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494B1 -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494B1
KR102327494B1 KR1020207022184A KR20207022184A KR102327494B1 KR 102327494 B1 KR102327494 B1 KR 102327494B1 KR 1020207022184 A KR1020207022184 A KR 1020207022184A KR 20207022184 A KR20207022184 A KR 20207022184A KR 102327494 B1 KR102327494 B1 KR 102327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signal
terminal
signal
uni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2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3804A (ko
Inventor
루톈 쩡
쥔 레이
웨이 쩌우
윈펑 왕
펑레이 싱
Original Assignee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0470751.3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658732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290875.8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338630B/zh
Application filed by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03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05B6/065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using coordinated control of multiple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58For cooking
    • H05B1/0261For cooking of foo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72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per heating zo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 및 제어 방법을 개시하며, 상기 회로는 제1 공진 유닛; 제2 공진 유닛; 제1 전력 스위치; 제2 전력 스위치; 제1 공진 유닛의 양단의 전압을 검출함으로써 제1 동기화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동기화 유닛; 제2 공진 유닛의 양단의 전압을 검출함으로써 제2 동기화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동기화 유닛;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모드에 따라 제1 동기화 신호를 선택함으로써 제1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제2 동기화 신호를 선택함으로써 제2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며 또한 제1 동기화 신호 및 제2 동기화 신호 중의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제1 전력 스위치 및 상기 제2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가열 효율을 향상시키고 전력 스위치의 사용 수명을 제고한다.

Description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 및 제어 방법
본 출원은 출원번호가 201810290875.8 및 201820470751.3이고, 출원일이 모두 2018년 4월 3일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전체 내용을 참조로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가전기기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 및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인덕션, 전기밥솥, 전기압력솥 등)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코일을 사용하여 가열하고 대부분의 열이 냄비 바닥 중심에 집중되는데, 열이 너무 집중되어 가열이 고르지 못하고 사용자가 조리 효과에 불평하게 된다.
현재, 일부 조리기구는 내부 및 외부 링형 이중 코일 플레이트의 가열 방식을 채택하여 두개의 단독 공진 시스템을 구성하여 효과가 크게 개선되었지만, 두개의 공진 시스템은 별도의 동기화 회로를 각각 사용하여 공진 동작을 자유로 수행한다. 또한, 내부 및 외부 링형 코일 플레이트가 동일한 조리기기 내부에 배치되기에 두 코일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가 가깝고 동시에 동작 시 이들 사이의 자기장이 상호 결합되거나 간섭되며, 별도로 공진되어 동작이 동기화되지 않기에 때로는 자기장이 같은 방향으로 겹쳐지고 때로는 반대 방향으로 겹쳐져 합성된 벡터 자기장이 불안정하며 동기화 회로도 불안정해지고 가열 효율이 저하되며, 심지어 스위치 튜브가 파손되어 제품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기술 과제를 적어도 일정한 정도로 해결하기 위해 제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동기화 신호 트리거 소스를 선택 가능한 이중 경로 공진 가열 시스템을 추가함으로써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균일성을 향상시키고 조리 시스템의 가열 효율과 스위칭 튜브의 사용 수명을 제고할 수 있는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실시예는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를 제공하는 바, 상기 가열 제어 회로는, 병렬 연결된 제1 공진 커패시터 및 제1 코일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공진 유닛; 일단이 상기 제1 공진 유닛의 일단에 연결된 후에 상기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전원 공급 모듈에 연결되고, 병렬 연결된 제2 공진 커패시터 및 제2 코일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코일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코일 플레이트가 내부 및 외부 링 형태로 설치되는 제2 공진 유닛; 제1 단부가 상기 제1 공진 유닛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공진 유닛의 공진 동작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전력 스위치; 제1 단부가 상기 제2 공진 유닛의 타단에 연결되고 제2 단부가 상기 제1 전력 스위치의 제2 단부에 연결된 후에 접지되며 상기 제2 공진 유닛의 공진 동작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전력 스위치; 상기 제1 공진 유닛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공진 유닛의 양단의 전압을 검출하여 제1 동기화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동기화 유닛; 상기 제2 공진 유닛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공진 유닛의 양단의 전압을 검출하여 제2 동기화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동기화 유닛; 및 상기 제1 동기화 유닛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는 제1 동기화 신호 검출 단자와, 상기 제2 동기화 유닛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는 제2 동기화 신호 검출 단자와, 상기 제1 전력 스위치의 제어 단자에 연결되는 제1 구동 출력 단자와, 상기 제2 전력 스위치의 제어 단자에 연결되는 제2 구동 출력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동기화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제1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동기화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제2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며 또한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및 상기 제2 동기화 신호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1 전력 스위치 및 상기 제2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에서 제어 유닛은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모드에 따라 제1 동기화 신호를 선택하여 제1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제2 동기화 신호를 선택하여 제2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며 또한 제1 동기화 신호 및 제2 동기화 신호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제1 전력 스위치 및 제2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동기화 신호 트리거 소스를 선택 가능한 이중 경로 공진 가열 시스템을 추가함으로써 조리기기의 가열 효율을 향상시키고 스위칭 튜브의 사용 수명을 제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는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기술적 특징을 가진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코일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코일 플레이트는 동일한 인덕턴스를 갖고 와인딩 방향이 동일하며, 상기 제1 공진 커패시터와 상기 제2 공진 커패시터는 동일한 커패시턴스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유닛은, 출력 단자가 상기 제1 전력 스위치의 제어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력 스위치의 온/오프를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 회로; 출력 단자가 상기 제2 전력 스위치의 제어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력 스위치의 온/오프를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 회로; 및 상기 제1 동기화 신호에 따라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구동 회로를 통해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동기화 신호에 따라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구동 회로를 통해 구동 신호를 출력하며, 또한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및 상기 제2 동기화 신호 중의 하나에 따라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구동 회로 및 상기 제2 구동 회로를 통해 구동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제어기;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기는, 제1 펄스 발생기 및 제2 펄스 발생기; 제1 단부가 상기 제1 동기화 유닛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2 단부가 상기 제1 펄스 발생기에 연결되는 제1 옵션 스위치; 제1 단부가 상기 제2 동기화 유닛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2 단부가 상기 제2 펄스 발생기에 연결되며 제3 단자가 상기 제1 옵션 스위치의 제3 단자에 연결되는 제2 옵션 스위치; 및 제1 단부가 상기 제1 동기화 유닛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2 단부가 상기 제1 옵션 스위치의 제3 단자와 상기 제2 옵션 스위치의 제3 단자에 각각 연결되며 제3 단자가 상기 제2 옵션 스위치의 제1 단부에 연결되는 제3 옵션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옵션 스위치, 상기 제2 옵션 스위치 및 상기 제3 옵션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또는 상기 제2 동기화 신호 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및 상기 제2 동기화 신호 중의 하나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옵션 스위치의 제1 단부가 제2 단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펄스 발생기를 통해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공진 유닛은 공진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2 옵션 스위치의 제1 단부가 제2 단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펄스 발생기를 통해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공진 유닛은 공진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1 옵션 스위치의 제2 단부가 제3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옵션 스위치의 제2 단부가 제3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제3 옵션 스위치의 제1 단부가 제2 단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펄스 발생기 및 상기 제2 펄스 발생기를 통해 제어 신호를 각각 출력하고, 상기 제1 공진 유닛과 상기 제2 공진 유닛은 동시에 공진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1 옵션 스위치의 제2 단부가 제3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옵션 스위치의 제2 단부가 제3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제3 옵션 스위치의 제2 단부가 제3 단자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펄스 발생기 및 상기 제2 펄스 발생기를 통해 제어 신호를 각각 출력하고, 상기 제1 공진 유닛 및 상기 제2 공진 유닛은 동시에 공진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동기화 유닛과 상기 제2 동기화 유닛은 모두 비교기를 포함하고 하나의 검출 경로를 공통으로 사용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실시예는 상기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는 상기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를 통해 조리 시스템의 가열 효율과 스위치 튜브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킨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른 실시예는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바, 상기 제어 방법은, 가열 전력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가열 전력 명령에 따라 상기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모드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동기화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제1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동기화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제2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및 상기 제2 동기화 신호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1 전력 스위치 및 상기 제2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방법은 가열 전력 명령을 수신하여 가열 전력 명령에 따라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모드를 획득하고,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모드에 따라 제1 동기화 신호를 선택하여 제1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제2 동기화 신호를 선택하여 제2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제1 동기화 신호 및 제2 동기화 신호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제1 전력 스위치 및 제2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해당 방법은 조리 시스템의 가열 효율과 스위치 튜브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추가적 측면의 장점은 다음의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설명될 것이고, 부분적 장점은 다음의 설명과 더불어 명백해지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를 통해 알게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첨부된 도면에 제시되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아래에서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 및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의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는 제1 공진 유닛(10), 제2 공진 유닛(20), 제1 전력 스위치(30), 제2 전력 스위치(40), 제1 동기화 유닛(50), 제2 동기화 유닛(60) 및 제어 유닛(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공진 유닛(20)의 일단이 제1 공진 유닛(10)의 일단에 연결된 후에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전원 공급 모듈(80)에 연결되고, 제1 공진 유닛(10)은 병렬 연결된 제1 공진 커패시터(C1) 및 제1 코일 플레이트(COL1)를 포함하고 제2 공진 유닛(20)은 병렬 연결된 제2 공진 커패시터(C2) 및 제2 코일 플레이트(COL2)를 포함하며, 제1 코일 플레이트(COL1)와 제2 코일 플레이트(COL2)가 내부 및 외부 링 형태로 설치된다. 제1 전력 스위치(30)의 제1 단부가 제1 공진 유닛(10)의 타단에 연결되어 제1 공진 유닛(10)의 공진 동작 여부를 제어한다. 제2 전력 스위치(40)의 제1 단부가 제2 공진 유닛(20)의 타단에 연결되고 제2 단부가 제1 전력 스위치(30)의 제2 단부에 연결된 후에 접지되며 제2 공진 유닛(20)의 공진 동작 여부를 제어한다. 제1 동기화 유닛(50)은 제1 공진 유닛(10)의 양단에 연결되고 제1 공진 유닛(10)의 양단의 전압을 검출함으로써 제1 동기화 신호를 출력한다. 제2 동기화 유닛(60)은 제2 공진 유닛(20)의 양단에 연결되고 제2 공진 유닛(20)의 양단의 전압을 검출함으로써 제2 동기화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 유닛(70)은 제1 동기화 유닛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는 제1 동기화 신호 검출 단자(SYNC1)와, 제2 동기화 유닛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는 제2 동기화 신호 검출 단자(SYNC2)와, 제1 전력 스위치의 제어 단자에 연결되는 제1 구동 출력 단자(PPG1)와, 제2 전력 스위치의 제어 단자에 연결되는 제2 구동 출력 단자(PPG2)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모드에 따라 제1 동기화 신호를 선택함으로써 제1 전력 스위치(3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제2 동기화 신호를 선택함으로써 제2 전력 스위치(4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며 또한 제1 동기화 신호 및 제2 동기화 신호 중의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제1 전력 스위치(30) 및 제2 전력 스위치(4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는 정류 모듈(90) 및 필터링 모듈(1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정류 모듈(90)은 다이오드(D1~D4)로 구성되고 전원 공급 모듈(80)에 의해 입력된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며; 필터링 모듈(100)은 인덕터(L1) 및 커패시턴스(C3)로 구성되고 변화되는 리플 전압을 평활한 전압으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코일 플레이트(COL1)와 제2 코일 플레이트(COL2)는 동일한 인덕턴스를 갖고 와인딩 방향이 동일하며, 제1 공진 커패시터(C1)와 제2 공진 커패시터(C2)는 동일한 커패시턴스를 갖는다. 따라서, 제1 공진 유닛(10)과 제2 공진 유닛(20)의 공진 주파수가 동일하고 제1 코일 플레이트(COL1)와 제2 코일 플레이트(COL2)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의 위상이 항상 0도의 위상차를 유지하기 때문에, 합성 자기장이 가장 강하고 가열 효율이 높으며, 또한 제1 동기화 유닛(50) 및 제2 동기화 유닛(60)이 보다 안정하고 제1 전력 스위치 및 제2 전력 스위치의 작동이 더 안전하며, 전력 스위치의 사용 수명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동기화 유닛(50)과 제2 동기화 유닛(60)이 모두 비교기를 포함하고 하나의 검출 경로를 공통으로 사용한다. 다시 말하면, 제1 동기화 유닛(50)은 저항(R1,R2,R3,R4), 커패시턴스(C4,C5) 및 비교기(CMP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동기화 유닛(60)은 저항(R1,R2,R5,R6), 커패시턴스(C4,C6) 및 비교기(CMP2)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화 유닛은 분압 샘플링 회로와 비교기로 구성되고 분압 샘플링 회로는 저항(R1,R2) 및 커패시터(C4)로 구성되며 공진 유닛의 지점A의 전압을 수집하기 위해 사용되며, 제1 동기화 유닛(50)과 제2 동기화 유닛(60)은 상기 분압 샘플링 전압을 공통으로 사용하며, 제1 공진 유닛(10) 및 제2 공진 유닛(20)의 지점A의 전압을 각각 수집한다. 저항(R3,R4) 및 커패시턴스(C5)는 분압 샘플링 회로를 구성하고 제1 공진 유닛(10)의 지점B의 전압을 수집하기 위해 사용되며; 저항(R5,R6) 및 커패시턴스(C6)는 분압 샘플링 회로를 구성하고 제2 공진 유닛(20)의 지점C의 전압을 수집하기 위해 사용된다. 비교기(CMP1)는 제1 공진 유닛(10)의 지점A의 전압과 지점B의 전압을 비교하여 동기화 신호를 출력하고, 비교기(CMP2)는 제2 공진 유닛(20)의 지점A 의 전압과 지점C의 전압을 비교하여 동기화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지점A의 전압이 지점B의 전압보다 큰 경우, 비교기(CMP1)의 비 반전 입력 전압이 반전 입력 전압보다 작고 비교기(CMP1)는 저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며, 지점A의 전압이 지점B의 전압보다 작은 경우, 비교기(CMP1)의 비 반전 입력 전압이 반전 입력 전압보다 크며 비교기(CMP1)는 고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는 전원이 연결되어 작동되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가열 전력 명령을 수신하고 가열 전력 명령에 따라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모드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가열 전력이 비교적 작은 경우, 제1 공진 유닛(10)에 대응하는 가열 시스템을 제어하여 작동시키거나 또는 제2 공진 유닛(20)에 대응하는 가열 시스템을 제어하여 작동시킬 수 있고; 가열 전력이 비교적 큰 경우, 제1 공진 유닛(10) 및 제2 공진 유닛(20)에 대응하는 가열 시스템을 동시에 제어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 유닛(70)은 가열 모드에 따라 트리거 소스를 전환하는데, 예를 들어, 제1 공진 유닛(10)에 대응하는 가열 시스템을 선택하여 작동(내부 코일 플레이트를 작동)시키는 경우, 제1 동기화 유닛(50)은 샘플링 회로를 통해 제1 코일 플레이트(COL1) 양단의 공진 전압(즉, 제1 커패시턴스(C1)양단의 전압)을 수집하여 제어 유닛(70)에 제1 동기화 신호(예를 들어, 하강 에지 신호)를 출력하며, 제어 유닛(70)은 제1 구동 출력 단자(PPG1)를 통해 유효한 펄스 신호를 출력하여 제1 전력 스위치(30)를 제어하여 온/오프시키며, 제1 전력 스위치(30)는 구동 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 모듈(80)과 제1 공진 유닛(10)의 접속과 차단을 제어한다. 제1 구동 출력 단자가 고레벨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1 전력 스위치(30)가 턴 온되고, 제1 공진 유닛(10)이 전원 공급 모듈(80)에 연결되어 제1 코일 플레이트(COL1)에 에너지를 축적하며, 제1 공진 유닛(10)은 전계 에너지를 전자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을 실현하며; 제1 구동 출력 단자가 저레벨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1 전력 스위치(30)가 턴 오프되고, 제1 공진 유닛(10)과 전원 공급 모듈(80)이 차단된다.
마찬가지로, 제2 공진 유닛(20)에 대응하는 가열 시스템을 선택하여 작동시키는 경우, 그 제어 방법이 제1 공진 유닛(10)과 동일하며; 두 가열 시스템이 동시에 작동될 경우, 제어 유닛(70)은 제1 동기화 신호 및 제2 동기화 신호에 따라 제1 공진 유닛과 제2 공진 유닛이 동시에 작동되도록 각각 제어하며, 그 제어 방법은 제1 공진 유닛(10) 및 제2 공진 유닛(20)이 작동될 때의 과정을 결부할 수 있고, 구체적인 과정은 후술되는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유닛(70)은 제1 구동 회로(71), 제2 구동 회로(72) 및 제어기(7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구동 회로(71)의 출력 단자는 제1 전력 스위치(30)의 제어 단자에 연결되고 제1 전력 스위치(30)의 온/오프를 구동한다. 제2 구동 회로(72)의 출력 단자는 제2 전력 스위치(40)의 제어 단자에 연결되고, 제2 전력 스위치(30)의 온/오프를 구동한다. 제어기(73)는 제1 동기화 신호에 따라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1 구동 회로(71)를 통해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제2 동기화 신호에 따라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2 구동 회로(72)를 통해 구동 신호를 출력하며, 또한 제1 동기화 신호 및 제2 동기화 신호 중의 하나에 따라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1 구동 회로(71) 및 제2 구동 회로(72)를 통해 구동 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다시 말하면, 구동 회로는 제어기(73)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 레벨 범위를 전력 스위치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레벨 신호 범위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제어기(73)에 의해 출력되는 저레벨은 0V이고 고레벨은 5V이며 전력 스위치가 수신할 수 있는 저레벨은 0V이고 고레벨은 18V이면, 제1 구동 회로(71)는 제어기(73)가 제1 구동 출력 단자(PPG1)를 통해 출력한 고레벨 5V을 제1 전력 스위치(30)가 수신할 수 있는 고레벨18 V로 변환하여 제1 전력 스위치(30)를 구동하여 작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73)는 제1 펄스 발생기(731), 제2 펄스 발생기(732), 제1 옵션 스위치(733), 제2 옵션 스위치(734) 및 제3 옵션 스위치(73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옵션 스위치(733)의 제1 단부가 제1 동기화 유닛(50)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1 옵션 스위치(733)의 제2 단부가 제1 펄스 발생기(731)에 연결된다. 제2 옵션 스위치(734)의 제1 단부는 제2 동기화 유닛(60)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2 옵션 스위치(734)의 제2 단부는 제2 펄스 발생기(732)에 연결되며, 제2 옵션 스위치(734)의 제3 단자는 제1 옵션 스위치(733)의 제3 단자에 연결된다. 제3 옵션 스위치(735)의 제1 단부는 제1 동기화 유닛(50)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3 옵션 스위치(735)의 제2 단부는 제1 옵션 스위치(733)의 제3 단자 및 제2 옵션 스위치(734)의 제3 단자에 각각 연결되며, 제3 옵션 스위치(735)의 제3 단자는 제2 옵션 스위치(734)의 제1 단부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어기(73)는 제1 옵션 스위치(733), 제2 옵션 스위치(734) 및 제3 옵션 스위치(735)를 제어함으로써 제1 동기화 신호 또는 제2 동기화 신호 또는 제1 동기화 신호 및 제2 동기화 신호 중의 하나를 선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옵션 스위치(733)의 제1 단부가 제2 단부에 연결되는 경우, 제어기(73)는 제1 동기화 신호에 따라 제1 펄스 발생기(731)를 통해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1 공진 유닛(10)은 공진 동작을 수행한다. 제2 옵션 스위치(734)의 제1 단부가 제2 단부에 연결되는 경우, 제어기(73)는 제2 동기화 신호에 따라 제2 펄스 발생기(732)를 통해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2 공진 유닛(20)은 공진 동작을 수행한다. 제1 옵션 스위치(733)의 제2 단부가 제3 단자에 연결되고 제2 옵션 스위치(734)의 제2 단부가 제3 단자에 연결되며 제3 옵션 스위치(735)의 제1 단부가 제2 단부에 연결되는 경우, 제어기(73)는 제1 동기화 신호에 따라 제1 펄스 발생기(731) 및 제2 펄스 발생기(732)를 통해 제어 신호를 각각 출력하며, 제1 공진 유닛(10) 및 제2 공진 유닛(20)은 동시에 공진 동작을 수행한다. 제1 옵션 스위치(733)의 제2 단부가 제3 단자에 연결되고 제2 옵션 스위치(734)의 제2 단부가 제3 단자에 연결되며 제3 옵션 스위치(735)의 제2 단부가 제3 단자에 연결되는 경우, 제어기(73)는 제2 동기화 신호에 따라 제1 펄스 발생기(731) 및 제2 펄스 발생기(732)를 통해 제어 신호를 각각 출력하고, 제1 공진 유닛(10) 및 제2 공진 유닛(20)은 동시에 공진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 제1 코일 플레이트 및 제2 코일 플레이트의 작동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1) 제1 코일 플레이트(내부 코일 플레이트) 가열 모드의 작동 과정
제1 옵션 스위치(733)의 제1 단부①와 제2 단부②가 연결되고 제1 동기화 신호는 제1 동기화 신호 입력 단자(SYNC1)를 통해 제1 옵션 스위치(733)를 거쳐 제1 펄스 발생기(731)의 Trg1 입력 단자에 전송된다. 제어기(73)를 START1표시 위치로 설정하고, 제1 펄스 발생기(731)의 Trg1입력 단자에 트리거 신호(제1 동기화 신호)를 입력하여 최초 하나의 펄스의 출력을 개시한다.
단계1: 제어기(73)는 제1 동기화 신호에 따라 제1 펄스 발생기(731)를 제어하여 제1 제어 신호, 다시 말하면 유효 신호를 출력하며, 본 실시예에서 유효 신호는 고레벨 5V이고 무효 신호는 저레벨 0V이며, 제1 구동 회로(71)는 고레벨 신호(예를 들어, 18V)를 출력하고, 제1 전력 스위치(30)의 C극(컬렉터 전극) 및 E극(이미터 전극)이 연결되어 턴 온 되고, 제1 공진 유닛(10) 내부의 제1 코일 플레이트(COL1)가 전원 공급 모듈(80)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전류가 0으로부터 선형으로 증가되어 일정 시간(t1) 경과 후에 전류값이 (I1)에 도달하는데, 이 경우, 지점A의 전압이 지점 B의 전압보다 크고, 비교기(CMP1)의 반전 단자의 전압이 비 반전 단자의 전압보다 높으며, 비교기(CMP1)의 출력 단자는 저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단계2: 제어기(73)는 제1 펄스 발생기(731)를 제어하여 무효 신호(예를 들어, 0V)를 출력하고 제1 구동 회로(71)는 저레벨 신호(예를 들어, 0V)를 출력하며, 제1 전력 스위치(30)의 C극 및 E극의 연결이 차단되고, 제1 코일 플레이트(COL1)의 전류가 돌입될 수 없기 때문에, 제1 코일 플레이트(COL1)의 전류가 제1 공진 커패시터(C1)를 흐르는 동시에 제1 공진 커패시터(C1)가 제1 코일 플레이트(COL1)에 대해 방전하며, 제1 공진 커패시터(C1) 양단의 지점A의 전압 및 지점 B의 전압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며, 제1 공진 커패시터(C1) 양단의 지점 A의 전압과 지점B의 전압이 0V인 경우, 제1 코일 플레이트(COL1)의 전류가 최대값에 도달한다. 다음 순간에, 제1 코일 플레이트(COL1)는 전류가 돌입될 수 없는 특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제1 공진 커패시터(C1)에 대해 방전하며, 제1 공진 커패시터(C1)의 양단의 지점A의 전압이 지점B의 전압보다 작고, 비교기(CMP1)의 반전 단자의 전압이 비 반전 단자의 전압보다 높고, 비교기(CMP1)의 출력 단자는 저레벨에서 고레벨의 상승 에지 전압 회전 신호를 출력한다.
단계3: 제1 코일 플레이트(COL1)가 제1 공진 커패시터(C1)에 대한 충전 전류가 점차적으로 0으로 감소되고, 제1 공진 커패시터(C1) 양단의 전압이 최대값에 도달하며, 지점 A의 전압이 지점 B의 전압보다 작다. 그 후에, 제1 공진 커패시터(C1)가 제1 코일 플레이트(COL1)에 대해 방전하며, 제1 공진 커패시터(C1) 양단의 전압이 0V까지 방전된 후, 제1 코일 플레이트(COL1)의 전류가 최대값에 도달한다. 다음 순간에, 제1 코일 플레이트(COL1)는 전류가 돌입될 수 없는 특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제1 공진 커패시터(C1)에 대해 방전하며, 제1 공진 커패시터(C1)의 양단의 지점A의 전압이 지점B의 전압보다 크고, 비교기(CMP1)의 반전 단자의 전압이 비 반전 단자의 전압보다 높고, 비교기(CMP1)의 출력 단자는 고레벨에서 저레벨의 하강 에지 전압 회전 신호를 출력한다.
하강 에지 전압 회전 신호를 제어기(73)의 제1 동기화 신호 검출 단자(SYNC1)에 입력한 후, 제1 옵션 스위치(733)를 통해 제1 펄스 발생기(731)의 Trg1 입력 단자에 전송하여 제1 펄스 발생기(731)를 자동으로 트리거하여 다음 주기의 유효 신호를 출력하게 하고 단계1의 과정을 반복한다. 이로써 내부 코일 플레이트의 공진 가열을 실현한다.
(2) 제2 코일 플레이트(외부 코일 플레이트)가열 모드의 동작 과정
제2 옵션 스위치(734)의 제1 단부①의 핀이 제2 단부②에 연결되고 제2 동기화 신호는 제2 동기화 신호 입력 단자(SYNC2)를 통해 제2 옵션 스위치(734)를 거쳐 제2 펄스 발생기(732)의 Trg2입력 단자에 전송된다. 제어기(73)를 START2표시 위치로 설정하고, 제2 펄스 발생기(732)의 Trg2입력 단자에 트리거 신호(제2 동기화 신호)를 입력하여 최초 하나의 펄스의 출력을 개시한다.
단계1: 제어기(73)는 제2 동기화 신호에 따라 제2 펄스 발생기(732)를 제어하여 제2 제어 신호, 다시 말하면 유효 신호를 출력하며, 제2 구동 회로(72)는 고레벨 신호(예를 들어, 18V)를 출력하고, 제2 전력 스위치(40)의 C극 및 E극이 연결되어 턴 온 되고, 제2 공진 유닛(20) 내부의 제2 코일 플레이트(COL2)가 전원 공급 모듈(80)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전류가 0으로부터 선형으로 증가되어 일정 시간(t1') 경과 후에 전류값이 (I1)에 도달하는데, 이 경우, 지점A의 전압이 지점 C의 전압보다 크고, 비교기(CMP2)의 반전 단자의 전압이 비 반전 단자의 전압보다 높으며, 비교기(CMP2)의 출력 단자는 저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단계2: 제어기(73)는 제2 펄스 발생기(732)를 제어하여 무효 신호(예를 들어, 0V)를 출력하고 제2 구동 회로(72)는 저레벨 신호(예를 들어, 0V)를 출력하며, 제2 전력 스위치(40)의 C극 및 E극의 연결이 차단되고, 제2 코일 플레이트(COL2)의 전류가 돌입될 수 없기 때문에, 제2 코일 플레이트(COL2)의 전류가 제2 공진 커패시터(C2)를 흐르는 동시에 제2 공진 커패시터(C2)가 제2 코일 플레이트(COL2)에 대해 방전하며, 제2 공진 커패시터(C2) 양단의 지점A의 전압 및 지점 C의 전압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며, 제2 공진 커패시터(C2) 양단의 지점 A의 전압과 지점B의 전압이 0V인 경우, 제2 코일 플레이트(COL2)의 전류가 최대값에 도달한다. 다음 순간에, 제2 코일 플레이트(COL2)는 전류가 돌입될 수 없는 특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제2 공진 커패시터(C2)에 대해 방전하며, 제2 공진 커패시터(C2)의 양단의 지점A의 전압이 지점C의 전압보다 작고, 비교기(CMP2)의 반전 단자의 전압이 비 반전 단자의 전압보다 높고, 비교기(CMP2)의 출력 단자는 저레벨에서 고레벨의 상승 에지 전압 회전 신호를 출력한다.
단계3: 제2 코일 플레이트(COL2)가 제2 공진 커패시터(C2)에 대한 충전 전류가 점차적으로 0으로 감소되고, 제2 공진 커패시터(C2) 양단의 전압이 최대값에 도달하며, 지점 A의 전압이 지점C의 전압보다 작다. 그 후에, 제2 공진 커패시터(C2)가 제2 코일 플레이트(COL2)에 대해 방전하며, 제2 공진 커패시터(C2) 양단의 전압이 0V까지 방전된 후, 제2 코일 플레이트(COL2)의 전류가 최대값에 도달한다. 다음 순간에, 제2 코일 플레이트(COL2)는 전류가 돌입될 수 없는 특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제2 공진 커패시터(C2)에 대해 방전하며, 제2 공진 커패시터(C2)의 양단의 지점A의 전압이 지점C의 전압보다 크고, 비교기(CMP2)의 반전 단자의 전압이 비 반전 단자의 전압보다 높고, 비교기(CMP2)의 출력 단자는 고레벨에서 저레벨의 하강 에지 전압 회전 신호를 출력한다.
하강 에지 전압 회전 신호를 제어기(73)의 제2 동기화 신호 검출 단자(SYNC2)에 입력한 후, 제2 옵션 스위치(734)를 통해 제2 펄스 발생기(732)의 Trg2입력 단자에 전송하여 제2 펄스 발생기(732)를 자동으로 트리거하여 다음 주기의 유효 신호를 출력하게 하고 단계1의 과정을 반복한다. 이로써 외부 코일 플레이트의 공진 가열을 실현한다.
(3) 내부 및 외부 링 코일 플레이트의 동시 가열 모드(제어기가 제1 동기화 신호에 따라 제1 공진 유닛 및 제2 공진 유닛이 동시에 작동되도록 제어함)의 작동 과정
제3 옵션 스위치(735)의 제1 단부①의 핀이 제2 단부②에 연결되고 제1 옵션 스위치(733)의 제2 단부②가 제3 단자③에 연결되고 제2 옵션 스위치(734)의 제2 단부②가 제3 단자③에 연결되며, 제1 동기화 신호는 제1 옵션 스위치(733), 제2 옵션 스위치(734) 및 제3 옵션 스위치(735)를 거쳐 제1 펄스 발생기(731)의 Trg1 입력 단자 및 제2 펄스 발생기(732)의 Trg2 입력 단자에 각각 전송된다. 제어기(73)를 START1, START2표시위치로 설정하고, 제1 펄스 발생기(731)의 Trg1 입력 단자 및 제2 펄스 발생기(732)의 Trg2 입력 단자에 트리거 신호(제1 동기화 신호)를 입력하여 최초 하나의 펄스의 출력을 개시한다.
단계1: 제어기(73)는 제1 동기화 신호에 따라 제1 펄스 발생기(731) 및 제2 펄스 발생기(732)를 제어하여 동시에 유효 신호를 출력하고, 제1 구동 회로(71) 및 제2 구동 회로(72)는 고레벨 신호(예를 들어, 18V)를 각각 출력하고, 제1 전력 스위치(30) 및 제2 전력 스위치(40)가 동시에 턴 온되며, 그 후의 동작 과정은 상기 내부 및 외부 링의 동작 과정과 대체로 동일하고, 단지 제1 동기화 신호가 내부 옵션 스위치를 거쳐 제1 펄스 발생기(731)의 Trg1 입력 단자 및 제2 펄스 발생기(732)의 Trg2 입력 단자에 각각 전송되고 제1 동기화 신호를 사용하여 제1 펄스 발생기(731) 및 제2 펄스 발생기(732)를 트리거하여 다음 주기의 유효 신호를 출력한 후에 단계1의 과정을 반복하는 점에서 구분된다. 이로써, 제1 동기화 신호를 통해 내부 및 외부 링의 코일 플레이트를 제어하여 동시에 공진 가열을 수행한다.
(4) 내부 및 외부 링 코일 플레이트의 동시 가열 모드(제어기가 제2 동기화 신호에 따라 제1 공진 유닛 및 제2 공진 유닛이 동시에 작동되도록 제어함)의 작동 과정
제3 옵션 스위치(735)의 제2 단부②가 제3 단자③에 연결되고 제1 옵션 스위치(733)의 제2 단부②가 제3 단자③에 연결되고 제2 옵션 스위치(734)의 제2 단부②가 제3 단자③에 연결되며, 제2 동기화 신호는 제1 옵션 스위치(733), 제2 옵션 스위치(734) 및 제3 옵션 스위치(735)를 거쳐 제1 펄스 발생기(731)의 Trg1 입력 단자 및 제2 펄스 발생기(732)의 Trg2 입력 단자에 각각 전송된다. 제어기(73)를 START1, START2표시위치로 설정하고, 제1 펄스 발생기(731)의 Trg1 입력 단자 및 제2 펄스 발생기(732)의 Trg2 입력 단자에 트리거 신호(제2 동기화 신호)를 입력하여 최초 하나의 펄스의 출력을 개시한다.
단계1: 제어기(73)는 제2 동기화 신호에 따라 제1 펄스 발생기(731) 및 제2 펄스 발생기(732)를 제어하여 유효 신호를 동시에 출력하고, 제1 구동 회로(71) 및 제2 구동 회로(72)는 고레벨 신호(예를 들어, 18V)를 각각 출력하며, 제1 전력 스위치(30) 및 제2 전력 스위치(40)가 동시에 턴온되며, 그 후의 동작 과정은 상기 내부 및 외부 링의 동작 과정과 대체로 동일하고, 단지 제2 동기화 신호가 내부 옵션 스위치를 거쳐 제1 펄스 발생기(731)의 Trg1 입력 단자 및 제2 펄스 발생기(732)의 Trg2 입력 단자에 각각 전송되고 제2 동기화 신호를 사용하여 제1 펄스 발생기(731) 및 제2 펄스 발생기(732)를 트리거하여 다음 주기의 유효 신호를 출력한 후에 단계1의 과정을 반복하는 점에서 구분된다. 이로써, 제1 동기화 신호를 통해 내부 및 외부 링의 코일 플레이트를 제어하여 동시에 공진 가열을 수행한다.
상기 (1)-(4)에서 알수 있다시피, 내부 및 외부의 단일 링 코일 플레이트가 동작 시, 제어기(73)는 자체의 공진 유닛 동기화 트리거 신호를 선택하여 제어하고 동작 시에는 단일 코일 플레이트만 가열되는 조리기기에 해당하며, 두 공진 유닛을 제어하여 교대로 작동하는 방식을 사용하기에 조리기기의 가열이 더욱 균일하다. 내부 및 외부 링 코일 플레이트가 동시에 가열되는 경우, 제어기(73)는 시스템 구성에 따라 두 펄스 발생기에 동일한 동기화 트리거 소스를 사용하고 트리거 소스로는 제1 동기화 신호 검출 단자(SYNC1)에 의해 입력된 제1 동기화 신호 또는 제2 동기화 신호 검출 단자(SYNC2)에 의해 입력된 제2 동기화 신호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제1 전력 스위치(30) 및 제2 전력 스위치(40)가 동시에 턴온 및 턴오프되고 동시에 공진되도록, 하나의 동일한 동기화 신호를 사용하여 제1 펄스 발생기 및 제2 펄스 발생기를 트리거할 수 있다. 또한, 제1 코일 플레이트(COL1)와 제2 코일 플레이트(COL2)가 동일한 인덕턴스를 사용하고 와인딩 방향이 동일하며, 제1 커패시턴스(C1) 및 제2 커패시턴스(C2)의 커패시턴스가 동일하고 두 공진 유닛의 공진 주파수가 동일하며 두 코일 플레이트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의 위상이 항상 0도의 위상차를 유지하기 때문에, 합성 자기장이 강하고 가열 효율이 가장 높은 동시에 동기화 회로가 안정되고 전력 스위치의 동작이 더욱 안전하며 전력 스위치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에서 제어 유닛은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모드에 따라 제1 동기화 신호를 선택함으로써 제1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제2 동기화 신호를 선택함으로써 제2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제1 동기화 신호 및 제2 동기화 신호 중의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제1 전력 스위치 및 제2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동기화 신호 트리거 소스를 선택 가능한 이중 경로 공진 가열 시스템을 추가함으로써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효율과 스위칭 튜브의 사용 수명을 제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1000)는 상기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1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는 상기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를 통해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효율과 스위칭 튜브의 사용 수명을 제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즉:
S1, 가열 전력 명령을 수신하여 가열 전력 명령에 따라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모드를 획득한다.
S2,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모드에 따라 제1 동기화 신호를 선택함으로써 제1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제2 동기화 신호를 선택함으로써 제2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제1 동기화 신호 및 제2 동기화 신호 중의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제1 전력 스위치 및 상기 제2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는 출력 단자가 상기 제1 전력 스위치의 제어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력 스위치의 온/오프를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 회로; 출력 단자가 상기 제2 전력 스위치의 제어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력 스위치의 온/오프를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 회로; 및 상기 제1 동기화 신호에 따라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제1 구동 회로를 통해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동기화 신호에 따라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제2 구동 회로를 통해 구동 신호를 출력하며 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및 상기 제2 동기화 신호 중의 하나에 따라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제1 구동 회로 및 상기 제2 구동 회로를 통해 구동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제1 펄스 발생기 및 제2 펄스 발생기; 제1 단부가 상기 제1 동기화 유닛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2 단부가 상기 제1 펄스 발생기에 연결되는 제1 옵션 스위치; 제1 단부가 상기 제2 동기화 유닛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2 단부가 상기 제2 펄스 발생기에 연결되며 제3 단자가 상기 제1 옵션 스위치의 제3 단자에 연결되는 제2 옵션 스위치; 및 제1 단부가 상기 제1 동기화 유닛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2 단부가 상기 제1 옵션 스위치의 제3 단자와 상기 제2 옵션 스위치의 제3 단자에 각각 연결되며 제3 단자가 상기 제2 옵션 스위치의 제1 단부에 연결되는 제3 옵션 스위치;를 포함하며, 제어기는 상기 제1 옵션 스위치, 상기 제2 옵션 스위치 및 상기 제3 옵션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또는 상기 제2 동기화 신호 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및 상기 제2 동기화 신호 중의 하나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옵션 스위치의 제1 단부가 제2 단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펄스 발생기를 통해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공진 유닛은 공진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2 옵션 스위치의 제1 단부가 제2 단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펄스 발생기를 통해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공진 유닛은 공진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1 옵션 스위치의 제2 단부가 제3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옵션 스위치의 제2 단부가 제3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제3 옵션 스위치의 제1 단부가 제2 단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펄스 발생기 및 상기 제2 펄스 발생기를 통해 제어 신호를 각각 출력하고, 상기 제1 공진 유닛과 상기 제2 공진 유닛은 동시에 공진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1 옵션 스위치의 제2 단부가 제3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옵션 스위치의 제2 단부가 제3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제3 옵션 스위치의 제2 단부가 제3 단자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펄스 발생기 및 상기 제2 펄스 발생기를 통해 제어 신호를 각각 출력하고, 상기 제1 공진 유닛 및 상기 제2 공진 유닛은 동시에 공진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방법에 제시되지 않은 세부 사항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 중의 세부 사항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방법은 가열 전력 명령을 수신하여 가열 전력 명령에 따라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모드를 획득하고,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모드에 따라 제1 동기화 신호를 선택함으로써 제1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제2 동기화 신호를 선택함으로써 제2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제1 동기화 신호 및 제2 동기화 신호 중의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제1 전력 스위치 및 제2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해당 방법은 조리 시스템의 가열 효율과 스위치 튜브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각 부분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한다. 상기 실시 방식에서, 복수의 단계들 또는 방법들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적절한 명령 실행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다른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업계에 알려진 데이터 신호에 논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 게이트 회로를 가진 개별 논리 회로, 적절한 조합 논리 게이트 회로를 갖춘 ASIC회로,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 (PGA), 현장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 (FPGA) 등 기술 또는 이러한 기술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중심", "종 방향", "횡 방향", "길이", "폭", "두께", "상", "하",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위", "아래", "내", "외", "시계 방향", "시계 반대 방향", "축 방향", "반경 방향", "원주 방향" 등 용어에 의해 지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첨부 도면에 기초한 방향 또는 위치 관계이며, 단지 본 발명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장치 또는 구성 요소가 반드시 특정된 방향을 가지거나 또는 특정된 방향에 따라 구성되거나 조작되어야 한다는 것을 명시 또는 암시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제1" 및 "제2"에 의해 한정된 특징은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하나 이상의 해당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달리 언급되지 않은 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복수"는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명확하게 규정되거나 한정되지 않은 한, "설치", "서로 연결" 및 "연결" 등 용어는 광의적으로 이해되어야 하는바, 예를 들어, 고정 연결되거나 또는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일체로 연결될수 있고,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중간 매체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고, 두 구성 요소 내부로 연통될 수도 있다. 당업자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상기 용어의 본 발명에서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별도로 명확한 규정과 제한이 없는 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함은 제1 특징 및 제2 특징이 직접 접촉되거나 또는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위", "위측" 및 "윗면"에 위치함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윗쪽, 경사지게 윗쪽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단지 제1 특징이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높은 경우를 가리킬 수도 있다.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아래", "아래측" 및 "하면"에 위치함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아래측 또는 경사지게 아래측에 위치하거나 또는 단지 제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낮은 경우를 가리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적 실시예", "예시", "구체적인 예시" 또는 "일부 예시" 등 용어는 해당 실시예 또는 예시를 결부하여 설명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의 개략적인 표현이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은 임의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모순되지 않는 경우,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 또는 예시 및 실시예 또는 예시의 특징을 결합하거나 조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안되며,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변경, 수정, 대체 및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0)

  1.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에 있어서,
    병렬 연결된 제1 공진 커패시터 및 제1 코일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공진 유닛;
    일단이 상기 제1 공진 유닛의 일단에 연결된 후에 상기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전원 공급 모듈에 연결되고, 병렬 연결된 제2 공진 커패시터 및 제2 코일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코일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코일 플레이트가 내부 및 외부 링 형태로 설치되는 제2 공진 유닛;
    제1 단부가 상기 제1 공진 유닛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공진 유닛의 공진 동작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전력 스위치;
    제1 단부가 상기 제2 공진 유닛의 타단에 연결되고 제2 단부가 상기 제1 전력 스위치의 제2 단부에 연결된 후에 접지되며, 상기 제2 공진 유닛의 공진 동작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전력 스위치;
    상기 제1 공진 유닛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공진 유닛의 양단의 전압을 검출하여 제1 동기화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동기화 유닛;
    상기 제2 공진 유닛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공진 유닛의 양단의 전압을 검출하여 제2 동기화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동기화 유닛; 및
    상기 제1 동기화 유닛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는 제1 동기화 신호 검출 단자와, 상기 제2 동기화 유닛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는 제2 동기화 신호 검출 단자와, 상기 제1 전력 스위치의 제어 단자에 연결되는 제1 구동 출력 단자와, 상기 제2 전력 스위치의 제어 단자에 연결되는 제2 구동 출력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동기화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제1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동기화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제2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며 또한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및 상기 제2 동기화 신호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1 전력 스위치 및 상기 제2 전력 스위치를 동시에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코일 플레이트는 동일한 인덕턴스를 갖고 와인딩 방향이 동일하며, 상기 제1 공진 커패시터와 상기 제2 공진 커패시터는 동일한 커패시턴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출력 단자가 상기 제1 전력 스위치의 제어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력 스위치의 온/오프를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 회로;
    출력 단자가 상기 제2 전력 스위치의 제어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력 스위치의 온/오프를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 회로; 및
    상기 제1 동기화 신호에 따라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구동 회로를 통해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동기화 신호에 따라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구동 회로를 통해 구동 신호를 출력하며, 또한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및 상기 제2 동기화 신호 중의 하나에 따라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구동 회로 및 상기 제2 구동 회로를 통해 구동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제1 펄스 발생기 및 제2 펄스 발생기;
    제1 단부가 상기 제1 동기화 유닛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2 단부가 상기 제1 펄스 발생기에 연결되는 제1 옵션 스위치;
    제1 단부가 상기 제2 동기화 유닛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2 단부가 상기 제2 펄스 발생기에 연결되며 제3 단자가 상기 제1 옵션 스위치의 제3 단자에 연결되는 제2 옵션 스위치; 및
    제1 단부가 상기 제1 동기화 유닛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2 단부가 상기 제1 옵션 스위치의 제3 단자와 상기 제2 옵션 스위치의 제3 단자에 각각 연결되며 제3 단자가 상기 제2 옵션 스위치의 제1 단부에 연결되는 제3 옵션 스위치;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옵션 스위치, 상기 제2 옵션 스위치 및 상기 제3 옵션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또는 상기 제2 동기화 신호 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및 상기 제2 동기화 신호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옵션 스위치의 제1 단부가 제2 단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펄스 발생기를 통해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공진 유닛은 공진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2 옵션 스위치의 제1 단부가 제2 단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펄스 발생기를 통해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공진 유닛은 공진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1 옵션 스위치의 제2 단부가 제3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옵션 스위치의 제2 단부가 제3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제3 옵션 스위치의 제1 단부가 제2 단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펄스 발생기 및 상기 제2 펄스 발생기를 통해 제어 신호를 각각 출력하고, 상기 제1 공진 유닛과 상기 제2 공진 유닛은 동시에 공진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1 옵션 스위치의 제2 단부가 제3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옵션 스위치의 제2 단부가 제3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제3 옵션 스위치의 제2 단부가 제3 단자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펄스 발생기 및 상기 제2 펄스 발생기를 통해 제어 신호를 각각 출력하고, 상기 제1 공진 유닛 및 상기 제2 공진 유닛은 동시에 공진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 유닛과 상기 제2 동기화 유닛이 모두 비교기를 포함하고 하나의 검출 경로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
  8. 제7항의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방법에 있어서,
    가열 전력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가열 전력 명령에 따라 상기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모드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동기화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제1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동기화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제2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및 상기 제2 동기화 신호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1 전력 스위치 및 상기 제2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는,
    출력 단자가 상기 제1 전력 스위치의 제어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력 스위치의 온/오프를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 회로;
    출력 단자가 상기 제2 전력 스위치의 제어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력 스위치의 온/오프를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 회로; 및
    상기 제1 동기화 신호에 따라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구동 회로를 통해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동기화 신호에 따라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구동 회로를 통해 구동 신호를 출력하며, 또한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및 상기 제2 동기화 신호 중의 하나에 따라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구동 회로 및 상기 제2 구동 회로를 통해 구동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제1 펄스 발생기 및 제2 펄스 발생기;
    제1 단부가 상기 제1 동기화 유닛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2 단부가 상기 제1 펄스 발생기에 연결되는 제1 옵션 스위치;
    제1 단부가 상기 제2 동기화 유닛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2 단부가 상기 제2 펄스 발생기에 연결되며 제3 단자가 상기 제1 옵션 스위치의 제3 단자에 연결되는 제2 옵션 스위치; 및
    제1 단부가 상기 제1 동기화 유닛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2 단부가 상기 제1 옵션 스위치의 제3 단자와 상기 제2 옵션 스위치의 제3 단자에 각각 연결되며 제3 단자가 상기 제2 옵션 스위치의 제1 단부에 연결되는 제3 옵션 스위치;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옵션 스위치, 상기 제2 옵션 스위치 및 상기 제3 옵션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또는 상기 제2 동기화 신호 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및 상기 제2 동기화 신호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옵션 스위치의 제1 단부가 제2 단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펄스 발생기를 통해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공진 유닛은 공진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2 옵션 스위치의 제1 단부가 제2 단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펄스 발생기를 통해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공진 유닛은 공진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1 옵션 스위치의 제2 단부가 제3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옵션 스위치의 제2 단부가 제3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제3 옵션 스위치의 제1 단부가 제2 단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펄스 발생기 및 상기 제2 펄스 발생기를 통해 제어 신호를 각각 출력하고, 상기 제1 공진 유닛과 상기 제2 공진 유닛은 동시에 공진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1 옵션 스위치의 제2 단부가 제3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옵션 스위치의 제2 단부가 제3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제3 옵션 스위치의 제2 단부가 제3 단자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펄스 발생기 및 상기 제2 펄스 발생기를 통해 제어 신호를 각각 출력하고, 상기 제1 공진 유닛 및 상기 제2 공진 유닛은 동시에 공진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방법.
KR1020207022184A 2018-04-03 2018-10-16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 및 제어 방법 KR1023274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0470751.3U CN208658732U (zh) 2018-04-03 2018-04-03 电磁加热烹饪器具及其加热控制电路
CN201810290875.8A CN110338630B (zh) 2018-04-03 2018-04-03 电磁加热烹饪器具及其加热控制电路和控制方法
CN201820470751.3 2018-04-03
CN201810290875.8 2018-04-03
PCT/CN2018/110440 WO2019192157A1 (zh) 2018-04-03 2018-10-16 电磁加热烹饪器具及其加热控制电路和控制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804A KR20200103804A (ko) 2020-09-02
KR102327494B1 true KR102327494B1 (ko) 2021-11-16

Family

ID=68099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2184A KR102327494B1 (ko) 2018-04-03 2018-10-16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51292B2 (ko)
EP (1) EP3749055B1 (ko)
JP (1) JP7027562B2 (ko)
KR (1) KR102327494B1 (ko)
WO (1) WO201919215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407030U (zh) * 2013-07-12 2014-01-22 深圳市鑫汇科电子有限公司 双环火电磁加热装置及其电路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6156A (ja) 2000-01-12 2001-07-19 Hitachi Hometec Ltd 誘導加熱調理器
JP3631703B2 (ja) 2001-07-23 2005-03-23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誘導加熱式炊飯器
JP3567145B2 (ja) 2001-07-23 2004-09-22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誘導加熱式炊飯器
JP2003153550A (ja) 2001-11-09 2003-05-23 Hitachi Hometec Ltd インバータ制御回路
CN2857721Y (zh) 2005-12-07 2007-01-17 张志成 具有焖饭、保温功能的电热锅
JP5625296B2 (ja) 2009-09-25 2014-11-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
CN201775462U (zh) 2010-04-14 2011-03-30 山东佳佳恋厨业有限公司 一种能煲饭的多功能电热锅
CN102291864B (zh) 2011-07-26 2013-07-31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共驱动信号的多环电磁加热电路
CN103931272B (zh) 2011-10-28 2016-01-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感应加热装置
JP6252905B2 (ja) 2013-06-07 2017-12-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
CN103596307B (zh) 2013-11-05 2015-10-14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谐振控制电路和电磁加热装置
CN204438245U (zh) 2014-11-28 2015-07-0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烹饪器及其控制电路
CN105698230B (zh) 2014-11-28 2018-02-02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烹饪器及其控制电路
CN105792399B (zh) * 2014-12-17 2019-03-08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磁谐振电路和电磁加热装置
CN105764175B (zh) * 2014-12-17 2019-03-08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磁谐振电路和电磁加热装置
CN106162973A (zh) 2015-04-28 2016-11-23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磁谐振电路、其控制方法及其控制系统
CN105246182B (zh) * 2015-10-23 2018-05-25 深圳市鑫汇科股份有限公司 电磁感应加热装置及其多谐振电路
CN205847645U (zh) * 2016-06-29 2016-12-28 杭州信多达电器有限公司 新型电磁加热控制器件反压检测与控制装置
CN106535381A (zh) * 2016-11-25 2017-03-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Igbt控制电路、加热电路以及电磁加热电器
CN206506730U (zh) * 2016-12-28 2017-09-1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磁加热系统及电磁烹饪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407030U (zh) * 2013-07-12 2014-01-22 深圳市鑫汇科电子有限公司 双环火电磁加热装置及其电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49055A1 (en) 2020-12-09
JP2021513185A (ja) 2021-05-20
WO2019192157A1 (zh) 2019-10-10
US20210076460A1 (en) 2021-03-11
EP3749055A4 (en) 2021-03-24
KR20200103804A (ko) 2020-09-02
JP7027562B2 (ja) 2022-03-01
US11751292B2 (en) 2023-09-05
EP3749055B1 (en) 202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1094B2 (en) Wireless inductive power transfer
CN101326856B (zh) 感应加热装置及其相应操作和烹饪器具检测方法
CN110338630B (zh) 电磁加热烹饪器具及其加热控制电路和控制方法
CN103607799B (zh) 电磁感应加热装置和电磁炉
CN106332338B (zh) 电磁加热系统以及电磁加热系统的驱动装置和方法
CN107027202B (zh) 电磁加热烹饪装置及其加热控制电路和加热控制方法
CN109945247B (zh) 电磁烹饪器具及其功率控制方法
CN105745992B (zh) 用于给炉灶面双感应线圈加热区供电的同步电路
US20190124726A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target object detection accuracy and induction he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08024403B (zh) 电磁加热系统及其的控制方法和装置
US10477624B2 (en) Systems and methods of quasi-resonant induction heating
CN107087321B (zh) Igbt的硬开通电压的调整方法和电磁炉
KR102327494B1 (ko)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 전자기 가열 조리기기의 가열 제어 회로 및 제어 방법
KR102388214B1 (ko)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CN109945248B (zh) 电磁烹饪器具及其功率控制方法
CN203661324U (zh) 电磁感应加热装置和电磁炉
JP2005116385A (ja) 誘導加熱装置
CN113498224A (zh) 加热电路以及烹饪设备
CN208658732U (zh) 电磁加热烹饪器具及其加热控制电路
CN220023116U (zh) 电磁加热装置及半桥电磁灶
CN112888100B (zh) 半桥电磁器具的电磁加热控制方法和半桥电磁器具
US20240039387A1 (en) Power converting device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CN109561531B (zh) 电磁加热设备及其功率开关管的驱动控制装置和方法
CN106572552B (zh) 电磁加热系统中功率开关管的开通时间的控制方法和装置
CN116456520A (zh) 电磁加热装置及半桥电磁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