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857B1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857B1
KR102333857B1 KR1020210093275A KR20210093275A KR102333857B1 KR 102333857 B1 KR102333857 B1 KR 102333857B1 KR 1020210093275 A KR1020210093275 A KR 1020210093275A KR 20210093275 A KR20210093275 A KR 20210093275A KR 102333857 B1 KR102333857 B1 KR 102333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leg
setting member
housing
height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코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아스 filed Critical (주)코아스
Priority to KR1020210093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A47B41/02Adjustable, inclinable, sliding or foldable desks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6Gli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12Leg supports, e.g. cup-shaped, also under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는: 바닥에 대한 레그의 높이를 조절하는 어저스트부로써, 레그의 하단 방향으로 개방된 내부에 구비되는 스토퍼, 레그의 하단에서 내부로 축 삽입되는 높이설정부재, 및 높이설정부재의 둘레면에 축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어 스토퍼가 걸림에 따라 바닥에 대한 레그의 높이를 설정하는 걸림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FURNITURE HAVING ADJUSTABLE APPARATUS}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에 대한 레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어저스트부로써 다리의 하부 내측에 조립된 하우징에 삽입되는 높이설정부재의 방향에 따라 하우징에 대한 높이설정부재의 축 삽입 정도를 달리하도록 하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가구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레그의 하부로 노출된 높이설정부재를 캡으로 막아 노출을 방지함에 따라 심미감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에 관한 것이다.
학교나 현대의 사무실이나 산업 환경은 다양한 유형의 기능적 가구구성을 갖는 작업 구역을 제공한다. 이들 가구구성은 제도(drafting)로부터 서기 및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기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되는 작업면 및 테이블 상면이 포함된다.
테이블의 받침부에 제공되는 발판은 다양한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야만 한다.
특히, 이와 같은 테이블은 초등학교나 중, 고등학교 및 대학교의 경우 보다 심각한 실정이다. 즉, 한 교실에서 수업을 받는 동급생의 경우라도 개인간의 신체조건은 상당한 차이가 있기 마련이다. 그런데, 이러한 교구용 테이블은 다수 학생들의 평균적인 신체 조건을 감안하여 단계별로 규격화된 치수로 제작된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신체 사이즈에 맞지 않는 교구용 테이블을 사용하는 학생들에게 상당한 불편함이 있다.
그래서,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196473호 및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205155호와 같은 책걸상 및 높낮이 조절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다리의 하부에 구비되는 어저스트(adjust)의 전체 높이를 조절 후 볼트나 핀으로 고정하는 바, 볼트나 핀이 변형되거나 파손됨에 따라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높낮이 조절되는 어저스트의 부위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심미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바닥에 대한 레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어저스트부로써 다리의 하부 내측에 조립된 하우징에 삽입되는 높이설정부재의 방향에 따라 하우징에 대한 높이설정부재의 축 삽입 정도를 달리하도록 하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가구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하고자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레그의 하부로 노출된 높이설정부재를 캡으로 막아 노출을 방지함에 따라 심미감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는: 레그; 및 바닥에 대한 상기 레그의 높이를 조절하는 어저스트부를 포함한다.
상기 어저스트부는, 상기 레그의 하단 방향으로 개방된 내부에 구비되는 스토퍼; 상기 레그의 하단에서 내부로 축 삽입되는 높이설정부재; 및 상기 높이설정부재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가 걸림에 따라, 상기 바닥에 대한 상기 레그의 높이를 설정하는 걸림턱부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높이설정부재의 둘레면에 축 방향을 따라 상단에서의 거리가 상이하도록 하나 이상 함몰 형성되어, 상기 레그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스토퍼가 걸려 지지되는 위치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저스트부는, 상기 레그의 하단에서 내부로 축 삽입되고, 적어도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높이설정부재의 축 삽입을 허용하며, 내부 일측면에 상기 스토퍼를 돌출 형성한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둘레면에 가압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레그의 하측으로 개방되는 조립홈부의 내측면에 가압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설정부재는 바닥에 접하는 하부에 서포트패드를 상기 높이설정부재의 평면적보다 넓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그의 하부와 상기 높이설정부재는 캡에 의해 쌓여 노출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는 종래 기술과 달리 바닥에 대한 레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어저스트부로써 다리의 하부 내측에 조립된 하우징에 삽입되는 높이설정부재의 방향에 따라 하우징에 대한 높이설정부재의 축 삽입 정도를 달리하도록 하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가구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레그의 하부로 노출된 높이설정부재를 캡으로 막아 노출을 방지함에 따라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의 높이 조절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의 초기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의 초기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의 높이를 상승시킨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의 높이를 상승시킨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의 높이 조절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의 초기 상태의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의 초기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의 높이를 상승시킨 상태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의 높이를 상승시킨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10)는 어저스트부(100)를 포함한다.
어저스트부(100)는 바닥에 대한 레그(20)의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레그(20)는 테이블이나 책상 등 가구(1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하나 이상 구비된다.
아울러, 어저스트부(100)는 레그(20)의 하측에 구비되어, 바닥에 대한 레그(20)의 하단의 높이(거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어저스트부(100)는 하우징(110), 스토퍼(120), 높이설정부재(130) 및 걸림턱부(14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레그(20)의 하단에서 내부로 축 삽입되고, 하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개방된 하측은 레그(20)의 하단으로 노출된다.
이를 위해, 레그(20)는 하측으로 개방되는 조립홈부(22)를 형성하고, 하우징(110)은 조립홈부(22)에 축 삽입된다.
아울러, 하우징(110)은 내부에 삽입공간(112)을 형성한다.
또한, 스토퍼(120)는 레그(20)의 하단 방향으로 개방된 내부, 특히 하우징(110)의 삽입공간(112)의 내부 일측면에 돌출 형성한다.
물론, 스토퍼(120)는 하우징(110)이 제거된 상태에서 레그(20)의 조립홈부(22)의 내부 일측면에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높이설정부재(130)는 레그(20)의 하단 내부의 하우징(110)에 축 삽입된다. 즉, 높이설정부재(130)는 하우징(110)의 삽입공간(112)에 축 삽입되고, 바닥에 지지된다. 이때, 레그(20) 등이 자중에 의해 높이설정부재(130) 측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함에 따라, 높이설정부재(130)는 임의적으로 레그(20)나 하우징(1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아울러, 높이설정부재(130)가 레그(20)의 조립홈부(22)에 억지 끼움되어, 사용자가 레그(20)를 들어 올린 후 높이설정부재(130)를 당겨 하우징(11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한다.
그리고, 하우징(110)이 레그(20)의 조립홈부(22)에 축 삽입된 경우, 하우징(110)은 둘레면에 가압돌기(114)를 형성하여 레그(20)의 하측으로 개방되는 조립홈부(22)의 내측면에 가압 고정된다.
물론, 가압돌기(114)는 조립홈부(22)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될 수도 있고, 형상 및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래서, 하우징(110)은 둘레면이 조립홈부(22)의 내측면에 가압 고정됨으로써, 레그(20) 등의 집중 하중이 하우징(110)에 전달되더라도, 하우징(110)의 상단(상면)에 작용하는 외력이 분산됨으로써, 하우징(110)의 내구성이 증대된다.
또한, 높이설정부재(130)는 바닥에 접하는 하부에 서포트패드(132)를 높이설정부재(130)의 평면적보다 넓게 형성한다.
서포트패드(132)의 평면적이 높이설정부재(130)의 평면적보다 넓음에 따라, 높이설정부재(130)가 바닥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아울러, 서포트패드(132)가 하우징(110)의 개방측에 접할 때까지, 높이설정부재(130)는 하우징(110)에 완전히 축 삽입되는 상태가 된다. 높이설정부재(130)가 하우징(110)에 완전히 축 삽입된 경우, 레그(20)는 하단이 서포트패드(132)의 높이만큼 바닥에서 유격된 상태가 된다.
물론, 서포트패드(13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높이설정부재(130)에 분리 또는 일체로 구비된다.
이때, 높이설정부재(130)는 평단면상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110)은 삽입공간(112)의 단면이 높이설정부재(13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한편, 걸림턱부(140)는 높이설정부재(130)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스토퍼(120)가 걸림에 따라, 상기 바닥에 대한 레그(20)의 높이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높이설정부재(130)가 하우징(110)의 삽입공간(112)에 완전히 삽입시, 레그(20)는 바닥에 대해 가장 낮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스토퍼(120)가 걸림턱부(140)에 걸릴 경우, 레그(20)는 바닥에 대해 설정 거리만큼 유격된 상태로 높이 설정이 된다. 아울러, 스토퍼(120)의 하측이 높이설정부재(130)의 상단에 접할 경우, 레그(20)는 바닥에 대해 가장 높은 상태가 된다.
특히, 걸림턱부(140)는 높이설정부재(130)의 둘레면 중 특정한 둘레면 또는 특정한 부위에 축 방향을 따라 상단에서의 거리가 상이하도록 하나 이상 함몰 형성된다.
편의상, 높이설정부재(130)는 평단면상 사각 형상으로 도시하고, 걸림턱부(140)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이때, 걸림턱부(140) 각각은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높이설정부재(130)가 하우징(110)의 삽입공간(112)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에 따라, 높이설정부재(130)는 스토퍼(120)에 걸리지 않거나 또는 걸림턱부(140)가 스토퍼(120)에 걸릴 때까지 삽입공간(112)에 축 삽입된다.
특히, 높이설정부재(130)는 스토퍼(1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양측면에 슬라이드홈(142)을 상부 및 둘레면 외측으로 개방되게 형성한다. 그래서, 하우징(110) 내부의 스토퍼(120)가 슬라이드홈(142)의 하부 바닥면에 접할 때까지, 높이설정부재(130)는 삽입공간(112)으로 축 삽입 안내된다.
다시 말해서, 높이설정부재(130)가 평단면상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높이설정부재(130)는 양측면에 슬라이드홈(142)과 걸림턱부(140)를 형성하지 않고, 다른 복수의 대응되는 양측면에 슬라이드홈(142)과 높이가 상이한 걸림턱부(140)를 형성할 수 있다.
그래서, 높이설정부재(130)는 하우징(110)의 삽입공간(112)에 삽입되는 방향성이 설정된 후 삽입공간(112)에 축 삽입시,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달라지게 된다. 이로써, 레그(20)는 서포트패드(132)에 대한 이격 거리를 달리하면서 높이가 설정된다.
이때, 레그(20)가 상부 방향으로 들려짐으로써, 높이설정부재(130)가 하우징(110)의 삽입공간(112)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 가능함에 따라, 레그(20)의 높낮이 조절 작업에 편의성이 제공된다.
특히, 레그(20)의 하부와 높이설정부재(130)는 캡(150)에 의해 쌓여 노출 방지된다.
즉, 높이설정부재(130)의 하측이 레그(20)와 하우징(110)의 하측으로 노출될 경우, 심미감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레그(20)는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캡(150)을 구비한다. 이를 위해, 캡(150)은 상하 연통되는 연통홀(152)을 형성하고, 레그(20)는 캡(150)의 연통홀(152)에 축 삽입된다.
그리고 나서, 높이설정부재(130)에 대한 레그(20)의 높이 조절 후, 캡(150)이 레그(20)를 따라 하향하면서 서포트패드(132) 또는 바닥에 접하게 된다.
이때, 캡(150)은 바닥이나 서포트패드(132)에 접한 채 레그(20)를 지지함으로써, 레그(20)는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라이드홈(142)과 걸림턱부(140)에 대응되도록, 하우징(110)은 내부 양측면에 스토퍼(120)를 돌출 형성한다. 특히, 스토퍼(120)는 내구성 향상을 위해 하우징(110) 각각의 내부 상측면과 내부 둘레면에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그래서, 스토퍼(120)는 하우징(110) 각각의 내측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스토퍼(120)가 대응되는 걸림턱부(140)에 접할 경우, 높이설정부재(130)는 안정적으로 하우징(110)에 지지된다.
특히, 하우징(110)이 삽입공간(112)의 양측에 대향하도록 스토퍼(120)를 형성하기 위해, 하우징(110)은 2개로 나뉘어진 채 개별적으로 성형된 후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10)은 레그(20)의 조립홈부(22)에 삽입되는 정도를 제한하기 위해 하측에 플랜지(116)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플랜지(116)가 레그(20)의 하측 가장자리에 접할 때까지, 하우징(110)은 조립홈부(22)에 삽입된다.
실시예로서, 하우징(110)은 내부의 삽입공간(112)의 평단면이 대략 정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마주하는 내부 양측면에 스토퍼(120)를 돌출 형성한다.
또한, 높이설정부재(130)는 평단면이 정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삽입공간(112)의 내부 평면적과 유사한 크기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높이설정부재(130)는 둘레 4면 중 반대방향인 2면에 각각 슬라이드홈(142)과 걸림턱부(140)를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이로써, 높이설정부재(130)는 삽입공간(112)으로 축 삽입되는 방향성이 설정된 후, 슬라이드홈(142)이 대응되는 스토퍼(120)를 수용하거나, 또는 슬라이드홈(142)이 형성되지 않은 측면이 대응되는 스토퍼(120)를 따라 이동된다. 스토퍼(120)가 걸림턱부(140)에 접할 경우, 높이설정부재(130)는 하우징(110)의 내부로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서포트패드(132)는 미세조정부재(160)를 나사 결합한다. 그래서, 미세조정부재(160)는 직접적으로 바닥에 접하게 된다.
이때, 미세조정부재(160)가 서포트패드(132)에 나사 결합되어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바닥에 대한 레그(20)의 높이가 미세 조정 가능하게 된다. 미세조정부재(16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하우징(110)이 레그(20)의 조립홈부(22)에 억지 끼움되어 레그(20)를 보강하고, 레그(20)가 상부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거나 또는 뒤집혀진 상태에서, 높이설정부재(130)가 하우징(110)의 삽입공간(112)에 축 삽입되는 정도를 달리함으로써, 레그(20)는 용이하게 바닥에 대한 높이가 조절된다.
높이설정부재(130)가 바닥에 대한 레그(20)의 높이를 조절 후, 미세조정부재(160)가 나사 결합된 서포트패드(132)에 대한 축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바닥에 대한 레그(20)의 높이를 미세하게 추가 조절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가구 20: 레그
22: 조립홈부 100: 어저스트부
110: 하우징 112: 삽입공간
114: 가압돌기 120: 스토퍼
130: 높이설정부재 132: 서포트패드
140: 걸림턱부 142: 슬라이드홈
150: 캡 152: 연통홀
160: 미세조정부재

Claims (6)

  1. 레그; 및 바닥에 대한 상기 레그의 높이를 조절하는 어저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저스트부는, 상기 레그의 하단 방향으로 개방된 내부에 구비되는 스토퍼; 상기 레그의 하단에서 내부로 축 삽입되는 높이설정부재; 상기 스토퍼에 걸리는 위치를 달리하도록 상기 높이설정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에 대한 상기 레그의 높이를 설정하는 걸림턱부; 및 상기 레그의 하단에서 내부로 축 삽입되고, 적어도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높이설정부재의 축 삽입을 허용하며, 내부 일측면에 상기 스토퍼를 돌출 형성한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높이설정부재의 둘레면에 축 방향을 따라 상단에서 설정 위치까지 함몰 형성되는 하나 또는 설정 위치가 상이하도록 복수 개가 함몰 형성되어, 상기 레그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높이설정부재의 방향에 따라, 상기 스토퍼가 걸려 지지되는 위치를 달리하고,
    상기 높이설정부재는 바닥에 접하는 하부에 서포트패드를 상기 높이설정부재의 평면적보다 넓게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레그의 조립홈부에 삽입되는 정도를 제한하기 위해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측면과 내부 둘레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둘레면에 가압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레그의 하측으로 개방되는 조립홈부의 내측면에 가압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의 하부와 상기 높이설정부재는 캡에 의해 쌓여 노출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
KR1020210093275A 2021-07-16 2021-07-16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 KR102333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275A KR102333857B1 (ko) 2021-07-16 2021-07-16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275A KR102333857B1 (ko) 2021-07-16 2021-07-16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3857B1 true KR102333857B1 (ko) 2021-12-06

Family

ID=78901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275A KR102333857B1 (ko) 2021-07-16 2021-07-16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85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3433A (ja) * 1993-09-28 1995-06-27 Metro Ind Inc 鉛直方向調整可能な支持脚
KR19980055773U (ko) * 1998-06-10 1998-10-07 박번 높이조절용 식탁
JP2001046165A (ja) * 1999-08-10 2001-02-20 Marukyo Seisakusho:Kk 家具等の高さ調節装置
JP2015054188A (ja) * 2013-09-13 2015-03-23 旭化成ホームズ株式会社 脚部の伸縮構造、及び、テーブル
KR101584940B1 (ko) * 2015-05-09 2016-01-15 손동준 높낮이 조절용 상다리
JP2016195633A (ja) * 2015-04-02 2016-11-24 愛知株式会社 取付部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3433A (ja) * 1993-09-28 1995-06-27 Metro Ind Inc 鉛直方向調整可能な支持脚
KR19980055773U (ko) * 1998-06-10 1998-10-07 박번 높이조절용 식탁
JP2001046165A (ja) * 1999-08-10 2001-02-20 Marukyo Seisakusho:Kk 家具等の高さ調節装置
JP2015054188A (ja) * 2013-09-13 2015-03-23 旭化成ホームズ株式会社 脚部の伸縮構造、及び、テーブル
JP2016195633A (ja) * 2015-04-02 2016-11-24 愛知株式会社 取付部材
KR101584940B1 (ko) * 2015-05-09 2016-01-15 손동준 높낮이 조절용 상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5469A (en) Elbow supporter for a computer mouse and keyboard
HK1121010A1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 chair
JP4335282B2 (ja) 高低調節可能なテーブル
KR102333857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
CN211323648U (zh) 学生课桌椅的按压杠杆式升降调节机构
KR102088223B1 (ko)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KR200442728Y1 (ko) 책걸상의 높이 조절구
KR101546946B1 (ko) 보조서랍장에 결합하는 높이 조절 기구
US10165864B1 (en) Chair armrest device
KR102004866B1 (ko) 상판 유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수직 지주형 절첩식 테이블
JP3163654U (ja) 机等における脚柱長さ調整装置
KR101913665B1 (ko) 가구용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KR100469772B1 (ko) 다리가 없는 의자
KR200380966Y1 (ko) 의자가 구비된 책상
KR102184575B1 (ko)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KR101379961B1 (ko)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KR101539366B1 (ko)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테이블
KR200264146Y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42400Y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95675Y1 (ko) 높이조절수단이 강구된 강대상
KR200303632Y1 (ko) 보조 책상
KR102540295B1 (ko) 조작성이 향상된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KR102004868B1 (ko) 상판 유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절곡 프레임형 절첩식 테이블
GB2232880A (en) Pillow
KR200241409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 걸상용 지지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