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073B1 - 와인딩용 샤프트 오토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와인딩용 샤프트 오토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073B1
KR102325073B1 KR1020210062509A KR20210062509A KR102325073B1 KR 102325073 B1 KR102325073 B1 KR 102325073B1 KR 1020210062509 A KR1020210062509 A KR 1020210062509A KR 20210062509 A KR20210062509 A KR 20210062509A KR 102325073 B1 KR102325073 B1 KR 102325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guide
distal end
fixing clamp
wind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기
Original Assignee
김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기 filed Critical 김명기
Priority to KR1020210062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2Supporting web roll
    • B65H18/026Cantilev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2Cantilever arrangement
    • B65H2402/51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2Bearings, e.g. magnetic or hydrostatic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10Actuating means linear
    • B65H2555/11Actuating means linear pneumatic, e.g. inflatable elements

Landscapes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와인딩 시스템에 적용되는 와인딩용 샤프트를 연결부재에 고정시킴에 있어서, 볼트 체결 방식이 아닌 공압을 이용한 자동 체결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극판 종류, 세팅, 릴 사이즈에 따른 와인디용 샤프트 교체 시 간편하고 신속하게 분리 및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와인딩용 샤프트 오토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와인딩용 샤프트 오토 클램핑 장치{APPARATUS FOR AUTOMATICALLY CLAMPING THE WINDING SHAFT}
본 발명은 와인딩용 샤프트 오토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와인딩 시스템에 적용되는 와인딩용 샤프트를 연결부재에 고정시킴에 있어서, 볼트 체결 방식이 아닌 공압을 이용한 자동 체결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극판 종류, 세팅, 릴 사이즈에 따른 와인디용 샤프트 교체 시 간편하고 신속하게 분리 및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와인딩용 샤프트 오토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폰, 태블릿, 노트북 등 슬림하고 작은 크기의 전자기기의 발달 및 수요에 따라, 각 전자기기 내의 부품들 사이의 접착, 절연, 전기적 연결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한 박막 테이프가 쓰이고 있다.
제조된 박막 테이프는 롤(roll)에 감겨진 상태로 1차 형태로 제조되나, 각 전자기기 제조 공정에 따라 필요한 크기, 필요한 길이로 가공이 필요하며, 새로운 롤에 대해 박막 테이프를 감는 2차 가공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제조된 박막 테이프를 사용자 및 공정의 필요에 따라 새로이 감는 리와인딩 장치가 쓰인다. 아울러, 리와인딩 장치의 공정 효율에 따라 2차 가공을 포함하는 전체 공정의 제조 효율이 달라지므로, 제조된 박막 테이프를 새로이 감는 리와인딩 장치의 효율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종래의 경우 복수의 리와인딩용 롤을 거치하기 위한 와인딩용 샤프트를 연결부재에 연결함에 있어서, 연결부재와 와인딩용 샤프트의 말단부를 다수 개의 볼트를 통해 일일이 체결해주거나 또는 해제하는 과정이 필요하였고, 이 과정에서 박막 생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8419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리와인딩 시스템에 적용되는 와인딩용 샤프트를 연결부재에 고정시킴에 있어서, 볼트 체결 방식이 아닌 공압을 이용한 자동 체결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극판 종류, 세팅, 릴 사이즈에 따른 와인디용 샤프트 교체 시 간편하고 신속하게 분리 및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와인딩용 샤프트 오토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딩용 샤프트 오토 클램핑 장치(100)는 복수의 리와인딩용 롤을 거치하기 위한 와인딩용 샤프트(1)의 말단부가 삽입 및 수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와인딩용 샤프트(1)가 삽입되는 말단부를 기준으로 타측 말단부로 갈수록 상기 내부 공간의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고정 클램프(110), 상기 고정 클램프(110)의 후측에서 전방으로 전진됨으로써 상기 고정 클램프(110)의 외측에 끼움 결합되며, 내경이 상기 고정 클램프(110)의 외경 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끼움 결합 시 상기 고정 클램프(110)의 상기 내부 공간에 있어 상기 와인딩용 샤프트(1)가 삽입되는 말단부가 좁혀지도록 하는 가이드 클램프(120), 상기 가이드 클램프(120)와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공압을 통해 상기 가이드 클램프(120)를 상기 고정 클램프(110)의 후측에서 전방으로 전진시키거나, 또는 상기 고정 클램프(110)에 끼움 결합된 상기 가이드 클램프(120)를 다시 후방으로 전진시키는 직선 이동부(130) 및 상기 고정 클램프(110)에 삽입 및 수용되는 상기 와인딩용 샤프트(1)의 일측에 마련되는 지지 모듈(1b)을 안착시켜 지지하는 안착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와인딩용 샤프트(1)가 상기 고정 클램프(11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직선 이동부(130)에 의해 상기 가이드 클램프(120)가 상기 고정 클램프(110)를 향해 전진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 클램프(120)에 끼움 결합되는 상기 고정 클램프(110)의 말단부가 좁혀지면서 상기 와인딩용 샤프트(1)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클램프(110)의 측면부는 다수 개의 절개 영역(110a)에 의해 다수 개의 파트(111)로 분리 형성되며, 또한 상기 가이드 클램프(120)가 상기 고정 클램프(110)의 후측에서 전방으로 전진되는 경우, 각각의 파트(111)가 내측 방향으로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파트(111)의 말단부 내측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걸림턱(111a)이 돌출 형성되며, 각각의 파트(111)가 내측 방향으로 조여지는 경우, 상기 와인딩용 샤프트(1)의 말단부에 형성된 걸림부(1a)가 상기 걸림턱(111a)에 걸림으로써 내부 공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직선 이동부(130)는 고리 형상을 가지되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압 플레이트(131), 상기 가압 플레이트(131) 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132) 및 상기 가압 플레이트(131)의 일측에 연결되며, 공압을 통해 상기 가압 플레이트(131)를 직선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공압 실린더 장치(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 클램프(120)와 상기 가압 플레이트(131) 사이에 마련되되, 일측 말단부에 상기 가이드 클램프(120)의 걸림턱(120a)에 걸림 결합되고, 외측면에 상기 가압 플레이트 내 내부 공간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상기 하나 이상의 베어링(132)에 상응하는 베어링용 홈(150a)이 형성되는 베어링용 가이드 클램프(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볼트 체결 방식이 아닌 공압을 이용한 자동 체결 방식을 이용하여 와인딩용 샤프트를 연결부재에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극판 종류, 세팅, 릴 사이즈에 따른 와인디용 샤프트 교체 과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볼트를 일일이 조이거나 풀어주는 등의 번거로운 과정이 불필요하다는 점에서 작업 효율성이 올라가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와인딩용 샤프트(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딩용 샤프트 오토 클램핑 장치(10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와인딩용 샤프트 오토 클램핑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고정 클램프(11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가이드 클램프(12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고정 클램프(110)에 가이드 클램프(120)가 끼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베어링용 가이드 클램프(15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가이드 클램프(120)에 베어링용 가이드 클램프(150)가 끼움 결합된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직선 이동부(13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와인딩용 샤프트(1)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딩용 샤프트 오토 클램핑 장치(10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와인딩용 샤프트 오토 클램핑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는 고정 클램프(11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가이드 클램프(12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고정 클램프(110)에 가이드 클램프(120)가 끼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베어링용 가이드 클램프(15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가이드 클램프(120)에 베어링용 가이드 클램프(150)가 끼움 결합된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는 직선 이동부(13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딩용 샤프트 오토 클램핑 장치(100)는 크게 와인딩용 샤프트(1)의 말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클램프(110), 고정 클램프(110)의 외측에 끼움 결합됨에 따라 고정 클램프(110)의 말단부가 좁혀지도록 하는 가이드 클램프(120), 가이드 클램프(120)를 직선 이동시키기 위한 직선 이동부(130) 및 와인딩용 샤프트(1)의 일측에 마련되는 지지 모듈(1b)을 안착시켜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안착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으로 가이드 클램프(120)의 외측에 끼움 결합되는 베어링용 가이드 클램프(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와인딩용 샤프트(1)의 지지 모듈(1b)은 안착부(140)와 접하는 면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클램프(110)의 내부에는 와이딩용 샤프트(1)의 말단부가 삽입 및 수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이때 와인딩용 샤프트(10)가 삽입되는 말단부를 기준으로 타측 말단부로 갈수록 내부 공간의 단면적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살펴보면, 고정 클램프(110)의 측면부에는 다수 개의 절개 영역(110a)이 폭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다수 개의 절개 영역(110a)에 의해 고정 클램프(110)의 측면부는 다수 개의 파트(111)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다수 개의 파트(111)의 말단부가 내측 방향(중심부 방향)으로 좁혀질 경우 내부 공간이 좁아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내부 공간에 삽입된 와인딩용 샤프트(1)의 말단부가 압박됨을 의미한다.
즉, 다수 개의 파트(111)가 좁혀짐에 따라, 다수 개의 파트(111)가 내부 공간에 삽입된 와인딩용 샤프트(1)의 말단부를 강하게 움켜쥐게 되고, 그에 따라 와인딩용 샤프트(1)가 고정 클램프(110)로부터 빠지지 않는 것이다.
특히, 각각의 파트(111)의 말단부 내측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걸림턱(111a)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걸림턱(111a)은 와인딩용 샤프트(1)의 말단부에 형성된 걸림부(1a)에 걸림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내부 공간에 와인딩용 샤프트(1)가 삽입된 상태에서 각각의 파트(111)가 내측 방향으로 조여지는 경우, 와인딩용 샤프트(1)의 말단부에 형성된 걸림부(1a)가 걸림턱(111a)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외부로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가이드 클램프(120)는 고정 클램프(110)의 외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후술되는 직선 이동부(130)에 의해 전방(고정 클램프(110)의 말단부 방향)으로 전진됨으로써 고정 클램프(110)의 각 파트(111)를 좁히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를 살펴보면, 가이드 클램프(120)는 고정 클램프(110)의 외측에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고리 형상을 가지되, 내경의 경우 고정 클램프(110)의 각 파트(111)가 위치한 말단부의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되고 타측 말단부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 클램프(120)가 고정 클램프(110)에 끼움 결합되는 경우, 가이드 클램프(120)의 내경에 의해 고정 클램프(110)의 각 파트(111)는 점점 좁혀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 클램프(120)의 말단부 외주면에는 걸림턱(120a)이 돌출 형성되며, 베어링용 가이드 클램프(150)가 걸림턱(120a)에 걸린 상태에서 직선 이동부(130)가 가이드 클램프(120)를 직선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베어링용 가이드 클램프(150)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 및 도 8을 살펴보면, 베어링용 가이드 클램프(150)는 가이드 클램프(120)의 외경보다 큰 고리 형상을 가지되, 걸림턱(120a) 보다는 작은 내경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베어링용 가이드 클램프(150)는 후술되는 직선 이동부(130)에 의해 걸림 결합되어 직선 이동되는 과정에서 가이드 클램프(120)의 걸림턱(120a)에 걸리게 되고, 그에 따라 가이드 클램프(120) 자체가 밀려나면서 고정 클램프(110)의 각 파트(111)를 조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베어링용 가이드 클램프(150)의 외측면에는 후술되는 직선 이동부(130) 내측에 마련된 베어링이 수용되기 위한 베어링용 홈(150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어링용 홈(150a)에 베어링이 수용된 상태에서 후술되는 직선 이동부(130)의 가압 플레이트(131)가 직선 이동하게 되는데, 결과적으로 직선 이동부(130)의 가압 플레이트(131)는 베어링용 가이드 클램프(150)를 밀어주게 되고, 베어링용 가이드 클램프(150)는 다시 가이드 클램프(120)를 밀어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 베어링용 홈(150a)에 베어링이 수용됨에 따라, 와인딩용 샤프트(1)가 고정 클램프(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더라도 후술되는 직선 이동부(130)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직선 이동부(130)는 공압을 이용하여 앞서 살펴본 베어링용 가이드 클램프(150)를 밀어줌으로써 베어링용 가이드 클램프(150)와 걸림 결합된 가이드 클램프(120)를 직선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를 살펴보면, 직선 이동부(130)는 크게 고리 형상을 가지되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하나 이상의 베어링(132)이 수용된 가압 플레이트(131), 가압 플레이트(131)의 내부에 수용되는 앞서 살펴본 베어링용 가이드 클램프(150)의 베어링용 홈(150a) 방향으로 일부 노출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132) 및 가압 플레이트(131)의 외측에 연결되며, 공압을 통해 가압 플레이트(131)를 직선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공압 실린더 장치(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압 플레이트(131)는 앞서 살펴본 베어링용 가이드 클램프(15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그에 따라 내부에 베어링용 가이드 클램프(150)가 끼움 결합된다. 이때, 베어링용 가이드 클램프(150)와 가압 플레이트(131) 사이에는 다수 개의 베어링(132)이 마련되기 때문에, 와인딩용 샤프트(1)를 고정한 고정 클램프(110)가 회전모터(미도시)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되더라도 가압 플레이트(131)가 회전되지 않는 것이다.
와인딩용 샤프트(1)는 복수의 리와인딩용 롤을 거치한 상태에서 회전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리와인딩용 롤에 박막 테이프가 권취되도록 한다. 따라서, 와인딩용 샤프트(1)가 회전하더라도 가압 플레이트(131)는 회전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가압 플레이트(131)와 베어링용 가이드 클램프(150) 사이에 다수 개의 베어링(132)을 배치하는 것이다.
공압 실린더 장치(133)는 가압 플레이트(131)의 외측과 피스톤 로드를 통해 연결되며, 공압 실린더 장치(133)에 의해 생성되는 공압에 의해 피스톤 로드가 밀려나는 경우, 피스톤 로드와 연결된 가압 플레이트(131)가 이러한 공압에 의해 직선 이동되는 것이다.
반대로, 공압 실린더 장치(133)에 의해 공압이 반대 방향으로 생성되는 경우 피스톤 로드는 다시 당겨지게 되며, 이는 피스톤 로드와 연결된 가압 플레이트(131)를 다시 원래 방향으로 복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와인딩용 샤프트(1)의 말단부가 고정 클램프(110)의 내부 공간에 삽입 및 수용되고, 직선 이동부(130)의 공압 실린더 장치(133)는 공압을 가압함으로써 가압 플레이트(131)를 고정 클램프(110)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가압 플레이트(131) 내에 위치된 베어링용 가이드 클램프(150)가 가이드 클램프(120)를 밀어주게 되며, 이에 따라 밀려나는 가이드 클램프(120)는 고정 클램프(110)의 각 파트(111)의 외측에 끼움 결합된다. 이때, 가이드 클램프(120)의 내경이 작기 때문에 각 파트(111)는 내측 방향으로 좁혀지면서 와인딩용 샤프트의 말단부를 강하게 압박하게 된다. 특히, 이때 각 파트(111)에 형성된 걸림턱(111a)에 와인딩용 샤프트(1)의 걸림부(1a)가 걸림 결합됨에 따라, 와인딩용 샤프트(1)는 고정 클램프(110)로부터 빠지지 않고 강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와인딩용 샤프트(1)가 해제되는 과정은 앞에서 살펴본 과정과 반대로 수행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와인딩용 샤프트
1a: 걸림부
1b: 지지 모듈
100: 와인딩용 샤프트 오토 클램핑 장치
110: 고정 클램프
110a: 절개 영역
111: 파트
111a: 걸림턱
120: 가이드 클램프
120a: 걸림턱
130: 직선 이동부
131: 가압 플레이트
132: 베어링
133: 공압 실린더 장치
140: 안착부
150: 베어링용 가이드 클램프
150a: 베어링용 홈

Claims (9)

  1. 복수의 리와인딩용 롤을 거치하기 위한 와인딩용 샤프트(1)의 말단부가 삽입 및 수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와인딩용 샤프트(1)가 삽입되는 말단부를 기준으로 타측 말단부로 갈수록 상기 내부 공간의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고정 클램프(110);
    상기 고정 클램프(110)의 후측에서 전방으로 전진됨으로써 상기 고정 클램프(110)의 외측에 끼움 결합되며, 내경이 상기 고정 클램프(110)의 외경 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끼움 결합 시 상기 고정 클램프(110)의 상기 내부 공간에 있어 상기 와인딩용 샤프트(1)가 삽입되는 말단부가 좁혀지도록 하는 가이드 클램프(120);
    상기 가이드 클램프(120)와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공압을 통해 상기 가이드 클램프(120)를 상기 고정 클램프(110)의 후측에서 전방으로 전진시키거나, 또는 상기 고정 클램프(110)에 끼움 결합된 상기 가이드 클램프(120)를 다시 후방으로 전진시키는 직선 이동부(130); 및
    상기 고정 클램프(110)에 삽입 및 수용되는 상기 와인딩용 샤프트(1)의 일측에 마련되는 지지 모듈(1b)을 안착시켜 지지하는 안착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와인딩용 샤프트(1)가 상기 고정 클램프(11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직선 이동부(130)에 의해 상기 가이드 클램프(120)가 상기 고정 클램프(110)를 향해 전진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 클램프(120)에 끼움 결합되는 상기 고정 클램프(110)의 말단부가 좁혀지면서 상기 와인딩용 샤프트(1)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 클램프(110)의 측면부는 다수 개의 절개 영역(110a)에 의해 다수 개의 파트(111)로 분리 형성되며, 또한
    상기 가이드 클램프(120)가 상기 고정 클램프(110)의 후측에서 전방으로 전진되는 경우, 각각의 파트(111)가 내측 방향으로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딩용 샤프트 오토 클램핑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파트(111)의 말단부 내측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걸림턱(111a)이 돌출 형성되며,
    각각의 파트(111)가 내측 방향으로 조여지는 경우, 상기 와인딩용 샤프트(1)의 말단부에 형성된 걸림부(1a)가 상기 걸림턱(111a)에 걸림으로써 내부 공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딩용 샤프트 오토 클램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이동부(130)는,
    고리 형상을 가지되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압 플레이트(131);
    상기 가압 플레이트(131) 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132); 및
    상기 가압 플레이트(131)의 일측에 연결되며, 공압을 통해 상기 가압 플레이트(131)를 직선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공압 실린더 장치(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딩용 샤프트 오토 클램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클램프(120)와 상기 가압 플레이트(131) 사이에 마련되되, 일측 말단부에 상기 가이드 클램프(120)의 걸림턱(120a)에 걸림 결합되고, 외측면에 상기 가압 플레이트 내 내부 공간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상기 하나 이상의 베어링(132)에 상응하는 베어링용 홈(150a)이 형성되는 베어링용 가이드 클램프(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딩용 샤프트 오토 클램핑 장치.
  6. 복수의 리와인딩용 롤을 거치하기 위한 와인딩용 샤프트(1)의 말단부가 삽입 및 수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와인딩용 샤프트(1)가 삽입되는 말단부를 기준으로 타측 말단부로 갈수록 상기 내부 공간의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고정 클램프(110);
    상기 고정 클램프(110)의 후측에서 전방으로 전진됨으로써 상기 고정 클램프(110)의 외측에 끼움 결합되며, 내경이 상기 고정 클램프(110)의 외경 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끼움 결합 시 상기 고정 클램프(110)의 상기 내부 공간에 있어 상기 와인딩용 샤프트(1)가 삽입되는 말단부가 좁혀지도록 하는 가이드 클램프(120);
    상기 가이드 클램프(120)와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공압을 통해 상기 가이드 클램프(120)를 상기 고정 클램프(110)의 후측에서 전방으로 전진시키거나, 또는 상기 고정 클램프(110)에 끼움 결합된 상기 가이드 클램프(120)를 다시 후방으로 전진시키는 직선 이동부(130); 및
    상기 고정 클램프(110)에 삽입 및 수용되는 상기 와인딩용 샤프트(1)의 일측에 마련되는 지지 모듈(1b)을 안착시켜 지지하는 안착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와인딩용 샤프트(1)가 상기 고정 클램프(11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직선 이동부(130)에 의해 상기 가이드 클램프(120)가 상기 고정 클램프(110)를 향해 전진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 클램프(120)에 끼움 결합되는 상기 고정 클램프(110)의 말단부가 좁혀지면서 상기 와인딩용 샤프트(1)가 고정되고,
    상기 직선 이동부(130)는,
    고리 형상을 가지되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압 플레이트(131);
    상기 가압 플레이트(131) 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132); 및
    상기 가압 플레이트(131)의 일측에 연결되며, 공압을 통해 상기 가압 플레이트(131)를 직선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공압 실린더 장치(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딩용 샤프트 오토 클램핑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클램프(110)의 측면부는 다수 개의 절개 영역(110a)에 의해 다수 개의 파트(111)로 분리 형성되며, 또한
    상기 가이드 클램프(120)가 상기 고정 클램프(110)의 후측에서 전방으로 전진되는 경우, 각각의 파트(111)가 내측 방향으로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딩용 샤프트 오토 클램핑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파트(111)의 말단부 내측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걸림턱(111a)이 돌출 형성되며,
    각각의 파트(111)가 내측 방향으로 조여지는 경우, 상기 와인딩용 샤프트(1)의 말단부에 형성된 걸림부(1a)가 상기 걸림턱(111a)에 걸림으로써 내부 공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딩용 샤프트 오토 클램핑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클램프(120)와 상기 가압 플레이트(131) 사이에 마련되되, 일측 말단부에 상기 가이드 클램프(120)의 걸림턱(120a)에 걸림 결합되고, 외측면에 상기 가압 플레이트 내 내부 공간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상기 하나 이상의 베어링(132)에 상응하는 베어링용 홈(150a)이 형성되는 베어링용 가이드 클램프(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딩용 샤프트 오토 클램핑 장치.


KR1020210062509A 2021-05-14 2021-05-14 와인딩용 샤프트 오토 클램핑 장치 KR102325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509A KR102325073B1 (ko) 2021-05-14 2021-05-14 와인딩용 샤프트 오토 클램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509A KR102325073B1 (ko) 2021-05-14 2021-05-14 와인딩용 샤프트 오토 클램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5073B1 true KR102325073B1 (ko) 2021-11-10

Family

ID=78500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509A KR102325073B1 (ko) 2021-05-14 2021-05-14 와인딩용 샤프트 오토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0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9055A (ja) * 1995-03-20 1996-10-08 Niyuurongu Kk 紙管保持装置
JP2531121Y2 (ja) * 1991-04-12 1997-04-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巻取軸のチャッキング装置
KR101584191B1 (ko) 2014-11-21 2016-01-14 에이티 주식회사 필름 권취가 용이한 와인딩 유닛
JP2016022488A (ja) * 2014-07-17 2016-02-08 株式会社富士機械工作所 管体チャック装置及び工作機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1121Y2 (ja) * 1991-04-12 1997-04-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巻取軸のチャッキング装置
JPH08259055A (ja) * 1995-03-20 1996-10-08 Niyuurongu Kk 紙管保持装置
JP2016022488A (ja) * 2014-07-17 2016-02-08 株式会社富士機械工作所 管体チャック装置及び工作機械
KR101584191B1 (ko) 2014-11-21 2016-01-14 에이티 주식회사 필름 권취가 용이한 와인딩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3346B2 (ja) 切削装置の切削工具装着機構
EP1324439B1 (en) Brush holding device, motor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assembling motor
KR102325073B1 (ko) 와인딩용 샤프트 오토 클램핑 장치
JP2001062658A (ja) バイス装置
US11084684B2 (en) Restriction device for preventing deformation of restriction plate of reel
JP2005007553A (ja) リング圧縮装置およびリング圧縮方法
US11981126B2 (en) Ink ribbon support cassette, printing device, and removing method
US4276683A (en) Method for winding electrode foils and separators for capacitor
US44614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lengths of electrical wire and the like
JP4265955B2 (ja) 移動部材の固定装置
US11086096B2 (en) Lens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993951B1 (ja) バイス装置
JPH109219A (ja) スプール等の保持具
JP4310443B2 (ja) ケーブルの外部半導電層の剥ぎ取り工具
JPH052515Y2 (ko)
JP2004127860A (ja) 捲回装置用挟込巻芯
JPH09232063A (ja) 端子リール用ストッパ
EP0618157B1 (fr) Dispositif de séparation des feuilles dans une machine de bureau et procédé de réglage de la butée de ce dispositif
CN217626564U (zh) 卷材转辊装置及覆膜机
JP2603914B2 (ja) 紙管類のチャック装置
JP5536487B2 (ja) チャック装置および爪部材
JP2021139424A (ja) プーリーベルトの着脱治具
JP3414765B2 (ja) 感光材料クランプ装置
JP2001113403A (ja) ドリルチャック及びチャック装置
JP2534686Y2 (ja) 紙管保持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