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465B1 - 지함의 바닥면부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지함의 바닥면부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465B1
KR102337465B1 KR1020200153952A KR20200153952A KR102337465B1 KR 102337465 B1 KR102337465 B1 KR 102337465B1 KR 1020200153952 A KR1020200153952 A KR 1020200153952A KR 20200153952 A KR20200153952 A KR 20200153952A KR 102337465 B1 KR102337465 B1 KR 102337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raight section
bottom plate
box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재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3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465B1/ko
Priority to PCT/KR2021/000732 priority patent/WO2022107996A1/ko
Priority to JP2021538686A priority patent/JP2023518133A/ja
Priority to US17/286,938 priority patent/US20230348129A1/en
Priority to TW110117101A priority patent/TWI781615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1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folding of self-locking flaps hinged to tubul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65D5/36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 B65D5/361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at least one of the ends of the body remaining connected
    • B65D5/362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at least one of the ends of the body remaining connected collapsed along two fold lines of the tubul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1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folding of self-locking flaps hinged to tubular body
    • B65D5/103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folding of self-locking flaps hinged to tubular body one of the self-locking flaps having a tongue engaging into an opening of an opposite fl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함의 바닥면부를 구성하는 바닥면판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바닥면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지함의 바닥면부의 체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지함의 바닥면부의 체결구조{FASTENING STRUCTURE OF THE BOTTOM OF THE PAPER BOX}
본 발명은, 지함의 바닥면부를 구성하는 바닥면판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바닥면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지함의 바닥면부의 체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의 지함은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펼쳐진 형태로 납품되고 생산처에서 이를 조립하여 사용한다. 조립공정의 효율을 위해 가능한 조립을 쉽게 만드는데 통상 조립이 쉬우면 지함의 결합력이 낮아 잘 분해되고 조립이 어려우면 지함의 결합력이 높아 잘 분해되지 않는다. 특히 내용물의 중량이 올라갈수록 이 같은 현상은 더 두드러지며 유통시 결합풀림이나 바닥 빠짐 등이 발생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지함 내부에 바닥패드를 넣기도 하지만 단가상승 및 조립공정이 추가되고 개선 정도가 제한적이라 근본적인 해결방안은 아니다.
일 예로,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함을 펼친 전개도에서, 둘레면부(10)의 일부분과 바닥면부(20)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지함의 바닥면부(20)는 바닥면판(30)과, 플립판(40)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는, 바닥면판(30)은 전면 바닥면판(30a)과 후면 바닥면판(30b)을 포함하고, 플립판(40)은 일측 플립판(40a)과 타측 플립판(40b)을 포함하며, 전면 바닥면판(30a), 일측 플립판(40a), 후면 바닥면판(30b), 타측 플립판(40b)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각각 전면판(12), 일측면판(14), 후면판(16), 타측면판(18)에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 은 도 1 의 지함의 바닥면부(20)를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도 1 의 지함이 조립된 상태에서, 바닥면부(20)를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바닥면부(20)를 구성하는 바닥면판(30)은, 전면 바닥면판(30a)과 후면 바닥면판(30b)이 서로 걸려져서 체결되는 결합 구조를 갖는다. 바닥면판(30)은, 걸림을 위한 돌출 헤드부(32)를 갖는다. 아울러, 돌출 헤드부(32)의 후방 외주연부에는 경사부(52)와, 걸림 단부(54)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조립 방식을 갖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지함의 경우,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바닥면판(30a)과 후면 바닥면판(30b)이 1차 적으로 맞닿는 부분은 경사부(52)로서, 점접촉(F)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경사부(52)는 가이드 역할을 하여 서로 맞닿은 전면 바닥면판(30a)과 후면 바닥면판(30b)의 움직임을 가이드한다. 이에, 상기 경사부(52)는 서로 맞닿은 부분을 경사부(52)의 끝 부분으로 안내한다. 이때, 상기 경사부(52) 간에는 점접촉이 이루어짐으로서, 전면 바닥면판(30a)과 후면 바닥면판(30b)의 가이드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52) 끝에 구비되며 직선 구간으로 구성되는 걸림 단부(54)에 의해서 전면 바닥면판(30a)과 후면 바닥면판(30b) 사이의 체결 및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서, 전면 바닥면판(30a)과 후면 바닥면판(30b) 사이의 걸림 및 체결이 이루어지는 부분의 폭은 도 4 의 W1 과 같이 비교적 그 폭이 좁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지함은, 바닥면판(30) 사이의 체결 힘이 비교적 약하고, 내구성이 약한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10-2009-0114555
본 발명의 과제는, 조립이 간편하면서도, 지함의 바닥면부를 구성하는 바닥면판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되며, 별도의 추가적인 바닥패드 등이 없이 바닥면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지함의 바닥면부의 체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바닥판 사이의 걸림 폭이 커서 내용물의 변조가 어려운 지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함의 바닥면부의 체결 구조는, 지함의 둘레면을 구성하는 둘레면부, 및 상기 둘레면부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둘레면부와 절첩선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며 지함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면부를 포함하는 지함의 바닥면부의 체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부는,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바닥면판, 제1 바닥면 플립판, 제2 바닥면판, 및 제2 바닥면 플립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닥면판과 제2 바닥면판은, 바닥면판의 전방 부분을 구성하는 돌출 헤드부, 바닥면판의 후방 부분을 구성하는 바디부, 및 상기 돌출 헤드부와 상기 바디부 사이에 구비되는 체결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 헤드부는 상하 방향으로 제1 폭을 갖고, 상기 바디부는 상하 방향으로 제2 폭을 가지며 상기 체결 홈부는 상하 방향으로 제3 폭을 갖고, 상기 제1 폭, 제2 폭, 및 제3 폭의 크기는, 제1 폭> 제2 폭 > 제3 폭인 관계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돌출 헤드부는, 상기 돌출 헤드부의 하측 외주연부를 구성하는 제1 직선 구간, 및 상기 돌출 헤드부의 후측 외주연부를 구성하는 제2 직선 구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직선 구간과 상기 제2 직선 구간 사이에는, 경사면부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직선 구간과 제2 직선 구간은 서로 직교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체결 홈부는, 상기 체결 홈부의 하측 외주연부를 구성하는 제3 직선 구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돌출 헤드부는, 상기 돌출 헤드부의 후측 외주연부를 구성하는 제2 직선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직선 구간과 상기 제3 직선 구간은 서로 직교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체결 홈부의 하측 외주연부와 상기 바디부의 하측 외주연부 사이에는, 스텝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함의 바닥면부의 체결 구조는, 조립 과정에서 바닥면판이 서로 선접촉하여 안정적인 가이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함의 바닥면부의 바닥면판은, 돌출 헤드부가 서로 내측으로 깊에 돌출되므로, 바닥면부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함의 바닥면부의 바닥면판은, 돌출 헤드부와 바디부 사이에 체결 홈이 구비되어, 돌출 헤드부의 후측 외주연부를 구성하는 직선 구간의 길이가 길어지고 돌출 헤드부의 폭이 큰 구성을 가짐으로서, 바닥면판 사이의 결합력이 증가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억지로 내용물을 빼내려 할 경우, 바닥면이 손상되어, 내용물의 변조가 어렵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함의 바닥면부의 체결 구조는, 기계를 이용한 지함의 조립 및 형태 구성이 가능하여, 인력 소모가 적어지며 제조 공정에 있어서 유리하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함을 펼친 상태에서, 둘레면부의 일부분과 바닥면부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2 및 도 3 은 도 1 의 지함의 바닥면부를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도 1 의 지함이 조립된 상태에서, 바닥면부를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닥면부의 체결 구조를 가진 지함을 펼친 상태에서, 둘레면부의 일부분과 바닥면부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바닥판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 은 도 5 의 지함의 바닥면부를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도 5 의 지함이 조립된 상태에서, 바닥면부를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전, 후, 좌, 우 방향은 도 5 에 도시된 전, 후, 좌, 우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닥면부의 체결 구조를 가진 지함을 펼친 상태에서, 둘레면부(100)의 일부분과 바닥면부(200)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면 체결 구조를 갖는 지함은, 둘레면부(100), 및 바닥면부(200)를 포함한다.
둘레면부(100)는 지함의 둘레면을 구성한다. 둘레면부(100)는, 예컨대, 전면판(110), 일측면판(120), 후면판(130), 타측면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측면판(120)은 예컨대 좌측면판이고, 타측면판(140)은 우측면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전, 후, 좌, 우 방향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후 방향, 측면 방향을 각각 달리함에 따라서 각각 달리 명명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110), 일측면판(120), 후면판(130), 및 타측면판(140)은 절첩 가능한 절첩 라인을 사이에 두고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둘레면부(100)의 전측 단부, 및 후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둘레면부(100)의 전측 단부와 후측 단부 사이의 연결을 위한 접착면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바닥면부(200)는 지함의 바닥면을 구성한다. 즉, 바닥면부(200)는 지함이 접혀져서 조립되었을 때, 지함의 바닥면을 구성할 수 있다.
바닥면부(200)는 바닥면판(300), 및 바닥면 플립판(400)을 포함한다. 바닥면판(300)과 바닥면 플립판(400)은 각각 2 개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서, 바닥면판(300)은 제1 바닥면판(300a)과 제2 바닥면판(300b)을 포함하고, 바닥면 플립판(400)은 제1 바닥면 플립판(400a)과 제2 바닥면 플립판(400b)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바닥면판(300)과 바닥면 플립판(400)은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서, 제1 바닥면판(300a)과 제2 바닥면판(300b) 사이에 제1 바닥면 플립판(400a)이 위치하며, 제1 바닥면 플립판(400a)과 제2 바닥면 플립판(400b) 사이에 제2 바닥면판(300b)이 위치한다.
예컨대, 지함을 구성하는 둘레면부(100)가 전면판(110), 일측면판(120), 후면판(130), 타측면판(140)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때, 상기 제1 바닥면판(300a)은 상기 전면판(110)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바닥면 플립판(400a)은 상기 일측면판(120)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바닥면판(300b)은 상기 후면판(130)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바닥면 플립판(400b)은 상기 타측면판(140)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바닥면판(300a)과 제2 바닥면판(300b)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제1 바닥면 플립판(400a)과 제2 바닥면 플립판(400b)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바닥면판(300)", "바닥면 플립판(400)" 으로 일관되게 설명한다.
바닥면판(300)은 돌출 헤드부(310)와 바디부(320)를 포함한다. 돌출 헤드부(310)는 바닥면판(300)의 전방 부분을 구성하며, 바디부(320)에 비해 하방으로 더 돌출된다. 바디부(320)는 바닥면판의 후방 부분을 구성하며, 돌출 헤드부(310)에 비해 상방으로 함몰된다.
아울러, 돌출 헤드부(310)와 바디부(320) 사이에는 체결 홈부(330)가 구비된다. 체결 홈부(330)는, 돌출 헤드부(310)와 바디부(320)에 비해서 상방으로 더 깊게 함몰된다.
즉, 둘레면부(100)와 바닥면판(300) 사이의 경계를 구성하는 절첩선(160)과, 바닥면판(300)의 하측 외주연부 사이의 폭은, 돌출 헤드부(310) > 바디부(320) > 체결 홈부(330)의 크기 순서를 갖는다.
달리 설명하면,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 헤드부(310)는 상하 방향으로 제1 폭(V1)을 갖고, 상기 바디부(320)는 상하 방향으로 제2 폭(V2)을 가지며 상기 체결 홈부(330)는 상하 방향으로 제3 폭(V3)을 갖고, 상기 제1 폭(V1), 제2 폭(V2), 및 제3 폭(V3)의 크기는, 제1 폭(V1)> 제2 폭(V2) > 제3 폭(V3)인 관계를 갖는다.
돌출 헤드부(310)의 하측 외주연부는 제1 직선 구간(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직선 구간(500)은 둘레면부(100)와 바닥면판(300)이 연결되는 절첩선(160)과 평행할 수 있다.
돌출 헤드부(310)의 후측 외주연부는 제2 직선 구간(5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직선 구간(510)은 둘레면부(100)와 바닥면판(300)이 연결되는 절첩선(160)과 직교할 수 있다. 단, 이에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직선 구간(500)과 제2 직선 구간(510) 사이에는 경사면부(52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돌출 헤드부(310)의 후측 모서리는 모따기 구조의 경사면부(52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면이라 함은, 반드시 직선 경사면에 한정하지 않고, 곡률을 갖는 만곡면일 수도 있다.
상기 체결 홈부(330)의 하측 외주연부는 제3 직선 구간(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직선 구간(530)은 둘레면부(100)와 바닥면판(300)이 연결되는 절첩선(160)과 평행할 수 있다. 단, 이에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직선 구간(510)과 제3 직선 구간(530)은 서로 직교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돌출 헤드부(310)의 후측 외주연부와 체결 홈부(330)의 하측 외주연부 사이의 모서리는 직각일 수 있다. 단, 이에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디부(320)의 하측 외주연부는 제4 직선 구간(5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직선 구간(540)은 둘레면부(100)와 바닥면판(300)이 연결되는 절첩선(160)과 평행할 수 있다. 단, 이에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3 직선 구간(530)과 상기 제4 직선 구간(540) 사이에는 상기 제3 직선 구간(530)과 제4 직선 구간(540) 사이의 상하 거리 차이에 의해서 발생하는 스텝부(55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텝부(550)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경사각이라 함은, 제3 직선 구간(530), 및/또는 상기 제4 직선 구간(540)과의 관계에서 소정의 사이각을 가짐을 의미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바닥면판(300)은 사이드 플립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플립부(340)는 바디부(320)의 후측에 절첩 가능하게 구비된다. 구체적으로는, 사이드 플립부(340)는 경사진 라인으로 구성되는 절첩부(560)를 사이에 두고 바디부(320)와 연결될 수 있다.
바닥면 플립판(400)은 전체적으로 삼각형 형상을 갖는 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닥면 플립판(400)은 일측면판(120)과 타측면판(140)에 각각 절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 은 도 5 의 지함의 바닥면부(200)를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도 5 의 지함이 조립된 상태에서, 바닥면부(200)를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함의 조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함을 조립하여, 둘레면부(100)에 구비되는 절첩 라인을 절첩하고 전면판(110)과 후면판(130)이 서로 대면하게 하면, 우선 바닥면부(200)의 제1 바닥면판(300a)과 제2 바닥면판(300b)이 1 차적으로 서로 맞닿는다. 이때, 제1 바닥면판(300a)과 제2 바닥면판(300b)이 서로 맞닿는 부분은 상기 제1 직선 구간(500)이다. 즉, 제1 바닥면판(300a)의 제1 직선 구간(500a)과 제2 바닥면판(300b)의 제1 직선 구간(500b)이 서로 맞닿음으로서, 제1 바닥면판(300a)과 제2 바닥면판(300b)이 서로 선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도 7 의 화살표 F1, F2 와 같이 힘을 가한다. 상기 힘을 가하는 방향은, 둘레면부(100)의 일측면판(120)과 타측면판(140)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하는 방향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제1 바닥면판(300a)과 제2 바닥면판(300b)이 서로 선접촉하고 있으므로, 안정적인 가이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도 8 과 같이, 제1 바닥면판(300a)과 제2 바닥면판(300b)의 돌출 헤드부(310a, 310b)의 후측 외주연부(제2 직선 구간(500a, 500b))가 서로 맞닿는 위치에 도달하면, 낙차에 의해서 순간적인 결합이 이루어진다. 즉, 제1 바닥면판(300a)은 후면판(130) 방향(하측)으로 이동하고, 제2 바닥면판(300b)은 전면판(110) 방향(상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1 바닥면판(300a)의 체결 홈부(330a)와 제2 바닥면판(300b)의 체결 홈부(330b)가 서로 맞닿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돌출 헤드부(310)의 하측 외주연부를 구성하는 제1 직선 구간(500)과, 후측 외주연부를 구성하는 제2 직선 구간(510) 사이의 모서리 위치에는 경사면부(520)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마찰이나 걸림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순간적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이 체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닥면판(300a)의 상기 돌출 헤드부(310a)는 상기 제2 바닥면판(300b)의 내측(도 8 에서 하측)으로 깊게 돌출되며, 상기 제2 바닥면판(300b)의 상기 돌출 헤드부(310a)는 상기 제1 바닥면판(300a)의 내측(도면에서 상측)으로 깊게 돌출된다. 즉, 도 8 및 9 에 도시된 바와 같다. 따라서, 상기 제1 바닥면판(300a)과 제2 바닥면판(300b)은 서로 넓은 접촉면적을 갖고, 높은 결합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바닥면부(2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돌출 헤드부(310)와 바디부(320) 사이에는 체결 홈부(330)가 형성되어, 상측으로 함몰됨으로서, 상기 돌출 헤드부(310)의 후측 외주연부를 구성하는 제2 직선 구간(510)의 길이가 커진다.
이로 인하여 제1 바닥면판(300a)과 제2 바닥면판(300b) 사이의 걸림 폭(W2)의 크기가 더 커질 수 있다. 제1 바닥면판(300a)과 제2 바닥면판(300b) 사이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걸림 폭(W2)의 크기만큼의 변형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걸림 폭(W2)이 증가한다는 것은, 곧 결합력이 증가한다는 의미가 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의하면, 걸림 폭(W2)이 증가한 구성을 가짐으로서, 제1 바닥면판(300a)과 제2 바닥면판(300b) 사이의 결합력이 더욱 증가한다.
또한, 실시예와 같이, 돌출 헤드부(310)의 폭 V1 은, 체결 홈부(330)가 형성된 부분의 폭 V3 에 비해 큰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걸림 폭(W2)의 크기가 증가하면서, 동시에 바닥면판(300)의 내구성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와 같이, 돌출 헤드부(310)의 폭 V1 은, 바디부(320)의 폭 V2 에 비해 큰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걸림 폭(W2)이 더욱 증가하면서, 동시에 바닥을 덮어주는 면적이 증가한다. 따라서, 지함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별도의 추가적인 부재(예컨대, 바닥패드 등)를 더함이 없이 지함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용물의 중량이 증가하여도 유통시 결합풀림이나 바닥 빠짐 최소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함의 바닥면부의 체결 구조를 갖는 지함은, 바닥면부의 결합력이 높아 바닥을 통한 내용물 빼냄이 어렵다. 또한, 바닥판 사이의 걸림 폭(W2)이 커서, 억지로 빼낼 경우 지함이 훼손되게 된다. 따라서, 내용물의 변조방지가 가능하다.
아래 표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지함의 바닥면부의 체결 구조를 갖는 지함의 결합력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함의 바닥면부의 체결 구조를 갖는 지함의 결합력을 비교한 것이다. 단위는 공통적으로 kgf 이다.
실험 1 실험 2 실험 3 실험 4 실험 5 평균
종래 기술 8.8 7.9 8.3 7.5 6.9 7.9
본 발명 20.6 18.0 19.7 19.3 20.7 19.7
위 표 1 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지함의 바닥면부의 체결 구조를 갖는 지함의 결합력은 평균 7.9 kgf 인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함의 바닥면부의 체결 구조를 갖는 지함의 결합력은 19.7 kgf 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종래 기술 대비 결합력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함의 바닥면부의 체결 구조에 의하면, 기계를 이용한 지함의 조립 및 형태 구성이 가능하며, 인력 소모가 적어지고 제조 공정이 유리하다.
즉, 본 발명의 경우에는, 도 7 과 같이 단면이 평행사변형 형태로 납작하게 눌려진 지함을 양측에서 가운데로 가압하여 직사각형 형태의 단면을 갖는 지함을 구성하기 간편하다. 이는, 제1 바닥면판(300a)과 제2 바닥면판(300b)이 각각 비교적 길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직선 구간(500a)과 제2 직선 구간(500b)을 가져서, 제1 바닥면판(300a)과 제2 바닥면판(300b)이 서로 맞닿을 때 상호 선접촉하는 형태로 가이드가 이루어지며, 제1 바닥면판(300a)과 제2 바닥면판(300b)이 결합될 때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직선 구간(510)이 서로 결합되기 때문이다. 반면에, 이와 같은 직선 구간이 없거나 상대적으로 짧은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가이드 및 결합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조립 공정에 인력 투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조립에 있어서 기계적 공정이 적용될 수 있고, 제조 단가가 절감된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둘레면부
12: 전면판
14: 일측면판
16: 후면판
18: 타측면판
20: 바닥면부
30: 바닥면판
30a: 전면 바닥면판
30b: 후면 바닥면판
32: 돌출 헤드부
40a: 일측 플립판
40b: 타측 플립판
40: 플립판
52: 경사부
54: 걸림 단부
100: 둘레면부
110: 전면판
120: 일측면판
130: 후면판
140: 타측면판
150: 접착면부
160: 절첩선
200: 바닥면부
300: 바닥면판
300a: 제1 바닥면판
300b: 제2 바닥면판
310: 돌출 헤드부
320: 바디부
330: 체결 홈부
340: 사이드 플립부
400: 플립판
400a: 제1 바닥면 플립판
400b: 제2 바닥면 플립판
500: 제1 직선 구간
500a: 제1 직선 구간
500b: 제1 직선 구간
510: 제2 직선 구간
520: 경사면부
530: 제3 직선 구간
540: 제4 직선 구간
550: 스텝부
560: 절첩부

Claims (8)

  1. 지함의 둘레면을 구성하는 둘레면부, 및 상기 둘레면부의 하측에 절첩선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며 지함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면부를 포함하는 지함의 바닥면부의 체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둘레면부는 전면판, 일측면판, 후면판, 타측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부는,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바닥면판, 제1 바닥면 플립판, 제2 바닥면판, 및 제2 바닥면 플립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닥면판과 제2 바닥면판은,
    바닥면판의 전방 부분을 구성하는 돌출 헤드부, 바닥면판의 후방 부분을 구성하는 바디부, 및 상기 돌출 헤드부와 상기 바디부 사이에 구비되는 체결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 헤드부는 상하 방향으로 제1 폭을 갖고, 상기 바디부는 상하 방향으로 제2 폭을 가지며 상기 체결 홈부는 상하 방향으로 제3 폭을 갖고,
    상기 제1 폭, 제2 폭, 및 제3 폭의 크기는,
    제1 폭> 제2 폭 > 제3 폭이며,
    상기 돌출 헤드부는,
    상기 돌출 헤드부의 하측 외주연부를 구성하는 제1 직선 구간, 및
    상기 돌출 헤드부의 후측 외주연부를 구성하는 제2 직선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직선 구간과 상기 제2 직선 구간 사이에는,
    경사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직선 구간과 제2 직선 구간은 서로 직교하고,
    지함을 조립할 때, 단면이 평행사변형 형태를 가지며 납작하게 눌려진 지함을 양측에서 가운데로 가압하여 직사각형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하되,
    상기 둘레면부에 구비되는 절첩 라인을 절첩하고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이 서로 대면하게 하면, 상기 바닥면부의 제1 바닥면판과 제2 바닥면판의 상기 제1 직선 구간이 서로 평행하게 맞닿아서, 상기 제1 바닥면판과 제2 바닥면판이 서로 선접촉하고 상기 선접촉에 의해서 상기 제1 바닥면판과 상기 제2 바닥면판의 안정적인 가이드가 달성되며,
    상기 돌출 헤드부의 후측 외주연부가 서로 맞닿는 위치에 도달하면 낙차에 의해서 순간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직선 구간이 서로 걸림되는 지함의 바닥면부의 체결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홈부는,
    상기 체결 홈부의 하측 외주연부를 구성하는 제3 직선 구간을 포함하는 지함의 바닥면부의 체결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2 직선 구간의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 사이의 일 지점에 해당하는 높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직선 구간을 포함하는 지함의 바닥면부의 체결 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헤드부는,
    상기 돌출 헤드부의 후측 외주연부를 구성하는 제2 직선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직선 구간과 상기 제3 직선 구간은 서로 직교하는 지함의 바닥면부의 체결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홈부의 하측 외주연부와 상기 바디부의 하측 외주연부 사이에는,
    스텝부가 구비되는 지함의 바닥면부의 체결 구조.
KR1020200153952A 2020-11-17 2020-11-17 지함의 바닥면부의 체결구조 KR102337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952A KR102337465B1 (ko) 2020-11-17 2020-11-17 지함의 바닥면부의 체결구조
PCT/KR2021/000732 WO2022107996A1 (ko) 2020-11-17 2021-01-19 지함의 바닥면부의 체결구조
JP2021538686A JP2023518133A (ja) 2020-11-17 2021-01-19 紙箱の底面部締結構造
US17/286,938 US20230348129A1 (en) 2020-11-17 2021-01-19 Interlocking structure of bottom surface portion of paper box
TW110117101A TWI781615B (zh) 2020-11-17 2021-05-12 紙盒的底表面部分之互鎖構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952A KR102337465B1 (ko) 2020-11-17 2020-11-17 지함의 바닥면부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465B1 true KR102337465B1 (ko) 2021-12-09

Family

ID=78866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952A KR102337465B1 (ko) 2020-11-17 2020-11-17 지함의 바닥면부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48129A1 (ko)
JP (1) JP2023518133A (ko)
KR (1) KR102337465B1 (ko)
TW (1) TWI781615B (ko)
WO (1) WO202210799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9566A (ja) * 2004-08-31 2006-03-16 Toppan Printing Co Ltd ボトムロック式包装箱
KR20090114555A (ko) 2008-04-30 2009-11-04 (주)신동해인터내쇼널 강도가 향상된 종이 박스
JP6125856B2 (ja) * 2013-02-14 2017-05-10 興和紡株式会社 組立式梱包箱
EP3453634A1 (en) * 2017-09-11 2019-03-13 Embalajes Capsa, S. L. Storage and transportation box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7875A (en) * 1968-05-21 1970-06-30 Coca Cola Co Foldable container
US4291828A (en) * 1980-04-14 1981-09-29 Royal Continental Box Company Combination collapsable self-erecting self-locking carton
JPS63317448A (ja) * 1987-06-17 1988-12-26 Naniwa Kako:Kk 硬質プラスチック薄板製組立箱の製法
US4856705A (en) * 1988-09-29 1989-08-15 Lawless Container Corporation Automatically-operating bottom structure
US5042714A (en) * 1989-08-17 1991-08-27 Hall John B Collapsible grocery container
US4981254A (en) * 1990-05-01 1991-01-01 Inland Container Corporation Top structure for a collapsible carton
IT9048083A1 (it) * 1990-06-20 1991-12-21 Annunziata Spa Fustellato per la produzione di un contenitore-distributore per tovaglioli di carta, buste, cartoncini e simili
JPH066020Y2 (ja) * 1990-07-18 1994-02-16 アピカ株式会社 ボックス
US5927593A (en) * 1998-05-08 1999-07-27 Island Container Corporation Collapsible container
JP2006069564A (ja) * 2004-08-31 2006-03-16 Toppan Printing Co Ltd ボトムロック式包装箱
JP2011063276A (ja) * 2009-09-15 2011-03-31 Fuji Seal International Inc 包装ケース
US8925795B2 (en) * 2010-04-22 2015-01-06 York Container Company Materials and method for making a container with a locking closure
KR101833376B1 (ko) * 2010-12-17 2018-03-02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포장박스
DE202012003954U1 (de) * 2012-04-20 2013-07-22 Mondi Ag Verpackung, insbesondere Faltschachtel
US9617032B2 (en) * 2015-04-07 2017-04-11 Tim Wooten Gamble Bakery boxes
KR101862365B1 (ko) * 2016-10-07 2018-05-29 (주)헤드원 원터치 접이형 과일박스
JP6878231B2 (ja) * 2017-09-25 2021-05-26 日本製紙株式会社 液体紙容器
CN208412675U (zh) * 2018-04-27 2019-01-22 惠州市胜晟包装设备有限公司 贴有易撕贴的纸箱结构
CN212667919U (zh) * 2020-05-24 2021-03-09 汪玉峰 一种纸箱的连接结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9566A (ja) * 2004-08-31 2006-03-16 Toppan Printing Co Ltd ボトムロック式包装箱
KR20090114555A (ko) 2008-04-30 2009-11-04 (주)신동해인터내쇼널 강도가 향상된 종이 박스
JP6125856B2 (ja) * 2013-02-14 2017-05-10 興和紡株式会社 組立式梱包箱
EP3453634A1 (en) * 2017-09-11 2019-03-13 Embalajes Capsa, S. L. Storage and transportation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20905A (zh) 2022-06-01
JP2023518133A (ja) 2023-04-28
TWI781615B (zh) 2022-10-21
WO2022107996A1 (ko) 2022-05-27
US20230348129A1 (en)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1834A (en) Pallet
US8113129B1 (en) Pallet system
US6640975B2 (en) Stackable self-aligning container
US6041719A (en) Material handling pallet
US20070256614A1 (en) Platform-Type Shelf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US7487730B2 (en) Pallet with stepped support blocks and related methods
US20140323283A1 (en) Method for forming three-dimensional support structure
US20110226847A1 (en) Packing box, corrugated cardboard blank sheet and ruling wheel assembly
JP2008526626A (ja) 果物および野菜の農産物を収納するための蓋付き単一材料パッケージ
US20190111650A1 (en) Corrugated Furniture Design and Construction System
KR102337465B1 (ko) 지함의 바닥면부의 체결구조
US3763791A (en) Disposable pallet
CN211242142U (zh) 演讲台
KR20210002415U (ko) 조립식 수납함
JP2021178659A (ja) コンテナセット
CN216333397U (zh) 一种包装箱
CN214397641U (zh) 一种纸板收纳盒
JP3228638U (ja) 箱用シート
TW202014349A (zh) 紙製板材及紙製支撐架
JP2001187615A (ja) 連結ラック
CN218056121U (zh) 一种模块组合式结构包装箱
TWM579157U (zh) Paper board and paper support
JP2022115033A (ja) トレイおよびブランク
US11870387B2 (en) Corner piece for palletization of solar cell panels
JP3054026U (ja) 紙製緩衝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