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667Y1 - 내화성 패널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내화성 패널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667Y1
KR200292667Y1 KR2020020020655U KR20020020655U KR200292667Y1 KR 200292667 Y1 KR200292667 Y1 KR 200292667Y1 KR 2020020020655 U KR2020020020655 U KR 2020020020655U KR 20020020655 U KR20020020655 U KR 20020020655U KR 200292667 Y1 KR200292667 Y1 KR 2002926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ocessing apparatus
panel processing
refractory
tro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6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무
Original Assignee
김종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무 filed Critical 김종무
Priority to KR20200200206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6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6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667Y1/ko

Links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화성 패널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형상을 가지며 수평으로 다수 적재되어 있는 패널을 이송하기 위한 소재이송부와, 상기 이송된 소재의 양면에 내화 액을 분사하는 내화액 공급 부와, 상기 소재에 분사된 내화 액을 전면에 균일하게 분포시킴과 아울러 분사된 내화액체량을 건조부에서 건조하기에 적합하도록 탈수하는 압착부와, 내화액이 일정량 탈수된 소재를 적재함에 자동으로 적재하기 위한 소재승강부와, 상기 적재함에 적재된 소재를 일정시간 건조시키는 건조부로 구성됨으로서 상기와 같이 패널 가공장치의 전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서 작업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불필요한 인력낭비를 줄여 제품의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생산성을 향상시켜 대량생산이 가능한 내화성 패널 가공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내화성 패널 가공 장치{DEVICE OF MANUFACTURING FIREPROOF PANEL}
본 고안은 내화성 패널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패널의 표면에 일정량으로 내화액을 분사하여 일정시간 건조장치를 거쳐 성형되는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서 작업속도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난연성이 우수한 내화성 패널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의 내, 외장재나 혹은 차량의 엔진 커버 등에 사용되는 패널의 경우에는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하고 있으며, 특히 근래 들어 화재에 대한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안전을 위하여 내구성이나 단열성뿐만 아니라 일정온도이상 열에 견딜 수 있는 소재를 패널에 접목함으로서 내화성까지 고려한 패널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내화성이 우수한 종래의 패널의 경우 그 제조방법이 단순히 수작업에 의존함에 따라 작업속도 및 생산성에서 한계가 있었다. 즉, 일정두께로 패널을 성형한 뒤, 작업자가 내화도료가 함유된 혼합물을 일일이 부재에 도포 한 후, 이를 다시 이송시켜 별도의 건조장치에 적층 하여 건조시킨 뒤, 성형함으로서 불필요한 작업인원의 증가와 아울러 작업시간이 지연됨으로서 생산성이 떨어지고 또한 생산비용이 증가되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패널에 내화액을 분사 및 탈수하고 건조 장치로 이송하여 일정시간 건조함으로서 성형되는 내화성 패널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패널의 생산공정을 자동화함으로서 작업시간의 단축과 아울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화성 패널 가공장치를 제공함에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패널의 양면으로 내화액을 분사하여 가공하는 내화성 패널 가공장치에 있어서, 클램프로 들어올려진 소재를 이송하는 대차를 구비한 소재 이송부와, 컨베이어벨트의 상, 하단부에 다수의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로 이송되는 소재의 상, 하부면에 내화액을 분사하는 내화액 공급부와, 제 1구동부에 의해 승, 하강하는 상부롤러와 제 2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하부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상, 하부롤러의 사이로 이송되는 소재 내부의 내화액을 일정량 탈수하는 압착부와, 제 1구동부에 의해 승, 하강하는 승강다이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다이의 외주면에는 제 2구동부에 의해 구동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컨베이어벨트가 설치됨으로서 소재를 소재적재함으로 이송하는 소재승강부와, 상기 소재적재함에는 다수의 삽입구를 구비하며, 하단부에는 안착턱이 설치되고, 일측에는 각각의 제 1, 2걸림턱이 부착되어 실린더에 의해 전, 후방으로 이동하는 대차의 상면에 안착되어 건조부로 이송되는 소재적재함과, 상기 소재적재함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부를 구비하며 하부면에는 상기 적재함을 이송하기 위한 체인벨트가 설치되며 끝단에는 히팅 장치가 설치됨으로서, 상기 적재함내의 적층된 소재를 건조시키는 건조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내화성 패널 가공장치의 전체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재 이송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내화액 공급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압착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a내지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소재 승강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d는 도 5c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6a와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소재적재함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a와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건조부의 구성을 도면.
도 7c는 도 7a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7d와 도 7e는 건조부로 적재함이 이송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소재 14,82,102: 대차
16: 클램프 18,59,84: 승강실린더
20,32,90: 구동부 26,51,68: 컨베이어벨트
28: 분사노즐 30: 고정바
38,42,65: 브라켓 40: 상부롤러
44: 하부롤러 46: 가이드
48,56: 제 1구동부 52,66: 제 2구동부
58: 회전축 69: 샤프트
72: 가이드 74: 승강다이
57,76,98: 실린더 77: 요입홈
86: 플레이트 88: 체인벨트
94a,94b: 걸림턱 96a, 96b: 봉체
98a, 98b: 돌출턱 104: 히팅장치
106: 핀히터(Fin Heater) 110: 도어
114: 블로워 100: 소재이송부
200: 내화액 공급부 300: 압착부
400: 소재승강부 500: 소재적재함
600: 건조부 700: 내화성 패널 가공장치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을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내화성 패널 가공장치의 전체형상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의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인 내화성 패널 가공장치(700)는 일정형상을 가지며 수평으로 다수 적재되어 있는 패널(1)을 이송하기 위한 소재 이송부(100)와, 상기 이송된 소재(1)의 양면에 내화액을 분사하는 내화액 공급부(200)와, 상기 소재(1)에 분사된 내화액을 전면에 균일하게 분포시킴과 아울러 분사된 내화액체량을 건조부에서 건조하기에 적합하도록 탈수하는 압착부(300)와, 내화액이 탈수된 소재(1)를 적재함(500)에 자동으로 적재하기 위한 소재 승강부(400)와, 상기 적재함(500)에 적재된 소재(1)를 일정시간 건조시키는 건조부(600)로 크게 구성된다.
이를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상기 소재 이송부(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량의 소재(1)를 적재할 수 있는 다이(22)의 상부로 구동부(20)에 의해 레일(12)을 타고 전, 후로 이동되는 대차(14)가 설치된다. 상기 대차(14)의 하단에는 양측으로 각각 클램프(16)가 설치되어 다이(22)에 적재된 소재(1)를 집어 올리게 된다. 이때 상기 클램프(16)의 상세 구성 및 작동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대한민국 출원 10-2001-0057890("건축용 패널 성형장치")에 기술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대차(14)의 상면 중앙에는 승강실린더(18)가 설치되어 상기 대차(14)를 상, 하로 작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소재 이송부(100)의 작동은 우선 승강 실린더(18)의 작동으로 대차(14)를 하강시키면 상기 대차(14)에 설치된 클램프(16)가 소재(1)를 집어 올리게 되며, 이후에 상기 소재(1)를 클램핑한 대차(14)는 구동부(20)에 의해전방으로 이송되어 도 3a에 도시한 컨베이어벨트(26)위에 소재(1)를 올려놓게 된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벨트(26)의 상부에 올려진 소재(1)는 내화액공급부(200)로 이송되어 양면으로 내화액이 분사되어 진다. 이때 상기 내화액공급부(200)의 상세 구성을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여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구동부(32)에 의해 작동하는 컨베이어벨트(26)의 일측 상, 하단 부에는 내화액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27)이 수평으로 다수 설치되며, 상기 공급관(27)은 수평프레임(34)에 설치된 고정바(30)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관(27)에는 다수의 분사노즐(28)이 설치되며, 상기 상, 하단의 분사노즐(28)의 사이로 소재(1)가 이송되어 양면으로 내화액을 분사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내화액이 분사된 소재(1)는 도 4a와 도 4b에 도시한 압착부(300)로 이송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착부(300)의 상세구성을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송되는 소재(1)의 상, 하단에는 각각의 브라켓(38, 42)에 샤프트(41, 45)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상, 하부롤러(40, 44)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롤러(40)를 지지하는 브라켓(38)의 상단 부에는 제 1구동부(48)에 의해 승, 하강하는 가이드(46)가 설치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압착부(300)의 작동을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내화액공급부(200)를 거쳐 내화액이 분사된 소재(1)는 컨베이어벨트(26)를 타고 상기 압착부(300)의 일측으로 이송되며, 이후 브라켓(38, 42)에 지지되어 제 2구동부(52)에 의해 회전하는 상, 하부롤러(40, 44)의 사이로 이송된 후, 상기 압착부(300)의 타측에 설치된 또 다른 컨베이어벨트(51)를 타고 후술할 소재 승강부(400)로 이송된다. 즉,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인해 소재(1)는 상. 하부롤러(40, 44)에 의해 압착됨으로서 상기 소재(1)에 분사된 내화액은 전면에 균일한 두께로 분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롤러(40)가 지지된 브라켓(38)에 제 1구동부(48)에 의해 승, 하강하는 가이드(46)를 설치하여 상기 상부롤러(40)를 승, 하강시킴으로서 소재의 두께에 따라 상부롤러(40)를 유동 있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화액공급부(200)와 압착부(300)로 소재를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26, 51)는 통상의 메쉬 형상을 가진 벨트를 사용함으로서 내화액이 분사되거나 압착될 시에 내화액이 상기 벨트(26, 51)에 잔류하지 않고 통과되어 하단부에 설치된 내화액 받이함(53)으로 유입되어 재사용 함으로서 재료의 낭비를 최소화하게 된다.
한편, 상기의 과정으로 내화액이 탈수된 소재는 소재 승강부(400)로 이송되게 된다. 이때 상기 소재 승강부(400)의 구성을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여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양측의 지지프레임(54)의 상단 부에는 수평프레임(55)이 설치되며, 상기 수평프레임(55)의 상부면 에는 후술할 승강 다이(74)를 승, 하강시키기 위한 제 1구동부(56)가 설치된다. 상기 제 1구동부(56)의 일측에는 상기 제 1구동부(56)와 수직으로 위치한 회전축(58)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58)의 양측 끝단 부에는 체인(60)으로 연계된 체인기어(62)가 각각 설치되어 전술한 제 1구동부(56)에 의해작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체인기어(62)의 하단 부에도 체인(64)으로 연계된 또 다른 체인기어(67)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체인(64)에는 승강 다이(74)의 양측에 설치된 브라켓(65)이 고정된다. 즉, 전술한 제 1구동부(56)의 작동으로 체인기어(62,67)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체인기어(62,67)에 맞물린 체인(64)이 승,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체인(64)에 고정된 승강 다이(74)역시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가이드(72)를 타고 상기 체인(64)을 따라 승,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다이(74)의 외주면 에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구동부(66)에 의해 구동하는 다수의 컨베이어 벨트(68)가 설치되어 전술한 압착부(300)를 거친 소재(1)를 후술할 소재 적재함(500)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소재의 이송과정을 도 5c와 도 5d를 참조하여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착부(300)를 거친 소재(1)는 상기 컨베이어벨트(68)에 안착되어 이송된다. 이때 전술한 승 강다이(74)에는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실린더(57)가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57)의 로드(61)끝단에는 받침턱(63)이 결합된다. 즉, 상기 컨베이어벨트(68)로 이송되는 소재(1)는 상기 받침턱(63)에 접촉되어 일시 정지하게 되며, 이후 상기 실린더(57)를 승, 하강시키는 승강 실린더(59)를 작동하여 상기 받침턱(63)을 하강시키게 되면 소재(1)는 다시 소재적재함(500)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실린더(57)를 작동하여 받침턱(63)를 전진시켜 이송중인 소재(1)를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함(500)내에 완전히 밀착시켜 적재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소재 적재함(500)의 구성을 도 6a와 도 6b를 참조해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소재 적재함(500)에는 다수의 삽입구(81)가 형성되어 소재(1)를 적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소재와 접촉하는 상기 삽입구(81)의 바닥면을 서스 와이어(SUS WIRE)를 격자모양 형태로 치부하여 구성함으로서 소재(1)가 적재된 후에 건조가 용이해지게 제작된다. 이때 상기 서스 와이어(SUS WIRE)에는 테프론 코팅을 하여 소재 건조후 이형이 잘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소재적재함(500)의 하부에는 후술할 건조부(600)의 체인벨트(88)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턱(83)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적재함(500)의 하단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걸림턱(94a, 94b)이 형성되어 후술할 건조부(600)의 체인벨트(88)에 설치된 돌출턱(98a, 98b)과 각각 접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재적재함(500)의 하단부에는 이동을 간편하게 하기 위한 다수의 케스트(87)가 설치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소재적재함(500)은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차(82)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대차(82)는 실린더(76)에 의해 전,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보다 상세히는 상기 실린더(76)의 로드(78)끝단부가 상기 대차(82)의 브라켓(80)에 고정됨으로서 실린더(76)의 작동에 따라 상기 대차(82)는 후술할 건조부(600)의 선단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대차(82)의 형상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으로 요입홈(77)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77)으로 승강실린더(84)에 승, 하강하는 플레이트(86)가 설치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소재 승강부(400)와 소재적재함(500)의 작동을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소재적재함(500)을 대차(82)의 상부면에 안착시킨다. 이때 대차(82)의 승강 실린더(84)를 작동하여 플레이트(86)를 대차(82)의 요입홈(77)으로 승강시켜 상기 대차(82)의 안착면과 동일선상에 위치시킨 후, 상기 소재적재함(500)을 이동시켜 대차의 상부면에 안착한다. 이후에 상기 소재 승강부(400)의 제 1구동부(56)를 작동하여 승강다이(74)를 전술한 컨베이어벨트(51)의 높이만큼 승강시켜 소재(1)를 안착한 후, 다시 상기 승강다이(74)를 전술한 소재적재함(500)의 삽입구(81)의 높이만큼 재차 승, 하강시킨다. 이후에 상기 소재 승강부(400)의 제 2구동부(66)를 작동하여 다수의 컨베이어벨트(68)를 작동시켜 소재(1)를 상기 삽입구(81)로 차례로 적층시킨다. 이후에 소재적재함(500)이 안착된 대차(82)의 하단부에 설치된 실린더(76)를 작동하여 후술할 건조부(600)로 이송한다. 이때 상기 대차(82)의 상부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한 플레이트(86)를 다시 하강시킴으로서 상기 대차(82)는 건조부(600)로 원활히 이송되게 된다.
이때 상기 소재적재함(500)이 안착되는 대차(82)의 하단면에는 상기 대차를 지지하기 위한 다이(75)가 설치되며, 상기 다이(75)의 후방부에 리미트센서(83)를 설치함으로서 전술한 소재 이송부(100), 공급부(200), 압착부(300), 소재 승강부(400)의 작업을 제어하게 된다. 즉, 보다 상세히는 상기 소재적재함(500)이 대차(82)에 안착되면 상기 리미트센서(83)가 감지하여 이전 공정인 이송부(100), 공급부(200), 압착부(300), 소재 승강부(400)의 작업이 개시되어 상기 소재적재함(500)으로 소재(1)를 안착하게 되며, 이후 상기 소재적재함(500)이 건조부(600)에 이송되게 되면 다시 상기 리미트센서(83)에 의해 다른 소재적재함(500)이 대차(82)에 안착되기까지 이전 작업이 일시적으로 정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 건조부(600)에는 다수의 소재적재함(500)을 건조하기 위한 공간부(9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91)에는 구동부(90)에 의해 구동하는 체인벨트(88)가 설치되며, 상기 체인벨트(88)의 상부면에는 전술한 소재적재함(500)의 하단부에 형성된 안착턱(83)이 접촉되며, 상기 체인벨트(88)의 하단부에는 통상의 H-빔(89)이 설치됨으로서 상기 체인벨트(88)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인벨트(88)의 끝단부에는 도 7a와 도 7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함(500)을 도어(110)입구까지 이송하기 위한 대차(102)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건조부(600)의 끝단에는 도 7a와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112)에 의해 개폐되어지는 도어(11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10)의 일측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핀 히터(FIN HEATER)가 내설된 히팅 장치(104)가 설치되며, 상기 히팅 장치(104)의 일측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블로워(114)가 설치되며, 상기 블로워(114)로 유입된 공기는 히팅 장치(104)를 통과한 후, 적재함(500)이 적층된 건조부(600)의 공간부로 더운 공기를 불어넣게 된다. 이때 상기 공간부로 유입된 더운 공기는 지속적으로 순환하며 적재함(500)에 적재된 다수의 소재(1)를 건조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건조부(600)의 작동을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해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차(82)의 상단부에 안착된 소재적재함(500)은 건조부(600)의 선단부로 이송된다. 이후 상기 건조부(600)의 하단부에 형성된 체인벨트(88)위에 상기 소재적재함(500)이 안착되어 이송되게 된다. 이때 상기의이송과정을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체인벨트(88)의 일측에는 결합턱(9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턱(92)에는 각각의 봉체(96a, 96b)의 양측 끝단부가 볼트등의 체결수단으로 일정간격을 두며 다수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봉체(96a)에는 제 1돌출턱(98a)이 부착되며, 상기 봉체와 일정간격을 두며 체인벨트에 설치된 봉체(96b)에는 제 2돌출턱(98b)이 부착됨으로서 소재적재함(500)과,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재적재함(500)의 하단부에 설치된 제 1, 2걸림턱(94a, 94b)과 선택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즉, 체인벨트(88)가 작동하면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체(96a)의 제 1돌출턱(98a)이 적재함(500)의 제 1걸림턱(94a)과 접촉됨으로서 상기 적재함(500)은 체인벨트(88)의 구동방향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후 체인벨트(88)의 끝단까지 소재적재함(500)이 이송된 후에는 제 1돌출턱(98a)과 제 1걸림턱(94a)은 떨어지게 되며, 이후 상기 소재적재함(500)을 체인벨트(88)의 끝단에 설치된 대차(102)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도 7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돌출턱(98a)이 부착된 봉체(96b)의 후방부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시 제 2돌출턱(98b)을 구비한 봉체(96b)가 상기 소재적재함(500)의 제 2걸림턱(94b)과 접촉됨으로서 체인벨트(88)가 구동에 따라 상기 적재함(500)을 대차(102)의 상부면에 완전히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상기 대차(102)의 하단부에 설치된 실린더(103)를 작동하여 적재함(500)이 안착된 대차(102)를 건조부(600)의 도어(110)입구까지 이송한 다음, 도어(110)를 개방하여 건조가 끝난 적재함(500)을 건조부(600)에서 빼냄으로서 내화성액이 분사 및 탈수된 패널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인 밸트(88)의 구동속도를 제어함으로서 건조부(600)내의 적재함(500)의 이송속도를 제어시켜 상기 적재함(500)에 적층된 소재(1)의 건조시간을 유동 있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패널에 내화액을 분사 및 탈수하고 예열 장치에서 일정시간 건조 후 공정이 완료되는 내화성 패널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생산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서 작업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불 필요한 인력낭비를 줄여 제품의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생산성을 향상시켜 대량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11)

  1. 패널의 양면으로 내화액을 분사하여 가공하는 내화성 패널 가공장치에 있어서,
    클램프(16)로 들어올려진 소재(1)를 이송하는 대차(14)를 구비한 소재 이송부(100)와;
    컨베이어벨트(26)의 상, 하단부에 다수의 분사노즐(28)이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26)로 이송되는 소재(1)의 상, 하부면에 내화액을 분사하는 내화액공급부(200)와;
    제 1구동부(48)에 의해 승, 하강하는 상부롤러(40)와 제 2구동부(52)에 의해 회전하는 하부롤러(44)를 구비하여, 상기 상, 하부롤러(40, 44)의 사이로 이송되는 소재(1)를 탈수하는 압착부(300)와;
    제 1구동부(56)에 의해 승, 하강하는 승강다이(74)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다이(74)의 외주면에는 제 2구동부(66)에 의해 구동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컨베이어벨트(68)가 설치됨으로서 소재(1)를 소재적재함(500)으로 이송하는 소재 승강부(400)와;
    다수의 삽입구(81)를 구비하며, 하단부에는 안착턱(83)이 설치되고,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의 제 1, 2걸림턱(94a, 94b)이 부착되어 실린더(76)에 의해 전, 후방으로 이동하는 대차(82)의 상면에 안착되어 건조부(600)로 이송되는 소재적재함(500)과;
    상기 소재적재함(500)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부(91)를 구비하며 하부면에는 상기 적재함(500)을 이송하기 위한 체인벨트(88)가 설치되며 끝단에는 히팅장치(104)가 설치됨으로서, 상기 적재함(500)내의 적층된 소재(1)를 건조시키는 건조부(6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패널 가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이송부(100)는 다수의 소재(1)를 적재하기 위한 다이(22)가 설치되며, 상기 다이(22)의 상부에는 레일(12)을 따라 주행하는 대차(14)가 설치되며, 상기 대차(14)의 상부면에는 승강실린더(18)가 설치되며, 하단면에는 양측으로 클램프(16)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패널 가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액공급부(200)는 소재(1)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벨트(26)를 구비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26)의 일측 상, 하면에는 고정바(30)에 의해 지지된 공급관(27)이 설치되며, 상기 공급관(27)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분사노즐(28)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소재(1)에 내화액을 분사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패널 가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300)의 상, 하부롤러(40, 44)는 양측으로 각각의 브라켓(38, 42)에 지지되며, 상기 상부롤러(40)를 지지하는 브라켓(38)의 상부면에는 제 1구동부(48)에 의해 승, 하강하는 가이드(46)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패널 가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승강부(400)의 승강다이(74)에는 체인(64)에 고정되는 브라켓(65)이 설치되어 제 1구동부(56)의 구동시 상기 체인(64)를 따라 승, 하강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패널 가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적재함(500)이 안착되는 대차(82)의 일측 하단에는 브라켓(80)이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80)으로 실린더(76)의 로드(78)가 체결됨으로서 상기 대차(82)는 실린더(76)에 의해 전, 후방으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패널 가공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82)의 일측면에는 요입홈(77)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77)에는 승강 실린더(84)에 의해 승, 하강하는 플레이트(86)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패널 가공장치.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82)의 하단에는 다이(75)가 설치되며, 상기 다이(75)의 후방부에는 리미트센서(83)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패널 가공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600)의 하단부에 설치된 체인벨트(88)에는 결합턱(9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턱(92)으로 제 1돌출턱(98a)을 구비한 봉체(96a)와 제 2돌출턱(98b)이 부착된 봉체(96b)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 1,2돌출턱(98a, 98b)은 소재적재함(500)의 제 1, 2걸림턱(94a, 94b)과 각각 접촉되며, 상기 체인벨트(88)의 상단면에는 상기 소재적재함(500)의 안착턱(83)이 안착됨을 내화성 패널 가공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벨트(88)의 끝단에는 실린더(103)에 의해 전, 후 이동하는 대차(102)가 설치되며, 상기 대차(102)의 상단부로 체인밸트(88)로 이송된 소재적재함(500)이 안착되어 도어(110)입구까지 이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패널 가공장치.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600)의 히팅 장치(104)에는 FIN HEATER(106)이 내설 되며, 상기 히팅 장치(104)의 후방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블로워(114)가 설치되어 상기 히팅 장치(104)로 공기가 주입되고 그 공기를 다시 순환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패널 가공장치.
KR2020020020655U 2002-07-10 2002-07-10 내화성 패널 가공 장치 KR2002926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655U KR200292667Y1 (ko) 2002-07-10 2002-07-10 내화성 패널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655U KR200292667Y1 (ko) 2002-07-10 2002-07-10 내화성 패널 가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667Y1 true KR200292667Y1 (ko) 2002-10-25

Family

ID=73125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655U KR200292667Y1 (ko) 2002-07-10 2002-07-10 내화성 패널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66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779A (ko) * 2002-12-04 2004-06-10 김선오 에너지 절약형 원적외선 도장건조장치
KR100879459B1 (ko) * 2008-04-21 2009-01-20 네스테크 주식회사 난연액 주사장치
KR101869477B1 (ko) * 2017-02-22 2018-07-23 주식회사 이노방재 목재패널용 방염 코팅장치
CN109910157A (zh) * 2018-11-06 2019-06-21 上海圣奎塑业有限公司 防火保温板材料生产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779A (ko) * 2002-12-04 2004-06-10 김선오 에너지 절약형 원적외선 도장건조장치
KR100879459B1 (ko) * 2008-04-21 2009-01-20 네스테크 주식회사 난연액 주사장치
KR101869477B1 (ko) * 2017-02-22 2018-07-23 주식회사 이노방재 목재패널용 방염 코팅장치
CN109910157A (zh) * 2018-11-06 2019-06-21 上海圣奎塑业有限公司 防火保温板材料生产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82926B (zh) 一种用于制造泡沫陶瓷保温板的生产线及生产工艺
WO2021031773A1 (zh) 一种发泡陶瓷生产系统及其生产工艺
KR101093947B1 (ko) 트롤리 컨베이어를 이용한 박판글라스 강화 열처리장치
JPS6132264B2 (ko)
CN110843118A (zh) 一种耐火材料制砖流水线
CN115502066B (zh) 一种环形磁芯绝缘层喷涂生产线用的隧道炉
KR100762169B1 (ko) 우레탄패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0292667Y1 (ko) 내화성 패널 가공 장치
KR100631480B1 (ko) 유리의 곡면화 시스템
KR101058512B1 (ko) 건축용 도장패널 제조장치
JP4445228B2 (ja) 塗装乾燥ライン装置
KR100631482B1 (ko) 프레스장치
JP3963331B2 (ja) 無機系外装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N115157825B (zh) 一种汽车地毯覆合成型机及其使用方法
US4556783A (en) Heat welding apparatus
CN2209680Y (zh) 微波加热蚕茧烘干机
KR100631481B1 (ko) 이송장치
JP4771270B2 (ja) ガラス板成形型の交換方法及びその装置
JPH0616072B2 (ja) エ−ジング装置
JPH10180169A (ja) 塗装設備及びこれに使用する塗装用乾燥設備
JP2690842B2 (ja) 乾燥装置及び乾燥方法
JP4016335B2 (ja) 瓦素地の移載方法
KR100430569B1 (ko) 합성수지 보드 롤 포밍장치
JPH071334Y2 (ja) 台車の搬送装置
CN110466044B (zh) 墙板转运养护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