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323B1 - 냉방키트 및 이를 구비한 냉방조끼 - Google Patents

냉방키트 및 이를 구비한 냉방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323B1
KR102324323B1 KR1020210034986A KR20210034986A KR102324323B1 KR 102324323 B1 KR102324323 B1 KR 102324323B1 KR 1020210034986 A KR1020210034986 A KR 1020210034986A KR 20210034986 A KR20210034986 A KR 20210034986A KR 102324323 B1 KR102324323 B1 KR 102324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ooling
ventilation
kit
v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창헌
Original Assignee
전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창헌 filed Critical 전창헌
Priority to KR1020210034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3Cool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by means of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8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having pockets for heated or cool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41D27/245Hems; 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끼의 내측에 탈부착되어 냉풍을 제공하는 냉방키트 및 이를 구비한 냉방조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조끼의 내측에 탈부착되어 착용자의 등 부위로 시원한 냉풍을 제공하고, 시트의 내피 전면부와 통풍유로 내부에 각각 간격 유지대를 형성하여 원활한 통풍을 제공하며, 시트의 내피와 외피 하부 연장편 하측까지 신장된 중앙에 제1 간격 유지대 및 지지대를 통해 시트가 접히는 현상을 방지하고, 조끼에 냉방키트의 송풍팬이 수납되는 망체를 구비하여 시트의 쳐짐과 송풍팬의 유동을 방지하여 착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냉방키트 및 이를 구비한 냉방조끼{COOLING KIT AND COOLING JACKET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조끼의 내측에 탈부착되어 냉풍을 제공하는 냉방키트 및 이를 구비한 냉방조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조끼의 내측에 탈부착되어 착용자의 등으로 시원한 냉풍을 제공하는 탈부착용 냉방키트 및 이를 구비한 냉방조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상변화로 인해 기록적인 무더위가 발생함에 따라 하절기 야외 작업자나, 혹은 군인이나 경찰관, 또는 음식점의 주방에서 근무하는 직종의 근로자들은 장시간 더위에 노출되어 체력저하로 인해 작업능력이 감소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체에 작용하여 체온을 식혀줄 수 있는 냉방조끼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종래의 냉방조끼는 대부분 조끼의 내측에 팬을 장착해서 외부의 시원한 공기를 신체로 내부로 유입시키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냉풍을 제공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냉방조끼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첫째, 착용자가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상체를 굽히는 경우, 굽혀지는 신체에 대응하여 조끼 또한 접히게 되고, 이 과정에서 조끼의 내부(외피와 내피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통풍유로(공기유로)가 막혀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둘째, 조끼와 착용자의 등 사이에 이격 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공기 토출구가 착용자의 등에 막혀 원활하게 공기가 배출되지 않아 냉방 효과가 낮은 문제가 있었다.
셋째, 통풍유로가 조끼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조끼에 냉방팬이 일체로 고정 설치됨에 따라 날씨가 덥지 않아도 냉방팬이 설치된 상태로 조끼를 착용해야 하기 때문에 조끼의 사용 편의성과 활용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KR 20-0474204 Y1, 2014. 08. 22. KR 10-2020-0132374 A, 2020. 11. 25. KR 10-1655784 B1, 2016. 09. 02. KR 20-0393617 Y1, 2005. 08. 17.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조끼의 내측에 탈부착되어 시원한 냉풍을 제공함으로써 사용 편의성과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탈부착용 냉방키트 및 이를 구비한 냉방조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상체를 굽히더라도 쉽게 접혀지지 않도록 하여 통풍유로의 막힘을 방지함으로써 항상 안정적으로 시원한 냉풍을 공급할 수 있는 탈부착용 냉방키트 및 이를 구비한 냉방조끼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방팬의 하부를 받치는 한편, 송풍팬이 조끼 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 중에 송풍팬으로 인한 작업성 저하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탈부착용 냉방키트 및 이를 구비한 냉방조끼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는 박음질 또는 고주파 방식의 접합을 통해 밀폐되어 내부에 통풍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내피에는 상기 통풍유로를 통해 이동하는 외부 공기를 전방측으로 토출하는 복수 개의 통풍구가 좌우측에 나란하게 형성된 시트; 상기 시트의 내피에 상기 시트의 폭방향으로 나란하도록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시트와 착용자의 등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켜 상기 시트가 착용자의 등에 긴밀하게 밀착됨으로 인해 상기 통풍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간격 유지대; 상기 통풍유로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통풍유로에서 상기 외피와 내피를 이격시켜 외부 공기가 상기 통풍유로를 통해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제2 간격 유지대; 및 상기 시트의 하부 중앙부에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편에 설치되고, 시트 외피 후면 연장편에 지지대가 설치되고,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연장편을 통해 상기 외부 공기를 상기 통풍유로로 공급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키트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간격 유지대는 상기 시트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형성된 한 쌍의 통풍구 사이와, 상기 한 쌍의 통풍구의 외측으로 상기 시트의 좌우측에 한 개씩 총 3개가 상기 시트의 상하방향으로 신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간격 유지대는 상기 시트의 내피 전면부에 관형으로 일체로 형성된 수납구와, 상기 수납구의 내부에 삽입되는 쿠션재 또는 냉각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트의 외피 후면부 중앙에 상기 시트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시트의 외피 후면부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수납구와, 상기 수납구의 내부에 수납되는 쿠션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한 냉방키트가 내측면에 탈부착 부재를 통해 부착 고정되고, 상기 탈부착 부재의 하측으로 냉방키트 탈착 후 냉각패드를 직접 삽입하기 위한 제1 망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망체의 하측으로 내측면에는 상기 냉방키트의 송풍팬이 내부에 수납 보관되는 제2 망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조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방키트에 따르면, 조끼의 내측에 탈부착되어 시원한 냉풍을 제공함으로써 사용 편의성과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방키트에 따르면, 시트의 내피 전면부와 통풍유로 내부에 각각 간격 유지대를 형성함으로써 시트의 내피에 형성된 통풍구가 착용자의 등과의 밀착에 의한 막힘, 시트의 내피와 외피 사이의 통풍유로의 막힘으로 인한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방키트에 따르면, 시트의 하부에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편을 형성하고, 내피 전면 중앙의 제1 간격 유지대와 외피 후면의 지지대를 연장편 하단까지 신장하고, 상기 연장편에 송풍팬을 설치함으로써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상체를 굽히더라도 쉽게 접혀지지 않도록 하여 통풍유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방키트에 따르면, 조끼에 냉방키트의 송풍팬이 수납되는 망체를 구비하여 송풍팬의 하부를 받쳐 시트가 쳐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한편, 송풍팬이 조끼 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착용감과 착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방키트에 따르면, 냉방키트 탈착 후 냉각패드를 제1 망체에 삽입하여 조끼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방키트에 따르면, 시트 내피 전면부 좌우측 제1 간격유지대 수납구 상단을 개방된 형식으로 설계하고, 냉각패드를 삽입하여 간격 유지 기능을 더하여 냉각패드의 냉방기능과 냉방키트를 통한 시원한 바람의 이중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방키트의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방키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방키트의 배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냉방키트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끼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방키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방키트를 구성별로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방키트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냉방키트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방키트(10)는 섬유, 천, 합성섬유 또는 PVC(Polyvinyl Chloride) 등으로 이루어진 외피와 내피, 두겹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외피와 내피는 둘레가 박음질(재봉) 또는 고주파 방식의 접합 처리되어 내부에 통풍유로(p)를 형성하는 시트(11)를 포함한다.
시트(11)는 내부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시원한 바람이 이동하는 통풍유로(p)가 형성되며, 통풍유로(p)는 도 4와 같이, 시트(11)의 제2 간격유지대(16) 좌우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시트(11)의 내피 전면부(착용자의 등 방향)에는 통풍유로(p)를 통해 이동되는 외부 공기, 즉 시원한 바람을 전방으로 토출하는 통풍구(11a)가 형성되어 있다.
통풍구(11a)는 시트(11)의 중앙을 기준으로 시트(11)의 폭방향으로 좌우측에 대칭하도록 복수 개, 예를 들면 좌우측에 각각 4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주면에는 통풍구(11a)가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원형의 금속링(12)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시트(11)의 내피에는 냉방키트(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시트(11)가 착용자의 등과 밀착되는 과정에서 통풍구(11a)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트(11)의 내피와 착용자의 등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제1 간격 유지대(13)가 형성된다.
제1 간격 유지대(13)는 시트(11)의 내피 전면부에 폭방향(좌우방향)으로 복수 개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와 같이, 좌우측에 나란하게 형성된 한 쌍의 통풍구(11a) 사이에 한 개, 그리고 좌우측에 각각 한 개씩 총 3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시트(11)의 상하방향으로 신장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중앙의 제1 간격 유지대(13)의 하단이 연장편(11b) 하단까지 신장하여 시트(11)의 접힘을 방지하여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와 같이, 제1 간격 유지대(13)는 각각 시트(11)의 내피 전면부에 관형 구조로 일체로 형성된 수납구(13a)와, 수납구(13a)의 내부에 삽입되는 쿠션재(13b)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간격 유지대(13)를 형성하는 과정은, 먼저 수납구(13a)의 하단부를 박음질 또는 고주파 접합으로 밀폐시킨 상태에서 수납구(13a)의 내부로 쿠션재(13b)를 삽입시킨 후 개방된 수납구(13a)의 상단부를 박음질 또는 고주파 접합 방식 등을 이용하여 밀봉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쿠션재(13b)는 시트(11)의 내피와 착용 상태에서 착용자의 등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쿠션감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구조, 예를 들면 원형봉 또는 사각봉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재질은 스티로폼 또는 스펀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고무, 솜 또는 내부에 에어가 튜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좌우측의 제1 간격 유지대(13)는 수납구 상단을 개방형으로 설계하여 쿠션재(13b) 대신에 자체 냉각 기능을 갖는 냉각패드를 삽탈식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과 같이, 시트(11)의 외피 후면부 중앙에는 제1 간격 유지대(13)와 마찬가지로 지지대(14)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대(14) 상단은 제2 간격 유지대(16) 하단과 일정 길이, 예를 들면 5cm 교차하여 시트(11)의 내피와 외피의 접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4)는 제1 간격 유지대(13)와 같이, 수납구(14a)와, 수납구(14a)에 수납되는 쿠션재(14b)를 포함한다. 이때, 쿠션재(14b)는 스티로폼, 스펀지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시트(11)에는 송풍팬(15)이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한 후 시트(11)의 내부에 형성된 통풍유로(p)의 내부로 외부의 시원한 공기를 공급한다.
송풍팬(15)은 일례로 달팽이 구조로 이루어지고, 시트(11)의 하부 중앙에 설치된다. 그리고, 바람이 배출되는 송풍구는 시트(11)의 하부 중앙부에 연장된 연장편(11b)를 통해 통풍유로(p)에 삽입되어 외부 공기를 통풍유로(p)의 내부로 공급한다.
시트(11)의 하부 중앙부에는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편(11b)이 형성되어 있다. 연장편(11b)은 송풍팬(15)이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한편, 시트(11)가 폭방향으로 쉽게 접혀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내피 중앙의 제1 간격 유지대(13)와 외피 지지대(14)를 연장편(11b) 하단까지 신장하여 시트(11)의 중앙부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3과 같이, 송풍팬(15)의 송풍구는 연장편(11b)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연결 설치된다. 이에 따라, 도 4와 같이, 송풍팬(15)에 의해 흡입된 외부 공기는 연장편(11b)을 통해 통풍유로(p)의 내부로 공급되고, 이후 통풍구(11a)를 통해 시트(11)의 전방측, 즉 착용자의 등 부위로 배출된다.
도 2 및 도 4와 같이, 시트(11)의 내부 중앙, 바람직하게는 외피 전면 중앙에는 제2 간격 유지대(16)가 내장 설치된다. 제2 간격 유지대(16)는 통풍유로(p)에 대응하는 시트(11)의 외피와 내피 사이가 멀어지도록 이격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외피 전면 중앙에 제2 간격 유지대(16)가 내장 설치됨에 따라 통풍유로(p)에서 외피와 내피 사이가 들떠 송풍팬(15)으로부터 통풍유로(p)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통풍유로(p)를 통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간격 유지대(16)는 막대 형상과 같이 직육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쿠션감과 완충성을 제공하기 위해 스티로폼, 스펀지 또는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과 같이, 시트(11)의 후면부에는 시트(11)를 조끼(20, 도 5참조)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탈부착 부재(17)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탈부착 부재(17)는 일례로 벨크로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끼(20)의 내측면에 탈부착된다.
한편, 시트(11) 또는 송풍팬(15)의 하우징 내에는 송풍팬(15)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고, 또한 송풍팬(15)을 동작시키는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끼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끼(20)는 내측면에 시트(11)에 형성된 탈부착 부재(17)가 탈부착되도록 탈부착 부재(21)로서 벨크로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탈부착 부재(21)의 하측으로 조끼(20)의 내측면에는 냉각키트 탈착 후 냉각패드를 직접 삽입할 수 있도록 메시 구조로 이루어진 제1 망체(122)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망체(22)의 하부에는 시트(11)에 설치된 송풍팬(15)이 내부에 수납 거치되도록 제2 망체(23)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2 망체(23)는 제1 망체(22)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끼(20)는 냉방키트(10)가 내측면에 탈부착되고, 하부에 냉방키트(10)의 송풍팬(15)이 수납되는 제2 망체(23)가 구비되어 송풍팬(15)이 내부에 안정적으로 수납 보관된다. 이를 통해 제2 망체(23)가 송풍팬(15)의 하중을 받쳐줌으로써 송풍팬(15)의 하중으로 인해 냉방키트(10)의 시트(11)가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송풍팬(15)이 유동하여 착용자의 등에 배기는 등의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착용자의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냉방키트
11 : 시트
11a : 통풍구
11b : 연장편
12 : 금속링
13 : 제1 간격 유지대
13a, 14a : 수납구
13b, 14b : 쿠션재 또는 냉각패드
14 : 지지대
15 : 송풍팬
16 : 제2 간격 유지대
17, 21 : 탈부착 부재(벨크로)
20 : 조끼
22 : 제1 망체
23 : 제2 망체
p : 통풍유로

Claims (5)

  1. 삭제
  2.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는 박음질 또는 고주파 접합을 통해 밀폐되어 내부에 통풍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내피에는 상기 통풍유로를 통해 이동하는 외부 공기를 전방측으로 토출하는 복수 개의 통풍구가 좌우측에 나란하게 형성된 시트;
    상기 시트의 내피에 상기 시트의 폭방향으로 나란하도록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시트와 착용자의 등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켜 상기 시트가 착용자의 등에 긴밀하게 밀착됨으로 인해 상기 통풍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간격 유지대;
    상기 통풍유로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통풍유로에서 상기 외피와 내피를 이격시켜 외부 공기가 상기 통풍유로를 통해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제2 간격 유지대;
    상기 시트 하단부의 접힘을 방지하고,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외피 후면 중앙부에 하측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대; 및
    상기 시트의 하부 중앙부에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편에 설치되고,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연장편을 통해 상기 외부 공기를 상기 통풍유로로 공급하는 송풍팬;
    을 포함하되,
    상기 시트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형성된 한 쌍의 통풍구 사이의 제1 간격 유지대는 하단이 연장편 하단까지 신장되어 상기 시트 하단부의 접힘을 방지하고,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한 쌍의 통풍구의 외측으로 상기 시트의 좌우측에 한 개씩 적어도 총 3개가 상기 시트의 상하방향으로 신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키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격 유지대는 상기 시트의 내피 전면부에 관형으로 일체로 형성된 수납구와, 상기 수납구의 내부에 삽입되는 쿠션재 또는 상기 수납구 상단을 개방형으로 설계하고 삽탈착 가능한 냉각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키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외피 후면부 중앙에 상기 시트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시트의 외피 후면부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수납구와, 상기 수납구의 내부에 수납되는 쿠션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키트.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냉방키트가 내측면에 탈부착 부재를 통해 부착 고정되고, 상기 탈부착 부재의 하측으로 내측면에는 냉방키트 탈착 후 냉각패드를 삽입할 수 있는 제1 망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망체의 하측으로 내측면에는 상기 냉방키트의 송풍팬이 내부에 수납 보관되는 제2 망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조끼.
KR1020210034986A 2021-03-18 2021-03-18 냉방키트 및 이를 구비한 냉방조끼 KR102324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986A KR102324323B1 (ko) 2021-03-18 2021-03-18 냉방키트 및 이를 구비한 냉방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986A KR102324323B1 (ko) 2021-03-18 2021-03-18 냉방키트 및 이를 구비한 냉방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323B1 true KR102324323B1 (ko) 2021-11-10

Family

ID=78500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986A KR102324323B1 (ko) 2021-03-18 2021-03-18 냉방키트 및 이를 구비한 냉방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3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260B1 (ko) * 2022-07-12 2023-02-28 이정현 하절기용 냉풍 상의
KR102507902B1 (ko) * 2022-10-24 2023-03-09 조윤주 하절기용 냉풍 한복 저고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617Y1 (ko) 2005-04-01 2005-08-24 이봉혜 에어 조끼
JP3173198U (ja) * 2011-11-10 2012-01-26 株式会社ディー・ティー・ジャパン 衣料用冷却装置及び衣料品
KR200474204Y1 (ko) 2012-03-26 2014-08-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에너지 절감형 냉풍 조끼
KR101655784B1 (ko) 2015-04-20 2016-09-09 대한민국 착탈식 냉각 패드를 구비한 조끼
KR20200132374A (ko) 2019-05-17 2020-11-25 박태욱 냉풍조끼용 냉풍스트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617Y1 (ko) 2005-04-01 2005-08-24 이봉혜 에어 조끼
JP3173198U (ja) * 2011-11-10 2012-01-26 株式会社ディー・ティー・ジャパン 衣料用冷却装置及び衣料品
KR200474204Y1 (ko) 2012-03-26 2014-08-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에너지 절감형 냉풍 조끼
KR101655784B1 (ko) 2015-04-20 2016-09-09 대한민국 착탈식 냉각 패드를 구비한 조끼
KR20200132374A (ko) 2019-05-17 2020-11-25 박태욱 냉풍조끼용 냉풍스트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260B1 (ko) * 2022-07-12 2023-02-28 이정현 하절기용 냉풍 상의
KR102507902B1 (ko) * 2022-10-24 2023-03-09 조윤주 하절기용 냉풍 한복 저고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4323B1 (ko) 냉방키트 및 이를 구비한 냉방조끼
JP2006307354A (ja) 空調衣服
JPWO2007061088A1 (ja) 空調衣服
US20100242147A1 (en) Garment for personal air-conditioning
US9271872B2 (en) Welding helmet air flow barrier
JPWO2006009108A1 (ja) 空調衣服
JP6731335B2 (ja) 携帯式衣服内送風機
KR20200132374A (ko) 냉풍조끼용 냉풍스트랩
CN111616459A (zh) 一种分体式智能降温防护头罩
WO2020100757A1 (ja) 空調衣服の服本体及び空調衣服
JP2023175913A (ja) 空調衣服の服本体及び空調衣服
JP6664443B2 (ja) ヘルメット対応空調衣服の服本体及びヘルメット対応空調衣服
JPH11323626A (ja) 冷暖房用衣服
JP2020100925A (ja) 機能性補助パンティー
CN213188171U (zh) 一种通风散热防护服
JP6963802B2 (ja) リュックサック型の人体用送風装置
JP7377519B2 (ja) 送風機付き衣服
KR20150001907U (ko) 에어 상의
JP6406683B1 (ja) 衣服
JP2018135614A (ja) 人体用送風装置
CN211832896U (zh) 具有颈部风道结构的空调服
JP3227290U (ja) 空調衣服
CN2616243Y (zh) 一种通风安全隔离服
JP2021066985A (ja) ファンホルダー付き衣類
KR20200002717U (ko) 의류용 통풍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