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617Y1 - 에어 조끼 - Google Patents

에어 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617Y1
KR200393617Y1 KR20-2005-0014834U KR20050014834U KR200393617Y1 KR 200393617 Y1 KR200393617 Y1 KR 200393617Y1 KR 20050014834 U KR20050014834 U KR 20050014834U KR 200393617 Y1 KR200393617 Y1 KR 2003936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st
main body
synthetic resin
join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48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혜
Original Assignee
이봉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혜 filed Critical 이봉혜
Priority to KR20-2005-00148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6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6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6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by means of forced air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장에서 착용할 수 있는 조끼에 관련되는 것으로 무더운 여름철에 작업자가 시원한 상태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위해 외부로부터 강제 공급되는 에어가 조끼내부로 유입되어 분출되도록 한 것이며, 이를 위해 허리부위로부터 분지되어 작업자의 앞.뒷면까지 이어지도록 상기 조끼의 내부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중심부가 접합되어 두개의 통로를 형성하게되고 다수의 분출구가 구비되는 합성수지튜브와; 허리부에 형성되는 합성수지튜브 말단에 에어공급을 위한 호스와 연결되는 주입구;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에어 조끼 및 내피와 외피가 접합되어 내부에 비접합공간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비접합공간부에 삽입되는 스포터, 내피에 형성되는 분출구 그리고 에어공급을 위한 주입구로 구성되는 에어조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 조끼{air vest}
본 고안은 작업자가 착용하는 조끼에 관련되는 것으로 무더운 여름철에도 시원한 상태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위해 공기를 공급하여 체온을 낮출수 있도록 한 에어 조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착용감을 좋게하고 무게를 작게하기 위해 연질인 폴리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튜브를 조끼 내부에 배치하며, 연질인 관계로 송풍시 튜브가 지나치게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길이방향 중심부를 접합시켜 두개의 통로를 형성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내피와 외피로 된 밴드를 조끼형상으로 제작하고 상기 내피와 외피의 가장자리만을 접합하여 중심부에는 에어가 지날 수 있는 유로를 형성시키며 이러한 유로형성을 돕기 위해 비접합공간부에 스포터를 삽입하여 특정부위가 접힘에 따른 에어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조끼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무더운 여름이나 추운 겨울철에 실외나 난방 혹은 냉방이 이루어지지 않는 실내장소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더위와 추위로 제대로 작업을 수행하기가 상당히 어렵다. 즉, 쉽게 피로해지며 불쾌감이 높아 작업능률도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체온을 유지시켜줄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한 방안으로 작업자가 착용하는 조끼에 튜브를 배치하고 여기에 에어공급호스를 연결하여 에어를 분사시켜 시원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있다.
종래의 이러한 조끼의 경우 튜브가 딱딱한 재질로 된 원형단면을 가지는 것을 채용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착용시 착용감이 좋지 못하고 무게도 많이 나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실용신안등록 240363호의 냉난방용 조끼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것의 구조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되는 도1은 상기 냉난방용 조끼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그 구성을 보면, 통상의 조끼에 있어서, 상기 조끼를 유연 외피수지층과 내피수지층으로 구성하되 상기 외피수지층상에 상기 내피수지층을 고주파 접합으로 접합시키고, 상기 내피수지층상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내피수지층과 외피수지층이 접합되는 일측에는 냉/온풍이 주입될 수 있는 공기주입구가 형성되어 냉/온풍이 상기 공기 주입구를 통해 상기 내피수지층과 외피수지층사이로 주입됨과 동시에 상기 내피수지층상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배출되어 작업자의 체온을 일정온도로 유지시켜주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조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냉난방용 조끼의 경우 외피수지층과 내피수지층을 접합시키고 그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켜 통공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면에 보이듯이 조끼전체가 공기가 흐르게되는 통로가 되므로 지나치게 넓은 면적에 걸쳐 외피수지층과 내피수지층을 형성하여 재료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고 오히려 외부와 신체간의 공기유출입을 차단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그다지 효과적인 냉난방 기능을 가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대해 본 고안에서는 착용감이 우수하고 가벼우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에어 조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에어조끼에 있어 특정부위가 접히게 됨에 따라 에어공급이 차단되어 그 기능을 달성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는 에어조끼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작업자 상체에 착용하는 통상의 조끼에 있어서, 허리부위로부터 분지되어 작업자의 앞.뒷면까지 이어지도록 상기 조끼의 내부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중심부가 접합되어 두개의 통로를 형성하게되고 다수의 분출구가 구비되는 합성수지튜브와; 허리부에 형성되는 합성수지튜브 말단에 에어공급을 위한 호스와 연결되는 주입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조끼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합성수지튜브는,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조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내피와 외피로 이루어지는 밴드로서 조끼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내피와 외피의 대응면은 코팅처리되고 가장자리 부위만이 서로 접합되어 중심부에 비접합공간부를 형성하게되는 본체와; 상기 비접합공간부에 삽입되며 양단부는 막혀있고 상기 비접합공간부가 에어유로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스포터와; 상기 내피에 비접합공간부와 관통되게 형성되어 에어를 분출하게되는 다수의 분출구와; 상기 본체중 허리부위 일측에 위치되며 그 주입단은 외피를 통하여 상기 비접합공간부와 연결되고 공급단은 에어공급을 위한 호스과 연결되는 주입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조끼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주입구는, 외피와 연결되어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주입단과 결합되는 도입관과; 주입단과 공급단을 갖추고 그 사이에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면을 감싸며 측면에서 상기 바디와 볼트로서 체결되고 돌출된 양단부는 분리가능한 누름단추가 구비되어 본체와 결합되는 커넥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조끼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는, 돌출된 양단부중 어느 일단은 누름단추가 형성되어 착탈이 가능하고 타단은 본체와 영구결합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조끼에 관한 것이다.
한편, 상기 에어조끼는 본체중 허리부위로 부터 하방으로 분지되어 허벅지 부위를 감싸도록 연장되는 부체를 더 갖추고 상기 부체에는 상기 스포터 및 분출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조끼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에어 조끼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조끼의 개략적인 평면도(a)와 저면도(b)를 나타내며, 도3은 상기 에어 조끼에 설치되는 합성수지튜브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예에 도시한 에어 조끼는 그물망천(10)을 주재료로 하여 제작된 것이며 외면에 안전을 위한 반사시트(20)가 부분적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즉, 허리둘레부와 등쪽에 엑스자형으로 반사시트(20)가 구비되며 이것은 어깨를 지나 앞쪽으로 이어져 허리부와 연결되어져 있다.
본 예에서는 작업용 조끼의 주재료로서 그물망천인 것을 예로 보였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얇은 천을 이용하여도 무방하고 일반적인 천을 단일막 또는 2겹으로 겹쳐 사용할 수도 있다. 단일막 천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언급한 반사시트를 적당하게 덧대어 사용함이 적합하다.
이것은 반사시트와 천 사이공간에 후술할 합성수지튜브(30)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이다. 2겹의 천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내부에 합성수지튜브를 배치하면 된다.
도2와 같은 통상의 조끼에 허리부분과 앞뒷면을 연결하도록 합성수지튜브(30)를 조끼에 설치하게 되며 그 방법은 언급한 바와 같이 반사시트와 그물망천 사이에 합성수지튜브를 위치시키면 된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합성수지튜브(30)는 비교적 연질인 튜브를 이용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소재로 된 합성수지튜브를 사용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합성수지튜브(30)를 길이방향으로 중심부를 접합시켜 2개의 통로(35)가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합성수지튜브의 중심부를 접합시킴에 있어서는 고주파를 이용하여 접합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튜브(30)의 어느 일면(조끼 착용시 신체를 향하는 방향)에는 투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분출구(37)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조끼에 설치되는 합성수지튜브는 서로 연결되어져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공기가 주입구(40)로부터 튜브말단까지 흐르게 된다.
상기 주입구(40)는 조끼의 허리부위에 형성되며 합성수지튜브(30)의 일단과 결합된다. 상기 주입구에는 공기를 제공하는 호스와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입구에 개폐밸브(미도시)를 두어 선택적으로 에어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주입구의 구조는 공지의 사항인 바 여기에서 더 이상의 상세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튜브를 조끼 내부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합성수지튜브의 가장자리를 그물형상의 망사천과 박음질하면 된다.
이어서, 본 고안에 따른 에어조끼로서 또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되는 도4는 본 고안의 또 다른형태에 따른 에어조끼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에어조끼는 본체(50), 스포터(60), 분출구(70) 및 주입구(80)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는 착용자의 상체에 입을 수 있게 조끼형상을 하게 된다. 즉, 도4와 같이 상기 본체(50)는 내피(50a)와 외피(50b)로 이루어지는 밴드를 이용하여 허리부위(x), 어깨걸음부위(y) 및 여러개의 연결부위(z)로 구성된다. 허리부위(x) 양단은 벨크로 처리되어져 착탈이 가능토록 하며 어깨걸음부위(y)에는 착용후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원터치식 버튼(k)이 구비될 수 있다.
내피(50a)와 외피(50b)의 대응면은 기밀이 유지될 수 있게 코팅처리되며, 상기 내피(50a)와 외피(50b)의 가장자리 부위에서 서로 접합됨으로서 중심부에는 비접합공간부(55)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비접합공간부(55)에는 양단부가 막힌 스포터(60)가 삽입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 탄성을 가지는 튜브를 사용함이 적합하다. 상기 스포터(60)는 비접합공간부(55)에 설치됨으로서 비접합공간부를 통한 에어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즉, 스포터를 설치함으로서 특정부위의 비접합공간부가 접히게 되어 에어공급이 차단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50)를 이루는 내피(50a)에는 비접합공간부(55)와 관통되는 분출구(70)가 여러개 형성된다. 상기 분출구를 통하여 에어는 분출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50)중 허리부위(x) 일측으로 에어공급을 위한 호스와 연결되는 주입구(80)가 설치된다. 상기 주입구의 주입단은 외피를 통하여 상기 비접합공간부와 연결되며 공급단은 상기 호스와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인 주입구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외피(50b)와 연결되어 비접합공간부(55)와 연통되며 외부로 돌출되고 주입단과 결합되는 도입관(53)이 외피에 형성된다.
상기 도입관(53)과 연결되는 주입단(81)이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에는 공급단(82)이 구비되고 주입단과 공급단 사이에 개폐밸브(83)가 형성되어 바디(80a)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80a)를 본체(50)에 결합시키는 커넥터(80b)가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80b)는 본체를 이루는 재질과 같은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며, 바디(80a)의 상면을 감싸도록 측면에서 상기 바디와 볼트에 의해 체결된다. 한편, 상기 커넥터(80b)의 양단부는 돌출되어져 있으며 여기에는 본체(5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누름단추(84)가 갖추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바디에 형성된 개폐밸브의 조작을 위해 개폐밸브 부위는 천공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주입구(80)는, 그 주입단(81)은 도입관(53)과 연결되고 공급단(82)은 호스와 연결되고, 따라서 상기 주입구(80)는 사용시에만 본체(50)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주입구(80)를 본체(50)에 결합할 시에는 주입단(81)을 도입관(53)에 맞추어 고정시키며 커넥터(80b)에 구비되는 누름단추(84)를 이용하여 본체(50)에 결합시키도록 한다. 이어서 공급단을 호스와 맞우어 연결하여 에어공급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커넥터(80b)를 본체(50)에 연결함에 있어서는 돌출된 양단부중 어느 일단에만 누름단추(84)를 형성시켜 본체(50)와 결합/분리가 가능토록 할 수 있으며, 타단은 본체와 영구결합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에어조끼의 제3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5에서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본적으로 언급한 제2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이에 더하여 본체(50)의 하부로 부체(90)를 더 갖추고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체(50)중 허리부위(x)로부터 내피(50a)와 외피(50b)로 이루어진 밴드가 연장형성되며 허벅지부위를 감쌀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게 된다. 허벅지부위를 감싸 고정하는 수단으로는 벨크로와 같은 소재를 이용하면 된다.
상기 부체(90)의 내부, 즉 비접합공간부(55)에는 역시 스포터(60)가 설치되며 내피(50a)에는 에어가 배출되는 분출구(7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부체를 갖춤으로서 작업자는 땀이 차기쉬운 허벅지 부위에도 공기를 공급할 수 있어 보다 시원한 상태에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에어 조끼는 착용감이 좋고 무게도 가벼운 장점이 있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합성수지튜브는 길이방향으로 중심부를 접합시켜 두개의 통로를 형성시킴으로서 에어 공급에 의해 튜브가 지나치게 부풀어 오르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에어조끼를 착용함으로 작업자는 더운 여름날에도 시원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능률도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도 1 - 종래기술에 따른 냉난방용 조끼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조끼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3 - 상기 에어 조끼에 설치되는 합성수지튜브의 단면도.
도 4 -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조끼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 - 본 고안에 따른 에어조끼의 제3실시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그물망천 20 : 반사시트
30 : 합성수지튜브 35 : 통로
37 : 분출구 40 : 주입구
50 : 본체 60 : 스포터
70 : 분출구 80 : 주입구

Claims (6)

  1. 작업자 상체에 착용하는 통상의 조끼에 있어서,
    허리부위로부터 분지되어 작업자의 앞.뒷면까지 이어지도록 상기 조끼의 내부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중심부가 접합되어 두개의 통로(35)를 형성하게되고 다수의 분출구(37)가 구비되는 합성수지튜브(30)와;
    허리부에 형성되는 합성수지튜브(30) 말단에 에어공급을 위한 호스와 연결되는 주입구(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조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튜브는,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조끼.
  3. 내피(50a)와 외피(50b)로 이루어지는 밴드로서 조끼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내피와 외피의 대응면은 코팅처리되고 가장자리 부위만이 서로 접합되어 중심부에 비접합공간부(55)를 형성하게되는 본체(50)와;
    상기 비접합공간부(55)에 삽입되며 양단부는 막혀있고 상기 비접합공간부가 에어유로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스포터(60)와;
    상기 내피(50a)에 비접합공간부(55)와 관통되게 형성되어 에어를 분출하게되는 다수의 분출구(70)와;
    상기 본체(50)중 허리부위 일측에 위치되며 그 주입단(81)은 외피를 통하여 상기 비접합공간부(55)와 연결되고 공급단(82)은 에어공급을 위한 호스과 연결되는 주입구(8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조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80)는,
    외피(50b)와 연결되어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주입단(81)과 결합되는 도입관(53)과;
    주입단(81)과 공급단(82)을 갖추고 그 사이에 개폐밸브(83)가 구비되는 바디(80a)와;
    상기 바디(80a)의 상면을 감싸며 측면에서 상기 바디와 볼트로서 체결되고 돌출된 양단부는 분리가능한 누름단추(84)가 구비되어 본체와 결합되는 커넥터(80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조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80b)는,
    돌출된 양단부중 어느 일단은 누름단추(84)가 형성되어 착탈이 가능하고 타단은 본체와 영구결합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조끼.
  6. 제3항 내지 제4항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조끼는,
    본체(50)중 허리부위로 부터 하방으로 분지되어 허벅지 부위를 감싸도록 연장되는 부체(90)를 더 갖추고 상기 부체에는 상기 스포터 및 분출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조끼.
KR20-2005-0014834U 2005-04-01 2005-05-25 에어 조끼 KR2003936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834U KR200393617Y1 (ko) 2005-04-01 2005-05-25 에어 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038 2005-04-01
KR20-2005-0014834U KR200393617Y1 (ko) 2005-04-01 2005-05-25 에어 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617Y1 true KR200393617Y1 (ko) 2005-08-24

Family

ID=43694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834U KR200393617Y1 (ko) 2005-04-01 2005-05-25 에어 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617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178B1 (ko) * 2010-05-17 2012-06-20 정연대 통풍기능 섬유라인 속조끼
KR101175776B1 (ko) * 2012-03-20 2012-08-21 김일부 저소음 확산노즐이 구비된 작업복 내부 착용식 에어재킷
JP2017040017A (ja) * 2015-08-19 2017-02-23 株式会社プロップ 人体用送風装置
KR20210032114A (ko) * 2019-09-16 2021-03-24 엠텍에스티에스 주식회사 냉기채널을 구비한 방호복
KR102273362B1 (ko) 2020-10-25 2021-07-06 주식회사 민트 냉기공급이 용이한 방오 가공 처리된 의류
KR102324323B1 (ko) 2021-03-18 2021-11-10 전창헌 냉방키트 및 이를 구비한 냉방조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178B1 (ko) * 2010-05-17 2012-06-20 정연대 통풍기능 섬유라인 속조끼
KR101175776B1 (ko) * 2012-03-20 2012-08-21 김일부 저소음 확산노즐이 구비된 작업복 내부 착용식 에어재킷
JP2017040017A (ja) * 2015-08-19 2017-02-23 株式会社プロップ 人体用送風装置
KR20210032114A (ko) * 2019-09-16 2021-03-24 엠텍에스티에스 주식회사 냉기채널을 구비한 방호복
KR102378439B1 (ko) * 2019-09-16 2022-03-24 엠텍에스티에스 주식회사 냉기채널을 구비한 방호복
KR102273362B1 (ko) 2020-10-25 2021-07-06 주식회사 민트 냉기공급이 용이한 방오 가공 처리된 의류
KR102324323B1 (ko) 2021-03-18 2021-11-10 전창헌 냉방키트 및 이를 구비한 냉방조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3617Y1 (ko) 에어 조끼
US6178562B1 (en) Cap and vest garment components of an animate body heat exchanger
US4067064A (en) Diving suit
KR100357835B1 (ko) 구조적통기구를갖는의복
WO2015139649A1 (zh) 充气装备及其制造方法
ES2374172T3 (es) Gamuza para pantalones de ciclismo y método de fabricación.
US8070787B2 (en) Warming device
US8043350B2 (en) Warming device
US20080109926A1 (en) Convertible wet suit
CN1638657B (zh) 手覆盖物
JP3221474U (ja) 空調衣服の服本体及び空調衣服
US3452812A (en) Body heating and cooling garment
WO2008002430A2 (en) Wetsuit and associated method of manufacture
JP2017206799A5 (ko)
CN104936471A (zh) 通风的且防护性的服装物品
WO2001008516A1 (en) Garment, particularly brassiere
KR200474204Y1 (ko) 에너지 절감형 냉풍 조끼
KR20150001907U (ko) 에어 상의
JP4413220B2 (ja) インナー及びインナー付きボトム
JP7021769B2 (ja) 巻付式循環型液体路
KR101969921B1 (ko)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
ITMI20072188A1 (it) &#34;giubbotto di salvataggio&#34;
US20220386712A1 (en) Garment body of fan-equipped garment and fan-equipped garment
KR20070044893A (ko) 에어거들
JP6636339B2 (ja) 体温調節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