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6526A - 향을 함유한 에어가 신체의 일정부위에 분출되는 에어분출장치 - Google Patents

향을 함유한 에어가 신체의 일정부위에 분출되는 에어분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6526A
KR20110016526A KR1020090074058A KR20090074058A KR20110016526A KR 20110016526 A KR20110016526 A KR 20110016526A KR 1020090074058 A KR1020090074058 A KR 1020090074058A KR 20090074058 A KR20090074058 A KR 20090074058A KR 20110016526 A KR20110016526 A KR 20110016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se
fragrance
control uni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훈
이유금
Original Assignee
이승훈
이유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훈, 이유금 filed Critical 이승훈
Priority to KR1020090074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6526A/ko
Publication of KR20110016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5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by means of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을 함유한 에어가 신체의 일정부위에 분출되는 에어분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중 땀이 많이 발생되는 부위에 향이 함유된 에어를 분출시켜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어 작업의 능률이 향상됨은 물론 땀띠나 악취 발생을 방지하는 향을 함유한 에어가 신체의 일정부위에 분출되는 에어분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작업밸트(10)와; 상기 작업밸트(10)의 일측면에 설치된 상태로 에어공급을 조절하는 제1에어공급조절부(20)와; 상기 제1에어공급조절부(20)에 연결되고, 상기 제1에어공급조절부(20)에서 유입된 에어에 향이 함유되게 하는 제1향저장부(30)과; 상기 제1향저장부(30)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1향저장부(30)를 거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게 외주연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제1호스(40)와; 상기 제1호스(40)의 타측에 연결되고, 외주연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작업밸트(10)에 연결고리(51)를 매개로 연결되는 링 형상의 제2호스(50)로 구성되고, 상기 제1향저장부(30)는, 상기 제1에어공급조절부(20)와 상기 제1호스(40)를 연결하는 연결구(31)와; 향이 함유된 솜(37)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연결구(31)의 내측에 설치되는 중공형 필터체(3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업밸트, 제1에어공급조절부, 제1향저장부, 신발밑창, 작업조끼부

Description

향을 함유한 에어가 신체의 일정부위에 분출되는 에어분출장치{AIR EMITING APPARATUS FOR EJECTING THE AIR CONTAINING PERFUME IN FIXED PART OF THE BODY}
본 발명은 향을 함유한 에어가 신체의 일정부위에 분출되는에어분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중 땀이 많이 발생되는 부위에 향이 함유된 에어를 분출시켜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어 작업의 능률이 향상됨은 물론 땀띠나 악취 발생을 방지하는 향을 함유한 에어가 신체의 일정부위에 분출되는 에어분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높은 여름철 야외에서 장시간 활동하거나, 야외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신체 각 부위 특히 발바닥이나 성기부근의 피부, 그리고 겨드랑이 부위에 많은 땀이 배출됨에 따라 단 시간내에 옷이 땀으로 흠뻑 젖게 되고, 배출된 땀으로 인해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게 되어 작업능률이 저하됨은 물론 쉽게 피로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발에 무좀이나 습진이 있을 경우 배출되는 땀으로 인해 무좀이나 습진이 더욱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무실이나 택시 등 앉아 있는 경우 에어컨으로 몸은 시원하게 할 수 있으나 성기의 경우 신체부위의 특성상 그렇지 못하는 실정이며, 현장작업자나 긴 바지를 입어야 하는 경우 땀 배출로 인한 더위와 불쾌감은 더욱 높아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름철 사용자의 신체에 향이 함유된 에어를 분출하여 땀을 제거하고, 특히 땀이 많이 발생되는 부위인 겨드랑이나 성기 부근, 그리고 발부위에 향이 함유된 에어가 분출됨으로써 여름철 야외작업을 하거나 사무실에 오래 앉아 있는 사용자에게 쾌적한 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더욱이, 성기 부근이나 발 부위에 향을 함유한 에어를 분출시켜 시원함과 동시에 위생적으로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작업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작업밸트(10)와; 상기 작업밸트(10)의 일측면에 설치된 상태로 에어공급을 조절하는 제1에어공급조절부(20)와; 상기 제1에어공급조절부(20)에 연결되고, 상기 제1에어공급조절부(20)에서 유입된 에어에 향이 함유되게 하는 제1향저장부(30)과; 상기 제1향저장부(30)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1향저장부(30)를 거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게 외주연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제1호스(40)와; 상기 제1호스(40)의 타측에 연결되고, 외주연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작업밸트(10)에 연결고리(51)를 매개로 연결되는 링 형상의 제2호스(50)로 구성되고, 상기 제1향저장부(30)는, 상기 제1에어공급조절부(20)와 상기 제1호스(40)를 연결하는 연결구(31)와; 향이 함유된 솜(37)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연결구(31)의 내측에 설치되는 중공형 필터체(3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여름철 사용자의 신체에 향이 함유된 에어를 분출하여 땀을 제거하고, 특히 땀이 많이 발생되는 부위인 겨드랑이나 성기 부근, 그리고 발 부위에 향이 함유된 에어가 분출됨으로써 여름철 야외작업을 하거나 사무실에 오래 앉아 있는 사용자가 쾌적한 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성기 부근이나 발 부위에 향을 함유한 에어를 분출시켜 시원함과 동시에 위생적으로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향을 함유한 에어가 신체의 일정부위에 분출되는 에어분출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분출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착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밸트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의 제1향저장부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향저장부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조끼부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에 연결되는 제3호스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분출장치는 작업밸트, 제1향저장부, 제1호스, 제2호스, 제3호스, 작업조끼부로 구성된다.
상기 작업밸트(10)는 작업자의 허리에 착용하는 것으로, 상기 작업밸트(10)에 설치된 밸크로(11)를 이용하여 허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에어공급조절부(20)는 상기 작업밸트(10)의 일측면에 설치된 상태로 에어공급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제1에어공급조절부(20)에는 제1,2제어밸브(21,22)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제1,2제어밸브(21,22)를 이용하여 에어 공급을 조절하게 된다.
다시 말해, 별도의 에어펌프(1)나 공기압축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상기 제1에어공급조절부(20)로 공급되면 사용자는 상기 제1,2제어밸브(21,22)를 작동함으로써 상기 제1에어공급조절부(20)를 통해 유출되는 에어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에어공급조절부(20)에는 작업공구를 연결하는 작업공구연결호스(25)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향저장부(30)는 상기 제1에어공급조절부(20)에 연결되고, 상기 제1에어공급조절부(20)에서 유입된 에어가 향이 함유된 상태로 유출되게 한 다.
또한, 상기 제1호스(40)는 상기 제1향저장부(30)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1향저정부(30)를 거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게 외주연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향저장부(30)는 상기 제1에어공급조절부(20)와 상기 제1호스(40)를 연결하는 연결구(31)와, 향이 함유된 솜(37)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연결구(31)의 내측에 설치되는 중공형 필터체(35)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구(31)에는 상기 필터체(35)를 내측으로 삽입설치한 후 내부를 커버하도록 덮개(33)가 나사결합되게 설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에어공급조절부(20)에 상기 연결구(31)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구(31)의 타측에 상기 제1호스(40)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1에어공급조절부(20)를 통해 유출되는 에어는 상기 연결구(31)의 내측 필터체(35)를 거치면서 향을 함유한 상태로 상기 제1호스(40)로 유동하여 상기 제1호스(40)의 통공을 통해 외부로 분출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필터체(35)의 내측에 수용된 솜에 사용자의 취향이나 그날의 기분, 몸상태에 따라 다양한 향을 묻혀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무좀이나 땀띠, 습진에 효능이 있는 추출액을 이용하여 아로마테라피로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그리고, 제2호스(50)는 링 형상으로 상기 제1호스(40)의 타측에 연결되고, 외주연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작업밸트(10)에 연결고리(51)를 매 개로 연결된다.
다시 말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작업밸트(10)를 허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제2호스(50)를 양 다리 사이로 잡아당겨 사용자의 성기 부근에 위치시킨 후, 상기 제2호스(50)에 형성된 상기 연결고리(51)를 상기 작업밸트(10)에 연결하여 착용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2호스(40,50)에 형성된 통공은 착용상태에서 신체를 향하는 외주면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호스(40)가 사용자의 엉덩이 골부위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2호스(50)가 사용자의 성기 부근에 위치하게 되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향이 함유된 에어가 상기 제1,2호스(40,50)의 통공을 통해 분출되면 여름철 야외 작업이나 장시간 의자에 않아 있는 성인의 엉덩이 골 부위의 땀을 없애 주어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주어 작업의 능률이 향상됨은 물론 땀띠나 악취 발생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여름철 야외 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경우 성기 부근의 통풍이 원활하지 않아 성기 부근의 피부에 땀띠가 발생함은 물론 불쾌감을 야기하게 되어 작업능률이 떨어지게 되는데, 상기 제2호스(50)에서 분출되는 향이 함유된 공기로 인해 성기 부근의 땀을 없애 주어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 줄뿐 아니라 공기에 함유된 향으로 인해 심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주고, 여름철 불쾌지수 상승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호스(60)는 상기 제1호스(5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신발 밑창(70)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3호스(60)에는 상기 제2호스(50)로부터 유출되는 에어가 상기 신발밑창(70)으로 유입되는 경우 에어의 양을 조절하도록 제2에어조절부(61)가 설치되고, 상기 제2에어조절부(61)에는 상기 신발밑창(70)으로 유입되는 에어 양을 조절하도록 조절밸브(63)가 설치되고, 상기 제3호스(60)를 유동하는 에어가 상기 신발 밑창(70)으로 유입되는 경우 향을 함유한 상태로 유입되게 보조 향 저장통(65)이 결합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3호스(60)의 일측이 상기 제2호스(5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신발 밑창(70)에 연결되어 상기 제2에어조절부(61)의 조절밸브(63)로 에어의 유출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향 저장통(65)은, 상기 제2에어조절부(61)에 연결되는 통체(66)와, 상기 통체(66)의 내측에 설치되고 향이 함유된 솜을 수용하는 중공형 필터구(67)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제3호스(60)를 유동하는 에어가 상기 통체(66)를 거치면서 향을 함유한 상태로 상기 신발밑창(70)으로 유출된다.
여기서, 상기 신발 밑창(7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면에 다수개의 돌출구(76)가 형성된 하판(75)과, 상기 하판(75)의 상측에 설치되는 망사형 상판(71)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3호스(60)의 타측이 상기 상판(71)과 하판(75)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3호스(60)로부터 유출되는 향이 함유된 에어는 상기 하판(75)에 형성된 돌출구(76)에 의해 신발밑창의 전체면에 골고루 펴진 상태로 상기 망사형 상판(71)으로 통해 상측으로 유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향이 함유된 에어가 신발 밑창에서 분출됨에 따라 발에 발생되는 땀을 제거하여 상시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주어 건강한 발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상기 제1에어공급조절부(20)에 유동관(81)을 매개로 연결되는 작업조끼부(80)는, 상기 유동관(81)에 연결되고 작업자의 등부위에 에어를 분출하는 사각 틀 형상의 배면호스(83)와, 상기 배면호스(83)에 상호 대칭되게 설치되고 작업자의 겨드랑이부위에 에어를 분출하는 겨드랑이호스(84)와, 상기 배면호스(83)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겨드랑이호스(84)의 타측에 연결되고, 작업자의 어깨부위에 에어를 분출하는 굴곡진 어깨호스(85)와, 상기 어깨호스(85)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배면호스(83)에 타측이 연결되어 작업자의 가슴에 에어를 분출하는 전면호스(8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면호스(83)와, 어깨호스(85), 전면호스(86)의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되 착용시 신체부위를 향하는 부위에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겨드랑이호스(84)에 형성되는 통공은 외주연 전체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동관(81)의 일측단에는 상기 제1에어공급조절부(20)에서 유출되는 에어가 향을 함유한 상태로 상기 유동관(81)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제1향저장부(3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2향저장부(82)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작업조끼부(80)로 인해 사용자의 겨드랑이 사이에 발생되는 땀은 물론 상체에 발생되는 땀을 제거하여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 준다.
그리고, 사용자의 복부방향에 에어가 지속적으로 분출되면, 분출되는 에어에 의해 여름철 배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면호스(86)에서 분출되는 에어는 사용자의 복부을 피해 분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우선 사용자는 작업밸트를 허리에 착용한 후, 제2호스(50)를 양 다리 사이로 빼내어 상기 제2호스(50)에 형성된 연결구(51)를 상기 작업밸트(10)에 연결하므로써 상기 제1호스(40)는 엉덩이골부위에 위치하게 하고 상기 제2호스(50)는 성기부근에 위치하게 착용한다.
이후, 작업조끼부(80)의 어깨호스(85)와 겨드랑이호스(84)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팔을 집어넣어 상기 작업조끼부(80)를 상체에 착용한다.
그 후, 작업시 평소 착용하는 신발 내측으로 제3호스가 연결된 신발밑창(70)을 설치후, 신발을 착용한다.
이런 상태에서, 상기 작업밸트(10)에 설치된 제1에어공급조절부(20)와 외부 에어펌프(1)나 공기압축통을 연결하여 에어를 상기 제1에어공급조절부(20)로 보낸다.
상기 제1에어공급조절부(20)로 보내진 에어는 상기 제1향저장부(30)와 제2향저장부(82)를 거쳐 향이 함유한 상태로 작업조끼부(80)와 제1,2호스(40,50)로 유동하게 되고, 유동된 에어는 통공에 의해 신체의 각 부위에 분출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제1에어공급조절부(20)에 설치된 제1,2제어밸브(21,22)를 통해 상기 제1,2호스(40,50)로 유출되는 에어를 조절하거나 상기 작업조끼 부(80)로 유출되는 에어를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제어밸브(21)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2호스(40,50)로 유출되는 에어의 양이 조절되는 것이고, 상기 제2제어밸브(22)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작업조끼부(80)로 유출되는 에어의 양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호스(50)로 유동된 에어는 제3호스(60)를 거쳐 신발밑창(70)에서 외측으로 유출되어 사용자의 발의 땀을 제거해준다.
이때, 사용자의 성기부근에 땀이 많을 경우에는 상기 제3호스(60)에 설치된 조절밸브(63)를 잠궈 상기 제1에어공급조절부(20)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1,2호스(40,50)로 더 많이 유출되게 하면 된다.
이와 같이 신체중 땀이 많이 발생되는 부위에 향이 함유된 에어를 분출시켜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어 작업의 능률이 향상됨은 물론 땀띠나 악취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등록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분출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착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밸트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향저장부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향저장부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조끼부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에 연결되는 제3호스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작업밸트 11: 밸크로
20: 제1에어공급조절부 21: 제1제어밸브
22: 제2제어밸브 25: 작업공구연결호스
30: 제1향조절부 31: 연결구
33: 덮개 35: 필터체
37: 솜 40: 제1호스
50: 제2호스 51: 연결고리
60: 제3호스 61: 제2에어조절부
63: 조절밸브 65: 보조향 저장통
66: 통체 67: 필터구
70: 신발밑창 71: 상판
75: 하판 76: 돌출구
80: 작업조끼부 81: 유동관
82: 제2향저장부 83: 배면호스
84: 겨드랑이호스 85: 어깨호스
86: 전면호스

Claims (5)

  1. 작업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작업밸트(10)와;
    상기 작업밸트(10)의 일측면에 설치된 상태로 에어공급을 조절하는 제1에어공급조절부(20)와;
    상기 제1에어공급조절부(20)에 연결되고, 상기 제1에어공급조절부(20)에서 유입된 에어에 향이 함유되게 하는 제1향저장부(30)과;
    상기 제1향저장부(30)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1향저장부(30)를 거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게 외주연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제1호스(40)와;
    상기 제1호스(40)의 타측에 연결되고, 외주연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작업밸트(10)에 연결고리(51)를 매개로 연결되는 링 형상의 제2호스(50)로 구성되고,
    상기 제1향저장부(30)는, 상기 제1에어공급조절부(20)와 상기 제1호스(40)를 연결하는 연결구(31)와; 향이 함유된 솜(37)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연결구(31)의 내측에 설치되는 중공형 필터체(3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을 함유한 에어가 신체의 일정부위에 분출되는 에어분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호스(5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신발 밑창(70)에 연결되는 제3 호스(6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3호스(60)에는 상기 제2호스(50)로부터 유출되는 에어의 양을 조절하도록 제2에어조절부(6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을 함유한 에어가 신체의 일정부위에 분출되는 에어분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에어조절부(61)에는, 상기 신발 밑창(70)으로 유입되는 에어 양을 조절하도록 조절밸브(63)가 설치되고, 상기 제3호스(60)를 유동하는 에어가 상기 신발 밑창(70)으로 유입되는 경우 향을 함유한 상태로 유입되게 보조 향 저장통(65)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향을 함유한 에어가 신체의 일정부위에 분출되는 에어분출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에어공급조절부(20)에 유동관(81)을 매개로 연결되는 작업조끼부(8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작업조끼부(80)는, 상기 유동관(81)에 연결되고, 작업자의 등부위에 에어를 분출하는 사각 틀 형상의 배면호스(83)와;
    상기 배면호스(83)에 상호 대칭되게 설치되고, 작업자의 겨드랑이부위에 에어를 분출하는 겨드랑이호스(84)와;
    상기 배면호스(83)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겨드랑이호스(84)의 타측에 연결되고, 작업자의 어깨부위에 에어를 분출하는 어깨호스(85)와;
    상기 어깨호스(85)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배면호스(83)에 타측이 연결되어 작업자의 가슴에 에어를 분출하는 전면호스(8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을 함유한 에어가 신체의 일정부위에 분출되는 에어분출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밑창(70)은, 상측면에 다수개의 돌출구(76)가 형성된 하판(75)과, 상기 하판(75)의 상측에 설치되는 망사형 상판(7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향을 함유한 에어가 신체의 일정부위에 분출되는 에어분출장치.
KR1020090074058A 2009-08-12 2009-08-12 향을 함유한 에어가 신체의 일정부위에 분출되는 에어분출장치 KR201100165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058A KR20110016526A (ko) 2009-08-12 2009-08-12 향을 함유한 에어가 신체의 일정부위에 분출되는 에어분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058A KR20110016526A (ko) 2009-08-12 2009-08-12 향을 함유한 에어가 신체의 일정부위에 분출되는 에어분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526A true KR20110016526A (ko) 2011-02-18

Family

ID=43774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058A KR20110016526A (ko) 2009-08-12 2009-08-12 향을 함유한 에어가 신체의 일정부위에 분출되는 에어분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65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5946A (ko) * 2012-08-24 2014-03-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착용감이 향상된 냉풍재킷
KR101969921B1 (ko) * 2018-08-22 2019-04-17 박문수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
JP2022034483A (ja) * 2020-08-18 2022-03-03 有限会社前田興業 着用送風デバイスおよびそれを用いる作業者の暑さ対策のための送風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5946A (ko) * 2012-08-24 2014-03-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착용감이 향상된 냉풍재킷
KR101969921B1 (ko) * 2018-08-22 2019-04-17 박문수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
JP2022034483A (ja) * 2020-08-18 2022-03-03 有限会社前田興業 着用送風デバイスおよびそれを用いる作業者の暑さ対策のための送風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097B1 (ko) 부츠형 공기마사지기
JPWO2007061088A1 (ja) 空調衣服
AU2009274232A1 (en) Garment having a vascular system for facilitating evaporative cooling of an individual
CN204306113U (zh) 带送风功能的轻便式外科手术头箍及具有该头箍的头盔
US8696300B1 (en) Body fan device
CN104544685A (zh) 带送风功能的轻便式外科手术头箍及具有该头箍的头盔
KR20110016526A (ko) 향을 함유한 에어가 신체의 일정부위에 분출되는 에어분출장치
JP6105466B2 (ja) 通風性及び体温調節機能を有する下着
KR20200002725A (ko)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구비한 신발건조기
KR200382325Y1 (ko) 향기주머니를 갖는 운동용 앞가슴가리개
KR102253185B1 (ko) 밴드형 탈착식 음경 항문 uv-led 보호대
KR200467584Y1 (ko) 남성용 기능성 속옷
CN210959918U (zh) 一种宠物穿戴式除味杀菌装置
KR101898895B1 (ko) 통풍 가능한 의지용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의지
JP2017179629A (ja) 股部換気装置
KR101461331B1 (ko) 기능성 신발
CN206866647U (zh) 植物乳胶魔法文胸
JPWO2004017773A1 (ja) 空調服ユニット
KR200289106Y1 (ko) 여성의 질에 사용되는 미용기구
KR200450304Y1 (ko) 향기 배출수단이 구비된 신발깔창
KR20110035325A (ko) 남성용 통풍팬티
KR100498113B1 (ko) 팬티용 신체습기제거장치
KR101124095B1 (ko) 남성용 팬티
KR200326251Y1 (ko) 통풍기능을 갖는 신발깔창
KR20130002519U (ko) 남성용 위생팬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