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654B1 -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및 타이어 몰드 - Google Patents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및 타이어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654B1
KR102330654B1 KR1020207029278A KR20207029278A KR102330654B1 KR 102330654 B1 KR102330654 B1 KR 102330654B1 KR 1020207029278 A KR1020207029278 A KR 1020207029278A KR 20207029278 A KR20207029278 A KR 20207029278A KR 102330654 B1 KR102330654 B1 KR 102330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curved
pattern
new sidewall
sidewall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9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1291A (ko
Inventor
청린 리
펑 짜오
핑 두
웨이 짱
꽁윤 짱
지치앙 싼
야오유 꽁
친펑 왕
리원 순
찔란 리우
실리앙 썬
Original Assignee
히미레 미케니컬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산동)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미레 미케니컬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산동)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히미레 미케니컬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산동)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31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01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72Side-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2Arrangement of grooves or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12Means for forming recesses or protrusions in the tyres, e.g. grooves or ribs, to create the tread or sidewalls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16Surface structure of the mould, e.g. roughness, arrangement of slits, groov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72Side-walls
    • B29D2030/726Decorating or marking the sidewalls before tyre vulcaniz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및 타이어 몰드를 제공하며, 타이어 분야에 속한다. 타이어는 타이어 몸체를 포함하고, 타이어 몸체의 측부에 표시 영역이 구비되며, 표시 영역 내에 다수의 패턴유닛이 설치되고; 패턴유닛은 타이어 몸체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패턴유닛은 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만곡부는 만곡 구간 및 만곡 구간의 양단에 설치되는 연장단을 포함한다. 타이어 몰드는 상기 타이어를 제작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타이어는 보다 양호한 시각효과 및 역학 효과를 지닌다.

Description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및 타이어 몰드
본 발명은 타이어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및 타이어 몰드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의 사이드월에는 다량의 패턴, 문자 등의 마크가 구비된다. 이러한 마크는 타이어 몰드를 통해 제작되며, 타이어 몰드의 표면에 오목홈 구조를 설치하여, 가류(가황)(Vulcanization)를 통해 타이어 표면에 대응되는 줄패턴 구조를 획득한다. 통상적으로 타이어의 가류 몰드는 금속으로 제작되며, 타이어 몰드의 표면은 종종 매끄럽게 가공되고, 마감도가 비교적 높다. 그러나, 이와 같이 획득되는 검정색의 타이어는 외표면이 매끄러워, 이러한 매끄러운 외표면이 광선에 대해 반사 효과를 형성할 수 있으며, 타이어 표면 외관의 시각적 효과가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에 존재하는 종래 기술의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 몰드에 존재하는 종래 기술의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타이어 몰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는 타이어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어 몸체의 측부에 표시 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표시 영역 내에 다수의 패턴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패턴유닛은 상기 타이어 몸체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패턴유닛은 만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만곡부는 만곡 구간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만곡부는 만곡 구간의 양단에 설치되는 연장단을 더 포함한다.
일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만곡 구간은 호형 및/또는 연속선형이고, 상기 연장단은 호형 및/또는 연속선형이며;
상기 연장단 및/또는 그 외접호(circumscribed arc)의 곡률반경은 상기 만곡 구간 및/또는 그 외접호의 곡률반경보다 작고; 예를 들어 연속선형인 연장단의 외접호 또는 호형인 연장단의 곡률반경은 연속선형인 만곡 구간의 외접호 또는 호형인 만곡 구간의 곡률반경보다 작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단의 만곡 방향은 상기 만곡 구간의 만곡 방향과 일치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만곡부의 길이는 1 ~ 6 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4 mm, 바람직하게는 3 mm이며;
바람직하게는, 각 패턴유닛은 좌우대칭이면서 주기적으로 반복 배열되거나; 또는, 각 패턴유닛은 비좌우대칭 구조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만곡 구간의 다수의 선분 사이의 끝단점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각도는 90°-180°이다.
일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다수의 상기 만곡부의 상기 연장단 사이가 서로 연결되어 한 줄의 만곡부 체인을 구성하고, 다수의 만곡부 체인은 교차 배열되며;
인접한 두 줄의 만곡부 체인은 상기 만곡부의 1/3-2/3인 길이 위치만큼 교차되고; 바람직하게는, 인접한 두 줄의 만곡부 체인은 상기 만곡부의 1/2인 길이 위치만큼 교차되며;
바람직하게는, 인접한 두 만곡부 사이는 소정 간극을 구비하고, 간극이 최소인 위치의 간극 값은 0-0.5 mm이며;
바람직하게는, 인접한 상기 만곡 구간과 상기 연장단은 소정 간극을 구비하고, 상기 간극의 값은 0-0.5 mm이다.
일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만곡부의 체인은 평행하게 배열되고, 서로 떨어진 상기 만곡부는 위 아래로 위치가 반복되며;
또는, 만곡부 체인은 호형으로 배열되고, 바람직하게는, 만곡부 체인은 타이어의 중심을 둘러싸며 원형 고리로 연장되며;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상기 만곡부 체인이 구성하는 원형 고리 또는 원호는 수량 또는 상기 만곡부의 길이 조정을 통해 상기 만곡부 체인의 수미가 연결되도록 보장한다.
좀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만곡부 체인 중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상기 만곡부의 연장단 사이에 연결부가 설치됨으로써, 동일한 만곡부 체인에서,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상기 만곡부가 함께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단은 반 밀폐된 원과 과도(transition)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과도 구간은 상기 반 밀폐된 원과 상기 만곡 구간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반 밀폐된 원에 상기 만곡 구간을 향하는 개구가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 밀폐된 원의 반경은 0.06 ~ 0.3 mm이고, 바람직하게는 0.16 mm이다.
일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단 상의 임의의 두 점 사이의 거리는 0.3 mm 이하이다.
일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서로 떨어진 상기 만곡부 사이의 거리는 0.4 mm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0.5-1.5 mm이다.
일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만곡부 사이의 비어 있는 위치에 기둥형 또는 가지(branch)가 채워지거나, 또는 만곡부 측벽에 기둥형 또는 가지가 연장된다. 상기 기둥형과 가지의 형상 및/또는 치수를 선택하여, 상기 기둥형 및 가지로 인접한 두 개의 만곡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타이어를 제작하기 위한 타이어 몰드에 있어서, 타이어 몰드는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측판에 상기 패턴유닛과 매칭되는 오목홈 구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기 설계로 획득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를 통해 적어도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1. 상기 패턴 영역이 덮이지 않은 위치와 뚜렷한 시각적 대비를 형성한다.
2. 만곡부의 만곡 구간 구조는 사이드월 패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이드월이 압력을 받아 돌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연속되는 비교적 긴 연장부 위치에 변형이 발생할 경우, 연장부의 응력 집중을 초래하게 되고, 심지어 파열이 발생하게 되는 반면, 만곡 구간의 만곡 구조는 돌출되는 응력을 완충 및 분산시킬 수 있다.
3. 연속되지 않는 만곡부 사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아 응력의 집중을 피할 수 있고, 타이어의 사이드월 패턴의 사용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4. 만곡부 양단의 연장단은 양단이 돌기되는 응력이 집중 시 파열의 발생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설계로 획득되는 타이어 몰드를 통해 상기와 같은 타이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식의 기술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실시방식에서 사용해야 하는 도면에 대해 간단히 소개한다. 아래의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도시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 따라서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 되며, 본 분야의 보통 기술자라면, 창조적인 노동을 하지 않는 전제 하에 이러한 도면을 근거로 다른 관련 도면을 획득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방식이 제공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의 제1 패턴유닛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방식이 제공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의 제1 패턴유닛의 입체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방식이 제공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의 제1 패턴유닛으로 표시 영역을 구성한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방향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방향도이다.
도 6은 도 4 중의 타이어 패턴을 생산하는 타이어 몰드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방식이 제공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의 제2 및 제3 패턴유닛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방식이 제공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의 제4 패턴유닛의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방식이 제공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의 제4 패턴유닛으로 표시 영역을 구성한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방식이 제공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의 제1 패턴유닛으로 또 다른 표시 영역을 구성한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방식이 제공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의 제1 패턴유닛으로 표시 영역을 구성한 구조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C-C 방향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D-D 방향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방식이 제공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의 일종의 만곡부 상부의 구조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방식이 제공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의 또 다른 만곡부 상부의 구조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방식이 제공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의 제6 및 제3 패턴유닛의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방식의 목적, 기술방안과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하 본 발명의 실시방식 중의 첨부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방식 중의 기술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묘사할 것이며, 묘사되는 실시방식이 본 발명의 실시방식 전체가 아닌 일부 실시방식임은 자명하다. 본 발명 중의 실시방식을 바탕으로, 본 분야의 보통 기술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하지 않은 전제하에 획득된 모든 기타 실시방식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이하 첨부도면에서 제공된 본 발명의 실시방식에 대한 상세한 묘사는 보호받고자 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단지 본 발명의 선택된 실시방식을 나타내는 것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묘사에서, 알아두어야 할 점으로, 방위 또는 위치 관계를 지시하는 용어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 관계에 따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묘사와 묘사의 단순화를 위한 것일 뿐, 지시하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한 방위를 지녀야 하거나, 특정한 방위로 구성 및 조작되어야 하는 것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서, 별도로 명확히 규정 및 한정하지 않는 한, "연결", "결합", "고정"등의 용어는 광의로 이해하여야 하며, 예를 들어 고정 연결일 수도 있고,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거나, 또는 일체를 형성하는 것일 수도 있고; 기계적인 연결이거나, 전기적인 연결일 수도 있으며; 직접 연결되거나, 중간의 매개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도 있으며, 두 개의 소자 내부의 연결 또는 두 개의 소자의 상호작용 관계일 수도 있다. 본 분야의 보통 기술자라면,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본 발명 중 상기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별도로 명확하게 규정 및 한정하지 않는 한, 제1 특징은 제2 특징 상 또는 하에서 제1 및 제2 특징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제1 및 제2 특징이 직접 접촉되지 않고 이들 사이의 별도의 특징을 통해 접촉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위, 상방 및 상면에 있다 함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직상방 및 경사진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를 포함하거나, 또는 단지 제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높은 것을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아래, 하방 및 하면에 있다 함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직하방 및 경사진 하방에 위치하는 경우를 포함하거나, 또는 단지 제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낮은 것을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를 제공하며, 도 1-도 5, 도 7-도 15를 참조한다.
이러한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는 타이어 몸체를 포함하며, 타이어 몸체의 측부에 표시 영역이 구비되고, 표시 영역 내에 다수의 패턴유닛(101)이 설치되며, 패턴유닛(101)은 타이어 몸체에 돌출되게 설치된다. 패턴유닛(101)은 만곡부(102)를 포함하고, 만곡부(102)는 만곡 구간(103) 및 만곡 구간(103) 양단에 설치되는 연장단(104)을 포함한다.
만곡 구간(103)은 호형이고, 연장단(104) 역시 호형이며, 연장단(104)의 곡률반경은 만곡 구간(103)의 곡률반경보다 작다. 또는, 만곡 구간(103)은 연속선형이고, 다수의 선분 사이의 끝단점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각도는 90°-180°이다. 또는, 연장단(104)은 연속선형이다. 또는 만곡 구간(103)과 연장단(104)은 각각 연속선형 및 호선(arc)이 조합된 구조이다. 연장단(104) 및/또는 그 외접호의 곡률반경은 만곡 구간(103) 및/또는 그 외접호의 곡률반경보다 작고, 연장단의 곡률 방향은 상기 만곡 구간의 만곡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다.
다수의 만곡부(102)의 연장단(104) 사이가 연결되어 하나의 만곡부 체인을 구성하며, 다수의 만곡부 체인은 교차 배열되고, 인접한 두 만곡부 체인은 상기 만곡부의 1/3-2/3인 길이 위치만큼 교차되고, 바람직하게는 만곡부(102)의 1/2 인 길이 위치만큼 교차된다.
만곡부 체인은 비평행으로 배열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원호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타이어의 중심을 둘러싸고 원형 고리로 연장될 수 있다. 각기 다른 고리의 만곡부 체인은 수량 또는 만곡부(102)의 길이 조정을 통해 만곡부 체인의 수미가 서로 연결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
패턴 배치의 편의를 위해, 각 패턴유닛(101)은 좌우대칭이고, 또한 주기적으로 반복 배열된다. 물론 비좌우대칭 구조일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만곡 구간(103)과 연장단(104)의 직경 길이 등을 적당히 조정할 수 있다.
만곡 구간(103)과 연장단(104)은 모두 호형이고, 상하 두 개의 만곡부의 만곡 구간(103)과 연장단(104)은 소정의 간극을 구비하며, 상기 간극의 값은 0-0.5 mm 범위 내이고, 그 바닥부는 서로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접한 두 개의 만곡부(102)의 연장단(104) 사이는 소정 간극을 구비하고, 상기 간극의 값은 0-0.5 mm 범위 이내이다. 또는, 만곡부 체인은 평행하게 배열되고, 서로 떨어진 만곡부(102)는 위치가 위 아래로 반복된다. 또는, 만곡부 체인은 호형으로 배열되고, 바람직하게는, 만곡부 체인은 타이어의 중심을 따라 원형 고리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상기 만곡부 체인이 구성하는 원형 고리 또는 원호는 수량 또는 상기 만곡부의 길이 조정을 통해 상기 만곡부 체인의 수미가 서로 연결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위에서 말하는 간극이란 만곡부 중의 하나의 위치로부터 상기 만곡부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만곡부와 가장 가까운 거리를 말하며, 또는 바꿔 말하면, 상기 위치로부터 인접한 만곡부 중 상기 위치와 가장 가까운 위치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연장단(104)은 반 밀폐된 호형과 과도(transition)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반 밀폐된 호형은 바람직하게는 반 밀폐된 원이고, 과도 구간은 반 밀폐된 호형과 만곡 구간(103) 사이에 연결되며, 반 밀폐된 호형에 만곡 구간(103)을 향하는 개구가 설치되거나, 또는 연장단(104)은 반 밀폐된 연속선형이다.
상기 연장단(104) 상의 임의의 두 점 사이의 거리는 0.3 mm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연장단(104)이 반 밀폐된 원일 경우, 상기 반 밀폐된 원의 반경은 0.06 ~ 0.3 mm이고, 바람직하게는 0.16 mm이며;
만곡부(102)의 길이는 1 ~ 6 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4 mm이며, 바람직하게는 3 mm이거나; 및/또는, 패턴유닛(101)이 타이어 몸체에 돌출되는 높이는 0.1 ~ 1 mm이며; 및/또는, 아래 위로 서로 떨어진 만곡부(102) 사이의 거리는 0.4 mm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0.5-1.5 mm이다.
만곡부(102)의 측벽면과 타이어 몸체에 수직인 평면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θ)는 5°내지 30°이고, 바람직하게는 15°내지 25° 범위 이내이다. 만곡부 양측의 측벽면 사이의 거리(S)는 상부측으로부터 바닥부를 향해 점차 증가하고, 상부는 평면 또는 호면일 수 있으며, 뾰족한 형상일 수도 있다.
만곡부(102)의 측변에 가지가 연장되게 설치되며; 또는, 도 11-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부(102) 사이의 비어 있는 위치가 기둥형(105) 또는 가지(106)로 채워진다. 기둥형 또는 가지와 타이어 몸체에 수직인 평면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는 5°내지 30°이고, 바람직하게는 15°내지 25°범위 내이며, 기둥형은 원뿔 또는 사각뿔 등 형상일 수 있다.
기둥형(105) 또는 가지(106)가 채워진 구조에서, 상기 기둥형(105) 또는 가지(106)와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만곡부(102) 사이에도 간극이 존재하며, 상기 간극의 값 역시 0-0.5 mm의 범위 내로 설정된다. 다시 말해, 인접한 만곡부 사이의 간극이 0.5 mm보다 클 경우, 상기 간격에 기둥형(105) 또는 가지(106)를 채워 넣는 방식을 통해 실제 형성되는 간극의 값을 0-0.5 mm 범위 내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과 도 3은 제1 패턴유닛(101)을 도시한 것으로서, 패턴유닛(101)을 구성하는 만곡부(102)는 호형 만곡 구간(103) 및 만곡 구간(103)의 양단에 설치되는 연장단(104)을 포함한다. 연장단(104)은 반 밀폐된 원과 과도 구간을 포함하고, 과도 구간은 반 밀폐된 원과 만곡 구간(103) 사이에 연결되며, 반 밀폐된 원에 만곡 구간(103)을 향하는 개구가 설치된다. 다수의 만곡부(102)의 연장단(104) 사이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직선형 만곡부 체인을 구성한다. 만곡부(102)의 길이는 1 ~ 6 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4 mm이며, 바람직하게는 3 mm이다. 도 3은 다수의 만곡부(102)의 연장단(104) 사이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만곡부 체인을 구성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며, 다수의 만곡부 체인은 교차 배열되고, 인접한 두 줄의 만곡부 체인은 만곡부(102)의 1/2인 길이 위치만큼 교차되고; 위 아래로 떨어진 만곡부(102) 사이의 거리는 0.5-1.5 mm이다.
도 4는 인접한 두 개의 만곡부(102)의 연장단(104)과 만곡 구간(103) 사이에 소정 간극이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으며, 상기 간극의 값은 0.5 mm 이하이고, 그 바닥부는 서로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동시에, 연장단(104)의 반 밀폐된 원의 반경은 0.06 ~ 0.3 mm이고, 도면에서는 0.16 mm이다.
도 5는 인접한 두 개의 만곡부(102)의 만곡 구간(103) 사이에 소정 간극이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으며, 상기 간극의 값은 0.5 mm 이하이다.
도 7은 제2 및 제3 패턴유닛(101)을 도시한 것으로서, 패턴유닛(101)을 구성하는 만곡부(102)는 연속선형인 만곡 구간(103) 및/또는 호형인 만곡 구간(103) 및 만곡 구간(103)의 양단에 설치되는 연장단(104)을 포함하며, 연장단(104)은 반 밀폐된 원 또는 연속선형과 과도 구간을 포함한다.
도 8 및 도 9는 제4 패턴유닛(101)을 도시한 것으로서, 패턴유닛(101)을 구성하는 만곡부(102)는 연속선형인 만곡 구간(103) 및 만곡 구간(103)의 양단에 설치되는 연장단(104)을 포함하며, 연장단(104) 역시 연속선형이다. 이와 동시에, 연속선형인 만곡 구간의 외접호(108)와 연속선형인 연장단의 외접호(109)를 도시하였으며, 연속선형인 연장단의 외접호(109)의 곡률반경은 연속선형인 만곡 구간의 외접호(108)의 곡률반경보다 작다. 같은 이치로, 도 7 또는 기타 형식의 패턴유닛(101) 중, 연속선형인 연장단(104)의 외접호(109) 또는 호형인 연장단(104)의 곡률반경은 연속선형인 만곡 구간의 외접호(108) 또는 호형인 만곡 구간(103)의 곡률반경보다 작다.
도 11에서, 인접한 만곡부(102)는 필요에 따라 그 간극을 조정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인접한 만곡부(102) 사이의 빈 영역에 기둥형 또는 가지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형 또는 가지와 타이어 몸체에 수직인 평면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는 5°내지 30°이고, 바람직하게는 15°내지 25°범위 이내이다. 또한, 기둥형 또는 가지의 형상 및/또는 치수는 실제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둥형 또는 가지의 크기는 인접한 두 개의 만곡부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선택할 수 있다.
도 14, 15는 만곡부(102) 양측의 측벽면 사이의 거리(S)가 상부측으로부터 바닥부를 향해 점차 증가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며, 상부는 평면 또는 호면일 수 있고, 뾰족한 형상일 수도 있다.
도 16은 제6 패턴유닛(101)을 도시한 것으로서, 그 중, 만곡부 체인 중 인접한 두 개의 만곡부(102)의 연장단(104) 사이에 연결 구간(109)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 구간(109)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일 수도 있고, 직선형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 16에 도시된 구조에서, 패턴유닛(101)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만곡부 체인을 형성한다.
타이어 측부의 패턴 영역에서, 패턴 영역(표시 영역) 내에 형성되는 각 돌기에 입사되는 빛은 인접한 측벽면에 부딪히며, 빛이 각 측벽면 사이에서 왕복하며 반사되기 때문에 빛이 감쇠한다. 따라서, 패턴 영역의 외부로 반사되는 빛이 거의 없어, 패턴 영역은 검정색으로 보이고, 이에 비해 다른 영역(문자 영역과 타이어 측부의 나머지 부분)은 흰색으로 보이게 된다. 따라서, 패턴 영역과 다른 영역 사이에 대비를 형성할 수 있어, 패턴 부분과 패턴이 덮이지 않은 영역의 외관의 대비도가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만곡부(102) 중, 만곡 구간(103), 연장단(104) 및/또는 연결 구간(109)의 평균 폭은 0.03 ~ 3 mm이고, 0.03 ~ 0.5 m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이 제공하는 타이어는 종래 기술 중의 타이어에 비해 적어도 다음과 같은 장점을 지닌다:
1. 상기 패턴 영역이 덮이지 않은 위치와 뚜렷한 시각적 대비를 형성한다.
2. 만곡부(102)의 만곡 구간(103) 구조는 사이드월 패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이드월이 압력을 받아 돌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연속되는 비교적 긴 연장부 위치에 변형이 발생할 경우, 연장부의 응력 집중을 초래하게 되고, 심지어 파열이 발생하게 되는 반면, 만곡 구간(103)의 만곡 구조는 돌출되는 응력을 완충 및 분산시킬 수 있다.
3. 연속되지 않는 만곡부(102) 사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아 응력의 집중을 피할 수 있고, 타이어의 사이드월 패턴의 사용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4. 만곡부(102) 양단의 연장단(104)은 양단이 돌기되는 응력이 집중 시 파열의 발생을 피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실시예 1 중의 타이어에 응용되는 타이어 몰드(110)를 제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몰드(110)는 측판을 포함하며, 측판에 패턴유닛(101)과 정합되는 오목홈 구조(111)가 설치된다.
몰드의 표시 영역을 통해 가황된 타이어의 측부에 설계된 돌기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설계된 돌기 구조는 사이드월의 패턴 영역 또는 문자 영역을 구성하며, 문자 영역에는 예를 들어 매끄러운 표면에 표시되는 "ABCDEFGH"와 같이 문자가 표시된다.
돌기 구조는 패턴블록 영역에 설계될 수도 있고 문자 영역을 둘러쌀 수도 있으며, 단독으로 문자 영역에 위치할 수도 있다. 패턴 영역은 타이어의 반경방향 외측에 더욱 가까운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드의 오목홈 구조(111)는 레이저로 각인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방식일 뿐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분야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은 각종 변경과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신과 원칙 내에서 실시되는 임의의 수정, 동등한 교체,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101: 패턴유닛
102: 만곡부
103: 만곡 구간
104: 연장단
105: 기둥형
106: 가지
107: 연속선형인 만곡 구간의 외접호
108: 연속선형인 연장단의 외접호
109: 연결 구간
110: 타이어 몰드
111: 오목홈 구조

Claims (24)

  1.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에 있어서,
    타이어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어 몸체의 측부에 표시 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표시 영역 내에 다수의 패턴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패턴유닛은 상기 타이어 몸체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패턴유닛은 만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만곡부는 만곡 구간 및 상기 만곡 구간의 양단에 설치되는 연장단을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만곡부의 상기 연장단 사이가 서로 연결되어 한 줄의 만곡부 체인을 구성하고, 다수의 만곡부 체인은 교차 배열되며, 인접한 두 줄의 만곡부 체인은 상기 만곡부의 1/3-2/3인 길이 위치만큼 교차되고,
    상기 만곡 구간과 상기 연장단은 모두 호형이고, 인접한 상기 만곡 구간과 상기 연장단은 소정 간극을 구비하고, 인접한 두 만곡부 사이는 소정 간극을 구비하고,
    상기 연장단은 반 밀폐된 호형과 과도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반 밀폐된 호형은 반 밀폐된 원이며,
    상기 만곡부의 길이는 1-6 mm이고, 및/또는 타이어 몸체로부터 돌출된 상기 패턴유닛의 높이가 0.1-1mm이며,
    상기 만곡부의 측벽면과 타이어 몸체에 수직인 평면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θ)는 5° 내지 30°이고, 상기 만곡부의 양측의 측벽면 사이의 거리(S)는 상부측으로부터 바닥부를 향해 점차 증가하고, 상부는 평면 또는 호면이거나, 뾰족한 형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단 및/또는 그 외접호(circumscribed arc)의 곡률반경은 상기 만곡 구간 및/또는 그 외접호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3. 제2항에 있어서,
    연속선형인 연장단의 외접호 또는 호형인 연장단의 곡률반경은 연속선형인 만곡 구간의 외접호 또는 호형인 만곡 구간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단의 만곡 방향은 상기 만곡 구간의 만곡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의 길이는 2-4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의 길이는 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7. 제1항에 있어서,
    각 패턴유닛은 좌우대칭이면서 주기적으로 반복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8. 제1항에 있어서,
    각 패턴유닛은 비좌우대칭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 구간의 다수의 선분 사이의 끝단점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각도는 90°-1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10.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한 두 줄의 만곡부 체인은 상기 만곡부의 1/2인 길이 위치만큼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11.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한 두 만곡부 사이의 간극이 최소인 위치에서의 간극 값은 0-0.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12.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만곡 구간과 상기 연장단 사이의 간극이 최소인 위치에서 의 간극 값은 0-0.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의 체인은 평행하게 배열되고, 서로 떨어진 상기 만곡부는 위 아래로 위치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14. 제1항에 있어서,
    만곡부 체인은 호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15. 제1항에 있어서,
    만곡부 체인은 타이어의 중심을 둘러싸며 원형 고리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이한 상기 만곡부 체인이 구성하는 원형 고리 또는 원호의 수량 또는 상기 만곡부의 길이가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도 구간은 상기 반 밀폐된 원과 상기 만곡 구간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반 밀폐된 원에 상기 만곡 구간을 향하는 개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반 밀폐된 원의 반경은 0.06-0.3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반 밀폐된 원의 반경은 0.16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단 상의 임의의 두 점 사이의 거리는 0.3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21.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떨어진 상기 만곡부 사이의 거리는 0.5-1.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 사이의 비어 있는 위치에 기둥형 또는 가지(branch)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23. 제1항에 있어서,
    만곡부 측벽에 기둥형 또는 가지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타이어를 제작하기 위한 타이어 몰드에 있어서,
    타이어 몰드는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측판에 상기 패턴유닛과 매칭되는 오목홈 구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몰드.
KR1020207029278A 2018-03-16 2018-12-21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및 타이어 몰드 KR1023306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222463.0A CN108407348B (zh) 2018-03-16 2018-03-16 一种具有新型胎侧花纹的轮胎及轮胎模具
CN201810222463.0 2018-03-16
PCT/CN2018/122600 WO2019174347A1 (zh) 2018-03-16 2018-12-21 一种具有新型胎侧花纹的轮胎及轮胎模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291A KR20200131291A (ko) 2020-11-23
KR102330654B1 true KR102330654B1 (ko) 2021-11-23

Family

ID=63132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278A KR102330654B1 (ko) 2018-03-16 2018-12-21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및 타이어 몰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602957B2 (ko)
EP (1) EP3766707B1 (ko)
JP (1) JP7094380B2 (ko)
KR (1) KR102330654B1 (ko)
CN (1) CN108407348B (ko)
HU (1) HUE063810T2 (ko)
RS (1) RS64546B1 (ko)
WO (1) WO20191743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7348B (zh) * 2018-03-16 2020-04-24 山东豪迈机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新型胎侧花纹的轮胎及轮胎模具
CN114750544A (zh) * 2022-04-11 2022-07-15 中策橡胶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视觉冲击力的轮胎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7829A (ja) 2002-06-17 2004-01-22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
JP2015013605A (ja) 2013-07-05 2015-01-2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016215694A (ja) 2015-05-14 2016-12-2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2017132386A (ja) 2016-01-28 2017-08-0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3517B2 (ja) * 1995-12-14 2004-09-0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多数のリッジよりなる環状装飾体を備えた空気入りタイヤ
JPH09226328A (ja) * 1996-02-23 1997-09-02 Bridgestone Corp 多数のリッジよりなる標章を備えた空気入りタイヤ
CA2180770A1 (en) * 1996-03-11 1997-09-12 Bill Joe Ratliff, Jr. Tire sidewall mosaic design patterns
JP2008201384A (ja) * 2007-02-22 2008-09-04 Toyo Tire & Rubber Co Ltd 空気入りタイヤ
TW201026523A (en) * 2009-01-05 2010-07-16 Shi-Ming Shie Tire structure having pattern marking layer and its production method thereof
JP5445092B2 (ja) * 2009-12-11 2014-03-19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FR3009522B1 (fr) * 2013-08-07 2016-12-23 Michelin & Cie Pneumatique comportant sur un flanc une texture particuliere
JP5869019B2 (ja) * 2014-03-05 2016-02-2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CN107107680B (zh) * 2014-10-27 2019-06-18 株式会社普利司通 充气轮胎
CN107107679B (zh) * 2014-10-27 2019-04-16 株式会社普利司通 充气轮胎
EP3296130B1 (en) * 2015-05-14 2019-10-30 Bridgestone Corporation Tire
JP6495736B2 (ja) * 2015-05-14 2019-04-0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6615046B2 (ja) * 2016-05-13 2019-12-0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EP3296129B1 (en) * 2015-05-14 2019-12-18 Bridgestone Corporation Tire
JP6441170B2 (ja) * 2015-06-05 2018-12-1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6619959B2 (ja) * 2015-06-30 2019-12-1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EP3130485B1 (de) * 2015-08-10 2018-04-18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CN106799936A (zh) * 2015-11-25 2017-06-06 青岛华盛橡胶有限公司 一种用于改善轮胎装饰外观以提高轮胎附加价值的轮胎
JP6754577B2 (ja) * 2016-02-03 2020-09-1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CN208133654U (zh) * 2018-03-16 2018-11-23 山东豪迈机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新型胎侧花纹的轮胎及轮胎模具
CN108407348B (zh) * 2018-03-16 2020-04-24 山东豪迈机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新型胎侧花纹的轮胎及轮胎模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7829A (ja) 2002-06-17 2004-01-22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
JP2015013605A (ja) 2013-07-05 2015-01-2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016215694A (ja) 2015-05-14 2016-12-2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2017132386A (ja) 2016-01-28 2017-08-0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17090A (ja) 2021-07-15
EP3766707C0 (en) 2023-06-07
HUE063810T2 (hu) 2024-02-28
CN108407348B (zh) 2020-04-24
RS64546B1 (sr) 2023-09-29
CN108407348A (zh) 2018-08-17
EP3766707B1 (en) 2023-06-07
EP3766707A1 (en) 2021-01-20
EP3766707A4 (en) 2021-12-29
KR20200131291A (ko) 2020-11-23
WO2019174347A1 (zh) 2019-09-19
US11602957B2 (en) 2023-03-14
JP7094380B2 (ja) 2022-07-01
US20210107320A1 (en) 202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0654B1 (ko) 신형 사이드월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 및 타이어 몰드
KR20070122401A (ko) 타이어
US20150314652A1 (en) Tire
JP2009048169A (ja) スクリーン
US10596857B2 (en) Pneumatic tire
US20200276869A1 (en) Tire
EP1688354A1 (en) Synthetic resin heat-resistant bottle type container
KR20010031123A (ko) 디자인 패턴을 구비한 무광택 물품
CN108407347B (zh) 一种具有新型胎侧花纹的轮胎及轮胎模具
US10759232B2 (en) Tire
EP3725557B1 (en) Tire
JP2017065383A (ja) 空気入りタイヤ
CN218750134U (zh) 一种具有新型胎侧纹理装饰图案的轮胎
JP6619959B2 (ja) タイヤ
CN208133654U (zh) 一种具有新型胎侧花纹的轮胎及轮胎模具
CN103264619A (zh) 一种宽基子午线胎面弧轮胎
CN208101110U (zh) 一种具有新型胎侧花纹的轮胎及轮胎模具
JP7006522B2 (ja) タイヤ
CN101346562B (zh) 用于齿形平环链的齿形接片
CN210775902U (zh) 一种导光板
KR101605996B1 (ko) 알루미늄 후판의 곡면 성형을 위한 금형 장치
FI3785941T3 (fi) Nastatappi ja nastarengas
CN219339113U (zh) 轮胎及轮胎模具
US20230311583A1 (en) High contrast patterns for sidewall or tread
KR100530157B1 (ko) 공기입 중하중용 래디얼 타이어의 그루브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