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096B1 - 복수의 모듈을 독립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가스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모듈을 독립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가스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096B1
KR102341096B1 KR1020210006912A KR20210006912A KR102341096B1 KR 102341096 B1 KR102341096 B1 KR 102341096B1 KR 1020210006912 A KR1020210006912 A KR 1020210006912A KR 20210006912 A KR20210006912 A KR 20210006912A KR 102341096 B1 KR102341096 B1 KR 102341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valve
unit
valve open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5923A (ko
Inventor
박용건
이상욱
김용철
서철교
김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5376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16162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
Priority to KR1020210006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096B1/ko
Priority to KR1020210093578A priority patent/KR102321101B1/ko
Publication of KR20210135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923A/ko
Priority to KR1020210178436A priority patent/KR102513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17C13/084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for small-sized storage vessels, e.g. compressed gas cylinders or bottles, disposable gas vessels, vessels adapted for automotive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2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vessels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04Shape cylindr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6Small (<1 m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5Applications for industrial use
    • F17C2270/0518Semi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모듈을 각각 독립적으로 이송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송되는 모듈의 무게가 가벼워 용기의 얼라인시 미세 조절이 가능한 가스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스공급장치는, 용기의 상단에 구비된 밸브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상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상부모듈; 상기 밸브부에 구비된 밸브 커넥터를 덮는 커버를 분리하는 커버 분리부, 가스 소요처에 연결되는 연결배관 커넥터를 상기 밸브 커넥터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체결부를 구비한 하부모듈; 상기 밸브부의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개폐모듈; 상기 하부모듈이 상기 상부모듈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1수직이송부; 상기 밸브개폐모듈이 상기 하부모듈의 수직방향 이송과 독립적으로 상기 상부모듈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수직이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의 모듈을 독립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가스공급장치{Gas supply apparatus capable of independently moving a plurality of modules}
본 발명은 복수의 모듈을 독립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가스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모듈을 독립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얼라인시 미세 조절이 가능하고, 소형화가 가능한 가스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를 이용하는 장치, 특히, 반도체장비와 같이 정밀한 작업이 수행되는 가스소요처에 가스를 공급하는 장치의 경우, 각각의 목적에 적합한 종류의 가스가 일정한 농도와 압력 등을 만족할 것이 요구된다.
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많은 종류의 가스가 고압 상태로 보관되며, 특히 가연성, 독성, 부식성 등의 유해 성질을 가지는 가스는 인적이 차단된 별도의 공간에서 엄중하게 관리된다.
가스를 보관하는 가스 저장 용기(이하, '용기'라 약칭함)는 가스소요처에 연결되며, 용기에 보관된 가스가 모두 소모되면, 가스소요처에 연결된 연결배관을 가스용기의 밸브로부터 분리하여 용기를 교체한 후 교체된 용기의 밸브 커넥터에 가스소요처에 연결된 연결배관 커넥터를 결합시켜 가스를 다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용기를 교체하는 경우 작업자가 용기를 용기 적재부의 정위치에 올려 놓아야 하지만, 용기를 정위치에 올려놓기 위한 자동화 장치가 구비되지 않으면, 작업자가 가스통을 정확히 정위치에 올려놓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물론, 자동화 장치를 구비하게 되면, 용기를 정위치에 올려 놓는 것이 가능하지만,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기의 밸브에 연결배관 커넥터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용기가 정위치에 얼라인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얼라인을 위해 장치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장치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이동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미세한 얼라인을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반도체 장비의 가스공급장치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42982호가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복수의 모듈을 각각 독립적으로 이송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송되는 모듈의 무게가 가벼워 용기의 얼라인시 미세 조절이 가능한 가스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모듈을 각각 독립적으로 이송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손쉽게 얼라인시킬 수 있는 가스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함과 동시에 수평방향 이송시 얼라인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얼라인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평방향 이송시 얼라인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얼라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스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모듈과 하부모듈을 용기측에 구비된 고정블럭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가스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버와 커버분리부의 결합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스공급장치는, 용기의 상단에 구비된 밸브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상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상부모듈; 상기 밸브부에 구비된 밸브 커넥터를 덮는 커버를 분리하는 커버 분리부, 가스 소요처에 연결되는 연결배관 커넥터를 상기 밸브 커넥터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체결부를 구비한 하부모듈; 상기 밸브부의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개폐모듈; 상기 하부모듈이 상기 상부모듈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1수직이송부; 상기 밸브개폐모듈이 상기 하부모듈의 수직방향 이송과 독립적으로 상기 상부모듈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수직이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수직이송부는 상기 상부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모듈의 수직방향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수직이송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수직이송부는 상기 상부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밸브개폐모듈을 상기 상부모듈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2수직이송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개폐모듈을 상기 상부모듈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밸브개폐모듈 이송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은, 상기 하부모듈을 상기 상부모듈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수평이송가이드가 상부에 결합된 하부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저면에 수직방향의 길이를 갖도록 결합된 제2수직이송가이드 결합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개폐모듈은, 상기 제2수직이송가이드 결합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제2수직이송가이드가 구비되도록 상기 제2수직이송가이드 결합플레이트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밸브개폐모듈과 함께 수직방향으로 이송되는 제2수직이송가이드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개폐모듈은, 상기 제2수직이송가이드가 결합되고 수직방향의 길이로 형성된 제2수직이송가이드 지지부재; 상기 제2수직이송가이드 지지부재와 수직되도록 결합되어 수평방향의 길이로 형성된 제1수평플레이트;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밸브부의 밸브를 개폐하는 핸들이 삽입되는 핸들결합부를 포함하는 밸브개폐모듈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개폐모듈은, 상기 밸브부의 밸브를 개폐하는 핸들이 삽입되는 핸들결합부를 포함하는 밸브개폐모듈 본체; 상기 밸브개폐모듈 본체와 함께 상기 제2수직이송가이드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밸브개폐모듈 본체의 상대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 제1수평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개폐모듈은,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된 제2수평플레이트;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와 제2수평플레이트를 결합하되, 상기 결합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결합강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강도조절부에서 결합 강도를 세게 하면 상기 밸브개폐모듈 본체가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결합강도조절부에서 상기 결합 강도를 약하게 하면 상기 밸브개폐모듈 본체가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강도조절부는,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플레이트를 상하로 관통하는 축부재; 상기 축부재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축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밸브개폐모듈은,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고 원호 형상의 가이드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개폐모듈 본체가 결합된 제2수평플레이트;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구멍에 삽입된 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개폐모듈 본체와 제2수평플레이트를 회전시키면 상기 축부재가 상기 가이드구멍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에 구비된 복수의 플레이트; 상기 밸브개폐모듈은 일측이 상기 제2수직이송가이드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분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결합분리부가 결합되는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분리부는, 상기 걸림부에 걸림되어 결합이 이루어지거나 걸림이 해제되어 분리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개폐모듈은, 상기 밸브부의 밸브를 개폐하는 핸들이 삽입되는 핸들결합부를 포함하는 밸브개폐모듈 본체; 상기 밸브개폐모듈 본체와 함께 상기 제2수직이송가이드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밸브개폐모듈 본체의 상대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 제1수평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분리부는,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에 결합된 결합부본체와, 상기 결합부본체에 결합된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핀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걸림부에 걸림되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에는 상기 하부모듈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수평이송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이송가이드는, 상기 하부모듈이 수평방향 중 어느 하나인 제1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해 구비된 제1수평이송가이드; 상기 하부모듈이 수평방향 중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2수평이송가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에는,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상부플레이트와 중간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가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중간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제1수평이송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중간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제2수평이송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모듈에는 상기 밸브부에 구비된 제1얼라인부와의 결합에 의해 상기 용기와의 얼라인이 이루어지는 제2얼라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가 상기 커버 분리부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한 경우 상기 얼라인시 상기 제1얼라인부와 제2얼라인부의 일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얼라인부와 제2얼라인부 중 어느 하나는 수평방향의 길이를 갖는 핀 형상의 얼라인핀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얼라인핀이 삽입되는 얼라인핀 삽입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얼라인부는 상기 밸브부에 결합된 고정블럭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블럭에서 상기 제1얼라인부에 인접하게 구비된 제1결합부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제2결합부가 상기 하부모듈에서 상기 제2얼라인부에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얼라인부가 상기 제1얼라인부 방향으로 이송되어, 상기 제1얼라인부와 제2얼라인부가 일부 결합 상태에서 완전 결합 상태로 되면,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결합되어 상기 고정블럭과 상기 하부모듈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모듈을 각각 독립적으로 이송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송되는 모듈의 무게가 가벼워 용기의 얼라인시 미세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모듈을 각각 독립적으로 이송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손쉽게 얼라인시킬 수 있다.
또한, 밸브개폐부를 독립적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밸브개폐부와 핸들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하부모듈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함과 동시에 수평방향 이송시 얼라인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얼라인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모듈이 상부모듈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얼라인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용기를 용기 적재부의 정확한 위치에 올려 놓지 않더라도 용기의 정확한 얼라인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작업이 편리해진다.
또한, 상부모듈과 하부모듈을 용기측에 구비된 고정블럭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와 커버분리부의 결합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b)는 본 발명의 가스공급장치를 일측과 타측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스공급장치에서 용기의 밸브부에 고정블럭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스공급장치의 상부모듈과 밸브개폐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스공급장치의 상부모듈과 밸브개폐모듈을 도 3과 다른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스공급장치의 상부모듈과 밸브개폐모듈에서 상부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가스공급장치의 상부모듈 및 밸브개폐모듈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가스공급장치의 하부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가스공급장치의 상부모듈에서 바닥플레이트와 고정핀 및 가이드핀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가스공급장치를 측면에서 보여주는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가스공급장치의 상부모듈의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가스공급장치에서 상부모듈을 구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와 밸브개폐모듈을 구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 및 결합분리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가스공급장치에서 상부모듈을 구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와 밸브개폐모듈을 구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가스공급장치에서 제1얼라인부와 제2얼라인부가 대향하도록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상태에서 하부모듈을 전진시켜 제1얼라인부와 제2얼라인부가 일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상태에서 하부모듈을 더 전진시켜 제1얼라인부와 제2얼라인부가 완전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가스공급장치에서 밸브개폐모듈이 하향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7은 도 15의 상태에서 커버 분리부가 밸브 커넥터로부터 분리되고, 커버 분리부와 커넥터 체결부가 일체로 Y방향으로 이송되어 커넥터 체결부가 밸브 커넥터에 대향하도록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X축은 전후 방향, Y축은 좌우 방향, Z축은 수직방향이라 한다. 또한, 수평 방향이라 함은 XY평면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기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이 포함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복수의 모듈을 독립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가스공급장치(1)는, 용기(10)의 상단에 구비된 밸브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상부플레이트(211)를 포함하는 상부모듈(2), 상기 상부모듈(2)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밸브부에 구비된 밸브 커넥터(30;도2)를 덮는 커버(31;도2)를 분리하는 커버 분리부(320;도7)와 가스 소요처에 연결되는 연결배관 커넥터(331;도7)를 상기 밸브 커넥터(30)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체결부(330;도7)를 구비한 하부모듈(3), 상기 밸브부의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개폐모듈(4), 상기 하부모듈(3)이 상기 상부모듈(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1수직이송부(241,242;도3), 상기 밸브개폐모듈(4)이 상기 하부모듈(3)의 수직방향 이송과 독립적으로 상기 상부모듈(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수직이송부로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용기(10)는 반도체장치 등의 가스소요처에 공급되는 공정 가스를 저장하여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용기(10)의 상부에는 상기 밸브부가 구비된다.
상기 밸브부는, 가스의 공급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미도시)와, 상기 밸브의 일측에 구비되어 하부모듈(3)의 커넥터 체결부(330)에 체결되는 밸브 커넥터(30)와, 상기 밸브 커넥터(30)를 덮는 커버(31)와, 상기 밸브를 개폐하는 밸브 셔터(미도시)와, 상기 밸브 셔터의 상부에 연결되어 회전됨에 따라 밸브 셔터를 승강시켜 밸브가 개폐되도록 하는 핸들(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밸브부에는 고정블럭(510,520,53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블럭(510,520,530)에는 상기 제1얼라인부(51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블럭(510,520,530)은 상기 밸브부를 감싸는 제1고정블럭(510)과 제2고정블럭(520) 및 제3고정블럭(5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블럭(520) 및 제3고정블럭(530)의 결합에 의해 상기 밸브부를 감싸게 되면, 상기 밸브부 중 상기 밸브 커넥터(30) 및 커버(31)가 상기 고정블럭(520,530)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노출되고, 상기 밸브부 중 상기 핸들(50)이 상기 고정블럭(520,53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노출된다.
상기 제1고정블럭(510)은 Y축 방향의 길이를 갖는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Y축 방향의 일측면에 상기 제2고정블럭(520)가 결합되고, X축 방향의 일측면에 제1얼라인부(51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얼라인부(512)는 상기 X축 방향의 일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얼라인핀 삽입홈(5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모듈(3)은 상부모듈(2)에 대하여 수평방향 이송이 가능함과 동시에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이송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얼라인부(512)는 하부모듈(3)의 수평방향 이송시 하부모듈(3)에 구비된 제2얼라인부(351; 도 8)와의 결합에 의해 용기(10)의 얼라인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얼라인부(351)는 후술하는 하부모듈(3)의 얼라인 블럭(350)에서 상기 얼라인핀 삽입홈(512)과 마주보는 방향인 X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수평방향의 길이를 갖는 얼라인핀(35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얼라인핀(351)이 상기 얼라인핀 삽입홈(512)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용기(10)의 얼라인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얼라인부(512)가 얼라인핀 삽입홈으로 이루어지고, 제2얼라인부(351)가 얼라인핀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제1얼라인부를 얼라인핀으로 구성하고, 제2얼라인부를 얼라인핀 삽입홈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얼라인핀이 얼라인핀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얼라인부와 제2얼라인부가 체결 또는 결합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얼라인부와 제2얼라인부가 삽입, 체결, 결합되는 방식을 통칭하여 '결합'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1고정블럭(510)에는 상기 제1얼라인부(512)에 인접한 위치에 제1결합부(5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결합부(511)와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2결합부(352)가 상기 하부모듈(3)의 얼라인 블럭(350)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결합부(511)는 상기 제1고정블럭(510)에서 상기 제1얼라인부(512)가 형성된 면과 같은 면에 X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고정홈(51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352)는 상기 제2얼라인부(351)에 인접한 위치의 얼라인 블럭(350)에서 상기 제1결합부(511)를 향하여 돌출된 고정블럭 결합부재(3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블럭 결합부재(352)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돌기(352a)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352a)는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있다. 상기 고정홈(511)의 내부에는 상기 돌기(352a)가 삽입되는 돌기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블럭 결합부재(352)가 상기 고정홈(511)에 삽입되면, 상기 돌기(352a)가 상기 돌기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블럭 결합부재(352)가 상기 고정홈(511)으로부터 빠짐이 방지되어, 상기 하부모듈(3)이 상기 제1고정블럭(5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블럭 결합부재(352)를 고정홈(511)으로부터 빼내는 경우에는 에어(air)를 공급하여 상기 돌기(352a)가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고정블럭 결합부재(352)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하면, 상기 돌기(352a)가 상기 돌기삽입홈으로부터 빠져나온다. 따라서 상기 고정블럭 결합부재(352)가 고정홈(511)으로부터 빠질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모듈(2)에는, 상부플레이트(211), 중간플레이트(212), 하부플레이트(213), 제1수평이송가이드(220), 제2수평이송가이드(230), 제1수직이송부(241,24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부플레이트(211)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도시되지 않은 캐비넷과 같이 위치가 고정된 상대물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중간플레이트(212)도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간부가 높도록 단차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상부플레이트(211)의 하부에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부플레이트(213)도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플레이트(212)의 하부에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수평이송가이드(22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211)와 중간플레이트(21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중간플레이트(212)와 제2수평이송가이드(230)와 하부플레이트(213)와 제1수직이송부(241,242)와 하부모듈(3) 및 밸브개폐모듈(4)을 포함하여 상기 중간플레이트(212)의 하부에 연결된 모든 부품을 수평방향인 Y축 방향(제1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가이드하는 LM가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수평이송가이드(230)는 상기 중간플레이트(212)와 하부플레이트(213)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213)와 제1수직이송부(241,242)와 하부모듈(3) 및 밸브개폐모듈(4)을 포함하여 상기 하부플레이트(213)의 하부에 연결된 모든 부품을 수평방향으로서 Y축에 직교하는 X축 방향(제2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가이드하는 LM가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플레이트(213)에는 Y축 방향의 양측면에 한 쌍의 이송가이드 결합플레이트(243,244)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이송가이드 결합플레이트(243,24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한 쌍의 이송가이드 지지부재(251,25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이송가이드 결합플레이트(243,244)는 상기 하부플레이트(213)의 일측과 타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하 방향의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일측의 이송가이드 지지부재(251)와 타측의 이송가이드 지지부재(252)는 상하 방향의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의 이송가이드 결합플레이트(243)와 타측의 이송가이드 결합플레이트(244)로부터 각각 Y축 방향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일측의 이송가이드 결합플레이트(243)와 이송가이드 지지부재(251) 사이, 상기 타측의 이송가이드 결합플레이트(244)와 이송가이드 지지부재(252) 사이에는 제1수직이송부(241,242)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일측의 이송가이드 지지부재(251)와 타측의 이송가이드 지지부재(252)의 하단부에는 Y축 방향의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플레이트(253)의 일측면과 타측면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바닥플레이트(253)의 하부에 상기 하부모듈(3)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수직이송부(241,242)는 수직방향의 직선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수직이송가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수직이송가이드(241,242)는 상기 한 쌍의 이송가이드 지지부재(251,252)와 바닥플레이트(253) 및 상기 바닥플레이트(253)에 결합된 하부모듈(3)을 일체로 수직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가이드하는 LM가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수평이송가이드(220)와 제2수평이송가이드(230) 및 제1수직이송가이드(241,242)에는 구동수단이 연결되지 않고, 작업자가 수동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가이드 기능만 한다. 즉, 작업자가 하부모듈(3)을 손으로 잡고 X축, Y축, Z축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힘이 가해진 방향으로 각각의 이송가이드를 따라 하부모듈(3)이 이송된다. 이 경우 X축 및 Y축 방향으로의 이송시에는 하부모듈(3)과 함께 밸브개폐모듈(4)이 이송되나, Z축 방향으로의 이송시에는 하부모듈(3)만 제1수직이송가이드(241,242)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이송된다.
상기 제1수평이송가이드(220)와 제1수직이송가이드(241,242)에는 브레이크 기능을 하는 제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이송가이드(220)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1방향으로 이송되는 경우 특정 위치에서 정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브레이크 기능을 수행하는 수평방향 제동부(2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이송가이드(241,242)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송되는 경우 특정 위치에서 정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브레이크 기능을 수행하는 수직방향 제동부(2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방향 제동부(225)와 수직방향 제동부(260)는 스프링(미도시)의 누르는 힘으로 LM가이드의 레일을 잡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동력이 유지되고, 에어(air)를 공급하여 상기 스프링의 누르는 힘을 레일로부터 제거하면 제동력이 해제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평방향 제동부(225)와 수직방향 제동부(260)의 동작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스위치박스(2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박스(270)에는 상기 수평방향 제동부(225)와 수직방향 제동부(260)의 제동력 인가 및 해제를 위한 제1스위치(271), 후술하는 커넥터 체결부(330)와 커버 분리부(320)의 회전 및 정지를 위한 제2스위치(27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스위치(271)와 제2스위치(272)는 작업자가 손으로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이 손으로 작동시키지 않고도 온/오프시키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작업자가 상기 스위치박스(270)의 제1스위치(271)를 눌러 작동된 상태에서는 에어(air)의 공급에 의해 상기 수평방향 제동부(225)와 수직방향 제동부(260)의 제동력이 해제되어 하부모듈(3)이 제1이송가이드(220)와 제3이송가이드(241,242)에 의해 가이드되어 Y축 및 Z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작업자가 제1스위치(271)에서 손을 떼 스위치의 작동이 해제된 순간 스위치는 스프링의 힘에 의해 자동 복귀되어 상기 수평방향 제동부(225)와 수직방향 제동부(260)의 제동력이 인가되어 하부모듈(3)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스위치(272)는 토글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스위치(272)는 상기 커넥터 체결부(330)와 커버 분리부(32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부모듈(3)의 상부와 상기 상부모듈(2)의 하부는 고정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하부모듈(3)과 상부모듈(2) 중 어느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핀이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어 하부모듈(3)이 상기 고정핀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가이드핀 삽입구멍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일례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바닥플레이트(253)의 중앙에는 고정핀(254)이 삽입되는 고정핀 삽입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핀 삽입구멍의 양측부에는 한 쌍의 가이드핀 삽입구멍(253a,253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핀 삽입구멍(253a,253b)은 X축 방향의 길이를 갖는 장공(長孔)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핀 삽입구멍(253a,253b)에는 한 쌍의 가이드핀(255,256)이 각각 삽입되어 있다.
상기 고정핀(254)과 가이드핀(255,256)의 머리부는 바닥플레이트(253)의 상부로 노출되고, 몸통부는 고정핀 삽입구멍과 가이드핀 삽입구멍(253a,253b)에 각각 삽입되어 있으며, 하단부는 후술하는 하부모듈(3)의 상부하우징(311)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핀(254)은 상기 고정핀 삽입구멍을 통과하도록 삽입되어 있어 바닥플레이트(253)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핀 삽입구멍(253a,253b) 각각은 장공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가이드핀(255,256)은 상기 가이드핀 삽입구멍(253a,253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핀 삽입구멍(253a,253b)은 가이드핀(255,256)이 고정핀(254)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상기 하부모듈(3)은 상기 상부모듈(2)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즉, 작업자가 하부모듈(3)을 회전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하부모듈(3)이 고정핀(254)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핀(255,256)이 가이드핀 삽입구멍(253a,253b) 내에서 가이드되고, 가이드핀 삽입구멍(253a,253b)의 길이에 의해 회전각도가 제한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모듈(3)은 상기 상부모듈(3)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제1수평이송가이드(220)와 제2수평이송가이드(230) 및 제1수직이송가이드(241,242)에 의해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므로, 작업자가 손쉽게 얼라인을 할 수 있고, 정확한 얼라인이 가능하므로 얼라인시에 제1얼라인부와 제2얼라인부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하부모듈(3)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하부모듈(3)에는, 복수의 하우징(311,312,313,314)과 커버 분리부(320)와 커넥터 체결부(330)와 커넥터 체결부 이송수단(340)과 얼라인블럭(350)과 플러그모듈(360)과 개스킷 공급부(37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하우징(311,312,313,314)은, 상기 하부모듈(3)의 상부에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된 상부하우징(311), 상기 상부하우징(311)의 Y축 방향 양측에 각각 결합된 제1측면하우징(312)과 제2측면하우징(313), 상기 상부하우징(311)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고 양측이 상기 제1측면하우징(312)과 제2측면하우징(313)에 결합된 하부하우징(3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하우징(311)에는 상부모듈(2)의 고정핀(254)과 가이드핀(255,256)의 하단부가 결합된다. 상기 상부하우징(311)과 제1,제2측면하우징(312,313) 및 하부하우징(314)은 상기 하부모듈(3)의 전후방을 제외하고 상부와 하부 및 양 측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커버 분리부(320)는 상기 밸브부에 구비된 밸브 커넥터(30)를 덮는 커버(31)를 상기 밸브 커넥터(30)로부터 분리한다.
상기 커버 분리부(320)는 상기 커버(31)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31)가 상기 커버 분리부(320)의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수단(미도시)을 구동시켜 상기 커버 분리부(320)를 회전시키면, 상기 밸브 커넥터(30)로부터 상기 커버(31)가 분리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커버 분리부(320)에 분리되어 있던 커버(31)를 상기 회전수단을 구동시켜 상기 밸브 커넥터(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체결부(330)는 가스 소요처에 연결되는 연결배관 커넥터(331)를 상기 밸브 커넥터(30)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 체결부(330)와 밸브 커넥터(30)가 연결된 상태에서 밸브(20)를 개방시키면, 용기(10) 내부의 가스가 밸브 커넥터(30)와 연결배관 커넥터(331)를 통해 가스 소요처에 공급된다.
상기 커넥터 체결부 이송수단(340)은 상기 커버 분리부(320)와 커넥터 체결부(330)를 일체로 좌우 방향(Y축 방향)과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이송한다. 상기 커넥터 체결부 이송수단(340)은, 상기 커버 분리부(320)와 커넥터 체결부(330)를 일체로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이송수단과, 상기 커버 분리부(320)와 커넥터 체결부(330)를 일체로 좌우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이송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이송수단은 전후 방향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기 위한 이송가이드와 에어(air)의 공급에 의해 이송력을 인가하기 위한 에어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이송수단은 좌우 방향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기 위한 이송가이드와 에어(air)의 공급에 의해 이송력을 인가하기 위한 에어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커버 분리부(320)와 커넥터 체결부(330)를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수단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감속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력을 상기 커버 분리부(320)와 커넥터 체결부(330)에 전달하기 위한 회전전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전달부재는 상기 회전력을 커버 분리부(320)와 커넥터 체결부(330)에 각각 전달하고, 상기 모터가 구동되면 상기 커버 분리부(320)와 커넥터 체결부(33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회전수단(380)은 2개의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 분리부(320)와 커넥터 체결부(330)가 각각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밸브개폐부 이송수단과 커넥터 체결부 이송수단(340)과 상기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가스공급장치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커버 분리부(320)와 커넥터 체결부(330)가 설치되도록, 전방과 후방이 개방되고 좌우와 상하를 둘러싸는 내부하우징(3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하우징(315)은 하부하우징(314)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얼라인블럭(350)은 상기 내부하우징(315)의 전방 단부에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있고, 대략 다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얼라인블럭(350)의 전방면에는 제2얼라인부(351)인 얼라인핀(351)이 상기 밸브부를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얼라인핀(351)의 측부에는 상기 제2결합부(352)인 고정블럭 결합부재(352)가 상기 밸브부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모듈(360)은, 밸브 커넥터(30)와 커넥터 체결부(330)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커넥터 체결부(330)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넥터 체결부(330)에 결합되는 플러그(361), 상기 플러그(361)의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플러그 지지부재(362), 상기 플러그 지지부재(362)가 결합되어 지지되는 플러그 지지 하우징(363), 상기 플러그(361)와 플러그 지지부재(362) 및 플러그 지지 하우징(363)을 일체로 전후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플러그 이송가이드(364), 상기 플러그 이송가이드(364)가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1측면하우징(312)에 결합된 플러그 모듈 지지대(3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개스킷 공급부(370)는 용기(10)의 교체시 상기 연결배관 커넥터(331)에 새로운 개스킷을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개스킷(미도시)을 파지하는 개스킷 홀더(미도시), 복수의 개스킷을 수용하는 개스킷 수용부(미도시), 상기 개스킷 수용부에 수용된 개스킷을 상기 연결배관 커넥터(331)에 장착하기 위해 이송하는 개스킷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개스킷 이송수단은 상기 개스킷 홀더에 개스킷이 파지된 상태에서 Y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도 6,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밸브개폐모듈(4)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밸브개폐모듈(4)은, 상기 밸브부의 상단에 구비된 핸들(50)을 회전시켜 상기 밸브부의 밸브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밸브개폐모듈(4)은 상기 핸들(50)이 내부공간(411)에 삽입되는 핸들결합부(410), 상기 핸들결합부(4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핸들구동부(420), 상기 핸들결합부(410)를 포함하는 밸브개폐모듈 본체(401)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결합부(410)의 내부에는 핸들(5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어 핸들과 걸림되어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복수의 핸들걸림부(4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핸들(50)이 내부공간(4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핸들구동부(420)를 구동하면, 핸들(50)이 회전하여 밸브부의 밸브가 개폐된다.
상기 밸브개폐모듈(4)은 상기 제2수직이송부에 의해 상기 하부모듈(3)의 수직방향 이송과 독립적으로 상기 상부모듈(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수직이송부는, 상기 상부모듈(2)에 구비되어 상기 밸브개폐모듈(4)을 상기 상부모듈(2)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2수직이송가이드(4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수직이송가이드(430)는 수직방향의 길이를 갖는 LM레일과 LM블록으로 이루어진 LM가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수직이송부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수직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수직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밸브개폐모듈 이송수단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수직방향으로 이송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상부모듈(2)에는 상기 하부플레이트(213)의 저면에는 제2수직이송가이드 결합플레이트(214)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수직이송가이드 결합플레이트(214)는 YZ평면에 평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수직방향의 길이를 갖도록 상기 하부플레이트(213)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밸브개폐모듈(4)은, 상기 제2수직이송가이드 결합플레이트(214)와의 사이에 상기 제2수직이송가이드(430)가 구비되는 제2수직이송가이드 지지부재(441), 상기 제2수직이송가이드 지지부재(441)의 상단에 결합된 제1수평플레이트(442)를 포함한다.
상기 제2수직이송가이드 지지부재(441)는 YZ평면에 평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수직방향의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수직이송가이드 결합플레이트(214)에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수직이송가이드 지지부재(441)는 상기 밸브개폐모듈(4)이 제2수직이송가이드(430)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송되는 경우 밸브개폐모듈(4)과 함께 수직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442)는, XY평면에 평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수평방향의 길이를 갖고, 일측단 저면에 상기 제2수직이송가이드 지지부재(441)가 수직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밸브개폐모듈 본체(401)는 제2수평플레이트(443)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442)의 저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442)는 상기 밸브개폐모듈 본체(401)와 함께 상기 제2수직이송가이드(43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송된다.
한편,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442)는 상기 밸브개폐모듈 본체(401)의 상대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제2수평플레이트(443)는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442)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442)와 제2수평플레이트(443)는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수평플레이트(443)의 저면에 상기 밸브개폐모듈 본체(401)가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442)와 제2수평플레이트(443) 사이의 결합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결합강도조절부(461,46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합강도조절부(461,462)는,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442)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461a)가 상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플레이트(443)를 상하로 관통하는 축부재(461), 상기 축부재(461)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축부재(46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손잡이부(462)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2수평플레이트(443)에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구멍(443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부재(461)는 상기 가이드구멍(443a)에 삽입되어 상기 제2수평플레이트(443)를 상하로 관통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부(462)를 잡고 상기 축부재(461)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나사부(461a)의 나사 결합이 조여지면서 상기 결합강도조절부(461,462)에서 결합 강도가 강해진다. 따라서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442)와 제2수평플레이트(443)는 대향하는 면이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강하게 결합되어 상기 밸브개폐모듈 본체(401)와 핸들결합부(410)와 핸들구동부(420) 및 제2수평플레이트(443)가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442)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상기 손잡이부(462)를 잡고 상기 축부재(461)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나산부(461a)의 나사 결합이 풀어지면서 상기 결합강도조절부(461,462)에서 결합 강도가 약해진다. 따라서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442)와 제2수평플레이트(443)는 결합력이 약해져 대향하는 면이 서로 강하게 밀착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밸브개폐모듈 본체(401)와 핸들결합부(410)와 핸들구동부(420) 및 제2수평플레이트(443)를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442)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축부재(461)가 상기 가이드구멍(443a)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구멍(443a)을 따라 상기 회전을 가이드하게 되고, 회전 범위는 가이드구멍(443a)의 길이에 의해 제한된다.
이와 같이 밸브개폐모듈 본체(401)와 핸들결합부(410)와 핸들구동부(420) 및 제2수평플레이트(443)를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44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게 되면, 작업자가 핸들(50)에 핸들결합부(410)를 결합하는 경우 핸들(50)의 형상에 핸들결합부(410)의 위상을 맞추어 손쉽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밸브개폐모듈(4)에는 결합분리부(4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개폐모듈(4)의 일측은 상기 제2수직이송가이드 지지부재(441)를 통해 상기 제2수직이송가이드(430)에 결합되고, 상기 밸브개폐모듈(4)의 타측은 상기 결합분리부(450)에 의해 상부모듈(2)에 구비된 복수의 플레이트(211,212,213)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211,212,213) 중 중간플레이트(212)에 결합분리부(450)가 결합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플레이트(212)에는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림부(212a)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합분리부(450)는, 상기 걸림부(212a)의 단부(212b)에 걸림되어 결합이 이루어지거나 걸림이 해제되어 분리되는 걸림부재(452),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442)에 결합된 결합부본체(451), 상기 결합부본체(451)에 결합되고 상기 걸림부재(452)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핀(453)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재(452)의 상측 단부(452a)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부재(452)를 상향 회동시켜 상기 후크 형상부분이 상기 걸림부(213a)에 걸림되면, 밸브개폐모듈(4)이 중간플레이트(212)에 걸린 구조가 되어 밸브개폐모듈(4)이 하향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작업자가 밸브개폐모듈(4)을 하향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부재(452)를 핀(453)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걸림부재(452)의 후크 형상 부분이 걸림부(213a)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밸브개폐모듈(4)을 하향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밸브개폐모듈(4)을 수동으로 하향 이동시키면, 밸브개폐모듈(4)은 제2수직이송가이드(430)를 따라 하향 이동하게 된다.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가스공급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용기를 교체하기 위해 새로운 용기(10)를 용기 적재부(미도시) 위에 적재한다. 이 경우 수평방향 제동부(225)와 수직방향 제동부(260)는 제동이 이루어진 상태이므로, 하부모듈(3)은 Y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 다음 작업자가 제1스위치(271)를 누른다. 상기 제1스위치(271)를 누르고 있으면 상기 수평방향 제동부(225)와 수직방향 제동부(260)의 제동력이 해제되어 하부모듈(3)이 제1이송가이드(220)와 제3이송가이드(241,242)에 의해 가이드되어 Y축 및 Z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하부모듈(3)에 힘을 가하여 전후 방향, 좌우 방향, 상하 방향으로 움직여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얼라인부(351)가 제1얼라인부(512)와 마주보도록 얼라인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제2결합부(352)가 제1결합부(511)와 마주보도록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얼라인을 할 때 작업자가 하부모듈(3)에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힘을 가하게 되면, 고정핀(254)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한 쌍의 가이드핀(255,256)이 가이드핀 삽입구멍(253a,253b)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하부모듈(3)이 XY평면 상에서 회전되므로 제1얼라인부(512)와 제2얼라인부(351)의 정확한 얼라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의 상태에서 계속하여 작업자가 하부모듈(3)의 위치를 조절하여,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얼라인핀(351)의 일부만 얼라인핀 삽입홈(512)에 삽입되도록 한다.
도 13의 상태와 도 14의 상태는 작업자의 연속적인 작업으로 인해 한 번의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하부모듈(3)을 전후 방향, 좌우 방향, 상하 방향으로의 이송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얼라인부(512)와 제2얼라인부(351)를 손쉽게 얼라인시킬 수 있다.
한편, 얼라인핀(351)이 얼라인블럭(350)으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제2결합부(352)인 고정블럭 결합부재(352)가 얼라인블럭(350)으로부터 돌출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얼라인핀(351)의 일부만 얼라인핀 삽입홈(512)에 삽입되면, 제1결합부(511)와 제2결합부(352)는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고, 커버 분리부(320)와 커버(31)가 덮인 밸브 커넥터(30)가 대향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작업자는 제1스위치(271)에서 손을 뗀다. 상기 제1스위치(271)에서 손을 떼면, 수평방향 제동부(225)와 수직방향 제동부(260)는 제동력이 인가되어 하부모듈(3)은 Y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제2스위치(272)를 조작하면 회전수단이 구동되어 상기 커버 분리부(320)가 회전된다. 상기 커버(31)의 형상이 일례로, 육각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상기 커버 분리부(320)의 홈도 그에 대응하도록 육각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커버 분리부(320)의 홈의 육각형과 커버(31)의 육각형의 위상이 일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 분리부(320)의 홈 내부에 커버(31)를 삽입하기 위해 하부모듈(3)을 전진시키면, 커버 분리부(320)와 커버(31)의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제2스위치(272)를 조작하여 커버 분리부(320)를 회전시키면서 하부모듈(3)을 전진시키면, 커버 분리부(320)의 홈과 커버(31)의 위상이 일치되는 순간 커버 분리부(320)와 커버(31)의 형합이 이루어져 충돌없이 결합이 가능해진다.
또한, 센서를 이용하여 커버(31)의 육각형 형상을 감지하여 커버 분리부(320)와의 위상을 일치시키는 방법도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도 14의 상태에서 하부모듈(3)을 전방으로 더 밀면,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얼라인핀(351)의 전체가 얼라인핀 삽입홈(512)에 삽입되어 제1얼라인부(512)와 제2얼라인부(351)의 완전 결합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제1결합부(511)에 제2결합부(352)가 삽입되어 돌기(352a)가 상기 돌기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결합부(511)와 제2결합부(352)의 결합이 이루어져 하부모듈(3)이 X축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분리부(320)의 홈에 커버(31)가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하부모듈(3)은 Y축과 Z축 방향으로의 이송은 수평방향 제동부(225)와 수직방향 제동부(260)에 의해 제동되고, X축 방향으로의 이송은 제1결합부(511)와 제2결합부(352)의 결합에 의해 제동되므로, X,Y,Z축 모든 방향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후 작업자는 밸브개폐모듈(4)의 핸들결합부(410)와 핸들(50)이 결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걸림부재(452)를 핀(453)을 중심으로 회동하면, 걸림부(212a)와 걸림부재(452)의 상측 단부(452a)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밸브개폐모듈(4)을 하향 이송시키면 밸브개폐모듈(4)은 제2수직이송가이드(43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수직 방향으로 이송되어 도 16에 나타난 상태가 되어 핸들결합부(410)의 내부에 핸들(50)이 삽입된다. 이 경우 축부재(461)를 회전시켜 제1수평플레이트(442)와 제2수평플레이트(443)의 결합강도를 약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밸브개폐모듈 본체(401)와 핸들결합부(410)와 핸들구동부(420) 및 제2수평플레이트(443)를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442)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축부재(461)가 가이드구멍(443a)을 따라 회전되므로, 핸들(50)과 핸들결합부(410)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핸들결합부(410)와 핸들(50)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그 이후의 동작은 작업자가 동작 신호를 인가하여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에 의해 회전수단이 구동되어 커버 분리부(320)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이송수단을 구동하여 커버 분리부(32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커버(31)가 밸브 커넥터(30)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커버(31)가 밸브 커넥터(30)로부터 분리된 후 커넥터 체결부 이송수단(340)의 제2이송수단을 구동하면, 도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버 분리부(320)와 커넥터 체결부(330)가 일체로 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커넥터 체결부(330)와 밸브 커넥터(30)가 마주보도록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커넥터 체결부(330)를 밸브 커넥터(30) 방향으로 이송하여 연결배관 커넥터(331)를 상기 밸브 커넥터(30)에 연결시킨다.
그 다음 핸들결합부(410)에 핸들(50)이 삽입된 상태에서 핸들구동부(420)를 구동하면, 핸들(50)이 회전되어 밸브부의 밸브가 개방되고, 용기(10)에 수용된 가스가 가스소요처에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모듈(2,3,4)을 각각 독립적으로 이송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송되는 모듈의 무게가 가벼워 용기의 얼라인시 미세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모듈(2,3,4)을 각각 독립적으로 이송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손쉽게 얼라인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 : 가스공급장치 2 : 상부모듈
3 : 하부모듈 4 : 밸브개폐모듈
10 : 용기 20 : 밸브
30 : 밸브 커넥터 31 : 커버
50 : 핸들 211 : 상부플레이트
212 : 중간플레이트 213 : 하부플레이트
214 : 제2수직이송가이드 결합플레이트
220 : 제1이송가이드 225 : 수평방향 제동부
230 : 제2이송가이드 241,242 : 제3이송가이드
243,244 : 이송가이드 결합플레이트
251,252 : 이송가이드 지지부재 253 : 바닥플레이트
253a,253b : 가이드핀 삽입구멍 254 : 고정핀
255,256 : 가이드핀 260 : 수직방향 제동부
270 : 스위치박스 271 : 제1스위치
272 : 제2스위치 311 : 상부하우징
312 : 제1측면하우징 313 : 제2측면하우징
314 : 하부하우징 315 : 내부하우징
316 : 플러그 모듈 지지대 320 : 커버 분리부
330 : 커넥터 체결부 331 : 연결배관 커넥터
340 : 이송수단 350 : 얼라인블럭
351 : 제2얼라인부 352 : 제2결합부
352a : 돌기 360 : 플러그모듈
361 : 플러그 362 : 플러그 지지부재
363 : 플러그 지지 하우징 364 : 플러그 이송가이드
370 : 개스킷 공급부 371 : 개스킷
372 : 개스킷 홀더 374 : 개스킷 이동수단
380 : 회전수단 410 : 핸들결합부
412 : 핸들걸림부 420 : 핸들구동부
430 : 제2수직이송가이드 441 : 제2수직이송가이드 지지부재
442 : 제1수평플레이트 443 : 제2수평플레이트
450 : 결합분리부 451 : 결합부본체
452 : 걸림부재 453 : 핀
461 : 축부재 461a : 나사부
462 : 손잡이부 510, 520, 530 : 고정블럭
511 : 제1결합부 512 : 제1얼라인부

Claims (10)

  1. 용기의 상단에 구비된 밸브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상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상부모듈;
    상기 밸브부에 구비된 밸브 커넥터를 덮는 커버를 분리하는 커버 분리부, 가스 소요처에 연결되는 연결배관 커넥터를 상기 밸브 커넥터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체결부를 구비한 하부모듈;
    상기 밸브부의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개폐모듈;
    상기 하부모듈이 상기 상부모듈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1수직이송부;
    상기 밸브개폐모듈이 상기 하부모듈의 수직방향 이송과 독립적으로 상기 상부모듈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수직이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개폐모듈은 일측이 상기 제2수직이송부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밸브개폐모듈의 이동을 방지하거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결합분리부가 구비된 가스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이송부는 상기 상부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모듈의 수직방향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수직이송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수직이송부는 상기 상부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밸브개폐모듈을 상기 상부모듈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2수직이송가이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개폐모듈은,
    상기 밸브부의 밸브를 개폐하는 핸들이 삽입되는 핸들결합부를 포함하는 밸브개폐모듈 본체;
    상기 밸브개폐모듈 본체와 함께 상기 제2수직이송부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밸브개폐모듈 본체의 상대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 제1수평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개폐모듈은,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된 제2수평플레이트;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와 제2수평플레이트를 결합하되, 상기 결합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결합강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강도조절부에서 결합 강도를 세게 하면 상기 밸브개폐모듈 본체가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결합강도조절부에서 상기 결합 강도를 약하게 하면 상기 밸브개폐모듈 본체가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강도조절부는,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플레이트를 상하로 관통하는 축부재;
    상기 축부재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축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공급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개폐모듈은,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고 원호 형상의 가이드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개폐모듈 본체가 결합된 제2수평플레이트;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구멍에 삽입된 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개폐모듈 본체와 제2수평플레이트를 회전시키면 상기 축부재가 상기 가이드구멍 내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공급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분리부는 상기 상부모듈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공급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모듈에 복수의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밸브개폐모듈은 일측이 상기 제2수직이송가이드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분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공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결합분리부가 결합되는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분리부는, 상기 걸림부에 걸림되어 결합이 이루어지거나 걸림이 해제되어 분리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공급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개폐모듈은,
    상기 밸브부의 밸브를 개폐하는 핸들이 삽입되는 핸들결합부를 포함하는 밸브개폐모듈 본체;
    상기 밸브개폐모듈 본체와 함께 상기 제2수직이송가이드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밸브개폐모듈 본체의 상대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 제1수평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분리부는,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에 결합된 결합부본체와, 상기 결합부본체에 결합된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핀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걸림부에 걸림되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공급장치
KR1020210006912A 2020-05-06 2021-01-18 복수의 모듈을 독립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가스공급장치 KR102341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912A KR102341096B1 (ko) 2020-05-06 2021-01-18 복수의 모듈을 독립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가스공급장치
KR1020210093578A KR102321101B1 (ko) 2021-01-18 2021-07-16 복수의 모듈을 독립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가스공급장치
KR1020210178436A KR102513311B1 (ko) 2021-01-18 2021-12-14 복수의 모듈을 독립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가스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765A KR102216162B1 (ko) 2020-05-06 2020-05-06 복수의 모듈을 독립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가스공급장치
KR1020210006912A KR102341096B1 (ko) 2020-05-06 2021-01-18 복수의 모듈을 독립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가스공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765A Division KR102216162B1 (ko) 2020-05-06 2020-05-06 복수의 모듈을 독립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가스공급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578A Division KR102321101B1 (ko) 2021-01-18 2021-07-16 복수의 모듈을 독립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가스공급장치
KR1020210178436A Division KR102513311B1 (ko) 2021-01-18 2021-12-14 복수의 모듈을 독립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가스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923A KR20210135923A (ko) 2021-11-16
KR102341096B1 true KR102341096B1 (ko) 2021-12-21

Family

ID=79165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912A KR102341096B1 (ko) 2020-05-06 2021-01-18 복수의 모듈을 독립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가스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0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326B1 (ko) 2018-07-20 2019-11-27 주식회사 케이씨 커넥터 체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697B1 (ko) * 2017-08-02 2019-10-23 에이엠티 주식회사 가스통 밸브 자동 개폐장치 및 그 방법
KR102112761B1 (ko) * 2018-07-25 2020-05-19 주식회사 케이씨 밸브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326B1 (ko) 2018-07-20 2019-11-27 주식회사 케이씨 커넥터 체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923A (ko)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8266B1 (ko) 얼라인 기능이 구비된 가스공급장치
KR102241538B1 (ko) 가스공급장치와 개스킷 교체 방법
KR102321101B1 (ko) 복수의 모듈을 독립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가스공급장치
KR102292289B1 (ko) 복수의 모듈을 독립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가스공급장치
US10568250B2 (en)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component
US8083057B2 (en) Screw feeder having a magazine for holding a screw head
KR102337062B1 (ko) 얼라인 기능이 구비된 가스공급장치 및 얼라인 방법
KR102341096B1 (ko) 복수의 모듈을 독립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가스공급장치
KR102233471B1 (ko) 가스공급장치
KR102233470B1 (ko) 커넥터 이송부를 구비한 가스공급장치 및 가스공급장치의 커넥터 결합방법
KR102353914B1 (ko) 개스킷 공급모듈 및 가스공급장치
TWI833994B (zh) 氣體供應裝置
KR20220140377A (ko) 가스공급장치와 개스킷 교체 방법
KR102353833B1 (ko) 캐비넷상에서의 고압가스통 체결 및 제거 방법
KR102346155B1 (ko) 얼라인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공급 장치 체결 시스템
KR102440146B1 (ko) 가스 용기 체결 장치
CN220354844U (zh) 样本处理装置
WO2022071004A1 (ja) パーツフィーダおよび部品装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