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5134A - 파이프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파이프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5134A
KR20130105134A KR1020120027299A KR20120027299A KR20130105134A KR 20130105134 A KR20130105134 A KR 20130105134A KR 1020120027299 A KR1020120027299 A KR 1020120027299A KR 20120027299 A KR20120027299 A KR 20120027299A KR 20130105134 A KR20130105134 A KR 20130105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upling
clamp
eccentric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철
장명휘
Original Assignee
(주)미래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미래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027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5134A/ko
Publication of KR20130105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1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0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pivoting j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상호 일단이 중첩 결합되고 타단이 힌지 결합되어 파이프의 외면에 회전운동하여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 및 중앙부가 편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가 상호 중첩 결합되는 일단을 체결하는 체결유닛(30,40)을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파이프용 클램프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은 편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체결유닛을 이용해 간단한 조작만으로 파이프를 클램핑 및 해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이프용 클램프{CLAMP FOR STEEL PIPE}
본 발명은 파이프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를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해 매우 간단한 조작으로 수용하는 파이프를 조이면서 고정하고 손쉽게 파이프의 클램핑 상태를 해제하는 파이프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또는 건축 현장에서 사용되는 자재 중 하나인 비계용 파이프를 연결하거나 고정하기 위하여 흔히 클램프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파이프용 클램프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0-0006289호(2000년 1월 25일 공개,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용 클램프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이프용 클램프는 상호 일단이 중첩 및 힌지결합되어 파이프의 외면에 회전운동하여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 1몸체(1)와 제 2몸체(2), 제 1몸체(1)에 힌지 결합되는 나사막대(3) 및 제 2몸체(2) 측으로 회전운동하여 제 2몸체(2)의 플랜지(5)에 형성된 삽입홈(6)에 삽입된 나사막대(3)에 체결되는 너트(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파이프용 클램프는 너트(4)가 나사막대(3)의 축선을 따라 나선 이동하여 제 2몸체(2)의 플랜지(5)를 가압함으로써 제 1몸체(1)와 제 2몸체(2)가 파이프를 조임 결합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파이프용 클램프는 파이프의 클램핑 상태를 해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일일이 나사막대(3)로부터 너트(4)가 체결 해제되도록 한편으로는 나사막대(3)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너트(4)를 스패너나 래칫 핸들과 같은 공구로 돌려서 나사막대(3)로부터 분리시켜 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힘이 많이 들어가게 되는 등의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작업자가 파이프가 클램핑된 상태를 손쉽게 해제하기 위해 너트(4)에 의해 제 2몸체(2)에 고정된 나사막대(3)가 제 2몸체(2)로부터 고정 해제되도록 망치 등으로 타격을 가함에 따라 파이프용 클램프의 나사막대(3)나 너트(4) 또는 제 2몸체(2) 등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0-0006289호(2000년 1월 25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를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해 매우 간단한 조작으로 수용하는 파이프를 조이면서 고정하고 손쉽게 파이프의 클램핑 상태를 해제하는 파이프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클램핑된 파이프에 진동이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크램프의 파손이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는 파이프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호 일단이 중첩 결합되고 타단이 힌지 결합되어 파이프의 외면에 회전운동하여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 및 중앙부가 편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상호 중첩 결합되는 일단을 체결하는 체결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몸체 및 제2 몸체는 각각 원형의 파이프가 안착 수용되는 제1 및 제2 수용부,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결합되는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힌지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수용부의 타측에 상기 체결유닛이 결합되는 제1 및 제2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부에는 힌지축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결합부에는 상기 체결유닛의 중간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제1 결합부의 힌지축에 결합되도록 하단부에 힌지공이 형성되는 힌지부, 파이프의 변형 여부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부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편심축을 중심으로 편심 회전해서 상기 제2 결합부를 제1 결합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편심부 및 상기 편심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편심부와 함께 편심 회전하는 회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부는 하단부에 힌지공이 형성되는 링부 및 상기 링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연결부와 나사 결합되는 결합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바의 상단부는 상기 힌지부와 연결부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하단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 하단부에는 상기 결합바의 상단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이 되도록 환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몸체 및 제2 몸체는 각각 원형의 파이프가 안착 수용되는 제1 및 제2 수용부,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결합되는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힌지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수용부의 타측에 상기 체결유닛이 결합되는 제1 및 제2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부에는 힌지축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결합부에는 상기 체결유닛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제1 결합부의 힌지축에 걸어지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의 상단이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걸림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부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와 걸림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캡, 상기 연결부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편심축을 중심으로 편심 회전해서 상기 제2 결합부를 제1 결합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편심부 및 상기 편심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편심부와 함께 편심 회전하는 회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재의 상단부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단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걸림부재의 상단부에 대응되도록 단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홈 내부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삽입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걸림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재의 중앙부에는 상기 걸림부재와 조절캡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상기 조절캡의 내경에 대응되게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캡의 하단부에는 상기 플랜지부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이 되도록 환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몸체 및 제2 몸체는 각각 원형의 파이프가 안착 수용되는 제1 및 제2 수용부,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결합되는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힌지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수용부의 타측에 상기 체결유닛이 결합되는 제1 및 제2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부에는 상기 체결유닛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에는 상기 체결유닛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제1 결합부의 결합공간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의 상단이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걸림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부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와 걸림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캡, 상기 연결부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편심축을 중심으로 편심 회전하는 편심부 및 상기 편심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편심부와 함께 편심 회전하는 회전바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편심부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결합부의 상면은 상기 편심부에 대응되도록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제1 힌지부와 제2 힌지부 중 어느 하나에는 서로 접하는 면에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임시 고정하도록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에는 내부에 안착되는 파이프를 향해 판면으로부터 절곡 연장된 보강 테두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 테두리부에는 파이프의 클램핑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 테두리부의 내측면에는 클램핑되는 파이프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도록 다수의 미끄럼방지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판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함몰된 보강 비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편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체결유닛을 이용해 간단한 조작만으로 파이프를 클램핑 및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파이프 설치작업의 작업속도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파이프의 변형 여부에 따라 체결유닛의 연결부와 힌지부 또는 걸림부재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변형된 파이프도 안정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제1 및 제2 몸체에 형성된 보강 테두리부에 의해 제1 몸체 및 제2 몸체의 클램핑력을 강화하여 클램핑된 파이프에 진동이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파이프용 클램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 테두리부에 탄성홈과 미끄럼방지 홈을 형성하여 다양한 크기의 원형 파이프를 자유자재로 클램핑하여 파이프의 클램핑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 비드부에 의해 제1 몸체 및 제2 몸체의 플레이트 구조 강도가 강화되어 클램핑된 파이프에 진동이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클램프의 변형을 좀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제1 및 제2 힌지부 접촉면 중 어느 하나에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임시 고정함으로써, 파이프 클램프 보관시 덜컹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유닛의 연결부 하단 또는 조절캡 하단에 환턱을 형성함으로써, 체결유닛의 분리를 방지하여 부품의 분실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 몸체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체결유닛의 부분절결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체결유닛의 부분절결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 몸체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2에 도시된 체결유닛의 부분절결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일단이 중첩 결합되고 타단이 힌지 결합되어 파이프의 외면에 회전운동하여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 및 중앙부가 편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가 상호 중첩 결합되는 일단을 체결하는 체결유닛(30)을 포함한다.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는 각각 원형의 파이프가 안착 수용되는 제1 및 제2 수용부(11,21),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가 결합되는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힌지부(12,22) 그리고 제1 및 제2 수용부(11,21)의 타측, 즉 제1 및 제2 힌지부(12,22)의 반대측에 체결유닛(30)이 결합되는 제1 및 제2 결합부(13,23)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의 제1 및 제2 수용부(11,21)에는 내부에 안착되는 파이프를 향해 판면으로부터 절곡 연장된 보강 테두리부(14,24)가 형성된다.
즉, 제1 및 제2 수용부(11,21)는 보강 테두리부(14,24)가 형성됨에 따라 두꺼운 철판 재질로 파이프의 하중을 분담하도록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는다.
보강 테두리부(14,24)의 내측면에는 각각 클램핑된 파이프가 미끄러져 클램핑 상태가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파이프를 클램핑할 때 파이프가 안착되어 파이프의 표면과 접촉하는 접촉력을 향상시키는 다수의 미끄럼방지 홈(25)이 형성된다.
도 2에서 미끄럼방지 홈(25)은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미끄럼방지 홈(25)은 비스듬하게 사선으로 형성되거나, 격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몸체 및 제2 몸체에 보강 테두리부를 형성하여 제1 및 제2 몸체의 강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한 클램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 테두리부(14,24)에는 원형 파이프 클램핑시 탄성을 이용해 파이프를 견고하게 클램핑하도록 탄성홈(2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파이프를 클램핑하는 부분에 작은 반구 형상으로 홈을 파서 탄성홈을 형성함에 따라, 클램핑되는 파이프를 더욱 안정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 테두리부의 내측면에 다수의 미끄럼방지 홈을 형성함에 따라 파이프를 클램핑하는 클램핑력을 향상시켜 더욱 견고하게 파이프를 클램핑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1 및 제2 수용부(11,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판면으로부터 일정 형상으로 함몰된 보강 비드부(2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2 수용부(21)의 판면 중앙에는 보강 비드부(27)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이 대략 'X'자의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함몰되게 형성되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수용부(11)의 판면 중앙에는 보강 비드부가 대략 일자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보강 비드부를 형성하여 제1 몸체 및 제2 몸체의 플레이트 구조 강도를 강화해서 클램핑된 파이프에 진동이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파이프용 클램프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수용부(21)의 판면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유닛(30)의 회전바(34)가 삽입되도록 삽입공간(28)이 형성된다.
삽입공간(28)의 양측에는 회전바(34)가 삽입된 상태에서 진동이나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회전바(34)가 임의로 삽입공간(28)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쌍의 이탈방지턱(29)이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공간(28)은 파이프의 클램핑을 해제하는 경우, 사용자가 용이하게 회전바(34)를 삽입공간(28)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회전바(34)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결합부(13)는 체결유닛(30)이 힌지 결합되도록 힌지축이 설치되고, 제2 결합부(23)는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유닛(30)의 연결부(32)가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삽입홈(231)이 형성된다.
즉, 삽입홈(23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부(23)에 보강 테두리부(24)가 형성된 상태에서 제2 결합부(23)의 선단으로부터 힘을 가해 내측으로 함몰시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결합부(23)의 단면은 대략 '∩ ∩'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파이프를 클램핑하는 과정에서 체결유닛의 편심부가 회전시 가해지는 힘에 의한 제2 결합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결합부(23)의 상면은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유닛(30)의 회전부(33)에 대응되도록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제1 및 제2 힌지부(12,22) 중 어느 하나에는 파이프용 클램프의 보관시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가 회전운동하면서 덜컹거림을 방지하도록 서로 접하는 면을 향해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유닛(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13)의 힌지축에 결합되도록 하단부에 힌지공이 형성되는 힌지부(31), 파이프의 변형 여부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힌지부(31)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연결부(32), 연결부(32)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편심축을 중심으로 편심 회전하는 편심부(33) 및 편심부(33)의 상단에 결합되어 편심부(33)와 함께 편심 회전하는 회전바(34)를 포함한다.
힌지부(31)는 하단부에 힌지공이 형성되는 링부(35) 및 링부(35)의 상단에 형성되어 연결부(32)와 나사 결합되는 결합바(36)를 구비한다.
연결부(32)는 힌지부(31)의 결합바(36)가 나사 결합되도록 하방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바(36)의 외주면과 연결부(32)의 내주면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힌지부(31)와 연결부(32)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결합바(36)의 상단부는 하단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연결부(32)의 내주면 하단부에는 결합바(36)의 상단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이 되도록 환턱(37)이 형성된다.
환턱(37)은 연결부(32)의 내부 공간에 결합바(36)를 결합한 상태에서 연결부(32)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절곡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힌지부를 중심으로 연결부를 회전시켜 힌지부와 연결부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파이프의 변형으로 인해 파이프의 직경이 변경됨에 따라 파이프 클램핑시 제1 몸체 및 제2 몸체와 파이프 사이의 유격을 보상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환턱을 이용해 힌지부와 연결부의 분리를 방지함으로써, 체결유닛을 이루는 각 부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에 파이프를 클램핑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힌지축을 중심으로 파이프용 클램프의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를 상호 이격시켜 벌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파이프를 감싸도록 접촉시킨다.
그리고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의 제1 및 제2 결합부(13,23)가 파이프의 외면에서 상호 중첩되어 파이프를 감싸도록 파이프에 제1 및 제2 몸체(10,20)의 제1 및 제2 수용부(11,21)에 마련된 보강 테두리부(14,24)를 밀착한다.
이때, 파이프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직경이 늘어나거나 줄어든 상태인 경우, 체결유닛(30)의 힌지부(31)를 중심으로 연결부(32)를 회전시켜 체결유닛(30)의 연결부(32)와 힌지부(31)의 길이를 조절한다.
이어서, 제1 몸체(10)에 힌지 결합된 체결유닛(30)을 제1 결합부(1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시켜 체결유닛(30)의 연결부(32) 상부를 제2 결합부(23)의 삽입홈(231)에 삽입한다.
그리고 체결유닛(30)의 회전바(34)를 제2 몸체(20)를 향해 회전시켜 제2 몸체(20)에 형성된 삽입공간(28)에 삽입하면, 편심부(33)가 편심축을 중심으로 편심 회전하면서 제2 결합부(23)를 제1 결합부(13)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몸체(10,20)는 내부에 설치된 파이프를 강한 힘으로 클램핑하게 된다.
이때, 회전바(34)는 삽입공간(28)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이탈방지턱(29)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진동이나 외력에 의해 회전바(34)가 삽입공간(28)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파이프의 클램핑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제2 몸체(20)의 삽입공간(28)이 회전바(34)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에 따라 손가락이나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삽입공간(28) 상단부에 삽입한 후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해 회전바(34)를 제2 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편심부(33)가 편심 회전하면서 제2 결합부(23)를 제1 결합부(13) 측으로 미는 힘이 제거됨에 따라 제2 결합부(23)와 제1 결합부(13)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이어서, 힌지부(31)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체결유닛(30)을 회전운동시켜 연결부(32)를 제2 결합부(23)의 삽입홈(231)에서 분리한 후, 제1 결합부(13)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제2 몸체(20)를 회전운동시켜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 사이에 클램핑된 파이프를 제거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편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체결유닛을 이용해 간단한 조작으로 파이프를 클램핑 및 해제할 수 있어 파이프 설치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체결유닛의 부분절결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는 상기의 제1 실시 예와 유사하고, 다만 체결유닛(40)이 제2 몸체(20)의 제2 결합부(23)에 설치된다.
즉, 제1 결합부(13)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유닛(40)의 걸림부재(41)가 걸어지도록 상기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힌지축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2 결합부(23)에는 체결유닛(40)이 삽입되도록 삽입공(232)이 형성된다.
여기서, 삽입공(232)은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유닛(40)의 연결부(42)가 삽입되도록 연결부(42)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유닛(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13)의 힌지축에 걸어지는 걸림부재(41), 걸림부재(41)의 상단이 결합되도록 결합홈(43)이 형성되는 연결부(42), 연결부(42)와 걸림부재(41)를 연결하고 연결부(42)와 나사 결합되어 연결부(42)와 걸림부재(41)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캡(44), 연결부(42)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편심축을 중심으로 편심 회전하는 편심부(45) 및 편심부(45)의 상단에 결합되어 편심부(45)와 함께 편심 회전하는 회전바(46)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체결유닛(40)은 조절캡(44)을 회전시켜 연결부(42)와 걸림부재(41)의 길이를 조절한다.
이를 위해, 연결부(42)의 하단부 외주면과 조절캡(44)의 내주면 상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부재(41)의 상단부는 결합홈(43)에 삽입되는데, 결합홈(43)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단면이 사각형이나 삼각형과 같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결합홈(43)도 걸림부재(41)의 상단부에 대응되도록 단면이 사각형이나 삼각형과 같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결합홈(43) 내부에는 걸림부재(41)의 삽입시 탄성 변형되면서 걸림부재(41)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스프링(47)이 설치될 수 있다.
또 걸림부재(41)가 조절캡(44)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걸림부재(41)의 중앙부에는 조절캡(44)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플랜지부(411)가 형성되고, 조절캡(44)의 하단부에는 플랜지부(41)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이 되도록 환턱(441)이 형성된다.
환턱(441)은 제1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조절캡(44)의 내부 공간에 걸림부재(41)의 플랜지부(411)를 결합한 상태에서 조절캡(44)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절곡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는 파이프를 클램핑하는 경우, 걸림부재(41)를 제1 몸체(10)의 제1 결합부(13)에 설치된 힌지축에 건 후, 파이프의 변형 여부에 따라 조절캡(44)을 회전시켜 연결부(42)와 걸림부재(41)의 길이를 조절한다.
이어서, 회전바(46)를 제2 몸체(20)를 향해 회전시켜 제2 결합부(23)를 제1 결합부(13) 측으로 이동시켜 파이프를 견고하게 클램핑할 수 있다.
<제3 실시 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는 상기의 제2 실시 예의 구성과 유사하다.
다만, 도 6에서 걸림부재(41)는 후크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 걸림부재(4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결합부(13)의 양측면을 내측을 향해 절곡해서 형성된 결합공간(131)에 결합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6에서 편심부(33,45)는 한 쌍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 편심부(49)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편심축이 설치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체결유닛의 회전부를 회전운동시키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클램핑 및 해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편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체결유닛을 이용해 간단한 조작만으로 파이프를 클램핑 및 해제하도록 하여 파이프 설치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적용된다.
10: 제1 몸체 11: 제1 수용부
12: 제1 힌지부 13: 제1 결합부
131: 결합홈 14: 보강 테두리부
20: 제2 몸체 21: 제2 수용부
22: 제2 힌지부 23: 제2 결합부
231: 삽입홈 232: 삽입공
24: 보강 테두리부 25: 미끄럼방지 홈
26: 탄성홈 27: 보강 비드부
28: 삽입공간 29: 이탈방지턱
30: 체결유닛 31: 힌지부
32: 연결부 33: 편심부
34: 회전바 35: 링부
36: 결합바 37: 환턱
40: 체결유닛 41,48: 걸림부재
411: 플랜지부 42: 연결부
43: 결합홈 44: 조절캡
441: 환턱 45,49: 편심부
46: 회전바 47: 스프링

Claims (18)

  1. 상호 일단이 중첩 결합되고 타단이 힌지 결합되어 파이프의 외면에 회전운동하여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 및
    중앙부가 편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가 상호 중첩 결합되는 일단을 체결하는 체결유닛(30,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는 각각 원형의 파이프가 안착 수용되는 제1 및 제2 수용부(11,21),
    상기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가 결합되는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힌지부(12,22)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수용부(11,21)의 타측에 상기 체결유닛(30)이 결합되는 제1 및 제2 결합부(13,23)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부(13)에는 힌지축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결합부(23)에는 상기 체결유닛(30)의 중간부가 삽입되는 삽입홈(2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30)은
    상기 제1 결합부(13)의 힌지축에 결합되도록 하단부에 힌지공이 형성되는 힌지부(31),
    파이프의 변형 여부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부(31)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연결부(32),
    상기 연결부(32)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편심축을 중심으로 편심 회전해서 상기 제2 결합부(23)를 제1 결합부(13) 측으로 이동시키는 편심부(33) 및
    상기 편심부(33)의 상단에 결합되어 편심부(33)와 함께 편심 회전하는 회전바(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31)는
    하단부에 힌지공이 형성되는 링부(35) 및
    상기 링부(35)의 상단에 형성되어 연결부(32)와 나사 결합되는 결합바(3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바(36)의 상단부는 상기 힌지부(31)와 연결부(32)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하단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32)의 내주면 하단부에는 상기 결합바(36)의 상단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이 되도록 환턱(3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는 각각 원형의 파이프가 안착 수용되는 제1 및 제2 수용부(11,21),
    상기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가 결합되는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힌지부(12,22)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수용부(11,21)의 타측에 상기 체결유닛(30)이 결합되는 제1 및 제2 결합부(13,23)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부(13)에는 힌지축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결합부(23)에는 상기 체결유닛(40)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삽입공(2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40)은
    상기 제1 결합부(13)의 힌지축에 걸어지는 걸림부재(41),
    상기 걸림부재(41)의 상단이 결합되도록 결합홈(43)이 형성되는 연결부(42),
    상기 연결부(42)와 걸림부재(41)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부(42)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42)와 걸림부재(41)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캡(44),
    상기 연결부(42)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편심축을 중심으로 편심 회전해서 상기 제2 결합부(23)를 제1 결합부(13) 측으로 이동시키는 편심부(45) 및
    상기 편심부(45)의 상단에 결합되어 편심부(45)와 함께 편심 회전하는 회전바(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41)의 상단부는 상기 결합홈(43)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단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43)은 상기 걸림부재(41)의 상단부에 대응되도록 단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43) 내부에는 상기 걸림부재(41)의 삽입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걸림부재(41)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7)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41)의 중앙부에는 상기 걸림부재(41)와 조절캡(44)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상기 조절캡(44)의 내경에 대응되게 플랜지부(411)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캡(44)의 하단부에는 상기 플랜지부(411)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이 되도록 환턱(4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는 각각 원형의 파이프가 안착 수용되는 제1 및 제2 수용부(11,21),
    상기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가 결합되는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힌지부(12,22)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수용부(11,21)의 타측에 상기 체결유닛(40)이 결합되는 제1 및 제2 결합부(13,23)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부(13)에는 상기 체결유닛(4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13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23)에는 상기 체결유닛(40)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삽입공(2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40)은
    상기 제1 결합부(13)의 결합공간(131)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걸림부재(48),
    상기 걸림부재(48)의 상단이 결합되도록 결합홈(43)이 형성되는 연결부(42),
    상기 연결부(42)와 걸림부재(48)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부(42)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42)와 걸림부재(48)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캡(44),
    상기 연결부(42)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편심축을 중심으로 편심 회전하는 편심부(49) 및
    상기 편심부(49)의 상단에 결합되어 편심부(49)와 함께 편심 회전하는 회전바(46)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48)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편심부(49)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13. 제3항, 제7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23)의 상면은 상기 편심부(33,45,49)에 대응되도록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14. 제3항, 제7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의 제1 힌지부(12)와 제2 힌지부(22) 중 어느 하나에는 서로 접하는 면에 상기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를 임시 고정하도록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10)와 상기 제2 몸체(20)에는 내부에 안착되는 파이프를 향해 판면으로부터 절곡 연장된 보강 테두리부(14,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테두리부(14,24)에는 파이프의 클램핑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홈(2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테두리부(14,24)의 내측면에는 클램핑되는 파이프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도록 다수의 미끄럼방지 홈(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10) 및 상기 제2 몸체(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판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함몰된 보강 비드부(2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KR1020120027299A 2012-03-16 2012-03-16 파이프용 클램프 KR201301051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299A KR20130105134A (ko) 2012-03-16 2012-03-16 파이프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299A KR20130105134A (ko) 2012-03-16 2012-03-16 파이프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134A true KR20130105134A (ko) 2013-09-25

Family

ID=49453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299A KR20130105134A (ko) 2012-03-16 2012-03-16 파이프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51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317B1 (ko) * 2014-12-15 2015-06-12 (주)성대플라텍 패널 고정용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317B1 (ko) * 2014-12-15 2015-06-12 (주)성대플라텍 패널 고정용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245B1 (ko) 파이프용 클램프
JP5155189B2 (ja) 少なくとも2つのパーツを有するナット
KR101535989B1 (ko) 풀림 방지용 와셔
US8262329B2 (en) Fastening device
US20090304443A1 (en) Bolt with collar and flexible sleeve insert
EP1620232B1 (en) A wrench
JP5770370B2 (ja) 緩み止め付きねじ締結具
CA2854721C (en) Clamp assembly
KR101199923B1 (ko) 파이프용 클램프
KR20150115411A (ko) 볼트 풀림 방지구조
KR101187602B1 (ko) 파이프용 클램프
WO2020031252A1 (ja) ロックワッシャおよび締結構造
US11644059B2 (en) Two-part nut with high pressing force
KR20130105134A (ko) 파이프용 클램프
US10919130B2 (en) Wrench
JP7045065B2 (ja) 脱落防止具
TWI812842B (zh) 脫落防止具
JP2019070401A (ja) 配管用工具、止水器および配管設置部材
KR20130107073A (ko) 파이프용 클램프
KR101120626B1 (ko) 파이프용 클램프
JP7442185B2 (ja) 脱落防止具
KR101214008B1 (ko) 파이프용 클램프
JP2014109378A (ja) 爪車ロックボルト
KR102330365B1 (ko)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 패드
JP2020028945A (ja) ドライ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