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532B1 - Method to decrease mortality rate of trout on acclimation to seawater - Google Patents

Method to decrease mortality rate of trout on acclimation to sea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532B1
KR102331532B1 KR1020210046214A KR20210046214A KR102331532B1 KR 102331532 B1 KR102331532 B1 KR 102331532B1 KR 1020210046214 A KR1020210046214 A KR 1020210046214A KR 20210046214 A KR20210046214 A KR 20210046214A KR 102331532 B1 KR102331532 B1 KR 102331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inity
water
trout
photobioreacto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2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중호
강철민
Original Assignee
손중호
강철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중호, 강철민 filed Critical 손중호
Priority to KR1020210046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5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5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90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 A01K61/95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specially adapted for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3Prevention or treatment of fish dise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02F3/32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use of alga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creasing a trout mortality rate during seawater accli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rly brine acclimation is performed on young individuals of less than 50 g, and the method is improved in growth rate as compared with existing fish farming methods. The method includes: a step of growing a fertilized trout fry to a fish weight of 10 to 30 g; a first acclimation step of acclimating the grown fry at low salinity; first and second salinity raising steps of increasing salinity after the first acclimation step is completed; a second acclimation step of maintaining salinity after the second salinity raising step is completed; and a third salinity raising step of raising salinity to the salinity of seawater after the second acclimation step.

Description

송어의 해수순치 과정에서 폐사율을 감소시키는 방법{Method to decrease mortality rate of trout on acclimation to seawater}Method to decrease mortality rate of trout on acclimation to seawater

본 발명은 송어의 해수순치 과정에서 폐사율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50g미만의 어린 개체를 조기에 염수에 순치시키는 것으로 기존의 양식방법에 비하여 성장속도가 향상된 송어의 해수순치 과정에서 폐사율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ducing the mortality rate in the process of acclimatization of trout, and more particularly, the process of acclimatization of trout with an improved growth rate compared to conventional aquaculture methods by acclimatizing young individuals less than 50 g to salt water at an early stage. It relates to a method for reducing mortality in

송어는 냉수성으로 차고 깨끗한 1급수의 물에만 서식한다. 부화 후 강에서 서식하다가 바다에 내려가 살다가 어미가 되어 강으로 되돌아와 알을 낳고 일생을 마치게 된다. 본래 연어류는 해수에 대한 생리적 적응 기능을 갖고 있어 일정기간 순치과정을 거쳐 바다에서도 육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특성으로 해수를 이용한 송어 양식도 자연히 가능하게 되었으나 해수 송어양식의 실시를 위해 해수순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Trout are cold-water, and live only in cold, clean first-class water. After hatching, they live in rivers, go down to the sea, live, become mothers, return to rivers, lay eggs, and end their lives. Originally, salmon have physiological adaptation to seawater, so they can be bred in the sea after a certain period of acclimatization.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trout farming using seawater became possible naturally, but for the implementation of trout farming in seawater, acclimatization of seawater must be carried out.

이러한 해수 순치과정은 어류 치어를 사육조 내로 이동시키고 어류의 삼투압 조절능력을 이용하여 사육조 내의 용수의 염도를 연속적으로 증가시켜 해수에 상응하는 염도에서 생존 가능하도록 적응시키는 단계이다. This seawater acclimatization process is a step in which the fish fry are moved into the breeding tank and the salinity of the water in the breeding tank is continuously increased by using the osmotic pressure control ability of the fish to adapt to survive in the salinity corresponding to the seawater.

담수 어류의 경우에는 체액이 환경수보다 염도가 높아 수분이 아가미, 소화기관, 표피 등을 통해 계속해서 체내로 침투하고 이에 적정량의 체내 수분유지를 위해 신장에서 묽은 오줌을 만들어 대량으로 체외방출을 하여 체내 수분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오줌과 함께 배출되는 Na+ 등의 1가 이온은 신장과 방광 등의 조직 상피에서 흡수하고, 먹이 등에 포함된 염류는 장내 상피세포에서 흡수한다. 또한 아가미의 새변에 담수형의 염류세포가 있어 액포상의 proton ATPase 효소의 작용으로 염류를 흡수하여 체액의 염도를 유지한다. 해수 어류의 경우는 체액이 환경수보다 염도가 낮기 때문에 생리적인 탈수현상을 막기 위해 다량의 해수를 체내로 유입시켜 장에서 수분을 흡수한다. In the case of freshwater fish, body fluid has a higher salinity than environmental water, so water continuously penetrates into the body through the gills, digestive organs, and epidermis. It keeps the body hydrated. At this time, monovalent ions, such as Na+, excreted with urine are absorbed by tissue epithelium such as kidney and bladder, and salts contained in food are absorbed by intestinal epithelial cells. In addition, there are salt cells of the fresh water type in the gill stool, which absorbs the salt by the action of proton ATPase enzyme on the vacuole to maintain the salinity of the body fluid. In the case of seawater fish, body fluid has a lower salinity than environmental water, so to prevent physiological dehydration, a large amount of seawater is introduced into the body to absorb moisture from the intestine.

연어류에 속하는 송어는 생물학적으로 담수(freshwater)에서 부화하여 치어로 성장 후 스몰트(Smolt) 시기가 되면 기수(Brackish water)에서 점차 염도를 해수순치과정(Seawater acclimation)을 겪는다. 따라서 육상수조에서 담수를 육상 또는 바다공간에 설치된 순치장에서 기수를, 그리고 바다 가두리에서 해수를 공급해야한다. Trout belonging to the salmon family are biologically hatched in freshwater, grow into fry, and then gradually salinize in brackish water and undergo Seawater acclim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ly fresh water from the onshore tank, brackish water from a sanctuary installed on land or sea space, and seawater from a sea cage.

담수에 익숙해져 있는 송어를 바다로 이동시키는 것은 어체에 상당히 부담을 주는 것이기 때문에 어체는 건강하면서 환경의 변화에 견딜 수 있는 상태로 사육한 후 해수로 이동시키는 것이 적절한데 이와 같은 상태는 수정 후 담수(육상)에서 길러져 1년 정도 경과하면, 체중이 200~350g 정도가 일반적이다. Since moving trout used to freshwater to the sea places a considerable burden on the fish body, it is appropriate to raise the fish body in a state that is healthy and tolerant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and then move it to sea water. (On land) After about a year of being raised, the weight is usually around 200-350g.

따라서 통상적인 내수면 양식장에서는 200g 전후의 중간 육성어를 구입해 일정 기간 해수순치한 후 해상 가두리나 육상 수조식 양식장에 입식시키고 6~7개월 동안 양성하여 평균 2kg 크기의 성어로 출하시킨다. 출하 크기는 900g~3kg까지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지역별 수온, 입식크기, 출하시기 등의 차이 때문이며 양식 기술의 차이도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한다.Therefore, in normal inland fish farms, medium-sized fish weighing around 200 g are purchased, acclimatized to seawat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tocked in marine cages or onshore tank farms, nurtured for 6-7 months, and released as adult fish with an average size of 2 kg. Shipment size varies greatly by region, ranging from 900g to 3kg, due to differences in water temperature, stocking size, and shipping time by region, and differences in aquaculture technology also act as a factor.

하지만 그러나 담수에서 150~200g 내외로 사육시킨 후 다시 해수순치를 위해서 바다로 이동하는 상당한 물류비용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냉수성 어류인 송어를 해수 사육을 위해 해수의 온도(계절)를 고려하여야하므로 이러한 중간육성어의 해수 입식과정은 그 생장속도 증진효과에 비하여 비용이 많이 필요로 하므로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However, after breeding in fresh water at around 150~200g, it requires considerable logistical costs to move back to the sea for acclimatization. The seawater stocking process of intermediate-raised fish is criticized for its low economic efficiency because it requires a lot of cost compared to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growth rate.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치어 단계에서 해수에 입식하여 빠른속도로 성장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높은 폐사율로 인하여 제한적으로만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order to overcome this, a method of stocking in seawater at the fry stage and growing at a high speed is used, but research is limited due to the high mortality rate.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1180호(000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751180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55214호(0002)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552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송어의 치어를 해수에 순치시켜 송어를 기존의 양식방법에 비하여 빠른속도로 성장시킬 수 있는 송어의 해수순치 과정에서 폐사율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limatize the fry of trout in seawater to grow the trout at a faster rate than the conventional aquaculture method. to provide a way to redu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송어의 순치 과정을 최적화하는 것으로 치어 크기의 송어 순치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폐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송어의 해수순치 과정에서 폐사율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ducing the mortality rate in the process of acclimatization of trout by optimizing the acclimatization process of trout, which can minimize the mortality that may occur in the acclimatization process of fry size trou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송어의 수정시 중성화한 송어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송어의 육질 및 성장속도가 향상된 송어의 해수순치 과정에서 폐사율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ducing the mortality rate of trout in the seawater treatment process of trout with improved meat quality and growth rate by generating neutralized trout during fertilization of trout.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정된 송어 치어를 어체중 10~30g까지 성장시키는 단계; 상기 성장된 치어를 저염도에서 순치키는 1차 순치 단계; 상기 1차 순치 단계가 완료된 이후 염도를 상승시키는 1차 및 2차 염도 상승단계; 상기 2차 염도 상승단계가 완료된 이후 염도를 유지하는 2차 순치단계; 및 상기 2차 순치단계 이후 염도를 해수의 염도까지 상승시키는 3차 염도 상승단계를 포함하는 송어의 해수순치 과정에서 폐사율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growing the modified trout fry to 10 to 30 g of body weight; a first step of acclimatizing the grown fry at low salinity; 1st and 2nd salinity raising step of increasing salinity after the 1st acclimatization step is completed; a second step of maintaining salinity after the second step of increasing salinity is completed; and a third salinity raising step of increasing the salinity to the salinity of the seawater after the second acclimatization step.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어의 해수순치 과정에서 폐사율을 감소시키는 방법은, 상기 성장된 치어를 5~6psu의 염도에서 5~10일간 순치키는 1차 순치 단계; 상기 1차 순치 단계가 완료된 이후 1~1.5psu/day의 속도로 20psu까지 상승시키는 1차 염도 상승단계; 상기 1차 염도 상승단계가 완료된 이후 2psu/day의 속도로 24~26psu까지 상승시키는 2차 염도 상승단계; 상기 2차 염도 상승단계가 완료된 이후 3~5일간 유지하는 2차 순치단계; 및 상기 2차 순치단계 이후 0.5~1.5psu/day의 속도로 33~36psu까지 상승시키는 3차 염도 상승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송어 치어는 생식능이 제거된 전암컷 3배체 송어이며, 상기 전암컷 3배체 송어는, 송어 수컷 성체에서 채취된 정액 100중량부에 생리식염수 800~1200중량부를 첨가하여 희석시키는 단계; 상기 생리식염수로 희석된 정액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Y염색체를 불활성화 시키는 단계; 송어 암컷 성체에서 채취된 난자에 상기 불활성화된 정액을 첨가하여 수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정이 완료된 이후 5~15분간 방치하고 25~30℃의 온도에서 10~30분간 온도충격을 주어 제2극체의 방출을 억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정되며, 상기 불활성화 시키는 단계에서 사용된 자외선은 2000~2500μW/㎠의 강도로 10~20분간 조사되며; 상기 송어 양식은, 양식조; 상기 양식조에서 배수된 물이 공급되는 광생물 반응기; 및 상기 광생물 반응기를 통과한 물이 공급되어 여과되며, 여과된 물을 상기 양식조로 공급하는 여과조를 포함하는 양식 시스템에서 수행되며, 상기 광생물 반응기는, 상기 양식조에서 공급되는 물을 각 광생물반응기 본체로 공급하는 분배관; 내부에 미세조류 및 물을 포함하며, 상기 분배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광생물반응을 수행하는 1~30개의 광생물반응기 본체; 상기 광생물반응기 본체에서 배출되는 물을 여과조로 공급하는 물 공급부; 및 상기 광생물 반응기를 일정위치에 고정하는 광생물 반응기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광생물 반응기 본체는, 고분자 필름으로 제조되어 내부에 반응공간을 형성하는 필름형 본체; 상기 반응공간에 위치하며, 광생물반응을 수행하는 미세조류; 상기 필름형 본체를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상기 필름형 본체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반응공간의 내부로 상기 분배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부; 및 상기 필름형 본체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반응공간 내부의 물을 상기 물공급부로 공급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생물 반응기 프레임은, 상기 광생물 반응기 본체의 상단이 고정되는 상단 수평프레임; 상기 광생물 반응기 본체의 하단이 고정되는 하단 수평프레임; 상기 상단 수평 프레임과 하단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광생물 반응기 본체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상단 수평 프레임과 하단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며, 길이방향으로 2~100개의 LED가 배열되어 있는 광공급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여과조는 호기조 및 혐기조를 포함하며; 상기 호기조는, 4면벽과 바닥으로 형성되는 내부에 상단이 상기 4면벽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로 되며 전단이 4면벽 중 전면벽의 내면 중간에 고정되는 전측부와 전측부의 후단에서 좌측으로 직각연장되며 4면벽 중 후면벽의 내면과 격리되게 좌단이 4면벽 중 좌면벽의 내면 후측에 고정되는 후측부와 후측부의 하단에 천공되는 유통구를 구비하는 제1격판에 의해 구획형성되어 상기 광생물 반응기를 통과한 물을 1차 침전시키는 침전실; 상단의 높이가 상기 제1격판보다 낮으며 좌단은 전측부의 우면 후단에 고정하고 우단은 4면벽 중 우면벽의 후측에 밀착고정하는 제2격판에 의해 침전실의 후방에 위치하게 구획형성되어 상기 침전실을 통과한 물을 1차 여과하는 제1여과실; 상단의 높이가 상기 제1격판보다는 낮고 제2격판보다는 높으며 제2격판과 4면벽 중 전면벽의 우측부 사이에서 좌단은 제1격판의 전측부 우면에 밀착고정하고 우단은 4면벽중 우면벽에 고정하며 하단부는 바닥과 격리되게 설치되어 하단부와 바닥 사이에 유통부가 형성되게 하는 제3격판에 의해 제1여과실 우측부 전방에 구획형성되어 상기 제1 여과실을 통과한 물을 2차 여과하는 제2여과실; 상기 제3격판에 의해 제2여과실의 전방에 구획형성되어 상기 제2 여과실을 통과한 물을 3차 여과하는 제3여과실; 상단이 상기 4면벽 중 전면벽의 우측부 상측에 천공되는 구멍에 결합고정되어 제3여과실의 물을 혐기조로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침전실에 하부로부터 차례로 적층되는 광물질과 스펀지필터 및 부직포필터; 및 상기 제1~3여과실의 바닥에 깔아주는 광물질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혐기조는, 4면벽, 상부 및 바닥으로 형성되는 혐기조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임펠러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물을 혼합하는 임펠러;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혐기조 4면벽 중 죄측면 벽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3여과실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혐기조 내부로 주입하는 공급부; 상기 혐기조 4면벽중 우측벽 상단이 연결되어 상기 호기반응이 완료된 물을 배출하여 양식조로 공급하는 배출부; 및 상기 혐기조에 유기성분을 공급하는 유기성분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thod of reducing the mortality rate in the process of acclimatization of the trout includes a primary acclimatization step of acclimatizing the grown fry for 5 to 10 days at a salinity of 5 to 6 psu; a first salinity raising step of increasing to 20 psu at a rate of 1 to 1.5 psu/day after the first acclimatization step is completed; a second salinity raising step of increasing to 24-26 psu at a rate of 2 psu/day after the first salinity raising step is completed; a second acclimatization step of maintaining for 3 to 5 days after the second salinity raising step is completed; and a tertiary salinity increasing step of increasing to 33 to 36 psu at a rate of 0.5 to 1.5 psu/day after the second acclimatization step, wherein the trout fry are pre-female triploid trout from which fertility has been removed, and the pre-female 3 Diluting the diploid trout by adding 800 to 1200 parts by weight of physiological saline to 100 parts by weight of semen collected from adult male trout; inactivating the Y chromosome by irradiating ultraviolet light to the semen diluted with the physiological saline; fertilization by adding the inactivated semen to eggs collected from adult trout females; And after the modification is completed, it is left for 5 to 15 minutes and subjected to a temperature shock at a temperature of 25 to 30° C. for 10 to 30 minutes to suppress the emission of the second polar body, and in the step of inactivating The used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for 10-20 minutes at an intensity of 2000-2500 μW/cm 2 ; The trout culture is, aquaculture; a photobioreactor to which water drained from the aquaculture tank is supplied; And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hotobioreactor is supplied and filtered, and it is carried out in a culture system comprising a filtration tank for supplying the filtered water to the aquaculture tank, wherein the photobioreactor receives the water supplied from the aquaculture tank a distribution pipe supplying the bioreactor body; 1 to 30 photobioreactor bodies that contain microalgae and water therein, and perform a photobiological reaction using water supplied from the distribution pipe;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photobioreactor body to a filtration tank; and a photobioreactor frame for fixing the photobioreacto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herein the photobioreactor body includes: a film-type body made of a polymer film to form a reaction space therein; Microalgae located in the reaction space and performing a photobiological reaction; fixing means for fixing the film-type body to the frame; an injection unit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lm-type body to inject water supplied from the distribution pipe into the reaction space; and a discharge unit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lm-type body and supplying water from the inside of the reaction space to the water supply unit, wherein the photobioreactor frame includes: an upper horizontal frame to which an upper end of the photobioreactor body is fixed; a lower horizontal frame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photobioreactor body is fixed; a vertical frame connecting the upper horizontal frame and the lower horizontal frame so that the photobioreactor body can maintain a constant height; and a light supply frame formed between the vertical frames, connecting the upper horizontal frame and the lower horizontal frame, and having 2 to 100 LED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filtration tank includes an aerobic tank and an anaerobic tank, ; The exhalation tank is formed by a four-sided wall and a floor, and the upper end is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end of the four-sided wall, and the front end is fixed in the middl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wall among the four walls, and extends from the rear end of the front part to the left at right angles The left end is fixed to the rea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 wall among the four walls so as to be isola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wall among the four walls, and is partitioned by a first diaphragm having a flow hole drilled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wall, a precipitation chamber for precipitating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reactor; The height of the upper end is lower than the first diaphragm, the left end is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right side of the front part, and the right end is partitioned to b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settling chamber by a second diaphragm fixed to the rear of the right side wall among the four walls. a first filtration chamber for primary filtration of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ttling chamber; The height of the upper end is lower than the first diaphragm and higher than the second diaphragm, and between the second diaphragm and the right side of the front wall among the four-sided walls, the left end is closely fixed to the right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diaphragm, and the right end is fixed to the right side wall of the four-sided wall It is fixed and the lower end is installed to be separated from the floor and is partitioned in front of the right side of the first filter chamber by a third diaphragm that allows a distribution part to be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floor to secondary filter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filter chamber second filtration chamber; a third filter chamber that is partitioned in front of the second filter chamber by the third partition plate and tertiarily filters wa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filter chamber; a supply pipe having an upper end fixed to a hole drill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front wall among the four side walls to supply water from the third filtration chamber to the anaerobic tank; a mineral material, a sponge filter, and a non-woven fabric filter stacked sequentially from the bottom in the precipitation chamber; and a mineral material laid on the floor of the first to third filter chambers; The anaerobic tank, an anaerobic tank body formed of four walls, an upper portion and a bottom; a rotating shaft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rotate the impeller inside the main body at a constant speed; an impell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to mix water inside the body; a moto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shaft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a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left side wall among the four walls of the anaerobic tank and injecting water supplied from the third filtration chamber into the anaerobic tank; a discharge unit connected to the upper right side of the four walls of the anaerobic tank to discharge water from which the aerobic reaction is completed and supply it to the aquaculture tank; and an organic component supply unit for supplying an organic component to the anaerobic tank.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송어의 치어를 해수와 동일한 농도의 염도로 순치시켜 성장시키는 것으로 기존의 송어 양식방법에 비하여 빠른속도로 송어를 성장시킬 수 있는 송어의 해수순치 과정에서 폐사율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rtality rate is reduced in the process of acclimatization of trout, which can grow trout at a faster rat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rout culture method by growing the fry of trout by acclimatization to the same concentration of salinity as seawater. method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송어의 정액을 채취한 다음, 이를 특정한 처치방법에따라 처리하는 것으로 다배체의 송어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송어의 성장이 극대화된 송어의 해수순치 과정에서 폐사율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polyploid trout by collecting the semen of trout and then treating it according to a specific treatment method, and thus a method of reducing the mortality rate in the process of trout in seawater in which the growth of the trout is maximized. can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송어의 양식시 양식조의 물을 순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기존의 송어 양식방법에 비하여 물 교체시 발생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송어의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어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경제적인 송어의 해수순치 과정에서 폐사율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irculates the water of the aquaculture tank when trout is cultured. Compared to the existing trout culture method, the cost incurred when replacing water can be minimized, and the trout excrement can be treated, which is more economical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It may provide a method for reducing mortality in the brine acclimatization process of phosphorus trout.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적혈구의 관찰결과로 (a) 및 (b)는 정상 2배체 송어 (c) 및 (d)는 3배체 송어의 적혈구 크기를 비교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생식소 조직검사를 나타낸 사진으로 (a)는 정상 송어의 난소, (b)는 정상 송어의 정소 (c)는 3배체 송어의 난소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날짜에 따른 폐사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식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생물 반응기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호기조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h 혐기조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1 is a comparison of the red blood cell size of (a) and (b) normal diploid trout (c) and (d) as the result of observation of red blood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hotograph showing a gonad biops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normal trout ovary, (b) is a normal trout testis, and (c) is a triploid trout ovary.
3 is a graph showing the mortality rate according to the d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aquacultu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the structure of a photobiore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the structure of an aerobic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the structure of the anaerobic tank 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variously modified. Certain embodiments may be depic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e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various embodiments. Therefore, the technical spirit is not limit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terms. The above terminology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is present in the middle.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Meanwhile, as used herein, a “module” or “unit” for a component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odule” or “unit” may perform a function or operation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 addition, a plurality of “modules” or a plurality of “units” other than a “module” or “unit” that must be performed in specific hardware or are executed in at least one processor may be integrated into at least one module.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abbreviated or omitted.

본 발명은 수정된 송어 치어를 어체중 10~30g까지 성장시키는 단계; 상기 성장된 치어를 저염도에서 순치키는 1차 순치 단계; 상기 1차 순치 단계가 완료된 이후 염도를 상승시키는 1차 및 2차 염도 상승단계; 상기 2차 염도 상승단계가 완료된 이후 염도를 유지하는 2차 순치단계; 및 상기 2차 순치단계 이후 염도를 해수의 염도까지 상승시키는 3차 염도 상승단계를 포함하는 송어의 해수순치 과정에서 폐사율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growing the fertilized trout fry up to 10-30 g of fish body weight; a first step of acclimatizing the grown fry at low salinity; 1st and 2nd salinity raising step of increasing salinity after the 1st acclimatization step is completed; a second step of maintaining salinity after the second step of increasing salinity is completed; and a third salinity raising step of increasing the salinity to the salinity of the seawater after the second acclimatization step.

기존의 송어 양식방법은 송어를 민물에서 양식하는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는 송어의 염수 순치과정이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염수를 제조하거나 바다가로 송어를 이송시키는 비용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육상 양식 시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송어의 경우 염수에 순치시켜 성장시키는 경우 그 성장속도가 상승하며, 이는 상기 염수 제조비용 및 이송비용보다 더 경제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existing trout farming method mainly consists of cultivating trout in fresh water. It is widely used in land-based aquaculture facilities because it does not require brine acclimatization of trout and does not require the cost of preparing brine or transporting the trout to the sea. However, in the case of trout, when grown by acclimatization to brine, the growth rate increases, which is known to be more economical than the brine production cost and transport cost.

하지만 송어 치어 단계에서 염수로 순치시키는 것은 폐사율이 높기 때문에 대부분의 양식 방법의 경우 어체중 100g내외의 송어를 순치시키고 있다. 이러한 100g내외의 중간 육성어 상태에서 순치시키는 것은 필요한 염수의 양도 많은 뿐만 아니라 바닷물을 이용하기 위하여 바닷가로 이동하는 비용도 많이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치어 단계에서 순치시키는 경우 시장에 판매되는 크기인 1.5kg에 도달하는데까지 걸리는 기간을 14개월 정도로 단축할 수 있어 중간육성어를 순치하여 걸리는 기간인 20개월에 비하여 월등하게 경제적이다.However, acclimatization with brine in the fry stage has a high mortality rate, so most aquaculture methods use acclimatization of trout weighing less than 100 g. To acclimatize in such an intermediate breeding state of about 100 g, not only the amount of salt water required is large, but also the cost of moving to the beach to use sea water is requir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acclimatization at the fry stage, the period it takes to reach the size of 1.5 kg sold in the market can be shortened to about 14 months, which is far more economical than the 20 months of acclimatization of intermediate breeding fish.

다만 어체중 50g미만의 치어를 염수에 순치하는 경우 폐사율이 높을 수 있으므로 적절단 단계를 거쳐 순치시키는 것으로 폐사율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when acclimatization of fry with a body weight of less than 50 g in brine, the mortality rate may be high.

이를 위하여 상기 송어 순치 방법은, 상기 성장된 치어를 5~6psu의 염도에서 5~10일간 순치키는 1차 순치 단계; 상기 1차 순치 단계가 완료된 이후 1~1.5psu/day의 속도로 20psu까지 상승시키는 1차 염도 상승단계; 상기 1차 염도 상승단계가 완료된 이후 2psu/day의 속도로 24~26psu까지 상승시키는 2차 염도 상승단계; 상기 2차 염도 상승단계가 완료된 이후 3~5일간 유지하는 2차 순치단계; 및 상기 2차 순치단계 이후 0.5~1.5psu/day의 속도로 33~36psu까지 상승시키는 3차 염도 상승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trout breeding method includes a first breeding step of acclimatizing the grown fry at a salinity of 5-6 psu for 5-10 days; a first salinity raising step of increasing to 20 psu at a rate of 1 to 1.5 psu/day after the first acclimatization step is completed; a second salinity raising step of increasing to 24-26 psu at a rate of 2 psu/day after the first salinity raising step is completed; a second acclimatization step of maintaining for 3 to 5 days after the second salinity raising step is completed; and a third salinity raising step of increasing to 33 to 36 psu at a rate of 0.5 to 1.5 psu/day after the second acclimatization step.

상기 1차 순치단계는 상기 어체중 10~30g까지 성장시킨 치어를 저농도의 염수에 입식하여 순치하는 단계로 송어 치어가 사용되는 양식조에 염분을 추가하여 송어 치어를 적응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송어 치어가 10g미만의 어체중을 가지는 경우 상기 순치단계에서 폐사율이 높아질 수 있으며, 30g을 초과하는 경우 필요한 염수의 양이 많아짐과 더불어 이동시 사용되는 비용이 늘어날 수 있어 비경제적이다.The first acclimatization step is a step of stocking the fry grown to 10 to 30 g of the fish body weight in low-concentration brine and acclimatizing the fry. At this time, if the fry of the trout have a fish weight of less than 10 g, the mortality rate may increase in the acclimatization stage, and if it exceeds 30 g, the amount of brine required increases and the cost used for movement may increase, which is uneconomical.

상기 1차 순치단계는 치어를 5~6psu의 염도에서 5~10일간 순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염도가 5psu미만인 경우 후술할 순치단계에서 염도의 변화가 급격하여 폐사율이 높아질 수 있으며, 6psu를 초과하는 경우 높은 염도로 인하여 상기 1차 순치단계에서 치어가 폐사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1차 순치단계가 5일 미만인 경우 치어의 염도 적응이 불완전하여 후술할 순치단계에서 폐사율이 높아질 수 있고, 10일이상 순치하는 경우 더 이상 효과가 없어 비경제적이다.In the first acclimatization step, it is preferable to acclimatize the fry for 5 to 10 days at a salinity of 5 to 6 psu. At this time, if the salinity is less than 5 psu, the salinity change may be abrupt in the acclimatization step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mortality rate may increase. In addition, if the first acclimatization stage is less than 5 days, the salinity adaptation of the fry is incomplete, and the mortality rate may increase in the acclimatization stage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1차 순치 단계가 완료된 이후 중간염도까지 염도를 상승시키는 1차 및 2차 염도 상승단계를 거칠 수 있다. 이 염도 상승단계는 상기 1차 순치단계를 거친 치어가 폐사하지 않는 최대 염도인 중강염도 단계까지 염도를 점진적으로 상승시키는 단계로, 낮은 속도로 염도를 상승시키는 1차 염도 상승단계와 빠른 속도로 연도를 상승시키는 2차 염도 상승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After the first acclimatization step is completed, the first and second salinity raising steps of increasing the salinity to intermediate salinity may be performed. This salinity raising step is a step of gradually increasing the salinity to a medium-strong salinity stage, which is the maximum salinity at which the fry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first acclimatization stage do not die. It may consist of a secondary salinity raising step that raises the

상기 1차 염도 상승단계는 낮은 속도로 염도를 상승시켜 치어의 염도적응성을 높이는 단계로, 낮은 속도로 연도를 상승시켜 치어 채내의 염도 조절 메커니즘을 적응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1차 염도 상승단계는 1~1.5psu/day의 속도로 20psu까지 염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도 상승의 속도가 1psu/day 미만인 경우 염도 상승에 많은 시간이 필요로 하여 비경제적이며, 1.5psu/day를 초과하는 속도로 상승시키는 경우 치어가 상승되는 염도에 적응하지 못하여 폐사율이 높아질 수 있다.The first salinity raising step is a step to increase the salinity adaptability of the fry by increasing the salinity at a low rate, and is a step of adjusting the salinity control mechanism in the fry by raising the flue at a low rate. In this case, in the first salinity raising step,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salinity to 20 psu at a rate of 1 to 1.5 psu/day. If the rate of salinity increase is less than 1 psu / day, it is uneconomical because it requires a lot of time to increase the salinity. .

상기 1차 염도 상승단계를 거치며 치어는 높아지는 염도에 적응하게 되므로 빠른 속도로 염도를 상승시켜 중간염도에 도달시킬 수 있다. 이를 2차 염도 상승단계라 하며, 2psu/day의 속도로 24~26psu까지 염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염도가 24psu 미만으로 상승되는 경우 2차 순치단계에서 치어의 폐사율을 줄어들지만 3차 염도상승단계에서 폐사율이 증가할 수 있으며, 26psu를 초과하는 염도로 상승시키는 경우 2차 순치단계에서 폐사율이 높아질 수 있다.Through the first salinity raising step, the fry adapt to the increasing salinity, so it is possible to quickly increase the salinity to reach the intermediate salinity. This is called the secondary salinity raising step, and the salinity can be increased to 24 to 26 psu at a rate of 2 psu/day. At this time, if the salinity is raised to less than 24 psu, the mortality rate of fry is reduced in the second acclimatization stage, but the mortality rate may increase in the tertiary salinity raising stage. can rise

상기 2차 염도 상승단계가 완료된 이후 3~5일간 2차 순치단계를 거칠 수 있다. 상기 24~26psu염도 구간 즉 중간염도 단계는 치어의 폐사율이 가장 높은 단계로 이 구간에서 순치를 시켜 치어의 폐사율을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치어는 상기 중간염도 단계에서 염분을 배출하는 체내 메커니즘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후술할 최종 염도 즉 해수와 동일한 염도에서도 용이하게 순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2차 순치단계가 3일 미만인 경우 3차 순치단계에서 폐사율이 증가할 수 있으며, 5일을 초과하여 2차 순치하는 경우 더 이상의 효과는 없어 비경제적이다.After the second salinity raising step is completed, a second acclimatization step may be performed for 3 to 5 days. The 24-26 psu salinity section, that is, the intermediate salinity step, is a step with the highest mortality rate of fry, and it is preferable to lower the mortality rate of fry by acclimatizing in this section. At this time, the fry can maximize the body mechanism for discharging salt in the intermediate salinity stage, and thus can be easily acclimatized even at the final salinity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same salinity as seawater. At this time, if the secondary acclimatization stage is less than 3 days, the mortality rate may increase in the tertiary acclimatization stage.

상기 2차 순치가 완료되면 상기 순치된 치어를 3차 염도 상승단계를 거쳐 해수의 염도까지 순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3차 염도 상승단계는 0.5~1.5psu/day의 속도로 33~36psu까지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단계의 경우 높은 염도에서 순치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1차 및 2차 염도 상승단계에 비하여 낮은 속도로 염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차 염도 상승단계의 속도가 0.5psu/day 미만인 경우 염도를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실간이 길어져 비경제적이며, 1.5psu/day를 초과하는 속도로 상승시키는 경우 폐사율이 높아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염도는 해수의 염도인 33~36psu까지 상승시킬 수 있으며, 이는 기상조건 및 치어의 상태에 따라 적절히 가감할 수 있다.When the secondary acclimatization is completed, the acclimatized fry may go through a tertiary salinity raising step to instantaneously reach the salinity of seawater. In this case, the third salinity raising step is preferably increased to 33 to 36 psu at a rate of 0.5 to 1.5 psu/day. In this step, since it is acclimatized at high salinity,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salinity at a low rate compared to the first and second salinity raising steps. When the rate of the third salinity raising step is less than 0.5 psu/day, the real time required to increase the salinity is long, which is uneconomical, and when the rate is higher than 1.5 psu/day, the mortality rate may increase. Through this, the salinity can be increased to 33-36 psu, which is the salinity of seawater, which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weather conditions and the state of the fry.

본 발명에 사용되는 송어 치어의 경우 빠른 성장을 위하여 생식능이 제거된 전암컷 (all female) 3배체 송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송어가 일정크기 이상으로 성장하게 되면 생식을 위하여 정소 또는 알집(난소 또는 난자)을 성장시키게 된다. 이는 세대 번식을 위한 자연의 섭리이지만 양식의 관점에서는 공급되는 에너지를 성장에 사용하지 않아 비효율적이다. 특히 정소 및 난소의 섭취를 제한적으로만 하는 송어의 경우 이러한 정소 및 난소의 성장은 체성장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치어의 경우 생식능이 제거된 전암컷 3배체 송어를 사용하여 정소 또는 난소의 성장을 최소화하여 빠른 속도로 시장 출하가 가능한 크기로 성장시킬 수 있다.In the case of trout fr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ll female triploid trout from which fertility has been removed for rapid growth. In general, when a trout grows to a certain size or more, testes or egg nests (ovaries or eggs) are grown for reproduction. This is nature's providence for generation reproduction, but in terms of aquaculture, it is inefficient because the supplied energy is not used for growth.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rout with limited intake of testes and ovaries, the growth of the testes and ovaries may act as an obstacle to body growth.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fr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growth of testes or ovaries by using pre-female triploid trout from which fertility has been removed, so that they can be rapidly grown to a size that can be shipped to the market.

이를 위하여 상기 전암컷 3배체 송어는, 송어 수컷 성체에서 채취된 정액 100중량부에 생리식염수 800~1200중량부를 첨가하여 희석시키는 단계; 상기 생리식염수로 희석된 정액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Y염색체를 불활성화 시키는 단계; 송어 암컷 성체에서 채취된 난자에 상기 불활성화된 정액을 첨가하여 수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정이 완료된 이후 5~15분간 방치하고 25~30℃의 온도에서 10~30분간 온도충격을 가하여 제2극체의 방출을 억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정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pre-female triploid trout is diluted by adding 800 to 1200 parts by weight of physiological saline to 100 parts by weight of semen collected from adult male trout; inactivating the Y chromosome by irradiating ultraviolet light to the semen diluted with the physiological saline; fertilization by adding the inactivated semen to eggs collected from adult trout females; And it can be modified in a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suppressing the emission of the second polar body by allowing the correction to be left for 5 to 15 minutes and applying a temperature shock for 10 to 30 minutes at a temperature of 25 to 30 ℃ after the modification is completed.

상기 수컷 성체에서 채취된 정액은 그 농도가 높아 후술할 자외선 처리 시 모든 정자에 자외선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생리식염수로 희석하여 정자에 자외선이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생리식염수는 채취된 정액 100중량부 대비 800~1200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리식염수가 80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후술할 자외선 조사과정에서 자외선 처리되지 않은 정자가 기준치 이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1200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되는 경우 난자와 접촉이 어려워 수정률이 떨어질 수 있다. Since the concentration of semen collected from the adult male is high, UV rays may not be transmitted to all sperm during UV treatmen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dilute it with physiological saline so that the ultraviolet rays can be uniformly transmitted to the sperm. At this time, the physiological saline is preferably added in an amount of 800 to 12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llected semen. When the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less than 800 parts by weight, untreated sperm may be generated in excess of the standard value in the UV irradiation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상기와 같이 희석된 정액은 자외선을 조사하여 Y염색체를 불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외선은 2000~2500μW/㎠의 강도로 10~20분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이 상기 범위 미만의 강도 또는 시간으로 조사되는 경우 Y염색체의 불활성화율이 떨어져 원하는 수준의 전암컷 3배체 송어를 수득하기 어려우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강도 또는 시간동안 조사되는 경우 강한 자외선으로 인하여 정자가 불활성화될 수 있어 수정률이 떨어질 수 있다.The diluted semen can be irradiated with ultraviolet light to inactivate the Y chromosom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irradiate the ultraviolet rays with an intensity of 2000-2500 μW/cm 2 for 10-20 minutes. When the ultraviolet ray is irradiated with an intensity or time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inactivation rate of the Y chromosome is lowered, making it difficult to obtain a desired level of pre-female triploid trout. Sperm can be inactivated, which can reduce fertility.

상기와 같이 자외선에 의하여 Y염색체가 불활성화된 이후 상기 정액은 성체 암컷 송어에서 채취된 난자(알)에 혼합되어 수정될 수 있다. 이 과정은 기존에 사용되는 건식 수정방법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불활성화된 Y염색체의 정자가 상기 난자와 수정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2배체의 수정란 및 3배체의 수정란이 발생될 수 있다. 이따 상기 정자와 난자의 원활한 수정을 위하여 5~15분간 방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the Y chromosome is inactivated by ultraviolet light as described above, the semen may be mixed with an egg (egg) collected from an adult female trout and fertilized. This process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dry fertilization method used in the past. In this process, the inactivated Y chromosome sperm may be fertilized with the egg, and a normal diploid fertilized egg and a triploid fertilized egg may be generated. It is preferable to leave it for 5 to 15 minutes for smooth fertilization of the sperm and egg.

상기와 같이 수정이 완료된 다음, 25~30℃의 온도에서 10~30분간 온도충격을 가하여 제2극체의 방출을 억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과정에서 상기 불활성화된 Y염색체를 가지는 정자와 수정된 난자는 염색체의 배수화가 일어날 수 있으며, 이는 불활성화된 염색체를 가지는 수정란의 부화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2극체 방출 억제 과정이 상기 온도 및 시간 범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 제2 극체의 방출이 억제되지 않아 3배체를 가지는 수정란의 부화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온도충격으로 인하여 전체적인 부화율이 감소될 수 있다.After the correction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suppress the emission of the second polar body by applying a temperature shock at a temperature of 25 to 30° C. for 10 to 30 minutes. In this process, the sperm and the fertilized egg having the inactivated Y chromosome may undergo chromosomal doubling, which may increase the hatching rate of the fertilized egg having the inactivated chromosome. When the second polar body release suppression process is performed below the temperature and time range, the second polar body release is not suppressed, so the hatchability of fertilized eggs having a triploid may fall, and if it exceeds the above range, the overall The hatchability may be reduced.

상기와 같이 2배체 및 3배체의 수정란을 가지는 송어 치어의 경우 부화율이 평균 80%이상일 수 있다. 기존의 송어 수정란 부화율 역시 80%이상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상기 과정을 거친 경우에도 유사한 부화율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열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는 경우 Y염색체가 비활성화된 수정란의 경우 부화이전 폐사하기 때문에 부화율이 대폭 감소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rout fry having diploid and triploid fertilized eggs as described above, the average hatching rate may be 80% or more. Since the conventional trout fertilized egg hatching rate is also 80% or more, it can have a similar hatching rate even after the above process. However, if the heat treatment process is not performed, the incubation rate may be greatly reduced because the fertilized eggs in which the Y chromosome is inactivated die before hatching.

또한 상기 송어 양식방법의 경우 염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염도를 변화시키는 과정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순치과정에서 사용되는 염수의 경우 바닷물을 이용할 수 있지만 상기 순치과정은 내륙의 양식조에서 수행될 수밖에 없으므로 상기 바닷물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많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닷물을 정화하여 재순환시키는 것으로 상기 송어 양식과정에 사용되는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trout culture method, it corresponds to a process of changing the salinity by continuously supplying brine. In general, in the case of brine used in the acclimatizat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seawater can be used, but since the acclimatization process is inevitably performed in an inland aquaculture tank, a large cost may occur when the seawater is continuously us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used in the trout culture process by recirculating the purifying the seawater.

이를 위하여 상기 송어 양식은, 양식조; 상기 양식조에서 배수된 물이 공급되는 광생물 반응기; 및 상기 광생물 반응기를 통과한 물이 공급되어 여과되며, 여과된 물을 상기 양식조로 공급하는 여과조를 포함하는 양식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trout culture is a farm; a photobioreactor to which water drained from the aquaculture tank is supplied; And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hotobioreactor is supplied and filtered, and it may be carried out in a culture system comprising a filtration tank for supplying the filtered water to the aquaculture tank.

상기 광생물 반응기는 상기 양식조(100)에서 배출되는 물의 영양염류 즉 송어의 배설물을 영양분으로 하여 상기 물에 산소를 공급하는 부분으로 미세조류를 이용한 광생물 반응기(200)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photobioreactor is a part that supplies oxygen to the water using nutrients of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aquaculture tank 100, that is, excrement of trout as nutrients. It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photobioreactor 200 using microalgae. .

이를 위하여 상기 광생물 반응기는 상기 양식조에서 공급되는 물을 각 광생물반응기 본체로 공급하는 분배관; 내부에 미세조류 및 물을 포함하며, 상기 분배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광생물반응을 수행하는 1~30개의 광생물반응기 본체; 상기 광생물반응기 본체에서 배출되는 물을 여과조로 공급하는 물 공급부; 및 상기 광생물 반응기를 일정위치에 고정하는 광생물 반응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photobioreactor includes: a distribution pipe for supplying water supplied from the aquaculture tank to each photobioreactor body; 1 to 30 photobioreactor bodies that contain microalgae and water therein, and perform a photobiological reaction using water supplied from the distribution pipe;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photobioreactor body to a filtration tank; and a photobioreactor frame for fixing the photobioreacto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일반적인 광생물 반응기는 그 처리용량이 크지 않으며, 처리 시간도 많이 걸리고 있다. 따라서 상기 광생물 반응기를 직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원하는 산소를 공급하기 이전 상기 광생물 반응기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크기가 큰 광생물 반응기를 사용하는 경우 그 취급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반응기 내부 환경 조성 및 관리가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일정크기를 가지는 광생물 반응기 다수를 병렬로 설치하는 것으로 원하는 산소의 보급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관리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 general photobioreactor does not have a large processing capacity and takes a lot of processing time. Therefore, when using the photobioreactor in direct connection, it can pass through the photobioreactor before supplying desired oxygen. 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a large-sized photobioreactor to overcome this, it may be difficult to handle, and it may be difficult to create and manage the environment inside the reactor.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desired oxygen supply can be performed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photobioreactors having a certain size in parallel, and the management can also be facilitated.

상기 분배관(210)은 상기 양식조에서 공급되는 물을 각 광생물 반응기(220)로 분배하여 공급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양식조와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광생물 반응기 본체(22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배관(210)은 상기 양식조에 연결된 분배관을 다수개의 분지를 가지도록 연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다수개의 광생물 반응기 본체(220)에 상기 양식조를 거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생물 반응기의 분리를 위하여 상기 분배관 타단의 끝에는 벨브 또는 피팅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광생물 반응기의 관리를 위하여 분리하거나 일부 광생분 반응기 만을 연결하는 경우 상기 벨브 또는 피팅을 이용하여 일부 분배관의 흐름을 막는 것으로 원하는 광생물 반응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The distribution pipe 210 distributes and supplies the water supplied from the aquaculture tank to each photobioreactor 220 ,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aquaculture tank, and the other end is to be coupled to the photobioreactor body 220 . can In this case, the distribution pipe 210 may connect the distribution pipe connected to the aquaculture tank to have a plurality of branches, and through this,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culture tank may be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photobioreactor bodies 220 . In addition, a valve or a fitting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distribution pipe for separation of the photobioreactor. That is, when separating or connecting only some of the photobioreactors for management of the photobioreactor,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desired photobioreactor by blocking the flow of some distribution pipes using the valve or fitting.

상기 광생물 반응기 본체(220)는 상기 분배관(210)에서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내부의 미세조류를 배양하는 것으로 영양염류를 제거하며, 물에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고분자 필름으로 제조되어 내부에 반응공간을 형성하는 필름형 본체; 상기 반응공간에 위치하며, 광생물반응을 수행하는 미세조류; 상기 필름형 본체를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상기 필름형 본체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반응공간의 내부로 상기 분배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부; 및 상기 필름형 본체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반응공간 내부의 물을 상기 여과조로 공급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hotobioreactor body 220 serves to remove nutrients and supply oxygen to the water by culturing the microalgae therein us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distribution pipe 210 . To this end, a film-type body made of a polymer film to form a reaction space therein; Microalgae located in the reaction space and performing a photobiological reaction; fixing means for fixing the film-type body to the frame; an injection unit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lm-type body to inject water supplied from the distribution pipe into the reaction space; and a discharge part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lm-type body and supplying water in the reaction space to the filtration tank.

상기 필름형 본체(221)는 상기 광생물 반응기의 외면을 구성하는 부분으로, 필름을 이용하여 제작됨에 따라 내부에 일정한 공간(반응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필름형 본체(221)는 단순히 튜브형 필름의 상하단을 막아 원통형의 반응기를 제작할 수 있지만, 두 장의 필름 테두리를 접합한 다음, 필름의 사이에 물과 미세조류를 공급하여 광생물 반응기를 제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필름의 접합으로 제작되는 광생물 반응기의 경우 반응기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어 원통형 반응기에 비하여 광효율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필름형 반응기는 기존에 사용되는 고분자 또는 유리로 제작되는 판을 이용한 반응기에 비하여 무게가 가벼우며, 반응기 자체가 연성을 가지고 있어 충격에 강하므로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필름형 본체는 상기 미세조류의 성장과 반응을 위하여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필름형 반응기는 투명하게 제작되며 얇은 두께를 가지고 있으므로 광 투과 효율이 우수하여, 상기 물에 많은 양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선택적인 미세조류의 배양을 위하여 일부 파장의 빛을 차단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필름이 특정 색상을 가지도록 제작하는 것으로 특정 파장의 빛을 차단하거나 특정 파장의 빛 만을 투과시키는 것도 가능하다.The film-type body 221 is a part constitu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hotobioreactor, and as it is manufactured using a film, it is possible to secure a certain space (reaction space) therein. This film-type body 221 can simply block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tubular film to produce a cylindrical reactor, but a photobioreactor can be manufactured by bonding two film edges and then supplying water and microalgae between the films. . In the case of a photobioreactor manufactured by bonding such films, the thickness of the reactor can be made thin, so it can have the advantage of superior light efficiency compared to a cylindrical reactor. In addition, the film-type reactor is light in weigh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reactor using a plate made of polymer or glass, and the reactor itself has ductility and is strong against impact, so it is easy to handle. In addition, the film-type body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for the growth and reaction of the microalgae. That is, since the film-type reactor is transparently manufactured and has a thin thickness, the light transmission efficiency is excellent, and a large amount of oxygen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block light of some wavelengths for selective culturing of microalgae, it is possible to block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or transmit only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by making the film to have a specific color.

상기 반응공간에는 미세조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조류는 물속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산소를 생성하는 미생물로, 기존의 관상어 양식 시스템의 경우 폭기 또는 산소펌프를 이용하어 산소를 공급하기 때문에 스 효율이 낮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상기 광생물 반응기내의 미세조류를 이용하여 산소를 공급하고 있으므로 이산화탄소의 감소 및 산소의 증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세조류는 상기 산소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미세조류를 회수하여 양식용 사료로 가공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reaction space may contain microalgae. The microalgae are microorganisms that generate oxygen by using carbon dioxide present in water. In the case of the existing ornamental fish culture system, since oxygen is supplied using aeration or an oxygen pump, the gas efficiency is low, but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bioreactor Since oxygen is supplied using microalgae in the interior, carbon dioxide reduction and oxygen increase can be simultaneously performed. In this case, the microalgae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ey can provide the oxygen,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llect the microalgae and process it into aquaculture feed.

상기 고정수단(222)은 상기 필름형 본체(221)를 일정한 공간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필름형 본체(222)를 수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다수개의 필름형 본체를 배열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광생물 반응기는 다수개의 필름형 본체가 배열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필름형 본체를 이용하여 원하는 양의 물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xing means 222 is a means for fixing the film-type body 221 in a predetermined space, and at the same time vertically fixing the film-type body 222, a plurality of film-type bodies can be arranged and fixed. Through this, a plurality of film-type bodies may be arranged in the photobioreactor, and it is preferable to supply oxygen to a desired amount of water using a plurality of film-type bodies.

상기 필름형 본체(221)에는 물을 주입하기 위한 물주입구(224)와 반응이 완료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물 배출구(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주입구(224)의 경우 원활한 주입을 위하여 상기 필름형 본체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물 배출구(223)의 경우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반응기 내에서 일정시간 체류한 물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 배출구(223)의 경우 상기 내부의 미세조류가 혼합되어 배출되지 않도록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The film-type body 221 may include a water inlet 224 for injecting water and a water outlet 223 for discharging the reaction-completed water. In the case of the water inlet 224, it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ilm-type body for smooth injection, and in the case of the water outlet 223, it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water that has stayed in the reactor for a certain time It is preferable to discharge through the outlet.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water outlet 223, a filter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microalgae inside are not mixed and discharged.

상기 광생물 반응기 프레임은, 상기 광생물 반응기 본체의 상단이 고정되는 상단 수평프레임; 상기 광생물 반응기 본체의 하단이 고정되는 하단 수평프레임; 상기 상단 수평 프레임과 하단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광생물 반응기 본체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상단 수평 프레임과 하단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며, 길이방향으로 2~100개의 LED가 배열되어 있는 광공급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The photobioreactor frame may include an upper horizontal frame to which an upper end of the photobioreactor body is fixed; a lower horizontal frame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photobioreactor body is fixed; a vertical frame connecting the upper horizontal frame and the lower horizontal frame so that the photobioreactor body can maintain a constant height; and a light supply frame formed between the vertical frames, connecting the upper horizontal frame and the lower horizontal frame, and having 2 to 100 LED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광생물 반응기 프레임은 상기 광생물 반응기 본체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하단을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광생물 반응기 본체는 상단이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241)에 연결되며, 하단이 상기 하단 수평 프레임(242)에 연결될 수 있다. The photobioreactor frame may have the photobioreactor body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upper and lower ends may be fixed to maintain a constant shape. To this end, the photobioreactor body may have 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upper horizontal frame 241 , and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lower horizontal frame 242 .

또한 상기 상기 수직프레임(243) 사이에는 광공급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공급 프레임은 상기 미세조류가 광합성을 하는 것에 필요한 빛을 공급하는 수단으로, 상기 수직프레임(243)과 동일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표면에 다수개의 LED가 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광 공급 프레임은 상기 광생물 반응기에 많은 양의 빛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 light supply frame may be included between the vertical frames 243 . The light supply frame is a means for supplying light necessary for the microalgae to perform photosynthesis, and is formed in the same vertical direction as the vertical frame 243 so that a plurality of LEDs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Through this, the light supply frame can supply a large amount of light to the photobioreactor.

특히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LED의 경우 형광물질과 조합하는 것으로 원하는 파장의 빛을 방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크기가 작고 전력효율이 높아 상기와 같은 광생물 반응기에는 LED를 사용하여 빛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recently used LED, it is preferable to use an LED to supply light to the photobioreactor as described above because it can emit light of a desired wavelength by combining it with a fluorescent material, and has a small size and high power efficiency. .

또한 상기 LED는 상기 광공급프레임 1개 당 2~100개 바람직하게는 5~20개가 길이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LED가 1개만 설치되는 경우 원활한 빛의 공급이 어려울 수 있으며, 100개를 초과하여 배열되는 경우 소모되는 전력이 늘어나게 되어 비효율적이다.In addition, 2 to 100 LEDs per one light supply frame, preferably 5 to 20 LEDs, may b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case, when only one LED is installed, it may be difficult to supply light smoothly, and when more than 100 LEDs are arranged, power consumption increases, which is inefficient.

상기 광생물 반응기를 통과한 물을 여과조를 거쳐 여과되어 정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여과조는 호기조(300)와 혐기조(4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photobioreactor may be filtered and purified through a filtration tank. To this end, the filtration tank may include an aerobic tank 300 and an anaerobic tank 400 .

상기 호기조(300)는 호기반응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4면벽과 바닥으로 형성되는 내부에 상단이 상기 4면벽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로 되며 전단이 4면벽 중 전면벽의 내면 중간에 고정되는 전측부와 전측부의 후단에서 좌측으로 직각연장되며 4면벽 중 후면벽의 내면과 격리되게 좌단이 4면벽 중 좌면벽의 내면 후측에 고정되는 후측부와 후측부의 하단에 천공되는 유통구를 구비하는 제1격판에 의해 구획형성되어 상기 광생물 반응기를 통과한 물을 1차 침전시키는 침전실; 상단의 높이가 상기 제1격판보다 낮으며 좌단은 전측부의 우면 후단에 고정하고 우단은 4면벽 중 우면벽의 후측에 밀착고정하는 제2격판에 의해 침전실의 후방에 위치하게 구획형성되어 상기 침전실을 통과한 물을 1차 여과하는 제1여과실; 상단의 높이가 상기 제1격판보다는 낮고 제2격판보다는 높으며 제2격판과 4면벽 중 전면벽의 우측부 사이에서 좌단은 제1격판의 전측부 우면에 밀착고정하고 우단은 4면벽중 우면벽에 고정하며 하단부는 바닥과 격리되게 설치되어 하단부와 바닥 사이에 유통부가 형성되게 하는 제3격판에 의해 제1여과실 우측부 전방에 구획형성되어 상기 제1 여과실을 통과한 물을 2차 여과하는 제2여과실; 상기 제3격판에 의해 제2여과실의 전방에 구획형성되어 상기 제2 여과실을 통과한 물을 3차 여과하는 제3여과실; 상단이 상기 4면벽 중 전면벽의 우측부 상측에 천공되는 구멍에 결합고정되어 제3여과실의 물을 혐기조로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침전실에 하부로부터 차례로 적층되는 광물질과 스펀지필터 및 부직포필터; 및 상기 제1~3여과실의 바닥에 깔아주는 광물질을 구비할 수 있다.The aerobic tank 300 is installed to perform an aerobic reaction, and the upper end is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end of the four-sided wall in the interior formed by the four walls and the floor, and the front end is fixed in the middl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wall among the four walls It extends to the left at right angles from the rear end of the front side and the front side, and the left end is fixed to the rea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 wall among the four side walls so as to be isola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wall among the four side walls. a precipitation chamber that is partitioned by a first diaphragm to first precipitat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hotobioreactor; The height of the upper end is lower than the first diaphragm, the left end is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right side of the front part, and the right end is partitioned to b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settling chamber by a second diaphragm fixed to the rear of the right side wall among the four walls. a first filtration chamber for primary filtration of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ttling chamber; The height of the upper end is lower than the first diaphragm and higher than the second diaphragm, and between the second diaphragm and the right side of the front wall among the four-sided walls, the left end is closely fixed to the right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diaphragm, and the right end is fixed to the right side wall of the four-sided wall It is fixed and the lower end is installed to be separated from the floor and is partitioned in front of the right side of the first filter chamber by a third diaphragm that allows a distribution part to be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floor to secondary filter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filter chamber second filtration chamber; a third filter chamber that is partitioned in front of the second filter chamber by the third partition plate and tertiarily filters wa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filter chamber; a supply pipe having an upper end fixed to a hole drill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front wall among the four side walls to supply water from the third filtration chamber to the anaerobic tank; a mineral material, a sponge filter, and a non-woven fabric filter stacked sequentially from the bottom in the precipitation chamber; And it may be provided with a mineral material spread on the floor of the first to third filter chambers.

상기 침전실(310)은, 상단이 호기조(300)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로 되며 전단이 상기 호기조의 전면벽의 중간부분 내면에 밀착고정되는 전측부와, 상기 전측부의 후단에서 좌측으로 직각연장되며 상기 호기조 후면벽의 내면과 소정간격으로 격리되게 좌단이 좌면벽의 내면 후측에 밀착고정되는 후측부와, 상기 후측부의 하단에 제1여과실과 통하게 천공되는 유통구를 구비하는 "ㄱ"형태의 제1격판에 의해 형성된다.The settling chamber 310, the upper end is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end of the aerobic tank 300, the front end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iddle part of the front wall of the aerobic tank, and the front end is extended at right angles from the rear end of the front end to the left. A "L" shape provided with a rear portion having the left end tightly fixed to the rear inner surface of the seat wall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wall of the aerobic tank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distribution port drilled through the first filter chamber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portion formed by the first diaphragm of

또한, 침전실(310)에는 하부로부터 광물질과 스펀지필터와 부직포필터가 차례로 적층되며, 상기 광생물 반응기에서 공급된 물이 유입되어 상기 부직포필터와 스펀지필터를 차례로 거치면서 불순물이 물리적으로 걸러져 여과됨은 물론 상기 필터 및 여과조 내부에 위치하는 호기성미생물에 의해 생물학적 여과가 동시에 이루어진 다음 광물질을 거치면서 미네랄이 공급된다.In addition, in the settling chamber 310, a mineral material, a sponge filter, and a non-woven fabric filter are sequentially stacked from the bottom,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photobioreactor flows in and passes through the non-woven fabric filter and the sponge filter in order to physically filter out impurities. Of course, biological filtration is simultaneously performed by the aerobic microorganisms located inside the filter and the filtration tank, and then minerals are supplied through the minerals.

상기 제1여과실(320)은, 상단의 높이는 제1격판보다 낮으며 좌단은 상기 침전실 전측부의 우면 후단에 밀착고정하고 우단은 호기조의 우면벽의 후측에 밀착고정되어 상기 호기조의 후면벽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격판에 의해 침전실과 제2여과실(330)의 후방에 위치하게 형성되며, 바닥에 소정두께로 깔아주는 광물질을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filtration chamber 320, the height of the upper end is lower than the first diaphragm, the left end is closely fixed to the right rear end of the front side of the settling chamber, and the right end is tightly fixed to the rear side of the right side wall of the aerobic tank to the rear wall of the aerobic tank It is formed to b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settling chamber and the second filtration chamber 330 by the second diaphragm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diaphragm, and may be provided with a mineral material laid on the floor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이러한 제1여과실(320)은, 상기 침전실(310)에서 제1격판의 하단에 형성된 유통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바닥으로부터 광물질을 거치면서 차오르는 과정에서 미네랄이 공급되게 함과 동시에 불순물이 있으면 흡착제거 될 수 있다.This first filtration chamber 320, in the settling chamber 310, through the flow port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diaphragm, the mineral is supplied in the process of filling up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mineral from the bottom, and at the same time impurities are removed. If there is, it can be adsorbed and removed.

그리고,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 제1격판의 상단보다 높이가 낮은 제2격판의 상단을 통하여 제2여과실의 상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And, when the water level rises,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filtration chamber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second diaphragm, which is lower in height than the upper end of the first diaphragm.

상기 제2여과실(330)은, 상단의 높이가 제1격판보다는 낮고 제2격판보다는 높으며 상기 제2격판과 호기조 전면벽의 우측부 사이에서 좌단은 상기 제1격판의 전측부 우면에 밀착고정하고 우단은 상기 호기조의 우면벽에 각각 밀착고정하며 하단부는 호기조의 바닥과 소정간격으로 격리되게 설치되는 제3격판에 의해 제1여과실(320)의 우측부 전방에 위치하게 형성되며, 바닥에 깔아주는 광물질과, 상기 하단부와 호기조의 바닥과 소정간격에 의해 제3여과실(340)의 하부와 통하게 형성되는 유통부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econd filtration chamber 330 has an upper end lower than the first diaphragm and higher than the second diaphragm, and the left end between the second diaphragm and the right side of the front wall of the aerobic tank is tightly fixed to the right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diaphragm and the right end is closely fixed to the right side wall of the aerobic tank, and the lower end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right side of the first filtration chamber 320 by a third diaphragm installed to be separated from the floor of the aerobic tank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t may be provided with a distribution part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part of the third filtration chamber 34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lower part and the bottom of the aerobic tank and the mineral material to be spread.

이와 같은 제2여과실(330)은, 제1여과실(320)에서 여과 및 미네랄이 공급된 물이 제2격판의 상단을 넘어 상부로 유입되어 하부로 흐르면서 바닥에 깔린 광물질을 거치면서 미네랄이 더 공급되게 함과 동시에 불순물이 있으면 흡착제거되게 하며, 상기 광물질을 거친 물은 유통부를 통해 제3여과실의 하부로 유입될 수 있다.In this second filtration chamber 330, the water filtered and supplied with minerals in the first filtration chamber 320 flows into the upper part beyo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diaphragm, flows downward, and passes through the mineral matter laid on the floor. If there is an impurity, it is adsorbed and removed at the same time as further supply, and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mineral may be introduc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third filtration chamber through the distribution unit.

상기 제3여과실(340)은 제3격판에 의해 제2여과실(330)의 전방에 위치하게 형성되며, 바닥에 깔아주는 광물질과, 호기조 전면벽의 우측부 상측에 천공되는 구멍에 결합되며 제3여과실의 물을 후술할 혐기조(400)에 공급하는 공급관을 구비할 수 있다.The third filtration chamber 340 is formed to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second filtration chamber 330 by a third diaphragm, and is coupled to the mineral material laid on the floor and a hole drilled i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front wall of the aerobic tank. A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third filtration chamber to the anaerobic tank 4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rovided.

이러한 제3여과실(340)은, 제2여과실(330)에서 여과 및 미네랄이 공급된 물이 유통부를 통해 하부로 유입되어 차오르면서 바닥에 깔린 광물질을 거치게 되므로 미네랄이 더 공급되게 함과 동시에 불순물이 있으면 흡착제거되게 하며, 그 수위가 공급관(350)의 상단에 이르면 흘러내려서 후술할 혐기조(4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is third filtration chamber 340, the water filtered and supplied with minerals in the second filtration chamber 330 flows into the lower part through the distribution unit and passes through the minerals laid on the floor as it fills up, so that more minerals are supplied. At the same time, if there is an impurity, it is adsorbed and removed, and when the water level reaches the upper end of the supply pipe 350, it flows down and can be supplied to the anaerobic tank 40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혐기조(400)는 상기 호기조(300)에서 여과 및 호기처리된 물을 혐기성 세균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곳으로 폐쇠된 공간에서 처리를 수행하는 혐기조의 특성상 폐쇠된 반응기 내부에 물을 공급한 다음, 이를 혐기반응시켜 인 및 질소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The anaerobic tank 400 is a place where the water filtered and aerobic treated in the aerobic tank 300 is treated using anaerobic bacteria. This anaerobic reaction can be performed to remove phosphorus and nitrogen components.

이를 위하여 상기 혐기조는 4면벽, 상부 및 바닥으로 형성되는 혐기조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임펠러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물을 혼합하는 임펠러;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혐기조 4면벽 중 죄측면 벽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3여과실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혐기조 내부로 주입하는 공급부; 상기 혐기조 4면벽중 우측벽 상단이 연결되어 상기 호기반응이 완료된 물을 배출하여 광생물 반응기로 공급하는 배출부; 및 상기 혐기조에 유기성분을 공급하는 유기성분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anaerobic tank includes an anaerobic tank body formed of four walls, an upper part and a bottom; a rotating shaft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rotate the impeller inside the main body at a constant speed; an impell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to mix water inside the body; a moto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shaft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a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left side wall among the four walls of the anaerobic tank and injecting water supplied from the third filtration chamber into the anaerobic tank; a discharge unit connected to the upper right side of the four walls of the anaerobic tank to discharge the water from which the aerobic reaction is completed and supply it to the photobioreactor; and an organic component supply unit for supplying an organic component to the anaerobic tank.

상기 본체(410)는 상기 혐기조의 반응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공기와 접촉하여 산소가 공급되지 않을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호기조와는 달리 밀폐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에서는 혐기성 미생물이 용이하게 반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호기조를 통과한 물이 포함되어 있는 인과 질소설분을 제거할 수 있다.The main body 410 is a part that forms the reaction space of the anaerobic tank, and since it is necessary not to supply oxygen in contact with air, it may be manufactured in a closed type unlike the aerobic tank. Therefore, inside the anaerobic microorganisms can easily perform the reaction, through which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phosphorus and nitrogen powder contained in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aerobic tank.

상기 회전축(420)은 상기 혐기조의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일측에 임펠러(430)가 설치되어 있고 타측, 즉 혐기조의 외부에 모터가 설치되어 있어 임펠러(43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420)은 상기 혐기조의 상부를 관통하되 관통된 부분으로 공기가 유동하지 않도록 밀폐수단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The rotating shaft 420 is installed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anaerobic tank, and the impeller 430 is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motor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that is, outside of the anaerobic tank, It can serve to rotate the impeller 430. . The rotation shaft 420 passes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anaerobic tank, but may be connected using a sealing means so that air does not flow to the penetrated part.

상기 임펠러(430)는 상기 회전축(4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혐기조 내부의 물을 혼합하는 수단으로 상기 혐기조 내부의 물을 지속적으로 혼합하여 혐기성 세균의 활동을 도울 수 있다. 이때 상기 임펠러(430)는 단순히 2~6엽의 프로펠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 상기 혐기조 전체를 혼합하기 위해서 고속회전이 필요하며, 이러한 고속 회전은 혐기성 세균에게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임펠러를 사용할 수 있다.The impeller 43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otation shaft 420 to continuously mix the water inside the anaerobic tank as a means for mixing the water inside the anaerobic tank, thereby helping the activity of anaerobic bacteria. At this time, the impeller 430 may simply use a propeller of 2 to 6 blades, but in this case, high-speed rotation is required to mix the entire anaerobic tank, and this high-speed rotation may adversely affect anaerobic bacteria, so many An impeller comprising four blades may be used.

상기 임펠러(430)는 중앙부가 상기 회전축(420)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혐기조의 내면을 따라 연장된 주날개와 상기 주날개의 중단과 상기 회전축(420)의 중단을 연결하는 보조날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임펠러는 저속 회전을 하는 경우에도 상기 혐기조의 구석 부분까지 혼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국지적인 이상반응이 최소화되어 원하는 제거효율을 가질 수 있다.The impeller 430 has a central portion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420, a main wing extending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anaerobic tank, and an auxiliary wing connecting the middle of the main wing and the middle of the rotating shaft 420 can be Through this, even when the impeller rotates at a low speed, it is possible to mix up to the corner of the anaerobic tank, and through this, the local adverse reaction is minimized and thus a desired removal efficiency can be obtained.

또한 상기 임펠러(430)의 주날개는 상기와 같이 직선현 또는 평판형으로 제작된 “U”형의 주날개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 주날개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주날개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혐기조의 상하고 상기 물의 유동이 더욱 강해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임펠러에 의한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main wing of the impeller 430 may have a “U”-shaped main wing manufactured as a straight string or flat plate as described above, but the main wing may be installed to rotat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 In this case, the upper and lower flow of the water may be stronger by the rotation of the main blade, which means that the efficiency by the impeller may be increased.

또한 상기 혐기조의 경우 2~10개의 층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도 7 참조). 상기 혐기조 반응의 경우 일정시간동안 혐기성 반응을 수행하여 인 및 질소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체류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혐기조를 2~10개의 층으로 제작하되 각 층에는 각각의 임펠러를 설치하고 각 층사이에 일정한 통공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혐기조에 유입되는 물의 체류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임펠러는 각각의 모터에 연결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모터와 회전축에 다수개의 임펠러가 일렬로 연결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naerobic tank may be manufactured to have 2 to 10 layers (see FIG. 7 ). In the case of the anaerobic reaction, it is preferable to remove phosphorus and nitrogen by performing an anaerobic reac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In order to secure such a residence time, the anaerobic tank is manufactured in 2 to 10 layers, each impeller is installed in each layer, and a constant vent is formed between each layer to maintain a constant residence time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anaerobic tank. can In this case, the impeller may be connected to each motor, but a plurality of impellers may be connected in series to one motor and a rotating shaft.

상기 공급부(440)와 배출부(450)는 상기 혐기조에 상기 호기조를 통과한 물을 주입하거나 혐기반응이 완료된 물을 배출하는 부분으로, 상기 공급부는 상기 혐기조의 하부에 상기 배출부는 상기 혐기조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호기조를 지난 물은 상기 혐기조의 하부로 공급되며 일정시간동안 상기 혐기조 내에서 체류하며 호기반응을 수행하고 상기 배출구를 거쳐 배출될 수 있다.The supply part 440 and the discharge part 450 are parts for injecting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aerobic tank into the anaerobic tank or for discharging the water after the anaerobic reaction has been completed. can be located in Through this,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aerobic tank is supplied to the lower part of the anaerobic tank, stays in the anaerobic tank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performs an aerobic reaction, and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아울러 상기 배출부의 경우 상기 혐기성 미생물과 물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배출부에는 이를 분리하기 위한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이 필터의 경우 원심분리기나 사이클론과 같은 원심력을 이용한 분리기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단순히 적절한 공극 크기를 가지는 필터를 설치하여 상기 혐기성 미생물과 물을 분리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preferable to separate and discharge the anaerobic microorganisms and water in the case of the discharge unit, a filter for separating them may be installed in the discharge unit. In the case of this filter, a centrifugal separator or a centrifugal force separator such as a cyclone may be used, but a filter having an appropriate pore size may be installed to separate the anaerobic microorganisms and water.

또한 상기 혐기반응은 유기성분이 존재할때만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인 혐기반응은 물속에 포함되는 유기물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지만 질소 또는 인 성분이 많은 경우 상기 물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 만으로는 상기 혐기반응을 완료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런경우 상기 유기물을 보충하기 위하여 유기성분 공급부를 상기 혐기조에 추가하여 부족한 유기성분을 보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성분으로는 메탄올이 가장 적합하지만 상기 메탄올의 경우 물에 잔류하게 되면 송어에게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인체에도 유해하므로 취급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설탕을 물과 혼합하여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naerobic reaction can be carried out only when an organic component is present. A general anaerobic reaction may be performed using an organic material contained in water, but if there are many nitrogen or phosphorus components, the anaerobic reaction may not be completed with only the organic material contained in the water.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supplement the insufficient organic component by adding an organic component supply unit to the anaerobic tank in order to supplement the organic material. Methanol is most suitable as the organic component, but in the case of methanol, if it remains in water, it may have a bad effect on the trout, and it may be difficult to handle because it is harmful to the human body.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supply sugar by mixing it with water.

또한 상기 혐기조는 혐기성 반응의 결과로 질소 기체가 생성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출하기 위한 일방향 벨브가 상기 혐기조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일방향 벨브의 경우 배출되는 질소가 일정압력에 도달하는 경우 벨브가 개방되어 내부의 질소기체를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외부의 산소가 상기 혐기조 내부로 공급되지 않도록 일방향 벨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anaerobic tank may generate nitrogen gas as a result of the anaerobic reaction, a one-way valve for discharging it may be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anaerobic tank. In the case of the one-way valve, when the discharged nitrogen reaches a certain pressure, the valve is opened and serves to discharge the nitrogen gas inside. Using a one-way valve so that external oxygen is not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anaerobic tank desirable.

상기와 같이 혐기조를 통과한 물은 상기 영식조로 재순환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바닷물의 추가보충을 최소화하면서도 상기 송어의 양식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anaerobic tank can be recycled to the fish tank, and thus the trout can be cultured while minimizing the additional replenishment of seawat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a known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certain features presented in the drawings are enlarged, reduced, or simplified for ease of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and components thereof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ese details.

실시예 1Example 1

송어의 자성 발생성 전 암컷 생산을 위하여 평창군 미탄면 동천수산에서 선발된 송어 수컷 (n=5, 전장: 63.4±2.3cm; 체중: 3,415±576.8g) 과 암컷을 (n=17, 전장: 58.6±4.2cm; 체중: 3,519±835.7g) 실험에 사용하였다. Male trout (n=5, total length: 63.4±2.3cm; weight: 3,415±576.8g) and females (n=17, total length: 58.6± 4.2 cm; body weight: 3,519±835.7 g) was used in the experiment.

성 호르몬을 이용한 생리학적 성 전환 유도대신에 친환경적인 유전학적 성 전환을 위해 자외선 조사 방법을 이용하였다. 수컷의 복부를 압착하여 채정된 정자를 생리식염수와 10배로 희석하고, 아이스 위에서 UV에 조사하여 (2,070~2,200μW/cm2 x 15분) Y 염색체를 불활성화시켰다. 채란된 난자는 건식법으로 불활성화된 정액과 수정시킨 후 10분 뒤에 수정된 수정란에 온도 충격 (28℃, 20분)을 가하는 방식으로 제2 극체 방출을 억제하여 염색체 배수화를 유도하였다. Instead of inducing physiological sex change using sex hormones, ultraviolet irradiation was used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genetic sex change. The sperm collected by pressing the male's abdomen were diluted 10-fold with physiological saline and irradiated with UV light on ice (2,070-2,200 μW/cm2 x 15 minutes) to inactivate the Y chromosome. Chromosome ploidy was induced by suppressing the release of the second polar body by applying a temperature shock (28° C., 20 minutes) to the fertilized egg 10 minutes after fertilization with inactivated semen by the dry method.

상기와 같이 처리된 수정란의 부화율 및 발안율은 평균 85%으로 나타났다.The hatchability and germination rate of the fertilized eggs treated as described above were found to be 85% on average.

일반적으로 자외선에 의하여 불활성화된 정자가 정상 난자와 수정이 이루어질 경우 전부 폐사가 일어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자외선 처리 이후 온도충격을 주는 것으로 비교적 높은 발안율과 부화율을 나타냈다는 것은 송어에서도 환경 친화적 자성 발생성 종묘 생산이 가능함을 시사하고 있다. In general, when the sperm inactivated by UV light are fertilized with normal eggs, all of them die. Therefore, the fact that a relatively high hatching rate and hatching rate was achieved by giving a temperature shock after UV treatment as described above, even in trout. This suggests that the production of seedlings is possible.

아울러 입부침 사료를 먹는 치어 초기까지 폐사율은 25%선으로 나타나 자외선 처리 및 고온처리 방법을 이용한 자성발생성 전 암컷 종묘의 대량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addition, the mortality rate by the early stage of the larvae that eats larvae is around 25%, so it is judged that mass production of fertile female seedlings using UV treatment and high temperature treatment methods is possible.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생산된 종묘의 염색체 배수성를 확인하기 위하여 무작위로 약 6개월령 자어의 두부 뇌하수체 동맥 부분에서 채혈한 적혈구 사이즈를 측정하였고 (n=20), 또한 NOR(Nucleolus organizer regions) 검사법을 (김 등, 2017) 이용하여 배수체를 확인하였다. To check the chromosomal ploidy of the produced seedlings, the size of red blood cells collected from the head pituitary artery of a 6-month-old larva at random was measured (n=20), and the Nucleolus organizer regions (NOR) test method (Kim et al., 2017) was also used. to confirm the polyploid.

이때 사용된 NOR검사법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The NOR test method used at this time is specifically as follows.

1. 시료의 고정1. Fixation of the sample

--> 1.5ml EP튜브에 1mm 정도의 꼬리 지느러미를 작게 세절 한 후 Carnoy's 고정액에 조직을 고정한다--> Cut the caudal fin of about 1mm into small pieces in 1.5ml EP tube and fix the tissue in Carnoy's fixative.

2. 슬라이드 글라스위에 고정된 시료 단편을 올리고 잘게 잘라준다 (Mince)2. Place the fixed sample fragment on the slide glass and cut it into small pieces (Mince)

--> 1ml 주사기를 이용하여 조직을 실체 현미경하에서 최대한 잘게 세절한다. --> Using a 1ml syringe, mince the tissue as finely as possible under a stereomicroscope.

3. 50% Acetic acid 100ul 떨어트리고 실온에서 건조시킨다.3. Drop 100ul of 50% Acetic acid and dry at room temperature.

4. 건조가 끝나면 Silver Sol. A(1 drop), Silver Sol. B(2drop)를 넣고 혼합한다(빛에 노출을 최소화).4. After drying, Silver Sol. A (1 drop), Silver Sol. Add B (2drop) and mix (minimize exposure to light).

5. Hot plate(60℃)에 올리고 Golden-Brown 색으로 변할 때까지 기다린다.5. Put it on a hot plate (60℃) and wait until it changes to golden-brown color.

--> silver 염색약을 세절 된 조직위에 충분히 넣고 (~200ul) 6~7분정도 염색시킨다.--> Put enough silver dye on the chopped tissue (~200ul) and dye it for 6~7 minutes.

6. Stain이 끝나면 D.W로 수세 후 실온에서 건조6. After staining, wash with D.W and dry at room temperature

--> 조직이 떨어지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DW로 washing x3 해주고 실온에서 건조 후 현미경으로 NOR을 검사한다. (세포 내 2개의 핵이 보이면 2배체, 3개의 핵이 보이면 3배체, 4개가 보이면 4배 체로 판정한다) --> Wash 3 times with DW carefully so that the tissue does not fall off, and after drying at room temperature, inspect the NOR under a microscope. (If two nuclei are visible in the cell, it is determined as a diploid; if three nuclei are visible, it is determined as a triploid; if four nuclei are visible, it is determined as a tetraploid.)

상기 실시예 1의 수정란 성별을 판정하기 위해서는 약 8개월령의 자어에서 복부를 절개하고 생식소를 적출하여 (n=21)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서 압착법으로 현미경으로 성별을 판정하였다. 적혈구의 사이즈는 정상 2배체에 비하여 80% 이상의 개체가 약 1.5배 큰 사이즈를 나타냈고(도 1 참조), 생식소 조직 검사에서는 80%가 암컷, 10%가 간성으로 나타났으며, 수컷의 비율은 10%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도 2 참조). In order to determine the sex of the fertilized egg of Example 1, the abdomen was incised from the larvae of about 8 months of age, the gonads were removed (n=21), and the sex was determined under a microscope by pressing on a slide glass. The size of red blood cells was about 1.5 times larger than that of normal diploids in 80% or more individuals (see FIG. 1), and in the gonad biopsy, 80% were female and 10% were hepatic, and the ratio of males was It was found to be very low at 10% (see FIG. 2).

실시예 2Example 2

상기와 같이 3배체로 수정된 수정란을 이용하여 치어를 양식한 다음, 도 (4)에 나타난 양식조, 광생물 반응기, 호기조 및 혐기조가 설치된 양식 시스템에 공급하여 치어의 순치를 실시하였다.The fry were cultured using the fertilized eggs fertilized as triploid as described above, and then supplied to the aquaculture system in which the aquaculture tank, photobioreactor, aerobic tank and anaerobic tank shown in FIG.

이때 상기 실시예 1의 3배체 암컷과의 비교를 위하여 하기의 3종의 치어 및 중간 육성어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At this time, for comparison with the triploid female of Example 1, the following three types of fry and intermediate fish were used.

1. 전장 12~15cm 내외의 자어 전암컷 2배체 (19±2.2g, n=1,280미)1. A diploid female of 12~15cm in total length (19±2.2g, n=1,280)

2. 전장 11~16cm 내외의 자어 전암컷 3배체 (18±6.4g, n=1,530미)2. A total length of 11~16cm, pre-female triploid (18±6.4g, n=1,530 rice)

3. 전장 23~28cm 내외의 중간 육성어 (135±27g, n=1120미)3. Medium-grown fish with a total length of around 23-28cm (135±27g, n=1120 fish)

실험예 2Experimental Example 2

상기 실시예 2에서 준비된 3종의 송어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염수 순치를 실시하였다.The three types of trout prepared in Example 2 were subjected to brine inoculation in the following manner.

D1~D7 : 5~6psu 염도에서 1주일 간 유지.D1~D7 : Maintained for 1 week at 5~6psu salinity.

D8~D19 : 하루에 1~1.5psu씩 염도를 증가 (원형수조에 해수를 조금씩 유입하여 염도조절)D8~D19: Increase salinity by 1~1.5psu per day (salinity is adjusted by introducing seawater little by little into the round tank)

20psu까지 상승시킨다. (어체 체중, 체장 및 페사율 기록한다)Raise it to 20 psu. (Record the body weight, body length and pesa rate)

D20~D22 : 하루에 2psu 증가하여 2psu까지 염도를 상승시키 후 24~25psu에서 3~4일간 정치D20~D22: After increasing the salinity to 2psu by increasing 2psu per day, it is allowed to stand at 24~25psu for 3-4 days.

D23~D34 : 24~25psu 에서 34psu까지 하루에 1psu 씩 증가시켜 완전 해수염도까지 상승시켜 순치를 완료한다.D23~D34: From 24~25psu to 34psu, increase by 1psu per day to complete seawater salinity to complete acclimatization.

각 날짜에 따른 폐사율을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해수순치 기간 동안 전암컷 2배체 치어는 총 15.43%의 폐사율을 나타냈고, 전암컷 3배체 치어의 경우는 5.77%, 일반 육성어는 3.35%를 나타내 전암컷 2배체의 폐사율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현재까지 50~75g 사이의 연어과 어류를 해수순치할 경우 폐사율이 70~90%까지 발생한다고 알려진 것에 비하면 상당히 좋은 성적이라고 볼 수 있으며, 특히 전암컷 3배체 치어의 경우 육성어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15~20g 사의의 치어의 해수순치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The mortality rate according to each date is shown in FIG. 3 . As shown in FIG. 3 , the total mortality rate of pre-female diploid fry was 15.43%, 5.77% of pre-female diploid fry, and 3.35% of normal brood fish during the period of broodstock. appeared somewhat high. However, compared to the fact that the mortality rate of up to 70-90% of salmonids weighing between 50 and 75 g in seawater is known so far, this is a fairly good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eawater level of the fry of 15 to 20 g was possible.

실험예 3Experimental Example 3

무지개 송어 (Oncorhynchus mykiss)는 일생 동안 다양한 환경 문제에 직면하고 담수에서 바닷물로 전환하는 동안 염분과 온도의 지속적인 변화에 직면해야하는 회귀어종이다. 염분에 순응하는 동안 삼투압 조절에 대한 수온과의 (15°C vs 5°C) 상호 작용을 육성어를 이용하여 실험하였고 그 결과를 참고하여 치어의 해수순치에 적용하였다. The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is a tropical fish that must face a variety of environmental challenges throughout its life and constant changes in salinity and temperature during the transition from freshwater to saltwater. (15°C vs 5°C) interaction with water temperature for osmotic pressure control during salt acclimatization was tested using breeding fish, and the results were applied to the freshwater fish of fry.

염도 및 온도 처리 후 15°C 해수로 이송된 어류는 2~4 일 이내에 해수에 적응할 수 있었지만 5°C 해수로 이송된 어류는 4일 이내에 염도에 성공적으로 적응하지 못하고 약 18%의 폐사가 발생하였다. 5°C 해수에 노출된 그룹은 15°C에 노출된 그룹에 비해 혈장 이온과 삼투압 수치가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5°C 그룹에서 아가미 Na+/K+활성 수준은 증가하지 않았고, 15°C에 적응한 그룹은 아가미 Na+/K+활성의 특징적인 증가를 보여주었다. 5°C 바닷물에 노출된 어류에서 아가미 Na+/K+를 상향 조절하지 못하는 것은 성공적인 해수 적응을 위한 제한 메커니즘이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해수순치시 수온이 5~8°C의 낮은 온도 보다는 12~15°C 사이의 수온이 무지개 송어의 정상적인 염분 순응 과정에 도움을 주어 폐사율을 낮출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After salinity and temperature treatment, fish transferred to seawater at 15°C were able to adapt to seawater within 2 to 4 days, but fish transferred to seawater at 5°C did not successfully adapt to salinity within 4 days, resulting in approximately 18% mortality. did. The group exposed to 5°C seawate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lasma ions and osmolality than the group exposed to 15°C. The level of gill Na+/K+ activity did not increase in the 5°C group, and the group acclimatized to 15°C showed a characteristic increase in gill Na+/K+ activity. The failure to upregulate gill Na+/K+ in fish exposed to 5 °C seawater suggests that this is a limiting mechanism for successful seawater adaptation.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water temperature between 12~15°C, rather than the low temperature of 5~8°C, helps the rainbow trout to acclimatize to normal salinity, thereby lowering the mortality rat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having the knowledge of, of course,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양식조
200 : 광생물 반응기
210 : 물공급부
220 : 반응기 본체
221 : 필름형 본체
222 : 고정수단
223 : 배출부
224 : 주입부
230 : 물 배출부
241 : 상단 수평 프레임
242 : 하단 수평 프레임
243 : 수직 프레임
300 : 호기조
310 : 침전실
320 : 제1여과실
330 : 제2여과실
340 : 제3여과실
350 : 공급관
400 : 혐기조
410 : 본체
420 : 회전축
430 : 임펠러
440 : 공급부
450 : 배출부
100: aquaculture
200: photobioreactor
210: water supply unit
220: reactor body
221: film-type body
222: fixing means
223: discharge part
224: injection part
230: water outlet
241: upper horizontal frame
242: lower horizontal frame
243: vertical frame
300: aerobic
310: settling chamber
320: first filter room
330: second filter room
340: 3rd filter room
350: supply pipe
400: anaerobic tank
410: body
420: axis of rotation
430: impeller
440: supply
450: discharge part

Claims (2)

수정된 송어 치어를 어체중 10~30g까지 성장시키는 단계;
상기 성장된 치어를 저염도에서 순치키는 1차 순치 단계;
상기 1차 순치 단계가 완료된 이후 염도를 상승시키는 1차 및 2차 염도 상승단계;
상기 2차 염도 상승단계가 완료된 이후 염도를 유지하는 2차 순치단계; 및 상기 2차 순치단계 이후 염도를 해수의 염도까지 상승시키는 3차 염도 상승단계;
를 포함하는 송어의 해수순치 과정에서 폐사율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송어의 해수순치 과정에서 폐사율을 감소시키는 방법은,
상기 성장된 치어를 5~6psu의 염도에서 5~10일간 순치키는 1차 순치 단계;
상기 1차 순치 단계가 완료된 이후 1~1.5psu/day의 속도로 20psu까지 상승시키는 1차 염도 상승단계;
상기 1차 염도 상승단계가 완료된 이후 2psu/day의 속도로 24~26psu까지 상승시키는 2차 염도 상승단계;
상기 2차 염도 상승단계가 완료된 이후 3~5일간 유지하는 2차 순치단계; 및
상기 2차 순치단계 이후 0.5~1.5psu/day의 속도로 33~36psu까지 상승시키는 3차 염도 상승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송어 치어는 생식능이 제거된 전암컷 3배체 송어이며,
상기 전암컷 3배체 송어는,
송어 수컷 성체에서 채취된 정액 100중량부에 생리식염수 800~1200중량부를 첨가하여 희석시키는 단계;
상기 생리식염수로 희석된 정액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Y염색체를 불활성화 시키는 단계;
송어 암컷 성체에서 채취된 난자에 상기 불활성화된 정액을 첨가하여 수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정이 완료된 이후 5~15분간 방치하고 25~30℃의 온도에서 10~30분간 온도충격을 가하여 제2극체의 방출을 억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정되며,
상기 불활성화 시키는 단계에서 사용된 자외선은 2000~2500μW/㎠의 강도로 10~20분간 조사되며;
송어 양식은,
양식조;
상기 양식조에서 배수된 물이 공급되는 광생물 반응기; 및
상기 광생물 반응기를 통과한 물이 공급되어 여과되며, 여과된 물을 상기 양식조로 공급하는 여과조;
를 포함하는 양식 시스템에서 수행되며,
상기 광생물 반응기는,
상기 양식조에서 공급되는 물을 각 광생물반응기 본체로 공급하는 분배관;
내부에 미세조류 및 물을 포함하며, 상기 분배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광생물반응을 수행하는 1~30개의 광생물반응기 본체;
상기 광생물반응기 본체에서 배출되는 물을 여과조로 공급하는 물 공급부; 및
상기 광생물 반응기를 일정위치에 고정하는 광생물 반응기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광생물 반응기 본체는,
고분자 필름으로 제조되어 내부에 반응공간을 형성하는 필름형 본체;
상기 반응공간에 위치하며, 광생물반응을 수행하는 미세조류;
상기 필름형 본체를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상기 필름형 본체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반응공간의 내부로 상기 분배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부; 및
상기 필름형 본체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반응공간 내부의 물을 상기 물공급부로 공급하는 배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광생물 반응기 프레임은,
상기 광생물 반응기 본체의 상단이 고정되는 상단 수평프레임;
상기 광생물 반응기 본체의 하단이 고정되는 하단 수평프레임;
상기 상단 수평 프레임과 하단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광생물 반응기 본체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상단 수평 프레임과 하단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며, 길이방향으로 2~100개의 LED가 배열되어 있는 광공급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여과조는 호기조 및 혐기조를 포함하며;
상기 호기조는,
4면벽과 바닥으로 형성되는 내부에 상단이 상기 4면벽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로 되며 전단이 4면벽 중 전면벽의 내면 중간에 고정되는 전측부와 전측부의 후단에서 좌측으로 직각연장되며 4면벽 중 후면벽의 내면과 격리되게 좌단이 4면벽 중 좌면벽의 내면 후측에 고정되는 후측부와 후측부의 하단에 천공되는 유통구를 구비하는 제1격판에 의해 구획형성되어 상기 광생물 반응기를 통과한 물을 1차 침전시키는 침전실;
상단의 높이가 상기 제1격판보다 낮으며 좌단은 전측부의 우면 후단에 고정하고 우단은 4면벽 중 우면벽의 후측에 밀착고정하는 제2격판에 의해 침전실의 후방에 위치하게 구획형성되어 상기 침전실을 통과한 물을 1차 여과하는 제1여과실;
상단의 높이가 상기 제1격판보다는 낮고 제2격판보다는 높으며 제2격판과 4면벽 중 전면벽의 우측부 사이에서 좌단은 제1격판의 전측부 우면에 밀착고정하고 우단은 4면벽중 우면벽에 고정하며 하단부는 바닥과 격리되게 설치되어 하단부와 바닥 사이에 유통부가 형성되게 하는 제3격판에 의해 제1여과실 우측부 전방에 구획형성되어 상기 제1 여과실을 통과한 물을 2차 여과하는 제2여과실;
상기 제3격판에 의해 제2여과실의 전방에 구획형성되어 상기 제2 여과실을 통과한 물을 3차 여과하는 제3여과실;
상단이 상기 4면벽 중 전면벽의 우측부 상측에 천공되는 구멍에 결합고정되어 제3여과실의 물을 혐기조로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침전실에 하부로부터 차례로 적층되는 광물질과 스펀지필터 및 부직포필터; 및
상기 제1~3여과실의 바닥에 깔아주는 광물질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혐기조는,
4면벽, 상부 및 바닥으로 형성되는 혐기조 본체;
상기 혐기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임펠러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물을 혼합하는 임펠러;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혐기조 4면벽 중 죄측면 벽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3여과실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혐기조 내부로 주입하는 공급부;
상기 혐기조 4면벽중 우측벽 상단이 연결되어 혐기반응이 완료된 물을 배출하여 양식조로 공급하는 배출부; 및
상기 혐기조에 유기성분을 공급하는 유기성분 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어의 해수순치 과정에서 폐사율을 감소시키는 방법.
Growing the fertilized trout fry to a fish weight of 10 to 30 g;
a first step of acclimatizing the grown fry at low salinity;
1st and 2nd salinity raising step of increasing salinity after the 1st acclimatization step is completed;
a second step of maintaining salinity after the second step of increasing salinity is completed; and a third salinity raising step of increasing the salinity to the salinity of seawater after the second acclimatization step;
In the method of reducing the mortality rate in the seawater level process of trout comprising a,
A method to reduce the mortality rate in the process of seawater purification of trout is,
a first acclimatization step of acclimatizing the grown fry for 5 to 10 days at a salinity of 5 to 6 psu;
a first salinity raising step of increasing to 20 psu at a rate of 1 to 1.5 psu/day after the first acclimatization step is completed;
a second salinity raising step of increasing to 24 to 26 psu at a rate of 2 psu/day after the first salinity raising step is completed;
a second acclimatization step of maintaining for 3 to 5 days after the second salinity raising step is completed; and
a tertiary salinity raising step of increasing to 33-36 psu at a rate of 0.5-1.5 psu/day after the second acclimatization step;
includes,
The trout fry are pre-female triploid trout from which fertility has been removed,
The pre-female triploid trout,
diluting by adding 800 to 1200 parts by weight of physiological saline to 100 parts by weight of semen collected from adult male trout;
inactivating the Y chromosome by irradiating ultraviolet light to the semen diluted with the physiological saline;
fertilization by adding the inactivated semen to eggs collected from adult trout females; and
Suppressing the emission of the second polar body by leaving it to stand for 5 to 15 minutes after the modification is completed and applying a temperature shock for 10 to 30 minutes at a temperature of 25 to 30°C;
is modified in such a way as to include
The ultraviolet rays used in the inactivation step are irradiated with an intensity of 2000-2500 μW/cm 2 for 10-20 minutes;
trout farming,
aquaculture;
a photobioreactor to which water drained from the aquaculture tank is supplied; and
a filtration tank in which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hotobioreactor is supplied and filtered, and the filtered water is supplied to the aquaculture tank;
is performed in a form system that includes
The photobioreactor,
a distribution pipe for supplying water supplied from the aquaculture tank to each photobioreactor body;
1 to 30 photobioreactor bodies that contain microalgae and water therein, and perform a photobiological reaction using water supplied from the distribution pipe;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photobioreactor body to a filtration tank; and
a photobioreactor frame for fixing the photobioreacto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cludes,
The photobioreactor body,
a film-type body made of a polymer film to form a reaction space therein;
Microalgae located in the reaction space and performing a photobiological reaction;
fixing means for fixing the film-type body to the frame;
an injection unit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lm-type body to inject water supplied from the distribution pipe into the reaction space; and
a discharge unit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lm-type body and supplying water in the reaction space to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The photobioreactor frame,
an upper horizontal frame to which an upper end of the photobioreactor body is fixed;
a lower horizontal frame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photobioreactor body is fixed;
a vertical frame connecting the upper horizontal frame and the lower horizontal frame so that the photobioreactor body can maintain a constant height; and
a light supply frame formed between the vertical frames, connecting the upper horizontal frame and the lower horizontal frame, and having 2 to 100 LED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cludes,
the filtration tank includes an aerobic tank and an anaerobic tank;
The aerobic phase is
In the interior formed by the four-sided wall and the floor, the upper end is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end of the four-sided wall, and the front end is fixed in the middl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wall among the four-sided walls, and extends at right angles to the left from the rear end of the front part. The left end is separa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wall and is partitioned by a first diaphragm having a rear portion fixed to the inner surface rear side of the seat wall among the four side walls and a flow hole drilled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portion and passed through the photobioreactor. a precipitation chamber for precipitating water first;
The height of the upper end is lower than the first diaphragm, the left end is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right side of the front part, and the right end is partitioned to b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settling chamber by a second diaphragm fixed to the rear of the right side wall among the four walls. a first filtration chamber for primary filtration of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ttling chamber;
The height of the upper end is lower than the first diaphragm and higher than the second diaphragm, and between the second diaphragm and the right side of the front wall among the four-sided walls, the left end is tightly fixed to the right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diaphragm, and the right end is fixed to the right side wall of the four-sided wall It is fixed and the lower end is installed to be separated from the floor, and is partitioned in front of the right side of the first filter chamber by a third diaphragm that allows a distribution part to be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floor to secondary filter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filter chamber second filtration chamber;
a third filter chamber that is partitioned in front of the second filter chamber by the third partition plate and tertiarily filters wa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filter chamber;
a supply pipe having an upper end fixed to a hole drill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front wall among the four walls to supply water from the third filtration chamber to the anaerobic tank;
a mineral material, a sponge filter, and a non-woven fabric filter stacked sequentially from the bottom in the precipitation chamber; and
It is constituted by providing a mineral material to be spread on the floor of the first to third filtration chambers;
The anaerobic tank,
anaerobic tank body formed of a four-sided wall, top and bottom;
a rotating shaft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naerobic tank body to rotate the impeller inside the body at a constant speed;
an impell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to mix water inside the body;
a moto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shaft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a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left side wall of the four walls of the anaerobic tank and injecting water supplied from the third filtration chamber into the anaerobic tank;
a discharge unit connected to the upper right side of the four walls of the anaerobic tank to discharge the completed anaerobic reaction water and supply it to the aquaculture tank; and
an organic component supply unit for supplying an organic component to the anaerobic tank;
A method of reducing mortality in the process of trout in seaw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삭제delete
KR1020210046214A 2021-04-09 2021-04-09 Method to decrease mortality rate of trout on acclimation to seawater KR1023315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214A KR102331532B1 (en) 2021-04-09 2021-04-09 Method to decrease mortality rate of trout on acclimation to sea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214A KR102331532B1 (en) 2021-04-09 2021-04-09 Method to decrease mortality rate of trout on acclimation to seawa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532B1 true KR102331532B1 (en) 2021-12-01

Family

ID=78933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214A KR102331532B1 (en) 2021-04-09 2021-04-09 Method to decrease mortality rate of trout on acclimation to sea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53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229B1 (en) * 2022-02-16 2023-08-03 이장원 Seawater transfer regime of steelhead trout for improving hypoosmoregulatory adaptation, feed efficiency, and growth performan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041B1 (en) * 2007-08-03 2008-04-08 김종철 Fish breeding method using osmotic pressure control ability thereof
KR100979406B1 (en) * 2010-03-11 2010-09-01 전라남도 Sea water acclimation and culture method of rainbow trout and salmon
KR20150055214A (en) 2013-11-12 2015-05-21 김석춘 Rainbow trout breeding method using flowing water
KR101751180B1 (en) 2016-03-28 2017-06-29 강흥구 Extruded pellet feed manufacturing method by coating panax ginseng extract for raising trou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041B1 (en) * 2007-08-03 2008-04-08 김종철 Fish breeding method using osmotic pressure control ability thereof
KR100979406B1 (en) * 2010-03-11 2010-09-01 전라남도 Sea water acclimation and culture method of rainbow trout and salmon
KR20150055214A (en) 2013-11-12 2015-05-21 김석춘 Rainbow trout breeding method using flowing water
KR101751180B1 (en) 2016-03-28 2017-06-29 강흥구 Extruded pellet feed manufacturing method by coating panax ginseng extract for raising trou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229B1 (en) * 2022-02-16 2023-08-03 이장원 Seawater transfer regime of steelhead trout for improving hypoosmoregulatory adaptation, feed efficiency, and growth perform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8906B2 (en) Crustacean larva culture method and apparatus
CN103493759B (en) A kind of grouper scale artificial seedling rearing method
CN100372510C (en) Artificial culture of shrimp parents
CN104472412B (en) A kind of knife long-tailed anchovy staged mating system
CN109122443B (en) Australia freshwater lobster circulating water egg hatching system and seedling raising method
CN106922583A (en) A kind of Macrobrachium rosenbergii SPF(It is virus-free)Offspring breeding method
CN110771543B (en) Litopenaeus vannamei high-density culture method based on multistage biological self-regulation system
CN102106326B (en) Method for three-dimensional and artificial seedlings cultivation of perinereis aibuhitensis
CN105850814A (en) Industrialized hybrid fry breeding method for chromileptes altivelis and epinephelus lanceolatus
CN109452203A (en) A kind of flat Rockfish deep water mesh cage large size seedling seed breeding method of Xu Shi
CN105918171A (en) Indoor factory culture method and device for penaeus vannamei
CN105660466B (en) A kind of method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to cultivate grouper fry
KR102331532B1 (en) Method to decrease mortality rate of trout on acclimation to seawater
CN111771772A (en) Grouper fry breeding method
CN105557588A (en) Method for breeding eleutheronema tetradactylum fry
CN1194609C (en) Techique for breeding aquation yound fish of 'Songjiang' weever
CN105532520B (en) A kind of expanded letter sand loach seedlings kind propagation method
CN105494188B (en) A kind of exopalaemon carinicauda two-part artificial raise seedling method
CN109644912B (en) Specific pathogen-free seedling cultivation method for portunus trituberculatus
CN109892261B (en) Artificial breeding method of Babuyan jellyfishes
KR102436478B1 (en) Management method for Atlantic salmon fertilized eggs and hatchlings.
CN207969559U (en) A kind of constant temperature aquatic product cultivating pool
CN112586409B (en) Cultivation method for indoor pond intermediate cultivation of finless eel fries
CN209845997U (en) Indoor recirculating aquaculture facility of spotted maigre
CN112970642A (en) Method for cultivating organic breeding shrim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