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761B1 - 밸브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밸브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761B1
KR102112761B1 KR1020180086425A KR20180086425A KR102112761B1 KR 102112761 B1 KR102112761 B1 KR 102112761B1 KR 1020180086425 A KR1020180086425 A KR 1020180086425A KR 20180086425 A KR20180086425 A KR 20180086425A KR 102112761 B1 KR102112761 B1 KR 102112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ocking
portions
closing devic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1682A (ko
Inventor
정근준
이상욱
김용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
Priority to KR1020180086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761B1/ko
Publication of KR20200011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16K31/535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for rot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26Valves electrically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88Arrangement of valves, regulators,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5Applications for industrial use
    • F17C2270/0518Semi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를 이용하여 밸브 셔터를 회전시켜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밸브 개폐장치는, 밸브를 개폐하는 밸브 셔터의 핸들에 걸리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왕복이동 및 회전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는 상기 지지부의 왕복이동 및 회전에 따라 상기 핸들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밸브 개폐장치{Switchgear for Valve Shutter}
본 발명은 밸브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를 이용하여 밸브 셔터를 회전시켜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를 이용하는 장치, 특히, 반도체장비와 같이 정밀한 작업이 수행되는 가스소요처에 가스를 공급하는 장치의 경우, 각각의 목적에 적합한 종류의 가스가 일정한 농도와 압력 등을 만족할 것이 요구된다.
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많은 종류의 가스가 고압 상태로 보관되며, 가스가 보관된 밀폐된 가스통을 개폐하는 밸브가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가스통의 밸브는 밸브 셔터의 회전에 의해 개폐되며, 밸브 셔터의 상부에 핸들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핸들을 잡고 회전시키거나, 핸들에 걸리는 밸브 개폐장치를 회전시킴에 따라 핸들이 회전하여 밸브가 개폐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일반적으로 가스통의 개폐는 엄중하게 관리되며, 특히 가연성, 부식성 등의 유해 성질을 가지는 가스가 보관된 가스통은 인적이 차단된 별도의 공간에서 자동으로 구동하는 밸브 개폐장치에 의해 개폐되도록 관리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의 자동 밸브 개폐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 기술의 자동 밸브 개폐장치는, 밸브 셔터의 핸들(9)에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핸들(9)의 일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핸들(9)을 함께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지는 핸들척(7)과, 상기 핸들척(7)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9)이 임의의 5각형(일점쇄선)의 다섯 꼭지점에 함몰부(9a)가 형성된 5각 핸들 형태인 경우, 상기 핸들척(7)은 상기 5각형의 다섯 꼭지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돌기(7a)가 형성되어 상기 함몰부(9a)와 맞물리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1의 (a)는 상기 핸들(9)과 상기 핸들척(7)이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의 (b)는 상기 핸들척(7)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때, 상기 핸들척(7)은 다른 형태, 예를 들면 임의의 6각형(미도시)의 여섯 꼭지점에 함몰부(미도시)가 형성된 핸들을 가지는 밸브 셔터에는 맞물리지 못하므로, 핸들의 형태에 따라 이에 맞는 핸들척이 구비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상기 핸들척(7)은 상기 핸들(9)보다 크거나 작은 핸들을 가지는 밸브 셔터에도 맞물리지 못하므로, 핸들의 크기에 따라 이에 맞는 핸들척이 구비될 필요가 있었다.
또한, 고온 또는 고압의 환경에 노출되는 밸브의 수축 또는 팽창으로 인해 상기 핸들(9)이 변형되거나 설치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핸들척(7)과 상기 핸들(9)의 결합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어, 무리한 결합에 의한 상기 핸들(9) 또는 상기 핸들척(7)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었고, 밸브 개폐 기능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가스 공급 장치에 대한 선행기술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0312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스통을 개폐하는 밸브 셔터의 핸들의 형태에 관계 없이 핸들에 걸려 회전시킬 수 있는 밸브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가스통을 개폐하는 밸브 셔터의 핸들의 크기에 관계 없이 핸들에 걸려 회전시킬 수 있는 밸브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가스통을 개폐하는 밸브 셔터의 핸들의 변형 또는 설치위치 변경에도 불구하고 핸들에 차질 없이 결합되어, 무리한 결합에 의한 핸들의 파손 및 밸브 개폐 기능에 대한 신뢰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밸브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밸브 개폐장치는, 밸브를 개폐하는 밸브 셔터의 핸들에 걸리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왕복이동 및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는 상기 지지부의 왕복이동 및 회전에 따라 상기 핸들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 복수의 상기 걸림부가 지지되고, 상기 복수의 걸림부는 상기 지지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걸림부는 상기 지지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동심 구조의 복수 겹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가 상기 핸들에 걸리면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켜 상기 밸브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핸들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교대로 구비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는 상기 지지부의 왕복이동에 따라 상기 핸들의 함몰부에 인입 또는 인출되고, 상기 지지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핸들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핸들은 내측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가 인입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는 상기 지지부의 왕복이동에 따라 상기 핸들의 홀에 대해 인입 또는 인출되고, 상기 지지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핸들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밸브 개폐장치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복수의 걸림부에 양단이 지지되며, 탄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복수의 걸림부가 소정의 유격을 가지고 왕복이동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걸림부 중 일부는 상기 지지부의 왕복이동에 따라 상기 핸들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고, 상기 복수의 걸림부 중 상기 핸들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걸림부를 제외한 나머지는 상기 지지부의 왕복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부가 수축 또는 복원되며 상기 핸들에 눌림 또는 눌림 해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걸림부는 10의 배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 개폐장치에 의하면, 가스통을 개폐하는 밸브 셔터의 핸들의 형태에 관계 없이 핸들에 걸려 회전시킬 수 있는 밸브 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스통을 개폐하는 밸브 셔터의 핸들의 크기에 관계 없이 핸들에 걸려 회전시킬 수 있는 밸브 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스통을 개폐하는 밸브 셔터의 핸들의 변형 또는 설치위치 변경에도 불구하고 핸들에 차질 없이 결합되어, 무리한 결합에 의한 핸들의 파손 및 밸브 개폐 기능에 대한 신뢰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밸브 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밸브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의 (a)는 본 발명의 밸브 개폐장치가 상기 핸들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의 (b)는 본 발명의 밸브 개폐장치가 핸들로부터 결합 해제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밸브 개폐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밸브 개폐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밸브 개폐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밸브 개폐장치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밸브 개폐장치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밸브 개폐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밸브 개폐장치(10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하여 밸브(300)를 개폐하는 밸브 셔터(200)의 핸들(210)에 걸리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110)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110)를 지지하는 지지부(120)와, 상기 지지부(120)를 왕복이동 및 회전시키는 구동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300)는 가스통(1)을 개폐하는 밸브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110)는 상기 구동부(140)의 왕복이동 및 회전에 의해 상기 핸들(210)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된다.
상기 걸림이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110)가 상기 핸들(210)의 걸림 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상태를 뜻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110)가 걸림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핸들(210)과 본 발명의 밸브 개폐장치(100)가 결합된다.
상기 걸림 위치란, 상기 핸들(210)에 결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11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핸들(210)을 밀어 상기 핸들(210) 및 상기 밸브 셔터(200)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110)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위치를 뜻한다.
상기 구동부(140)는 상기 지지부(120)를 왕복이동시키는 왕복 직선구동 액츄에이터(141,142) 및 상기 지지부(120)를 회전운동시키는 로터리 액츄에이터(143)로 이루어진다.
상기 왕복 직선구동 액츄에이터(141,142)는 상기 지지부(12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왕복 직선구동 액츄에이터(141)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왕복 직선구동 액츄에이터(14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액츄에이터(143)는 베인타입 또는 랙피니언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12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밸브 셔터(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밸브(300)를 열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밸브(300)를 닫도록 이루어진 경우, 상기 구동부(410)는 상기 지지부(1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밸브(300)를 열고, 상기 지지부(1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밸브(300)를 닫게 된다.
상기 지지부(120)에는 복수의 걸림부(110;111,112)가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핸들(210)에 걸리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111)는 상기 복수의 걸림부(110;111,112) 중 일부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걸림부(110)와 상기 지지부(120) 사이에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탄성부(13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130)는, 상기 지지부(140)와 상기 복수의 걸림부(110)에 양단이 지지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걸림부(110)를 탄성지지하며, 외력의 작용시 수축 또는 이완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걸림부(110)가 소정의 유격을 가지고 왕복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14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복수의 걸림부(110)와 상기 핸들(210)이 결합되면, 상기 복수의 걸림부(110) 중 일부(112)의 이동이 상기 핸들(210)에 의해 가로막힐 수 있으며, 작용반작용의 법칙에 의해 상기 핸들(210)이 상기 가로막힌 걸림부(112)를 미는 힘이 발생하여 상기 외력으로 작용한다.
상기 복수의 걸림부(110;112)와 상기 핸들(210)에 가로막힌 상태로 접촉되어 상기 탄성부(130)가 수축된 상태를 상기 가로막힌 걸림부(110;112)의 눌림 상태라 하며, 상기 복수의 걸림부(110;112)와 상기 핸들(210)이 상호 이격되어 상기 탄성부(130)가 이완된 상태를 상기 가로막힌 걸림부(110;112)의 눌림 해제 상태라 한다.
상기 복수의 걸림부(110;111,112) 중 상기 핸들(210)에 걸리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111)를 유효 걸림부(111)라 하며, 상기 핸들(210)에 걸리지 않는 걸림부(112)를 무효 걸림부(112)라 한다.
상기 유효 걸림부(111)와 상기 무효 걸림부(112)는 지정된 것이 아니며, 상기 핸들(210)의 모양이나 크기 또는 상기 핸들(210)과 상기 복수의 걸림부(110;111,112)의 결합 양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유효 걸림부(111)는 전달 걸림부(미도시)와 비전달 걸림부(미도시)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전달 걸림부는 상기 걸림 위치에 위치하며 회전시 상기 핸들(210)의 일부를 밀어 실질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걸림부를 말하며, 상기 비전달 걸림부는 상기 걸림 위치에 위치하지만 실질적으로 회전력 전달과 무관한 걸림부를 말한다.
또한, 상기 무효 걸림부(112)에는 상기 가로막힌 걸림부(112)와 초과 걸림부(미도시)가 포함된다.
상기 초과 걸림부는, 상기 복수의 걸림부(110,111,112) 중 상기 핸들(210)이 위치하는 범위를 초과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걸림부를 말한다.
도 2의 (a)는, 상기 구동부(140)의 구동에 의해 본 발명의 밸브 개폐장치(100)가 상기 핸들(210)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지지부(120) 및 상기 복수의 걸림부(110;111,112)는 상기 밸브 셔터(200)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핸들(210)과 수직으로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140)의 구동에 의해 하강이동하여 상기 핸들(21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걸림부(110;111,112) 중 유효 걸림부(111)가 상기 핸들(210)의 걸림 위치에 위치하여 걸림 상태가 되고, 상기 핸들(210)에 가로막힌 걸림부(112)는 상기 탄성부(130)가 수축하며 눌림 상태가 된다.
단, 상기 복수의 걸림부(110;111,112)의 설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걸림부(110;111,112)가 모두 상기 가로막힌 걸림부(112)가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구동부(140)의 구동에 의해 복수의 걸림부(110;111,112)를 회전시킴으로써 유효 걸림부(111)가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복수의 걸림부(110;111,112)는 상기 구동부(140)의 구동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상기 유효 걸림부(111)가 상기 핸들(210)을 밀어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밸브(300)를 열거나 닫는다.
도 2의 (b)는, 상기 구동부(140)의 구동에 의해 본 발명의 밸브 개폐장치(100)가 상기 핸들(210)로부터 결합 해제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지지부(120) 및 상기 복수의 걸림부(110;111,112)는 상기 구동부(140)의 구동에 의해 상승이동 시 상기 핸들(210)로부터 결합 해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효 걸림부(111)가 상기 핸들(210)의 걸림 위치로부터 벗어나 걸림 상태가 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핸들(210)에 가로막혀 있던 걸림부(112)는 탄성부(130)가 복원되면서 눌림 상태가 해제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둘레를 따라 함몰부와 돌출부가 번갈아 형성된 핸들에 대해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본 발명의 밸브 개폐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해 서술한다.
도 3과 도 4는 5각 핸들(211)에 복수의 걸림부(110;111,112)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상기 5각 핸들(211)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된 5개의 함몰부(211a)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5개의 돌출부(211b)가 일정 간격으로 번갈아 형성된 것으로, 상기 5개의 함몰부(211a)는 유효 걸림부(111)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걸림 위치가 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5각 핸들(211)에 결합되는 10개의 걸림부(110;111,112)를 포함하는 밸브 개폐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의 (a)는 상기 5각 핸들(211) 및 상기 10개의 걸림부(110;111,112)가 구비된 지지부(120)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의 (b) 및 도 3의 (c)는 상기 10개의 걸림부(110,111,112)가 하강한 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5각 핸들(211)과 결합된 모습을 각각 나타낸 평면도이다.
상기 10개의 걸림부(110,111,112)는 지지부(12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5각 핸들(211)에 결합되어 5개의 유효 걸림부(111)와 5개의 무효 걸림부(112)가 된다.
상기 10개의 걸림부(110,111,112)는 시계방향(도 3의 (a)) 또는 반시계방향(도 3의 (b))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상기 5개의 유효 걸림부(111)가 상기 5개의 돌출부(211b)의 측면을 밀어 상기 5각 핸들(211)을 미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밸브(300)를 열거나 닫는다.
이때, 상기 5개의 유효 걸림부(111)는 상기 5개의 함몰부(211a)에 각각 하나씩 위치하며, 상기 5개의 유효 걸림부(111)가 모두 전달 걸림부가 될 수 있어, 상기 핸들(211)을 회전시키는데 높은 효율성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5각 핸들(211)에 결합되는 20개의 걸림부(110;111,112)를 포함하는 밸브 개폐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의 (a)는 상기 5각 핸들(211) 및 상기 20개의 걸림부(110;111,112)가 구비된 지지부(120)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의 (b) 및 도 4의 (c)는 상기 20개의 걸림부(110;111,112)가 하강하여 상기 5각 핸들(211)과 결합된 모습을 각각 나타낸 평면도이다.
상기 20개의 걸림부(110;111,112)는 지지부(12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5각 핸들(211)에 결합되어 10개의 유효 걸림부(111)와 10개의 무효 걸림부(112)가 된다.
상기 10개의 유효 걸림부(111)는 상기 5개의 함몰부(211a)마다 2개씩 위치하게 되며, 상기 5개의 함몰부(211a)에 각각 위치하는 2개의 유효 걸림부(111a,111b)는 상기 20개의 걸림부(110;111,11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달 걸림부 또는 비전달 걸림부가 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20개의 걸림부(110;111,11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5개의 함몰부(211a)에 각각 위치하는 2개의 유효 걸림부(111a,111b) 중 시계방향에 위치하는 유효걸림부(111a)는 상기 5개의 돌출부(211b)의 측면을 밀어 미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전달 걸림부가 된다.
이때, 상기 5개의 함몰부(211a)에 각각 위치하는 2개의 유효 걸림부(111a,111b) 중 반시계방향에 위치하는 유효걸림부(111b)는 비전달 걸림부가 된다.
또한, 도 4의 (c)를 참조하면, 상기 20개의 걸림부(110,111,11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5개의 함몰부(211a)에 각각 위치하는 2개의 유효 걸림부(111a,111b) 중 반시계방향에 위치하는 유효걸림부(111a)는 상기 5개의 돌출부(211b)의 측면을 밀어 미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전달 걸림부가 된다.
이때, 상기 5개의 함몰부(211a)에 각각 위치하는 2개의 유효 걸림부(111a,111b) 중 시계방향에 위치하는 유효걸림부(111b)는 비전달 걸림부가 된다.
따라서, 상기 10개의 유효 걸림부(111)가 회전 방향에 따라 번갈아 전달 걸림부로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핸들(211)을 회전시키는데 높은 효율성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3과 도 4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5각 핸들(211)에 적용되는 밸브 개폐장치(100)는, 지지부(12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5의 배수 개의 걸림부가 구비되는 경우 높은 효율성 및 안정성을 가진다.
단, 25개 이상의 걸림부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각 함몰부에 3개의 유효 걸림부가 위치할 수 있어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는 비전달 걸림부가 과다하게 발생하므로, 상기 도 4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20개 이하의 걸림부가 구비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도 5와 도 6은 6각 핸들(212)에 복수의 걸림부(110;111,112)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상기 6각 핸들(212)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된 6개의 함몰부(212a)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6개의 돌출부(212b)가 일정 간격으로 번갈아 형성된 것으로, 상기 6개의 함몰부(212a)는 유효 걸림부(111)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걸림 위치가 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6각 핸들(212)에 결합되는 10개의 걸림부(110;111,112)를 포함하는 밸브 개폐장치의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의 (a)는 상기 6각 핸들(212) 및 상기 10개의 걸림부(110;111,112)가 구비된 지지부(120)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의 (b) 및 도 5의 (c)는 상기 10개의 걸림부(110;111,112)가 하강한 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6각 핸들(212)과 결합된 모습을 각각 나타낸 평면도이다.
상기 10개의 걸림부(110;111,112)는 지지부(12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6각 핸들(212)에 결합되어 4개의 유효 걸림부(111)와 6개의 무효 걸림부(112)가 된다.
상기 4개의 유효 걸림부(111)는 상기 6개의 함몰부(212a) 중 4 개의 함몰부(212a)에 하나씩 위치하게 되며, 상기 10개의 걸림부(110;111,11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달 걸림부 또는 비전달 걸림부가 된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상기 10개의 걸림부(110;111,11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12시방향 및 6시방향의 함몰부(212a)에 위치하는 유효 걸림부(111a)가 1시방향 및 7시방향의 돌출부(212b)를 밀어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전달 걸림부가 된다.
이때, 10시방향 및 4시방향의 함몰부(212a)에 위치하는 유효 걸림부(111b)는 비전달 걸림부가 된다.
또한, 도 5의 (c)를 참조하면, 상기 10개의 걸림부(110;111,11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10시방향 및 4시방향의 함몰부(212a)에 위치하는 유효 걸림부(111a)가 9시방향 및 3시방향의 돌출부(212b)를 밀어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전달 걸림부가 된다.
이때, 상기 12시방향 및 6시방향의 함몰부(212a)에 위치하는 유효 걸림부(111b)는 비전달 걸림부가 된다.
따라서, 상기 4개의 유효 걸림부(111) 중 서로 마주보는 위치의 유효 걸림부가 쌍을 이루어 회전 방향에 따라 번갈아 전달 걸림부(111a)로 작용하게 되므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핸들(212)을 밀어 회전시킴으로써 높은 효율성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6각 핸들(212)에 결합되는 20개의 걸림부(110;111,112)를 포함하는 밸브 개폐장치의 제4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의 (a)는 상기 6각 핸들(212) 및 상기 20개의 걸림부(110;111,112)가 구비된 지지부(120)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의 (b) 및 도 6의 (c)는 상기 20개의 걸림부(110;111,112)가 하강한 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6각 핸들(212)과 결합된 모습을 각각 나타낸 평면도이다.
상기 20개의 걸림부(110;111,112)는 지지부(12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6각 핸들(212)에 결합되는 8개의 유효 걸림부(111)와 12개의 무효 걸림부(112)가 된다.
상기 8개의 유효 걸림부(111)는 상기 6개의 함몰부(212a)에 각각 하나 또는 두 개씩 위치하게 되며, 12시방향 및 6시방향의 함몰부(212a)에 각각 두 개씩 위치하고, 나머지 4개의 함몰부(212a)에 각각 하나씩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12시방향 및 6시방향의 함몰부(212a)에 각각 위치하는 2개의 유효 걸림부(111a,111b)는 상기 20개의 걸림부(110;111,11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달 걸림부 또는 비전달 걸림부가 되며, 상기 12시방향 및 6시방향의 함몰부(212a)를 제외한 나머지 4개의 함몰부(212a)에 위치하는 4개의 유효 걸림부(111b)는 비전달 걸림부가 된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상기 20개의 걸림부(110;111,11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12시방향 및 6시방향의 함몰부(212a)에 각각 위치하는 2개의 유효 걸림부(111a,111b) 중 시계방향에 위치하는 유효걸림부(111a)는 각각 1시방향과 7시방향의 돌출부(211b)를 밀어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전달 걸림부가 된다.
이때, 상기 12시방향 및 6시방향의 함몰부(212a)에 각각 위치하는 2개의 유효 걸림부(111a,111b) 중 반시계방향에 위치하는 유효걸림부(111b)는 비전달 걸림부가 된다.
또한, 도 6의 (c)를 참조하면, 상기 20개의 걸림부(110,111,11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12시방향 및 6시방향의 함몰부(212a)에 각각 위치하는 2개의 유효 걸림부(111a,111b) 중 반시계방향에 위치하는 유효걸림부(111a)는 각각 11시방향과 5시방향의 돌출부(211b)를 밀어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전달 걸림부가 된다.
이때, 상기 12시방향 및 6시방향의 함몰부(212a)에 각각 위치하는 2개의 유효 걸림부(111a,111b) 중 시계방향에 위치하는 유효걸림부(111b)는 비전달 걸림부가 된다.
따라서, 상기 12시방향 및 6시방향의 함몰부(212a)에 각각 두개씩 위치하는 4개의 유효 걸림부(111;111a,111b) 중 서로 마주보는 위치의 유효 걸림부가 쌍을 이루어 회전 방향에 따라 번갈아 전달 걸림부로 작용하게 되므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핸들(212)을 밀어 회전시킴으로써 높은 효율성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5와 도 6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6각 핸들(212)에 적용되는 밸브 개폐장치(100)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핸들(212)을 밀어 회전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유효 걸림부(111)가 구비되는 경우, 즉, 짝수 개의 걸림부가 구비되는 경우 높은 효율성 및 안정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도 3과 도 4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5각 핸들(211) 또는 상기 도 5와 도 6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6각 핸들(212)에 동시에 적용되는 밸브 개폐장치(100)는, 5의 배수이자 2의 배수이며 20 이하를 만족하는 10개 또는 20개의 걸림부가 구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밸브 개폐장치(100)에 의하면, 가스통(1)을 개폐하는 밸브 셔터(200)의 핸들(210)의 형태 및 크기에 관계 없이 핸들(210)에 걸려 회전시킬 수 있는 밸브 개폐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스통(1)을 개폐하는 밸브 셔터(200)의 핸들(210)의 변형 또는 설치위치의 변경에도 불구하고 핸들(210)에 차질 없이 결합되어, 무리한 결합에 의한 핸들(210)의 파손 및 밸브 개폐 기능에 대한 신뢰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밸브 개폐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내측에 상기 복수의 걸림부 중 적어도 하나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홀이 형성된 3홀 핸들(213)에 대해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본 발명의 밸브 개폐장치의 제5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3홀 핸들(213)은 3개의 축(213a)이 일정 간격의 방사형으로 형성된 그립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사형 그립부 사이로 3개의 홀(213b)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3개의 홀(213b)이 걸림 위치가 된다.
상기 복수의 걸림부는 지지부(120)에 지지되며 복수 겹으로 구비되는 18개의 걸림부(110;111,11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18개의 걸림부(110;111,112)는 한 겹에 6개씩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3겹(C1,C2,C3)의 동심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의 (a)는 상기 3홀 핸들(213) 및 상기 18개의 걸림부(110;111,112)가 구비된 상기 지지부(120)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의 (b) 및 도 7의 (c)는 상기 18개의 걸림부(110;111,112)가 하강한 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3홀 핸들(213)과 결합된 모습을 각각 나타낸 평면도이다.
일실시예로, 상기 18개의 걸림부(110;111,112) 중 안쪽 두 겹의 동심원(C1,C2)에 위치하는 12개의 걸림부는 상기 3홀 핸들(213)에 결합되어 6개의 유효 걸림부(111)와 4개의 무효 걸림부(112-1)가 된다.
상기 18개의 걸림부(110;111,112)는 시계방향(도 7의 (a)) 또는 반시계방향(도 7의 (b))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상기 6개의 유효 걸림부(111)가 각각 상기 그립부의 3개의 축(213a)의 측면을 밀어 그 밀리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3홀 핸들(213)을 회전시킴으로써 밸브(300)를 열거나 닫는다.
이때, 상기 6개의 유효 걸림부(111)는 상기 3개의 홀(213b)에 각각 두 개씩 두 겹으로 위치하여 2개의 유효 걸림부(111)가 상기 그립부의 축(213a) 하나를 동시에 밀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6개의 유효 걸림부(111)가 모두 상기 3개의 축(213a)을 미는 전달 걸림부가 되므로, 상기 핸들(213)을 회전시키는데 높은 효율성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8개의 걸림부(110;111,112) 중 최외곽의 동심원(C3)에 위치하는 6개의 걸림부는 초과 걸림부(112-2)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예시된 핸들보다 직경이 큰 핸들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걸림부(110;111,112)를 복수 겹으로 배치하여 높은 효율성 및 안정성을 제공할 뿐 아니라 핸들의 크기에 관계 없이 핸들에 걸려 회전시킬 수 있는 밸브 개폐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스통(1)을 개폐하는 밸브 셔터(200)의 핸들(210)의 변형 또는 설치위치의 변경에도 불구하고 핸들에 차질 없이 결합되어, 무리한 결합에 의한 핸들의 파손 및 밸브 개폐 기능에 대한 신뢰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밸브 개폐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가스통 100 : 밸브 개폐장치
111,112 : 걸림부 111 : 유효 걸림부
111a : 전달 걸림부 111b : 비전달 걸림부
112 : 무효 걸림부 120 : 지지부
130 : 탄성부 140 : 구동부
200 : 밸브 셔터 300 : 밸브
210 : 핸들 211 : 5각핸들
212 : 6각핸들 213 : 3홀핸들

Claims (9)

  1. 밸브를 개폐하는 밸브 셔터의 핸들에 걸리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왕복이동 및 회전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는 상기 지지부의 왕복이동 및 회전에 따라 상기 핸들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고,
    상기 지지부에 복수의 상기 걸림부가 지지되고;
    상기 복수의 걸림부는 상기 지지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복수의 걸림부에 양단이 지지되며, 상기 복수의 걸림부가 소정의 유격을 가지고 왕복이동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걸림부 중 일부는 상기 지지부의 왕복이동에 따라 상기 핸들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고;
    상기 복수의 걸림부 중 상기 핸들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걸림부를 제외한 나머지는, 상기 지지부의 왕복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부가 수축 또는 복원되며 상기 핸들에 눌림 또는 눌림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개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림부는 상기 지지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동심 구조의 복수 겹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가 상기 핸들에 걸리면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켜 상기 밸브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교대로 구비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는 상기 지지부의 왕복이동에 따라 상기 핸들의 함몰부에 인입 또는 인출되고, 상기 지지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핸들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개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내측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가 인입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는 상기 지지부의 왕복이동에 따라 상기 핸들의 홀에 인입 또는 인출되고, 상기 지지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핸들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개폐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림부는 10의 배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개폐장치.

KR1020180086425A 2018-07-25 2018-07-25 밸브 개폐장치 KR102112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425A KR102112761B1 (ko) 2018-07-25 2018-07-25 밸브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425A KR102112761B1 (ko) 2018-07-25 2018-07-25 밸브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682A KR20200011682A (ko) 2020-02-04
KR102112761B1 true KR102112761B1 (ko) 2020-05-19

Family

ID=69570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425A KR102112761B1 (ko) 2018-07-25 2018-07-25 밸브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7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162B1 (ko) * 2020-05-06 2021-02-16 주식회사 케이씨 복수의 모듈을 독립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가스공급장치
KR102341096B1 (ko) * 2020-05-06 2021-12-21 주식회사 케이씨 복수의 모듈을 독립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가스공급장치
KR102233470B1 (ko) * 2020-05-19 2021-03-29 주식회사 케이씨 커넥터 이송부를 구비한 가스공급장치 및 가스공급장치의 커넥터 결합방법
KR102321101B1 (ko) * 2021-01-18 2021-11-03 주식회사 케이씨 복수의 모듈을 독립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가스공급장치
CN114838177B (zh) * 2022-03-25 2023-04-07 山东大学 一种阀门旋拧工具及旋拧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279B1 (ko) * 2007-12-06 2010-03-03 가부시키가이샤 간또 엘 엔지니어링 유량 제어장치
KR101681419B1 (ko) * 2015-07-09 2016-11-3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휴대용 수동밸브 자동 조작기
KR101980046B1 (ko) 2018-07-03 2019-05-17 주식회사 유니락 가스 실린더 정렬 장치 및 방법
KR101980048B1 (ko) 2018-07-03 2019-05-17 주식회사 유니락 가스 실린더 자동 결합 장치 및 방법
JP7099238B2 (ja) * 2018-10-09 2022-07-12 富士通株式会社 医用画像処理プログラム、医用画像処理装置及び医用画像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279B1 (ko) * 2007-12-06 2010-03-03 가부시키가이샤 간또 엘 엔지니어링 유량 제어장치
KR101681419B1 (ko) * 2015-07-09 2016-11-3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휴대용 수동밸브 자동 조작기
KR101980046B1 (ko) 2018-07-03 2019-05-17 주식회사 유니락 가스 실린더 정렬 장치 및 방법
KR101980048B1 (ko) 2018-07-03 2019-05-17 주식회사 유니락 가스 실린더 자동 결합 장치 및 방법
JP7099238B2 (ja) * 2018-10-09 2022-07-12 富士通株式会社 医用画像処理プログラム、医用画像処理装置及び医用画像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682A (ko) 202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2761B1 (ko) 밸브 개폐장치
US7344010B2 (en) Overrunning coupling assembly including clustered pawl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ngagement of planar members
US20090292298A1 (en) Reconfigurable robotic end-effectors for material handling
US7484605B2 (en) Overrunning radial coupling assembl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ngagement of inner and outer members of the assembly
JP4902646B2 (ja) オーバーランニングカップリング組立体及び平坦部材の係合の制御方法
US9140317B2 (en) Wrench ratchet mechanisms and wrenches
US8601667B2 (en) Rotating coupling for robotic tool changer with actuation mechanism
US20110182655A1 (en) Integrated linear and rotary locking device
US20120252646A1 (en) Rotating Coupling for Robotic Tool Changer with One-Way Clutch and Dual-Button Handle Mechanism
JP2020524765A (ja) 切り替え可能なワンウェイクラッチ
JP5460021B2 (ja) エアバランサー
KR20090008192A (ko) 로봇식 공구 교환기
EP1411272B1 (en) Force-limiting rotary lock
US10322455B2 (en) Engagement component, female member, and tool replacement apparatus
JP2013508997A (ja) 凹型ラッチを用いたウェーハコンテナ
EP3420262B1 (en) Pipe system with lockable friction joint for adjustment of relative pivotal positioning of pipe sections
US10634261B2 (en) Attachment structure for actuator-specific solenoid valve and actuator-equipped valve
US20050016332A1 (en) Wrench combination
KR102045873B1 (ko) 회전운동 밀폐장치
US20140260770A1 (en) Manoeuvring element with integrated locking means
US9200474B1 (en) Locking device
US4771873A (en) One-way clutch with cage-displacement limiting mechanism
US9757847B2 (en) Ratchet wrench with a locking release assembly
US20100162628A1 (en) Access lock
GB2292207A (en) Locking mechanism for a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