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868Y1 - 열전사 방식으로 무늬 등을 피도물에 전사시키는 열전사장치 - Google Patents

열전사 방식으로 무늬 등을 피도물에 전사시키는 열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868Y1
KR200427868Y1 KR2020060017288U KR20060017288U KR200427868Y1 KR 200427868 Y1 KR200427868 Y1 KR 200427868Y1 KR 2020060017288 U KR2020060017288 U KR 2020060017288U KR 20060017288 U KR20060017288 U KR 20060017288U KR 200427868 Y1 KR200427868 Y1 KR 2004278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transfer
moving
workpiece
main body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2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광열
Original Assignee
오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광열 filed Critical 오광열
Priority to KR20200600172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8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8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8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8Preheating, i.e. heating to a temperature insufficient to cause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전사 방식으로 무늬 등을 피도물에 전사시키는 열전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조로 본체를 사전 예열시킴과 아울러, 가열버너로 가열 공기를 순환시켜 건조로 본체를 가열시키므로 상대적으로 저온 상태에서 열전사 가능하고, 양쪽 말단부로부터 동시 작업 가능하여 작업 능률이 우수하고, 진공압착 방식에 의해 평면 뿐만 아니라 굴곡된 피도물까지도 열전사시킬 수 있는 열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열전사 방식으로 무늬 등을 피도물에 전사시키는 열전사 장치에 있어서, 직방형 밀폐 구조로 이루어지고, 양측 말단부에 개폐구가 구비되고, 일측에 컨트롤 패널이 구비되어 있는 건조로 본체, 상기 건조로 본체의 일측에 구비된 가열버너, 상기 건조로 본체의 하측면에 배치된 무빙레일 지지대위에 길이 방향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한 쌍의 무빙레일, 하측에 구비된 바퀴가 상기 무빙레일에 거치됨과 동시에 상측면에 피도물 안착면이 형성되어 있는 무빙 작업대, 상기 무빙 작업대의 상측 안착면에 밀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진공고무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작업대의 안착면에 피도물을 배치시킴과 동시에 그 피도물 상에 열전사필름을 부착시키고, 상기 진공고무판 부재로 상기 피도물과 열전사필름을 동시에 밀봉시키고, 최종적으로는 진공펌프에 의해 진공고무판 부재에 의해 밀봉된 공간내의 공기를 뽑아내어 진공압착시킴으로써 상기 열전사필름에 인쇄된 무늬 등을 피도물에 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진공압착 방식에 의해 열전사지필름에 인쇄된 다양한 모양의 무늬를 피도물의 평면 뿐만 아니라 절곡된 굴곡면에도 전사가능하고, 사전 예열 및 가열 공기의 순환에 의해 열전사시의 전사 온도를 낮추어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키고, 양쪽 말단부의 개폐구로부터 양면 작업이 가능함과 동시에, 다단으로 배열설치된 무빙 레일 및 무빙 작업대 구조에 의해 다단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 능률과 생산성이 탁월한 열전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열전사, 무빙작업대, 피도물

Description

열전사 방식으로 무늬 등을 피도물에 전사시키는 열전사 장치{THERMAL TRANSFER APPARATU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사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사 장치에서 무빙 작업대에 피도물을 설치하는 방식을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5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사 장치에 있어서 무빙 작업대를 건조로 본체내로 밀어 넣는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건조로 본체 12: 개폐구
14: 컨트롤 패널 16: 개폐도어
20: 가열버너 22: 열통로
23, 24: 통풍구 21, 25: 덕트
30: 무빙레일 32: 무빙레일 지지대
40: 무빙작업대 42: 바퀴
44: 안착면 46: 손잡이
50: 무빙작업대 받침대 60a, 60b: 상측 및 하측 진공고무판
70: 진공펌프
본 고안은 열전사 방식으로 무늬 등을 피도물에 전사시키는 열전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조로 본체를 사전 예열시킴과 아울러, 가열버너로 가열 공기를 순환시켜 건조로 본체를 가열시키므로 상대적으로 저온 상태에서 열전사 가능하고, 양쪽 말단부로부터 동시 작업 가능하여 작업 능률이 우수하고, 진공압착 방식에 의해 평면 뿐만 아니라 굴곡된 피도물까지도 열전사시킬 수 있는 열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제로 이루어진 판재 등은 가구용 또는 인테리어용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그 용도의 특성상 다양한 종류의 무늬를 인쇄하여 그 장식미를 제고하는 것이 요구되어져 왔다.
종래에는 주로 다양한 무늬가 인쇄된 폴리에틸렌(PE) 수지 필름을 접착제에 의해 피도물에 직접 부착시켜 전사하는 방식을 채택하였으나, 작업 공정이 복잡하여 인건비가 상승하고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나아가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어 왔다. 한편, 종래의 전사 방법은 특히 피도물이 소정의 굴곡면을 가질 경우에는 그 굴곡면을 따라 별도의 전사 작업을 일일이 해야 하기에 작업 능률이 심각하게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진공압착 방식에 의해 평면 뿐만 아니라 굴곡면도 용이하게 열전사가능함과 동시에 열전사시의 전사 온도를 대폭 낮추어 에너지효율을 대폭 향상시키고, 나아가 작업 공정이 간단하여 인건비 및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열전사 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른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진공압착 방식에 의해 열전사필름에 인쇄된 다양한 모양의 무늬를 피도물의 평면 뿐만 아니라 절곡된 굴곡면에도 전사가능하고, 사전 예열 및 가열공기의 순환에 의해 열전사시의 전사 온도를 낮추어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키고, 양쪽 말단부의 개폐구로부터 양면 작업이 가능함과 동시에, 다단으로 배열설치된 무빙 레일 및 무빙 작업대 구조에 의해 다단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 능률과 생산성이 탁월한 열전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은 열전사 방식으로 무늬 등을 피도물에 전사시키는 열전사 장치에 있어서, 직방형 밀폐 구조로 이루어지고, 양측 말단부에 개폐구가 구비되고, 일측에 컨트롤 패널이 구비되어 있는 건조로 본체, 상기 건조로 본체의 일측에 구비된 가열버너, 상기 건조로 본체의 하측면에 배치된 무빙레일 지지대위에 길이 방향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한 쌍의 무빙레일, 하측에 구비된 바퀴가 상기 무빙레일에 거치됨과 동시에 상측면에 피도물 안착면이 형성되어 있는 무빙 작업대, 상기 무빙 작업대의 상측 안착면에 밀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진공고무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작업대의 안착면에 피도물을 배치시킴과 동시에 그 피도물 상에 열전사필름을 부착시키고, 상기 진공고무판 부재로 상기 피도물과 열전사필름을 동시에 밀봉시키고, 최종적으로는 진공펌프에 의해 진공고무판 부재에 의해 밀봉된 공간내의 공기를 뽑아내어 진공압착시킴으로써 상기 열전사필름에 인쇄된 무늬 등을 피도물에 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장치를 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로 본체의 개폐구 외측에 구비되고 그 상면에 한 쌍의 무빙레일이 배열설치된 무빙 작업대 받침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로 본체내에 상기 한 쌍의 무빙레일이 높이 또는 너비가 상이하게 적어도 2단 배열 설치되고, 그 다단 배열설치된 무빙레일을 따라 무빙 작업대가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공고무판 부재는 상호 포개어져 내부 공간을 밀봉시킬 수 있는 상측 진공고무판과 하측 진공고무판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열버너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조작에 의해 건조로 본체 내부를 사전 예열시킴과 아울러, 전사시 건조로 본체내의 온도를 170 내지 190℃로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로 본체내에는 상기 가열버너의 일측에 연결되어 가열버너에서 가열된 공기를 건조로 본체내로 전달시키는 열통로가 더 구비되어 있 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통로는 건조로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 설치되고, 그 열통로의 일측에는 다수의 통풍구가 형성되어 있어, 열통로로 전달되는 가열 공기가 상기 통풍구를 통하여 건조로 본체내로 유입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버너에는 팬이 더 구비되어 있어, 공기흡입구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한 후 가열한 다음, 가열 공기를 공기토출구를 통하여 상기 열통로로 송풍시킨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건조로 본체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가 형성되고, 그 통풍구와 상기 가열 버너의 공기흡입구는 덕트로 연결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었고,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할 수 있는 공지의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피도물은 열전사필름이 전사되는 대상물로서, 금속제 압출형재 및 압연판재, 도자기, 타일, 석재 등 각종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모든 종류를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열전사 장치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사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사 장치에서 무빙 작업대에 피도물을 설치하는 방식을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사 장치에 있어서 무빙 작업대를 건조로 본체내로 밀어 넣는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사 장치(100)는 직방형 밀폐 구조로 이루어지고, 양측 말단부에 개폐구(12)가 구비되고, 일측에 컨트롤 패널(14)이 구비되어 있는 건조로 본체(10), 상기 건조로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된 가열버너(20), 상기 건조로 본체(10)의 하측면에 배치된 무빙레일 지지대(32)와 그 위에 길이 방향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한 쌍의 무빙레일(30), 하측에 구비된 바퀴(42)가 상기 무빙레일(30)에 거치됨과 동시에 상측면에 피도물 안착면(44)이 형성되어 있는 무빙 작업대(40), 및 상기 건조로 본체(10)의 개폐구(12) 외측에 구비되고 그 상면에 한 쌍의 무빙레일(30)이 배열설치되어 있어 무빙 작업대(40)를 무빙레일(30)을 따라 인입가능하도록 지지해 주는 무빙 작업대 받침대(50)로 이루어진다.
건조로 본체(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방형 밀폐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가열된 공기가 외부로 자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건조로 본체(10)의 양측 말단부에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개폐시킬 수 있는 개폐구(1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구(12)는 일측에 손잡이(17)가 구비된 개폐도어(16)에 의해 개폐되는데, 상기 개폐도어(16)는 개폐구(12)의 상 단에 힌지결합되어 있어 상측 방향으로 개방가능하다. 개폐도어(16)의 외측면에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7)가 구비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개폐도어(16)의 손잡이(17)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개폐도어(16)를 열어 개방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진 개폐도어 지지 부재(18)의 일단을 건조로 본체(10)의 상단 일측에 고정함과 동시에, 그 개폐도어 지지 부재(18)의 타단을 개폐도어(16)의 일측에 고정시킴으로써, 개폐도어(16)가 열려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건조로 본체(10)의 외부 일측에는 컨트롤 패널(12)이 구비되어 있다. 작업자는 컨트롤 패널(12)을 통하여 가열버너(20) 등의 작동 및 건조로 본체(10)내의 온도 설정 등의 조작을 함으로써 건조로 본체(10)를 열전사에 가장 최적의 환경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건조로 본체(10)의 일측에는 가열버너(20)가 더 구비된다. 가열버너(20)는 건조로 본체(10)내의 온도를 적정 온도로 가열 내지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특히, 열전사 작업시 컨트롤 패널(14)의 조작에 의해 건조로 본체(10) 내부를 가열버너(20)에 의해 사전 예열시킴으로써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사전 예열 작업을 거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170 내지 190℃에서 열전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200 내지 250℃에서 열전사되는 종래의 열전사 장치와 비교하여 본 고안은 에너지효율이 매우 높은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로 본체(10)의 하측면에는 다수의 무빙레일 지지대(32)가 배치된다. 그 지지대 위에는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한 쌍의 무빙레일(30)이 배열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빙레일(30)은 높이 또는 너 비가 상이하게 적어도 2단 배열 설치되고, 그 다단 배열 설치된 무빙레일을 따라 무빙 작업대(40)가 이송 가능하다. 즉,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1에 도시된 한 쌍의 무빙레일 사이에 추가적인 한 쌍의 무빙레일이 너비가 상대적으로 좁고 높이가 상이하도록 설치되어 그 무빙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각각의 무빙 작업대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건조로 본체내에 무빙레일을 다단 배열설치한 다음, 동시 작업 진행함으로써 생산능률이 향상되어,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무빙레일(30)에는 하측에 바퀴(42)가 구비된 무빙 작업대(40)가 무빙레일(3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무빙 작업대(40)는 그 상측면에 피도물 안착면(44)이 형성되어 있고, 작업시 그 안착면(44)에 열전사하고자 하는 피도물을 안착시키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무빙 작업대(40)의 안착면(44)에는 진공고무판 부재(60a, 60b)가 구비되는데, 이는 무빙 작업대(40)의 안착면(44)에 놓여지는 피도물(1)을 완전히 밀봉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공고무판 부재(60a, 60b)는 상기 안착면(44)상에 설치되어 피도물(1)을 지지하는 하측 진공고무판(60b)과 그 하측 진공고무판(60b)위에 덮혀져 그 사이 공간을 밀폐시키는 상측 진공고무판(60a)로 이루어진다. 즉, 상측 진공고무판(60a)이 하측 진공고무판(60b)위에 포개어져 그 사이공간을 밀봉시킨다. 따라서, 상기 무빙 작업대(40)의 안착면(44)(또는 그 안착면(44)에 설치된 하측 진공고무판(60b))에 피도물(1)을 위치시킴과 동시에 그 피도물(1)의 전사하고자하는 위치에 열전사필름(5)을 부착시키고, 상측 진공고무 판(60a)을 상기 피도물(1)과 열전사필름(5)을 동시에 덮어 밀봉시킨다. 이 경우, 상측 진공고무판(60a)과 안착면(44)(또는 하측 진공고무판(60b)) 사이에 놓인 피도물(1)과 열전사필름은 외부와 공기 통풍이 단절된 완전 밀봉 상태에 놓이게 된다. 그 다음, 별도로 구비된 진공펌프(70)를 이용하여 진공고무판 부재(60a, 60b)에 의해 밀봉된 공간내의 공기를 뽑아내어 열전사필름(5)을 피도물(1)에 진공압착시킴으로써 상기 열전사필름(5)에 인쇄된 무늬 등을 피도물(1)에 전사시키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건조로 본체(10)의 개폐구(12) 외측에는 그 상면에 한 쌍의 무빙레일(30)이 배열설치된 무빙 작업대 받침대(50)가 구비된다. 따라서, 무빙 작업대(40)를 무빙 작업대 받침대(50)위에 배열설치된 무빙레일(30)을 따라 외부로 인출시킨 다음, 그 상태에서 피도물(1)을 무빙 작업대(40)의 안착면(44)에 안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빙 작업대 받침대(50)상의 무빙레일(30)은 상기 건조로 본체(10)내에 배열설치된 한 쌍의 무빙레일(30)과 같은 높이와 너비로 배열 설치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개폐도어(16)을 열고 무빙 작업대(40)를 당기거나 밀어 넣을 경우, 무빙레일(30)을 따라 무빙 작업대(40)가 용이하게 인입가능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빙 작업대(40)의 일측 말단부에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46)가 더 구비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로 본체(10)내에는 가열버너(20)의 일측에 덕트(21) 등으로 연결되어 가열버너(20)에서 가열된 공기를 건조로 본체(10)내로 전달시키는 열통로(22)가 더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열통로(22)는 건조로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고, 그 열통로(22)의 일측에는 다수의 통풍구(2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열버너(20)로부터 열통로(22)로 전달되는 가열 공기는 열통로(22)를 경유하여 상기 다수의 통풍구(23)를 통하여 건조로 본체(10)내로 유입된다. 그 결과, 건조로 본체(10)내로 유입된 가열 공기는 건조로 본체(10)내의 온도를 적정 온도로 가열 내지 유지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열버너(20)에는 가열 공기를 열통로(22)측으로 송풍시켜 주는 팬(도시되지 않음)이 더 구비되어 있다. 가열버너(20)의 일측에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팬의 작동에 의해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가열한 다음, 가열 공기를 공기토출구 및 덕트(21)를 경유하여 상기 열통로(22)측으로 송풍시키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로 본체(10)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24)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풍구(24)와 상기 가열버너(20)의 공기흡입구는 덕트(25) 등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 결과, 건조로 본체(10)내의 공기가 통풍구(24)를 통하여 다시 가열버너(20)의 공기흡입구로 유입되고, 가열버너(20)는 그 유입된 공기를 재가열하여 다시 열통로(22)를 경유하여 건조로 본체(10)내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건조로 본체(10)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재가열하여 다시 공급해 주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건조로 본체(10)내의 온도를 적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건조로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가열 공기를 건조로 본체 내부에 골고루 균일하게 분포시켜 온도 편차 등에 의한 불량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열전사 장치에 의한 열전사 공정
본 고안에 따른 열전사 장치를 이용하여 피도물에 열전사시키는 공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개폐도어(16)를 오픈시킨 다음, 무빙 작업대(40)를 무빙레일(30)을 따라 인출하여 무빙 작업대 받침대(50)위에 배치시킨다. 이와 동시에, 컨트롤 패널(14)의 조작에 의해 가열버너(20)를 작동시켜, 건조로 본체(10) 내부를 사전 예열시킨다. 그 다음, 무빙 작업대(40)의 안착면(44)(또는 하측 진공고무판(60b))에 열전사하고자 하는 피도물(1)을 안착시키고, 그 피도물(1)위에 다양한 무늬가 인쇄된 열전사필름(5)을 부착시킨다. 그 다음, 상측 진공고무판(60a)으로 열전사필름(5)이 부착된 피도물(1)을 덮어 밀봉시킨다. 그 다음, 밀봉된 상태에서 진공펌프(70)를 이용하여 진공고무판(60)에 의해 밀봉된 공간내의 공기를 뽑아내어 열전사필름(5)과 피도물(1)을 진공압착시킨다. 이 경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펌프(70)에 의한 진공압착시에는 특히 상측 진공고무판 부재(60a)가 절곡된 굴곡면까지 닿아 열전사시킴으로써 평면 뿐만 아니라 굴곡면까지도 열전사시킬 수 있다. 그 다음, 개폐도어(16)를 오픈하고 무빙 작업대(40)를 건조로 본체(10)내로 이송시킨 다음, 개폐도어(16)을 닫아 개폐구(12)를 밀폐시킨다. 이 경우, 건조로 본체(10) 내부는 이미 소정 온도로 예열된 상태이며 무빙 작업대(40)를 건조로 본체 내부에 이송시킨 후에도 진공펌프(70)를 이용하여 열전사지필름(5)과 피도물(1)의 압착상태를 계속 유지시킨다. 그와 동시에, 가열버너(20)에 의해 가열된 가열공기가 열통로(22)를 경유하여 건조로 본체(10)내로 유입되어 건조로 본체(10)의 온도를 170 내지 190℃로 가열 내지 유지시킴으로써 열전사 필름(5)에 인 쇄되어 있는 다양한 모양의 무늬가 피도물(1)에 전사되게 된다. 끝으로, 개폐도어(16)를 오픈하여 무빙 작업대(40)를 인출하고, 이미 전사가 이루어진 피도물(1)로부터 전사필름을 제거하여 열전사 완료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예컨대,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도면에 도시한 열전사 장치의 구성 등을 변형 내지 수정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고, 본 고안은 후술하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단지 제한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진공압착 방식에 의해 열전사지필름에 인쇄된 다양한 모양의 무늬를 피도물의 평면 뿐만 아니라 절곡된 굴곡면에도 전사가능하고, 사전 예열 및 가열 공기의 순환에 의해 열전사시의 전사 온도를 낮추어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키고, 양쪽 말단부의 개폐구로부터 양면 작업이 가능함과 동시에, 다단으로 배열설치된 무빙 레일 및 무빙 작업대 구조에 의해 다단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 능률과 생산성이 탁월한 열전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열전사 방식으로 무늬 등을 피도물에 전사시키는 열전사 장치에 있어서,
    직방형 밀폐 구조로 이루어지고, 양측 말단부에 개폐구가 구비되고, 일측에 컨트롤 패널이 구비되어 있는 건조로 본체;
    상기 건조로 본체의 일측에 구비된 가열버너;
    상기 건조로 본체의 하측면에 배치된 무빙레일 지지대위에 길이 방향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한 쌍의 무빙레일;
    하측에 구비된 바퀴가 상기 무빙레일에 거치됨과 동시에 상측면에 피도물 안착면이 형성되어 있는 무빙 작업대;
    상기 무빙 작업대의 상측 안착면에 밀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진공고무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작업대의 안착면에 피도물을 배치시킴과 동시에 그 피도물 상에 열전사필름을 부착시키고, 상기 진공고무판 부재로 상기 피도물과 열전사필름을 동시에 밀봉시키고, 최종적으로는 진공펌프에 의해 진공고무판 부재에 의해 밀봉된 공간내의 공기를 뽑아내어 진공압착시킴으로써 상기 열전사필름에 인쇄된 무늬 등을 피도물에 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로 본체의 개폐구 외측에 구비되고 그 상면에 한 쌍의 무빙레일이 배열설치되어 있는 무빙 작업대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로 본체내에 상기 한 쌍의 무빙레일이 높이 또는 너비가 상이하게 적어도 2단 배열 설치되고, 그 다단 배열설치된 무빙레일을 따라 무빙 작업대가 이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고무판 부재는 상호 포개어져 내부 공간을 밀봉시킬 수 있는 상측 진공고무판과 하측 진공고무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버너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조작에 의해 건조로 본체 내부를 사전 예열시킴과 아울러, 전사시 건조로 본체내의 온도를 170 내지 190℃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로 본체내에는 상기 가열버너의 일측에 연결되 어 가열버너에서 가열된 공기를 건조로 본체내로 전달시키는 열통로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통로는 건조로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 설치되고, 그 열통로의 일측에는 다수의 통풍구가 형성되어 있어, 열통로로 전달되는 가열 공기가 상기 통풍구를 통하여 건조로 본체내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버너에는 팬이 더 구비되어 있어, 공기흡입구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한 후 가열한 다음, 가열 공기를 공기토출구를 통하여 상기 열통로로 송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로 본체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가 형성되고, 그 통풍구와 상기 가열 버너의 공기흡입구는 덕트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장치.
KR2020060017288U 2006-06-27 2006-06-27 열전사 방식으로 무늬 등을 피도물에 전사시키는 열전사장치 KR2004278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288U KR200427868Y1 (ko) 2006-06-27 2006-06-27 열전사 방식으로 무늬 등을 피도물에 전사시키는 열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288U KR200427868Y1 (ko) 2006-06-27 2006-06-27 열전사 방식으로 무늬 등을 피도물에 전사시키는 열전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958A Division KR100698765B1 (ko) 2006-06-27 2006-06-27 열전사 방식으로 무늬 등을 피도물에 전사시키는 열전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868Y1 true KR200427868Y1 (ko) 2006-10-02

Family

ID=41776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288U KR200427868Y1 (ko) 2006-06-27 2006-06-27 열전사 방식으로 무늬 등을 피도물에 전사시키는 열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8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417B1 (ko) * 2019-06-19 2020-07-22 주식회사 마이팝 양면 인쇄 가능한 열승화 전사 프레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417B1 (ko) * 2019-06-19 2020-07-22 주식회사 마이팝 양면 인쇄 가능한 열승화 전사 프레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8765B1 (ko) 열전사 방식으로 무늬 등을 피도물에 전사시키는 열전사장치
JP6498354B2 (ja) 送風機を使用するガラス曲げ装置およびガラス曲げ方法
KR20100002381A (ko) 흡착가열방식의 인쇄물거치대를 구비한 평판프린터
JP2012504508A (ja) 昇華印刷
KR20100041752A (ko) 열전사 인쇄
JP2012101549A (ja) 絵付装置
JP4709424B2 (ja) 印刷機
KR200427868Y1 (ko) 열전사 방식으로 무늬 등을 피도물에 전사시키는 열전사장치
KR20170022748A (ko) 곡면 윈도우 글라스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면글라스 제조방법
KR20100051619A (ko) 열전사 인쇄
CN202293618U (zh) 真空高压立体热转印机
CN106393655B (zh) 成型设备及行李箱的箱体成型方法
US9340056B2 (en) Apparatuses and method for decorating objects
CN205767928U (zh) 真空覆膜机
CN209305010U (zh) 汽车扰流板压合装置
TWM526829U (zh) 鞋面吸塑成型機的加熱裝置
KR100259618B1 (ko) 멀티칼라드 강판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6258003B2 (ja) 転写装置用チャンバ及びこの転写装置用チャンバを用いた転写方法並びに転写装置
CN207746086U (zh) 一种金属板印刷紫外光固化设备的热风预热装置
CN208620810U (zh) 一种真空热压烧结炉
CN220262360U (zh) 一种用于印刷机的烘干装置
CN217817981U (zh) 加热装置及烤箱
JP2007261601A (ja) 転写印刷装置
TWI840869B (zh) 加熱裝置及烤箱
CN110525047A (zh) 一种3d打印喷涂快速干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