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366B1 -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테이블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366B1
KR101539366B1 KR1020150010827A KR20150010827A KR101539366B1 KR 101539366 B1 KR101539366 B1 KR 101539366B1 KR 1020150010827 A KR1020150010827 A KR 1020150010827A KR 20150010827 A KR20150010827 A KR 20150010827A KR 101539366 B1 KR101539366 B1 KR 101539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adjusting
frame
height
housing
adjust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to KR1020150010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 포스트에 나사 결합되도록 연결되는 높이조절핀, 및 프레임 포스트의 축 방향 이동을 위해 높이조절핀을 프레임 하우징에 위치 고정한 채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위치설정부를 포함하는 높이조절부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사용자가 선 채로 다리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높낮이가 가능하도록 복수 개 구비되는 프레임끼리의 틈새 발생을 막아 지지함으로써 다리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리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 볼트의 체결 방식을 채택하면서 해당 볼트를 프레임의 내측에서 베어링에 삽입하여 볼트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테이블{ADJUSTABLE APPARATUS AND TABLE HAVING THE ADJUSTABLE APPARATUS}
본 발명은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선 채로 다리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높낮이가 가능하도록 복수 개 구비되는 프레임끼리의 틈새 발생을 막아 지지함으로써 다리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리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 볼트의 체결 방식을 채택하면서 해당 볼트를 프레임의 내측에서 베어링에 삽입하여 볼트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학교나 현대의 사무실이나 산업 환경은 다양한 유형의 기능적 가구성분을 갖는 작업 구역을 제공한다. 이들 가구 성분은 제도(drafting)로부터 서기 및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기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되는 작업면 및 테이블 상면이 포함된다.
테이블의 받침부에 제공되는 발판은 다양한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야만 한다.
특히, 이와 같은 테이블은 초등학교나 중, 고등학교 및 대학교의 경우 보다 심각한 실정이다. 즉, 한 교실에서 수업을 받는 동급생의 경우라도 개인간의 신체조건은 상당한 차이가 있기 마련이다. 그런데, 이러한 교구용 테이블은 다수 학생들의 평균적인 신체 조건을 감안하여 단계별로 규격화된 치수로 제작된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신체 사이즈에 맞지 않는 교구용 테이블을 사용하는 학생들에게 상당한 불편함이 있었다.
그래서,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국내 실용신안출원 제98-16227호(조립식 책상)와 실용신안출원 제98-16228호(의자) 및 실용신안등록 제20-163888호, 실용신안등록 제20-196473호, 실용신안등록 제20-205155호와 같은 책걸상 및 높낮이 조절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아울러, 테이블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대해서는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265908호(고안의 명칭: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에 제안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테이블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다리의 중간 부위 또는 다리의 하부에 회전식 조절구를 구비하여 다리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허리를 숙여 조작해야 함으로써 불편함이 있고, 테이블의 상판 하중을 받고 있는 다리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판을 들어야 함에 따라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 테이블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높낮이 가능하도록 크기가 다른 복수 개의 포스트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데, 서로 다른 크기로 인해 측방향으로 흔들림에 따라 테이블이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선 채로 상판으로 노출된 볼트를 통해 다리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하고자 하는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높낮이가 가능하도록 복수 개 구비되는 프레임끼리의 틈새 발생을 막아 지지함으로써 다리의 흔들림을 방지하고자 하는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다리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 볼트의 체결 방식을 채택하면서 해당 볼트를 프레임의 내측에서 베어링에 삽입하여 볼트의 회전을 위해 가해지는 힘을 줄이고자 하는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는: 프레임 하우징; 상기 프레임 하우징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프레임 포스트; 및 상기 프레임 하우징에 대해 상기 프레임 포스트의 축 방향 인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프레임 포스트에 나사 결합되도록 연결되는 높이조절핀; 및 상기 프레임 포스트의 축 방향 이동을 위해 상기 높이조절핀을 상기 프레임 하우징에 위치 고정한 채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위치설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프레임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높이조절핀을 축 삽입하는 높이조절 하우징; 상기 높이조절핀의 둘레면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높이조절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높이조절핀이 상기 높이조절 하우징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 및 상기 높이조절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높이조절핀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상기 높이조절핀이 회전시 상기 높이조절 하우징으로부터 마찰 간섭이 방지되는 베어링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프레임 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프레임 포스트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 포스트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상기 높이조절핀의 측 방향을 지지하는 상단가이드부재; 및 상기 프레임 포스트를 하측으로 삽입한 상기 프레임 하우징의 하측 내부에 삽입되게 구비되어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프레임 포스트를 지지하는 하단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포스트는 상기 높이조절핀과 결합되는 부위가 내구성을 갖도록 상기 높이조절핀이 나사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프레임 플레이트를 상측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핀은 상기 프레임 포스트로부터 완전히 이탈 방지되도록 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은: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구비되는 상부 브라켓;
상기 상부 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장치; 및 상기 높이 조절장치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브라켓과 상기 하부 브라켓은 상기 상판의 양측 가장자리 각각의 전체에 걸쳐 접함으로써 상기 상판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장치는, 상기 상부 브라켓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 하우징; 상기 프레임 하우징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프레임 포스트; 및 상기 프레임 하우징에 대해 상기 프레임 포스트의 축 방향 인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프레임 포스트에 나사 결합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상부 브라켓의 상측으로 노출되게 조립되는 높이조절핀; 및 상기 프레임 포스트의 축 방향 이동을 위해 상기 높이조절핀을 상기 프레임 하우징에 위치 고정한 채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위치설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프레임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한 채 상기 상부 브라켓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높이조절핀을 축 삽입하는 높이조절 하우징; 상기 높이조절핀의 둘레면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높이조절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높이조절핀이 상기 높이조절 하우징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 및 상기 높이조절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높이조절핀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상기 높이조절핀이 회전시 상기 높이조절 하우징으로부터 마찰 간섭이 방지되는 베어링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상판은 상기 높이조절핀의 노출을 위해 개구홀을 통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테이블은 종래 기술과 달리 사용자가 선 채로 상판으로 노출된 볼트를 통해 다리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높낮이가 가능하도록 복수 개 구비되는 프레임끼리의 틈새 발생을 막아 지지함으로써 다리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다리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 볼트의 체결 방식을 채택하면서 해당 볼트를 프레임의 내측에서 베어링에 삽입하여 볼트의 회전을 위해 가해지는 힘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를 구비하는 테이블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를 구비하는 테이블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를 구비하는 테이블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테이블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를 구비하는 테이블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를 구비하는 테이블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를 구비하는 테이블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10)은 상판(20), 상부 브라켓(30), 높이 조절장치(100) 및 하부 브라켓(40)을 포함한다.
상판(20)은 작업 등을 위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상부 브라켓(30)은 상판(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판(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부 브라켓(30)은 상판(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높이 조절장치(100)는 상부 브라켓(30)에 연결되어 상판(2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부 브라켓(30)은 높이 조절장치(100)에 지지되는 상판(20)의 파손 방지 등 상판(20)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부 브라켓(30)은 높이 조절장치(100)에 연결된 채 내구성을 충분히 가질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하부 브라켓(40)은 높이 조절장치(100)의 하측에 구비되고, 바닥에 접한다. 즉, 하부 브라켓(40)은 바닥에 대해 높이 조절장치(100)와 상부 브라켓(30) 및 상판(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부 브라켓(30)은 상판(20)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되고, 사용자를 기준으로 세로 방향으로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상판(20)의 하측에 접함으로써, 상판(2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상판(20)의 기울어짐을 방지한다.
아울러, 하부 브라켓(40)은 상부 브라켓(30)과 유사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높이 조절장치(100)와 상부 브라켓(30) 및 상판(20)을 충분히 지지한다.
한편, 높이 조절장치(100)는 프레임 하우징(110), 프레임 포스트(120) 및 높이조절부(130)를 포함한다.
프레임 하우징(110)은 상부 브라켓(30)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덕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 포스트(120)는 프레임 하우징(110)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일부 삽입되도록 조립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 하우징(110)의 축 방향으로 노출되는 프레임 포스트(120)의 길이에 따라, 상판(20)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다시 말해서, 높이조절부(130)는 프레임 하우징(110)에 대해 프레임 포스트(120)의 축 방향 인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판(2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프레임 포스트(120)는 프레임 포스트(120)의 축 방향으로 이동 조작을 위해 가해지는 힘을 저감시키도록 속이 빈 덕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높이조절부(130)는 높이조절핀(140) 및 위치설정부(150)를 포함한다.
높이조절핀(140)은 프레임 하우징(110)에 축 삽입된 프레임 포스트(120)에 나사 결합되고, 상부 브라켓(30)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길이로 이루어진다. 높이조절핀(140)은 프레임 포스트(120)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로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설정부(150)는 프레임 포스트(120)의 축 방향 이동을 위해 높이조절핀(140)을 프레임 하우징(110)에 위치 고정한 채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위치설정부(150)는 높이조절 하우징(151), 플랜지(152) 및 베어링부재(153)를 포함한다.
높이조절 하우징(151)은 프레임 하우징(110)의 내측에 위치한 채 상부 브라켓(30)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높이조절핀(140)이 상부로 돌출되어 상부 브라켓(30)을 통해 노출되도록 축 삽입된다.
특히, 상부 브라켓(30)은 상판(20)에 결합되고, 높이조절 하우징(151)은 프레임 하우징(110) 또는 상부 브라켓(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물론, 높이조절 하우징(151)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플랜지(152)는 프레임 포스트(120)에 나사 결합되는 높이조절핀(140)을 위치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플랜지(152)는 높이조절핀(140)의 둘레면에 일체로 구비되고, 높이조절 하우징(151)의 내측에 위치한다. 그래서, 높이조절핀(140)은 높이조절 하우징(151)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시 말해서, 플랜지(152)가 높이조절 하우징(151)의 내측에 위치한 채 높이조절핀(140)의 둘레면에 일체로 구비됨에 따라, 높이조절핀(140)은 플랜지(152)에 의해 위치 고정된 채 프레임 포스트(120)의 축 방향 이동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플랜지(152)는 다양하게 형상 변경 가능하고,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베어링부재(153)는 높이조절 하우징(151)의 내측에 위치하는 높이조절핀(140)의 둘레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베어링부재(153)는 높이조절핀(140)이 회전시 높이조절 하우징(151)으로부터 마찰 간섭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베어링부재(153)의 둘레면이 높이조절 하우징(151)의 내측면에 접하게 되고, 높이조절핀(140)은 베어링부재(153)에 의해 회전시 높이조절 하우징(151)과의 마찰이 방지된다.
특히, 높이조절 하우징(151)은 플랜지(152)와 베어링부재(153)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다. 이때, 높이조절 하우징(151)의 공간은 상부 브라켓(30)에 의해 막히게 됨으로써, 플랜지(152)와 베어링부재(153) 및 높이조절핀(140)은 위치 고정된다. 물론, 베어링부재(153)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더욱 상세히, 베어링부재(153)는 상부 브라켓(30)과 플랜지(152) 사이에 위치하도록 높이조절핀(140)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플랜지(152)의 상부 이동을 방지하고, 높이조절핀(140)이 회전시 상부 브라켓(30)과의 마찰 간섭을 방지하는 상측의 베어링부재를 포함한다. 아울러, 베어링부재(153)는 높이조절 하우징(151)의 바닥면과 플랜지(152) 사이에 위치하도록 높이조절핀(140)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플랜지(152)의 하부 이동을 방지하고, 높이조절핀(140)이 회전시 높이조절 하우징(151)으로부터 마찰 간섭이 방지되는 하측의 베어링부재를 포함한다.
한편, 높이조절핀(140)은 상측이 상부 브라켓(30)의 상부로 돌출되는 길이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판(20)은 높이조절핀(140)의 노출을 위해 개구홀(102)을 통공한다. 상부 브라켓(30)의 상부로 돌출되는 높이조절핀(140)은 상판(20)의 개구홀(102)에 삽입된다. 그리고, 개구홀(102)은 상측으로 개방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선 채로 개구홀(102)을 통해 높이조절핀(140)을 회전시키며 상판(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높이조절핀(140)은 렌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강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 포스트(120)가 프레임 하우징(110) 내부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프레임 포스트(120)와 프레임 하우징(110)의 겹쳐지는 부위에는 틈새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 포스트(120)가 흔들릴 수 있기 때문에, 상판(20)이 흔들리게 된다. 이로 인해, 프레임 포스트(120)와 프레임 하우징(110)이 파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설정부(150)는 상단가이드부재(154) 및 하단가이드부재(155)를 더 포함한다.
상단가이드부재(154)는 프레임 하우징(110)에 삽입된 프레임 포스트(120)의 상측에 결합된다. 그래서, 상단가이드부재(154)는 프레임 포스트(120)와 함께 프레임 하우징(110)의 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특히, 상단가이드부재(154)는 프레임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접한 채 이동한다. 이로 인해, 프레임 포스트(120)는 상측의 흔들림이 방지된 채 안정적으로 이동 안내된다. 아울러, 상단가이드부재(154)는 프레임 하우징(110)의 상측과 프레임 포스트(120)의 상측 사이에 위치하는 높이조절핀(140)의 측 방향을 지지함으로써 높이조절핀(140)의 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단가이드부재(154)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하단가이드부재(155)는 프레임 포스트(120)를 하측으로 삽입한 프레임 하우징(110)의 하측 내부에 삽입되게 구비된다. 즉, 하단가이드부재(155)는 프레임 하우징(110)의 하부 내측에 삽입되어, 프레임 하우징(110)과 프레임 포스트(120) 사이에 위치한다.
그래서, 하단가이드부재(155)는 프레임 하우징(110)을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프레임 포스트(1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하단가이드부재(155)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높이조절핀(140)이 프레임 포스트(120)에 나사 결합되는데, 프레임 포스트(120)는 자중을 줄이기 위해 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높이조절핀(140)이 수지 재질이나 목재의 프레임 포스트(120)에 나사 결합시, 프레임 포스트(120)는 나사 결합 부위가 파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 포스트(120)는 높이조절핀(140)과 결합되는 부위가 내구성을 갖도록 높이조절핀(140)이 나사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프레임 플레이트(160)를 상측에 결합할 수 있다. 프레임 플레이트(160)는 프레임 포스트(120)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높이조절핀(140)은 프레임 플레이트(160)에 나사 결합된다. 이때, 프레임 플레이트(16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사용자가 높이조절핀(140)을 지나치게 회전시킬 경우, 높이조절핀(140)은 프레임 포스트(12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프레임 포스트(120)를 높이조절핀(140)에 재결합하기 위해 상판(20)과 프레임 하우징(110)을 들어 올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높이조절핀(140)은 프레임 포스트(120)로부터 완전히 이탈 방지되도록 스토퍼(142)를 구비할 수 있다. 스토퍼(142)는 높이조절핀(140)의 하측에 일체로 구비되고, 프레임 포스트(120)의 외측으로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프레임 포스트(120)의 내측에 위치한다. 편의상, 스토퍼(142)는 프레임 플레이트(160)에 걸려 프레임 포스트(120)로부터 이탈 방지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테이블 20: 상판
30: 상부 브라켓 40: 하부 브라켓
100: 높이 조절장치 110: 프레임 하우징
120: 프레임 포스트 130: 높이조절부
140: 높이조절핀 142: 스토퍼
150: 위치설정부 151: 높이조절 하우징
152: 플랜지 153: 베어링부재
154: 상단가이드부재 155: 하단가이드부재
160: 프레임 플레이트

Claims (9)

  1. 프레임 하우징; 상기 프레임 하우징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프레임 포스트; 및 상기 프레임 하우징에 대해 상기 프레임 포스트의 축 방향 인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프레임 포스트에 나사 결합되는 높이조절핀; 및 상기 프레임 포스트의 축 방향 이동을 위해 상기 높이조절핀을 상기 프레임 하우징에 위치 고정한 채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위치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부 브라켓의 하측에서 위치 고정되도록 상기 높이조절핀의 둘레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플랜지; 및
    상기 상부 브라켓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높이조절핀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의 상부 이동을 방지하고, 상기 높이조절핀이 회전시 상기 상부 브라켓과의 마찰 간섭을 방지하는 상측의 베어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프레임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높이조절핀을 축 삽입하며, 상기 플랜지와 상측의 베어링부재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높이조절 하우징; 및
    상기 높이조절 하우징의 바닥면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높이조절핀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의 하부 이동을 방지하고, 상기 높이조절핀이 회전시 상기 높이조절 하우징으로부터 마찰 간섭이 방지되는 하측의 베어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프레임 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프레임 포스트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 포스트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상기 높이조절핀의 측 방향을 지지하는 상단가이드부재; 및
    상기 프레임 포스트를 하측으로 삽입한 상기 프레임 하우징의 하측 내부에 삽입되어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프레임 포스트를 지지하는 하단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포스트는 상기 높이조절핀과 결합되는 부위가 내구성을 갖도록 상기 높이조절핀이 나사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프레임 플레이트를 상측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장치.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핀은 상기 프레임 포스트로부터 완전히 이탈 방지되도록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장치.
  6. 상판; 상기 상판의 양측 가장자리 각각의 전체에 걸쳐 접함으로써 상기 상판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상판의 하측에 구비되는 상부 브라켓; 상기 상부 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장치; 및 상기 높이 조절장치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장치는, 상기 상부 브라켓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 하우징; 및 상기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상부 브라켓의 상측으로 노출되게 조립되는 높이조절핀; 및 상기 높이조절핀을 상기 프레임 하우징에 위치 고정한 채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위치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상부 브라켓의 하측에서 위치 고정되도록 상기 높이조절핀의 둘레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플랜지; 및
    상기 상부 브라켓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높이조절핀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의 상부 이동을 방지하고, 상기 높이조절핀이 회전시 상기 상부 브라켓과의 마찰 간섭을 방지하는 상측의 베어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프레임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높이조절핀을 축 삽입하며, 상기 플랜지와 상측의 베어링부재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높이조절 하우징; 및
    상기 높이조절 하우징의 바닥면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높이조절핀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의 하부 이동을 방지하고, 상기 높이조절핀이 회전시 상기 높이조절 하우징으로부터 마찰 간섭이 방지되는 하측의 베어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장치는, 상기 높이조절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 하우징에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프레임 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높이조절핀의 노출을 위해 개구홀을 통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KR1020150010827A 2015-01-22 2015-01-22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테이블 KR101539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827A KR101539366B1 (ko) 2015-01-22 2015-01-22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827A KR101539366B1 (ko) 2015-01-22 2015-01-22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9366B1 true KR101539366B1 (ko) 2015-07-27

Family

ID=53875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827A KR101539366B1 (ko) 2015-01-22 2015-01-22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3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353A (ko)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한성교구 높이조절 지주의 흔들림 방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139Y1 (ko) * 2001-08-07 2001-11-22 장근대 책상
KR101434619B1 (ko) * 2013-04-12 2014-08-26 주식회사 코아스 테이블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434278B1 (ko) * 2014-02-26 2014-08-28 김종원 가구용 높낮이 조절형 받침다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139Y1 (ko) * 2001-08-07 2001-11-22 장근대 책상
KR101434619B1 (ko) * 2013-04-12 2014-08-26 주식회사 코아스 테이블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434278B1 (ko) * 2014-02-26 2014-08-28 김종원 가구용 높낮이 조절형 받침다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353A (ko)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한성교구 높이조절 지주의 흔들림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51806A1 (en) Height-adjustable table or desk
US8490555B1 (en) Height adjustable table
KR10170711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JPS60156408A (ja) ワ−クステ−シヨン及び付属品
WO2006111742A1 (en) Improvements to a table
KR101539366B1 (ko)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테이블
US10441072B2 (en) Mobile structure for working with computer equipment couplable to slanting chairs
KR101781619B1 (ko) 책상 각도조절 장치
KR20100056366A (ko) 높낮이 조절장치
KR101434619B1 (ko) 테이블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394645B1 (ko) 승강 테이블
KR200477392Y1 (ko) 각도조절형 독서대가 구비된 책상
US9173483B2 (en) Article of furniture
KR102004866B1 (ko) 상판 유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수직 지주형 절첩식 테이블
KR20180086910A (ko) 낚싯대 받침대의 각도조정장치 및 이를 적용한 좌대
KR20170047600A (ko) 코너 선반
KR101767574B1 (ko) 수평유지수단이 구비된 테이블용 승하강장치
KR101604045B1 (ko) 책걸상 높이 조절장치
KR200336922Y1 (ko) 책상의 상판 각도 조절 구조
KR20050094777A (ko) 높이 조절 책상
KR102292618B1 (ko)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
US9635939B2 (en) Covered sliding operator
KR101483407B1 (ko) 탁자 상판의 각도 조절장치
KR101409995B1 (ko) 승강 테이블
KR101910959B1 (ko) 보조 책상을 구비하는 유아용 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