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946B1 - 보조서랍장에 결합하는 높이 조절 기구 - Google Patents

보조서랍장에 결합하는 높이 조절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946B1
KR101546946B1 KR1020150063771A KR20150063771A KR101546946B1 KR 101546946 B1 KR101546946 B1 KR 101546946B1 KR 1020150063771 A KR1020150063771 A KR 1020150063771A KR 20150063771 A KR20150063771 A KR 20150063771A KR 101546946 B1 KR101546946 B1 KR 101546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plate
bar
coupled
groov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드메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드메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드메탈
Priority to KR1020150063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9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47B85/06Tables convertible otherwi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A47B2009/185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table top and the legs or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보조서랍장에 장착하여 보조서랍장 역할과 더불어 보조책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보조서랍장에 결합하는 높이 조절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조서랍장에 결합하는 하측 가이드부와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가동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상측 가이드부 및 가동 플레이트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로 이루어져 있어, 보조서랍장에 장착하여 보조서랍장의 기능과 더불어 가동 플레이트를 승강시켜 책상의 연장선상에 연결해 보조 책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보조서랍장에서 가동 플레이트를 책상 높이에 맞게 승강시킨 후 사용자의 작업환경에 맞게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여 사용하여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가동 플레이트를 간단하게 각도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보조서랍장에 결합하는 높이 조절 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보조서랍장에 결합하는 높이 조절 기구{A height adjustable device for support drawer}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보조서랍장에 장착하여 보조서랍장 역할과 더불어 보조책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보조서랍장에 결합하는 높이 조절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학교 또는 사무실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 이용하는 것으로 예전에는 대한민국 공개실용 20-1987-0014328호와 같이 책상에 서랍장이 부착된 형태로 출시되었으나 사용자가 책상에 앉은 상태에서 공간 활용이 원활하지 않은 단점 및 책상의 중량이 책상의 이동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4152호와 같이 서랍장 및 책장 사이에 판을 거치하는 형태의 책상이 제안되었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책상은 책장 및 서랍장 사이에 판을 거치하기 때문에 판이 휘어지는 현상이 많이 발생하였으며, 책장 및 서랍장이 필수로 사용되어야만 책상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일 경우 그 활용도가 한정적일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 등의 이유도 최근에는 책상과 서랍장치 분리된 형태의 책상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즉,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09-0002521호와 같이 단순 형태의 책상에 보조서랍장을 개별구성으로 제작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활용도가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 1) KR20-1987-0014328 Y1, 조명등이 부설된 사무용 책상
(특허문헌 2) KR10-1224152 B1, 조명등이 부설된 사무용 책상
(특허문헌 3) KR20-2009-0002521 Y1, 사무용 책상
한편, 상술한 사무용 책상은 가벼운 중량으로 제작 가능하고 보조서랍장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다만, 협소한 공간에 사용시에는 책상의 상판 길이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어 많은 사람들이 보조책상 겸용으로 보조서랍장을 책상의 연장선상에 배치하여 사용하고는 있으나, 보조서랍장은 책상의 내측에 수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책상과의 높이 단차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조서랍장에 결합하는 높이 조절 기구는 보조서랍장에 장착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져 책상의 연장선상에 배치하여 보조책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보조서랍장에 결합하는 높이 조절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작동으로 책상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동 플레이트를 승하강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은 보조서랍장에 장착하여 보조서랍장의 기능과 더불어 가동 플레이트를 승강시켜 책상의 연장선상에 연결해 보조 책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보조서랍장에서 가동 플레이트를 책상 높이에 맞게 승강시킨 후 사용자의 작업환경에 맞게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여 사용하여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기존 보조서랍장을 제작하는 생산라인에서 보조서랍장의 상측 플레이트를 제작하는 공정에서 약간의 변형을 가한 후 나머지 생산라인만을 증축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요소들이 형성되어 기존 생산라인의 일부만 조정하여도 양산이 가능하다.
그리고 가동 플레이트의 승강 및 하강이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가동 플레이트를 간단하게 각도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서랍장에 결합하는 높이 조절 기구의 작동 전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서랍장에 결합하는 높이 조절 기구의 작동 후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의 (a)는 본 발명에서의 하측 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상측 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높이조절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의 작동레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클램핑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의 (a)는 본 발명에서 작동레버를 작동시키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의 (b)는 측면도.
도 10의 (a)는 본 발명에서 작동레버를 작동시킨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의 (b)는 측면도.
도 11의 (a)는 본 발명에서 높이조절수단이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의 (b)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의 가동 플레이트의 각도 조절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보조서랍장(1)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통상적인 책상에서 분리되어 서랍장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통상의 보조서랍장(1)에 형성되어 있는 상측 플레이트(1a)에 하측 가이드부 결합홈(1b)이 양 측면에 대칭된 구조로 형성된 것을 이용한다.
다음으로, 하측 가이드부(10)는 상술한 보조서랍장(1)의 상측 플레이트(1a)에 형성되어 있는 하측 가이드 결합홈(1b)에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도 4에서와 같이 하측 가이드부(10)에는 보조서랍장(1)의 상측 플레이트(1a)에 형성된 하측 가이드부 결합홈(1b)에 볼트(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고정 결합할 수 있는 하측 가이드부 결합부(13)가 형성된다.
이러한, 하측 가이드부(10)는 상측만 개방되고 다른 면은 막힌 직육면체의 박스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제1 공간부(11)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본 발명에서의 하측 가이드부(10)는 우측면(a1), 좌측면(a2), 전면(a3), 후면(a4), 하측면(a5)은 모두 막힌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술한 우측면(a1) 및 좌측면(a2)에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장공형태의 제1 이동홀(12)이 전, 후면 부분에 대칭된 구조로 2개소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이동홀(12)은 중앙부분에서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측 가이드부(10)는 보조서랍장(1)의 상측 플레이트(1a) 양 측면에 형성된 하측 가이드부 결합홈(1b)에 대칭된 구조로 2개소가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측 가이드부(20)는 상술한 보조서랍장(1)의 상측 플레이트(1a)의 상측에 배치되는 가동 플레이트(2)의 양 측면에 형성된 상측 가이드 결합홈(2a)에 결합하는 구성으로서 하측 가이드부(1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에서와 같이 상측 가이드부(20)는 상술한 가동 플레이트(2)의 상측 가이드부 결홈(2a)에 볼트(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결합하기 위해 상측 가이드부 결합부(26)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측 가이드부(20)는 하측만 개방되고 다른 면은 막힌 직육면체의 박스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제2 공간부(21)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본 발명에서의 상측 가이드부(20)는 우측면(b1), 좌측면(b2), 전면(b3), 후면(b4), 상측면(b5)은 모두 믹힌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술한 우측면(b1) 또는 좌측면(b2)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장공형태의 제2 이동홀(22)이 좌, 우측면(b1, b2)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 우측면(b1, b2)에 형성된 제2 이동홀(22)의 상측으로는 요홈(23a)과 요철(23b)이 일정한 패턴으로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1 패턴부(2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 이동홀(22)이 형성된 반대측의 측면에는 전면(b1)의 일부와 상측면(b5)의 일부가 타공되어 형성되는 작동레버 결합홈(25)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높이조절부(30)는 상술한 하측 가이드부(10) 및 상측 가이드부(2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모두에 결합함으로써 가동 플레이트(2)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높이조절부(30)는 도 6에서와 같이 서로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진 제1바(31)와 제2바(32)가 대략 x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제1,2바(31, 32)의 대략 중간 부분에는 제1,2바(31, 32)가 가동될 수 있도록 힌지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바(31)는 상술한 하측 가이드부(1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이동홀(12)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1 이동홀(12) 내에서만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바용 하측 결합돌기(31a)가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타측으로는 상측 가이드부(20)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이동홀(22)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2 이동홀(22) 내에서만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바용 상측 결합돌기(31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제1바용 하측 결합돌기(31a) 및 제1바용 상측 결합돌기(31b)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축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바(32)는 상술한 제1바(31)와 유사하게 일측으로는 하측 가이드부(10)에 형성된 제1 이동홀(12)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바용 하측 결합돌기(32a)가 형성되어 있고, 상측 가이드부(20)에 형성된 제2 이동홀(22)에서만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바용 상측 결합돌기(32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2바(31, 3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략 중앙부분에 힌지부(33)가 결합되어 이 힌지부(33)의 힌지(33a)를 중심으로 제1,2바(31, 32)가 상, 하측 가이드부(10, 20)에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가동 플레이트(2)를 승하강시키도록 작동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높이조절부(30)의 제1,2바(31, 32) 중 어느 하나의 바에는 바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장공형태로 이루어진 각도조절 가이드 홈(31c) 및 각도조절 가이드홈(31c)보다 더 큰 직경을 형성한 다수의 각도조절홈(3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힌지부(33)의 양 단에는 힌지(33a)보다 더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각도조절용 힌지캡(33c)과 이 각도조절용 힌지캡(33c)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부 스프링(33b)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각도조절 가이드홈(31c)은 힌지부(33)의 힌지(33a)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각도조절홈(31d)은 각도조절용 힌지캡(33c)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특히, 상술한 힌지부 스프링(33b)은 힌지부(33)의 힌지(33a) 및 각도조절용 힌지캡(33c)에 각각 연결되어 각도조절용 힌지캡(33c)을 잡아 당기면 힌지(33a)에서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이동되다가 가한 힘을 제거하였을 때에 힌지부 스프링(33b)의 탄성력에 의해 최초의 자리로 복귀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작동레버(40)는 상측 가이드부(20)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레버 결합홈(25)에 결합하는 구성으로서, 도 7에서와 같이 일측으로는 작동레버(4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손잡이(41)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는 작동레버 결합홈(25)에 결합되는 쐐기 형상의 작동레버 걸림턱(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 손잡이(41)의 타측에는 쐐기 형상의 작동홈(43)이 서로 대칭된 구조로 2개소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클램핑부(50)는 상술한 작동레버(40)에 의해 가동하는 구성으로서, 상측 가이드부(20)의 제2 공간부(21) 내에서 작동레버(40)의 전, 후면에 2개소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클램핑부(50)는 도 8에서와 같이 상측 가이드부(20)에 형성되어 있는 클램핑부 결합홀(24)에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축(5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축(51)에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제2 패턴부(53)가 구성되며, 상기 결합축(51)의 외측에 결합하되 일측은 상측 가이드부(20)의 클램핑부 결합홀(24)이 형성된 면에 맞닿고, 타측은 제2 패턴부(53)의 일측에 맞닿아 탄성력이 형성되는 스프링(S)이 결합되어 스프링(S)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제2 패턴부(53)는 상측 가이드부(2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패턴부(23)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요철(53a)과 제2 요홈(53b)이 일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2 패턴부(53) 중 결합부(51)의 반대편 면에는 작동레버(40)에 형성되어 있는 쐐기 형상의 작동홈(43)과 대응하는 쐐기 형상의 작동턱(54)이 형성되어 작동레버(40)의 작동시 클램핑부(50)가 가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보조서랍장에 결합하는 높이 조절 기구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보조서랍장에 결합하는 높이 조절 기구(100)는 통상의 보조서랍장(1)에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보조서랍장(1)의 역할을 수행하다가 책상의 높이로 가동 플레이트(2)를 승강시켜 책상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우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조서랍장(1)의 상측 플레이트(1a) 상측면에 가동 플레이트(2)의 하측면이 맞닿아 있는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는 도 1 또는 도 9에서 도시된 것 평상시와 같이 보조서랍장(1)으로만 이용하게 된다.
이때에, 높이조절부(30)의 제1,2바(31, 32)는 하측 가이드부(10) 및 상측 가이드부(20)에 형성된 제1, 2 이동홀(12, 22)의 양 끝단에 각각의 결합돌기(31a, 31b, 32a, 32b)이 배치되며, 클램핑부(50)는 결합축(51) 외측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S)에 의해 탄성력이 작용하여 상측 가이드부(20)를 구성하는 제1 패턴부(23)의 제1 요철(23a)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클램핑부(50)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패턴부(53)의 제2 요철(53a)이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가동 플레이트(2)의 자중에 의해 높이조절부(30)의 제1바(31)에 형성되어 있는 제1바용 상측 결합돌기(31b)와 제2바(32)에 형성되어 있는 제2바용 상측 결합돌기(32b)는 제1, 2 패턴부(23, 53)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제1, 2 요홈(231b, 53b) 중 전, 후면 방향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제1, 2 요홈(23b, 53b)에 안착된다.
또한, 작동레버(40)는 클램핑부(50)의 스프링(S)의 탄성력이 전,후면 방향에서 중앙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클램핑부(50)의 작동턱(54)이 작동레버(40)의 작동홈(43)에 힘을 가하여 작동레버(40)의 작동손잡이(41) 부분이 상측 가이드부(20)의 측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작용한다.
특히, 상, 하측 가이드부(20)의 우측면(a1, b1)에 형성된 반원 형태의 제1, 2 힌지부 고정호(h1, h2)에 높이조절부(30)의 힌지부(33)가 결합되어 가동 플레이트(2)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작용한다.
한편, 사용자가 보조서랍장(1)을 책상 높이로 승강시켜 보조 책상으로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0에서와 같이 가동 플레이트(2) 양 단에 결합되어 있는 작동레버(40)의 작동손잡이(41)를 중앙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그러면, 작동레버(40)는 외력에 의해 중앙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작동레버(40)의 작동에 의해 작동레버(40)의 전, 후측에 형성되어 있던 클램핑부(50)는 쐐기 형상의 작동홈(43)의 가동에 의해 각각 전, 후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클랭핑부(50)의 작동시 결합축(51) 외측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S)은 압축력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클랭핑부(50)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면, 클램핑부(50)의 제2 패턴부(53)도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상측 가이드부(20)의 제1 패턴부(23)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요철(23a)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던 제2 패턴부(53)의 제2 요철(53a)이 제1 요홈(23b)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1, 2 패턴부(23, 53)의 제1, 2 요철(23a, 53a) 및 제1, 2 요홈(23b, 53b)이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에, 제1, 2 요철(23a, 53a)에 삽입되어 고정되었던 높이조절부(50)에 형성된 제1,2바(31, 32)의 제1바용 상측 결합돌기(31b) 및 제2바용 상측 결합돌기(32b)는 클램핑부(50)의 제2 패턴부(53)의 작동에 의해 상측 가이드부(20)의 제2 이동홀(22)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가동 플레이트(2)의 고정력이 해제되어 가동 플레이트(2)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제1,2바(31, 32)의 제1바용 상측 결합돌기(31b) 및 제2바용 상측 결합돌기(32b)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만큼 상측 가이드부(20)의 제2 이동홀(22) 및 그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패턴부(23)의 단차만큼 가동 플레이트(2)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따라서, 상, 하측 가이드부(10, 20)에 형성되어 있던 제1, 2 힌지부 고정홀(h1, h2)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높이조절부(30)의 힌지부(33)부 승강하여 고정력이 완전히 해제가 됨으로써 사용자가 가동 플레이트(2)를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1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작동레버(40)에 지속적으로 힘을 가한 상태에서 가동 플레이트(2)를 들게되면 높이조절부(30)의 제1,2바(31, 32)는 힌지부(33)를 중심으로 각도가 변화하게 되면서 가동 플레이트(2)가 움직이게 된다.
이때에, 상기 높이조절부(30)의 제1,2바(31, 32)는 양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1,2바용 상, 하측 결합돌기(31a, 31b, 32a, 32b)가 각각 상, 하측 가이드부(10, 20)의 제1, 2 이동홀(12, 22)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전, 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가동 플레이트(2)를 수평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게 작용한다.
한편,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가동 플레이트(2)를 승강시킨 후에는 작동레버(40)의 작동 손잡이(41)에 가했던 힘을 해제시키게 되며, 클램핑부(50)의 결합축(51)에 결합된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클램핑부(50)가 작동레버(4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측 가이드부(20)에 형성된 제1 패턴부(23)의 제1 요철(23a)이 배치된 위치에 제2 패턴부(53)의 제2 요철(53a)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동 플레이트(2)를 상, 하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시키게 되면, 제1,2바(31, 32)에 형성된 제1, 2바용 상측 결합돌기(31b, 32b)가 제1, 2 패턴부(23, 53)에 형성되어 있는 제1, 2 요홈(23b, 53b)에 안착되어 원하는 위치로 가동 플레이트(2)를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동 플레이트(2)를 승강시킨 상태에서 최초의 자리로 하강시킬 경우에는 작동레버(40)를 중앙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누른 후에 가동 플레이트(2)를 보조서랍장(1)의 상측 플레이트(1a) 방향으로 하강시키게 되면 된다.
이때에, 하측 가이드수단(10)의 제1 이동홀(12)은 중앙에서 전, 후면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되는 사선형태의 장공홈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플레이트(2)의 자중에 의해 손쉽게 최초의 자리로 복귀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 보조서랍장(1)의 상측 플레이트(1a) 일부를 개조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을 제작한 후 이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쉽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특정 구성들의 망실시에도 간단히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특히, 가동 플레이트(2)의 고정 및 고정해제 작업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보조서랍장(1)의 특성상 다양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책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본 발명을 배치하여 보조 책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수평을 유지한 상태의 가동 플레이트(2)를 간단한 구성을 통해 일정 각도로 기울기를 형성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높이조절부(30)를 구성하고 있는 제1,2바(31, 32) 중 제1바(31)에는 힌지부(33)에 형성된 힌지(33a)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진 장공형태의 각도조절용 가이드홈(31c) 및 각도조절용 가이드홈(31c) 보다 더 큰 크기로 형성된 다수의 각도조절홈(31d)을 형성하고, 힌지부(33) 중 힌지(33a)의 양단에는 각도조절홈(31d)에 고정 결합할 수 있는 각도조절용 힌지캡(333c) 및 이에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는 힌지부 스프링(33b)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동 플레이트(2)를 기울여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힌지부(33)의 힌지(33a) 양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각도조절용 힌지캡(33c)을 잡아당기게되면 각도조절용 힌지캡(33c)이 각도조절홀(31d)에서 탈착된다.
그런 후, 도 12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가동 플레이트(2)를 기울이게 되면, 제2바(32) 및 이에 결합되어 있는 힌지부(33)의 힌지(33a)가 제1바(31)의 각도조절용 가이드홈(31c)에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동 플레이트(2)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킨 후 각도조절용 힌지캡(33c)에서 힘을 제거하게 되면 힌지부 스프링(33b)에 의해 각도조절용 힌지캡(33c)이 다수의 각도조절홈(31d)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삽입되어 가동 플레이트(2)에 기울기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각도조절 기능은 사용자가 책을 보거나 또는 그림을 그릴때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 당연한 것이다.
1 : 보조서랍장 1a : 상측 플레이트 1b : 하측 가이드부 결합홈
2 : 가동 플레이트 2a : 상측 가이드 결합홈
10 : 하측 가이드부
11 : 제1 공간부 12 : 제1 이동홀
a1 : 우측면 a2 : 좌측면 a3 : 전면 a4 : 후면 a5 : 하측면
13 : 하측 가이드부 결합부 h1 : 제1 힌지부 고정홀
20 : 상측 가이드부
21 : 제2 공간부 22 : 제2 이동홀
23 : 제1 패턴부 23a : 제1 요철 23b : 제1 요홈
24 : 클램핑부 결합홀 25 : 작동레버 결합홈
b1 : 우측면 b2 : 좌측면 b3 : 전면 b4 : 후면 b5 : 상측면
26 : 상측 가이드부 결합부 h2 : 제2 힌지부 고정홀
30 : 높이조절부
31 : 제1바 31a : 제1바용 하측 결합돌기 31b : 제1바용 상측 결합돌기
31c : 각도조절용 가이드 홈 31d : 각도조절홈
32 : 제2바 32a : 제2바용 하측 결합돌기 32b : 제2바용 상측 결합돌기
33 : 힌지부 33a : 힌지 33b : 힌지부 스프링 33c : 각도조절용 힌지캡
40 : 작동레버
41 : 작동 손잡이 42 : 작동레버 걸림턱 43 : 작동홈
50 : 클램핑부
51 : 결합축 S : 스프링
53 : 제2 패턴부 53a : 제2 요철 53b : 제2 요홈
54 : 작동턱
100 : 보조서랍장의 높이조절장치

Claims (4)

  1. 보조서랍장(1) 상측에 형성된 상측 플레이트(1a)의 하측 가이드부 결합홈(1b)에 결합하되, 상측만 개방되어 내측에 제1 공간부(11)가 형성되는 박스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양 측면(a1, a2)의 전, 후측 단부에는 중앙에서 전, 후면(a3, a4)으로 갈수록 대각선 형상으로 하향하여 타공된 장공형태로 이루어진 제1 이동홀(12)이 형성되어 있는 하측 가이드부(10);
    상기 보조서랍장(1)의 상측 플레이트 상측에 배치되는 가동 플레이트(2)에 형성된 상측 가이드 결합홈(2a)에 결합하며, 하측만 개방되어 내측에 제2 공간부(21)가 형성되는 박스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양 측면(b1, b2)의 전, 후측 단부에는 장공형태의 제2 이동홀(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이동홀(22)의 상측으로 제1 요철(23a)과 제1 요홈(23b)이 일정한 패턴으로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제1 패턴부(23)가 형성되고, 전면(b3)과 후면(b4)에 형성된 클램핑부 결합홀(24)과 상측면(b5)과 우측면(b1)에 타공되어 형성되는 작동레버 결합홈(25)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상측 가이드부(20);
    상기 하측 가이드부(10) 및 상측 가이드부(20)에 결합하는 제1, 2바(31, 32)가 x자 형태로 배치되며, 제1,2바(31, 32)의 중앙 부분에 결합하여 제1,2바(31, 32)가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힌지(33a)를 포함하는 힌지부(33)가 형성되되,
    상기 제1바(31)는 일측으로 상기 하측 가이드부(10)에 형성된 제1 이동홀(12)에 결합하는 제1바용 하측 결합돌기(31a)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상측 가이드부(20)에 형성된 제2 이동홀(22)에 결합하는 제1바용 상측 결합돌기(31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2바(32)는 일측으로 상기 하측 가이드부(10)에 형성된 제1 이동홀(12)에 결합하는 제2바용 하측 결합돌기(32a)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상측 가이드부(20)에 형성된 제2 이동홀(22)에 결합하는 제2바용 상측 결합돌기(32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하측 가이드부(10) 및 상측 가이드부(20)에 의해 가이드 되어 가동 플레이트(2)를 승하강 시키는 높이조절부(30);
    상기 상측 가이드부(20)의 작동레버 결합홈(25)에 결합되되, 일측으로는 작동 손잡이(41)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작동레버 걸림턱(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작동 손잡이(41)의 타측에는 2개소가 서로 대칭된 구조로 이루어진 쐐기 형상의 작동홈(43)이 형성되어 있는 작동레버(40);
    상기 상측 가이드부(20)에 형성된 제2 공간부(21) 내에 배치되어 일측은 클램핑부 결합홀(24)에 고정 결합되되 외측으로 스프링(S)이 결합되어 있는 결합축(51)과 상기 결합축(51)에서 연장되어 상측 가이드부(2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패턴부(23)와 동일한 형태의 제2 요철(53a)과 제2 요홈(53b)을 포함하는 제2 패턴부(53)와 상기 제2 패턴부(53)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작동레버(40)의 작동홈(43)에 대응하는 쐐기형상의 작동턱(54)으로 이루어진 클램핑부(50);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보조서랍장에 결합하는 높이 조절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50)의 제2 패턴부(53)에 형성된 제2 요철(53a)과 제2 요홈(53b)은 평상시에는 상측 가이드부(2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패턴부(23)의 제1 요철(23a), 제2 요홈(23b)과 각각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다가, 작동레버(40)를 작동하였을 때에는 작동레버(40)의 작동홈(43)에 의해 클램핑부(50)가 이동하여 상측 가이드부(20)의 제1 패턴부(23)에 형성된 제1 요철(23a) 위치에 클램핑부(50)의 제2 패턴부(53)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요홈(53b)이 배치되며, 작동레버(40) 작동 이후 외력이 제거된 상태일 경우에는 클램핑부(50)의 결합축(51)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S)에 의해 클램핑부(50) 및 작동레버(40)가 최초의 자리로 복귀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보조서랍장에 결합하는 높이 조절 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가이드부(10)의 전면(a1)과 상측 가이드부(20)의 전면(b1)에는 가동 플레이트(2)의 최대 하강시 높이조절부(30)의 힌지부(33)가 안착되어 가동 플레이트(2)를 고정시키기 위한 반원 형태의 제1, 2 힌지부 고정홀(h1, h2)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보조서랍장에 결합하는 높이 조절 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30)의 의 제1,2바(31, 32) 중 어느 하나의 바에는 바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각도조절 가이드 홈(31c) 및 다수의 각도조절홈(31d)이 형성되고, 힌지부(33)의 양 단에는 힌지부 스프링(33b)에 의해 탄성력을 부가 받는 각도조절용 힌지캡(33c)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보조서랍장에 결합하는 높이 조절 기구.
KR1020150063771A 2015-05-07 2015-05-07 보조서랍장에 결합하는 높이 조절 기구 KR101546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771A KR101546946B1 (ko) 2015-05-07 2015-05-07 보조서랍장에 결합하는 높이 조절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771A KR101546946B1 (ko) 2015-05-07 2015-05-07 보조서랍장에 결합하는 높이 조절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946B1 true KR101546946B1 (ko) 2015-08-25

Family

ID=54061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771A KR101546946B1 (ko) 2015-05-07 2015-05-07 보조서랍장에 결합하는 높이 조절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9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166B1 (ko) 2018-11-07 2019-05-24 이승철 높이조절이 가능한 인출식 보조책상
KR20200120270A (ko) 2019-04-12 2020-10-21 주식회사 주경 상판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다용도 수납가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4673A (ja) * 2012-06-22 2014-01-16 Nakai Mokko:Kk 交叉リンク昇降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4673A (ja) * 2012-06-22 2014-01-16 Nakai Mokko:Kk 交叉リンク昇降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166B1 (ko) 2018-11-07 2019-05-24 이승철 높이조절이 가능한 인출식 보조책상
KR20200120270A (ko) 2019-04-12 2020-10-21 주식회사 주경 상판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다용도 수납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134B1 (ko)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EP3254890B1 (en) Manual typ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and vehicle seat comprising the same
CA2495156A1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 chair
US4714028A (en) Height adjustable table
KR101546946B1 (ko) 보조서랍장에 결합하는 높이 조절 기구
TWI536837B (zh) 顯示器高度調節裝置
KR101104214B1 (ko) 의자의 등판높이 조절장치
KR20130045407A (ko) 의자 팔걸이 조정 장치
KR102092146B1 (ko) 책상 또는 걸상에 사용되는 높이조절장치
US7681845B1 (en) Supporting stand having lifting and positioning means
US6467739B1 (en) Adjustable device for adjusting length of foldable table leg
KR101546942B1 (ko) 보조책상 겸용 보조서랍장
JP2006296631A (ja) 昇降テーブル
US20140009745A1 (en) Adjustable supporting mechanism and projector therewith
KR200394565Y1 (ko)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KR101321016B1 (ko) 태블릿 pc의 거치고정장치
KR100608273B1 (ko) 수강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KR101265898B1 (ko) 가변식 요추받침 장치를 갖는 의자 등받이
CA2411986C (en) Armrest support
KR200442728Y1 (ko) 책걸상의 높이 조절구
JP5485531B2 (ja) 椅子
CA2427128C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n infant support structure
KR20080003591A (ko)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0279957B1 (ko) 다리미판의 높이 조절장치
KR200401454Y1 (ko) 키보드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