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921B1 -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 - Google Patents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921B1
KR101969921B1 KR1020180098029A KR20180098029A KR101969921B1 KR 101969921 B1 KR101969921 B1 KR 101969921B1 KR 1020180098029 A KR1020180098029 A KR 1020180098029A KR 20180098029 A KR20180098029 A KR 20180098029A KR 101969921 B1 KR101969921 B1 KR 101969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supply tube
wearer
main ai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수
Original Assignee
박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문수 filed Critical 박문수
Priority to KR1020180098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by means of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85Systems using a compressed air circui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의 등에 지지된 상태에서 팔을 삽입하여 착용자의 상반신에 착용할 수 있게 플렉서블한 소재로 폐궤도로 형성되며 메인 접속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유통하는 내부 유로를 갖으며 유입된 공기를 반원형 절개선을 따라 개폐되며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는 메인 에어 공급튜브와, 메인 에어 공급튜브에 결합되어 메인 에어 공급튜브가 착용자의 팔을 통해 착용자의 상반신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 구조를 유지시키는 틀유지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에 의하면,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상반신에 걸치도록 착용하여 이용하면 되는 편리함과 두건까지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wearable type ai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인체에 착용하여 다수의 토출구를 통해 통해 분사되는 에어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된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무더운 여름에 냉방이 이루어지지 않는 실내 장소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더위로 인해 쉽게 피로해지며 불쾌감이 높아 작업능률도 떨어지게 된다.
특히, 여름철에 실내에서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고온에 의한 주의력 저하가 발생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체온을 유지시켜줄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한 방안으로 국내 등록특허 제20-0424168호에는 냉팩을 수납하고, 수납된 냉팩으로부터 발생되는 냉기를 망사를 통해 공급할 수 있는 조끼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냉팩 수납방식은 사용경과에 따라 냉팩을 교체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인체의 상반신을 통해 착용할 수 있으면서 공급된 에어를 튜브의 토출구를 통해 분사할 수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는 작업자의 등에 지지된 상태에서 팔을 삽입하여 착용자의 상반신에 착용할 수 있게 플렉서블한 소재로 폐궤도로 형성된 순환부분을 갖으며 메인 접속구를 통해 상기 순환부분으로 유입된 공기를 유통하는 내부 유로를 갖으며 유입된 공기를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는 메인 에어 공급튜브와; 상기 메인 에어 공급튜브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에어 공급튜브가 착용자의 팔을 통해 착용자의 상반신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 구조를 유지시키는 틀유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에어공급튜브는 착용자의 등으로부터 착용자의 배를 일부 감싸도록 호형으로 연장된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중앙에서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부분보다 곡률반경이 작게 호형으로 굴곡져 착용자의 등에 지지되는 제2부분과; 상기 제2부분의 양단에서 각각 상기 제1부분의 양단과 각각 호형으로 굴곡져 연결된 제3 및 제4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틀유지부는 상기 제2부분의 하부 중앙에서 상기 제1부분의 중앙을 띠 형태로 연결하는 제1틀유지밴드와; 상기 제2부분의 양단 사이에 띠 형태로 접속된 제2틀유지밴드와; 상기 제2부분의 일단과 상기 제3부분 사이에 띠 형태로 결합된 제3틀유지밴드와; 상기 제2부분의 타단과 상기 제4부분 사이에 띠 형태로 결합된 제4틀유지밴드;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에어공급튜브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에어 공급튜브를 착용자에 결속 또는 결속 해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결속밴드;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틀유지부는 착용자의 등을 커버하는 등덮개부분과, 상기 등덮개부분의 양측에서 각각 팔의 삽입이 가능한 삽입구를 갖게 연장되어 착용자의 앞가슴을 덮는 제1 및 제2가슴덮개부분을 갖으며 망사 구조로 된 망사조끼가 적용되고, 상기 메인 에어공급튜브는 상기 망사조끼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메인 에어 공급튜브에는 상기 메인 접속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보조 접속구가 결합되어 있고, 착용자의 두부에 착용할 수 있게 형성된 두건과; 상기 두건에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보조 접속구에 탈착가능하게 연장되어 상기 보조 접속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상기 두건 내로 분출하는 보조 에어 공급튜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접속구는 상기 틀유지부를 통해 착용한 착용자의 가슴에 위치되게 상기 메인 에어공급튜브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메인 접속구는 상기 틀유지부를 통해 착용한 착용자의 등하부 허리부근에 위치되게 상기 메인 에어공급튜브 상에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에 의하면,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상반신에 걸치도록 착용하여 이용하면 되는 편리함과 두건까지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를 착용 형태에 대응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대해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100)는 메인 에어 공급튜브(110), 틀유지부(150) 및 제1 및 제2 결속밴드(170)(180)를 구비한다.
메인 에어 공급튜브(110)는 구부림을 허용하는 플렉서블한 소재의 합성수지 튜브로 틀유지부(150)에 의해 영문자 'U'의 외곽라인을 따르는 형태로 폐궤도로 형성된 순환부분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틀유지부(150)는 메인 에어 공급튜브(110)에 결합되어 메인 에어 공급튜브(110)가 착용자의 팔을 통해 착용자의 상반신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 구조를 유지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세구조는 후술한다.
메인 에어 공급튜브(110)는 착용자의 등에 지지된 상태에서 팔을 삽입하여 착용자의 상반신에 착용할 수 있게 형성되며 메인 접속구(14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유통하는 내부 유로를 갖으며 유입된 공기를 반원형 절개선을 따라 개폐되며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토출구(115)를 통해 토출하도록 되어 있다.
메인 에어 공급튜브(110)의 순환부분을 폐궤도를 따라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하면, 제1부분 내지 제4부분(121 내지 124)로 되어 있다.
제1부분(121)은 착용자의 등으로부터 착용자의 배를 일부 감싸도록 호형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제2부분(122)는 제1부분(121)의 중앙에서 제1부분(121)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제1부분(121)보다 곡률반경이 작게 상방으로 호형으로 굴곡져 착용자의 등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제3부분(123)은 제2부분(122)의 일단에서 제1부분(121)의 일단과 호형으로 굴곡져 연결된 부분이다.
제4부분(124)은 제2부분(122)의 타단에서 제1부분(121)의 타단과 호형으로 굴곡져 연결된 부분이다.
이러한 메인 에어 공급튜브(110)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틀유지부(150)는 제1 내지 제4틀유지밴드(151 내지 154)가 적용되어 있다.
제1틀유지밴드(151)는 제2부분(122)의 하부 중앙에서 제1부분(121)의 중앙을 띠 형태로 연결한다.
제2틀유지밴드(152)는 제2부분(122)의 양단 사이에 띠 형태로 접속되어 있다.
제3틀유지밴드(153)은 제2부분(122)의 일단과 제3부분(123) 사이에 띠 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제4틀유지밴드(154)는 제2부분(122)의 타단과 제4부분(124) 사이에 띠 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제3틀유지밴드(153)와 제4틀유지밴드(154)에 의해 각각 형성된 공간이 팔을 삽입하는 공간이 된다.
제1결속밴드(170)는 메인 에어공급튜브(110)의 제1부분(121)에 상호 이격되게 각각 결합된 제1 및 제2지지띠(171)(172)와, 제1 및 제2지지띠(171)(172)의 종단에 각각 마련되어 상호 결속 및 결속해제가 가능한 암수 구조의 체결구(173)(174)로 되어 있다. 제1 및 제2지지띠(171)(172)는 체결구(173)(174)에 대한 길이 조정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결속밴드(170)는 메인 에어공급튜브(110)의 제3부분(123)과 제4부분(124)에 각각 결합된 제3 및 제4지지띠(181)(182)와, 제3 및 제4지지띠(181)(182)의 종단에 각각 마련되어 상호 결속 및 결속해제가 가능한 암수 구조의 체결구(183)(184)로 되어 있다. 제3 및 제4지지띠(181)(182)도 체결구(183)(184)에 대한 길이 조정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접속구(141)는 틀유지부(150)를 통해 착용한 착용자의 등하부 허리부근에 위치되게 메인 에어공급튜브(110) 상에 장착된다.
즉, 메인 접속구(141)는 제1부분(121)의 착용자의 등에 위치되는 부분에 접속되어 있다.
메인 접속구(141)는 외형 및 내부 유로가 영문자 'T'자 형태로 형성된 것이 적용되어 제1부분(121)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외부로 개방된 메인 유입구(141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양방향으로 분배되어 제1부분(121)의 양측으로 공급된다.
메인 접속구(141)의 메인 유입구(141a)에는 압축공기로부터 차가운 공기를 생성하여 공급하는 에어 냉각기인 볼텍스 튜브(10)가 결합될 수 있다.
메인 접속구(141)에 볼텍스 튜브(10)를 직접 결합하거나 별도의 중계튜브를 통해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볼텍스 튜브(10)는 국내 등록특허 제10-1742793호 등 다양하게 게시되어 있어 상세 구조는 생략한다.
보조 접속구(143)는 메인 에어 공급튜브(110)의 착용자의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접속되어 메인 접속구(141)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조 접속구(143)도 메인 접속구(141)와 마찬가지로 외형 및 내부 유로가 영문자 'T'자 형태로 형성된 것이 적용되어 제1부분(121)의 종단 부근 또는 제3부분(123)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외부로 개방된 보조 배출구(143a)를 통해 공기의 일부를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보조 접속구(143)는 탈착의 편리성을 위해 틀유지부(150)를 통해 착용가능하게 형성된 메인 에어공급튜브(110)를 착용한 착용자의 가슴에 위치되게 메인 에어공급튜브(1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접속구(143)의 보조 배출구(143a)에는 후술되는 두건의 보조 에어 공급튜브가 접속될 수 있다.
한편, 틀유지부는 도시된 예와 다르게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사조끼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망사조끼(250)는 메인 에어공급튜브(11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망사부분을 통해 인체 내부로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말하며, 메인 에어공급튜브(110)의 에어가 토출되는 부분 반대편은 비망사구조로 망사부분과 접합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망사조끼(250)는 틀유지부로서 적용된 것으로 착용자의 등을 커버하는 등덮개부분(252)과, 등덮개부분(252)의 양측에서 각각 팔의 삽입이 가능한 삽입구(253)를 갖게 연장되어 착용자의 앞가슴을 덮는 제1 및 제2가슴덮개부분(255)(256)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망사조끼(250)는 메인 에어공급튜브(110)와 착용자의 사이 부분이 통풍이 가능한 망사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망사조끼(250)에 앞서 설명된 메인 에어공급튜브(110)가 도 1에 도시된 패턴으로 결합되면 된다.
망사조끼(250)와 메인 에어공급튜브(110)와의 결합은 띠형태의 밴드(270)로 결합되어 있고, 박음질처리, 매직테이프 등 다양한 결합요소로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참조부호 271 및 272는 제1 및 제2가슴덮개부분(255)(256)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호 접합 및 분리될 수 있게 형성되어 결속밴드 기능을 하는 제1 및 제2 지지띠이고, 상호 접속 및 분리가 가능하게 양단에 매직테이프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보조 접속구(143)를 통해 착용자의 두부에도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두건(300) 및 보조 에어 공급튜브(310)가 마련되어 있다.
두건(300)은 착용자의 두부에 착용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보조 에어 공급튜브(310)는 두건(300)에 결합되며 두건(300)으로부터 연장된 일단이 보조 접속구(143)에 탈착가능하게 되어 있고, 보조 접속구(143)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토출구(315)를 통해 두건(300) 내로 분출한다.
보조 에어 공급튜브(310)는 두건(300) 내에서 환형궤도로 형성된 환형부분(311)과, 환형부분(311)의 하단에서 환형부분(311)과 연통되게 접합되어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보조 접속구(143)에 접속되는 선형중계부분(313)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선형중계부분(313) 및 환형부분(311)은 공기를 이송하는 내부 유로를 갖으며 플렉서블한 소재의 합성수지 튜브로 형성된다.
환형부분(311)에는 앞서 메인 에어 공급튜브(110)와 마찬가지로 보조 접속구(143)로부터 선형중계부분(313)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유통하는 내부 유로를 갖으며 유입된 공기를 반원형 절개선을 따라 개폐되며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토출구(315)를 통해 토출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도 1을 통해 설명된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100)의 메인 접속구(141)의 메인 유입구(141a)에 중계튜브(125)의 일단을 결속하고, 중계튜브(125)의 타단에 공급공기를 중계튜브(125)와 보조에어공급튜브의 선형중계부분(131)으로 분배하는 'T'형 분배기(145)를 접속한 구조로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보조 접속구(143)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접속구(141)를 제1부분이 아닌 제2부분(122)에 접속한 구조로 구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에서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2개의 제1틀유지밴드(151)가 적용되어 있고, 메인 유입구(141a)에는 중계튜브(125)를 통해 볼텍스 튜브(10)와 접속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에 의하면,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상반신에 걸치도록 착용하여 이용하면 되는 편리함과 두건까지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메인 에어 공급튜브 150: 틀유지부
170: 제1결속밴드 180: 제2 결속밴드

Claims (6)

  1. 삭제
  2. 작업자의 등에 지지된 상태에서 팔을 삽입하여 착용자의 상반신에 착용할 수 있게 플렉서블한 소재로 폐궤도로 형성된 순환부분을 갖으며 메인 접속구를 통해 상기 순환부분으로 유입된 공기를 유통하는 내부 유로를 갖으며 유입된 공기를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는 메인 에어 공급튜브와;
    상기 메인 에어 공급튜브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에어 공급튜브가 착용자의 팔을 통해 착용자의 상반신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 구조를 유지시키는 틀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에어공급튜브는
    착용자의 등으로부터 착용자의 배를 일부 감싸도록 호형으로 연장된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중앙에서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부분보다 곡률반경이 작게 호형으로 굴곡져 착용자의 등에 지지되는 제2부분과;
    상기 제2부분의 양단에서 각각 상기 제1부분의 양단과 각각 호형으로 굴곡져 연결된 제3 및 제4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틀유지부는
    상기 제2부분의 하부 중앙에서 상기 제1부분의 중앙을 띠 형태로 연결하는 제1틀유지밴드와;
    상기 제2부분의 양단 사이에 띠 형태로 접속된 제2틀유지밴드와;
    상기 제2부분의 일단과 상기 제3부분 사이에 띠 형태로 결합된 제3틀유지밴드와;
    상기 제2부분의 타단과 상기 제4부분 사이에 띠 형태로 결합된 제4틀유지밴드;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에어 공급튜브의 상기 토출구는 반원형 절개선을 따라 개폐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에어공급튜브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에어 공급튜브를 착용자에 결속 또는 결속 해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결속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에어 공급튜브에는 상기 메인 접속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보조 접속구가 결합되어 있고,
    착용자의 두부에 착용할 수 있게 형성된 두건과;
    상기 두건에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보조 접속구에 탈착가능하게 연장되어 상기 보조 접속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상기 두건 내로 분출하는 보조 에어 공급튜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접속구는 상기 틀유지부를 통해 착용한 착용자의 가슴에 위치되게 상기 메인 에어공급튜브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메인 접속구는 상기 틀유지부를 통해 착용한 착용자의 등하부 허리부근에 위치되게 상기 메인 에어공급튜브 상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
KR1020180098029A 2018-08-22 2018-08-22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 KR101969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029A KR101969921B1 (ko) 2018-08-22 2018-08-22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029A KR101969921B1 (ko) 2018-08-22 2018-08-22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921B1 true KR101969921B1 (ko) 2019-04-17

Family

ID=66281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029A KR101969921B1 (ko) 2018-08-22 2018-08-22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9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888B1 (ko) * 2021-03-30 2021-11-01 박진한 의복용 공기 순환기
JP2022034483A (ja) * 2020-08-18 2022-03-03 有限会社前田興業 着用送風デバイスおよびそれを用いる作業者の暑さ対策のための送風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6526A (ko) * 2009-08-12 2011-02-18 이승훈 향을 함유한 에어가 신체의 일정부위에 분출되는 에어분출장치
KR20140025946A (ko) * 2012-08-24 2014-03-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착용감이 향상된 냉풍재킷
KR101733975B1 (ko) * 2015-03-09 2017-05-10 정주화 에어 자켓
KR101763715B1 (ko) * 2016-09-28 2017-08-01 김영우 에어공급형 작업두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6526A (ko) * 2009-08-12 2011-02-18 이승훈 향을 함유한 에어가 신체의 일정부위에 분출되는 에어분출장치
KR20140025946A (ko) * 2012-08-24 2014-03-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착용감이 향상된 냉풍재킷
KR101733975B1 (ko) * 2015-03-09 2017-05-10 정주화 에어 자켓
KR101763715B1 (ko) * 2016-09-28 2017-08-01 김영우 에어공급형 작업두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34483A (ja) * 2020-08-18 2022-03-03 有限会社前田興業 着用送風デバイスおよびそれを用いる作業者の暑さ対策のための送風システム
KR102320888B1 (ko) * 2021-03-30 2021-11-01 박진한 의복용 공기 순환기
WO2022211190A1 (ko) * 2021-03-30 2022-10-06 박진한 의복용 공기 순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6789B2 (ja) 人体の胴体のための温度調整装置
KR101969921B1 (ko)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
US7987523B2 (en) Quick release garment
US20070000008A1 (en) Personal air-cooled garment apparatus
US5188267A (en) Support arrangements for firefigher's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CN104857649B (zh) 温度控制服装以及个人防护设备
US20050246826A1 (en) Cooling garment for use with a bullet proof vest
US11564437B2 (en) Removable chin curtain assembly selectively attachable to a helmet
CN102711683A (zh) 治疗包裹物
CN106659589A (zh) 具有气流的防护头盔
US9486018B2 (en) Torso cooling unit for personal wear
US7681249B2 (en) Conditioning garments
US2171337A (en) Air conditioned garment
JP6664443B2 (ja) ヘルメット対応空調衣服の服本体及びヘルメット対応空調衣服
US10874151B1 (en) Wearable cooling system
KR101175776B1 (ko) 저소음 확산노즐이 구비된 작업복 내부 착용식 에어재킷
KR200393617Y1 (ko) 에어 조끼
US20170311659A1 (en) Two-piece articulating chest protector with stretchable hinge
EP2686074A2 (en) Harness for breathing apparatus
WO2005016044A1 (en) Conditioning garments
RU149147U1 (ru) Жилет вентилируемый
JP3129235U (ja) 冷房用衣服のエアーベストを提供する。
JP2021059796A (ja) 液体循環式冷却胴着構造
KR20200107651A (ko) 휴대용 벨트식 송풍장치
CN219288821U (zh) 空调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