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715B1 - 에어공급형 작업두건 - Google Patents

에어공급형 작업두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715B1
KR101763715B1 KR1020160124535A KR20160124535A KR101763715B1 KR 101763715 B1 KR101763715 B1 KR 101763715B1 KR 1020160124535 A KR1020160124535 A KR 1020160124535A KR 20160124535 A KR20160124535 A KR 20160124535A KR 101763715 B1 KR101763715 B1 KR 101763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head
supply pipe
air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우
Original Assignee
김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우 filed Critical 김영우
Priority to KR1020160124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7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4Soft caps; Hoods
    • A42B1/048Detachable hoods

Landscapes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공급형 작업두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머리에 씌워지는 머리착용부의 내부 상측에 연질의 에어공급관을 원형 띠 형상으로 장착하고, 상기 에어공급관에 반원형 절개선에 의해 신축개폐편을 형성하여 상기 에어공급관으로부터 공기 배출시 소음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에어공급관을 상기 머리착용부의 내측 상측에 분리가능하게 장착하여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경제적인 에어공급형 작업두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도록 착용되는 머리착용부와 상기 머리착용부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머리착용부의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관으로 이루어진 작업두건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관은 연질로 이루어져 상기 머리착용부의 내부 상측면에 원형띠 형상으로 장착되되 원형띠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의 상기 에어공급관에는 반원형 절개선을 따라 절개되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신축개폐편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공급형 작업두건{AIR SUPPLY TYPE WORKING HOOD}
본 발명은 에어공급형 작업두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머리에 씌워지는 머리착용부의 내부 상측에 연질의 에어공급관을 원형 띠 형상으로 장착하고, 상기 에어공급관에 반원형 절개선에 의해 신축개폐편을 형성하여 상기 에어공급관으로부터 공기 배출시 소음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에어공급관을 상기 머리착용부의 내측 상측에 분리가능하게 장착하여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경제적인 에어공급형 작업두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착용하는 작업용 두건은 인체의 두부에 씌워지는 작업용 두건과,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시야창과, 작업자에게 신선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기유입관 등으로 구성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그 내부에 삽입되어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방호모 및 팔을 끼울 수 있도록 형성시킨 소매부 등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작업용 두건에 공기유입관이 형성된 구조는 그 구성이 복잡하여 작업용 두건의 제조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므로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음은 물론 상당한 소음발생으로 작업능률의 저하를 야기하고, 공기유입관을 손쉽게 분리할 수 없는 구조로 인해 유지보수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11815호(출원일: 2004년 11월 23일)의 저소음형 송기마스크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7266호(출원일: 2005년 07월 07일)의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질로 제작된 에어공급관을 머리착용부의 내부 상측에 원형띠 형상으로 손쉽게 분리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에어공급관에 신축개폐편을 형성하여 공급되는 공기압에 따라 상기 신축개폐편의 개방상태가 변화되도록 하여 용이한 공기배출은 물론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어공급형 작업두건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도록 착용되는 머리착용부와 상기 머리착용부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머리착용부의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관으로 이루어진 작업두건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관은 연질로 이루어져 상기 머리착용부의 내부 상측면에 원형띠 형상으로 장착되되 원형띠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의 상기 에어공급관에는 반원형 절개선을 따라 절개되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신축개폐편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원형띠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의 상기 에어공급관은 상기 머리착용부의 내부 상측면에 결속부재를 매개로 장착되되 착용자의 머리방향을 향하는 상기 결속부재의 일측면에는 쿠션부재가 설치된다.
또한, 원형띠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의 상기 에어공급관을 수용하여 상기 에어공급관이 원형띠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에어공급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착용자의 머리 상측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메쉬형 공기분산부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쉬형 공기분산부재의 가장자리에는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연장편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편에는 상기 머리착용부에 장착되는 장착부재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에어공급관은, 길이방향 일측단이 공기발생장치에 연결된 상태로 타측단이 상기 머리착용부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호스와, 상기 연장호스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T"형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에 양단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머리착용부의 내부 상측면에 장착되는 원형띠 형상의 공기배출호스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머리착용부의 연장보호면부에는, 착용자의 의류에 달라붙도록 형성되어 상기 에어공급관으로부터 공기의 배출시, 상기 머리착용부가 들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밀착편체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질로 제작된 에어공급관을 머리착용부의 내부 상측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어 작업자가 작업상황에 따라 상기 에어공급관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에어공급관의 문제발생시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은 물론 소음저감을 통한 작업능률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형 작업두건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개폐편이 닫혀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개폐편이 열려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결속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작업두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나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형 작업두건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형 작업두건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개폐편이 닫혀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개폐편이 열려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형 작업두건은 착용자의 안면이 노출되는 개방부(12)가 형성된 상태로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도록 착용되는 머리보호면부(11)와 상기 머리보호면부(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어깨를 덮도록 이루어진 연장보호면부(15)으로 구성된 머리착용부(10)와, 상기 머리착용부(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머리착용부(10)의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관(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에어공급관(20)은 제작원가의 절감을 통한 공급원가의 감소를 위해 연질의 호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머리착용부(10)의 머리보호면부(11) 내부 상측면에 장착시, 원형띠 형상을 형성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개방부(12)는 본 발명의 작업두건을 착용한 후, 용접작업이나 그라인딩작업, 샌딩작업, 도장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시야 확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시킨 것이고, 상기 머리착용부(10)의 머리보호면부(11)는 작업중 발생하는 비산물로부터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함은 물론 동절기 등 머리를 따뜻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방부(12)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착용하는 용접면이나 보호경에 의해 폐쇄되어 작업자의 노출안면을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머리착용부(10)의 재질은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드러운 섬유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내열성 및 충격성을 갖는 재질이 것을 사용해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상기 머리착용부(10)의 연장보호면부(15)은 상기 머리보호면부(11)의 하부에 상기 머리보호면부(11)와 연이어지게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작업중 발생하는 비산물로부터 착용자의 목을 보호함은 물론 동절기 착용자의 목을 따뜻하게 보호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장보호면부(15)은 착용자의 어깨선을 감쌀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착용자의 목을 안전하게 보호함은 물론 작업중 발생하는 비산물의 내부 침입을 방지하고, 바람의 통기를 긴밀히 막아 보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또한, 상기 연장보호면부(15)의 전방은 그 연장보호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할선(16)을 형성시켜 좌우 양분되게 하기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본 발명의 작업두건을 착용하거나 벗을 때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또한, 상기 분할선(16)에는 필요에 따라 분할선을 결착할 수 있는 결착부재(17)가 설치되고, 상기 결착부재(17)는 본 발명의 작업두건을 착용 후에 안전을 위하여 결착하고, 벗을 때에는 결착부재(17)의 결착력을 해체하여 벗는 작업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머리착용부(10)의 연장보호면부(15)에는 착용자의 의류에 달라붙도록 형성되어 상기 에어공급관(20)으로부터 공기의 배출시, 상기 머리착용부가 들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밀착편체(1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작업두건을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에어공급관(20)을 통해 일정압의 공기가 분출되면 상기 작업두건이 분출되는 공기압으로 인해 상측으로 들려지는데, 이 경우 작업에 방해게 됨은 물론 심한 경우에는 상기 작업두건이 벗겨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장보호면부(15)에 상기 밀착편체(18)를 형성하여 에어의 분출과정에서 작업두건이 들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에어공급관(20)에는 반원형 절개선(21)을 따라 절개되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신축개폐편(30)이 상기 에어공급관(20)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신축개폐편(30)은 상기 에어공급관(20)이 상기 머리보호면부(11)의 내부 상측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머리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신축개폐편(3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착용자가 본 발명의 작업두건을 착용한 상태에서 평상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축개폐편(30)이 닫혀진상태에 있게 되고, 상기 에어공급관(20)으로 일정압의 공기기 공급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축개폐편(30)이 열리게 되어 상기 신축개폐편(30)의 열림으로 인해 생기는 에어분출공(31)을 통해 공기가 분출되는 것이다. 이후, 공기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신축개폐편(30)은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에어분출공(31)을 폐쇄하여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에어공급관(20)으로 일정압의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에어분출공(31)을 통해 배출시, 상기 에어공급관(20)으로 공급된 공기압에 따라 상기 에어분출공(31)의 개방면적이 상기 신축개폐편(30)에 의해 조절됨은 물론 공급된 공기가 상기 신축개폐편(30)의 면부를 타고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됨에 따라 에어배출시 발생하는 소음현상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에어공급관(20)은 상기 머리착용부(10)의 머리보호면부(11) 내부 상측면에 장착시 결속부재(22)를 매개로 원형띠 형상으로 장착된다. 이때, 상기 결속부재(22)는 암수로 이루어진 밸크로부재나 똑딱이 단추와 같은 결속부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작업두건의 제조원가의 절감, 착용시 이질감으로 인한 불편함 감소, 중량감소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밸크로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머리보호면부(11)의 내부 상측면에 밸크로부재의 암수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고, 다른 하나를 밸크로에 의해 상기 에어공급관(20)을 감싸도록 하여 밸크로부재의 암수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에어공급관(20)을 상기 머리보호면부(11)의 내부 상측면에 장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에어공급관(20)이 상기 머리보호면부(11)의 내부 상측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됨에 따라 에어공급관의 문제 발생시, 신속한 유지보수가 가능하여 작업의 신속성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에어공급관(20)을 감싸는 상기 결속부재(22)의 밸크로에서 착용자의 머리방향을 향하는 일측면에는 쿠션부재(23)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두건 착용시, 상기 에어공급관(20)의 머리 눌림에 따른 이질감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공급관(20)은 원형띠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을 메쉬형 공기분산부재(40)의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메쉬형 공기분산부재(40)가 상기 머리착용부(10)의 머리보호면부(11) 내부 상측면에 장착되도록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메쉬형 공기분산부재(40)는 원형띠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의 상기 에어공급관(20)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에어공급관(20)이 원형띠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에어공급관(2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착용자의 머리 상측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메쉬형 공기분산부재(40)의 가장자리에는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연장편(41)이 상호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편(41)에는 상기 머리착용부(10)에 장착되는 장착부재(43)가 설치된다. 상기 장착부재(43)는 암수로 이루어진 밸크로부재나 똑딱이 단추와 같은 장착부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작업두건의 제조원가 절감, 착용시 이질감으로 인한 불편함 감소, 중량감소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밸크로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메쉬형 공기분산부재(40)가 상기 머리착용부(10)의 내부 상측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됨에 따라 작업의 상황에 따라 상기 에어공급관(20)을 선택적으로 상기 머리착용부(1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상기 메쉬형 공기분산부재(40) 및 상기 에어공급관(20)의 문제 발생시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공급관(20)은 길이방향 일측단이 공기발생장치(미도시)에 연결된 상태로 타측단이 상기 머리착용부(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호스(25)와, 상기 연장호스(25)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T"형 연결구(26)와, 상기 연결구(26)에 양단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머리착용부(10)의 내부 상측면에 장착되는 원형띠 형상의 공기배출호스(27)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에어공급관(20)을 연장호스(25)와 공기배출호스(27)로 분리하고, 상기 연장호스(25)와 공기배출호스(27)를 상기 연결구(26)를 매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상기 연장호스(25) 및 공기배출호스(27) 중 어느 하나의 기술적 구성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에어공급관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문제가 된 구성만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보수에 발생되는 비용부분을 절감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신속한 유지보수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기배출호스(27)를 상기 머리착용부(10)의 내부 상측면에 장착하는 결속부재(22)는 메쉬망의 형태를 갖는 것을 사용하여 상기 공기배출호스(27)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작업두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로써, 작업두건의 상부에 메쉬망부재(50)을 형성한 상태로 작업자가 작업두건의 외부에 안전모를 착용시, 상기 에어공급관(20)으로부터 배출되는 에어가 상기 머리착용부(10)의 내부는 물론 상기 안전모의 내측방향으로도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중 발생되는 부유물이나 연기를 상기 안전모의 내부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작업자의 안면방향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에어공급관(20)에는 상기 신축개폐편(30)이 상기 에어공급관(20)의 단면상 상측과 하측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머리착용부 11: 머리보호면부
12: 개방부 15: 연장보호면부
16: 분할선 17: 결착부재
18: 밀착편체 20: 에어공급관
21: 절개선 22: 결속부재
23: 쿠션부재 25: 연장호스
26: 연결구 27: 공기배출호스
30: 신축개폐편 31: 에어분출공
40: 메쉬형 공기분산부재 41: 연장편
43: 장착부재

Claims (6)

  1.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도록 착용되는 머리착용부와 상기 머리착용부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머리착용부의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관으로 이루어진 작업두건에 있어서,
    상기 머리착용부는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도록 착용되는 머리보호면부와 상기 머리보호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어깨를 덮도록 이루어진 연장보호면부로 구성되고, 상기 연장보호면부에는 착용자의 의류에 달라붙도록 형성되어 상기 에어공급관으로부터 공기의 배출시, 상기 머리착용부가 들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밀착편체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공급관은 연질로 이루어져 상기 머리착용부의 내부 상측면에 원형 띠 형상으로 장착되되 원형띠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의 상기 에어공급관에는 반원형 절개선을 따라 절개되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신축개폐편이 일정간격 다수개 형성되고, 원형띠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의 상기 에어공급관을 수용하여 상기 에어공급관이 원형띠 형상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에어공급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착용자의 머리 상측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메쉬형 공기분산부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메쉬형 공기분산부재의 가장자리에는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연장편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편에는 상기 머리착용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형 작업두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관은, 길이방향 일측단이 공기발생장치에 연결된 상태로 타측단이 상기 머리착용부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호스와, 상기 연장호스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T"형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에 양단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머리착용부의 내부 상측면에 장착되는 원형띠 형상의 공기배출호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형 작업두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착용부의 연장보호면부에는, 착용자의 의류에 달라붙도록 형성되어 상기 에어공급관으로부터 공기의 배출시, 상기 머리착용부가 들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밀착편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형 작업두건.
KR1020160124535A 2016-09-28 2016-09-28 에어공급형 작업두건 KR101763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535A KR101763715B1 (ko) 2016-09-28 2016-09-28 에어공급형 작업두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535A KR101763715B1 (ko) 2016-09-28 2016-09-28 에어공급형 작업두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3715B1 true KR101763715B1 (ko) 2017-08-01

Family

ID=59650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535A KR101763715B1 (ko) 2016-09-28 2016-09-28 에어공급형 작업두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7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921B1 (ko) * 2018-08-22 2019-04-17 박문수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705Y1 (ko) * 2003-05-26 2003-08-14 정인선 비선형 절개부를 갖는 분수호스
KR200373455Y1 (ko) * 2004-11-02 2005-01-17 오토스테크 주식회사 작업용 두건
JP2006299489A (ja) * 2005-04-16 2006-11-02 Takeshi Shibata 鍔付き帽子に装着したエア吹き出し口
JP4124966B2 (ja) * 1998-03-10 2008-07-23 セント ゴーベイン パフォーマンス プラスティ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成形したポリマーの空気拡散スクリーン
KR101175776B1 (ko) * 2012-03-20 2012-08-21 김일부 저소음 확산노즐이 구비된 작업복 내부 착용식 에어재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4966B2 (ja) * 1998-03-10 2008-07-23 セント ゴーベイン パフォーマンス プラスティ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成形したポリマーの空気拡散スクリーン
KR200322705Y1 (ko) * 2003-05-26 2003-08-14 정인선 비선형 절개부를 갖는 분수호스
KR200373455Y1 (ko) * 2004-11-02 2005-01-17 오토스테크 주식회사 작업용 두건
JP2006299489A (ja) * 2005-04-16 2006-11-02 Takeshi Shibata 鍔付き帽子に装着したエア吹き出し口
KR101175776B1 (ko) * 2012-03-20 2012-08-21 김일부 저소음 확산노즐이 구비된 작업복 내부 착용식 에어재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921B1 (ko) * 2018-08-22 2019-04-17 박문수 작업자 착용형 에어 공급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66287B1 (en) Shroud usable with a helmet
CN101909698A (zh) 具有空气流方向控制的呼吸器装置
WO2009038325A1 (en) Goggle mask for preventing steaming-out
KR200392720Y1 (ko) 자외선 및 황사 차단용 마스크
KR20060117858A (ko) 자외선 및 황사 차단용 마스크
KR101763715B1 (ko) 에어공급형 작업두건
KR20180034051A (ko) 방호복
TWI385008B (zh) 保護裝置
KR102206508B1 (ko) 에어공급장치가 구비된 송기마스크
KR20180000473U (ko) 분리형 보호복이 구비된 송기 마스크
KR200381492Y1 (ko) 방한용 마스크
KR20100006003U (ko) 원통형 마스크
JP3185326U (ja) 防塵面
KR20130076385A (ko) 용접 마스크
KR960006582Y1 (ko) 용접용 보안면 내의 공기정화장치
KR200348476Y1 (ko) 작업용 목 보호대
KR200373455Y1 (ko) 작업용 두건
KR200412891Y1 (ko) 방한용 안전모
CN212139387U (zh) 一种具有弹性防护结构的防辐射工作服
NL2026369B1 (en) Multifunctional garment
CN209449738U (zh) 透气安全帽
KR102128172B1 (ko) 차단 날개 구조의 착용 의류 물품
JP7140643B2 (ja) 頭部冷却構造
US20140304888A1 (en) Head cover
WO2023187709A1 (en) Hardhat with shaped air cond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