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736B1 - 차량용 실사이드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실사이드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736B1
KR102335736B1 KR1020200070474A KR20200070474A KR102335736B1 KR 102335736 B1 KR102335736 B1 KR 102335736B1 KR 1020200070474 A KR1020200070474 A KR 1020200070474A KR 20200070474 A KR20200070474 A KR 20200070474A KR 102335736 B1 KR102335736 B1 KR 102335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hicle
support frame
support
vehicle s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화
Original Assignee
고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화 filed Critical 고영화
Priority to KR1020200070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1/00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 B23P21/002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the units stationary whilst being comp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06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50Other automobile vehicle parts, i.e. manufactured in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실사이드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강부재를 용접불량없이 차량용 실사이드의 외측 및 내측에 보다 용이하게 자동으로 용접조립할 수 있어 작업성 향상 및 품질이 향상된 차량용 실사이드를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실사이드 조립장치{Vehicle seal-side assembly device}
본 발명은 보강부재를 용접불량없이 차량용 실사이드의 외측 및 내측에 보다 용이하게 자동으로 용접조립할 수 있어 작업성 향상 및 품질이 향상된 차량용 실사이드를 조립할 수 있는 차량용 실사이드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사이드는 차체의 하단부 골격을 이루어 측면공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실사이드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실사이드의 내측면에 접합된 플로어패널의 측단부에 절곡보강판을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접합시킴으로서, 사이드실의 강성과 강도를 보다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의 실 사이드가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8-045277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8-045277호의 실사이드에 플로어패널과 절곡보강판을 대게 수작업으로 용접접합하기 때문에 용접접합과정 중 용접불량이 발생되어 실사이드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8-04527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보강부재를 용접불량없이 차량용 실사이드의 외측 및 내측에 보다 용이하게 자동으로 용접조립할 수 있어 작업성 향상 및 품질이 향상된 차량용 실사이드를 조립할 수 있는 차량용 실사이드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차량용 실사이드가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차량용 실사이드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바닥프레임에 구비되어 차량용 실사이드의 외측에 조립되는 보강부재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된 차량용 실사이드와 함께 차량용 실사이드의 내측에 조립되는 보강부재를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와; 상기 위치고정부에 의해 위치고정된 차량용 실사이드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상기 보강부재를 용접조립하는 용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사이드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부수평판과, 상기 상부수평판의 전측에서 상기 상부수평판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형성되는 상부수직판과, 상기 상부수직판의 하부에서 상기 상부수직판의 하부 전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하부에서 상기 경사판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형성되는 하부수직판으로 구성되어 차량용 실사이드의 외측에 조립되는 외측보강브라켓과; 상기 외측보강브라켓과 인접하도록 차량용 실사이드의 내측에 안착된 상태로 조립되는 내측보강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구비되는 일측지지프레임 및 타측지지프레임과; 상기 일측지지프레임과 상기 타측지지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 전측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제 1전측지지프레임 및 제 2전측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전측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차량용 실사이드의 내측에 조립되는 상기 보강부재의 일측 주변의 상기 차량용 실사이드의 하부 일측부위 및 상기 차량용 실사이드의 내측에 조립되는 상기 보강부재의 전측 주변의 상기 차량용 실사이드의 하부 전측부위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차량용 실사이드의 관통공에 삽입고정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을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의 외측보강브라켓의 상부수직판의 일측에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외측보강브라켓의 상부수직판의 슬릿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외측보강브라켓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의 전측부 일측과 전측부 타측에 상기 지지부재의 후측부에서 전측부로 갈수록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측에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 일측에 상기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전후이동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전후이동프레임과 함께 상기 지지부재를 전후이동시키는 전후이동실린더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후이동실린더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실린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전후이동프레임의 상부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외측보강브라켓의 경사판을 안착지지하며, 상부에 상기 보강부재의 외측보강브라켓의 경사판을 따라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지지몸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어 차량용 실사이드와 함께 차량용 실사이드의 내측에 조립되는 보강부재를 위치고정시키는 클램프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 실린더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피스톤의 상부에 클램프 연결부가 구비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의 클램프 연결부에 하부가 축결합되고, 상기 클램프 연결부의 상부방향의 하부부위에 상기 지지프레임방향으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연결링크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링크의 축을 기준으로 상기 승강실린더의 피스톤의 승강운동에 의해 상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용접부는 로봇의 암의 선단에 설치되는 스폿 용접건을 통해 차량용 실사이드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상기 보강부재를 용접조립하는 스폿용접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바닥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프레임의 전후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상기 바닥프레임을 전후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후이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스위치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된 차량용 실사이드를 감지하는 차량용 실사이드 감지부재와, 차량용 실사이드의 외측에 조립되는 상기 보강부재의 외측보강브라켓을 감지하는 외측보강브라켓 감지부재와, 차량용 실사이드의 내측에 조립되는 상기 보강부재의 내측보강패널을 감지하는 내측보강브라켓 감지부재로 구성되는 감지부와;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경고신호출력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경고신호출력부와 전후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외측보강브라켓과 내측보강패널로 이루어지는 보강부재를 차량의 실사이드의 외측과 내측에 스폿용접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용접부를 통해 용이하게 자동으로 용접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불량없이 외측보강브라켓과 함께 내측보강패널을 용접할 수 있어 작업성 향상 및 차량용 실사이드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차량용 실사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차량용 실사이드로부터 보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실사이드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고,
도 7은 지지부의 지지부재가 외측보강브라켓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일측지지프레임과 일측위치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고,
도 9는 타측지지프레임과 타측위치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고,
도 10은 제 1, 2전측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전측지지프레임과 제 1, 2, 3전측위치고정부로 구성되는 전측위치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고,
도 11은 지지프레임에 차량용 실사이드가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차량용 실사이드의 내측에 내측보강패널이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차량용 실사이드와 내측보강패널이 위치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평면도이고,
도 15는 용접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6 내지 도 21은 용접부에 의해 차량용 실사이드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외측보강브라켓과 내측보강패널이 용접조립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2는 가이드프레임과 전후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3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차량용 실사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차량용 실사이드로부터 보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실사이드 조립장치는 차량용 실사이드(3)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보강부재(5)를 조립하기 위한 것으로서, 먼저, 차량용 실사이드(3)의 전측부 상부와 후측부 상부에는 상기 차량용 실사이드(3)의 전측 외부방향 및 후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전측날개판(31) 및 후측날개판(3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강부재(5)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외측보강브라켓(51)과 내측보강패널(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측보강브라켓(51)은 차량용 실사이드(3)의 후측부 외측에 조립되는 것으로서, 일예로, 크게, 상부수평판(511), 상부수직판(512), 경사판(513) 및 하부수직판(5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수평판(511)은 차량용 실사이드(3)의 후측부 상부에 형성되는 후측날개판(32)의 하부 외측면에 수평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수직판(512)은 상기 상부수평판(511)의 전측에서 상기 상부수평판(511)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수직판(512)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수평판(51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슬릿(5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판(513)은 상기 상부수직판(512)의 하부에서 상기 상부수직판(512)의 하부 전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수직판(514)은 상기 경사판(513)의 하부에서 상기 경사판(513)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형성되어 차량용 실사이드(3)의 후측부 하부 외측면에 수직고정될 수 있다.
상기 내측보강패널(52)의 전측부의 반대측인 후측부에는 상기 내측보강패널(52)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날개판(5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보강패널(52)이 상기 외측보강브라켓(51)과 인접하도록 상기 내측보강패널(52)이 상기 차량용 실사이드(3)의 내측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내측보강패널(52)의 날개판(521)이 상기 차량용 실사이드(3)의 후측부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실사이드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리사시도이다.
이와 같이 차량용 실사이드(3)의 내측과 외측에 상기 보강부재(5)를 조립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실사이드 조립장치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바닥프레임(10), 지지프레임(20), 지지부(30), 위치고정부(40) 및 용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상부방향에 차량용 실사이드(3)와 보강부재(5)가 일정높이로 지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상부에 차량용 실사이드(3)가 안착된 상태로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차량용 실사이드(3)를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높이로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차량용 실사이드(3)의 외측에 조립되는 상기 보강부재(5)의 외측보강브라켓(51)을 일정높이로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위치고정부(40)는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상부에 안착된 차량용 실사이드(3)와 함께 차량용 실사이드(3)의 내측에 조립되는 상기 보강부재(5)의 내측보강패널(52)을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용접부는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일측 주변 또는 타측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위치고정부(40)에 의해 위치고정된 차량용 실사이드(3)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상기 보강부재(5)의 외측보강브라켓(51)과 내측보강패널(52)을 용접조립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프레임(20)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지지프레임(210), 타측지지프레임(220) 및 전측지지프레임(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지지프레임(210)과 타측지지프레임(220)은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지지프레임(230)은 제 1전측지지프레임(231) 및 제 2전측지지프레임(2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전측지지프레임(231)과 제 2전측지지프레임(232)은 상기 일측지지프레임(210)과 상기 타측지지프레임(2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상부 전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30)는 일예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프레임(310)과 지지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310)은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바닥프레임(10)의 후측부 상부 중간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20)는 상기 고정프레임(3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되어 상기 고정프레임(310)의 전측부 상부에 수평구비되는 지지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지지부의 지지부재가 외측보강브라켓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20)의 전측이 상기 외측보강브라켓(51)의 상부수직판(512)의 슬릿(515)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지지부재(320)는 상기 외측보강브라켓(51)을 일정높이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20)가 상기 상부수직판(512)의 슬릿(515)을 보다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320)의 전측부 일측과 전측부 타측에 경사면(32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321)은 상기 지지부재(320)의 후측부에서 전측부로 갈수록 상기 지지부재(320)의 내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후이동프레임(330), 전후이동실린더(340) 및 상하이동실린더(3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프레임(330)은 상기 고정프레임(310)의 전측부 상부에 상기 고정프레임(3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20)가 상기 전후이동프레임(330)의 상부 일측을 상기 전후이동프레임(330)의 전후방향으로 수평 관통한 상태로 상기 전후이동프레임(330)의 상부 일측에 상기 지지부재(320)가 용접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20)의 전측부는 상기 전후이동프레임(330)의 상부 일측에서 상기 전후이동프레임(330)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실린더(340)는 상기 고정프레임(31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 상기 고정프레임(3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실린더(340)는 상기 전후이동프레임(330)과 함께 상기 지지주배(320)를 상기 고정프레임(3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실린더(350)는 상기 고정프레임(31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하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실린더(350)의 상부가 상기 전후이동실린더(340)의 하부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이동실린더(350)는 상기 전후이동실린더(340)를 상기 고정프레임(3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실린더(350)의 하부는 상기 바닥프레임(10)의 후측부 상부 타측에 형성된 관통구(도 5의 101)를 관통하여 상기 바닥프레임(10)의 내부로 일정길이로 인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보강부재(5)의 외측보강브라켓(51)의 경사판(513)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을 안정적으로 안착지지하는 지지몸체(3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몸체(360)는 상기 전후이동프레임(330)의 상부 타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몸체(360)의 상부에는 상기 외측보강브라켓(51)의 경사판(513)을 따라 하향경사지는 경사면(36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일측지지프레임과 일측위치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위치고정부(40)는 일예로,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구비되어 차량용 실사이드(3)와 함께 상기 차량용 실사이드(3)의 내측에 조립되는 상기 보강부재(5)의 내측보강패널(52)을 위치고정시키는 클램프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일측위치고정부(41), 클램프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타측위치고정부 및 클램프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전측위치고정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40)의 일측위치고정부(41), 타측위치고정부 및 전측위치고정부를 이룰 수 있는 클램프 실린더는 피스톤(411)의 상부에 클램프 연결부(412)가 구비된 승강실린더(410)와 클램프(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420)의 하부는 상기 승강실린더(410)의 클램프 연결부(412)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 연결부(412)의 상부방향의 상기 클램프(420)의 하부부위에는 상기 지지프레임(20) 방향으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연결링크(4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링크(421)의 축(421a)을 기준으로 상기 승강실린더(410)의 피스톤(411)의 승강운동에 의해 상기 클램프(420)의 상부가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램프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일측위치고정부(41)의 승강실린더(410)의 상부 일측의 반대측인 상부 타측은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일측지지프레임(210)의 일측부 하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램프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일측위치고정부(41)의 연결링크(421)는 상기 일측위치고정부(41)의 클램프 연결부(412)의 상부방향의 클램프(420)의 하부부위에서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일측 지지프레임(210)의 일측부 상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일측 지지프레임(210)의 일측부 상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프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일측위치고정부(41)의 연결링크(421)의 축(421a)을 기준으로 상기 일측위치고정부(41)의 승강실린더(410)의 피스톤(411)의 승강운동에 의해 상기 일측위치고정부(41)의 클램프(420)의 상부가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일측지지프레임(21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차량용 실사이드(3)의 일측부를 위치고정 및 위치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9는 타측지지프레임과 타측위치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램프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타측위치고정부(42)의 승강실린더(410)의 상부 전측은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타측지지프레임(220)의 전측부의 반대측인 후측부 중간에 축결합될 수 있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램프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타측위치고정부(42)의 연결링크(421)는 상기 타측위치고정부(42)의 클램프 연결부(412)의 상부방향의 클램프(420)의 하부부위에서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타측지지프레임(220)의 후측부 상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타측지지프레임(220)의 후측부 상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프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타측위치고정부(42)의 연결링크(421)의 축(421a)을 기준으로 상기 타측위치고정부(42)의 클램프(420)의 상부가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타측지지프레임(220)의 상하방향을 회전이동하면서 차량용 실사이드(3)의 타측부와 함께 상기 보강부재(5)의 내측보강패널(52)의 타측부를 위치고정 및 위치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10은 제 1, 2전측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전측지지프레임과 제 1, 2, 3전측위치고정부로 구성되는 전측위치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상기 전측위치고정부(43)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2, 3전측위치고정부(431, 432, 4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램프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제 1전측위치고정부(431)의 승강실린더(410)의 상부 전측의 반대측인 상부 후측은 지지프레임(20)의 제 1전측지지프레임(231)의 전측부 중간에 축결합될 수 있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램프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제 1전측위치고정부(431)의 연결링크(421)는 상기 제 1전측위치고정부(431)의 클램프 연결부(412)의 상부방향의 클램프(420)의 하부부위에서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제 1전측지지프레임(231)의 전측부 상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제 1전측지지프레임(231)의 전측부 상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프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제 1전측위치고정부(431)의 연결링크(421)의 축(421a)을 기준으로 상기 제 1전측위치고정부(431)의 클램프(420)의 상부가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제 1전측지지프레임(231)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상기 보강부재(5)의 내측보강패널(52)의 일측부와 함께 차량용 실사이드의 중간부를 위치고정 및 위치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램프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제 2전측위치고정부(432)의 승강실린더(410)의 상부 전측의 반대측인 상부 후측은 지지프레임(20)의 제 2전측지지프레임(232)의 전측부 중간에 축결합될 수 있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램프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제 2전측위치고정부(432)의 연결링크(421)는 상기 제 2전측위치고정부(432)의 클램프 연결부(412)의 상부방향의 클램프(420)의 하부부위에서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제 2전측지지프레임(232)의 전측부 상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제 2전측지지프레임(232)의 전측부 상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프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제 2전측위치고정부(432)의 연결링크(421)의 축(421a)을 기준으로 상기 제 2전측위치고정부(432)의 클램프(420)의 상부가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제 2전측지지프레임(232)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차량용 실사이드(3)의 타측부 전측을 위치고정 및 위치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램프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제 3전측위치고정부(433)의 승강실린더(410)의 일측은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제 2전측지지프레임(232)의 일측부의 반대측인 타측부 중간에 축결합될 수 있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램프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제 3전측위치고정부(433)의 연결링크(421)는 상기 제 3전측위치고정부(433)의 클램프 연결구(412)의 상부방향의 클램프(420)의 하부부위에서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제 2전측지지프레임(232)의 타측부 상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제 2전측지지프레임(232)의 타측부 상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프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제 3전측위치고정부(433)의 연결링크(421)의 축(421a)을 기준으로 상기 제 3전측위치고정부(433)의 클램프(420)의 상부가 상기 타측위치고정부(42)의 클램프(42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제 2전측지지프레임(232)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차량용 실사이드(3)의 타측부와 함께 상기 보강부재(5)의 내측보강패널(52)의 타측부를 위치고정 및 위치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용 실사이드(3)의 내측에 조립되는 상기 보강부재(5)의 내측보강패널(52)의 일측 주변의 차량용 실사이드(3)의 하부 일측 중간부부위에 관통공(3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실사이드(3)의 내측에 조립되는 상기 보강부재(5)의 내측보강패널(52)의 타측부 전측 주변의 차량용 실사이드(3)의 타측부 하부 전측 부위에도 관통공(3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용 실사이드(3)의 관통공(33)에 각각 삽입고정되는 고정핀(7)과; 상기 고정핀(7)을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31)는 일예로, 실린더(311)와 상하이동몸체(3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311)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지지프레임(210)의 타측부 하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311)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제 2전측지지프레임(232)의 타측부 전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몸체(312)는 상기 실린더(31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311)에 의해 상기 실린더(311)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지지프레임(210)의 타측부 하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구비된 상기 실린더(311)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상하이동몸체(312)의 상부 전측의 반대측인 상부 후측에 차량용 실사이드(3)의 하부 일측 중간부부위에 형성된 관통공(33)에 삽입고정되는 상기 고정핀(7)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제 2전측지지프레임(232)의 타측부 전측에 볼트고정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구비된 상기 실린더(311)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상하이동몸체(312)의 상부 일측에 차량용 실사이드(3)의 타측부 하부 전측 부위에 형성된 관통공(33)에 삽입고정되는 상기 고정핀(7)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지지프레임에 차량용 실사이드가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20)가 상기 보강부재(5)의 외측보강브라켓(51)을 일정높이로 지지 및 클램프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위치고정부(40)의 클램프(420)의 상부가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된 상태에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상부에 차량용 실사이드(3)가 작업자에 의해 수평안착될 수 있다.
도 12는 차량용 실사이드의 내측에 내측보강패널이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상기 타측위치고정부(42)의 클램프(420), 상기 제 1전측위치고정부(431)의 클램프(420), 제 3전측위치고정부(433)의 클램프(420)가 상기 차량용 실사이드(3)와 함께 상기 보강부재(5)의 내측보강패널(52)의 위치고정할 수 있도록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차량용 실사이드(3)의 내측에 상기 보강부재(5)의 내측보강패널(52)이 수평안착될 수 있다.
도 13은 차량용 실사이드와 내측보강패널이 위치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평면도이다.
이 상태에서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램프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위치고정부(40)의 클램프(420)의 상부가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상부에 안착된 차량용 실사이드(3)와 함께 상기 보강부재(5)의 내측보강패널(52)을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도 15는 용접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용접부(50)는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일측 주변 또는 타측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위치고정부(40)에 의해 위치고정된 차량용 실사이드(3)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상기 보강부재(5)의 내측보강패널(52) 및 외측보강브라켓(51)을 용접조립할 수 있다.
상기 용접부(50)는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로봇(510)의 암(511)의 선단에 설치되는 스폿 용접건(520)을 통해 차량용 실사이드(3)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상기 보강부재(5)의 내측보강패널(52) 및 외측보강브라켓(51)을 용접조립하는 스폿용접장치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21은 용접부에 의해 차량용 실사이드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외측보강브라켓과 내측보강패널이 용접조립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용접부(50)를 이룰 수 있는 스폿용접장치의 스폿 용접건(520)이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용 실사이드(3)의 내측에 수평안착된 상기 보강부재(5)의 내측보강패널(52)의 하부 전측과 하부 중간부를 각각 상기 내측보강패널(52)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스폿용접하여 상기 보강부재(5)의 내측보강패널(52)을 차량용 실사이드(3)의 내측에 조립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접부(50)를 이룰 수 있는 스폿용접장치의 스폿 용접건(520)이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용 실사이드(3)의 내측에 수평안착된 상기 보강부재(5)의 내측보강패널(52)의 후측부에 형성된 날개판(521)의 일측부의 반대측인 타측부를 차량용 실사이드(3)의 후측부 내면 타측에 상기 내측보강패널(52)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스폿용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접부(50)를 이룰 수 있는 스폿용접장치의 스폿 용접건(520)이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5)의 외측보강브라켓(51)의 상부수평판(511)의 타측을 차량용 실사이드(3)의 후측날개판(32)의 하부 외측면에 스폿용접할 수 있다.(도 18의 ① 참조.)
그리고, 상기 용접부(50)를 이룰 수 있는 스폿용접장치의 스폿 용접건(520)이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5)의 외측보강브라켓(51)의 하부수직판(514)의 일측 및 중간을 차량용 실사이드(3)의 후측부 하부 외측면에 스폿용접 및 상기 하부수직판(514)의 일측 및 중간과 각각 마주하는 내측보강패널(52)의 날개판(521)의 중간부 부위를 차량용 실사이드(3)의 후측부 타측 내면에 스폿용접할 수 있다.(도 19의 ② 참조.)
이로서, 상기 지지부(30)의 지지부재(320)가 상기 외측보강브라켓(51)으로부터 이탈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재(320)가 상기 지지몸체(360)와 함께 하강되어도 상기 보강부재(5)의 외측보강브라켓(51)이 차량용 실사이드(3)의 하부방향으로 낙하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그리고,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0)의 전후이동실린더(340)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320)가 상기 외측보강브라켓(51)의 슬릿(515)에서 이탈되도록 상기 지지부재(320)가 후진한 후 상기 상하이동실린더(350)에 의해 상기 지지몸체(360)와 함께 상기 지지부재(320)가 하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지지몸체(360)의 간섭없이 상기 용접부(50)를 이룰 수 있는 스폿용접장치의 스폿 용접건(520)이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5)의 외측보강브라켓(51)의 하부수직판(514)의 타측을 차량용 실사이드(3)의 후측부 하부 외측면에 스폿용접 및 상기 하부수직판(514)의 타측과 마주하는 내측보강패널(52)의 날개판(521)의 중간부 부위를 차량용 실사이드(3)의 후측부 타측 내면에 스폿용접할 수 있다.(도 20의 ③ 참조.)
그리고, 상기 용접부(50)를 이룰 수 있는 스폿용접장치의 스폿 용접건(520)이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5)의 외측보강브라켓(51)의 상부수평판(511)의 일측을 차량용 실사이드(3)의 후측날개판(32)의 하부 외측면에 스폿용접할 수 있다.(도 21의 ④ 참조.)
이와 같이 상기 외측보강브라켓(51)과 내측보강패널(52)로 이루어지는 상기 보강부재(5)를 차량의 실사이드(3)의 외측과 내측에 스폿용접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용접부(50)를 통해 용이하게 용접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불량없이 상기 외측보강브라켓(51)과 함께 상기 내측보강패널(52)을 자동으로 용접할 수 있어 작업성 향상 및 차량용 실사이드(3)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2는 가이드프레임과 전후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프레임(60)과 전후이동부(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프레임(60)은 상기 바닥프레임(10)의 하부에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프레임(60)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상기 바닥프레임(10)의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이 각각 상기 가이드프레임(6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용접부(50)는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일측 주변 또는 타측 주변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60)의 전측부의 반대측인 후측부 일측 외부방향 또는 후측부 타측 외부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부(7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60)의 후측부 상부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0), 상기 지지부(30), 상기 위치고정부(40) 및 상기 용접부(50)와 함께 상기 바닥프레임(10)을 상기 가이드프레임(6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부(7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60)의 후측부 상부 중간부에 상기 가이드프레임(6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된 상태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는 실린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부(70)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피스톤(701)의 전측이 상기 바닥프레임(10)의 하부 중간부에 형성된 이동몸체(도 15의 10a)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701)의 길이가 신축됨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20), 상기 지지부(30), 상기 위치고정부(40) 및 상기 용접부(50)와 함께 상기 바닥프레임(1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6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3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동스위치(71), 감지부(80), 경고신호출력부(90) 및 제어부(1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스위치(71)는 상기 전후이동부(70)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100)에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80)는 근접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근접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감지부(80)는 차량용 실사이드 감지부재(810), 외측보강브라켓 감지부재(820) 및 내측보강브라켓 감지부재(8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실사이드 감지부재(810)는 일예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일측지지프레임(210)의 타측부 중간에 구비되어 상기 일측지지프레임(210)의 상부에 안착된 차량용 실사이드(3)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실사이드 감지부재(810)가 상기 일측지지프레임(210)의 상부에 안착된 차량용 실사이드(3)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상하이동부(31)에 의해 상기 고정핀(7)이 상승하여 차량용 실사이드(3)의 관통공(33)에 삽입고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지지프레임(20)으로부터 차량용 실사이드(3)가 이탈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상기 외측보강브라켓 감지부재(820)는 일예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0)의 지지부재(32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지지부재(320)의 일측방향의 상기 전후이동프레임(33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차량용 실사이드(3)의 외측에 조립되는 상기 보강부재(5)의 외측보강브라켓(51)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내측보강브라켓 감지부재(830)는 도 10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측위치고정부(43) 중 제 1전측위치고정부(431)의 클램프(42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측보강브라켓 감지부재(830)는 제 1전측위치고정부(433)의 클램프(420)의 상부가 상기 클램프(420)의 하부방향으로 하강할 경우, 차량용 실사이드(3)의 내측에 조립되는 상기 보강부재(5)의 내측보강패널(52)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경고신호출력부(90)는 경고음 또는 빛 등의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경고신호출력부(90)는 일예로, 사이렌 소리 등의 경고음으로 이루어지는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빛으로 이루어지는 경고신호를 발광출력하는 LED 등의 발광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스피커와 발광부재 모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감지부(8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경고신호출력부(90)와 상기 전후이동부(7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상부에 차량용 실사이드(3)가 위치고정 및 차량용 실사이드(3)의 외측 및 내측에 각각 상기 보강부재(5)의 외측보강브라켓(51) 및 내측보강패널(52)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프레임(20), 상기 지지부(30), 상기 위치고정부(40) 및 상기 용접부(50)와 함께 상기 바닥프레임(10)이 상기 전후이동부(70)에 의해 상기 가이드프레임(60)의 후측부 상부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용접부(50)가 차량용 실사이드(3)의 외측 및 내측에 각각 상기 보강부재(5)의 외측보강브라켓(51) 및 내측보강패널(52)을 자동으로 용접조립할 수 있다.
상기 작동스위치(70)가 ON상태이고, 상기 감지부(80)가 차량용 실사이드(3), 상기 보강부재(5)의 외측보강브라켓(51), 상기 보강부재(5)의 내측보강패널(5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차량용 실사이드(3), 상기 보강부재(5)의 외측보강브라켓(51), 상기 보강부재(5)의 내측보강패널(52)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준비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전원공급부(200)의 전원이 상기 경고신호출력부(90)로 공급되어 상기 경고신호출력부(90)의 스피커와 발광부재가 각각 경고음을 출력 및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0), 상기 지지부(30), 상기 위치고정부(40) 및 상기 용접부(50)와 함께 상기 바닥프레임(1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60)의 후측부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후이동부(70)의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상기 작동스위치(70)가 ON상태이고, 상기 감지부(80)가 차량용 실사이드(3), 상기 보강부재(5)의 외측보강브라켓(51), 상기 보강부재(5)의 내측보강패널(52) 모두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차량용 실사이드(3), 상기 보강부재(5)의 외측보강브라켓(51), 상기 보강부재(5)의 내측보강패널(52) 모두가 준비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경고신호출력부(90)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경고신호출력부(90)의 스피커와 발광부재가 각각 작동중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0), 상기 지지부(30), 상기 위치고정부(40) 및 상기 용접부(50)와 함께 상기 바닥프레임(1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60)의 후측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후이동부(70)가 작동될 수 있다.
10; 바닥프레임, 20; 지지프레임,
30; 지지부, 40; 위치고정부,
50; 용접부.

Claims (13)

  1.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차량용 실사이드가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차량용 실사이드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바닥프레임에 구비되어 차량용 실사이드의 외측에 조립되는 보강부재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된 차량용 실사이드와 함께 차량용 실사이드의 내측에 조립되는 보강부재를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와;
    상기 위치고정부에 의해 위치고정된 차량용 실사이드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상기 보강부재를 용접조립하는 용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부수평판과, 상기 상부수평판의 전측에서 상기 상부수평판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형성되는 상부수직판과, 상기 상부수직판의 하부에서 상기 상부수직판의 하부 전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하부에서 상기 경사판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형성되는 하부수직판으로 구성되어 차량용 실사이드의 외측에 조립되는 외측보강브라켓과;
    상기 외측보강브라켓과 인접하도록 차량용 실사이드의 내측에 안착된 상태로 조립되는 내측보강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사이드 조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구비되는 일측지지프레임 및 타측지지프레임과;
    상기 일측지지프레임과 상기 타측지지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 전측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제 1전측지지프레임 및 제 2전측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전측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사이드 조립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실사이드의 내측에 조립되는 상기 보강부재의 일측 주변의 상기 차량용 실사이드의 하부 일측부위 및 상기 차량용 실사이드의 내측에 조립되는 상기 보강부재의 전측 주변의 상기 차량용 실사이드의 하부 전측부위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차량용 실사이드의 관통공에 삽입고정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을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사이드 조립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외측보강브라켓의 상부수직판의 일측에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외측보강브라켓의 상부수직판의 슬릿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외측보강브라켓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사이드 조립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전측부 일측과 전측부 타측에 상기 지지부재의 후측부에서 전측부로 갈수록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사이드 조립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측에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 일측에 상기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전후이동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전후이동프레임과 함께 상기 지지부재를 전후이동시키는 전후이동실린더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후이동실린더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실린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사이드 조립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전후이동프레임의 상부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외측보강브라켓의 경사판을 안착지지하며, 상부에 상기 보강부재의 외측보강브라켓의 경사판을 따라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지지몸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사이드 조립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어 차량용 실사이드와 함께 차량용 실사이드의 내측에 조립되는 보강부재를 위치고정시키는 클램프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사이드 조립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실린더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피스톤의 상부에 클램프 연결부가 구비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의 클램프 연결부에 하부가 축결합되고, 상기 클램프 연결부의 상부방향의 하부부위에 상기 지지프레임방향으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연결링크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링크의 축을 기준으로 상기 승강실린더의 피스톤의 승강운동에 의해 상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사이드 조립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는 로봇의 암의 선단에 설치되는 스폿 용접건을 통해 차량용 실사이드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상기 보강부재를 용접조립하는 스폿용접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사이드 조립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프레임의 전후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상기 바닥프레임을 전후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사이드 조립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스위치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된 차량용 실사이드를 감지하는 차량용 실사이드 감지부재와, 차량용 실사이드의 외측에 조립되는 상기 보강부재의 외측보강브라켓을 감지하는 외측보강브라켓 감지부재와, 차량용 실사이드의 내측에 조립되는 상기 보강부재의 내측보강패널을 감지하는 내측보강브라켓 감지부재로 구성되는 감지부와;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경고신호출력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경고신호출력부와 전후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사이드 조립장치.
  13. 삭제
KR1020200070474A 2020-06-10 2020-06-10 차량용 실사이드 조립장치 KR102335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474A KR102335736B1 (ko) 2020-06-10 2020-06-10 차량용 실사이드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474A KR102335736B1 (ko) 2020-06-10 2020-06-10 차량용 실사이드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736B1 true KR102335736B1 (ko) 2021-12-03

Family

ID=78866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474A KR102335736B1 (ko) 2020-06-10 2020-06-10 차량용 실사이드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7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277A (ko) 1996-12-10 1998-09-15 김영귀 밀림방지용 브라켓트가 취부되는 자동차용 도어구조
KR19980045277U (ko) * 1996-12-27 1998-09-25 김영귀 자동차의 실사이드
KR20170119993A (ko) * 2016-04-20 2017-10-30 (주)세원물산 3차원 폐단면 차체부품 제조용 고강성 용접지그
KR101831337B1 (ko) * 2017-05-26 2018-04-04 대우공업 (주)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장착 구조체의 조립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277A (ko) 1996-12-10 1998-09-15 김영귀 밀림방지용 브라켓트가 취부되는 자동차용 도어구조
KR19980045277U (ko) * 1996-12-27 1998-09-25 김영귀 자동차의 실사이드
KR20170119993A (ko) * 2016-04-20 2017-10-30 (주)세원물산 3차원 폐단면 차체부품 제조용 고강성 용접지그
KR101831337B1 (ko) * 2017-05-26 2018-04-04 대우공업 (주)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장착 구조체의 조립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4164B1 (ko) 리스폿 용접용 고정 장치
KR101831337B1 (ko)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장착 구조체의 조립장치 및 방법
CA2323854C (en) A cab for earth-moving machines
KR102335736B1 (ko) 차량용 실사이드 조립장치
JP6898055B1 (ja) 車両接近報知装置および該装置を備えたピッキングトラック
KR100996590B1 (ko)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재의 용접부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94141B1 (ko) 체결부품 누락 검출기능을 갖는 융착기
JP2017171253A (ja) 作業車輌
KR20180106228A (ko) 루프 패널 능동 위치 보정 시스템
JP4867387B2 (ja) 自動車の前部構造
CN101624073B (zh) 双层客车骨架车身装配方法
JP7211027B2 (ja) 車体前部構造
JP2007083302A (ja) プロジェクションボルト等の部品溶接装置
KR20200136637A (ko) 용접 품질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0793879B1 (ko) 지그 실린더 장치
CN206155583U (zh) 车身转向支撑结构总成
KR101219554B1 (ko) 자동차 차체부품용 자동 팔레트의 불량검출장치 및 그 검출방법
JP2019172192A (ja) 作業車用車体
KR101361772B1 (ko) 연료필러하우징 조립장치
KR20150098275A (ko) 시트 마운팅 브래킷 제조장치
CN216264149U (zh) 一种面板自动焊接柱设备
KR102088127B1 (ko) 자동차용 로워암의 부시부재 용접을 위한 부시부재 공급장치
CN109807513A (zh) 一种前排座椅后横梁总成焊接工装
CN211543425U (zh) 商用车前围外饰件安装定位结构
KR100569059B1 (ko) 너트 용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