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415U - 조립식 수납함 - Google Patents

조립식 수납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415U
KR20210002415U KR2020200001368U KR20200001368U KR20210002415U KR 20210002415 U KR20210002415 U KR 20210002415U KR 2020200001368 U KR2020200001368 U KR 2020200001368U KR 20200001368 U KR20200001368 U KR 20200001368U KR 20210002415 U KR20210002415 U KR 202100024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upling
groove
protrus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3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애숙
Original Assignee
위애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애숙 filed Critical 위애숙
Priority to KR20202000013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2415U/ko
Publication of KR202100024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41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01Trays, e.g. with foldable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Landscapes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단히 조립하여 문구나 서류 등을 진열할 수 있는 조립식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바닥판과, 제1 결합돌기가 대응 결합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홈이 형성되고 후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바닥판의 양측에 각각 수직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옆판과, 제2 결합돌기가 대응 결합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홈이 형성되며 한 쌍의 옆판의 후방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뒷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수납함{ASSEMBLY TYPE CONTAINER}
본 고안은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히 조립하여 문구나 서류 등을 진열할 수 있는 조립식 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책상 위에 올려두고 사용하는 수납함은 육면체 형상으로서 복수 개의 층을 이루고 있으며, 대개 A4 용지를 수납하는 층과, 명함이나 필기구를 수납하는 층이 분리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철제 수납함은 복수 개의 철판을 상호 용접 또는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여 제공되며, 이에 따라 부피가 커서 보관, 운반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플라스틱제 수납함의 경우, 충격에 취약할뿐더러 열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 역시 외관을 구성하는 몸체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보관이나 운반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아울러, 종래의 목재 수납함은 각각의 파트를 접착제나 못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함에 따라, 필요시 분해 후 재결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고 결합력이 우수한 조립식 수납함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바닥판; 상기 제1 결합돌기가 대응 결합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홈이 형성되고, 후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 각각 수직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옆판; 및 상기 제2 결합돌기가 대응 결합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옆판의 후방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뒷판을 포함하는 조립식 수납함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닥판의 상부로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복수 개의 층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결합돌기는, 상기 바닥판의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닥판과의 사이에 제1 끼움홈을 형성하는 제1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상기 옆판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옆판과의 사이에 제2 끼움홈을 형성하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결합홈의 전단부 테두리가 상기 제1 끼움홈에 끼워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결합홈의 전단부 테두리가 상기 제1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옆판의 후단과 상기 바닥판의 후단이 나란히 정렬되며, 상기 옆판의 제2 결합돌기가 상기 뒷판의 제2 결합홈에 결합되되,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제2 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 결합홈의 상단 테두리가 상기 제2 끼움홈에 끼워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옆판의 상단과 상기 뒷판의 상단에 삽입부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옆판의 하단과 상기 뒷판의 하단에는 삽입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옆판의 내측면에 비스듬하게 경사진 경사홈이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중간판의 양측이 상기 경사홈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중간판은, 상기 바닥판의 상부로 소정 간격 이격하는 제1 중간판과, 상기 제1 중간판의 상부로 상호 소정 간격 이격하여 복수 개의 층을 이루며 후단에 제1 조립홈이 절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중간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중간판의 상측에 하단이 수직하게 지지되고, 전단에는 상기 경사홈과 평행하게 제2 조립홈이 절개 형성되며, 상기 제2 중간판의 후단이 상기 제2 조립홈에 삽입되는 칸막이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닥판의 전방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앞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앞판의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 제4 결합돌기가 상기 옆판의 제4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수납함에 의하면,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시 결합력이 우수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수납함에 의하면, 쉽게 분해 및 재조립할 수 있으므로, 필요시 분해하여 보관 또는 운반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재조립시에도 결합력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중간판과 옆판 및 뒷판의 결합 순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함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함의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함의 적층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함의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함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분해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함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함(100)은, 바닥판(200)과, 바닥판(200)의 양측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옆판(300)과, 옆판(300)의 후방에 결합되는 뒷판(500)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조립식 수납함(100)의 전체적인 외관 형태가 육면체 형태를 이루며, 이를 위해 바닥판(200)과 옆판(300), 뒷판(500) 및 후술하는 중간판(400)이 전체적으로 사각형 패널의 형태를 하고 있다. 다만, 이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조립식 수납함(100)의 전체적인 외관 형태, 이에 따른 각각의 판의 형태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닥판(200)과 옆판(300), 뒷판(500) 및 중간판(400)은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수납함(100)을 필요에 따라 철판이나 플라스틱판, 또는 기타 재질의 판으로 제작하여 조립할 수도 있다.
바닥판(200)은 조립식 수납함(100)에서 수납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각형 패널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바닥판(200)의 전단 중앙에는 바닥판(200) 위에 수납된 A4 용지 등의 서류를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홈(210)이 형성되며, 양측 테두리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돌기(220)가 외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결합돌기(220)는, 바닥판(200)의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221)와, 제1 돌출부(221)의 전단 외측에서 제1 돌출부(221)에 대하여 직각 방향인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1 걸림부(222)를 포함하며, 제1 걸림부(222)가 바닥판(200)의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됨에 따라, 제1 걸림부(222)와 바닥판(200) 사이에 제1 끼움홈(230)이 형성된다.
바닥판(20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의 옆판(300)이 수직하게 결합된다. 옆판(30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패널 형태로 형성되며, 바닥판(200) 양측의 제1 결합돌기(220)가 대응 결합하도록 옆판(300)의 테두리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홈(310)이 형성된다.
또한, 옆판(300)의 후단 테두리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돌기(320)가 돌출 형성되는데, 제2 결합돌기(320)는, 옆판(300)의 후단 테두리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321)와, 제2 돌출부(321)의 상단에서 제2 돌출부(321)에 대하여 직각 방향인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2 걸림부(322)를 포함하며, 제2 걸림부(322)가 옆판(300)의 후단 테두리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됨에 따라, 제2 걸림부(322)와 옆판(300)의 후단 테두리 사이에 제2 끼움홈(330)이 형성된다.
한편, 바닥판(200)의 상부에 복수 개의 층을 이루도록, 한 쌍의 옆판(30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판(400)이 결합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맨 아래쪽에 배치된 바닥판(200)의 위쪽으로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4개의 중간판(400)이 배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중간판(400)은 전술한 바닥판(200)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옆판(300)의 테두리 내측에는 중간판(400)의 제1 결합돌기(220)가 결합되도록 복수 개의 제1 결합홈(310)이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된다.
옆판(300)의 후방에 뒷판(500)이 결합된다. 뒷판(500)의 양측 테두리 내측에는 옆판(300)의 제2 결합돌기(320)가 대응 결합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홈(510)이 형성되며, 뒷판(500) 결합시 뒷판(500)의 전면에 바닥판(200)과 중간판(400) 및 옆판(300)의 후단이 밀착 지지된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함(100)의 조립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옆판(300) 중 하나를 바닥에 놓고 그 위에 바닥판(200)과 중간판(400)들을 수직하게 결합한다. 이때, 제1 걸림부(222)가 전방을 향하도록 바닥판(200)과 중간판(400)의 제1 결합돌기(220)가 옆판(300)의 제1 결합홈(310)에 삽입된다.
이어서, 이렇게 옆판(300) 위에 세워진 바닥판(200)과 중간판(400)의 위에 나머지 하나의 옆판(300)을 올려서 결합한다. 이때에도 역시 바닥판(200)과 중간판(400)의 제1 결합돌기(220)가 옆판(300)의 제1 결합홈(310)에 삽입되는데, 제1 결합돌기(220)의 제1 돌출부(221)가 제1 결합홈(310)을 관통하여 제1 결합홈(310)의 상부로 돌출된다.
다음, 바닥판(200)과 중간판(400)을 전방으로 밀어서, 옆판(300)에 형성된 제1 결합홈(310)의 전단부 테두리가 바닥판(200)과 중간판(400)의 제1 끼움홈(230)에 끼워지도록 한다.
작업의 편의를 위해서는, 옆판(300)을 수직하게 세워서 바닥판(200)과 중간판(400)의 후단이 상측을 향하도록 한 후에, 바닥판(200)과 중간판(400)의 후단을 각각 아래쪽으로 밀어서, 제1 결합홈(310)의 전단부 테두리가 바닥판(200)과 중간판(400)의 제1 끼움홈(230)에 끼워지게끔 할 수 있다.
다음, 옆판(300)의 후단에 뒷판(500)을 결합하게 되는데, 본 고안에 따르면, 뒷판(500)의 결합을 위해서는 먼저 바닥판(200)과 중간판(400)이 옆판(300)에 견고히 결합될 필요가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중간판과 옆판 및 뒷판의 결합 순서도이며,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바닥판(200)과 옆판(300) 및 뒷판(500)의 결합 순서도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판(400)의 제1 결합돌기(220)를 옆판(300)의 제1 결합홈(310)에 삽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판(400)의 후단이 옆판(300)의 후단 테두리 후방으로 돌출되며, 이에 따라 뒷판(500) 결합시 중간판(400)에 걸려서 결합이 불가능하다.
뒷판(500)의 결합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옆판(300)에 결합된 중간판(400)을 전방으로 밀어야 한다. 이때, 옆판(300)의 제1 결합홈(310)의 전단부 테두리가 중간판(400)의 제1 끼움홈(230)에 끼워져 옆판(300)과 중간판(400)이 견고하게 결합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옆판(300)의 후단과 중간판(400)의 후단이 나란히 정렬되어 뒷판(500)의 결합 공간이 확보된다.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판(500)의 제2 결합홈(510)에 옆판(300)의 제2 결합돌기(320)를 삽입하면, 제2 결합돌기(320)가 제2 결합홈(510)을 관통하여 제2 결합홈(510)의 후방으로 돌출된다.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판(500)을 아래쪽으로 누르면, 뒷판(500)의 제2 결합홈(510)의 상단부 테두리가 옆판(300)의 제2 끼움홈(330)에 끼워지면서 옆판(300)과 뒷판(500)이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옆판(300)의 상단과 뒷판(500)의 상단이 나란히 정렬되며, 옆판(300)과 중간판(400)의 후단이 뒷판(500)의 전면에 밀착 지지된다.
이처럼, 옆판(300)의 후단에 뒷판(500)이 결합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수납함(100)의 전체적인 결합이 견고히 유지된다. 즉, 바닥판(200) 및 중간판(400)과 옆판(300)의 분리를 위해서는 먼저 옆판(300)으로부터 뒷판(500)의 분리가 선행되어야 하고, 이어서 바닥판(200)과 중간판(400)이 분리되어야 하는데, 이처럼 2단계를 차례로 거쳐야 하므로 외력이나 충격에 의한 예기치 못한 분리 가능성이 낮은 것이다.
또한, 뒷판(500)은 제2 결합홈(510)의 상단부 테두리가 옆판(300)의 제2 끼움홈(330)에 끼워져 견고히 결합되어 있으므로, 뒷판(500)의 분리를 위해서는 뒷판(500)을 들어올려 제2 끼움홈(330)으로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아울러, 바닥판(200) 및 중간판(400)은 제1 결합홈(310)의 전단부 테두리가 옆판(300)의 제1 끼움홈(230)에 끼워져 견고히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분리를 위해서는 바닥판(200) 및 중간판(400)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제1 끼움홈(230)으로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즉, 옆판(300)으로부터 뒷판(500)의 분리, 그리고 바닥판(200) 및 중간판(400)의 분리를 위해서는 상당한 힘이 차례로 작용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뒷판(500) 분리시에는 힘의 방향이 위쪽을 향해야 하고, 바닥판(200) 및 중간판(400)의 분리를 위해서는 힘의 방향이 후방을 향해야 하는 등 각각의 단계에서 차례로 작용되는 힘의 방향이 전혀 달라야 하므로, 짧은 시간에 일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 등의 외력에 의해, 조립식 수납함(100)이 예기치 못하게 분리되는 사고는 발생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제2 실시예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함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함(100a)은, 한 쌍의 옆판(300a) 사이에 바닥판(200a)과 중간판(400)이 결합되고, 옆판(300a)의 후단에 뒷판(500)이 결합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며, 다만, 바닥판(200a)과 중간판(400)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는 차이점이 있다.
이하, 전술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함에 대하여 설명하되,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200a)과 중간판(400)의 폭은 동일하면서도 길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중간판(400) 중의 일부(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최하단 중간판)가 바닥판(200a)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한 쌍의 옆판(300a)은 바닥판(200a)과 중간판(400)의 양측을 함께 덮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바닥판(200a)과 최하단 중간판(400)의 길이가 나머지 다른 중간판(400)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되며, 한 쌍의 옆판(300a)은 상단에 비해 하단의 길이가 더 긴 'L'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바닥판(200a)과 최하단 중간판(400) 사이, 그리고 최하단 중간판(400)의 상측에 형성된 수납 공간에는 나머지 다른 중간판(400)의 상측에 형성된 수납 공간에 비해 길이가 더 긴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함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함의 적층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함(100b)은, 복수 개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함으로써 필요시 수납 공간을 확장할 수 있으며, 적층된 복수 개의 조립식 수납함(100b)은 상하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예기치 못한 분리가 방지된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들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함(100b)에 대하여 설명하되,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함(100b)은, 바닥판(200)과 옆판(300b) 및 뒷판(500b)을 포함하며, 옆판(300b)의 상단과 뒷판(500b)의 상단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부(340,520)가 상향 돌출 형성된다. 또한, 옆판(300b)의 하단과 뒷판(500b)의 하단에는 전술한 삽입부(340,520)와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350,530)이 각각 형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조립식 수납함(100b)을 상하로 적층하면, 하단에 배치된 조립식 수납함(100b)의 삽입부(340,520)가 상단에 적층된 조립식 수납함(100b)의 삽입홈(350,530)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상단의 조립식 수납함(100b)은 전후좌우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도 결합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게 된다.
제4 실시예
도 13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함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함(100c)은, 바닥판(200)과 중간판(400c), 옆판(300c) 및 뒷판(500c)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며, 다만, 중간판(400c)이 상하로 비스듬하게 경사진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는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하, 전술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함(100c)에 대하여 설명하되,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판(400c)의 양측에 제3 결합돌기(410)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제1 결합돌기(220)와 비교하여, 제4 실시예에 따른 제3 결합돌기(410)는 제3 걸림부(412)가 중간판(400c)의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3 결합돌기(410)는, 중간판(400c)의 양측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 돌출부(411)와, 제3 돌출부(411)의 후단 외측에서 제3 돌출부(411)에 대하여 직각인 중간판(400c)의 후단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3 걸림부(412)를 포함하며, 제3 걸림부(412)가 중간판(400c)의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됨에 따라, 제3 걸림부(412)와 중간판(400c) 사이에 제3 끼움홈(420)이 형성된다.
한편, 옆판(300c)에는 중간판(400c)의 제3 결합돌기(410)가 대응 결합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결합홈(360)이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복수 개의 제3 결합홈(360)이 옆판(300c)의 높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후방으로 낮게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있다.
중간판(400c) 결합시, 중간판(400c)의 제3 결합돌기(410)를 옆판(300c)의 제3 결합홈(360)에 삽입하면, 제3 돌출부(411)가 제3 결합홈(36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중간판(400c)을 후방으로 밀어서 제3 끼움홈(420)에 제3 결합홈(360)의 후단부 테두리가 끼워지게끔 한다. 이렇게 결합된 중간판(400c)은 자중에 의해 제3 걸림부(412)의 후단이 제3 결합홈(360)의 후단부 외측에 걸리게 되며, 따라서 중간판(400c)과 옆판(300c)의 결합력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제5 실시예
도 14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함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함(100d)은, 중간판(400d)이 비스듬하게 결합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4 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다.
다만, 별도의 결합돌기 없이 중간판(400d)의 양측 모서리가 옆판(300d) 내측면의 경사홈(370)에 삽입 결합된다는 점과, 중간판(400d)을 좌우 구획하도록 칸막이판(600)이 결합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또한, 바닥판(200d)의 전방에 앞판(700)이 수직하게 결합되며, 중간판(400d)의 상부에는 천정판(800)이 결합된다.
이하,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4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함(100d)에 대하여 설명하되,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옆판(300d)의 내측면에 후방을 향해 낮게 경사진 경사홈(37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도 14와 도 15는 옆판(300d)의 높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복수 개의 경사홈(370)이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경사홈(370)의 개수나 간격 등의 규격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중간판(400d)은 바닥판(200d)의 상부로 소정 간격 이격하는 제1 중간판(401d)과, 제1 중간판(401d)의 상부로 상호 소정 간격 이격하여 복수 개의 층을 이루는 제2 중간판(402d)을 포함한다. 제1 중간판(401d)은 복수 개의 중간판(400d) 중 최하단에 배치되는 중간판(400d)에 해당하며, 제2 중간판(402d)은 후술하는 칸막이판(600)과 결합할 수 있도록 후단에 제1 조립홈(430)이 절개 형성된다.
중간판(400d)의 조립은 양측 모서리가 옆판(300d)의 경사홈(370)에 삽입되어 이루어지는데, 먼저 제1 중간판(401d)의 양측을 옆판(300d)의 경사홈(370)에 삽입하여 제1 중간판(401d)을 조립한다.
이후, 제1 중간판(401d)의 상측에 칸막이판(600)을 수직하게 안착시킨다. 칸막이판(600)의 하단은 제1 중간판(401d)의 경사에 대응되도록 전단보다 후단이 낮게 경사져 있으며, 칸막이판(600)의 전단에는 각각의 제2 중간판(400)이 결합하도록 칸막이판(6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2 조립홈(610)이 절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판(600)의 제2 조립홈(610)은 옆판(300d)의 경사홈(370)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다음, 제2 중간판(402d)을 차례로 결합한다. 이때, 제2 중간판(402d)의 양측이 옆판(300d)의 경사홈(370)에 삽입되며, 제2 중간판(402d)의 제1 조립홈(430)이 칸막이판(600)의 제2 조립홈(610)을 지나면서 칸막이판(600)과 제2 중간판(402d)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칸막이판(600)의 제2 조립홈(610) 후단에 제2 중간판(402d)의 제1 조립홈(430) 후단 테두리가 끼워져 결합된다.
한편, 바닥판(200d)과 양쪽 옆판(300d) 결합시, 앞판(700)과 천정판(800)의 결합도 함께 이루어진다. 앞판(700)은 바닥판(200d)의 전방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 제4 결합돌기(710)가 옆판(300d)에 수직하게 형성된 제4 결합홈(380)에 결합된다.
이때, 제4 결합돌기(710)는 앞판(700)의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4 돌출부(711)와, 제4 돌출부(711)의 후단 외측에서 제4 돌출부(711)에 대하여 직각 방향인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4 걸림부(712)를 포함하며, 제4 걸림부(712)가 앞판(700)의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됨에 따라, 제4 걸림부(712)와 앞판(700) 사이에 제4 끼움홈(720)이 형성된다.
앞판(700) 결합시, 앞판(700)의 제4 결합돌기(710)를 옆판(300d)의 제4 결합홈(380)에 삽입하면, 제4 돌출부(711)가 제4 결합홈(38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앞판(700)을 아래쪽으로 밀어서 제4 끼움홈(720)에 제4 결합홈(380)의 하단부 테두리가 끼워지게끔 한다. 이렇게 결합된 앞판(700)은 자중에 의해 제4 걸림부(712)의 후단(도면상 하단)이 제4 결합홈(380)의 후단부(도면상 하단부) 외측에 걸리게 되며, 따라서 앞판(700)과 옆판(300d)의 결합력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천정판(800)은 바닥판(200d)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최상단 제2 중간판(402d)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옆판(300d)과 결합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100a,100b,100c,100d : 조립식 수납함
200,200a,200d : 바닥판 220 : 제1 결합돌기
300,300a,300b,300c,300d : 옆판 310 : 제1 결합홈
320 : 제2 결합돌기 360 : 제3 결합홈
370 : 경사홈 380 : 제4 결합홈
400,400c,400d : 중간판 410 : 제3 결합돌기
430 : 제1 조립홈 500,500b,500c : 뒷판
510 : 제2 결합홈 600 : 칸막이판
610 : 제2 조립홈 700 : 앞판
710 : 제4 결합돌기 800 : 천정판

Claims (10)

  1.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바닥판;
    상기 제1 결합돌기가 대응 결합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홈이 형성되고, 후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 각각 수직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옆판; 및
    상기 제2 결합돌기가 대응 결합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옆판의 후방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뒷판을 포함하는 조립식 수납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상부로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복수 개의 층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돌기는, 상기 바닥판의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닥판과의 사이에 제1 끼움홈을 형성하는 제1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상기 옆판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옆판과의 사이에 제2 끼움홈을 형성하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함.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결합홈의 전단부 테두리가 상기 제1 끼움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함.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홈의 전단부 테두리가 상기 제1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옆판의 후단과 상기 바닥판의 후단이 나란히 정렬되며,
    상기 옆판의 제2 결합돌기가 상기 뒷판의 제2 결합홈에 결합되되,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제2 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 결합홈의 상단 테두리가 상기 제2 끼움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함.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옆판의 상단과 상기 뒷판의 상단에 삽입부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옆판의 하단과 상기 뒷판의 하단에는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함.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옆판의 내측면에 비스듬하게 경사진 경사홈이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중간판의 양측이 상기 경사홈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함.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은, 상기 바닥판의 상부로 소정 간격 이격하는 제1 중간판과, 상기 제1 중간판의 상부로 상호 소정 간격 이격하여 복수 개의 층을 이루며 후단에 제1 조립홈이 절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중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함.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판의 상측에 하단이 수직하게 지지되고, 전단에는 상기 경사홈과 평행하게 제2 조립홈이 절개 형성되며, 상기 제2 중간판의 후단이 상기 제2 조립홈에 삽입되는 칸막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함.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전방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앞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앞판의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 제4 결합돌기가 상기 옆판의 제4 결합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함.
KR2020200001368U 2020-04-23 2020-04-23 조립식 수납함 KR202100024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368U KR20210002415U (ko) 2020-04-23 2020-04-23 조립식 수납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368U KR20210002415U (ko) 2020-04-23 2020-04-23 조립식 수납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415U true KR20210002415U (ko) 2021-11-02

Family

ID=78528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368U KR20210002415U (ko) 2020-04-23 2020-04-23 조립식 수납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241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164B1 (ko) * 2023-07-24 2023-12-11 주식회사 라은 모듈 수납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164B1 (ko) * 2023-07-24 2023-12-11 주식회사 라은 모듈 수납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9695B1 (en) Structure for foldable storage bins
US6431436B1 (en) Stackable archive container
US5758783A (en) Stackable tray and display stand
JP2018519213A (ja) 折り曲げ組立て式のパレット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底板用ブランク
JP2008526626A (ja) 果物および野菜の農産物を収納するための蓋付き単一材料パッケージ
JPH07187189A (ja) パレット
KR20180001473U (ko) 후지제 진열대
KR20210002415U (ko) 조립식 수납함
WO2000059789A1 (en) Panel assembly
JP6523310B2 (ja) 手動による組立てのためのボール紙シート材料製トレイ及びそのようなトレイを製作するためのブランク
JP2017507857A5 (ko)
CN207843596U (zh) 折叠盒强化结构
JP3116269U (ja) 収納箱
CN2522981Y (zh) Cd盒储存装置
KR102068550B1 (ko) 꺾임보강 골판지 파레트
JP6871608B2 (ja) 緩衝仕切り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箱
JPH10167254A (ja) 組立箱
JP7455342B1 (ja) 角筒状構造体
JP3248960U (ja) コンテナ及びその連結構造体
JP2020019504A (ja) リターナブル輸送パレット
JP4064519B2 (ja) 段ボール製トレー
JP6974643B1 (ja) トレイおよびブランク
CN217065915U (zh) 一种假底
JP3073648U (ja) 包装箱
JP3142514U (ja) ディスプレイ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