High refractive-index IR transparent window with hard, durable and antireflective coating
US8394502B2 (en) Highly durable first surface silver based optical coating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2500286B1 (ko) ta-C 및 Y2O3 코팅 박막층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적외선 광학렌즈
JP2007279203A (ja) 多層反射防止層およびその製造方法、プラスチックレンズ
JP2537773B2 (ja) プラスチツク製ミラ−コ−トレンズ
US10807908B2 (en) Optical component
US20140077681A1 (en) Enhanced aluminum thin film coating for lamp reflectors
KR102403855B1 (ko) 내구성 개선을 위한 나노-라미네이트를 가진 광학 코팅
WO1997008357A1 (en) Anti-reflective coating
JP2518116B2 (ja) 耐久性の優れた光学体の製造方法
JP3028576B2 (ja) 熱線遮蔽ガラス
US20190064398A1 (en) Durable silver-based mirror coating employing nickel oxide
JPH11231127A (ja) 反射防止フイルム
JP2005271495A (ja) 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