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420B1 - 용기용 라벨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용기용 라벨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420B1
KR101123420B1 KR1020100002592A KR20100002592A KR101123420B1 KR 101123420 B1 KR101123420 B1 KR 101123420B1 KR 1020100002592 A KR1020100002592 A KR 1020100002592A KR 20100002592 A KR20100002592 A KR 20100002592A KR 101123420 B1 KR101123420 B1 KR 101123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container
frame
nozzle
conveyo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2719A (ko
Inventor
박정곤
Original Assignee
박정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곤 filed Critical 박정곤
Priority to KR1020100002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420B1/ko
Publication of KR20110082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20Gluing the labels or articles
    • B65C9/24Gluing the labels or articles by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3/00Labelling other than flat surfaces
    • B65C3/06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 B65C3/08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2Devices for moving articles, e.g. containers, past labelling station
    • B65C9/04Devices for moving articles, e.g. containers, past labelling station having means for rotating the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3/00Regulating air supply or draught
    • F23N3/08Regulating air supply or draught by power-assisted systems
    • F23N3/085Regulating air supply or draught by power-assisted systems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된 열풍 또는 자외선에 의해 용기에 라벨을 부착시켜 용기의 오염 및 세균감염을 방지하고, 용기 전체에 열풍 또는 자외선을 골고루 가열하여 라벨을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용기용 라벨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터널프레임 하부에 컨베이어벨트를 설치하고,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이동되는 용기에 씌워진 라벨을 가열 및 수축하여 용기 외측면에 라벨을 부착하는 장치에 있어서, 컨베이어벨트 위에 올려진 용기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회전시키는 용기회전수단과; 용기에 건조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터널프레임 내측에 설치한 열공급유닛과; 열공급유닛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을 컨베이어벨트 하부로 흡입하여 열공급유닛에 순환 공급시키는 열풍순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건조된 열풍 공기 또는 자외선의 열을 이용하여 라벨을 가열시키므로, 용기의 오염을 방지하고, 용기를 살균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용기를 이동 및 회전시키므로, 용기 전체에 골고루 열을 가함과 아울러, 나이프노즐 및 컨디션노즐의 조작을 통해 열풍 공급량 및 순서를 제어하여 라벨을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용기에 부착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용기용 라벨 부착장치{APPARATUS FOR LABELING A CUP}
본 발명은 라벨 부착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된 열풍 또는 자외선에 의해 용기에 라벨을 부착시켜 용기의 오염 및 세균감염을 방지하고, 또한 용기 외측면 전체에 열풍 또는 자외선을 골고루 가열하여 라벨을 더욱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용기용 라벨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 외부에는 수용되는 내용물과 그에 따른 제품에 대한 정보(내용?품질?성분?원자재?규격?용량?제조연월일?제조 및 판매원?사용방법 등)를 표기하게 되는데, 기존에는 이같은 정보들을 용기 표면에 직접 인쇄하여 제품 소비자 및 구매자들에게 제품에 대한 정보를 안내하거나, 라벨 스티커를 부착하여 제품 정보를 안내하였다.
이와 같은 용기들을 재활용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표면에 제품 정보가 인쇄된 합성수지재의 용기를 재활용을 위해 가열하고 용융시키게 되면, 제품 표면에 인쇄된 화학물질이 용기와 함께 녹게 되면서 용융된 합성수지재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또한 라벨 스티커가 부착된 용기의 경우에는 용기와 스티커를 분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분리시간과 비용 부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근래에는 용기 외측면에 제품의 정보가 표기된 라벨을 부착함으로써, 용기의 재활용시 라벨을 떼어내는 간편한 방법을 통해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용기 외측면에 라벨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용기 외측면에 라벨을 씌운 후, 라벨이 씌워진 용기에 열을 가하게 되면 라벨이 수축되면서 용기 외측면에 라벨을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라벨의 재질을 열에 의해 수축이 원활하게 일어나는 수축필름으로 형성함으로써, 용기에 씌워진 라벨이 열에 의해 수축되면서 용기 외측면에 라벨을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과 도 2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라벨을 부착시키는 종래 기술로써,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0236922호로 공지된 "병 라벨지용 스팀분사식 가열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면, 본체(10) 내부에 형성된 콘베이어(1)의 양측 상부에 다수의 분사공(2)(2')이 형성된 수평 스팀관(3)(3')을 상하로 배열되게 구성하되, 스팀관(3)(3')의 일측에는 개폐밸브(5)를 결합하여 그 스팀관(3)(3')의 개폐를 조정하고, 각각의 스팀관(3)(3')의 외주연에는 일측이 개구된 분사판(4)(4')을 형성하되, 이를 본체(1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분사공(2)(2')은 콘베이어(1)의 외측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분사판(4)(4')의 개구부는 콘베이어(1)를 향하게 결합 형성한다.
즉, 상기한 구성에 따라 스팀분사에 의해 라벨지를 가열함으로써, 라벨지를 수축시켜 병에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라벨지의 가열이 습기를 머금고 있는 스팀분사를 통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병의 외부와 내부에 습기가 잔존하게 되고, 이로 인해 병에 세균 및 병균이 증식되어 내용물을 부패하게 하거나 오염시킬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또한, 라벨지가 부착되기 위한 병들이 콘베이어의 구동 방향을 따라 단순하게 직선 이동하게 됨으로써, 병의 양 측면에는 스팀이 집중적으로 분사되는 반면, 병의 전면과 후면에는 상대적으로 스팀의 분사가 적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라벨지 전체에 스팀이 고르게 분사되지 않아 병에 부착되는 라벨지의 견고함이 떨어지는 문제도 발생되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제023692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건조된 열풍 또는 자외선을 사용하여 용기에 씌워진 라벨을 가열 및 수축함으로써, 용기의 오염과 세균 감염의 우려를 차단하고, 용기의 살균이 가능하도록 한 용기용 라벨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 외측면 전체에 걸쳐 열풍 또는 자외선을 골고루 가열하고, 라벨을 하부에서 상부로 점진적으로 가열하여 용기 표면에 라벨을 더욱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용기용 라벨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전후가 개방된 터널프레임 하부에 컨베이어벨트를 설치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용기를 이동시키되, 용기에 씌워진 라벨을 가열 및 수축하여 용기 외측면에 라벨을 부착하는 장치에 있어서, 컨베이어벨트 위에 올려진 용기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회전시키는 용기회전수단과; 상기 용기에 건조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터널프레임 내측에 설치한 열공급유닛과; 상기 열공급유닛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을 컨베이어벨트 하부 흡입하여 열공급유닛에 다시 순환 공급시키는 열풍순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회전수단은 컨베이어벨트 일측에 설치된 상부프레임에 가이드부재를 설치하되, 상기 가이드부재 일측에는 용기 하단부가 기울어진 상태로 올려질 수 있도록 상향 경사진 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 상단 일측에 안내부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구성하는 벨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흡입구멍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경사부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3~5°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회전수단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벨트를 양측에 각각 설치하되, 용기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컨베이어벨트를 다른 컨베이어벨트보다 더 빠르게 진행시키고, 상기 컨베이어벨트 중 용기와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컨베이어벨트의 벨트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흡입구멍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열공급유닛은, 터널프레임 양 내측면 중 가이드부재와 근접된 일 내측면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조성하여 열풍을 공급하는 나이프노즐과; 상기 나이프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량을 제어하도록 나이프노즐 상단에 설치한 나이프노즐조절수단과; 상기 터널프레임 양 내측면에 적어도 1단 이상으로 설치하여 열풍을 공급하도록 다수의 컨디션노즐을 형성한 컨디션노즐가이드와; 상기 컨디션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량과 열풍공급순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컨디션노즐가이드에 설치한 컨디션노즐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 열공급유닛은, 터널프레임 양 내측면 중 가이드부재와 근접된 일 내측면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조성하여 열풍을 공급하는 나이프노즐과; 상기 나이프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량을 제어하도록 나이프노즐 상단에 설치한 나이프노즐조절수단과; 상기 나이프노즐 상부에 적어도 1단 이상으로 설치하여 열풍을 공급하도록 다수의 컨디션노즐을 형성한 컨디션노즐가이드와; 상기 컨디션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량과 열풍공급순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컨디션노즐가이드에 설치한 컨디션노즐조절수단과; 상기 터널프레임의 일 내측면에 적어도 1단 이상으로 설치하여 용기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UV램프 및 반사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나이프노즐조절수단은 터널프레임 양측에 형성된 격벽에 다수의 열풍구멍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상기 열풍구멍과 나이프노즐이 서로 연통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나이프노즐 상단에 설치된 나이프노즐가이드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조작하여 나이프노즐의 간격을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컨디션노즐조절수단은 터널프레임 양측에 형성된 격벽에 다수의 열풍구멍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상기 열풍구멍과 컨디션노즐가이드에 형성된 컨디션노즐이 서로 일치되도록 상기 각각의 컨디션노즐가이드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 조작한다.
또한, 상기 열풍순환수단은, 컨베이어벨트를 구성하는 벨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한 다수의 흡입구멍과; 용기에 공급된 열풍을 상기 흡입구멍을 통해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터널프레임 하부에 설치한 밀폐프레임유닛과; 상기 밀폐프레임유닛에 연통 장착되어 열풍을 흡입하는 후드와; 상기 후드에 연결 장착되어 후드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함께 바람을 송출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서 송출되는 바람을 가열하여 열풍을 송출하는 열풍기와; 상기 열풍기와 격벽의 열풍구멍 사이에 연결 장착하여 열풍을 터널프레임 내부에 공급 및 분사하는 분사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밀폐프레임유닛은, 컨베이어벨트 상면의 벨트와 연접되게 설치하되, 상기 벨트에 형성된 흡입구멍을 통해 열풍을 흡입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벨트 하부를 개구되게 형성한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양측에 각각 설치한 측면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한 전후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과 전후면프레임 하단에 설치한 하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열풍순환수단은, 양측 컨베이어벨트 중 어느 하나의 컨베이어벨트의 벨트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한 다수의 흡입구멍과; 용기에 공급된 열풍을 상기 흡입구멍을 통해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구멍이 형성된 컨베이어벨트의 하부와 양측면을 커버하게 설치한 유입프레임과; 상기 유입프레임에 연통 장착되어 열풍을 흡입하는 후드와; 상기 후드에 연결 장착되어 후드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함께 바람을 송출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서 송출되는 바람을 가열하여 열풍을 송출하는 열풍기와; 상기 열풍기와 격벽의 열풍구멍 사이에 연결 장착하여 열풍을 터널프레임 내부에 공급 및 분사하는 분사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용기에 공급되는 열풍 공기를 후드, 송풍기, 열풍기, 열풍공간부 등의 구성을 통해 순환 및 재공급하여 열풍 발생에 따른 열효율을 높이고, 전력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건조된 열풍 공기 또는 자외선의 열을 이용하여 라벨을 가열 및 수축시키므로, 습기에 의한 용기 내외부의 오염 및 세균 감염의 우려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용기 내외부를 깨끗하게 살균 처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용기의 이동과 함께 용기를 회전시키므로, 용기 외측면 전체에 열을 골고루 가할 수 있고, 나이프노즐 및 컨디션노즐의 조작을 통해 열풍의 공급량 및 공급순서를 제어하여 라벨을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용기에 부착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스팀분사식 가열로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스팀분사식 가열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라벨 부착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회전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해 터널프레임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회전수단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해 터널프레임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열공급유닛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해 터널프레임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열공급유닛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해 터널프레임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a, 8b는 본 발명에 의한 컨디션노즐조절수단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9a, 9b는 본 발명에 의한 나이프노즐조절수단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열풍순환수단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해 터널프레임을 제거한 상태의 일부 절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열풍순환수단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해 터널프레임을 제거한 상태의 일부 절개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용기용 라벨 부착장치에 대해 도시한 것으로, 크게 터널프레임(100)과, 컨베이어벨트(200)와, 용기회전수단과, 열공급유닛 및 열풍순환수단으로 구성된다.
도 3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후가 개방되게 터널프레임(100)을 형성하고, 상기 터널프레임(100) 하부에는 상기 터널프레임(100)을 지지하는 동시에 송풍기(320), 열풍기(330) 등의 구성요소를 설치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300)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터널프레임(100) 상부에는 본 발명의 라벨 부착장치에 사용되는 여러 구성요소들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부호 생략)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터널프레임(100) 내부 하단에는 상기 터널프레임(100)을 관통하여 컨베이어벨트(200)(200')를 설치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200)(200') 상면에는 용기가 올려지고, 상기 용기에는 열에 의해 수축 가능한 필름지의 라벨(도시 생략)을 씌우듯 끼워, 상기 용기를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벨트(200)(200') 상면에 올려진 용기는 컨베이어벨트(200)(200')의 진행 및 이동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되는데, 용기회전수단에 의해 컨베이어벨트(200)(200') 위에서 회전하며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6에 의해 상기 용기회전수단의 일실시예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컨베이어벨트(200) 일측에 설치된 상부프레임(230) 상면에 가이드부재(220)를 설치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부재(220)는 컨베이어벨트(200)에 근접된 일측에 용기의 하단부가 기울어진 상태로 올려질 수 있도록 외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경사부(222)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222) 상단 일측에는 안내부(224)를 돌출 형성하여 경사부(222) 위에 올려진 용기 하단부를 가이드하여 용기가 가이드부재(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220)와 근접된 벨트(210)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흡입구멍(215)을 등간격으로 형성함으로써, 용기를 흡착하는 작용을 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용기의 이탈 없이 용기를 일정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부(222)는 상부프레임(230) 상면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3~5°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하므로, 용기의 둘레 일부가 벨트(210)의 상면과 이격되게 형성되어 용기의 이동을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경사부(222)에 올려진 용기가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 의해 상기 용기회전수단의 다른 일실시예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터널프레임(100) 내부를 관통하도록 양측에 2개의 컨베이어벨트(200')를 설치하되, 상기 각각의 컨베이어벨트(200')는 그 진행방향을 서로 반대방향이 될 수 있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벨트(200') 중 용기가 이동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컨베이어벨트(200')를 다른 컨베이어벨트(200')보다 더 빠르게 진행시킨다.
또한, 상기한 컨베이어벨트(200') 중 용기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컨베이어벨트(200')에는 그 벨트(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흡입구멍(215')을 등간격으로 형성함으로써, 용기를 흡착하는 작용을 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용기의 이탈 없이 용기를 일정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양측의 컨베이어벨트(20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행함은 물론 속도차가 발생하게 되므로, 양측 컨베이어벨트(200') 중간에 올려진 용기를 회전시킬 수 있고, 이와 함께 진행이 빠른 컨베이어벨트(200')의 이동방향을 따라 용기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열공급유닛은 컨베이어벨트(200)(200') 위를 이동하는 용기 및 라벨에 열풍을 공급하거나 자외선을 조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터널프레임(100) 내측에 설치한다.
도 6은 상기한 열공급유닛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크게 나이프노즐(155)과, 나이프노즐조절수단과, 컨디션노즐(165)과, 컨디션노즐조절수단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터널프레임(100) 양 내측에 격벽(110)을 형성하고, 상기 격벽(110) 중 가이드부재(220)가 설치된 측의 격벽(110) 일 내측 하부에 일측으로 경사진 가이드프레임(140)을 설치하되, 상기 가이드프레임(140) 하단에는 열풍안내턱(144)을 용기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열풍안내턱(144) 상단의 경사면(146) 일부를 개방 형성하여 격벽(110)에 형성된 하단의 열풍구멍(115)과 연통되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경사면(146)에는 대략 'ㄷ'프레임 형상의 나이프노즐가이드(150)를 설치하여, 열풍안내턱(144)과 나이프노즐가이드(150)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나이프노즐(155)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나이프노즐(155)은 나이프노즐조절수단에 의해 그 간격이 조절되는데, 상기 나이프노즐조절수단의 구성을 도 8a, 8b를 통해 살펴보면, 나이프노즐가이드(150)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조절홀(152)을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조절홀(152)에 대응하는 가이드프레임(140) 위치에 다수의 결합홀(142)을 형성하여 상기 조절홀(152)과 결합홀(142)에 핀 또는 볼트,너트 등의 결합수단을 결합한다.
즉, 결합수단의 결합 및 분리를 통해 나이프노즐가이드(150)를 가이드프레임(140)의 경사면(146)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열풍안내턱(144)과 나이프노즐가이드(150) 사이에 형성된 나이프노즐(155)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프레임(140) 상부에 위치한 격벽(110) 내측면에 대략 'ㄷ'프레임 형상의 컨디션노즐가이드(160)를 설치하고, 격벽(110)에 형성된 열풍구멍(115)을 통하여 열풍을 공급받아 용기에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컨디션노즐가이드(160)에 다수의 컨디션노즐(165)을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한다.
또한, 상기 나이프노즐(155)이 설치되지 않은 터널프레임(100)의 반대편 격벽(110) 내측면에도 상기한 컨디션노즐가이드(160)와 동일한 형상의 컨디션노즐가이드(160)를 설치하고, 상기 컨디션노즐가이드(160)에도 용기에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의 컨디션노즐(165)을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컨디션노즐가이드(160)는 터널프레임(100)의 상하로 1단을 형성할 수 있으나, 용기의 크기에 따라 컨디션노즐(165)은 그 이상으로 다단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용기 외측면에 열풍을 골고루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디션노즐(165)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량과 열풍의 공급순서를 제어할 수 있도록 각각의 컨디션노즐(165)에 컨디션노즐조절수단을 설치한다.
도 6 및 도 9a, 9b를 통해 상기한 컨디션노즐조절수단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터널프레임(100) 양 내측에 격벽(110)을 형성하고, 상기 격벽(110)에 다수의 열풍구멍(115)을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하되, 상기 열풍구멍(115)의 간격은 컨디션노즐가이드(160)의 컨디션노즐(165)과 서로 일치될 수 있게 형성한다. 이때, 상기 열풍구멍(115) 중 하단의 열풍구멍(115)은 나이프노즐(155)과 연통이 된다.
그리고, 상기 격벽(110)에는 조절홀(112)을 형성하고 컨디션노즐가이드(160)에 결합홀(162)을 형성하되, 상기 조절홀(112)을 결합홀(162)보다 좌우로 더 길게 형성하고, 상기 조절홀(112)과 결합홀(162)에 핀이나 볼트, 너트 등의 결합수단을 결합하여, 각각의 컨디션노즐가이드(160)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즉, 결합수단의 결합 및 분리를 통해 컨디션노즐가이드(160)를 격벽(110)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컨디션노즐(165)과 열풍구멍(115)의 일치 정도를 조절하여 열풍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격벽(110) 일부에는 결합수단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컨디션노즐(165)을 수동으로 이동 조작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컨디션노즐(165)을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구성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은 자명한 사항에 해당된다.
계속해서, 도 7은 상기한 열공급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크게 나이프노즐(155)과, 나이프노즐조절수단과, 컨디션노즐(165)과, 컨디션노즐조절수단과, UV램프(170) 및 반사갓(180)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터널프레임(100) 양 내측에 격벽(110)을 형성하고, 상기 격벽(110) 중 가이드부재(220)가 설치된 측의 격벽(110) 내측 하부에 일측으로 경사진 가이드프레임(140)을 설치하되, 상기 가이드프레임(140) 하단에는 열풍안내턱(144)을 용기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열풍안내턱(144) 상단의 경사면(146) 일부를 개방 형성하여 격벽(110)에 형성된 하단의 열풍구멍(115)과 연통되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경사면(146)에는 대략 'ㄷ'프레임 형상의 나이프노즐가이드(150)를 설치하여, 열풍안내턱(144)과 나이프노즐가이드(150)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나이프노즐(155)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나이프노즐(155)은 나이프노즐조절수단에 의해 그 간격이 조절되는데, 상기 나이프노즐조절수단의 구성 설명은 전술한 열공급유닛의 일실시예의 구성 설명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어, 나이프노즐조절수단 구성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프레임(140) 상부에 위치한 격벽(110) 내측면에 대략 'ㄷ'프레임 형상의 컨디션노즐가이드(160)를 설치하고, 격벽(110)에 형성된 열풍구멍(115)을 통하여 열풍을 공급받아 용기에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컨디션노즐가이드(160)에 다수의 컨디션노즐(165)을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한다.
또한, 상기 나이프노즐(155)이 설치되지 않은 터널프레임(100)의 반대편 격벽(110) 내측면에는 자외선 열을 발산하는 다수의 UV램프(17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UV램프(170)에는 자외선의 빛을 배가하여 용기에 조사할 수 있도록 반사갓(180)을 더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컨디션노즐가이드(160)와 UV램프(170)는 터널프레임(100)의 상하로 1단을 형성할 수 있으나, 용기의 크기에 따라 컨디션노즐가이드(160)와 UV램프(170)는 그 이상으로 다단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용기 외측면에 열풍을 골고루 분사하거나, 자외선에 의한 열을 골고루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디션노즐(165)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량과 열풍의 공급순서를 제어할 수 있도록 각각의 컨디션노즐가이드(160)에 컨디션노즐조절수단을 설치한다.
이에, 상기한 컨디션노즐조절수단의 구성 설명은 전술한 열공급유닛의 일실시예의 구성 설명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어, 컨디션노즐조절수단 구성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열풍순환수단은 상기 열공급유닛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을 컨베이어벨트(200) 하부로 흡입하여 이를 다시 열공급유닛에 순환 공급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열풍순환수단의 일실시예는 흡입구멍(215)과, 밀폐프레임유닛과, 후드(310)와, 송풍기(320)와, 열풍기(330)와, 분사관(130)으로 구성된다.
이 같은 열풍순환수단의 실시예는 하나의 컨베이어벨트(200)의 벨트(210)에 흡입구멍(215)이 형성된 용기회전수단과 함께 적용되는 구성으로, 도 4 및 도 10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컨베이어벨트(200)를 구성하는 벨트(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흡입구멍(215)을 형성하고, 상기 흡입구멍(215)은 가이드부재(220)가 설치된 방향으로 형성하여 용기를 흡입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열공급유닛을 통해 용기에 공급된 열풍을 상기 흡입구멍(215)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터널프레임(100) 내부 하단에 밀폐프레임유닛을 설치한다.
이러한, 상기 밀폐프레임유닛은 다시 상부프레임(230)과, 측면프레임(240)과, 전후면프레임(250)(260)과, 하부프레임(270)을 구성되는 것으로, 각 프레임의 결합과 상면을 커버하는 벨트(210)를 통해 밀폐프레임유닛 내부를 거의 밀폐된 상태로 결합 설치한다.
이에, 상기한 밀폐프레임유닛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부프레임(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중앙 부분에 벨트(210)를 연접 설치하되, 상기 벨트(210)에 형성된 흡입구멍(215)을 통해 상부의 열풍을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벨트(210) 하부에 위치한 상부프레임(230) 부분을 개구되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230) 양측에 측면프레임(240)을 각각 결합하고, 상기 상부프레임(230) 전면과 후면에 전후면프레임(250)(260)을 각각 결합하며, 상기 측면프레임(240)과 전후면프레임(250)(260) 하단에는 하부프레임(270)을 결합 설치한다. 이때, 상기한 구성의 밀폐프레임유닛은 다른 구성요소의 간섭 없이 측면프레임(240)과, 전후면프레임(250)(260) 및 하부프레임(270)을 결합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벨트(200)의 상하에 위치되는 벨트(210)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는 것이 적절하다.
아울러, 상기 측면프레임(240) 일측에는 밀폐프레임유닛 내부에 흡입되는 열풍을 흡입할 수 있도록 후드(310)를 연통 장착하고, 상기 후드(310) 하부에는 후드(310)에 흡입된 열풍 공기와 함께 바람을 송출할 수 있도록 송풍기(320)를 연결 장착하며, 상기 송풍기(320)에는 상기 송풍기(320)에서 송출되는 바람을 가열하여 열풍을 송출할 수 있도록 열풍기(330)를 연결 장착한다.
그리고, 터널프레임(100) 양측에는 격벽(110)을 형성하고, 상기 격벽(110)과 소정 간격 이격된 양측에 커버프레임(120)을 설치하여 상기 격벽(110)과 커버프레임(120) 사이의 공간에 열풍기(330)를 연결 장착하며, 상기 열풍기(330)에서 송출되는 열풍을 터널프레임(100) 내부에 공급 및 분사할 수 있도록 열풍구멍(115)들에 분사관(130)을 연결 장착한다.
계속해서, 열풍순환수단의 다른 실시예는 흡입구멍(215')과, 유입프레임(280)과, 후드(310)와, 송풍기(320)와, 열풍기(330)와, 분사관(13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컨베이어벨트(200')의 속도차에 의해 용기를 회전시키는 용기회전수단과 함께 적용된다.
도 5 및 도 11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양측 컨베이어벨트(200') 중 용기의 진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컨베이어벨트(200')의 벨트(210')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흡입구멍(215')을 형성한다.
그리고, 열공급유닛을 통해 용기에 공급된 열풍을 상기 흡입구멍(215')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구멍(215')이 형성된 컨베이어벨트(200')의 하부와 양측면에 유입프레임(280)을 커버 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유입프레임(280) 내부에 유입되는 열풍을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프레임(280) 하부에는 후드(310)를 연통 장착하고, 상기 후드(310) 하부에는 후드(310)에 흡입된 열풍 공기와 함께 바람을 송출할 수 있도록 송풍기(320)를 연결 장착하며, 상기 송풍기(320)에는 상기 송풍기(320)에서 송출되는 바람을 가열하여 열풍을 송출할 수 있도록 열풍기(330)를 연결 장착한다.
그리고, 터널프레임(100) 양측에는 격벽(110)을 형성하고, 상기 격벽(110)과 소정 간격 이격된 양측에 커버프레임(120)을 설치하여 상기 격벽(110)과 커버프레임(120) 사이의 공간에 열풍기(330)를 연결 장착하며, 상기 열풍기(330)에서 송출되는 열풍을 터널프레임(100) 내부에 공급 및 분사할 수 있도록 열풍구멍(115)들에 분사관(130)을 연결 장착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열풍기(330)와, 송풍기(320)와, 후드(310)는 열풍을 더욱 원활하게 순환 및 공급할 수 있도록 터널프레임(100)의 길이에 따라 복수 이상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통해 용기 표면에 라벨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컨베이어벨트(200)를 구동하여 벨트(210)를 이동시키고, 이와 함께 벨트(210) 위에 용기를 올려 컨베이어벨트(200)를 따라 용기를 이동시키게 되는데, 상기 용기에는 부착하고자 하는 라벨을 원통형태로 만들어 씌우게 된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벨트(200) 위에 올려지는 용기는 주로 컵 형태의 용기로써 이동작용과 함께 회전작용이 함께 이루어지게 되는데, 용기의 하단 일부가 가이드부재(220)의 안내부(224)에 접촉될 수 있도록 경사부(222) 위에 위치시키게 됨으로써, 용기가 약 4°정도 기울어진 상태에서 벨트(210)와 경사부(222)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올려지게 된다.
이 후, 컨베이어벨트(200)가 진행하게 되면, 용기 역시 컨베이어벨트(200)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 및 진행하게 되나, 용기 하단 일부는 벨트(210)에 닿고, 용기 하단의 반대편 일부는 안내부(224)에 지지 및 가이드되어 가이드부재(220)를 타고 지나가게 됨으로써, 용기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용기 하부의 벨트(210)에는 흡입구멍(215)이 형성되므로, 용기를 하부로 흡입하여 용기를 흡착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어 안내부(224)를 따라 용기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용기의 이동 및 회전작용과 함께 용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서로 반대편으로 진행하면서 그 진행속도가 서로 다른 두 개의 컨베이어벨트(200') 위에 용기를 올린다. 여기서, 상기한 용기는 주로 병 형태의 용기가 사용되는 것으로써, 각각의 컨베이어벨트(200')가 구동되면 각각의 컨베이어벨트(200')는 진행 방향을 서로 달리 하고 있어 양 컨베이어벨트(200') 위에 올려진 용기는 회전이 되고, 이와 함께 양 컨베이어벨트(200') 중 진행속도가 빠른 컨베이어벨트(200')의 진행 방향을 따라 용기가 함께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용기 하부의 컨베이어벨트(200') 중 용기의 진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컨베이어벨트(200')의 벨트(210')에는 흡입구멍(215')이 형성되므로, 용기를 하부로 흡입하여 용기를 흡착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어 용기를 쓰러뜨리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컨베이어벨트(200)(200')의 구동에 따라 용기를 이동 및 회전 작동시키고, 이와 동시에 송풍기(320)와 열풍기(330)를 구동한다. 이처럼, 송풍기(320)와 열풍기(330)의 구동에 따라 송풍기(320)에서는 열풍기(330)로 바람을 공급하게 되고, 열풍기(330)는 이를 공급받아 분사관(130)을 통해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분사관(130)에 공급된 열풍은 격벽(110)에 형성된 열풍구멍(115)과 나이프노즐(155) 및 컨디션노즐(165)을 통과하여 터널프레임(100)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게 되고, 이처럼 공급되는 열풍은 용기와 그 외측의 라벨에 공급되어 라벨을 용기 표면에 수축 및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용기에 씌워진 라벨은 하부에서부터 상부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열풍을 공급함으로써, 라벨을 용기에 더욱 견고하고 일정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컨디션노즐가이드(160)에 형성된 컨디션노즐(165)과 격벽(110)에 형성된 열풍구멍(115)의 일치여부 및 그 일치정도를 조절하여 라벨을 하부에서 상부로 순차적으로 가열하게 된다.
예를 들면, 터널프레임(100) 입구에 위치한 첫 번째 다단의 컨디션노즐(165) 중 최하단에 위치한 컨디션노즐(165)들을 열풍구멍(115)과 일치시켜 개방시키는 경우, 상기 컨디션노즐가이드(160) 일측에 설치된 두 번째 다단의 컨디션노즐가이드(160)는 최하단에서 두 번째 열의 컨디션노즐(165)들만을 개방시켜, 터널프레임(100)의 입구에서부터 출구를 향해 점차적으로 열풍을 하부 위치에서 상부 위치로 차례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상기와 같은 컨디션노즐(165)의 개방 순서는 상기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기의 크기와 컨디션노즐(165)의 설치 개수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터널프레임(100) 내부 일측에 UV램프(170)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컨디션노즐(165)에 의한 열풍 공급과 함께, UV램프(170)에 전원을 인가하여 용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용기에 열을 가함은 물론, 용기를 살균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용기에 분사된 열풍은 후드(310)를 통해 다시 흡입되어 용기에 다시 재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하나의 컨베이어벨트(200)를 사용하는 경우, 용기에 공급된 열풍은 송풍기(320)의 송풍에 따른 흡입작용에 따라 흡입구멍(215)을 통해 밀폐프레임유닛 내부에 흡입되고, 밀폐프레임유닛 내부에 흡입된 열풍 공기는 후드(310)를 통과하여 송풍기(320)로 다시 흡입되어 송출되며, 송풍기(320)에서 송출된 열풍 공기는 열풍기(330)로 다시 흡입되어 송출된다.
그리고, 열풍기(330)에서 송출되는 열풍 공기는 분사관(130)을 통해 열풍구멍(115)과 나이프노즐(155) 및 컨디션노즐(165)을 통과하여 용기 내부에 열풍을 공급할 수 있고, 이같은 원리를 통해 열풍을 계속해서 용기에 순환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속도와 진행방향이 다른 컨베이어벨트(200')가 복수 설치되는 경우에는, 용기에 공급된 열풍은 송풍기(320)의 송풍에 따른 흡입작용에 따라 흡입구멍(215')을 통해 컨베이어벨트(200') 하부에 설치된 유입프레임(280)에 유입되고, 유입프레임(280)에 유입된 열풍 공기는 후드(310)를 통과하여 송풍기(320)로 다시 흡입되어 송출되며, 송풍기(320)에서 송출된 열풍 공기는 열풍기(330)로 다시 흡입되어 송출된다.
그리고, 열풍기(330)에서 송출되는 열풍 공기는 분사관(130)을 통해 열풍구멍(115)과 나이프노즐(155) 및 컨디션노즐(165)을 통과하여 용기 내부에 열풍을 공급할 수 있고, 이같은 원리를 통해 열풍을 계속해서 용기에 순환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용기용 라벨 부착장치는 용기에 공급 및 분사되는 열풍 공기를 후드(310), 송풍기(320), 열풍기(330), 분사관(130) 등의 구성을 통해 회수하고, 이를 다시 순환시켜 용기에 열풍을 공급 및 분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용기에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를 간편하게 상승 및 유지시켜, 열풍 발생에 따른 열효율을 높이고, 전력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용기용 라벨 부착장치는 라벨에 열을 가하기 위한 수단으로 수증기 형태의 스팀을 사용하지 않고, 건조된 열풍 공기 또는 자외선의 열을 이용하여 라벨을 가열 및 수축시키므로, 습기에 의한 용기 내외부의 오염 및 세균 감염의 우려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용기 내외부를 깨끗하게 살균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용 라벨 부착장치는 용기회전수단에 의해 용기의 이동작동과 함께 용기를 회전시키므로, 용기 외측면 전체에 걸쳐 열풍 또는 자외선을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고, 또 나이프노즐가이드(150)와 컨디션노즐가이드(160)를 슬라이딩 이동 조작하여 나이프노즐(155)과 컨디션노즐(165)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의 공급량 및 공급순서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라벨에 골고루 열을 가함은 물론 라벨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열을 가하게 됨으로써, 용기 표면에 라벨을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터널프레임 110 : 격벽
112 : 조절홀 115 : 열풍구멍
120 : 커버프레임 130 : 분사관
140 : 가이드프레임 142 : 결합홀
144 : 열풍안내턱 146 : 경사면
150 : 나이프노즐가이드 152 : 조절홀
155 : 나이프노즐 160 : 컨디션노즐가이드
162 : 결합홀 165 : 컨디션노즐
170 : UV램프 180 : 반사갓
200, 200' : 컨베이어벨트 210, 210' : 벨트
215, 215' : 흡입구멍 220 : 가이드부재
222 : 경사부 224 : 안내부
230 : 상부프레임 240 : 측면프레임
250, 260 : 전후면프레임 270 : 하부프레임
280 : 유입프레임 300 : 지지프레임
310 : 후드 320 : 송풍기
330 : 열풍기

Claims (11)

  1. 전후가 개방된 터널프레임 하부에 컨베이어벨트를 설치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용기를 이동시키되, 용기에 씌워진 라벨을 가열 및 수축하여 용기 외측면에 라벨을 부착하는 장치에 있어서,
    컨베이어벨트(200)(200') 위에 올려진 용기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회전시키는 용기회전수단과;
    상기 용기에 건조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터널프레임(100) 내측에 설치한 열공급유닛과;
    상기 열공급유닛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을 컨베이어벨트(200)(200') 하부로 흡입하여 열공급유닛에 다시 순환 공급시키는 열풍순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 부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회전수단은 컨베이어벨트(200) 일측에 설치된 상부프레임(230)에 가이드부재(220)를 설치하되, 상기 가이드부재(220) 일측에는 용기 하단부가 기울어진 상태로 올려질 수 있도록 상향 경사진 경사부(222)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222) 상단 일측에 안내부(224)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200)를 구성하는 벨트(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흡입구멍(21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 부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222)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3~5°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 부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회전수단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벨트(200')를 양측에 각각 설치하되, 용기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컨베이어벨트(200')를 다른 컨베이어벨트(200')보다 더 빠르게 진행시키고, 상기 컨베이어벨트(200') 중 용기와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컨베이어벨트(200')의 벨트(210')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흡입구멍(21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 부착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공급유닛은,
    터널프레임(100) 양 내측면 중 가이드부재(220)와 근접된 일 내측면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조성하여 열풍을 공급하는 나이프노즐(155)과;
    상기 나이프노즐(155)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량을 제어하도록 나이프노즐(155) 상단에 설치한 나이프노즐조절수단과;
    상기 터널프레임(100) 양 내측면에 적어도 1단 이상으로 설치하여 열풍을 공급하도록 다수의 컨디션노즐(165)을 형성한 컨디션노즐가이드(160)와;
    상기 컨디션노즐(165)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량과 열풍공급순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컨디션노즐가이드(160)에 설치한 컨디션노즐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 부착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공급유닛은,
    터널프레임(100) 양 내측면 중 가이드부재(220)와 근접된 일 내측면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조성하여 열풍을 공급하는 나이프노즐(155)과;
    상기 나이프노즐(155)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량을 제어하도록 나이프노즐(155) 상단에 설치한 나이프노즐조절수단과;
    상기 나이프노즐(155) 상부에 적어도 1단 이상으로 설치하여 열풍을 공급하도록 다수의 컨디션노즐(165)을 형성한 컨디션노즐가이드(160)와;
    상기 컨디션노즐(165)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량과 열풍공급순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컨디션노즐가이드(160)에 설치한 컨디션노즐조절수단과;
    상기 터널프레임(100)의 일 내측면에 적어도 1단 이상으로 설치하여 용기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UV램프(170) 및 반사갓(1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 부착장치.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노즐조절수단은 터널프레임(100) 양측에 형성된 격벽(110)에 다수의 열풍구멍(115)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상기 열풍구멍(115)과 나이프노즐(155)이 서로 연통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나이프노즐(155) 상단에 설치된 나이프노즐가이드(150)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조작하여 나이프노즐(155)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 부착장치.
  8.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컨디션노즐조절수단은 터널프레임(100) 양측에 형성된 격벽(110)에 다수의 열풍구멍(115)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상기 열풍구멍(115)과 컨디션노즐가이드(160)에 형성된 컨디션노즐(165)이 서로 일치되도록 상기 각각의 컨디션노즐가이드(160)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 부착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순환수단은,
    컨베이어벨트(200)를 구성하는 벨트(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한 다수의 흡입구멍(215)과;
    용기에 공급된 열풍을 상기 흡입구멍(215)을 통해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터널프레임(100) 하부에 설치한 밀폐프레임유닛과;
    상기 밀폐프레임유닛에 연통 장착되어 열풍을 흡입하는 후드(310)와;
    상기 후드(310)에 연결 장착되어 후드(310)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함께 바람을 송출하는 송풍기(320)와;
    상기 송풍기(320)에서 송출되는 바람을 가열하여 열풍을 송출하는 열풍기(330)와;
    상기 열풍기(330)와 격벽(110)의 열풍구멍(115) 사이에 연결 장착하여 열풍을 터널프레임(100) 내부에 공급 및 분사하는 분사관(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 부착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프레임유닛은,
    컨베이어벨트(200) 상면의 벨트(210)와 연접되게 설치하되, 상기 벨트(210)에 형성된 흡입구멍(215)을 통해 열풍을 흡입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벨트(210) 하부를 개구되게 형성한 상부프레임(230)과;
    상기 상부프레임(230) 양측에 각각 설치한 측면프레임(240)과;
    상기 상부프레임(230)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한 전후면프레임(250)(260)과;
    상기 측면프레임(240)과 전후면프레임(250)(260) 하단에 설치한 하부프레임(2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 부착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순환수단은,
    양측 컨베이어벨트(200') 중 어느 하나의 컨베이어벨트(200')의 벨트(210')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한 다수의 흡입구멍(215')과;
    용기에 공급된 열풍을 상기 흡입구멍(215')을 통해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구멍(215')이 형성된 컨베이어벨트(200')의 하부와 양측면을 커버하게 설치한 유입프레임(280)과;
    상기 유입프레임(280)에 연통 장착되어 열풍을 흡입하는 후드(310)와;
    상기 후드(310)에 연결 장착되어 후드(310)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함께 바람을 송출하는 송풍기(320)와;
    상기 송풍기(320)에서 송출되는 바람을 가열하여 열풍을 송출하는 열풍기(330)와;
    상기 열풍기(330)와 격벽(110)의 열풍구멍(115) 사이에 연결 장착하여 열풍을 터널프레임(100) 내부에 공급 및 분사하는 분사관(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 부착장치.
KR1020100002592A 2010-01-12 2010-01-12 용기용 라벨 부착장치 KR101123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592A KR101123420B1 (ko) 2010-01-12 2010-01-12 용기용 라벨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592A KR101123420B1 (ko) 2010-01-12 2010-01-12 용기용 라벨 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719A KR20110082719A (ko) 2011-07-20
KR101123420B1 true KR101123420B1 (ko) 2012-03-23

Family

ID=44920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592A KR101123420B1 (ko) 2010-01-12 2010-01-12 용기용 라벨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4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9363A1 (ko) * 2015-10-19 2017-04-27 안형배 로터리식 열수축라벨지 부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120B1 (ko) * 2012-03-02 2014-01-14 윤태영 라벨부착장치용 열풍기
KR102639286B1 (ko) 2023-12-26 2024-02-20 신인철 원통형 용기 라벨 부착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4661U (ko) 1977-08-12 1979-03-07
KR100859351B1 (ko) * 2007-05-25 2008-09-19 최영식 라벨링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4661U (ko) 1977-08-12 1979-03-07
KR100859351B1 (ko) * 2007-05-25 2008-09-19 최영식 라벨링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9363A1 (ko) * 2015-10-19 2017-04-27 안형배 로터리식 열수축라벨지 부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719A (ko) 201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3043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осудов
CN103935734B (zh) 一种用于处理容器并包括对输送器杀菌的装置
US7121821B2 (en) Device for heating preforms provided with supporting ring
US9004905B2 (en) Blow moulding machine in a modular design
US7900422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plastic containers
US8796601B2 (en) Induction dryer
KR101123420B1 (ko) 용기용 라벨 부착장치
ITRM20060277A1 (it) Impianto e processo di verniciatura di contenitori
US20110108156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Labelling Filled Containers
ITGE20090088A1 (it) Dispositivo per il trasferimento in linea di bottiglie ed apparecchiatura di lavaggio comprendente tale dispositivo
JP2018531847A (ja) ロータリー式の熱収縮ラベル紙の貼着装置
JP4091176B2 (ja) プリフォームの加熱装置
JP4074400B2 (ja) 射出延伸ブロー成形機の空調装置
US96821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terilization of plastics material pre-forms with tempered housing
KR102240998B1 (ko) 신발 건조기
EP02530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ating and curing containers
KR200321148Y1 (ko) 농산물 건조장치
CN217295144U (zh) 新型标签热收缩机
CN210759172U (zh) 远红外旋转式调温机
CN212832747U (zh) 一种胶帽收缩机
CN212673780U (zh) 一种冷罐产品瓶身自动干燥装置
CN220763891U (zh) 一种安瓿瓶印字工序喷涂装置
CN212274540U (zh) 一种包装箱加工生产用连续烘干装置
US20230271372A1 (en) Device for treating container blanks
JP3924382B2 (ja) パストライ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