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778B1 - 건설기계 - Google Patents

건설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778B1
KR102333778B1 KR1020167028225A KR20167028225A KR102333778B1 KR 102333778 B1 KR102333778 B1 KR 102333778B1 KR 1020167028225 A KR1020167028225 A KR 1020167028225A KR 20167028225 A KR20167028225 A KR 20167028225A KR 102333778 B1 KR102333778 B1 KR 102333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ed
image
captured
displa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6698A (ko
Inventor
타케야 이즈미카와
타쿠로우 도이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6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1Surveying the work-site to be tre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0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2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 B60R1/28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n adjustable field of view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7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 of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6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monitoring and displaying vehicle exterior scenes from a transformed perspective
    • B60R2300/607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monitoring and displaying vehicle exterior scenes from a transformed perspective from a bird's eye viewp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vehicle exterior blind spot view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02F3/43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 E02F3/435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for dipper-arms, backho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간편한 조작으로 표시장치에 원하는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한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주행동작을 행하는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선회체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운전실과,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복수의 촬상장치와, 상기 운전실에 탑재되며, 운전상태에 관한 운전정보와, 상기 복수의 촬상장치에 의하여 촬상된 촬상화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상을 동시에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갖고, 상기 표시장치는, 단일의 전환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운전정보의 표시위치 및 표시하는 촬상화상 중 적어도 일방이 전환되는 건설기계이다.

Description

건설기계{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건설기계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연료의 잔량, 수온, 유온, 누적가동시간과 같은 차량정보나, 차체에 탑재되어 있는 카메라에 의하여 촬상된 주변화상 등을 표시하는 표시장치가 운전실에 설치된 건설기계가 실용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건설기계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전환스위치가 운전자에 의하여 조작됨으로써,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화상이, 차량정보와 주변화상의 사이에서 전환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55274호
상기한 바와 같은 표시장치를 갖는 건설기계에 복수의 카메라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표시장치에 표시되고 있는 주변화상을 다른 카메라에 의하여 촬상된 주변화상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표시전환스위치와는 별도로 카메라전환스위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운전자가 원하는 정보 또는 주변화상을 표시장치에 표시시키기 위해서는, 표시전환스위치 및 카메라전환스위치의 양방을 이용한 번거로운 조작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간편한 조작으로 표시장치에 원하는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한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건설기계에 의하면, 주행동작을 행하는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선회체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운전실과,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복수의 촬상장치와, 상기 운전실에 탑재되며, 운전상태에 관한 운전정보와, 상기 복수의 촬상장치에 의하여 촬상된 촬상화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상을 동시에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갖고, 상기 표시장치는, 단일의 전환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운전정보의 표시위치 및 표시하는 촬상화상 중 적어도 일방이 전환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간편한 조작으로 표시장치에 원하는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한 건설기계가 제공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을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쇼벨의 구동계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부선회체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부선회체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쇼벨의 컨트롤러와 표시장치의 접속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운전석 및 운전석 주변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운전석의 콘솔을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화상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표시화면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9는 화상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표시화면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10은 화상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표시화면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11은 화상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표시화면을 예시하는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구성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100)의 측면도이다. 쇼벨(100)의 주행동작을 행하는 하부주행체(1)에는, 선회기구(2)를 통하여 상부선회체(3)가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어 있다. 상부선회체(3)에는, 붐(4)이 장착되어 있다. 또, 붐(4)의 선단에는 암(5)이 장착되며, 암(5)의 선단에는 버킷(6)이 장착되어 있다. 붐(4), 암(5), 버킷(6)은, 어태치먼트를 구성하고,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및 버킷실린더(9)에 의하여 각각 유압구동된다. 상부선회체(3)에는, 캐빈(운전실)(10)이 마련되며, 또 내연기관인 엔진 등의 동력원이 탑재되어 있다. 캐빈(10)에는 운전석이 마련되어 있고, 운전자는 운전석에 착석하면서 쇼벨(100)을 조작한다. 상부선회체(3)에는, 캐빈(10)의 반대측에 카운터웨이트(13)가 마련되어 있다.
또, 하부주행체(1)의 방향은, 상부선회체(3)의 방향에 관계없이, 아이들러가 배치되어 있는 쪽이 전방이 되고, 주행용 유압모터가 배치되어 있는 쪽이 후방이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주행용 레버를 캐빈(10)의 전방으로 기울이면, 어태치먼트가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더라도, 하부주행체(1)는 화살표 AR1의 방향으로 진행된다. 다만, 도 1에서는 아이들러(1Bx)(좌측용) 및 주행용 유압모터(1B)(좌측용)가 보이고 있지만 아이들러(우측용) 및 주행용 유압모터(우측용)는 보이지 않는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쇼벨(100)의 구동계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있어서, 기계적 동력계는 이중선, 고압유압라인은 굵은 실선, 파일럿라인은 파선(破線), 전기제어계는 가는 실선으로 각각 나타나 있다.
쇼벨(100)의 구동계는, 상부선회체(3)에 탑재되며, 엔진(11), 메인펌프(14), 파일럿펌프(15), 컨트롤밸브(17), 조작장치(26), 컨트롤러(30), 엔진제어장치(ECU)(74)를 갖는다.
엔진(11)은, 쇼벨(100)의 구동원이며, 예를 들면, 소정의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동작하는 디젤엔진이다. 엔진(11)의 출력축은 메인펌프(14) 및 파일럿펌프(15)의 입력축에 접속된다.
메인펌프(14)는, 고압유압라인을 통하여 작동유를 컨트롤밸브(17)에 공급하는 유압펌프이며, 예를 들면, 사판(斜板)식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이다. 파일럿펌프(15)는, 파일럿라인(25)을 통하여 각종 유압제어기기에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유압펌프이고, 예를 들면, 고정용량형 유압펌프이다.
컨트롤밸브(17)는, 쇼벨(100)에 있어서의 유압시스템을 제어하는 유압제어밸브이다. 컨트롤밸브(17)는, 예를 들면,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버킷실린더(9), 주행용 유압모터(1A)(우측용), 주행용 유압모터(1B)(좌측용) 및 선회용 유압모터(2A) 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하여, 메인펌프(14)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버킷실린더(9), 주행용 유압모터(1A)(우측용), 주행용 유압모터(1B)(좌측용), 선회용 유압모터(2A)를 집합적으로 “유압액추에이터”라고 칭한다.
조작장치(26)는, 운전자가 유압액추에이터의 조작을 위하여 이용하는 장치이며, 캐빈(10) 내에 배치된다. 또, 조작장치(26)는, 파일럿라인(25)을 통하여, 파일럿펌프(15)로부터 공급된 작동유를 유압액추에이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유량제어밸브의 파일럿포트에 공급한다. 다만, 파일럿포트의 각각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압력은, 유압액추에이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조작레버(26A~26C) 등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른 압력이 된다. 다만, 조작레버(26C)는, 주행용 레버이다.
컨트롤러(30)는, 쇼벨(1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이며, 예를 들면, CPU, RAM, ROM 등을 구비한 컴퓨터로 구성된다. 컨트롤러(30)의 CPU는, 쇼벨(100)의 동작이나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ROM으로부터 독출하여 RAM에 로드하면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엔진제어장치(ECU)(74)는, 엔진(11)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ECU(74)는, 엔진(11)의 상태를 나타내는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컨트롤러(30)에 송신한다. 다만, 도 2에서는, ECU(74)와 컨트롤러(30)를 별개의 구성으로 했지만, ECU(74)와 컨트롤러(30)를 일체적으로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ECU(74)는, 컨트롤러(30)에 통합되어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을 갖는 쇼벨(100)에 있어서, 운전자에 의한 쇼벨(100)의 운전을 보조하기 위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화상표시장치가 운전석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화상표시장치의 화상표시부에는, 쇼벨(100)의 운전상태에 관한 운전정보나, 촬상장치에 의하여 촬상된 쇼벨(100)의 주변화상 등이 표시되어, 운전자는 각종 정보나 주위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운전자는, 화상표시장치에 마련되어 있는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정보나 지령을 쇼벨(100)의 컨트롤러(30)에 입력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부선회체(3)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또, 도 4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부선회체(3)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화상표시장치(40)는, 화상표시부(41) 및 조작부(42)를 갖고, 운전석(60)을 갖는 캐빈(10)의 프레임(필러)(10a)에 고정되어 마련되어 있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표시부(41)와 조작부(42)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지만, 화상표시부(41)와 조작부(42)가 별체로서 구성되며, 각각 상이한 위치에 마련되어도 된다.
다만, 일반적으로는, 운전석(60)에 착석한 운전자로부터 보아 우측에 붐(4)이 배치되어 있으며, 운전자는 붐(4)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는 암(5)이나 버킷(6)을 보면서 쇼벨(100)을 운전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운전자가 암(5)이나 버킷(6)의 조작을 행하면서 화상표시장치(40)를 확인할 수 있도록, 붐(4)이 마련되어 있는 우측의 프레임(10a)에 화상표시장치(40)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화상표시장치(40)는, 작업을 실행하는 운전자의 시야에 들어가기 쉬운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시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운전석 근방에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또, 상부선회체(3)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11) 등을 덮는 커버(3a) 위에, 쇼벨(100)의 주위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장치(80)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상장치(80)로서, 카운터웨이트(13)의 방향을 촬상하는 후방 감시카메라(카운터웨이트 감시카메라)(80B), 좌측방 감시카메라(80L) 및 우측방 감시카메라(80R)가 마련되어 있다. 다만, 촬상장치(80)는, 1개 이상 마련되어 있으면 되고, 수 및 설치위치 등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시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쇼벨(100)의 컨트롤러(30)와 화상표시장치(40)의 접속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화상표시장치(40)는, 예를 들면, Controller Area Network(CAN), Local Interconnect Network(LIN) 등의 통신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트롤러(30)에 접속되어 있다. 또, 화상표시장치(40)는, 예를 들면 전용선을 통하여 촬상장치(80)에 접속되어 있다. 다만, 화상표시장치(40)는, 전용선을 통하여 컨트롤러(30)에 접속되어도 된다.
화상표시장치(40)는, 화상표시부(41) 상에 표시되는 화상을 생성하는 변환처리부(40a)를 갖는다. 변환처리부(40a)에는, 촬상장치(80)(후방 감시카메라(80B), 좌측방 감시카메라(80L) 및 우측방 감시카메라(80R))로부터 출력되는 화상데이터가 입력된다. 또, 변환처리부(40a)에는, 예를 들면, 엔진냉각수의 온도를 나타내는 데이터, 작동유의 온도를 나타내는 데이터, 연료의 잔량을 나타내는 데이터, 연비정보 등이 컨트롤러(30)로부터 입력된다.
변환처리부(40a)는, 촬상장치(80)로부터의 화상데이터 및 컨트롤러(30)로부터의 각종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표시장치(40)의 화상표시부(41)에 표시시키는 화상신호를 생성한다. 화상표시부(41)는, 변환처리부(40a)에 의하여 생성된 화상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다만, 변환처리부(40a)는, 화상표시장치(40)가 갖는 기능으로서가 아니라, 컨트롤러(30)가 갖는 기능으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이 경우, 촬상장치(80)는, 컨트롤러(30)에 접속된다.
또, 화상표시장치(40)는, 각종 하드웨어스위치를 갖는 조작부(42)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부(42)에는, 메뉴스위치(42a), 카메라스위치(42b), 가동시간표시 전환스위치(42c), 조작스위치(42d), 주행모드스위치(42e), 엔진 후처리스위치(42f), 어태치먼트 전환스위치(42g)가 마련되어 있다.
메뉴스위치(42a)는, 화상표시부(41)에 메뉴화면을 표시시키는 스위치이다. 메뉴화면은, 쇼벨(100)에 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운전자에 의한 각종 파라미터 등의 설정변경 등의 조작을 접수하는 화면이다. 카메라스위치(42b)는, 화상표시부(41)에, 컨트롤러(30)로부터의 각종 데이터 및 촬상장치(80)로부터의 촬상화상을 표시시키는 스위치이며, 또한, 화상표시부(41)에 표시시키는 화상구성을 전환하는 스위치이다.
화상표시부(41)에 메뉴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 카메라스위치(42b)가 눌리면,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화상이, 운전상태에 관한 운전정보와, 촬상장치(80)에 의하여 촬상된 촬상화상을 포함하는 화상으로 전환된다. 또, 화상표시부(41)에 운전정보 및 촬상장치(80)의 촬상화상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 카메라스위치(42b)가 눌리면, 운전정보의 표시위치 및 표시하는 촬상화상 중 적어도 일방이 전환된다.
가동시간표시 전환스위치(42c)는,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가동시간정보를 전환하는 스위치이다. 화상표시부(41)에는, 쇼벨(100)의 생애가동시간 및 구간가동시간 중 어느 하나 또는 양방이 운전정보로서 표시된다. 또, 화상표시부(41)에는 가동시간정보에 대응하는 연비정보가 운전정보로서 표시된다. 예를 들면, 생애가동시간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는, 생애가동시간과 함께 연비정보로서 생애평균연비가 표시되며, 구간가동시간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는, 구간가동시간과 함께 연비정보로서 구간평균연비가 표시된다.
가동시간표시 전환스위치(42c)가 눌리면,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가동시간정보가, 연비정보와 함께 전환된다. 예를 들면, 화상표시부(41)에 생애가동시간 및 생애평균연비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가동시간표시 전환스위치(42c)가 눌리면, 표시되는 정보가 구간가동시간 및 구간평균연비로 전환된다. 또, 예를 들면, 화상표시부(41)에 구간가동시간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가동시간표시 전환스위치(42c)가 눌리면, 표시되는 정보가 생애가동시간 및 생애평균연비로 전환된다.
혹은, 예를 들면, 화상표시부(41)에 생애가동시간 및 구간가동시간 중 일방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가동시간표시 전환스위치(42c)가 눌리면, 화상표시부(41)에 생애가동시간, 생애평균연비, 구간가동시간 및 구간평균연비가 모두 표시되도록 전환되어도 된다.
여기에서, 생애가동시간이란, 쇼벨(100)의 제조 후 전체기간에 있어서의 누적가동시간이며, 생애평균연비란, 제조 후 전체기간에 있어서의 평균연비이다. 또, 구간가동시간이란, 예를 들면 가동시간 등의 카운트가 운전자에 의하여 리스타트되고 나서의 기간에 있어서의 누적가동시간이며, 구간평균연비란, 리스타트되고 나서의 기간에 있어서의 평균연비이다.
조작스위치(42d)는, 상하좌우로 분할된 4개의 스위치로 구성되며, 상측 스위치는 와이퍼스위치, 우측 스위치는 라이트스위치, 좌측 스위치는 와셔스위치, 하측 스위치는 엔진제어스위치이다. 와이퍼스위치는, 와이퍼의 작동·정지를 전환하는 스위치이다.
라이트스위치는, 캐빈(10)의 외부에 장착되는 라이트의 점등·소등을 전환하는 스위치이다. 또 와셔스위치는, 윈도와셔액을 분사하는 스위치이다. 엔진제어스위치는, 쇼벨(100)의 엔진(11)의 회전수를, 오토, 아이들, 셧다운 등으로 전환하는 스위치이다.
주행모드스위치(42e)는, 주행모드를 저속모드 또는 고속모드로 설정하는 스위치이다. 엔진 후처리스위치(42f)는, 배기가스 등의 후처리를 실행하는 스위치이다. 어태치먼트 전환스위치(42g)는, 예를 들면 버킷, 착암기, 그래플 등의 다양한 어태치먼트에 따라, 컨트롤러(30)의 설정을 전환하는 스위치이다.
화상표시장치(40)는, 축전지(70)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아 동작한다. 다만, 축전지(70)는, 엔진(11)의 얼터네이터(11a)(발전기)에서 발전된 전력이 충전된다. 축전지(70)의 전력은, 컨트롤러(30) 및 화상표시장치(40) 이외의 쇼벨(100)의 전장품(72) 등에도 공급된다. 또, 엔진(11)의 스타터(11b)는, 축전지(70)로부터의 전력으로 구동되어, 엔진(11)을 시동한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쇼벨(100)은, 캐빈(10) 내에 엔진회전수 조정다이얼(75)이 마련되어 있다. 엔진회전수 조정다이얼(75)은, 엔진의 회전수를 조정하기 위한 다이얼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엔진회전수를 SP모드, H모드, A모드 및 아이들링모드의 4단계로 전환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는, 엔진회전수 조정다이얼(75)에서 H모드가 선택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SP모드는, 작업량을 우선하고자 하는 경우에 선택되는 회전수모드이며, 가장 높은 엔진회전수를 이용한다. H모드는, 작업량과 연비를 양립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선택되는 회전수모드이며, 두번째로 높은 엔진회전수를 이용한다. A모드는, 연비를 우선시키면서 저소음으로 쇼벨을 가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선택되는 회전수모드이며, 세번째로 높은 엔진회전수를 이용한다. 아이들링모드는, 엔진을 아이들링상태로 하고자 하는 경우에 선택되는 회전수모드이며, 가장 낮은 엔진회전수를 이용한다. 그리고, 엔진(11)은, 엔진회전수 조정다이얼(75)에서 설정된 회전수모드의 엔진회전수로 일정하게 회전수 제어된다.
컨트롤러(30)에는, 각 부로부터 각종 데이터가 송신된다. 컨트롤러(30)는, 일시기억부(30a)에 각종 데이터를 축적하고, 필요에 따라 축적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 및 각종 데이터에 근거하는 연산결과를 화상표시장치(40)에 송신한다.
컨트롤러(30)에는, 예를 들면 이하의 각종 데이터가 각 부로부터 송신되어 일시기억부(30a)에 격납된다.
예를 들면, 가변용량식 유압펌프인 메인펌프(14)의 레귤레이터(14a)로부터 사판각도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컨트롤러(30)에 송신된다. 또, 메인펌프(14)의 토출압력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토출압력센서(14b)로부터 컨트롤러(30)에 송신된다. 또, 메인펌프(14)가 흡입하는 작동유가 저장된 탱크와 메인펌프(14)의 사이의 관로에는, 유온센서(14c)가 마련되어 있고, 그 관로를 흐르는 작동유의 온도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유온센서(14c)로부터 컨트롤러(30)에 공급된다.
조작레버(26A~26C) 등을 조작했을 때에 컨트롤밸브(17)에 보내지는 파일럿압이 유압센서(15a, 15b)로 검출되며, 검출된 파일럿압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컨트롤러(30)에 공급된다. 다만, 주행용 레버(26C)의 경도(傾倒)방향과 주행용 유압모터(1A, 1B)의 회전방향의 관계는, 하부주행체(1)에 대한 상부선회체(3)의 방향과는 분리하여 결정된다.
또, 엔진회전수 조정다이얼(75)로부터는, 엔진회전수의 설정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컨트롤러(30)에 상시 송신된다.
컨트롤러(30)에는, 또한 연료탱크(55)에 있어서의 연료잔량센서(55a)로부터 연료의 잔량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공급된다. 구체적으로는, 연료잔량센서(55a)는, 액면에 추종하는 플로트와, 플로트의 상하 변동량을 저항값으로 변환하는 가변저항(퍼텐쇼미터)으로 구성된다. 다만, 연료의 잔량상태를 검출하는 방식은, 쇼벨(100)의 구성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는 것이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시하는 구성과는 다른 방식이어도 된다.
또, 컨트롤러(30)에는, ECU(74)로부터 엔진(11)의 가동상태와 함께, 엔진(11)에 보내지는 연료분사량의 지령값이 송신된다. 컨트롤러(30)의 일시기억부(30a)에는, 엔진(11)의 가동상태와, 연료분사량의 지령값이, 일시(日時)와 함께 축적된다.
컨트롤러(30)는, 일시기억부(30a)에 축적되어 있는 연료분사량의 지령값 및 일시 등에 근거하여 연비를 산출한다. 컨트롤러(30)는, 쇼벨(100)이 제조되고 나서 전체기간에 있어서의 가동시간과, 전체기간에 있어서의 연료분사량의 누적값에 근거하여, 생애평균연비를 산출한다. 또, 컨트롤러(30)는, 운전자에 의하여 가동시간의 카운트가 리스타트되고 나서의 기간에 있어서의 가동시간과, 이 기간에 있어서의 연료분사량의 누적값에 근거하여, 구간평균연비를 산출한다. 또한, 컨트롤러(30)는, 예를 들면 최근 1초 동안에 있어서의 연료분사량에 근거하여, 순간연비를 산출한다. 운전자는, 예를 들면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메뉴화면으로부터, 가동시간의 카운트를 리셋하여 리스타트시킬 수 있다.
또, 컨트롤러(30)는, 예를 들면 운전자에게 설정된 임의의 기간에 있어서의 연비를 산출해도 된다. 컨트롤러(30)는, 상기한 방법과는 다른 방법으로 연비를 산출해도 된다. 예를 들면, 연료잔량센서(55a)로부터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연료의 잔량데이터로부터 연료소비량을 구하여, 가동시간과 연료소비량으로부터 연비를 산출해도 된다.
컨트롤러(30)가 취득하는 작동유의 온도를 나타내는 데이터, 엔진회전수의 설정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 연료의 잔량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 산출하는 각종 연비정보 등은, 운전정보로서 화상표시장치(40)에 송신되어 표시된다.
또, 쇼벨(100)에는, 게이트로크장치(27)가 마련되어 있다. 게이트로크장치(27)는, 쇼벨(100)의 작업요소의 오동작 방지를 위하여 마련되어 있고, 쇼벨(100)의 작업요소를 동작가능상태 또는 동작불능상태로 전환한다.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100)의 운전석 및 운전석 주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캐빈(10) 내의 운전석(60)의 양측에는, 콘솔(10c)이 배치되며, 콘솔(10c)에는 조작레버(26a)가 마련되어 있다. 운전자가 승하차하는 측이며, 운전석(60)의 좌측에 마련되어 있는 콘솔(10c)에는, 게이트로크장치(27)가 마련되어 있다.
도 7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운전석(60)의 좌측의 콘솔(10c)을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게이트로크장치(27)는, 운전석(60)의 좌측의 콘솔(10c)에 배치되며, 게이트로크레버(27a), 게이트(27b), 리밋스위치(27c)를 갖는다.
게이트로크장치(27)는, 운전석으로의 승강부에 배치되는 게이트(27b)를 개폐조작한다. 게이트로크레버(27a)와 게이트(27b)는 와이어로 접속되어 있으며, 게이트로크레버(27a)가 끌어올려지면 게이트(27b)도 끌어올려지고(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 게이트로크레버(27a)가 내려지면 게이트(27b)도 내려진다(파선으로 나타내는 상태). 게이트(27b)가 올려지면, 운전자는 운전석(60)으로부터 내릴 수 없고, 게이트(27b)가 내려졌을 때에 내리는 것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리밋스위치(27c)는, 게이트로크레버(27a)의 조작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리밋스위치(27c)는, 게이트로크레버(27a)가 끌어올려지면 온이 되고, 게이트로크레버(27a)가 내려지면 오프가 된다.
리밋스위치(27c)가 온이 되면, 도 5에 나타내는 차단밸브(28)의 릴레이(28a)가 온이 되고, 리밋스위치(27c)가 오프가 되면, 릴레이(28a)는 오프가 된다. 이와 같이, 파일럿펌프(15)로부터 조작장치(26)로의 작동유의 전달을 차단하는 차단밸브(28)는, 리밋스위치(27c)의 온/오프에 의하여 전환된다.
운전자가 운전석(60)에 앉아, 게이트로크레버(27a)가 끌어올려진 상태(게이트(27b)가 올려져 운전자가 하차할 수 없는 상태)에서는, 리밋스위치(27c)가 온이 되고 릴레이(28a)가 온이 되어 차단밸브(28)가 연통상태가 되므로, 쇼벨(100)의 작업요소가 사용가능상태가 된다. 한편, 운전자가 운전석(60)에 앉아도, 게이트로크레버(27a)가 내려진 상태(게이트(27b)가 내려져 운전자의 승하차가 가능한 상태)에서는, 리밋스위치(27c)가 오프가 되고 릴레이(28a)가 오프가 되어 차단밸브(28)가 차단상태가 되므로, 쇼벨(100)의 작업요소는 동작불능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쇼벨(100)은, 운전자가 운전석(60)에 착석하여 게이트로크레버(27a)가 끌어올려지지 않으면, 작업요소가 동작가능상태가 되지 않는다. 또, 게이트로크레버(27a)가 내려져 운전자가 운전석(60)에 승하차 가능한 상태에서는, 작업요소는 동작불능상태가 되기 때문에, 게이트로크장치(27)에 의하여 쇼벨(100)의 오작동이 방지된다.
게이트로크장치(27)의 리밋스위치(27c)의 온/오프를 나타내는 신호는, 컨트롤러(30)에도 입력된다. 컨트롤러(30)는, 리밋스위치(27c)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검출장치로서 작업요소가 동작가능상태인지 동작불능상태인지를 검출한다.
다음으로, 화상표시장치(40)의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표시화면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표시화면(41V1)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표시화면(41V1)에서는, 카메라스위치(42b)가 눌려, 각종 운전정보와 촬상장치(80)에 의하여 촬상된 촬상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표시화면(41V1)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운전정보를 표시하는 일시 표시영역(41a), 주행모드 표시영역(41b), 어태치먼트 표시영역(41c), 연비 표시영역(41d), 엔진제어상태 표시영역(41e), 엔진가동시간 표시영역(41f), 냉각수온 표시영역(41g), 연료잔량 표시영역(41h), 회전수모드 표시영역(41i), 요소수잔량 표시영역(41j) 및 작동유온 표시영역(41k)과, 촬상장치(80)에 의하여 촬상된 촬상화상을 표시하는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을 포함한다.
일시 표시영역(41a)은, 현재의 일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디지털 표시가 채용되며, 일자(2014년 4월 1일)와 시각(10시 5분)이 나타나 있다.
주행모드 표시영역(41b)은, 현재의 주행모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주행모드는, 가변용량펌프를 이용한 주행유압모터의 설정상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주행모드는, 저속모드 및 고속모드를 가지며, 저속모드에서는 “거북이”모양의 마크가 표시되고, 고속모드에서는 “토끼”모양의 마크가 표시된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거북이”모양의 마크가 표시되어 있어, 운전자는 저속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어태치먼트 표시영역(41c)은, 현재 장착되어 있는 어태치먼트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쇼벨(100)에는, 버킷, 착암기, 그래플, 리프팅마그넷 등의 다양한 어태치먼트가 장착된다. 어태치먼트 표시영역(41c)은, 예를 들면, 이들 어태치먼트모양의 마크 및 어태치먼트에 대응하는 번호를 표시한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착암기모양의 마크가 표시되고, 또한 착암기의 출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숫자로서 “1”이 표시되어 있다.
연비 표시영역(41d)은, 컨트롤러(30)에 의하여 산출된 연비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연비 표시영역(41d)은, 생애평균연비 또는 구간평균연비를 표시하는 평균연비 표시영역(41d1), 순간연비를 표시하는 순간연비 표시영역(41d2)을 포함한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평균연비 표시영역(41d1)에는, 구간평균연비가 단위[L/hr(리터/시간)]와 함께 수치로 표시되어 있다. 또, 순간연비 표시영역(41d2)에는, 순간연비의 크기에 따라 점등·소등상태가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9개의 세그먼트로 구성된 바그래프가 표시되어 있다. 순간연비가 커지면, 점등상태의 세그먼트수가 증가하고, 순간연비가 작아지면, 점등상태의 세그먼트수가 감소하도록 각 세그먼트가 제어되어, 운전자는 시각적으로 순간연비의 크기를 인식할 수 있다.
엔진가동시간 표시영역(41f)은, 엔진(11)의 누적가동시간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운전자에 의하여 카운트가 리스타트되고 나서의 가동시간의 누적이, 단위 “hr(시간)”과 함께 표시되어 있다. 엔진가동시간 표시영역(41f)에는, 쇼벨(100)이 제조되고 나서 전체기간의 생애가동시간 및 운전자에 의하여 카운트가 리스타트되고 나서의 구간가동시간 중 적어도 일방이 표시된다.
운전자에 의하여 가동시간표시 전환스위치(42c)가 눌리면, 엔진가동시간 표시영역(41f)에 표시되는 가동시간정보와 함께, 평균연비 표시영역(41d1)에 표시되는 연비정보가 전환된다. 예를 들면, 엔진가동시간 표시영역(41f)에 구간가동시간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는, 평균연비 표시영역(41d1)에 구간평균연비가 표시된다. 또, 엔진가동시간 표시영역(41f)에 생애가동시간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는, 평균연비 표시영역(41d1)에 생애평균연비가 표시된다. 또한, 엔진가동시간 표시영역(41f)에 구간가동시간 및 생애가동시간의 양방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는, 평균연비 표시영역(41d1)에 구간평균연비 및 생애평균연비의 양방이 표시된다.
가동시간표시 전환스위치(42c)가 눌릴 때마다, 평균연비 표시영역(41d1)에 표시되는 연비정보가, “구간평균연비”, “생애평균연비” 또는 “구간평균연비 및 생애평균연비”로 전환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가동시간표시 전환스위치(42c)를 누름으로써, 구간평균연비 및 생애평균연비를 파악할 수 있으며, 현재의 작업에 있어서의 연비상태의 좋고 나쁨을 인식하여, 보다 연비를 향상시키도록 작업을 진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만, 평균연비 표시영역(41d1)에 표시되는 생애평균연비 또는 구간평균연비는, 도 8에 나타내는 예와는 다른 단위로 표시되어도 되고, 바그래프로 표시되어도 된다. 또, 순간연비 표시영역(41d2)에는, 순간연비가 수치로 표시되어도 된다.
엔진제어상태 표시영역(41e)은, 엔진(11)의 제어상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운전자는, 엔진(11)의 제어상태로서 “자동감속·자동정지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다만, “자동감속·자동정지모드”는, 엔진부하가 작은 상태의 계속시간에 따라, 엔진회전수를 자동적으로 저감시키고, 나아가서는 엔진(11)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는 제어상태를 의미한다. 그 외에, 엔진(11)의 제어상태에는, “자동감속모드”, “자동정지모드”, “수동감속모드” 등이 있다.
냉각수온 표시영역(41g)은, 현재의 엔진냉각수의 온도상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엔진냉각수의 온도상태를 나타내는 바그래프가 표시되어 있다. 다만, 엔진냉각수의 온도는, 엔진(11)에 장착되는 수온센서(11c)가 출력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냉각수온 표시영역(41g)은, 이상범위표시(41g1), 주의범위표시(41g2), 정상범위표시(41g3), 세그먼트표시(41g4), 및 아이콘표시(41g5)를 포함한다.
이상범위표시(41g1), 주의범위표시(41g2), 정상범위표시(41g3)는, 각각 엔진냉각수의 온도가 이상고온상태, 주의를 요하는 상태, 정상상태에 있는 것을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표시이다. 또, 세그먼트표시(41g4)는, 엔진냉각수의 온도의 높낮이를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표시이다. 또, 아이콘표시(41g5)는, 이상범위표시(41g1), 주의범위표시(41g2), 정상범위표시(41g3) 및 세그먼트표시(41g4)가 엔진냉각수의 온도에 관한 표시인 것을 나타내는 심벌도형 등의 아이콘이다. 다만, 아이콘표시(41g5)는, 엔진냉각수의 온도에 관한 표시인 것을 나타내는 문자 등이어도 된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세그먼트표시(41g4)는, 점등·소등상태가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8개의 세그먼트로 구성되며, 냉각수온이 높아질수록 점등상태의 세그먼트의 수가 증가한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4개의 세그먼트가 점등상태로 되어 있다. 다만,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각 세그먼트가 나타내는 온도의 폭은 동일하지만, 세그먼트마다 온도의 폭을 변경해도 된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이상범위표시(41g1), 주의범위표시(41g2), 정상범위표시(41g3)는 각각, 세그먼트표시(41g4)를 따르도록 나열하여 배치되는 원호형상의 도형이며, 예를 들면 적색, 황색, 녹색으로 상시 점등된다.
또, 세그먼트표시(41g4)는, 1번째(최하위)에서 6번째의 세그먼트가 정상범위에 속하고, 7번째의 세그먼트가 주의범위에 속하며, 8번째(최상위)의 세그먼트가 이상범위에 속한다.
다만, 냉각수온 표시영역(41g)은, 이상범위표시(41g1), 주의범위표시(41g2) 및 정상범위표시(41g3)를 원호형상의 도형으로서 표시하는 대신에, 이상레벨, 주의레벨, 정상레벨을 나타내는 문자, 기호 등을 각각의 경계가 되는 곳에 표시해도 된다.
다만, 이상범위표시, 주의범위표시, 정상범위표시, 세그먼트표시 및 아이콘표시를 포함하는 상기한 구성은, 연료잔량 표시영역(41h), 요소수잔량 표시영역(41j) 및 작동유온 표시영역(41k)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채용된다. 또, 연료잔량 표시영역(41h), 요소수잔량 표시영역(41j)에서는, 이상범위, 주의범위, 및 정상범위를 나타내는 원호형상의 도형을 표시하는 대신에, “Full(가득찬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 “F” 또는 까만 동그라미(검게 칠해진 동그라미 표시), “Empty(빈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 “E” 또는 하얀 동그라미(검게 칠해지지 않은 동그라미 표시) 등이 각각의 경계에 표시되어도 된다.
연료잔량 표시영역(41h)은, 연료탱크(55)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잔량상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현재의 연료의 잔량상태를 나타내는 바그래프가 표시되어 있다. 다만, 연료의 잔량은, 연료잔량센서(55a)가 출력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표시된다.
회전수모드 표시영역(41i)은, 엔진회전수 조정다이얼(75)에 의하여 설정된 현재의 회전수모드를 화상표시하는 영역이다. 회전수모드는, 예를 들면, 상술한 SP모드, H모드, A모드 및 아이들링모드의 4개를 포함한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SP모드를 나타내는 기호 “SP”가 표시되어 있다.
요소수잔량 표시영역(41j)은, 요소수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요소수의 잔량상태를 화상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현재의 요소수의 잔량상태를 나타내는 바그래프가 표시되어 있다. 다만, 요소수의 잔량은, 요소수탱크에 마련되어 있는 요소수잔량센서가 출력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표시된다.
작동유온 표시영역(41k)은, 작동유탱크 내의 작동유의 온도상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작동유의 온도상태를 나타내는 바그래프가 표시되어 있다. 다만, 작동유의 온도는, 유온센서(14c)가 출력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표시된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냉각수온 표시영역(41g), 연료잔량 표시영역(41h), 요소수잔량 표시영역(41j), 및 작동유온 표시영역(41k)의 각각의 세그먼트표시가, 동일한 1개의 소정 원의 원주방향을 따라 신축하도록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냉각수온 표시영역(41g), 연료잔량 표시영역(41h), 요소수잔량 표시영역(41j), 작동유온 표시영역(41k)이 각각, 그 소정 원의 좌측, 상측, 하측, 우측의 부분에 배치된다. 또, 냉각수온 표시영역(41g) 및 작동유온 표시영역(41k)에서는,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이상범위표시, 주의범위표시, 정상범위표시가 나열되며, 연료잔량 표시영역(41h) 및 요소수잔량 표시영역(41j)에서는,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이상범위표시, 주의범위표시, 정상범위표시가 나열된다. 또, 연료잔량 표시영역(41h) 및 요소수잔량 표시영역(41j)에서는, 세그먼트표시는, 잔량이 많을수록 점등상태의 세그먼트의 수가 많아지도록 표시되며, 1번째(우측 단)에서 6번째의 세그먼트가 정상범위에 속하고, 7번째의 세그먼트가 주의범위에 속하며, 8번째(좌측 단)의 세그먼트가 이상범위에 속한다.
또, 냉각수온 표시영역(41g), 연료잔량 표시영역(41h), 요소수잔량 표시영역(41j), 작동유온 표시영역(41k)에서는, 바그래프 표시 대신에 바늘표시가 채용되어도 된다.
다만,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운전정보를 나타내는 냉각수온 표시영역(41g), 연료잔량 표시영역(41h), 요소수잔량 표시영역(41j), 작동유온 표시영역(41k) 등이, 주로 표시화면(41V1)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지만, 운전정보는 표시화면(41V1)의 상측 영역, 우측 영역 등에 표시되어도 된다. 단, 운전자가 확인하기 쉬워지도록, 운전정보는 표시화면(41V1)에 있어서 운전석에 가까운 측(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 영역), 혹은 상측 영역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은, 촬상장치(80)에 의하여 촬상된 촬상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에, 후방 감시카메라(80B)에 의하여 촬상된 촬상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에는, 좌측방 감시카메라(80L) 또는 우측방 감시카메라(80R)에 의하여 촬상된 촬상화상이 표시되어도 된다. 또,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에는, 후방 감시카메라(80B), 좌측방 감시카메라(80L) 및 우측방 감시카메라(80R) 중 복수의 카메라에 의하여 촬상된 촬상화상이 나열되도록 표시되어도 된다. 또한,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에는, 후방 감시카메라(80B), 좌측방 감시카메라(80L) 및 우측방 감시카메라(80R)에 의하여 각각 촬상된 촬상화상이 합성된 부감화상이 표시되어도 된다.
다만, 각 카메라는, 촬영되는 화상데이터에, 상부선회체(3)의 커버(3a)의 일부가 포함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표시되는 화상에 커버(3a)의 일부가 포함됨으로써, 운전자는,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에 표시되는 물체와 쇼벨(100)의 사이의 거리감을 파악하기 쉬워진다.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에는, 표시 중인 촬상화상을 촬상한 촬상장치(80)의 방향을 나타내는 촬상장치아이콘(41n)이 표시되어 있다. 촬상장치아이콘(41n)은, 쇼벨(100)의 상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을 나타내는 쇼벨아이콘(41na)과, 표시 중인 촬상화상을 촬상한 촬상장치(80)의 방향을 나타내는 띠형상의 방향표시아이콘(41nb)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쇼벨아이콘(41na)의 하측(어태치먼트의 반대측)에 방향표시아이콘(41nb)이 표시되어 있으며,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에는, 후방 감시카메라(80B)에 의하여 촬상된 쇼벨(100)의 후방의 촬상화상이 표시되고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에 우측방 감시카메라(80R)에 의하여 촬상된 촬상화상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는, 쇼벨아이콘(41na)의 우측에 방향표시아이콘(41nb)이 표시된다. 또, 예를 들면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에 좌측방 감시카메라(80L)에 의하여 촬상된 촬상화상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는, 쇼벨아이콘(41na)의 좌측에 방향표시아이콘(41nb)이 표시된다.
여기에서, 화상표시부(41)에 운전정보 및 촬상화상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조작부(42)의 카메라스위치(42b)가 눌리면, 화상표시부(41)에 있어서의 운전정보의 표시위치 및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에 표시되는 촬상화상 중 적어도 일방이 전환된다.
도 9부터 도 11은,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표시화면(41V)의 다른 구성을 예시하는 도이다. 표시화면(41V)은, 카메라스위치(42b)가 눌릴 때마다, 예를 들면 도 8부터 도 11에 예시되는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전환된다.
도 9에 예시되는 표시화면(41V2)에서는,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에, 후방 감시카메라(80B), 좌측방 감시카메라(80L) 및 우측방 감시카메라(80R)에 의하여 각각 촬상된 촬상화상이 합성된 부감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에 표시되는 부감화상은, 화상표시장치(40)의 변환처리부(40a)에 의하여 생성되며, 쇼벨(100)을 나타내는 아이콘의 주위에 표시된다. 운전자는, 전방을 육안으로 확인함과 함께,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에 표시되는 부감화상에 의하여, 사각(死角)이 되는 쇼벨(100)의 후방, 좌측 및 우측을 포함하는 주위 전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에 예시되는 표시화면(41V3)에서는,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이 전체로 확대되어, 후방 감시카메라(80B)에 의하여 촬상된 촬상화상이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에 표시되며, 표시화면(41V3)의 상측 영역에, 각종 운전정보가 촬상화상에 겹쳐 표시되어 있다. 다만, 도 10에 예시되는 표시화면(41V3)에서는, 연비정보가 생략되어 있지만, 상측 영역에 연비 표시영역(41d)이 마련되어도 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엔진가동시간 표시영역(41f), 냉각수온 표시영역(41g), 연료잔량 표시영역(41h), 요소수잔량 표시영역(41j)이, 표시화면(41V3)의 상측에 마련되어 있다. 겹쳐 표시되는 운전정보에 의하여 촬상화상의 상측 영역이 보기 어려워지지만, 쇼벨(100)은 저속으로 주행하기 때문에, 쇼벨(100) 근방의 시인성이 확보되어 있으면 된다.
도 11에 예시되는 표시화면(41V4)에서는,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이 좌우 2개로 분할되며, 좌측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1)에, 후방 감시카메라(80B)의 촬상화상이 표시되고, 우측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2)에, 우측방 감시카메라(80R)의 촬상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또, 도 10과 마찬가지로, 표시화면(41V4)의 상측 영역에, 각종 운전정보가 촬상화상에 겹쳐 표시되어 있다.
좌측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1)에는, 촬상장치아이콘(41n1)이 표시되어 있으며, 쇼벨아이콘(41n1a)의 하부에 방향표시아이콘(41n1b)이 표시되고, 후방 감시카메라(80B)에 의하여 촬상된 촬상화상이 표시되고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또, 우측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2)에는, 촬상장치아이콘(41n2)이 표시되어 있으며, 쇼벨아이콘(41n2a)의 우측에 방향표시아이콘(41n2b)이 표시되고, 우측방 감시카메라(80R)에 의하여 촬상된 촬상화상이 표시되고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다만, 좌측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1)에 좌측방 감시카메라(80L)에 의하여 촬상된 촬상화상이 표시되고, 우측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2)에 후방 감시카메라(80B)에 의하여 촬상된 촬상화상이 표시되어도 된다. 또,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이 3분할되어, 좌측 영역에 좌측방 감시카메라(80L)의 촬상화상, 중앙 영역에 후방 감시카메라(80B)의 촬상화상, 우측 영역에 우측방 감시카메라(80R)의 촬상화상이 표시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100)에서는, 조작부(42)의 카메라스위치(42b)가 눌릴 때마다, 화상표시장치(40)의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화상이, 도 8부터 도 11에 예시하는 표시화면(41V1~41V4) 중 어느 하나로 전환된다. 예를 들면 화상표시부(41)에, 표시화면(41V1)(도 8)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카메라스위치(42b)가 눌리면, 표시화면(41V2)(도 9)으로 표시가 전환된다. 또한, 카메라스위치(42b)가 눌릴 때마다, 표시화면(41V3)(도 10), 표시화면(41V4)(도 11), 표시화면(41V1)(도 8)의 순으로, 화상표시부(41)의 표시가 전환된다.
도 8부터 도 11에 예시되는 표시화면(41V1~41V4)은, 운전정보의 표시위치 및 표시되는 촬상화상 중 적어도 일방의 구성이 다른 것과는 상이하다. 따라서, 운전자는, 카메라스위치(42b)라는 단일의 스위치를 1회 또는 수회 누르는 간편한 조작으로, 원하는 화상을 화상표시부(41)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 쇼벨(100)로부터 이간된 외부 촬상장치에서 얻어진 촬상화상도, 표시화면(41V1~41V4)과 마찬가지로, 카메라스위치(42b)를 누름으로써, 화상표시부(41)에 표시화면으로서 표시해도 된다. 이 경우, 외부 촬상장치로부터 쇼벨(100)의 컨트롤러(30)로는 무선으로 통신된다.
다만, 표시화면(41V1~41V4)에 있어서의 각 표시영역의 사이즈 및 배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되어도 된다. 또, 표시화면(41V)은, 표시영역(41a~41m)의 일부가 생략되어도 되고, 상기 이외의 표시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표시화면(41V)은, 배기가스필터(예를 들면, 디젤미립자 제거장치(Diesel Particulate Filter(DPF)))의 막힘 상태를 표시하는 배기가스필터상태 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배기가스필터상태 표시영역은, 배기가스필터의 허용 최대 사용시간에 대한 현재의 사용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바그래프를 표시해도 된다.
또, 표시장치(40)의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표시화면(41V1~41V4)의 순서는, 상기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카메라스위치(42b)가 눌릴 때마다 상기한 예와는 다른 순서로 표시되어도 된다. 또, 표시화면(41V)의 구성은, 상기한 표시화면(41V1~41V4)과는 달라도 되고, 예시한 구성과는 다른 복수의 표시화면(41V)이 순서대로 표시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표시화면(41V)의 구성, 표시되는 순서 등은, 운전자에 의하여 설정되어도 된다. 단, 쇼벨(100)의 작업 중에는, 표시화면(41V)에 후방 감시카메라(80B)에 의하여 촬상된 촬상화상이 표시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 중에 후방 감시카메라(80B)에 의하여 촬상된 촬상화상이 표시화면(41V)에 표시됨으로써, 운전자의 후방 확인에 이용되는 백미러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다만,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촬상화상은, 쇼벨(100)의 하부주행체(1)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표시된다. 즉, 하부주행체(1)의 진행방향에 관계없이, 후방 감시카메라(80B), 좌측방 감시카메라(80L) 및 우측방 감시카메라(80R)로부터 선택된 촬상화상 또는 합성된 부감화상이 메뉴/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에 표시된다.
여기에서, 쇼벨(100)에 있어서 운전자에 의하여 게이트로크레버(27a)가 끌어올려져, 쇼벨(100)의 작업요소가 동작가능상태가 되었을 때에, 메뉴/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에 촬상장치(80)에 의한 촬상화상이 우선적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화상표시장치(40)는, 게이트로크레버(27a)가 끌어올려져 리밋스위치(27c)가 온이 되고, 작업요소가 동작가능상태가 됨에 따라, 메뉴/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의 표시를 메뉴화면으로부터 촬상장치(80)에 의한 촬상화상으로 전환한다.
운전자는, 게이트로크레버(27a)를 끌어올려 작업요소를 동작가능상태로 했을 때에 우선적으로 촬상화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카메라스위치(42b) 등을 조작하는 일 없이, 주위의 안전을 확인하면서 순조롭게 작업을 개시할 수 있다.
또, 게이트로크레버(27a)가 끌어올려졌을 때에 메뉴/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에 표시되는 화상은, 전회 게이트로크레버(27a)가 끌어내려져 작업이 종료 또는 중단되었을 때에 표시되고 있던 화상과 동일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표시장치(40)는, 예를 들면 전회의 작업종료 시 또는 중단 시에 후방 감시카메라(80B)의 촬상화상을 표시하고 있던 경우에는, 작업개시 시에 다시 후방 감시카메라(80B)의 촬상화상을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전회의 작업종료 시 또는 중단 시에 좌측방 감시카메라(80L)의 촬상화상을 표시하고 있던 경우에는, 작업개시 시에도 좌측방 감시카메라(80L)의 촬상화상을 표시한다. 또, 전회의 작업종료 또는 중단 시에 우측방 감시카메라(80R)의 촬상화상을 표시하고 있던 경우에는, 작업개시 시에도 우측방 감시카메라(80R)의 촬상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작업종료 시 또는 중단 시에, 후방 감시카메라(80B), 좌측방 감시카메라(80L) 및 우측방 감시카메라(80R) 중 복수의 촬상화상을 동시에 표시하고 있던 경우에는, 작업개시 시에 동일하게 복수의 촬상화상을 표시한다. 또, 작업종료 시 또는 중단 시에, 후방 감시카메라(80B), 좌측방 감시카메라(80L) 및 우측방 감시카메라(80R)의 촬상화상을 합성한 부감화상을 표시하고 있던 경우에는, 작업개시 시에 동일한 부감화상을 표시한다.
화상표시장치(40)에 작업개시 시에 전회의 작업종료 시 또는 중단 시에 표시되고 있던 화상이 자동적으로 표시됨으로써, 운전자는, 작업개시 시에 카메라스위치(42b) 등의 조작을 할 필요가 없어, 주위의 안전을 확인하면서 보다 순조롭게 작업을 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100)에 의하면, 카메라스위치(42b)를 누르는 것만으로, 화상표시장치(40)의 화상표시부(41)에 있어서의 운전정보의 위치 및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촬상화상을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간편한 조작으로 원하는 화상을 화상표시장치(40)에 표시시킬 수 있다. 다만,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쇼벨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쇼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건설기계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 실시형태에 관한 건설기계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하다.
본 국제출원은, 2014년 4월 2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4-091886호에 근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일본 특허출원 2014-091886호의 전체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1 하부주행체
2 선회기구
3 상부선회체
10 캐빈(운전실)
11 엔진
27 게이트로크장치
27a 게이트로크레버
27b 게이트
27c 리밋스위치
30 컨트롤러(연비산출장치, 검출장치)
30a 일시기억부
40 화상표시장치(표시장치)
40a 변환처리부
41 화상표시부
41m 카메라화상 표시영역
41n 촬상장치아이콘
41V 표시화면
42 조작부
42d 조작스위치(조작부)
74 엔진제어장치(ECU)
80 촬상장치
80B 후방 감시카메라
80L 좌측방 감시카메라
80R 우측방 감시카메라
100 쇼벨(건설기계)

Claims (9)

  1. 주행동작을 행하는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선회체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되고, 컨트롤러 및 엔진을 포함하는 구동계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되고, 상기 구동계에 관한 센서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운전실과,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복수의 촬상장치와,
    상기 운전실에 탑재되며, 운전상태에 관한 운전정보와, 상기 복수의 촬상장치에 의하여 촬상된 촬상화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상을 동시에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갖고,
    상기 표시장치는, 단일의 전환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운전정보의 표시위치 및 표시하는 촬상화상 중 적어도 일방이 전환되며,
    상기 운전정보는, 상기 센서에서 검출된 상태량을 포함하고,
    상기 상태량은, 상기 단일의 전환스위치가 조작된 경우에도 항상 표시되며, 또한, 상기 상태량은, 전체적으로 시인 가능한 양태로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촬상장치는, 카운터웨이트방향을 촬상하는 카운터웨이트 감시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카운터웨이트 감시카메라에 의하여 촬상된 촬상화상을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복수의 촬상장치에 의하여 촬상된 촬상화상이 합성된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표시 중인 촬상화상을 촬상한 촬상장치의 방향을 나타내는 촬상장치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표시영역의 좌측, 우측 및 상측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운전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운전정보를 상기 표시영역의 상측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촬상화상을 포함하는 화상 상에 상기 운전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작업요소가 동작가능상태인지 동작불능상태인지를 검출하는 검출장치를 갖고,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작업요소가 동작가능상태일 때에는, 상기 복수의 촬상장치에 의하여 촬상된 촬상화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상을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작업요소가 동작불능상태로부터 동작가능상태가 되었을 때에, 직전의 상기 작업요소의 동작가능상태에 있어서 최후에 표시하고 있던 촬상화상과 동일한 촬상장치에 의한 촬상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촬상화상은, 하부주행체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KR1020167028225A 2014-04-25 2015-04-22 건설기계 KR1023337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91886 2014-04-25
JPJP-P-2014-091886 2014-04-25
PCT/JP2015/062298 WO2015163381A1 (ja) 2014-04-25 2015-04-22 建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698A KR20160146698A (ko) 2016-12-21
KR102333778B1 true KR102333778B1 (ko) 2021-11-30

Family

ID=54332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225A KR102333778B1 (ko) 2014-04-25 2015-04-22 건설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91940B2 (ko)
EP (1) EP3135827B1 (ko)
JP (1) JP6692744B2 (ko)
KR (1) KR102333778B1 (ko)
CN (1) CN106232908B (ko)
WO (1) WO20151633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99988B2 (ja) * 2015-09-15 2018-10-03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建設機械のグリップヒータ装置
CN108699814B (zh) * 2016-01-29 2022-04-12 住友建机株式会社 挖土机以及在挖土机的周围飞行的自主式飞行体
JP6866155B2 (ja) * 2016-12-28 2021-04-2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および作業車両の制御システム
CN110268119B (zh) * 2017-02-22 2022-04-15 住友建机株式会社 挖土机
EP3594416B1 (en) * 2017-03-07 2022-07-27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Shovel
KR20200038937A (ko) * 2017-08-08 2020-04-14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쇼벨, 쇼벨의 지원장치, 및 쇼벨의 관리장치
WO2019035427A1 (ja) 2017-08-14 2019-02-21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及び、ショベルと協働する支援装置
JP6577539B2 (ja) * 2017-08-23 2019-09-18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建設機械の操作装置
KR20200100596A (ko) 2017-12-27 2020-08-26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쇼벨 및 쇼벨의 출력장치
JP1622939S (ko) * 2018-04-06 2020-04-13
USD891444S1 (en) * 2018-07-02 2020-07-28 Kobelco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2996695B (zh) * 2018-11-26 2024-04-05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身构造
WO2020196516A1 (ja) 2019-03-26 2020-10-01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CN114375568A (zh) * 2019-09-20 2022-04-19 伟智有限公司 用于重型机械的前方影像生成装置
US11091100B2 (en) * 2019-10-03 2021-08-17 Deere & Company Work vehicle multi-camera vision systems
US10882468B1 (en) * 2019-10-29 2021-01-05 Deere & Company Work vehicle composite panoramic vision systems
JP7438999B2 (ja) * 2021-02-12 2024-02-27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作業機械用表示制御システム、作業機械用表示システム、作業機械、作業機械用表示制御方法及び作業機械用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D964646S1 (en) 2021-02-19 2022-09-20 Mary Ann Shnaider Reusable silicon pad
US11772562B2 (en) 2021-03-24 2023-10-03 Deere & Company Intuitive work vehicle vision system for enhanced operator visibility
JP2023183700A (ja) 2022-06-16 2023-12-28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作業機械の制御方法、作業機械用制御プログラム、作業機械用制御システム及び作業機械
JP2023183699A (ja) 2022-06-16 2023-12-28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作業機械の制御方法、作業機械用制御プログラム、作業機械用制御システム及び作業機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8751A (ja) * 2003-11-07 2005-06-0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2008114814A (ja) 2006-11-07 2008-05-22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ビデオカメラ切替装置
JP2010121270A (ja) * 2008-11-17 2010-06-03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械の監視装置
JP2011006936A (ja) 2009-06-26 2011-01-1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2012062707A (ja) 2010-09-17 2012-03-29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械の表示システム
JP2014064192A (ja) * 2012-09-21 2014-04-10 Komatsu Ltd 作業車両用周辺監視システム及び作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43163C (zh) * 2002-10-23 2006-02-22 株式会社小松制作所 设有可倾斜底板的工程车辆
JP4093915B2 (ja) 2003-05-23 2008-06-04 住友建機製造株式会社 建設機械のモニタ装置
JP4569739B2 (ja) * 2003-11-28 2010-10-27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2005163370A (ja) * 2003-12-02 2005-06-2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画像表示装置
JP4332027B2 (ja) * 2003-12-25 2009-09-16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表示器制御システム
CN1922055B (zh) * 2004-02-20 2012-06-20 夏普株式会社 车载显示装置、车载显示系统和车辆
JP4079113B2 (ja) * 2004-04-19 2008-04-2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表示装置
EP2226712A4 (en) * 2007-12-28 2014-03-26 Hitachi Lt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5233043B2 (ja) * 2008-03-26 2013-07-1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送受信システムにおける運転操作ガイダンス装置
CN103649426B (zh) * 2012-01-27 2016-05-11 斗山英维高株式会社 建筑机械的操作安全性提高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8751A (ja) * 2003-11-07 2005-06-0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2008114814A (ja) 2006-11-07 2008-05-22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ビデオカメラ切替装置
JP2010121270A (ja) * 2008-11-17 2010-06-03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械の監視装置
JP2011006936A (ja) 2009-06-26 2011-01-1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2012062707A (ja) 2010-09-17 2012-03-29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械の表示システム
JP2014064192A (ja) * 2012-09-21 2014-04-10 Komatsu Ltd 作業車両用周辺監視システム及び作業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63381A1 (ja) 2015-10-29
EP3135827B1 (en) 2020-12-02
CN106232908B (zh) 2020-09-04
JP6692744B2 (ja) 2020-05-13
US20170028919A1 (en) 2017-02-02
JPWO2015163381A1 (ja) 2017-04-20
EP3135827A4 (en) 2017-06-21
US10391940B2 (en) 2019-08-27
KR20160146698A (ko) 2016-12-21
EP3135827A1 (en) 2017-03-01
CN106232908A (zh)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3778B1 (ko) 건설기계
KR102333783B1 (ko) 건설기계 및 건설기계의 제어방법
EP3023552B1 (en) Power shovel
JP6366989B2 (ja) 建設機械
KR102456138B1 (ko) 쇼벨
KR102522714B1 (ko) 쇼벨
AU2004271006A1 (en) Construction machine diagnosis information presenting device, diagnosis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diagnosis information presenting method
JP6466080B2 (ja) 建設機械
JP6214976B2 (ja) 建設機械
JP6537782B2 (ja) 建設機械
CN110295640A (zh) 挖土机及挖土机的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