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055B1 - 목재의 방염 도포 장치 - Google Patents

목재의 방염 도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055B1
KR102329055B1 KR1020190147753A KR20190147753A KR102329055B1 KR 102329055 B1 KR102329055 B1 KR 102329055B1 KR 1020190147753 A KR1020190147753 A KR 1020190147753A KR 20190147753 A KR20190147753 A KR 20190147753A KR 102329055 B1 KR102329055 B1 KR 102329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flame retardant
supply
unit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0116A (ko
Inventor
이남융
Original Assignee
이남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융 filed Critical 이남융
Priority to KR1020190147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055B1/ko
Publication of KR20210060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02Processes;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 B05C1/0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to flat rectangular articles, e.g. flat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31/00Arrangements for conveying, loading, turning, adjusting, or discharging the log or timber, specially designed for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 B27B31/003Arrangements for conveying, loading, turning, adjusting, or discharging the log or timber, specially designed for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with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02Processes; Apparatus
    • B27K3/0207Pretreatment of wood before impregnation
    • B27K3/0214Dr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를 공급하는 목재 공급 리프팅부; 상기 목재 공급 리프팅부에서 공급된 목재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며, 사각형상으로 하부면에는 지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지지 막대가 구비되는 이송테이블과, 상기 이송테이블의 상부면에 상기 이송테이블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는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이송 컨베이어부;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를 통해 이송되는 목재를 예열하여 목재 표면의 수분을 제거하는 예열부; 상기 예열부와 인접하게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예열부를 통과한 목재에 방염재를 도포하는 방염재 도포부; 및 상기 방염재 도포부를 통과하면서 방염재가 표면에 도포된 목재를 회수하는 목재 회수 리프팅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염재 도포부는 상기 이송테이블의 상부에 상기 이송테이블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롤러를 통해 이송되는 목재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방염재를 도포하는 제1도포부재와, 상기 이송테이블의 상부에 상기 제1도포부재와 이격되게 복수개가 구비되며 이송되는 목재의 양측면에 방염재를 도포하는 제2도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포부재는 상기 이송테이블의 장착되는 복수개의 가로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에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송되는 목재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방염재를 도포하는 제1 및 제2가로도포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가로도로롤러를 감싸는 제1덮개와, 상기 제1 및 제2가로도포롤러에 방염재를 공급하는 제1방염재 공급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가로도포롤러의 내부에는 상기 제1방염재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방염재가 저장되는 저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가로도포롤러의 둘레면에는 상기 저장부에서 공급되는 방염재가 배출되는 복수개의 배출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유로 상에는 이격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배출홀에는 상기 배출유로가 이송되는 목재에 밀착 시 상기 배출홀을 개폐시키는 배출홀 개폐부재가 구비되는 목재의 방염 도포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목재의 둘레면에 도포되는 방염재를 분사방식 또는 침전방식을 이용하지 않고 덮개가 둘레면을 감싸는 롤러를 이용하여 도포함으로써 손실되는 방염재의 양을 조절함과 동시에 손실되는 방염재의 양을 줄일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방염재를 도포하기 전 이송되는 목재를 예열시켜 목재 표면의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방염재의 침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목재의 방염 도포 장치{Flame retardant applicator of wood}
본 발명은 목재의 방염 도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되는 목재를 예열하여 목재 표면의 수분을 제거한 후 건조된 목재의 표면에 방염재를 도포하는 목재의 방염 도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990583호에 기재된 배경기술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화재 시에는 고열과 유독가스에 의해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인명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고자 건축 내장재료는 가급적 불에 잘 타지 않고 유독가스의 방출이 많지 않은 것들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사항에 부응하기 위해, 최근에는 표면에 방염처리가 된 목재를 건축용 내장재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한편, 방염처리되지 않은 목재에 화재가 발생되면 목재가 연소되면서 고열 및 유독가스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고열 및 유독가스로부터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 목재의 연소가 확대되지 않도록 약제 처리된 물질 등을 목재의 표면에 도포하는 것을 방염처리라 하는데, 목재의 표면에 멜라민수지와 같은 방염액을 발라서 불길이 닿더라도 쉽게 타지 않고, 설사 불이 붙어도 유독가스가 적게 발생하도록 표면에 도장처리를 하게 된다.
일반적인 방염처리 과정 중 방염액을 분사하는 방법은 목재에 방염액을 뿌리게 되면 손실되는 방염액 및 물의 양이 많아지고, 주변 환경에 방염액 및 물이 튀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목재를 방염액 및 물에 잠기게 하는 침전식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방염재 가격과 설비값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진공로에 목재와 방염액을 투입하여 목재에 방염액을 도포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진공로에 목재와 방염액을 넣게 되면 방염액을 도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고가의 장비를 이용해야 함으로써 빙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방염재를 목재에 분사하거나 목재를 방염제에 침전시키는 방식 및 진공로에 목재와 방염액을 투입하는 방식이 아닌 목재에 방염재를 도포하는 롤러를 감싸는 덮개에 묻힌 후 롤러를 회진시키면서 방염재를 이송되는 목재의 둘레면에 자동으로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목재의 방염 도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목재를 공급하는 목재 공급 리프팅부; 상기 목재 공급 리프팅부에서 공급된 목재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며, 사각형상으로 하부면에는 지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지지 막대가 구비되는 이송테이블과, 상기 이송테이블의 상부면에 상기 이송테이블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는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이송 컨베이어부;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를 통해 이송되는 목재를 예열하여 목재 표면의 수분을 제거하는 예열부; 상기 예열부와 인접하게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예열부를 통과한 목재에 방염재를 도포하는 방염재 도포부; 및 상기 방염재 도포부를 통과하면서 방염재가 표면에 도포된 목재를 회수하는 목재 회수 리프팅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염재 도포부는 상기 이송테이블의 상부에 상기 이송테이블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롤러를 통해 이송되는 목재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방염재를 도포하는 제1도포부재와, 상기 이송테이블의 상부에 상기 제1도포부재와 이격되게 복수개가 구비되며 이송되는 목재의 양측면에 방염재를 도포하는 제2도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포부재는 상기 이송테이블의 장착되는 복수개의 가로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에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송되는 목재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방염재를 도포하는 제1 및 제2가로도포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가로도로롤러를 감싸는 제1덮개와, 상기 제1 및 제2가로도포롤러에 방염재를 공급하는 제1방염재 공급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가로도포롤러의 내부에는 상기 제1방염재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방염재가 저장되는 저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가로도포롤러의 둘레면에는 상기 저장부에서 공급되는 방염재가 배출되는 복수개의 배출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유로 상에는 이격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배출홀에는 상기 배출유로가 이송되는 목재에 밀착 시 상기 배출홀을 개폐시키는 배출홀 개폐부재가 구비되는 목재의 방염 도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의 방염 도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목재 공급 리프팅부는, 지면에 밀착되는 공급 밀착단과, 상기 공급 밀착단과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부에는 목재가 안착되는 공급 승하강단과, 상기 공급 밀착단의 상부에 안착되고 일단은 상기 공급 승하강단에 밀착되며 상기 공급 승하강단을 상기 공급 밀착단의 상부에서 승하강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공급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재 공급 리프팅부는 상기 공급 밀착단과 상기 공급 승하강단을 연결하는 공급 연결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급 연결단부재는 복수개의 공급 연결단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공급 연결단의 일단은 상기 공급 밀착단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공급 승하강단의 둘레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급 승하강단의 둘레면에는 상기 공급 연결단의 타단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공급 이동장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는 상기 목재 공급 리프팅부와 상기 목재 회수 리프팅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이송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열부는 상기 이송테이블의 전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테이블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테이블의 전단측 상부를 부분적으로 밀폐시키는 밀폐 커버와, 상기 밀폐 커버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밀폐 커버의 내부로 목재를 예열하는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제2도포부재는 상기 이송테이블의 장착되는 복수개의 세로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세로프레임에 폭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송되는 목재의 양측면에 방염재를 도포하는 제1 및 제2세로도포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세로도포롤러를 감싸는 제2덮개와, 상기 제1 및 제2세로도포롤러에 방염재를 공급하는 제2방염재 공급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세로도포롤러의 내부에는 상기 제2방염재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방염재가 저장되는 저장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세로도포롤러의 둘레면에는 상기 저장부에서 공급되는 방염재가 배출되는 복수개의 배출유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유로 상에는 이격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배출홀에는 상기 배출유로가 이송되는 목재에 밀착 시 상기 배출홀을 개폐시키는 배출홀 개폐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염 도포 장치는 목재의 둘레면에 도포되는 방염재를 분사방식 또는 침전방식을 이용하지 않고 덮개가 둘레면을 감싸는 롤러를 이용하여 도포함으로써 손실되는 방염재의 양을 조절함과 동시에 손실되는 방염재의 양을 줄일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방염재를 도포하기 전 이송되는 목재를 예열시켜 목재 표면의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방염재의 침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의 방염 도포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목재 공급 리프팅부가 승하강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예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목재가 이송 컨베이어로 이송되면서 방염재 도포부에서 방염재가 도포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도포부재에서 방염재가 도포되는 과정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2도포부재에서 방염재가 도포되는 과정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1가로도포롤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제1가로도포롤러가 회전되면서 방염재가 제1덮개를 통해 목재의 표면에 도포되는 과정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의 방염 도포 장치(1000)는, 목재 공급 리프팅부(1100)와, 이송 컨베이어부(1200)와, 예열부(1300)와, 방염재 도포부(1400)와, 목재 회수 리프팅부(1500)를 포함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목재 공급 리프팅부(1100)는 목재(W)를 이송 컨베이어부(1200)로 공급하기 위해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목재 공급 리프팅부(1100)는 공급 밀착단(1110), 공급 승하강단(1120), 공급 유압실린더(1130)를 포함하고, 공급 연결단부재(1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 밀착단(1110)은 사각형상의 판재로 지면 또는 바닥면에 밀착되고, 상기 공급 승하강단(1120)은 상기 상기 공급 밀착단(111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공급 밀착단(1110)과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부에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1200)로 공급되는 목재가 안착되게 된다.
상기 공급 밀착단(1110)의 상부에는 공급 유압실린더(1130)가 안착되고, 상기 공급 유압실린더(1130)의 일단은 상기 공급 승하강단(1120)에 밀착된다. 상기 공급 유압실린더(1130)은 상기 공급 밀착단(1110)과 상기 공급 승하강단(1120)을 연결하면서 상기 공급 밀착단(1110)의 상부에서 상기 공급 승하강단(1120)을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급 유압실린더(1130)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동작이 제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공급 밀착단(1110)과 상기 공급 승하강단(1120)은 공급 연결단부재(114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공급 연결단부재(1140)는 복수개의 공급 연결단(1142)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 연결단부재(1140)는 막대형상을 가지고 그 양단이 각각 상기 공급 밀착단(1110)과 상기 공급 승하강단(1120)의 전면과 후면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공급 밀착단(1110)과 상기 공급 승하강단(1120)을 연결하며, 상기 공급 연결단부재(1140)는 상기 공급 승하강단(1120)에 형성된 공급 이동장홀(1120a)과 연계하여 상기 공급 승하강단(1120)의 승하강 범위를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급 연결단(1142)의 일단은 상기 공급 밀착단(1110)의 전면 및 후면에 힌지 결합되고, 그 타단은 상기 공급 승하강단(1120)의 전면 및 후면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공급 승하강단(1120)의 전면 및 후면에는 상기 공급 연결단(1142)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는 공급 결합돌기(1120b)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공급 이동장홀(1120a)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 결합돌기(1120b)의 일단은 상기 공급 이동장홀(1120a)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 결합돌기(1120b)가 상기 공급 이동장홀(1120a)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범위가 단속됨에 따라 상기 상기 공급 승하강단(1120)의 승하강 범위가 단속되게 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목재 공급 리프팅부(1100)에서 공급되는 목재(W)는 이송 컨베이어부(1200)를 통해 후술되는 예열부(1300) 및 목재 회수 리프팅부(1500)로 이송되며,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1200)는 이송테이블(1210), 복수개의 이송롤러(1220),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1200)는 상기 목재 공급 리프팅부(1100)와 상기 목재 회수 리프팅부(15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테이블(1210)은 사각형상으로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이송롤러(1220)가 구비되고, 그 하부면에는 지면 또는 바닥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지지 막대(1212)가 구비된다.
상기 복수개의 이송롤러(1220)는 상기 이송테이블(121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미도시)는 이송롤러(1220)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모터(미도시)는 연결벨트(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이송롤러(1220)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이송롤러(1220) 전체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복수개의 이송롤러(1220) 중 일부의 이송롤러(1220)와 연결되어 연결된 이송롤러(1220)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되는 이송롤러(1220)에 밀착되는 목재(W)를 이송시킬 수도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1200)의 일측에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1200)를 통해 후술되는 목재 회수 리프팅부(1500) 측으로 이송되는 목재를 예열하여 목재 표면의 수분을 제거하는 예열부(1300)가 구비된다.
상기 예열부(1300)는 상기 이송테이블(1210)의 전단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테이블(1210)의 전단측 상부를 부분적으로 밀폐시키는 밀폐 커버(1320)와, 상기 밀폐 커버(13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밀폐 커버(1320) 내부로 목재를 예열하는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수단(1340)을 포함한다.
상기 밀폐 커버(1320)는 전면부와 후면부 및 상면부 밀폐되고 양측면 및 하부면은 개방된 형상을 가지고, 전면부 및 후면부가 상기 이송테이블(1210)의 전면 및 후면에 밀착되어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상기 이송롤러(1220)에 의해 이송되는 목재(W)는 상기 밀폐 커버(1320)의 개방된 양측면을 통과하게 되고, 목재가 상기 밀폐 커버(1320) 내로 이송 시 상기 열풍공급수단(1340)에서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예열되면서 목재 표면의 수분이 제거되게 된다.
상기 열풍공급수단(1340)은 송풍팬(1342)과, 발열히터(1344), 공급유로(1346)을 포함하며, 상기 밀폐 커버(1320)의 상부에는 상기 열풍공급수단(1340)의 송풍팬(1342) 및 발열히터(1344)가 수납되는 수납몸체(1322)가 구비된다.
상기 송풍팬(1324)은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수납몸체(1322) 외부의 외기를 상기 밀폐 커버(1320)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공급유로(1346)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밀폐 커버(1320)의 내부에는 상기 공급유로(1346)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이동되는 이동유로(미도시) 및 이동유로로 이송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공(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몸체(1322)에는 상기 송풍팬(1324)의 구동에 의해 상기 수납몸체(1322)의 내부로 외기가 흡입되는 외기흡입공(132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배관이 상기 수납몸체(1322)에 연결되어 배관을 통해 상기 수납몸체(1322)의 내부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발열히터(1344)는 전원을 공급받아 방열하여 상기 공급유로(1346)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발열히터(1344)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공급유로(1346), 상기 이동유로(미도시)을 통해 이송된 후 배출공(미도시)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상기 밀폐 커버(1320)를 통과하는 목재(W)가 예열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예열부(1300)를 통과한 목재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1200)로 이송되면서 방염재 도포부(1400)를 통과하면서 표면에 방염재가 도포되며, 상기 방염재 도포부(1400)는 제1도포부재(1420)와, 제2도포부재(1440)를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도포부재(1420)는 상기 이송테이블(1210)의 상부에 상기 이송테이블(12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의 이송롤러(1220)의 상부로 이송되는 목재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방염재를 도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도포부재(1420)는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421), 제1가로도포롤러(1422), 제2가로도포롤러(1423), 제1덮개(1424), 제1방염재 공급수단(1425)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421)은 상기 이송테이블(1210)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테이블(1210)의 상부로 세워지며,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421)은 상기 이송테이블(1210)의 동일선상에 전면과 후면 및 중앙부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421)에는 제1가로도포롤러(1422)와 제2가로도포롤러(1423)가 이격거리가 조절 가능하게 인접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가로도포롤러(1422)와 제2가로도포롤러(1423)는 이송되는 목재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방염재를 도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로프레임(1421)에는 상기 제1가로도포롤러(1422)와 제2가로도포롤러(1423)가 장착되는 제1장착장홀(1421a)이 형성되고, 상기 제1장착장홀(1421a)은 상기 가로프레임(142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장착장홀(1421a)에서 상기 제1가로도포롤러(1422)와 제2가로도포롤러(1423)가 이동한 후 고정됨으로써 이격거리가 조절되게 된다.
상기 제1가로도포롤러(1422)와 제2가로도포롤러(1423)의 이격거리는 작업자가 조절 가능하며, 이송되는 목재(W)의 높이에 대응되게 조절되고, 상기 제1가로도포롤러(1422)와 제2가로도포롤러(1423)는 제1덮개(1424)에 의해 감싸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덮개(1424)는 양모로 구성되며, 상기 제1가로도포롤러(1422)와 제2가로도포롤러(1423)를 제1덮개(1424)로 감싸게 됨으로써 제1방염재 공급수단(1425)에서 상기 제1가로도포롤러(1422)와 제2가로도포롤러(1423)로 공급되는 방염재를 상기 제1덮개(1424)에 묻힌 후 이송되는 목재에 도포하게 된다.
상기 제1방염재 공급수단(1425)는 방염재를 저장하는 방염재 저장탱크(T)와, 상기 방염재 저장탱크(미도시)에 저장된 방염재를 상기 제1가로도포롤러(1422)와 제2가로도포롤러(1423)의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부(미도시)로 공급하는 공급배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도포부재(1440)는 상기 이송테이블(1210)의 상부에 상기 제1도포부재(1420)과 이격되게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2도포부재(1440)는 이송되는 목재의 양측면에 방염재를 도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도포부재(1440)는 복수개의 세로프레임(1441), 제1세로도포롤러(1442), 제2세로도포롤러(1443), 제2덮개(1444), 제2방염재 공급수단(1445)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세로프레임(1441)은 상기 이송테이블(1210)의 상부에 눕혀지는 형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세로프레임(1441)에는 제1세로도포롤러(1442)와 제2세로도포롤러(1443)이 폭 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세로도포롤러(1442)와 상기 제2세로도포롤러(1443)는 제2덮개(1444)에 의해 감싸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도포부재(1420)와 상기 제2도포부재(1440)은 가로프레임(1421)이 상기 이송테이블(1210)의 상부에 세워진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세로프레임(1441)이 상기 이송테이블(1210)으 상부에 눕혀진 상태로 구비되는 점 및 제1 및 제2가로도포롤러(1422,1423)가 이송되는 목재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방염재를 도포하고, 상기 제1 및 제2세로도포롤러(1442,1443)가 이송되는 목재의 양측면에 방염재를 도포하는 점은 상이할 뿐 구성 및 역할이 동일한 바,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가로도포롤러(1422)의 둘레면에는 저장부(미도시)에서 공급되는 방염재가 배출되는 복수개의 배출유로(1422a)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유로 상에는 이격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배출홀(1422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개의 배출홀(1422b)에는 상기 배출유로(1422a)가 이송되는 목재에 밀착 시 상기 배출홀(1422b)을 개폐시키는 배출홀 개폐부재(C)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홀 개폐부재(C)에 의해 상기 배출홀(1422b)이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상기 배출홀(1422b)을 통해 방염재가 제1덮개(1424)로 공급되어 상기 제1덮개(1424)를 적시게 되고, 상기 제1가로도포롤러(1422)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1덮개(1424)에 묻힌 방염재가 이송되는 목재의 표면에 도포되게 된다.
상기 배출홀 개폐부재(C)는 상기 배출홀(1422b)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돌기(C1)과, 상기 개폐돌기(C1)가 상기 배출홀(1422b)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개폐돌기(C1)를 상기 배출홀(1422b)에 밀착시키는 장력을 제공하는 스프링(C2)과, 상기 스프링(C2)을 고정하도록 상기 배출유로(1422a) 상에 구비되는 고정돌기(C3)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돌기(C1)가 이송되는 목재(W)에 밀착 시 상기 개폐돌기(C1)가 상기 배출유로(1422a)의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배출홀(1422b)을 개방시켜 상기 배출홀(1422b)로 방염재가 유출되면서 상기 제1덮개(1424)를 적시게 되고, 상기 제1가로도포롤러(1422)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1덮개(1424)에 묻힌 방염재가 이송되는 목재의 표면에 도포되게 된다.
상기 제2가로도포롤러(1423), 제1세로도포롤러(1442), 및 제2세로도포롤러(1423)에서 방염재가 배출되면서 이송되는 목재(W)에 방염재를 도포하는 과정은 상기 제1가로도포롤러(1422)와 동일한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방염재 도포부(1400)를 통과하면서 방염재가 표면에 도포된 목재는 목재 회수 리프팅부(1500)로 공급되며, 상기 목재 회수 리프팅부(1500)를 승하강시킴으로써 방염재가 도포된 목재를 간편하게 회수하게 된다. 상기 목재 회수 리프팅부(1500)는 상기 목재 공급 리프팅부(1100)와 그 구성이 동일한 바, 상기 목재 회수 리프팅부(1500)가 동작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목재의 둘레면에 도포되는 방염재를 분사방식 또는 침전방식을 이용하지 않고 제1덮개(1424) 및 제2덮개(1444)가 둘레면을 감싸는 제1 및 제2가로도포롤러(1422,1423) 및 제1 및 제2세로도포롤러(1442,1443)를 이용하여 도포함으로써 손실되는 방염재의 양을 조절함과 동시에 손실되는 방염재의 양을 줄일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방염재를 도포하기 전 이송되는 목재를 예열부(1300)에서 예열시켜 목재 표면의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방염재의 침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저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 목재의 방염 도포 장치 1100 : 목재 공급 리프팅부
1110 : 공급 밀착단 1120 : 공급 승하강단
1130 : 공급 유압실린더 1140 : 공급 연결단부재
1200 : 이송 컨베이어부 1210 : 이송테이블
1220 : 이송롤러 1230 : 구동모터
1300 : 예열부 1320 : 밀폐 커버
1340 : 열풍공급수단 1400 : 방염재 도포부
1420 : 제1도포부재 1440 : 제2도포부재
1500 : 목재 회수 리프팅부

Claims (9)

  1. 목재를 공급하는 목재 공급 리프팅부;
    상기 목재 공급 리프팅부에서 공급된 목재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며, 사각형상으로 하부면에는 지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지지 막대가 구비되는 이송테이블과, 상기 이송테이블의 상부면에 상기 이송테이블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는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이송 컨베이어부;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를 통해 이송되는 목재를 예열하여 목재 표면의 수분을 제거하는 예열부;
    상기 예열부와 인접하게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예열부를 통과한 목재에 방염재를 도포하는 방염재 도포부; 및
    상기 방염재 도포부를 통과하면서 방염재가 표면에 도포된 목재를 회수하는 목재 회수 리프팅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염재 도포부는,
    상기 이송테이블의 상부에 상기 이송테이블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롤러를 통해 이송되는 목재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방염재를 도포하는 제1도포부재와,
    상기 이송테이블의 상부에 상기 제1도포부재와 이격되게 복수개가 구비되며 이송되는 목재의 양측면에 방염재를 도포하는 제2도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포부재는,
    상기 이송테이블의 장착되는 복수개의 가로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에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송되는 목재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방염재를 도포하는 제1 및 제2가로도포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가로도로롤러를 감싸는 제1덮개와,
    상기 제1 및 제2가로도포롤러에 방염재를 공급하는 제1방염재 공급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가로도포롤러의 내부에는 상기 제1방염재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방염재가 저장되는 저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가로도포롤러의 둘레면에는 상기 저장부에서 공급되는 방염재가 배출되는 복수개의 배출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유로 상에는 이격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배출홀에는 상기 배출유로가 이송되는 목재에 밀착 시 상기 배출홀을 개폐시키는 배출홀 개폐부재가 구비되는 목재의 방염 도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재 공급 리프팅부는,
    지면에 밀착되는 공급 밀착단과,
    상기 공급 밀착단과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부에는 목재가 안착되는 공급 승하강단과,
    상기 공급 밀착단의 상부에 안착되고 일단은 상기 공급 승하강단에 밀착되며 상기 공급 승하강단을 상기 공급 밀착단의 상부에서 승하강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공급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목재의 방염 도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목재 공급 리프팅부는,
    상기 공급 밀착단과 상기 공급 승하강단을 연결하는 공급 연결단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급 연결단부재는 복수개의 공급 연결단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 연결단의 일단은 상기 공급 밀착단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공급 승하강단의 둘레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공급 승하강단의 둘레면에는 상기 공급 연결단의 타단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공급 이동장홀이 형성되는 목재의 방염 도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는 상기 목재 공급 리프팅부와 상기 목재 회수 리프팅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이송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목재의 방염 도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예열부는 상기 이송테이블의 전단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테이블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테이블의 전단측 상부를 부분적으로 밀폐시키는 밀폐 커버와,
    상기 밀폐 커버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밀폐 커버의 내부로 목재를 예열하는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수단을 포함하는 목재의 방염 도포 장치.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도포부재는,
    상기 이송테이블의 장착되는 복수개의 세로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세로프레임에 폭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송되는 목재의 양측면에 방염재를 도포하는 제1 및 제2세로도포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세로도포롤러를 감싸는 제2덮개와,
    상기 제1 및 제2세로도포롤러에 방염재를 공급하는 제2방염재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목재의 방염 도포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세로도포롤러의 내부에는 상기 제2방염재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방염재가 저장되는 저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세로도포롤러의 둘레면에는 상기 저장부에서 공급되는 방염재가 배출되는 복수개의 배출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유로 상에는 이격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배출홀에는 상기 배출유로가 이송되는 목재에 밀착 시 상기 배출홀을 개폐시키는 배출홀 개폐부재가 구비되는 목재의 방염 도포 장치.
KR1020190147753A 2019-11-18 2019-11-18 목재의 방염 도포 장치 KR102329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753A KR102329055B1 (ko) 2019-11-18 2019-11-18 목재의 방염 도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753A KR102329055B1 (ko) 2019-11-18 2019-11-18 목재의 방염 도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116A KR20210060116A (ko) 2021-05-26
KR102329055B1 true KR102329055B1 (ko) 2021-11-19

Family

ID=76137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753A KR102329055B1 (ko) 2019-11-18 2019-11-18 목재의 방염 도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05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477B1 (ko) * 2017-02-22 2018-07-23 주식회사 이노방재 목재패널용 방염 코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667B1 (ko) * 2011-01-05 2013-10-30 김현광 각재목 도색장치
KR101751326B1 (ko) * 2015-03-16 2017-06-27 주재성 판재의 효과적인 방염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477B1 (ko) * 2017-02-22 2018-07-23 주식회사 이노방재 목재패널용 방염 코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116A (ko) 202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8044B1 (ko) 분체 도장 시스템
CN111375530B (zh) 一种全自动中空玻璃封胶机
KR102329055B1 (ko) 목재의 방염 도포 장치
KR101908474B1 (ko) 이중유리 제조방법
KR102158462B1 (ko) 스크린 인쇄기용 건조시스템
KR200435914Y1 (ko) 파이프용 자동 도장 장치
CN210922106U (zh) 一种微波烘干用地体结构
KR100755924B1 (ko) 분체도장설비의 건조장치
CN214039398U (zh) 一种包装袋加工用烘干装置
KR101123420B1 (ko) 용기용 라벨 부착장치
CN112344675B (zh) 一种干花椒的制备方法
CN206205399U (zh) 一种建筑水泥地碾平干燥装置
KR200292667Y1 (ko) 내화성 패널 가공 장치
KR100891256B1 (ko) 유리표면 도포기
CN207095206U (zh) 一种农药生产用烘干机
KR101123682B1 (ko) 새시용 래핑장치
KR200429665Y1 (ko) 전기,전자 제품용 조립형 건조장치
CN215224450U (zh) 一种茶叶定型烘干装置
KR102553398B1 (ko) 슬러지 처리 장치의 건조기
JP3284360B2 (ja) ベルト式乾燥機における供給ノズルの目詰まり防止装置
KR200303540Y1 (ko) 도장건조장치
CN216459898U (zh) 一种折页式烘道
KR200427868Y1 (ko) 열전사 방식으로 무늬 등을 피도물에 전사시키는 열전사장치
CN105082746B (zh) 水转印工件烘干装置
CN117308552A (zh) 一种喷射式板材干燥设备及板材输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