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365B1 -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 - Google Patents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365B1
KR102330365B1 KR1020200145554A KR20200145554A KR102330365B1 KR 102330365 B1 KR102330365 B1 KR 102330365B1 KR 1020200145554 A KR1020200145554 A KR 1020200145554A KR 20200145554 A KR20200145554 A KR 20200145554A KR 102330365 B1 KR102330365 B1 KR 102330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ody
insertion hole
compression ball
ball
body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0760A (ko
Inventor
손정수
Original Assignee
손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정수 filed Critical 손정수
Priority to KR1020200145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365B1/ko
Priority to PCT/KR2020/015440 priority patent/WO2021107438A1/ko
Priority to CN202011322036.3A priority patent/CN112873079A/zh
Priority to US17/104,565 priority patent/US20210164515A1/en
Priority to DE102020131274.1A priority patent/DE102020131274A1/de
Priority to JP2020196360A priority patent/JP7084976B2/ja
Publication of KR20200140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6Details, e.g. jaws, jaw attachments
    • B25B5/163Jaws or jaw attach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4Clamps with pivoted j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를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면과 하부면이 평평하게 가공되고 하부면의 중앙에 일정 깊이의 제1탄성체삽입홀이 형성된 압착볼과, 일측에 상기 압착볼을 수용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하방측에 제1리턴공간과 상기 제1리턴공간의 중앙에 일정 깊이의 제2탄성체삽입홀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클램프와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가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과 제2탄성체삽입홀에 각각 일측단이 삽입되어 압착볼을 탄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압착볼 상부면이 공작물을 압착하여 고정 또는 이동하고 회전된 압착볼이 압착 해제 후 수평으로 복귀될 수 있는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에 있어서, 상기 제1리턴공간의 내주면에는 상기 압착볼이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단턱 형상의 회전방지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Swivel pad for automatically returning reference point}
본 발명은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탄하지 않은 공작물을 공작물의 변형없이 효과적으로 고정 또는 지지하도록 다양한 각도에서 작동할 수 있는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공작물을 고정하여 클램핑시킨 상태에서 공작물이 절삭가공에 들어가거나 또는 이동작업을 진행하는데 공작물의 형태와 작업의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고정 클램프의 변형이 필요하며, 또한 공작물의 외형과 기울기에 따라 적용된 클램프의 변형이 다양하게 요구된다.
클램프는 마주보는 한쌍 또는 일측에서 클램핑하는 구조로 공작물의 무게가 무거울 경우 고압으로 압착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변형이나 파손의 우려가 있어 내구성이 강해야 하며 경도가 높은 재료로 제작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구형상의 헤드부를 감싸며 회전할 수 있는 덮개가 공작물을 압착하여 클램핑하는 스위블 패드가 사용되고 있는데 덮개의 변형 파손으로 교체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스위블 패드와 관련하여 국내공개특허 제2011-0032408호에 나타나 있는 기술은 클램프와 결합되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플랜지부와 플랜지부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구면 형상의 헤드부와 헤드부를 감싸며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내부에 구면부가 형성된 덮개부로 이루어져 있어 공작물 인입시 헤드부를 감싸는 덮개부가 자연스럽게 회전함으로써 다양한 각도로 공급되는 공작물을 변형시키지 않고 정확히 고정시킬 수 있으나, 헤드부로 가해지는 클램핑 압력에 의해 덮개의 변형이나 파손이 쉽게 일어날 수 있으며, 공작물의 형태에 따라 회전된 덮개가 원점으로 자동 복귀되지 않아 수동으로 복귀시켜야 하며 복귀시키지 않을 경우 덮개와 공작물이 클램핑시 공작물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공개특허 제2019-0027082호 공보에는 구면의 헤드부를 감싼 덮개부인 회전가압부재에 후방측으로 압축스프링을 구비하여 회전가압부재의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가 개지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스위블 패드의 구조에 경우 볼에 하우징인 덮개를 안착시켜 덮개가 직접 공작물을 압착시키고 있기 때문에 덮개에 압착되는 힘이 볼 끝에 집중되어 두께가 얇은 덮개가 쉽게 파손 또는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덮개 하측에 형성된 압축스프링의 설치로 덮개부의 원점복귀가 가능하나, 회전지지부의 하측단부에 직경이 회전지지부보다 작아 공작물의 경사진면을 압착시킬 경우 회전지지부재의 목부분이 약해서 휨이나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 시중에서는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가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으나, 산업현장에서는 다양한 각도에서 공작물을 고정 또는 지지하여 절삭가공하거나 이동작업을 위한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1-0032408(2011.03.30.) "코글조오 및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등록 10-2020820(2019.11.04.)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그리퍼장치"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9-0060728(2019.06.03.) "작업물 클램핑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작물을 클램핑하여 고정 또는 이동시킬 경우 베어링강으로 제작된 압착볼이 직접 공작물을 가압하여 고중량의 공작물을 클램핑할 수 있고, 언클램핑시 회전된 압착볼이 원점으로 복귀하여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어 공작물에 손상없이 클램핑 할 수 있는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부재인 인장코일스프링의 오랜 작동 중 파손에 따른 압착볼의 무한회전을 방지하여 공작물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작물의 높이에 대응하여 압착볼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의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평평하게 가공되고 하부면의 중앙에 일정 깊이의 제1탄성체삽입홀이 형성된 압착볼과, 일측에 상기 압착볼을 수용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하방측에 제1리턴공간과 상기 제1리턴공간의 중앙에 일정 깊이의 제2탄성체삽입홀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클램프와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가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과 제2탄성체삽입홀에 각각 일측단이 삽입되어 압착볼을 탄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압착볼 상부면이 공작물을 압착하여 고정 또는 이동하고 회전된 압착볼이 압착 해제 후 수평으로 복귀될 수 있는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에 있어서, 상기 제1리턴공간의 내주면에는 상기 압착볼이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단턱 형상의 회전방지턱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평평하게 가공되고 하부면의 중앙에 일정 깊이의 제1탄성체삽입홀이 형성된 압착볼과,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에 일단이 삽입되어 압착볼을 탄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에 있어서, 일측에 상기 압착볼을 수용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하방측에 제1리턴공간과 상기 제1리턴공간의 중앙에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의 제2탄성체삽입홀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지지부재; 중공 내주면에 상기 지지부재의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부에 클램프와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지지부재의 외주면에 체결되어 상기 하우징에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시키는 락킹너트; 상기 제1리턴공간의 내주면에는 상기 압착볼이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단턱 형상으로 구비되는 회전방지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압착볼 상부면이 공작물을 압착하여 고정 또는 이동하고 회전된 압착볼이 압착 해제 후 수평으로 복귀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에 체결된 지지부재의 체결정도에 따라 상기 압착볼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착볼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회전방지턱의 내측 상단모서리까지의 길이는 상기 압착볼의 반경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는 인장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양단이 각각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과 제2탄성체삽입홀에 삽입되되, 삽입되지 않고 노출된 노출부의 길이는 코일스프링의 권수가 6 ~ 8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면에 돌출되고 수나사산이 형성된 볼트타입이거나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면을 관통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탭홀 타입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평평하게 가공되고 하부면의 중앙에 일정 깊이의 제1탄성체삽입홀이 형성된 압착볼과, 일측에 상기 압착볼을 수용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하방측에 제1리턴공간과 상기 제1리턴공간의 중앙에 일정 깊이의 제2탄성체삽입홀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클램프와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가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과 제2탄성체삽입홀에 각각 일측단이 삽입되어 압착볼을 탄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압착볼 상부면이 공작물을 압착하여 고정 또는 이동하고 회전된 압착볼이 압착 해제 후 수평으로 복귀될 수 있는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에 있어서, 상기 압착볼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의 외측을 둘러 오목한 제2리턴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리턴공간의 중앙에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는,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에 있어서, 상부면과 하부면이 평평하게 가공되고, 하부면의 중앙에 일정 깊이의 제1탄성체삽입홀이 형성되며, 하부면에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의 외측을 둘러 오목한 제2리턴공간이 형성되는 압착볼; 일측에 상기 압착볼을 수용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하방측에 제1리턴공간과 상기 제1리턴공간의 중앙에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의 제2탄성체삽입홀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지지부재;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과 제2탄성체삽입홀에 양단이 삽입되어 압착볼을 탄지하는 탄성부재; 중공 내주면에 상기 지지부재의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부에 클램프와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지지부재의 외주면에 체결되어 상기 하우징에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시키는 락킹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압착볼 상부면이 공작물을 압착하여 고정 또는 이동하고 회전된 압착볼이 압착 해제 후 수평으로 복귀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 체결된 지지부재의 체결정도에 따라 상기 압착볼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다른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평평하게 가공되고 하부면의 중앙에 일정 깊이의 제1탄성체삽입홀이 형성된 압착볼과, 일측에 상기 압착볼을 수용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하방측에 제1리턴공간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클램프와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리턴공간 내의 상기 연결부의 주위에 단턱 형상의 제3탄성체삽입홈이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과 제3탄성체삽입홈에 각각 일측단이 삽입되어 압착볼을 탄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압착볼 상부면이 공작물을 압착하여 고정 또는 이동하고 회전된 압착볼이 압착 해제 후 수평으로 복귀될 수 있는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인장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에 삽입되는 제1코일부와, 상기 제3탄성체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코일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제2코일부와, 상기 제1코일부와 제2코일부를 연결하도록 원뿔형을 이루는 제3코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착볼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의 외측을 둘러 오목한 제2리턴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리턴공간의 중앙에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를 관통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탭홀 타입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압착볼에 의해 공작물을 압착하여 고정하거나 고중량의 공작물 이동작업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즉 베어링강으로 제작된 압착볼에 의해 공작물을 압착함으로서 힘이 베어링 볼에 집중될 수 있어 고압으로 압착이 필요한 고중량의 공작물 이동이 가능하다.
둘째, 압착볼과 지지부재 내부에 탄성부재를 내장함으로서 압착볼의 회전 후에 자동으로 원점복귀가 가능하므로 다양한 공작물의 외형 형상에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회전방지턱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압착볼이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인장코일스프링이 과도하게 꺾이지 않게 되어 수명이 연장되고, 오랜 사용으로 인해 인장코일스프링이 파손되더라도 압착볼이 무한회전하지 않으므로 공작물의 손상이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넷째, 하우징 내부에 체결되는 지지부재의 체결정도에 따라 압착볼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공작물의 높이에 대응하여 압착볼을 압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오랜 작동으로 인장코일스프링에 누적된 피로로 인해 피로파괴가 발생하면 하우징으로부터 스위블 패드(지지부재 및 압착볼)만을 분리하고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부품조립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AA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공작물을 고정 또는 이동하기 위해 클램프의 일측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압착볼 상부면이 공작물의 표면에 압착되어 공작물을 고정하는 스위블 패드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공작물의 외형이 평면이 아닐 경우 공작물의 외형에 따라 압착볼의 상부면이 공작물의 표면과 수평이 되도록 회전하면서 압착되고, 공작물을 이동한 다음 스위블 패드의 압착을 해제하면 스위블 패드의 압착볼 상부면이 자동으로 원점인 수평방향으로 자동 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에 관한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스위블 패드라 함은 공작물을 이동하기 위해 공작물을 고정할 수 있는 한 쌍의 마주보는 클램프의 양측단면에 체결되어 공작물을 압축, 고정하는 장치로서, 토글 조오, 고정척 등을 포괄하는 용어임을 일러둔다.
이하에서 도 2 내지 4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부품조립도이고, 도 4는 도2에 도시된 본 발명의 AA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를 참조할 때, 크게 압착볼(10), 지지부재(20), 탄성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압착볼(1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압착볼(10)은 베어링볼의 상부면(12)과 하부면(13)을 일정 부분 절삭하여 평평하게 가공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압착볼(10)은 고중량의 공작물을 고정 또는 이동시킬 경우 고압으로 공작물에 직접 압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베어링강으로서 경도가 HRC60 이상을 사용해야 상기 압착볼(10)의 파손이나 변형을 막을 수 있다.
또 상기 압착볼(10)의 상부면(12)은 공작물에 밀착되어 공작물을 고정하는 부분인데, 공작물의 면이 불규칙할 경우 상부면에 요철이 형성된 다이아몬드타입으로 하거나, 공작물의 면이 평면일 경우 플렛타입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볼(10)의 하부면(13) 중앙에는 탄성부재(30)가 삽입될 수 있는 제1탄성체삽입홀(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11)은 상기 탄성부재(30)가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되고, 삽입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재(20)에 안착된다.
다음으로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상기 지지부재(20)를 설명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5(a)는 회전방지턱이 없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5(b)는 회전방지턱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지지부재(20)는 일측에 상기 압착볼(10)을 수용할 수 있는 삽입홈(2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클램프에 체결시킬 수 있는 연결부(26)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21)은 상기 압착볼(10)이 안착되어 회전 가능할 수 있도록 내부면(22)이 압착볼(10)의 외형과 동일하게 구(sphere)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는 개방된 상태에서 압착볼(10)이 삽입된 후 상부 테두리(25)를 압입하여 상기 압착볼(10)이 상기 삽입홈(21)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21)의 하방측 중심에는 상기 탄성부재(30)가 수용되어 탄성부재(30)에 유연성을 확보해 주는 공간인 제1리턴공간(23)이 형성되고, 상기 제1리턴공간(23)의 바닥 중앙에는 상기 탄성부재(30)가 맞춤 삽입될 수 있는 일정 깊이의 제2탄성체삽입홀(24)이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제1리턴공간(23)의 깊이는 일정 길이 범위 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길이 대신 노출되는 인장코일스프링 권수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제1리턴공간(23)에는 상기 탄성부재(30)인 인장코일스프링이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11)과 제2탄성체삽입홀(24)에 삽입되면서 설치된다.
이때, 삽입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 노출되는 노출부(H)의 길이는 상기 제1리턴공간(23)의 깊이와 동일하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노출부(H)의 길이는 인장코일스프링의 권수, 다시 말해서, 감긴 회수를 기준으로 6 ~ 8회인 것이 적절하다.
만일, 상기 노출부(H)의 권수가 6회보다 적으면 인장코일스프링이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하게 되어 인장코일스프링의 꺾임이 발생되므로 상기 압착볼(10)의 회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반면, 상기 노출부(H)의 권수가 8회보다 많으면 회전된 상기 압착볼(10)의 복귀가 지연되어 신속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제2탄성체삽입홀(24)은 상기 탄성부재(30)가 일정 깊이만큼 맞춤 삽입되어 쉽게 빠지지 않을 정도의 내경을 가지는 홀이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0)의 일측이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11)에 끼워지고 타측은 상기 제2탄성체삽입홀(24)에 끼워진다.
중요한 것은, 상기 삽입홈(21) 내에서 상기 압착볼(10)의 자유 회전각도는 일정 각도 이내가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일정각 이상으로 상기 압착볼(10)이 회전될 경우 공작물과 밀착되는 상기 압착볼(10)이 미끌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압착볼(10)의 자유 회전각도는 20°이내가 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리턴공간(23) 내에 상기 압착볼(10)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방지턱(27)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자동 스위블 패드는 일종의 소모품으로써 인장코일스프링에 의해 원점복귀가 되는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시간 작동으로 인장코일스프링의 피로파괴가 발생하면 상기 압착볼이 무한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로 공작물을 계속 클램핑하면 압착볼의 무한회전으로 공작물의 파손 내지 불량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압착볼(10)이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공작물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방지턱(27)이 필요하다.
상기 회전방지턱(27)은 제1리턴공간(23) 내에 가장자리를 따라 단턱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리턴공간(23) 내에서 상기 압착볼(10)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압착볼(10)의 절삭된 하부면(13)이 상기 회전방지턱(27)에 걸리기 때문에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압착볼(1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회전방지턱(27)의 내측 상단 모서리까지의 길이(L)는 상기 압착볼(10)의 반경(B)보다 작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회전방지턱(27)에 상기 압착볼(10)이 걸리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방지턱(27)에 의해 상기 제1리턴공간(23)의 하부, 다시 말해서, 상기 회전방지턱(27)의 중앙에 홀 형상의 제3리턴공간(27a)이 형성된다.
상기 제3리턴공간(27a)은 상기 압착볼(10)의 회전시 탄성부재(30)인 인장코일스프링이 기울어지면서 인장될 때 상기 회전방지턱(27)과 충돌하거나 접촉하지 않도록 여유공간을 형성해준다.
이를 위해, 상기 제3리턴공간(27a)의 내경은 상기 제2탄성체삽입홀(24)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압착볼(10)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탄성부재(30)인 인장코일스프링이 상기 회전방지턱(27)과 충돌하거나 접촉하지 않으므로 인장코일스프링의 수명은 보장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20)의 타측에 형성된 상기 연결부(26)는 스위블 패드를 클램프의 일측단면에 체결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연결부(2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나사산이 형성된 볼트(26a) 타입이거나 암나사산이 형성된 탭홀(26b) 타입일 수 있다. 탭홀(26b) 타입은 추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압착볼(10)의 제1탄성체삽입홀(11)과 상기 지지부재(20)의 제2탄성체삽입홀(24)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압착볼(10)을 탄성지지하면서, 회전된 상기 압착볼(10)을 원점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0) 탄성력이 있는 합성수지나 금속도 가능하고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바람직한 것은 인장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11)에 삽입하고, 타단은 상기 제2탄성체삽입홀(24)에 삽입함으로써 인장코일스프링이 상기 압착볼(10)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스위블 패드가 클램프에 단순 연결된 상태가 아니라 공작물의 높이에 맞게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크게 압착볼(10), 지지부재(20), 탄성부재(30), 하우징(40), 락킹너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착볼(10), 탄성부재(30)는 상술한 구조와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지지부재(20), 하우징(40), 락킹너트(5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지지부재(20)는 일측에 상기 압착볼(1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면이 상기 압착볼(10)의 외형과 동일하게 구(sphere)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삽입홈(21)이 형성되어 상기 압착볼(10)이 안착되어 회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0)의 상부는 개방된 상태에서 압착볼(10)이 삽입된 후 상부 테두리(25)를 압입하여 상기 압착볼(10)이 상기 삽입홈(21)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또 상기 삽입홈(21)의 하방측 중심에는 상기 탄성부재(30)가 수용되는 제1리턴공간(23)이 형성되고, 상기 제1리턴공간(23)의 바닥 중앙에는 일정 깊이의 상기 제2탄성체삽입홀(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리턴공간(23)에는 상기 압착볼(1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리턴공간(23) 내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턱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방지턱(27)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리턴공간(23) 내에서 상기 압착볼(10)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압착볼(10)의 절삭된 하부면이 상기 회전방지턱(27)에 걸리기 때문에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좀 더 설명하면, 상기 압착볼(1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회전방지턱(27)의 내측 상단 모서리까지의 길이(L)는 상기 압착볼(10)의 반경(B)보다 짧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회전방지턱(27)에 상기 압착볼(10)이 걸리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2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20)의 수나사산은 후술하는 하우징(40)과 나사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40)은 상기 지지부재(20)를 수용하면서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서,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40)의 내부에 상기 지지부재(20)의 하단이 삽입되면서 나사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40)의 하부에는 클램프의 일측단면에 체결하여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41)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4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나사산이 형성된 볼트(41a) 타입일 수 있다.
또 상기 하우징(40)의 하단에는 렌치나 스패너로 상기 하우징(40)을 조일 수 있도록 조임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락킹너트(50)는 상기 지지부재(20)의 외주면에 체결되어 상기 하우징(40)의 상단에 밀착되도록 조여져 상기 하우징(40)에 체결된 상기 지지부재(20)를 고정시킨다.
즉, 상기 하우징(40) 내에서 상기 지지부재(20)가 회전하지 않도록 잠근다.
이때, 상기 락킹너트(50)의 일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렌치홀(5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41)가 클램프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2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 상기 지지부재(20)가 상기 하우징(40) 내부로 인-아웃되면서 상기 압착볼이 공작물에 압착되도록 상기 지지부재(20) 및 압착볼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0)의 높낮이가 결정되면 상기 락킹너트(50)를 잠궈 상기 지지부재(20)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의 연결부 구조가 다른 경우이다.
상기 하우징(40)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41)는 탭홀(41b)일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40)의 하부 바닥을 상하로 관통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탭홀(41b) 타입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0)의 하부면에는 상기 탭홀(41b)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클램프의 볼트와 충돌 또는 간섭을 방지하도록 간섭방지홈(29)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추가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압착볼(10), 지지부재(20), 탄성부재(30)로 구성되는데, 상기 지지부재(20)와 탄성부재(30)는 상술한 구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압착볼(10)은 평평한 하부면(13)에 오목한 제2리턴공간(14)이 더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제2리턴공간(14)의 중앙에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11)이 일정 깊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리턴공간(14)은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11)의 외측을 둘러 원형으로 형성되는 공간이다.
상기 제2리턴공간(14)은 상기 제1리턴공간(23)이 협소한 경우 상기 탄성부재(30)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준다.
이때도,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11)과 제2탄성체삽입홀(24)에 삽입된 인장코일스프링의 노출부 길이는 인장코일스프링의 권수, 다시 말해서, 감긴 회수를 기준으로 6 ~ 8회인 것이 적절하다.
여기서, 상기 제1리턴공간(23)의 바닥면이 상기 압착볼(10)의 회전을 제한하는 상술한 회전방지턱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9,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압착볼, 지지부재(20), 탄성부재(30), 하우징(40), 락킹너트(50)로 구성되는데, 상기 지지부재(20), 탄성부재(30), 하우징(40), 락킹너트(50)는 상술한 구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압착볼(10)도 도 8과 마찬가지로 평평한 하부면에 오목한 제2리턴공간(14)이 더 형성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제2리턴공간(14)의 중앙에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11)이 일정 깊이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2리턴공간(14)은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11)의 외측을 둘러 원형으로 형성되는 공간이다.
상기 제2리턴공간(14)은 상기 제1리턴공간(23)이 협소한 경우 상기 탄성부재(30)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준다.
이때도,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11)과 제2탄성체삽입홀(24)에 삽입된 인장코일스프링의 노출부 길이는 인장코일스프링의 권수, 다시 말해서, 감긴 회수를 기준으로 6 ~ 8회인 것이 적절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리턴공간(23)의 바닥면이 상기 압착볼(10)의 회전을 제한하는 상술한 회전방지턱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크게 압착볼(10), 지지부재(20), 탄성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압착볼(10)의 구조와 형상은 상술한 바와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재(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일측에 구형의 삽입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1)의 하방측에 제1리턴공간(23) 및 제3리턴공간(27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0)의 타측에는 클램프와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26)가 형성된다.
다만, 상기 연결부(26)는 상기 지지부재(20)의 하부, 상세하게는 상기 제3리턴공간(27a)의 바닥을 상하로 관통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탭홀(26b) 타입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리턴공간(27a) 내 바닥에는 제3탄성체삽입홈(28)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3탄성체삽입홈(28)은 상기 탭홀(26b) 타입의 주위를 원형으로 둘러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3탄성체삽입홈(28)의 내경은 상기 탭홀(26b)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1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제3탄성체삽입홈(28)의 폭은 코일스프링의 선경보다 약간 크게 함으로써 코일스프링이 거의 유격없이 맞춤 삽입되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부재(30)는 인장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외경이 다른 제1코일부(31), 제2코일부(32) 및 제3코일부(33)로 이루어지는 인장코일스프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코일부(31)는 상기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11)에 맞춤 삽입되도록 일정한 외경을 가지는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2코일부(32)는 상기 제3탄성체삽입홈(28)에 맞춤 삽입될 수 있는 일정한 외경을 가지는 형상이다.
이때, 상기 제2코일부(32)의 외경은 제1코일부(3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코일부(33)는 상기 제1코일부(31)와 제2코일부(32)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외경을 연결하기 위해 외경이 확장되는 원뿔형상 또는 종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다른 실시 예는 상기 압착볼(10)에 상기 제2리턴공간(14)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즉, 상기 지지부재(20)의 삽입홈(21) 하방측에 제1리턴공간(23)이 형성되고, 상기 제1리턴공간(23)의 바닥에 상기 제3리턴공간(27a) 없이 상기 탭홀(26b)이 형성되며, 상기 탭홀(26b)의 주위에 상기 제3탄성체삽입홈(28)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제2리턴공간(14)은 상기 제1리턴공간(23)이 협소한 경우 상기 탄성부재(30)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준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압착볼
11 : 제1탄성체삽입홀 12 : 상부면
13 : 하부면 14 : 제2리턴공간
20 : 지지부재
21 : 삽입홈 22 : 내부면
23 : 제1리턴공간 24 : 제2탄성체삽입홀
25 : 상부 테두리 26 : 연결부
26a : 볼트 26b : 탭홀
27 : 회전방지턱 27a : 제3리턴공간
28 : 제3탄성체삽입홈 29 : 간섭방지홈
30 : 탄성부재 31 : 제1코일부
32 : 제2코일부 33 : 제3코일부
40 : 하우징
41 : 연결부 41a : 볼트
41b : 탭홀 42 : 조임부
50 : 락킹너트 51 : 렌치홀
B : 압착볼의 외경
L : 압착볼의 중심에서 회전방지턱의 내측 상단모서리까지의 길이
H : 노출부의 길이

Claims (10)

  1. 상부면과 하부면이 평평하게 가공되고 하부면의 중앙에 일정 깊이의 제1탄성체삽입홀이 형성된 압착볼과, 일측에 상기 압착볼을 수용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하방측에 제1리턴공간과 상기 제1리턴공간의 중앙에 일정 깊이의 제2탄성체삽입홀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클램프와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가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과 제2탄성체삽입홀에 각각 일측단이 삽입되어 압착볼을 탄지하며 인장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압착볼 상부면이 공작물을 압착하여 고정 또는 이동하고 회전된 압착볼이 압착 해제 후 수평으로 복귀될 수 있는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에 있어서,
    상기 제1리턴공간의 내주면에는 상기 압착볼이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단턱 형상의 회전방지턱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방지턱의 중앙에 제2탄성체삽입홀의 내경보다 크게 홀 형상의 제3리턴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압착볼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회전방지턱의 내측 상단모서리까지의 길이는 상기 압착볼의 반경 길이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
  2. 상부면과 하부면이 평평하게 가공되고 하부면의 중앙에 일정 깊이의 제1탄성체삽입홀이 형성된 압착볼과,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에 일단이 삽입되어 압착볼을 탄지하며 인장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에 있어서,
    일측에 상기 압착볼을 수용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하방측에 제1리턴공간과 상기 제1리턴공간의 중앙에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의 제2탄성체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탄성체삽입홀의 내경보다 크게 제1리턴공간의 중앙에 홀형상의 제3리턴공간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지지부재;
    일측의 중공 내주면에 상기 지지부재의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부에 클램프와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면에 돌출되고 수나사산이 형성된 볼트타입이거나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면을 관통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탭홀타입인 하우징;
    상기 지지부재의 외주면에 체결되어 상기 하우징에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시키는 락킹너트;
    상기 제1리턴공간의 내주면에는 상기 압착볼이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단턱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압착볼의 반경보다 작게 내측 상단모서리까지의 길이가 형성된 회전방지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압착볼 상부면이 공작물을 압착하여 고정 또는 이동하고 회전된 압착볼이 압착 해제 후 수평으로 복귀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에 체결된 지지부재의 체결정도에 따라 상기 압착볼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상부면과 하부면이 평평하게 가공되고 하부면의 중앙에 일정 깊이의 제1탄성체삽입홀이 형성된 압착볼과, 일측에 상기 압착볼을 수용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하방측에 제1리턴공간과 상기 제1리턴공간의 중앙에 일정 깊이의 제2탄성체삽입홀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클램프와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가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과 제2탄성체삽입홀에 각각 일측단이 삽입되어 압착볼을 탄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압착볼 상부면이 공작물을 압착하여 고정 또는 이동하고 회전된 압착볼이 압착 해제 후 수평으로 복귀될 수 있는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에 있어서,
    상기 압착볼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의 외측을 둘러 오목한 제2리턴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리턴공간의 중앙에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리턴공간의 바닥면이 상기 압착볼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방지턱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
  7.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에 있어서,
    상부면과 하부면이 평평하게 가공되고, 하부면의 중앙에 일정 깊이의 제1탄성체삽입홀이 형성되며, 하부면에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의 외측을 둘러 오목한 제2리턴공간이 형성되는 압착볼;
    일측에 상기 압착볼을 수용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하방측에 제1리턴공간과 상기 제1리턴공간의 중앙에 탄성부재의 타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의 제2탄성체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리턴공간의 바닥면이 상기 압착볼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방지턱과 같은 역할을 하고,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지지부재;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과 제2탄성체삽입홀에 양단이 삽입되어 압착볼을 탄지하는 탄성부재;
    일측의 중공 내주면에 상기 지지부재의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부에 클램프와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면에 돌출되고 수나사산이 형성된 볼트타입이거나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면을 관통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탭홀타입인 하우징;
    상기 지지부재의 외주면에 체결되어 상기 하우징에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시키는 락킹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압착볼 상부면이 공작물을 압착하여 고정 또는 이동하고 회전된 압착볼이 압착 해제 후 수평으로 복귀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 체결된 지지부재의 체결정도에 따라 상기 압착볼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
  8. 상부면과 하부면이 평평하게 가공되고 하부면의 중앙에 일정 깊이의 제1탄성체삽입홀이 형성된 압착볼과, 일측에 상기 압착볼을 수용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하방측에 제1리턴공간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클램프와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리턴공간 내 상기 연결부의 주위에 제3탄성체삽입홈이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과 제3탄성체삽입홈에 각각 일측단이 삽입되어 압착볼을 탄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압착볼 상부면이 공작물을 압착하여 고정 또는 이동하고 회전된 압착볼이 압착 해제 후 수평으로 복귀될 수 있는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인장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에 삽입되는 제1코일부와, 상기 제3탄성체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코일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제2코일부와, 상기 제1코일부와 제2코일부를 연결하도록 원뿔형을 이루는 제3코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볼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의 외측을 둘러 오목한 제2리턴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리턴공간의 중앙에 상기 제1탄성체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면을 관통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탭홀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
KR1020200145554A 2019-11-29 2020-11-03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 KR102330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554A KR102330365B1 (ko) 2020-11-03 2020-11-03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
PCT/KR2020/015440 WO2021107438A1 (ko) 2019-11-29 2020-11-05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
CN202011322036.3A CN112873079A (zh) 2019-11-29 2020-11-23 能够自动回归原点的旋转底座
US17/104,565 US20210164515A1 (en) 2019-11-29 2020-11-25 Swivel pad capable of automatically returning to reference point
DE102020131274.1A DE102020131274A1 (de) 2019-11-29 2020-11-26 Schwenkpad, das in der Lage ist, automatisch zum Referenzpunkt zurückzukehren
JP2020196360A JP7084976B2 (ja) 2019-11-29 2020-11-26 自動原点復帰が可能なスイベルパッ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554A KR102330365B1 (ko) 2020-11-03 2020-11-03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760A KR20200140760A (ko) 2020-12-16
KR102330365B1 true KR102330365B1 (ko) 2021-11-23

Family

ID=74042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554A KR102330365B1 (ko) 2019-11-29 2020-11-03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3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7648A (ja) * 2006-05-17 2007-11-29 Tec Yasuda:Kk 二次元傾動口金
KR102151789B1 (ko) * 2019-11-29 2020-09-03 손정수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8932U (ko) * 1986-08-28 1988-03-12
KR20110032408A (ko) 2009-09-23 2011-03-30 (주)케이제이에프 토글 조오 및 그 제조방법
KR102020820B1 (ko) 2017-09-06 2019-11-04 (주)케이제이에프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그리퍼장치
KR102218481B1 (ko) 2019-04-04 2021-02-22 구경서 작업물 클램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7648A (ja) * 2006-05-17 2007-11-29 Tec Yasuda:Kk 二次元傾動口金
KR102151789B1 (ko) * 2019-11-29 2020-09-03 손정수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760A (ko) 202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5189B2 (ja) 少なくとも2つのパーツを有するナット
US8517365B2 (en) Clamp assembly
US8657545B2 (en) Strut clamp
US20050095080A1 (en) Structure for coupling bolt and clamp for automobile
CA2854721C (en) Clamp assembly
CN101203683A (zh) 铰链装置和/或支承装置
US6490765B2 (en) Band for a hose clamp
KR102151789B1 (ko)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
JP3179866U (ja) ネジ式クランプの受け金
KR102330365B1 (ko)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
JP7084976B2 (ja) 自動原点復帰が可能なスイベルパッド
JP2005527747A (ja) 回転ポイント式止めネジ
US20040175252A1 (en) Fastener and washer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6722832B2 (en) Assembly unit including a component and at least one thread forming screw
JP5089327B2 (ja) 締結用部材
KR101915849B1 (ko) 순수 축력 도입을 위한 분할나선형 스프링 와셔
KR20130105134A (ko) 파이프용 클램프
FR2597935A1 (fr) Element d'assemblage filete, tel qu'une vis, dont la tete est munie d'un recouvrement isolant
KR102592797B1 (ko) 과토크 방지 캡너트
WO2024142380A1 (ja) ワッシャ、ナット、締結構造
CN212986291U (zh) 卡箍和工程机械
JP7246440B2 (ja) 補強治具の装着方法
JP3138891U (ja) スチールワイヤロープ用挟持具
WO2008068300A1 (fr) Ecrou a collet deformable
KR200379664Y1 (ko) 클램핑력 보정이 가능한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