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709B1 -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709B1
KR102330709B1 KR1020150053091A KR20150053091A KR102330709B1 KR 102330709 B1 KR102330709 B1 KR 102330709B1 KR 1020150053091 A KR1020150053091 A KR 1020150053091A KR 20150053091 A KR20150053091 A KR 20150053091A KR 102330709 B1 KR102330709 B1 KR 102330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sealant
node portion
display area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4891A (ko
Inventor
쉬이-휘웅 우
주이-추 라이
룽-쉥 선
치-후아 창
웬-쿠에이 자오
Original Assignee
이노럭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럭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노럭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124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 1 기판, 제 2 기판 및 실란트를 포함한다. 제 1 기판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다. 제 2 기판은 제 1 기판에 대향한다. 실란트는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그리고 디스플레이 영역을 둘러싸고 포위한다. 실란트는 복수의 노드 부분 및 복수의 스트립 부분을 포함한다. 노드 부분의 최대 폭은 스트립 부분의 폭 보다 더 크다. 노드 부분은 제 1 노드 부분을 포함한다. 제 1 노드 부분 및 상기 제 1 노드 부분에 인접한 두 개의 스트립 부분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향한 제 1 각도를 형성한다. 제 1 각도는 90 도보다 더 크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사각형이 아닌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어레이 기판 및 대향 기판(opposite substrate)으로 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패널이 전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대향 기판은 어레이 기판에 대향되고 그리고 실란트나 유리 시멘트(cement)와 같은 콜로이드(colloidal)에 의해 시일된다. 도 1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알려진 디스플레이 패널(1)의 평면도가 나타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은 디스플레이 영역(11)을 포함한다. 실란트(30)는 디스플레이 영역(11)을 둘러싼다. 종래의 실란트 분배기는 실란트(30)를 일정한 유동율로 분배하고, 그리고 2축 설계에 의해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을 따라서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한 때문에, 분배된 실란트(30)는 코너(R)에서 원형 아크를 형성하고, 상기 실란트(30)는, 하나의 원이 될 디스플레이 영역을 둘러싼 이후에, 라운드처리된 코너를 갖는 직각을 형성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11)은 또한 실란트(30)의 패턴과 맞춰지도록 반드시 직사각형이어야 한다. 그러나, 경량이고, 슬림하며 컴팩트함으로써 특징지워진, 이동가능한 전자 장치, 착용가능한 전자 장치 및 자동 전자 장치의 대중성과 함께, 점점 증대하는 다양성의 요구를 직사각형 형상만으로 만족시킬 수 없다.
더욱이, 코너(R)에서 원형 아크 실란트(30)가 접촉하기 때문에, 경계 영역은 확대될 필요가 있다. 더욱 공교롭게도, 실란트의 분배가 적절하게 제어되지 않는다면, 코너(R)에서의 실란트(30)는 디스플레이 영역(11)의 내부로 수축할 수 있고 그리고 제품 품질 및 상사비(conformity rate)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실란트가 특별한 패턴을 갖는 동시에 실란트 분배기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공 방법이나 제조 공정은 산업에서의 중요한 과업이 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실란트는 복수의 노드 부분(node portion) 및 복수의 스트립 부분(strip portion)으로 이루어진다. 노드 부분은 두 개의 인접한 스트립 부분 사이의 연결부에서 개재된다. 각각의 노드 부분 및 상기 노드 부분에 인접한 두 개의 스트립 부분은 각도를 형성한다. 이들 각도는 90 도보다 더 크다. 이러한 설계하에서, 실란트는 불규칙적인 패턴을 달성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설계를 사용한 디스플레이 패널 또한 불규칙적인 패턴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 1 기판, 제 2 기판 및 실란트를 포함한다. 제 1 기판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다. 제 2 기판은 제 1 기판에 대향한다. 실란트는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그리고 디스플레이 영역을 둘러싸고 포위한다. 실란트는 복수의 노드 부분 및 복수의 스트립 부분을 포함한다. 각각의 노드 부분의 최대 폭은 각각의 스트립 부분의 폭보다 더 크다. 각각의 노드 부분은 두 개의 인접한 스트립 부분 사이의 연결부에 개재된다. 노드 부분은 제 1 노드 부분을 포함한다. 제 1 노드 부분 및 상기 제 1 노드 부분에 인접한 두 개의 스트립 부분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향한 제 1 각도를 형성한다. 제 1 각도는 90 도보다 더 크다.
본 발명의 상기 여러 특징은 바람직한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의 아래 기재된 상세한 설명과 관련하여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아래 기재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고 있다.
도 1은 전반적으로 알려진 디스플레이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이한 실시예의 실란트 패턴의 평면도이다.
많은 실시예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과 함께 아래에 기재되어 있다. 동일한 부재번호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시하도록 사용되고 있다. 도면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간략하게 나타내어져 있고,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상세한 사항은 단지 상세한 설명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며, 그리고 당업자가 실제 필요에 따라 필요한 수정 및 변경을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2a 및 도 2b를 동시에 살펴보기 바란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2)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횡단선(2B-2B')에 따른 도 2a의 디스플레이 패널(2)의 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 패널(2)은 제 1 기판(10), 제 2 기판(20) 및 실란트(30)를 포함한다. 제 1 기판(10)은 디스플레이 영역(11)을 갖는다. 제 2 기판(20)은 제 1 기판(10)과 대향한다. 실란트(30)는 제 1 기판(10) 및 제 2 기판(20)을 접합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기판(10)과 상기 제 2 기판(20) 사이에 배치된다. 실란트(30)는 디스플레이 영역(11)을 둘러싸고 포위하며, 그리고 복수의 노드 부분(31) 및 복수의 스트립 부분(32)을 포함한다. 각각의 노드 부분(31)의 최대 폭(W31)은 각각의 스트립 부분(32)의 폭(W32)보다 더 크다. 각각의 노드 부분(31)은 상기 노드 부분(31)에 인접한 두 개의 스트립 부분(32) 사이의 연결부에 개재된다. 각각의 노드 부분(31) 및 상기 노드 부분에 인접한 두 개의 스트립 부분(32)은 디스플레이 영역(11) 근방의 한 측에서, 예를 들면, 각도(Θ 1 및 Θ 2)와 같은 각도를 형성한다. 이들 각도(Θ 1 및 Θ 2)는 90 도보다 더 크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도(Θ 1 및 Θ 2)는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패널(2)에 있어서, 실란트(30)의 노드 부분(31)과 상기 노드 부분(31)에 인접한 두 개의 스트립 부분(32)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영역(11) 근방의 한 측에 형성된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종래의 실란트 분배기는 불규칙적인 형상과 같은 상이한 기하학적 형상의 다양한 패턴을 달성할 수 있다. 상이한 기하학적 형상의 패턴이, 디스플레이 패널(2)의 상이한 기하학적 형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 기판(10)의 디스플레이 영역(11)의 상이한 기하학적 형상과 관련하여 취해질 수 있다. 각도(Θ1, Θ2)가 90 도보다 더 크기 때문에, 실란트(30)가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11) 쪽으로 덜 수축할 것이며, 패널 공간은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 제품 품질 및 상사비는 이에 따라 증대될 수 있다.
도 2a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2)은 스트링(string)에 의해 절개된 주요 세그먼트이다. 스트링은 원을 두 개의 부분으로 절개하고, 그리고 주요 세그먼트는 두 개의 부분 중에서 하나의 보다 큰 부분이다. 실란트(30)는 디스플레이 영역(11)을 둘러싸고, 그리고 또한 주요 세그먼트의 형상을 갖는다. 실란트(30)는 예를 들면, 실란트 분배기에 의하여 (도 2b에 도시된) 제 1 기판(10) 상에 분배된다. 예를 들면,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X-축선 및 Y-축선)에 따른 각각의 노드 부분(31)의 좌표가 먼저 계산된다. 이후, 도 2a에서 지시된 바와 같은 실란트 패턴이 실란트 분배기를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각각의 노드 부분(31)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란트(30)의 패턴은 스트링에 의해 절개된 원의 주요 세그먼트와 유사하다. 스트링은 원을 원주방향 부분(C1) 및 스트링 부분(C2)으로 나눈다. 실란트(30)는 복수의 노드 부분(31) 및 복수의 스트립 부분(32)을 포함한다. 각각의 노드 부분(31)은 상기 노드 부분에 인접한 두 개의 스트립 부분(32) 사이의 연결부에 개재된다. 스트립 부분(32)은 두 개의 인접한 노드 부분(31)을 연결하는 일직선 라인 세그먼트이다. 실란트 분배기는 실란트(30)를 연속적으로 분배하도록 이동한다. 진행 방향의 변환 동안에, 실란트 분배기가 각각의 노드 부분(31)에서 보다 긴 응답 시간을 갖고 그리고 여분의 실란트(30)를 분배하기 때문에, 상기 노드 부분(31)의 최대 폭(W31)은 스트립 부분(32)의 폭(W32)보다 더 클 것이다. 노드 부분(31) 및 상기 노드 부분에 인접한 두 개의 스트립 부분(32)은 디스플레이 영역(11) 근방의 한 측에서 각도(예를 들면, 각도(Θ 1 및 Θ 2))를 형성한다. 각도(Θ 1 및 Θ 2)는, 실란트(30)가 각도(Θ 1 및 Θ 2)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1) 쪽으로 내측으로 수축하지 않고 오염을 야기시키지 않도록, 바람직하게는 90 도보다 더 크다. 실란트(30)의 원주방향 부분(C1)(예를 들면, 확대된 영역(2'))에서, 각각의 노드 부분(31) 및 상기 노드 부분에 인접한 두 개의 스트립 부분(32)에 의해 형성된 각도(Θ 1 및 Θ 2)는 동일한 측정치를 갖는다. 그러나, 실란트(30)의 스트링 부분(C2)과 원주방향 부분(C1) 사이의 연결부(예를 들면, 확대된 영역 2")에서, 노드 부분은 제 1 노드 부분(31a) 및 제 2 노드 부분(31b)을 포함한다. 제 1 노드 부분(31a) 및 상기 노드 부분에 인접한 두 개의 스트립 부분(32)은 디스플레이 영역(11)을 향한 제 1 각도(Θ3)를 형성한다. 제 1 각도(Θ3)는 90 도보다 더 크다. 제 2 노드 부분(31b) 및 상기 노드 부분에 인접한 두 개의 스트립 부분(32)은 디스플레이 영역(11)을 향한 제 2 각도(Θ4)를 형성한다. 제 2 각도(Θ4)는 제 1 각도(Θ3)보다 더 작다. 제 1 각도(Θ3)의 정점에서의 제 1 노드 부분(31a)의 최대 폭은 제 2 각도(Θ4)의 정점에서의 제 2 노드 부분(31b)의 최대 폭보다 더 작다. 실란트(30)의 노드 부분(31) 및 상기 노드 부분에 인접한 두 개의 스트립 부분(32)에 의해 형성된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실란트의 불규칙적인 패턴은 전반적으로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된 라운드처리된 직각이 아닌 상이한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를 위해 달성될 수 있다(도 1 참조).
도 2a에 지시된 바와 같이, 실란트(30)의 패턴은 스트링에 의해 절개된 원의 주요 세그먼트와 유사하다. 실란트(30)의 패턴은 원의 중심인 기하학적 중심(C)을 갖는다. 원의 원주부 상에서의 노드 부분(31)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면, 확대된 영역(2') 내의 노드 부분(31)이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즉, 원의 원주부 상의 각각의 노드 부분(31)이 동일한 중앙 각도를 갖고, 그리고 모든 두 개의 인접한 노드 부분(31)은 스트립 부분(32)에 의해 연결된다. 즉, 실란트(30)의 패턴이 아크 형상을 스트립 부분(32)의 일직선 라인 세그먼트로 대체한다. 기하학적 중심(C)으로부터 노드 부분(31)까지의 거리(r0)(즉, 원의 반경)와 기하학적 중심(C)로부터 상기 노드 부분에 인접한 스트립 부분(32)까지의 수직 거리(X)(즉, 최단 거리)의 차이는 실란트(30)의 원주방향 부분과 원의 원주부 사이의 설계 편차를 의미한다. 설계 편차는 실란트(30)의 스트립 부분(32)이 아크로부터 내측으로 수축하는 정도이다. 설계 편차의 정도는 원주부 상의 노드 부분(31)의 수를 변경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원주부 상의 노드 부분(31)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스트립 부분(32)은 아크에 보다 근접하게 되고 그리고 설계 편차가 경감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실란트(30)의 설계 편차는 바람직하게는 50 마이크로미터 (㎛)보다 더 작지만, 그러나 본 발명은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란트(30)의 설계 편차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경계 영역(12)의 폭과 많은 관계가 있다. 경계 영역(12)의 폭(W12)은 디스플레이 영역(11)의 엣지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엣지까지의 거리이다. (협폭의 경계 영역 설계와 같이) 경계 영역(12)의 폭(W12)이 감소함에 따라, 설계 편차는 또한 실란트(30)의 분배 동안에 디스플레이 영역(11)으로 오버플로된 실란트(30)를 피하기 위하여 감소될 필요가 있다. 실제 설계에 있어서, 설계 편차가 50㎛보다 더 클 때, 실란트(30)의 형상은 원형 아크보다 다각형에 더 가깝다. 따라서, 원형 아크의 패턴이 고려될 때, 설계 편차가 또한 고려될 필요가 있다.
도 2b는 횡단선(2B-2B')에 따른 도 2a의 디스플레이 패널(2)의 단면도이다. 도 2b에서 지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은 제 1 기판(10), 절연 레이어(16), 금속 레이어(17), 평탄한 레이어(13), 투명한 전극 레이어(14), 제 2 기판(20) 및 실란트(30)를 포함한다. 제 1 기판(10)은 TFT 기판과 같은 능동형 어레이 기판이다. 제 1 기판(10)은 디스플레이 영역(11) 및 경계 영역(12)을 갖는다. 디스플레이 영역(11)은 제 1 기판(10)의 중심에 위치된다. 디스플레이 영역(11)의 엣지로부터 제 1 기판(10)의 엣지까지의 경계 영역(12)은 디스플레이 영역(11)의 엣지를 둘러싼다. 실시예에 있어서, 절연 레이어(16) 및 금속 레이어(17)가 제 1 기판(10)에 순차로 배치된다. 평탄한 레이어(13)가 금속 레이어(17) 상에 배치된다. 스캔 라인(scan line), 게이트 라인(gate line) 또는 데이터 라인(data line)과 같은, 경계 영역(12)의 금속 레이어(17) 및 디스플레이 영역(11)의 금속 레이어(17)가 동일한 레이어 상에 있을 수 있고, 그리고 동일한 제조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투명한 전극 레이어(14)는 평탄한 레이어(13) 상에 배치된다. 평탄한 레이어(13)는 경계 영역(12)에서 개구(15)를 구비한다. 개구(15)는 평탄한 레이어(13)를 관통하고 금속 레이어(17)를 노출시킨다. 실란트(30)는 개구(15)에 배치된다. 개구(15)는, 디스플레이 영역(11)을 오염시키고 그리고 내측으로 확산되는 실린트(30)를 피하기 위하여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2)를 오버플로하고 그리고 외측으로 확산되는 실란트(30)를 피하기 위하여, 상기 실란트(30)의 위치를 제한한다. 실란트(30)의 위치를 제한하는 개구(15)의 설계에 의해, 경계 영역(12)의 폭이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실란트(30)가 금속 레이어(17)에 직접적으로 의지(lean)할 수 있게 하는 개구(15)의 설계에 의해, 평탄한 레이어(13)가 금속 레이어(17)에서 벗겨질때 뿐만 아니라 상기 실란트(30)가 벗겨질 위험이 이에 따라 피해질 수 있다.
도 2b에 지시된 바와 같이, 개구(15)가 제 1 기판(10)을 아래쪽에서 노출시키기 때문에, 상기 개구(15)의 내측 엣지(15a)는, 전도되고 단락하게 되는 제 1 기판(10) 및 투명한 전극 레이어(14)를 피하기 위하여, 거리(D1) 만큼 상기 투명한 전극 레이어(14)의 엣지로부터 분리될 필요가 있다. 개구(15)의 내측 엣지(15a)가 투명한 전극 레이어(14)에 인접한 개구(15)의 한 변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개구(15)의 내측 엣지(15a)로부터 투명한 전극 레이어(14)의 엣지까지의 거리(D1)는 바람직하게는 10㎛와 100㎛ 사이이다.
도 2b에 지시된 바와 같이, 평탄한 레이어(13)는 경계 영역(12)의 상부면 상에서 경사질 수 있다. 경계 영역(12)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영역(11)에 인접한 평탄한 레이어(13)의 부분의 높이(h2)가 제 1 기판(10)의 엣지에 인접한 평탄한 레이어(13)의 부분의 높이(h1)보다 더 높다. 경사진 평탄한 레이어(13)는 예를 들면 GTM(Gray Tone Mask)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한 제조 공정이 전반적으로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반복하여 기재되지 않았다. 개구(15)가 형성된 이후에, 개구(15)의 내측 엣지(15a) 및 외측 엣지(15b) 각각은 경사진 평탄한 레이어(13)를 갖는다. 개구(15)의 외측 엣지(15b)는 투명한 전극 레이어(14)으로부터 먼 개구(15)의 한 측을 의미한다. 평탄한 레이어(13)가 디스플레이 영역(11)에 보다 근접하게 됨에 따라, 개구(15)의 내측 엣지(15a)에 위치된 경사진 평탄한 레이어(13)의 높이는 디스플레이 영역(11) 쪽으로 확산되고 오염을 발생시키는 실란트(30)를 피하도록 증가된다. 평탄한 레이어(13)가 제 1 기판(10)의 엣지에 더욱 근접하게 됨에 따라, 실란트(30)가 제 1 기판(10)의 엣지 쪽으로 확산되도록, 개구(15)의 외측 엣지(15b) 상에 위치된 평탄한 레이어(13)의 높이가 감소한다. 개구(15)의 내측 엣지(15a)와 외측 엣지(15b) 사이의 거리(D2)는 바람직하게는 150㎛와 400㎛ 사이이다. 즉, 실란트(30)의 폭은 개구(15)의 폭보다 더 크다. 개구(15)에 의한 한정 때문에, 실란트(30)는 제 1 기판(10)의 엣지를 오버플로하지 않을 것이고, 그리고 상기 실란트(30)의 한 부분이 평탄한 레이어(13) 상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이 절단될 때, 절단부가 실란트의 잔여부를 갖는다면, 상기 실란트와 기판 사이의 강한 부착 때문에, 절단 나이프가 상기 기판을 끌고가는 경향이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손상시킬 것이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라, 실란트(30)의 한 부분이 평탄한 레이어(13) 상에 배치된다. 실란트(30)와 평탄한 레이어(13) 사이의 부착이 보다 약하기 때문에, 절단부가 상기 실란트(30)와 상기 평탄한 레이어(13) 사이에서의 겹쳐짐부에서 상기 실란트(30)의 잔여부를 갖는다면, 디스플레이 패널(2)은 상기 실란트(30)와 평탄한 레이어(13) 사이의 약한 부착에 의해 손상되지 않을 것이다.
실란트(30)는 디스플레이 패널(2)을 시일하고 그리고 수분과 같은 불순물로써 간섭되는 내부 부재를 피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을 만들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11)은 직사각형이 아닌 패턴을 가지며, 실란트(30)가 직사각형이 아닌 디스플레이 영역(11)을 따라서 분배될 필요가 있다. 여러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첨부한 도면 도 3 내지 도 7으로써 아래에서 예시적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3)의 평면도이다. 도 3에 지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 및 실란트(30)의 패턴은 절두(truncated) 타원이다. 실란트(30)는 타원형 원주방향 부분(C3) 및 스트링 부분(C4)을 포함한다. 확대된 영역(3')을 의미하는 타원형 원주방향 부분(C3)에서, 각각의 각도(Θ5 및 Θ6)는 노드 부분(31)과 상기 노드 부분에 인접한 두 개의 스트립 부분(32)에 의해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각도(Θ5 및 Θ6)는 동일하지 않다. 확대된 영역(3")을 의미하는, 실란트(30)의 스트링 부분(C4)과 타원형 원주방향 부분(C3) 사이의 연결부에서, 노드 부분은 제 1 노드 부분(31a) 및 제 2 노드 부분(31b)을 포함한다. 제 1 노드 부분(31a) 및 상기 노드 부분에 인접한 두 개의 스트립 부분(32)은 디스플레이 영역(11)을 마주한 제 1 각도(Θ7)를 형성한다. 제 1 각도(Θ7)는 90 도보다 더 크다. 제 2 노드 부분(31b) 및 상기 노드 부분에 인접한 두 개의 스트립 부분(32)은 디스플레이 영역(11)을 마주한 제 2 각도(Θ8)를 형성한다. 제 2 각도(Θ8)는 제 1 각도(Θ7)보다 더 작다. 제 1 각도(Θ7)의 정점에서의 제 1 노드 부분(31a)의 최대 폭은 제 2 각도(Θ8)의 정점에서의 제 2 노드 부분(31b)의 최대 폭보다 더 작다.
노드 부분(31)과 상기 노드 부분에 인접한 두 개의 스트립 부분(32)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각도(Θ5 및 Θ6)가 90 도보다 더 크기 때문에, 실란트(30)가 디스플레이 영역(11) 쪽으로 수축된 정도가 감소될 수 있고, 얇은 프레임 설계가 달성될 수 있고, 그리고 실란트(30) 내측의 공간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1)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4)의 평면도이다. 도 4의 디스플레이 패널(4)은 상기 도 4의 디스플레이 패널(4)이 두 개의 평행한 스트링에 의해 절개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과 유사하다. 도 4의 좌측과 우측에서의 아크처럼, 디스플레이 패널(4)의 실란트(3)의 원주방향 부분(C5)에 있어서, 각각의 각도(Θ9, Θ10)가 노드 부분(31) 및 상기 노드 부분에 인접한 두 개의 스트립 부분(32)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각도(Θ9, Θ10)는 동일하지 않다. 실란트(30)의 스트링 부분(C6)과 타원형 원주방향 부분(C5) 사이의 연결부에서(예를 들면 도 4의 하부 좌측), 노드 부분이 제 1 노드 부분(31a) 및 제 2 노드 부분(31b)을 포함한다. 제 1 노드 부분(31a) 및 상기 노드 부분에 인접한 두 개의 스트립 부분(32)이 디스플레이 영역(11)을 향한 제 1 각도(Θ11)를 형성한다. 제 1 각도(Θ11)는 90 도보다 더 크다. 제 2 노드 부분(31b) 및 상기 노드 부분에 인접한 두 개의 스트립 부분(32)이 디스플레이 영역(11)을 향한 제 2 각도(Θ12)를 형성한다. 제 2 각도(Θ12)는 제 1 각도(Θ11)보다 더 작다. 제 1 각도(Θ11)의 정점에서의 제 1 노드 부분(31a)의 최대 폭은 제 2 각도(Θ12)의 정점에서의 제 2 노드 부분(31b)의 최대 폭보다 더 작다. 도 4의 디스플레이 패널(4)의 여러 특징이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의 여러 특징과 유사하며, 본 명세서에서 반복하여 기재하지 않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디스플레이 패널(5)의 평면도이다. 도 5의 디스플레이 패널(5)의 형상은 7각형이고, 그리고 실란트(30)는 7각형의 7개의 정점에서 특별한 설계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노드 부분(31)은 7각형의 정점의 각각의 두 개의 변에 부가되어, 회전 각도가 매우 크다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피할 수 있다. 노드 부분(31)이 매우 적게 배치된다면, 회전 각도가 매우 크게 될 것이다. 진행 방향의 전환 때문에, 실란트 분배기가 각각의 노드 부분(31)에서 보다 긴 응답 시간을 갖고 그리고 상기 노드 부분(31)에서 여분의 실란트(30)를 분배하여, 디스플레이 영역(11)으로 크게 되거나 확산된 노드 부분(31)의 최대 폭을 만든다. 따라서, 노드 부분(31)을 정점의 각각의 변에 부가하는 설계는 잠재적인 문제점을 경감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6)의 평면도이다. 도 6에 지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6)의 디스플레이 영역(11)은 디스플레이 영역(11)의 기하학적 중심(C) 쪽으로 오목하게 한 오목한 아크 엣지(C8)를 갖는다. 노드 부분(31)은 오목한 아크 엣지(C8)에 대응하는 제 3 노드 부분(31c)을 포함한다. 제 3 노드 부분(31c) 및 이 노드 부분에 인접한 두 개의 스트립 부분(32)은 디스플레이 영역(11)을 향한 제 3 각도(Θ20)를 형성한다. 제 3 각도(Θ20)는 180 도보다 더 크다. 오목한 아크 엣지(C8)는 디스플레이 영역(11)의 기하학적 중심(C)을 향한 톱니 모양의(indented) 부분이다. 예각 부분(C7)은 오목한 아크 엣지(C8)를 연결하는 디스플레이 영역(11)의 부분에 형성된다. 실란트(30)의 패턴을 예각 부분(C7)에 설계할 때, 예각이 복수의 서브-노드 부분(312)의 설계를 통해 수개의 둔각로 변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6)의 예각(Θ16)의 패턴은 복수의 서브-노드 부분(312)을 사용하여, (확대된 영역(6')에 도시된) 3개의 둔각(Θ17, Θ18 및 Θ19)으로 변환될 수 있다. 둔각(Θ17 및 Θ19) 양자는 둔각(Θ18) 보다 더 크고, 그리고 각각의 둔각(Θ17, Θ18 및 Θ19)은 오목한 아크 엣지(C8)를 향한 노드 부분(31) 및 상기 노드 부분에 인접한 두 개의 스트립 부분(32)에 의해 디스플레이 영역(11) 근방의 한 측에 형성된 제 3 각도(Θ20)보다 더 작다. 예각의 형상은 많은 서브-노드(312)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실란트 분배기는 상기 서브-노드(312)에서 보다 큰 회전 각도를 가질 필요가 있고, 그리고 상기 서브-노드 부분(312)의 폭은 노드 부분(31)의 폭보다 더 클 것이다. 상기 설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은 임의의 형상을 달성할 수 있다. 실란트(30)는 종래의 2축 실란트 분배기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7)의 평면도이다. 도 7에서 지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7)은 쉘(shell)-형상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7)의 실란트(30)는 아크 엣지 및 3개의 일직선 엣지를 갖는다. 두 개의 일직선 엣지 사이나 또는 하나의 일직선 엣지와 하나의 아크 엣지 사이의 연결부는, 실란트(30)가 더욱 매끈하게 분배되고 디스플레이 영역(11) 쪽으로 내측으로 수축하지 않도록, 도 7에서 지시된 바와 같은 직접적인 연결을 통해서 또는 복수의 서브-노드 부분이 배치된 상기 설계를 통해서,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개시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실란트가 종래의 2축 (XY 축선) 실란트 분배기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특별한 설계의 패턴을 갖는다. 따라서, 불규칙적인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실란트 분배기를 변경하지 않고도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실란트에 있어서, 각각의 노드 부분 및 상기 노드 부분에 인접한 두 개의 스트립 부분에 의해 형성된 각도는, 디스플레이 영역 쪽으로 실란트가 수축하는 정도가 감소되고 상기 실란트 내측의 공간이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90 도보다 더 크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그리고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해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달리, 다양한 수정 및 이와 유사한 배치 및 절차가 커버되고, 그리고 이에 따라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가 이러한 모든 수정 및 이와 유사한 배치 및 절차를 포함하도록 가장 넓은 범위로 해석될 수 있다.

Claims (13)

  1. 디스플레이 패널으로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한 제 2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된 실란트;를 포함하고,
    상기 실란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둘러싸 포위하고, 상기 실란트는 복수의 노드 부분 및 복수의 스트립 부분을 포함하고, 각각의 노드 부분의 최대 폭은 각각의 스트립 부분의 폭보다 더 크며, 그리고 각각의 노드 부분은 두 개의 인접한 스트립 부분 사이의 연결부에서 개재되고,
    상기 노드 부분은 제 1 노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노드 부분 및 상기 제 1 노드 부분에 인접한 두 개의 스트립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향한 제 1 각도를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각도는 90 도보다 더 크며,
    상기 노드 부분은 제 2 노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노드 부분 및 상기 제 2 노드 부분에 인접한 두 개의 스트립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향한 제 2 각도를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각도는 상기 제 1 각도보다 더 작은, 디스플레이 패널.
  2. 디스플레이 패널으로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한 제 2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된 실란트;를 포함하고,
    상기 실란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둘러싸 포위하고, 상기 실란트는 복수의 노드 부분 및 복수의 스트립 부분을 포함하고, 각각의 노드 부분의 최대 폭은 각각의 스트립 부분의 폭보다 더 크며, 그리고 각각의 노드 부분은 두 개의 인접한 스트립 부분 사이의 연결부에서 개재되고,
    상기 노드 부분은 제 1 노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노드 부분 및 상기 제 1 노드 부분에 인접한 두 개의 스트립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향한 제 1 각도를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각도는 90 도보다 더 크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기하학적 중심 쪽으로 오목하게 한 오목한 아크 엣지를 구비하고, 상기 노드 부분은 상기 오목한 아크 엣지에 대응하는 제 3 노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노드 부분 및 상기 제 3 노드 부분에 인접한 두 개의 스트립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향한 제 3 각도를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 3 각도는 180 도보다 더 큰, 디스플레이 패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각도의 정점에서의 상기 제 1 노드 부분의 최대 폭은 상기 제 2 각도의 정점에서의 상기 제 2 노드 부분의 최대 폭보다 더 작은, 디스플레이 패널.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기하학적 중심을 가지며, 상기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각각의 노드 부분까지의 거리는 상기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상기 노드 부분에 인접한 상기 스트립 부분까지의 수직 거리보다 더 큰, 디스플레이 패널.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각각의 스트립 부분은 일직선 라인 세그먼트인, 디스플레이 패널.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상에 배치된 평탄한 레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엣지를 둘러싸고 상기 제 1 기판의 엣지로 뻗어있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한 경계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경계 구역 상에 배치된 상기 평탄한 레이어는 상기 제 1 기판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실란트는 상기 개구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실란트의 폭은 상기 개구의 폭보다 더 큰, 디스플레이 패널.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경계 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한 상기 평탄한 레이어의 부분의 높이는 상기 제 1 기판의 상기 엣지에 인접한 상기 평탄한 레이어의 부분의 높이보다 더 높은, 디스플레이 패널.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평탄한 레이어 상에 배치된 투명한 전극 레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투명한 전극 레이어에 인접한 내측 엣지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내측 엣지로부터 상기 투명한 전극 레이어의 엣지까지의 거리는 10㎛와 100㎛ 사이인, 디스플레이 패널.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투명한 전극 레이어로부터 먼 외측 엣지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내측 엣지로부터 상기 외측 엣지까지의 거리는 150㎛와 400㎛ 사이인, 디스플레이 패널.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실란트는 외측 엣지에 인접한 평탄한 레이어의 부분을 커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기하학적 중심 쪽으로 오목하게 한 오목한 아크 엣지를 구비하고, 상기 노드 부분은 상기 오목한 아크 엣지에 대응하는 제 3 노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노드 부분 및 상기 제 3 노드 부분에 인접한 두 개의 스트립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향한 제 3 각도를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 3 각도는 180 도보다 더 큰, 디스플레이 패널.
  1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예각을 갖고, 상기 예각의 형상에 대응하는 상기 실란트는 복수의 서브-노드 부분을 가지며, 그리고 각각의 서브-노드 부분의 최대 폭은 상기 노드 부분의 최대 폭보다 더 큰,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150053091A 2014-04-29 2015-04-15 디스플레이 패널 KR1023307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86073P 2014-04-29 2014-04-29
US61/986,073 2014-04-29
TW103125066A TWI530398B (zh) 2014-04-29 2014-07-22 顯示面板
TW103125066 2014-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891A KR20150124891A (ko) 2015-11-06
KR102330709B1 true KR102330709B1 (ko) 2021-11-26

Family

ID=54453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091A KR102330709B1 (ko) 2014-04-29 2015-04-15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30709B1 (ko)
CN (1) CN105047083B (ko)
TW (1) TWI5303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06193B (zh) * 2019-07-05 2020-10-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CN114079020B (zh) * 2020-08-18 2022-11-01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屏及其封装方法、终端
CN112684623B (zh) * 2020-12-24 2023-08-04 友达光电(昆山)有限公司 显示面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1896A (ja) * 2008-10-10 2010-04-22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2064A1 (fr) * 2001-10-03 2003-04-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anneau d'affichage a cristaux liquides
KR100529071B1 (ko) * 2002-11-26 2005-1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소음을 저감시킨 봉착 구조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5149967A (ja) * 2003-11-18 2005-06-09 Kawaguchiko Seimitsu Co Ltd 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画面入力型表示装置
WO2008050635A1 (fr) * 2006-10-19 2008-05-02 Panasonic Corporation Structure de montage d'élément semiconducteur et procédé de montage d'élément semiconducteur
KR101102494B1 (ko) * 2007-06-08 2012-01-05 가부시키가이샤 아루박 봉착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CN101551556B (zh) * 2008-04-02 2012-09-05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液晶显示屏及其制造方法
CN101625470B (zh) * 2008-07-07 2012-12-19 奇美电子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
CN101349849B (zh) * 2008-09-08 2010-06-23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CN101881909B (zh) * 2010-06-29 2012-09-05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CN102854664B (zh) * 2011-06-29 2015-11-25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影像显示系统
JP2013231906A (ja) * 2012-05-01 2013-11-14 Japan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1896A (ja) * 2008-10-10 2010-04-22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30398B (zh) 2016-04-21
CN105047083A (zh) 2015-11-11
CN105047083B (zh) 2019-03-15
TW201540523A (zh) 2015-11-01
KR20150124891A (ko) 2015-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4490B2 (en) Flexible display panel, fabrication method,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102486570B1 (ko) 챔퍼링된 편광층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068960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divided power line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US11251392B2 (en) Display substra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US20170222181A1 (en) Display device
WO2020063530A1 (zh) 封装结构、电子装置及封装方法
KR20170139176A (ko) 복수 타입들의 마이크로 코팅층들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019993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70093869A (ko) 브리지된 배선 트레이스들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10209971A1 (en) Flexible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KR102330709B1 (ko) 디스플레이 패널
EP3332427B1 (en) Display substrate and fabrication method,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11605652B2 (en) Array substrate
US9823505B2 (en) Color filter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06019790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substrate having peripheral sealant adhering structure
US20170054104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8210328A1 (zh) 显示面板的母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9061963B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6647797B2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160017329A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모패널
CN109411523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9522513B2 (en) Display panel
US20170108741A1 (en) A Substrate and an Array Substrate
KR102480085B1 (ko) 기판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EP3288079B1 (en) Array substra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