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497B1 -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 초음파 가습기 - Google Patents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 초음파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497B1
KR102326497B1 KR1020200012364A KR20200012364A KR102326497B1 KR 102326497 B1 KR102326497 B1 KR 102326497B1 KR 1020200012364 A KR1020200012364 A KR 1020200012364A KR 20200012364 A KR20200012364 A KR 20200012364A KR 102326497 B1 KR102326497 B1 KR 102326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ultrasonic
wall
wat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8621A (ko
Inventor
정현철
Original Assignee
프롬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롬비(주) filed Critical 프롬비(주)
Priority to KR1020200012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497B1/ko
Publication of KR20210098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 편의 등을 위해 전력 공급 및 제어를 위한 모든 전자부품은 수조 뚜껑에 위치시키고, 수조는 순수히 물만 저장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초음파 진동자를 수조의 물에 띄워 무화상태의 물분자를 만들어 토출시키는 구조의 초음파 가습기로서, 초음파 진동부를 수조 뚜껑으로부터 착탈시킬 수 있어 수조와 초음파 진동자의 용이한 세척을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토출관을 회전시켜 가습기 주변으로 골고루 충분한 가습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 초음파 가습기이다.

Description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 초음파 가습기{ULTRASONIC HUMIDIFIER}
본 발명은 초음파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척 편의 등을 위해 전력 공급 및 제어를 위한 모든 전자부품은 수조 뚜껑에 위치시키고, 수조는 순수히 물만 저장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초음파 진동자를 수조의 물에 띄워 무화상태의 물분자를 만들어 토출시키는 구조의 초음파 가습기로서,
특히 초음파 진동자 역시 상부 뚜껑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착탈식 결합을 채용하여 수조 및 초음파 진동자의 용이한 세척을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무화된 물분자를 토출하는 토출관이 고정되지 않고 회전되도록하여 특정 방향에서만의 가습이 아니라 가습기 주변 골고루 가습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 초음파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가습기는 적정한 습도 유지를 위해 가습수를 무화시켜 공기 중에 분사하는 장치로, 가습방식에 따라 초음파를 이용한 초음파식 가습기, 히터를 이용한 가열식 가습기, 대류 방식의 기화식 가습기 등으로 구분된다.
특히 초음파식 가습기는, 물통 내의 물을 초음파 진동자의 진동에 의해 미세화된 무화 상태의 물 분자로 바꾸고 이를 팬으로 불어 분무하는 것으로, 최근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물통을 뒤집어 물을 보충해야 하는 타입에서 물통을 뒤집지 않고 물통 윗부분에서 간편하게 물을 보충할 수 있는 소위 상부급수형 타입으로 구조가 변화되면서 가습기 작동 중 물 부족 상태가 되더라도 사용자가 물통을 꺼내 뒤집은 후 이동시켜 물을 보충하는 것이 아니라 가습기 작동 중 상태에서 바로 물통 윗부분으로 물을 부어주기만 하면 되기에 사용자들의 보다 편리한 가습기 사용이 가능해졌다.
한편 편의성과 함께 세척이 용이한지 여부 또한 사용자들이 가습기를 선택하는 중요한 판단 요소의 하나로 작용을 하고 있는데,
상부급수식으로 구조가 변하면서 기존에 비하여 물통 즉, 수조의 세척이 수월해졌다는 평가가 있으나, 여전히 구조가 복잡하고 세척에 미비한 점이 있어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기대 수준에는 여전히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상부급수식 타입의 초음파 가습기는 보통 초음파 진동자를 비롯한 각종 전자부품이 내장된 본체, 상기 본체에 앉혀지면서 본체에 있는 초음파 진동자로 물을 공급하는 밸브와 상기 초음파 진동자와 연통되면서 무화 상태의 물 분자가 분무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연통관을 구비한 수조, 그리고 수조의 개구를 덮으면서 무화상태의 물 분자가 외부로 분무되기 위한 토출공(토츨관)이 위치된 뚜껑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수조 세척은 기존에 비해 수월해졌으나 본체에 초음파 진동자를 비롯한 각종 전자부품이 배치됨에 따라 따로 초음파 진동자의 세척에 한계가 있다.
즉, 초음파 진동자의 경우 본체에 고정 상태로 설치되어 본체에 내장된 다른 전자부품으로 인해 세척이 용이하지 않고, 항시 물이 고여 있어 해당 부위에 세균 번식 가능성이 있어, 건강을 위한 가습기가 오히려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항시 안고 있다.
또한 전자부품들이 가습기 하부에 위치하다보니, 사용 부주의로 물이 본체로 유입되어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기존 초음파 가습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전자부품을 비롯한 전력 공급을 위한 구조를 가습기 하부가 아닌 상부인 가습기 뚜껑에 위치시키는 가습기가 제안되고 있다.
관련 특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84940호(2010.07.28.)「초음파발생기 및 수위감지부력장치 일체형 가습기 뚜껑」을 비롯하여, 등록실용신안 제20-0347870호(2004.04.06.)「가습기」, 등록특허 제10-1660869호(2016.9.22.)「초음파 가습기」등이 있다.
즉 위 언급된 종래기술들은 전자부품을 가습기 수조 뚜껑에 내장시키고 필요한 전력을 가습기 수조 뚜껑으로 공급하여 기존 본체 기능을 뚜껑이 하도록 하고, 수조는 단순히 가습을 위한 물만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기능하도록 하여 편하게 수조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전자부품 등이 물이 저장되어 있는 수조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물이 유입되어 전자부품에 이상이 생기는 문제점 또한 해결하였다는 점에서 이하 설명할 본원발명과 동일한 효과가 예견된다.
그러나 위 언급된 종래기술은 수조와 함께 세척이 필요한 초음파 진동자에 대한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는 제안하고 있지 못하다는 한계를 가진다.
또한 위 언급된 종래기술의 가습기들은 일방향으로만 분사가 이루어지는 구조로서, 다른 방향으로의 분사를 원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일일히 수동으로 토출관 방향을 변경시켜야만 한다는 한계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가습기 외관을 수려하게 하면서도 쉽게 수조로부터 가습기 뚜껑을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에 대해서는 제안하고 있지 못하다.
한편 토출관이 회전되는 초음파 가습기로, 등록특허 제10-1322676호(2013.10.22.) 「회전형 토출구를 갖는 가습기」가 제안된 바 있으나,
등록특허 제10-1322676호에서 제안하고 있는 토출구의 회전 구조는 복잡하고, 전기적 힘으로 토출관을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송풍팬에 의해 형성된 바람으로 토출관을 회전시키는 구조로서 힘있고 안정적인 토출관 회전을 기대하기는 한계가 있는 구조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초음파 가습기의 문제점 내지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부품을 수조 뚜껑에 내장시키고 필요한 전력을 수조 뚜껑에 공급하면서 수조는 단순히 물을 저장하는 수조로 기능하도록 함에 있어, 초음파 진동자를 수조 내 물에 띄워서 무화 상태의 물 분자를 생성하도록하고, 전선으로 초음파 진동자와 수조 뚜껑을 연결하되, 전선은 수조 뚜껑에 착탈식으로 전기적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 후 수조 뚜껑으로부터 전선을 분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초음파 진동부의 세척이 자유롭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초음파 가습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가습기 주변으로의 고른 분사를 위해 토출관이 회전되는 초음파 가습기를 제공하고자 하며, 토출관의 안정된 회전을 위한 구조가 채용된 초음파 가습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습기의 군더기 없는 외관을 제공하면서도 사용자가 쉽게 수조로부터 수조 뚜껑을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의 초음파 가습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초음파 진동자가 진동하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소음을 줄이고. 물 유입에 따른 불량 내지 고장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초음파 가습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는,
상부가 개구된 수조와, 상기 수조의 상부를 덮는 것으로 전자부품을 내장하고 무화된 물분자가 토출되는 토출관이 착탈 결합되는 수조 뚜껑과, 상기 수조 뚜껑에 결합되고 수조에 저장된 물을 무화상태의 물분자로 만들기 위한 초음파 진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초음파 진동부는 초음파 진동자가 내장된 초음파 진동부 본체와, 초음파 진동부 본체와 수조 뚜껑을 연결하여 초음파 진동자로의 전력공급을 위한 전선부로 이루어져,
상기 전선부가 수조 뚜껑에 착탈 결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가습시의 수조 뚜껑은 전자부품 내장을 위한 공간이 마련되는 뚜껑 본체와, 상기 뚜껑 본체에 체결되는 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뚜껑 본체는 무화된 물분자 토출을 위한 토출공이 형성되고 수조의 내경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길이의 직경을 가지는 바닥판과, 상기 토출공 주변으로 바닥판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내벽과, 내벽과 함께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바닥판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외벽으로 이루어지고,
초음파 가습기는 상기 내벽에 걸쳐지는 형태로 내주면에 안치턱을 구비한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 기어와, 그리고 제2 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안치턱에 토출관이 안치되어 제1 기어의 회전과 함께 토출관이 회전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벽 내측에는 내벽에 걸쳐진 제1 기어를 받쳐주는 받침턱이 구비되고, 상기 내벽의 두께는 상협하광(上狹下廣)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벽은 바닥판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이동된 지점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부로 갈수록 뚜껑 본체의 개구가 벌어지는 형태를 가지도록 한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조는 외벽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함몰부를 형성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진동부 본체는 초음파 진동자가 내장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것으로 초음파 진동부를 물에 뜰 수 있도록 하는 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에는 초음파 진동자와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 상부에는 연결면이 위치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초음파 가습기에 의하면,
전선부를 수조 뚜껑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수조 뚜껑에 게의치 않고, 수조와 초음파 진동부를 세척할 수 있어 세척이 간편하고 용이해졌을 뿐만 아니라 초음파 진동자까지 세척할 수 있게 되어 세균 번식 등의 위험에서 벗어나 깨끗하게 가습기를 관리할 수 있게 되었으며,
토출관이 회전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가습기 주변 골고루 가습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특히 토출관 회전 구조에 있어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를 채용하고, 제1 기어가 수조 뚜껑의 내벽에 걸쳐지면서 제1 기어 내주면에 형성된 안치턱에 토출관을 위치시켜 제1 기어의 회전과 함께 토출관이 회전되는 구조를 채용하였는 바,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토출관 회전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수조로부터 수조 뚜껑을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손잡이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수조의 함몰부를 통해 노출되는 수조 뚜껑의 경사진 외벽에 의해 수조 뚜껑을 수조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어, 군더더기 없는 외관을 가진 초음파 가습기를 기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 도입된 초음파 진동부 구조에 의하면, 초음파 진동자의 진동에 의해 물이 튀는 것이 방지되어,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물이 상부 뚜껑 쪽으로 유입되는 것이 봉쇄되어 이로 인한 불량 및 고장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 전체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의 초음파 진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로 토출관을 교체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초음파 가습기는, 상부가 개구된 수조(10)와, 수조의 상부를 덮는 수조 뚜껑(20)과, 그리고 수조에 내장된 물에 부유하는 초음파 진동자(U)를 구비한 초음파 진동부(3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조 뚜껑에는 무화된 물 분자 토출을 위한 토출관(40)이 삽입 장착되는데, 토출관(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길이 및 형태로 여러 개 구비되어 가습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수조 뚜껑 교체 장착할 수 있는 구조이다.
다음으로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역시 수조의 세척 편의를 고려하고, 전자부품을 내장한 본체가 가습기 하부에 위치하는데서 오는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초음파 가습기 작동을 위해 필요한 전자부품은 수조 뚜껑(20)의 내부에 내장되는 구성이다. 즉, 수조 뚜껑(20)으로 전력이 공급되어 초음파 가습기를 작동시키는 구조이고, 수조(10)는 단순히 물을 저장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어 수조 내부는 간단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원활하고 간편한 세척이 가능하다.
그리고 초음파 진동자를 구비한 초음파 진동부(30)가 수조 내부에 구비되는데, 초음파 진동부(30)는 초음파 진동자(U)가 내장된 초음파 진동부 본체(31)와, 초음파 진동부 본체와 상부 뚜껑을 연결하고 초음파 진동자로의 전력 공급을 위한 전선부(32)로 이루어져, 초음파 진동부 본체(31)가 수조에 저장된 물에 뜬 상태에서 물을 무화 상태의 물 분자로 만들어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전선부(32)의 일단는 초음파 진동부 본체에 분리 불가능한 구조로서, 수밀성을 유지하여 진동부 본체에 내장된 전자부품들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면 전선부(32)의 타단은 수조 뚜껑(20)에 착탈 결합되는 것으로, 수조 뚜껑의 저면에 형성된 단자에 전선부 타단을 결합하여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게 한다.
그리고 전선부와 상부 뚜껑과의 착탈 결합은 도면에 도시된 구조를 포함하여 공지된 구조를 이용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초음파 진동부 본체(31)를 살펴본면, 초음자 진동자(U)가 내장된 하우징(311)과, 상기 하우징에 후크식으로 결합하는 캡(312)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초음파 가습기는 3개의 초음파 진동자가 내장되는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진동자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311) 내부에는 진동자(U)을 비롯하여 전원공급관련 부품들과 물 부족시 진동자 작동을 멈추게 하는 수위감지센서가 내장되고, 하우징은 밀봉된다.
상기 하우징(311)에 캡(312)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데, 캡(312)은 초음파 진동자 본체(31)가 물에 부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311)과 캡(312)을 분리 구조로 구성하여, 세척의 편의를 도모하고, 초음파 진동자의 불량시 부품 일부를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캡(312)을 좀 더 살펴보면, 하우징(311)에 끼워지는 캡(312)은 초음자 진동자와의 연통을 위한 것으로 무화 상태 물 분자가 분사되는 홀(312a)이 형성되고, 상기 홀 주변으로 상부로 돌출된 다수의 지지부(312b)가 일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지지부 각 단부는 하나의 연결면(312c)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캡(312)은 초음파 진동자가 진동하는 과정에서 물이 위로 튀는 것을 방지한다. 즉, 수조에 물이 없는 상태에서는 초음파 진동자(U)가 진동하는 과정에서 물이 위로 치솟은 후 아래로 떨어질 때 많은 소음을 발생시키는데, 초음파 진동자와 연통되는 홀(312a) 상부로 연결면(312c)이 형성됨으로 인해 물이 치솟지 않고 연결면(312c)을 맞고 바로 떨어질 수 있어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수조에 물이 가득찬 상태에서는 초음파 진동자(U)에서 치솟은 물이 수조 뚜껑 쪽으로 유입될 수 있어 역시 연결면(312c)을 통해 이러한 가능성을 봉쇄한다. 이로인해 가습기의 불량 및 고장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수조 뚜껑(20)은 전자부품 내장을 위한 공간(S)이 마련되는 뚜껑 본체(21)와, 뚜껑 본체에 체결되는 커버(22)로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뚜껑 본체(21)는, 일면에 토출공(211a)이 형성된 바닥판(211)과, 상기 토출공 주변으로 바닥판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내벽(212)과, 뚜껑 본체의 가장자리 주변에서 돌출 형성된 외벽(213)으로 이루어져, 내벽-바닥판-외벽에 의해 뚜껑 본체 내부는 공간(S)을 형성한다,.
상기 토출공(211a)은 초음파 진동부(30)에서 무화된 물 분자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로서, 무화 상태의 물 분자는 토출공(211a)과 토출공 주변으로 돌출 형성된 내벽(212)을 따라(좀 더 구체적으로, 내벽 내측으로 토출관(40)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토출관(40)을 따라) 외부로 분사되어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바닥판(211)은 수조의 내경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길이의 직경을 가지며, 바닥판 가장자리로는 패킹(P)이 장착되어 수조와의 결합시 수밀성을 높인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초음파 가습기는 토출관(40)을 사용자가 손으로 수동으로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토출관이 회전되도록하여 가습기 주변 골고루 충분한 가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토출관(40)을 회전시키는 구조로 기어를 채용한다. 특히 기어의 구동은 동력이 필요한 부분으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수조 뚜껑에 동력원을 설치할 수 있기에 고려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에 본 발명에 의한 초음파 가습기는 상기 뚜껑 본체의 내벽(212)에 걸쳐지는 형태로 내벽(212)에 장착되는 제1 기어(51)와, 상기 제1 기어(51)와 맞물려서 제1 기어(51)를 회전시키는 제2 기어(52)와, 그리고 제2 기어(52)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53)가 뚜껑 본체에 형성되는 공간(S)에 내장된다.
판상 형태의 제2 기어(52)와 달리 제1 기어(51)는 뚜껑 본체(21)의 내벽(212)에 걸쳐져 내벽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뚜껑 본체(21)의 바닥판(211)에 형성된 토출공(211a)과 연통되는 연통홀(51a)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2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부(511)와, 상기 기어부(511)로부터 연결 형성되면서 단면이 대략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꺾임부(512)와, 상기 꺾임부로부터 연결 형성되어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지지벽(513)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꺾임부(512)의 단면은 대략적인 ㄷ자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꺾임부(512)와 지지벽(513)은 연통홀(51a)을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제1 기어(51)를 뚜껑 본체의 내벽(212)에 안치시키면, 뚜껑 본체의 토출공(211a)과, 제1 기어의 연통홀(51a) 및 이후 장착되는 토출관(40)을 따라 무화된 물 분자가 토출된다.
그리고 지지벽이 연결 형성되는 꺾임부(512)의 반대편으로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보강벽(515)이 구비되어 제1 기어(51)가 내벽(212)에 안정적으로 걸쳐져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지지벽(513)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안치턱(514)을 구비하여 이후 제1 기어의 지지벽(513) 안쪽으로 삽입되는 토출관(40)이 안치턱(514)에 위치되도록 한다.
해당 구성에 의해, 구동모터(5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제2 기어(52)는 제1 기어(51)를 회전시키고, 제1 기어(51)가 회전하면서 제1 기어의 안치턱(514)에 안치된 토출관(40)이 함께 회전된다.
한편 뚜껑 본체의 내벽 내측에는 내벽에 안치되어 회전되는 제1 기어에 생기는 부하를 줄이기 위해 제1 기어의 지지벽(513)을 받쳐주는 받침턱(214)이 형성된다,
그리고 뚜껑 본체의 내벽 두께를 역시 제1 기어 회전 시 생기는 부하를 줄이기 위해 상부로 갈 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상협하광(上狹下廣) 형태로 형성하는데,
상협하광(上狹下廣)의 내벽 두께와 함께 제1 기어가 내벽에 걸쳐지는 경우 꺾임부(512)의 안쪽에 내부 공간(512S)이 생길 수 있는 정도의 높이에 받침턱(214)이 형성되도록 하여 제1 기어(51)의 원활한 회전을 도모한다.
다음으로 제품의 디자인 자체가 제품 경쟁력을 좌우할만큼 기능면에서도 우수하지만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을 수 있는 디자인 또한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는 이하 설명되는 상부 뚜껑 및 수조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상부 뚜껑에 필요한 손잡이를 없애면서도 쉽게 사용자가 상부 뚜껑을 수조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수조(10)에는 수조 상단부에서 아래로 일정 면이 없어지는 함몰부(10S)를 형성하고, 뚜껑 본체의 외벽(213)을 바닥판(211) 가장자리에서 바로 돌출 형성시키지 않고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동된 지점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시키되 경사지게 형성 즉, 뚜껑 본체의 개구가 벌어지는 형태를 가지도록 한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수조(10)와 수조 뚜껑(20)을 결합되더라도 함몰부(10S)로 인해 수조 뚜껑 외벽의 일부가 노출되고, 특히 경사진 외벽에 의해 바닥판과 외벽 사이에 손잡이 공간(Sh)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수조 뚜껑을 잡고서 수조로부터 수조 뚜껑 분리가 가능하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의 사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 버튼 등 가습기 작동을 위한 각종 버튼은 수조 뚜껑(20)의 커버(22)에 위치된 것으로,
사용자는 수조에 물을 받고, 초음파 진동부의 전선부(32)를 수조 뚜껑의 저면 즉, 바닥판에 형성된 단자에 연결하여 체결하고, 초음파 진동부 본체(31)를 물에 띄우고 수조 뚜껑을 덮는다,
그리고 수조 뚜껑의 커버에 위치된 전원 버튼을 눌러 초음파 가습기를 작동시키는데, 토출관의 회전을 원한다면 역시 커버에 위치된 회전을 제어하는 버튼을 눌러 토출관(40)을 회전시킨다, 이 경우, 회전 버튼이 눌러지면 구동 모터(53)가 구동되고, 이로 인해 제2 기어(52) 및 이와 맞물린 제1 기어(51)가 회전하고, 제1 기어에 안치된 토출관(40)이 제1 기어(51)의 회전과 함께 회전된다.
전원버튼으로 가습기 작동을 멈춘 후, 손잡이 공간(Sh)을 이용하여 수조 뚜껑을 수조로부터 분리시키고 전선부(32)를 수조 뚜껑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수조와 초음파 진동부를 세척하고 다음 사용시까지 대기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수조 10S: 함몰부
20: 수조 뚜껑 Sh: 손잡이 공간
21: 뚜껑 본체 22: 커버
211: 바닥판 211a: 토출공
212: 내벽 213: 외벽 214: 받침턱
30: 초음파 진동부 40: 토출관
31: 진동부 본체 32: 전선부
51: 제1 기어 52: 제2 기어 53: 구동모터
511: 기어부 512: 꺾임부 513: 지지벽
514: 안치턱 515: 보강벽 512S: 내부공간
51a: 연통홀

Claims (5)

  1. 상부가 개구된 수조와,
    상기 수조의 상부를 덮는 것으로, 전자부품을 내장하고 무화된 물분자가 토출되는 토출관이 결합되는 수조 뚜껑과,
    상기 수조 뚜껑에 결합되고, 수조에 저장된 물을 무화상태의 물분자로 만들기 위한 초음파 진동부로 이루어진 초음파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진동부는,
    초음파 진동자가 내장된 초음파 진동부 본체와, 초음파 진동부 본체와 수조 뚜껑을 연결하여 초음파 진동자로의 전력공급을 위한 전선부로 이루어져, 상기 전선부가 수조 뚜껑에 착탈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초음파 진동부 본체는,
    초음파 진동자가 내장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초음파 진동부를 물에 뜰 수 있도록 하는 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에는 초음파 진동자와의 연통을 위한 것으로 물 분자가 분사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 주변으로 상부로 돌출된 다수의 지지부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지지부 각 단부는 하나의 연결면으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 초음파 가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뚜껑은 전자부품 내장을 위한 공간이 마련되는 뚜껑 본체와, 상기 뚜껑 본체에 체결되는 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뚜껑 본체는 무화된 물분자 토출을 위한 토출공이 형성되고 수조의 내경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길이의 직경을 가지는 바닥판과, 상기 토출공 주변으로 바닥판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내벽과, 내벽과 함께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바닥판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외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초음파 가습기는 상기 내벽에 걸쳐지는 형태로 내주면에 안치턱을 구비한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 기어와, 그리고 제2 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안치턱에 토출관이 안치되어 제1 기어의 회전과 함께 토출관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 초음파 가습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 내측에는 내벽에 걸쳐진 제1 기어를 받쳐주는 받침턱이 구비되고,
    상기 내벽의 두께는 상협하광(上狹下廣)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 초음파 가습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은 바닥판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이동된 지점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부로 갈수록 뚜껑 본체의 개구가 벌어지는 형태를 가지도록 한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조는 외벽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함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 초음파 가습기.
  5. 삭제
KR1020200012364A 2020-02-03 2020-02-03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 초음파 가습기 KR102326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364A KR102326497B1 (ko) 2020-02-03 2020-02-03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 초음파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364A KR102326497B1 (ko) 2020-02-03 2020-02-03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 초음파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621A KR20210098621A (ko) 2021-08-11
KR102326497B1 true KR102326497B1 (ko) 2021-11-16

Family

ID=77314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364A KR102326497B1 (ko) 2020-02-03 2020-02-03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 초음파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4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0975A (ja) * 2009-04-10 2010-11-04 Toyota Boshoku Corp ワイヤハーネス用コネクタ
KR101660869B1 (ko) * 2014-11-21 2016-09-28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초음파 가습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876B1 (ko) * 2011-08-16 2013-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0975A (ja) * 2009-04-10 2010-11-04 Toyota Boshoku Corp ワイヤハーネス用コネクタ
KR101660869B1 (ko) * 2014-11-21 2016-09-28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초음파 가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621A (ko) 202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16579B (ko)
KR101871268B1 (ko) 가습청정장치
JP2008039382A (ja) 上部給水式加湿器
JP2010024780A (ja) トイレ装置
KR101381948B1 (ko) 가습기
KR102326498B1 (ko)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 초음파 가습기
KR102326497B1 (ko)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 초음파 가습기
JP2007021466A (ja) 泡発生器
CN210624805U (zh) 一种具有排水功能的加湿器
KR101728057B1 (ko) 상부급수형 물탱크를 구비하는 가습기
KR200439635Y1 (ko) 상부 급수식 가습기
KR100507444B1 (ko) 스팀청소기
JP2000001892A (ja) 水洗便器
KR101304074B1 (ko) 가습기
KR200454078Y1 (ko) 상부 급수식 가습기
JP2007296147A (ja) 洗面陶器およびシンク
WO2024031909A1 (zh) 一种马桶座体及马桶
JP2019118671A (ja) 浴槽洗浄装置
KR20110125028A (ko) 가습기
JP3780607B2 (ja) 浴槽洗浄用洗剤タンク取り付け装置
JP3920007B2 (ja) 洗濯機
KR200317931Y1 (ko) 스팀청소기
JP3190294B2 (ja) 衛生洗浄装置
JPS591592Y2 (ja) 温水式衛生洗浄器
JP2022044225A (ja) 加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